KR100716432B1 -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432B1
KR100716432B1 KR1020057005370A KR20057005370A KR100716432B1 KR 100716432 B1 KR100716432 B1 KR 100716432B1 KR 1020057005370 A KR1020057005370 A KR 1020057005370A KR 20057005370 A KR20057005370 A KR 20057005370A KR 100716432 B1 KR100716432 B1 KR 10071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ver body
airbag
airbag cover
dr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730A (ko
Inventor
하루야 하시모토
신야 다케무라
유지 사이토
켄지 하시모토
카즈히토 이시다
아유무 이마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테마츠 모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6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6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6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6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6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228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6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69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테마츠 모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4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53Moulding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e.g. ribs, high polish
    • B29C37/0057Mould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 B29L2022/02Inflatable articles
    • B29L2022/027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08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는, 성형용 형(2A, 2B)과, 홈형성 날(3)과, 지지 로드(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성형용 형은, 에어백 도어부(10)를 갖는 수지제의 에어백 커버체(1)를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20)를 구성한다. 상기 홈형성 날은 상기 에어백 도어부(10)를 규정하는 파단용 홈(11)을 상기 에어백 커버체에 형성한다. 상기 지지 로드(4)는 상기 캐비티(20) 내에 있어 형성된 상기 에어백 커버체의 에어백 도어부(10)를 지지한다. 상기 성형용 형은, 상기 에어백 커버체에 당접하는 위치 및 상기 에어백 커버체로부터 이간하는 위치 사이를 왕복이동 가능한 가동 코어코어(21a, 21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코어가 상기 에어백 도어부(10)로부터 이반할 때에는, 상기 지지 로드(4)가 상기 에어백 도어부(10)에 당접함으로서, 상기 파단용 홈에 있어서 과잉 응력 집중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에어백 커버체, 성형 장치, 지지 로드

Description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AIR BAG COVER BODY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에어백 커버체」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에어백 장치를 덮는데 이용되는 부재를 의미하고 있다. 에어백 커버체의 전형예는, 인스톨먼트 패널이다.
통상, 자동차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인스톨먼트 패널의 내측에 장착된다. 종래의 에어백 장치 장착 구조는, 예를 들면 특개2001­39254호 공보나 특개2001­4795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6은, 종래의 인스톨먼트 패널(부호1) 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인스톨먼트 패널(1)의 내측에 고정된 에어백 장치(8)를 나타낸다. 인스톨먼트 패널(1)은 수지제이고, 에어백 장치(8)의 정면 부분은 에어백 도어부(10)로 되어 있다. 인스톨먼트 패널(1)의 이면에는, 에어백 도어부(10)를 규정하는 복수의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홈(11)은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스톨먼트 패널(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3조의 홈(11a~11c)과 이들 3개의 홈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2조의 홈(11d, 11e) 을 포함하고 있다. 홈(11)이 형성된 부분은, 패널(1) 의 그 외의 부분과 비교해서 강도가 약해져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 장치(8)의 에어백(도시 생략)이 팽창할 때에는, 에어백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홈(11) 형성 부분이 파단된다. 그 결과 도 17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에어백 도어부(10) 이 열리고, 에어백이 인스톨먼트 패널(1)의 외면측에 출현한다.
에어백 도어부(10)가 열릴 때에, 에어백 도어부(10)가 차내에 비산하지 않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에어백 도어부(10)를, 예를 들면 리테이너(80)로 지지해 두는 수단이 채용된다. 리테이너(80)는 절곡 가능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는 에어백 장치(8)의 박스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80) 의 타단부는 에어백 도어부(10)의 이면에 형성된 리브(1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에어백 도어부(10)가 열린 경우에 있어서도, 리테이너(80)에 의해서 에어백 도어부(10)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인스톨먼트 패널(1)은,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형장치(B)를 이용해서, 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성형장치(B)는 상형(7A) 및 하형(7B)과, 복수의 홈형성 날(39)을 구비하고 있다. 상형(7A) 및 하형(7B)에 의해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70)가 형성된다. 각 홈형성 날(39)의 선단부는 캐비티(70) 내에 돌출해 있고, 이것에 따라 인스톨먼트 패널(1)에 파단용 홈(11)이 형성된다. 도 18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각 홈형성 날(39)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모양이다. 홈형성 날(39)의 기단(基端)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인스톨먼트 패널(1)이 캐비티(70) 내에서 성형된 후, 상형(7A) 및 하형(7B)을 분리한다. (수지 성형용 금형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의 일예가 특개평11­3412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분리 후, 인스톨먼트 패널(1)을 금형으로부터 떼어 낸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인스톨먼트 패널의 제거 작업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인스톨먼트 패널(1)을 하형(7B)로부터 떼어 낼 때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10)는, 그 외의 부분보다도 형(型)분리가 나쁜 경향이 있다. 이 원인중 하나로, 도어부(10)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13)의 존재를 들 수 있다. 리브(1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에어백 도어부(10)와 하형(7B)의 접촉 면적이 커지고, 에어백 도어부(10)가 하형(7B)으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에어백 도어부(10)가 하형(7B)에 밀착한 상태인 채로, 인스톨먼트 패널(1)을 무리하게 하형(7B)로부터 분리시키려고 하면, 강도적(强度的)으로 뒤지는 파단용 홈(11)의 형성 부분이 절곡되거나,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홈(11)의 형성 부분이 절곡됨으로서, 그 부분이 백색화 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 하에서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수지 성형체에 형성된 파단용 홈에 있어서 과잉 응력 집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에어백 도어부를 갖는 수지제의 에어백 커버체가 내부에서 형성되는 캐비티를 구성하는 성형용 형(型)과, 상기 에어백 도어부를 규정하는 파단용 홈을 상기 에어백 커버체에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홈형성 날과, 상기 캐비티 내에서 형성된 상기 에어백 커버체의 에어백 도어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과 다르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용 형은, 상기 에어백 커버체에 당접하는 위치 및 상기 에어백 커버체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위치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가동 코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코어가 상기 에어백 도어부로부터 이반(離反)할 때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당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동 코어를 관통해서 연장하는 로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 코어는,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리브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상기 가동 코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왕복이동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종동(從動) 블록과, 이 종동 블록에 당접하는 구동 블록과, 이 구동 블록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왕복이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원을 더 구비한다. 상기 구동 블록이 상기 제2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종동 블록이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블록 및 상기 종동 블록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종동 블록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캠 면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블록에는 상기 종동 블록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캠 면과, 이 경사캠 면에 연결된 수압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압면은 상기 제2 왕복이동 방향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동 블록에는, 상기 구동 블록의 상기 경사캠 면에 당접 가능한 경사캠 면과, 이 종동 블록의 경사캠 면에 연결되는 평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종동 블록의 상기 평면은, 상기 구동 블록의 상기 수압면에 접촉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상기 구동 블록 및 상기 종동 블록을 연결하는 링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구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 블록을 상기 에어백 도어부로부터 멀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는, 서로 이간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구동 블록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종동 블록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원을 더 구비한다. 이 제2 구동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은, 상기 캐비티 내에 돌출하는 위치 및 상기 캐비티로부터 퇴피(退避)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용 형은, 협동해서 상기 캐비티를 구성하는 상형 및 하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형은 지지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보조 블록체를 포함하고, 이 보조 블록체에는,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구동원은, 상기 지지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블록체의 상기 구멍부에는, 또한 상기 종동 블록 및 상기 구동 블록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원은, 상기 지지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구동원은, 상기 구동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 로드를 개재해서 상기 구동 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원은,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다른 연결 로드를 개재해서 상기 홈형성 날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상기 가동 코어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가동 코어의 내부에 설치된 유로를 포함하고 있고, 이 유로에 냉각용 매체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가동 코어에 설치된 상기 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종동 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다른 유로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근거한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의 형성 장치에 있어서 구동 및 종동 블록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의 형성 장치에 있어서 하형(下型)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예의 형성 장치에 있어서 하형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근거한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형성 장치에 있어서 하형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구동 블록과 종동 블록을 연결하는 제 2 실시예의 링크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그 단면은, 도 5에 있어서 X7-X7선에 따른 것이다.
도 8 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블록, 종동 블록 및 링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예의 형성 장치에 있어서 하형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근거한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하형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하형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근거한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근거한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 는, 제 4 실시예의 형성 장치에 있어서 하형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 은, 종래의 인스톨먼트 패널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 은, 도 16에 있어서 X17-X1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 은, 종래의 성형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근거한 성형장치 A1를 나타내고 있다. 성형장치 A1는,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인스톨먼트 패널(1)(도 16~도 18)을 수지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성형장치 A1 는, 상형(2A) 및 하형(2B)을 포함하는 금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성형장치 A1 는, 복수의 홈형성 날 (3)과 복수개의 지지 로드(4)를 구비하고 있다.
상형(2A) 및 하형(2B)은,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반(離反)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형(2A)만이 가동이고, 하형(2B)은 부동으로 되어 있다. 상형(2A)은, 예를 들면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형(2A) 및 하형(2B)은, 형(型)이 조여졌을 때에는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0)를 형성한다. 하형(2B)은 2개의 가동 코어(21a, 21b)를 갖고 있다.
복수의 홈형성 날(3)은, 캐비티(20) 내에 그들 선단부가 진입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인스톨먼트 패널(1)에 복수의 파단용 홈(11)을 형성한다. 이들 날(3)은, 금속제 플레이트 모양이고, 또한 복수의 파단용 홈(11)의 형상에 대응한 평면시 직사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도 3참조). 이들 복수의 홈형성 날(3)의 기단부끼리는, 연결부재(30)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홈형성 날(3)은, 왕복이동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구동원에 의해 캐비티(20)를 향하는 방향 및 그것과는 반대의 방향 (N1방향)으로 변위(變位)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비티(20) 내에 용융수지를 충전할 때에는, 각 홈형성 날(3)의 선단부를 캐비티(20)로부터 퇴출시켜 둘 수 있다. 그 결과, 캐비티(20)의 각 부로의 수지의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캐비티(20)로의 수지의 충전이 종료되고 나서 이 수지가 경화 할 때까지의 동안에 홈형성 날(3)의 선단부를 캐비티(20) 내에 진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스톨먼트 패널(1)에 파단용 홈(11)이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날(3)을 N1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날(3)의 선단부를 항상 캐비티(20) 내로 돌출시키는 것이 된다.
복수의 지지 로드(4)는 금속제이고, 홈형성 날(3)의 연결부재(30) 및 하형(2B)의 코어(21a, 21b)를 그들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연장해 있다. 지지 로드(4)는 하형(2B)의 하방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 로드(4)의 선단면은, 캐비티(20)를 규정하는 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로드(4)의 선단면은, 캐비티(20) 내에 있어서 성형되는 에어백 도어부(10)의 하향의 편면(12)에 당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형(2B)의 코어(21a, 21b)에는, 리테이너 장착용인 복수의 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들 복수의 오목부(22)는, N3 방향(캐비티(20)의 길이 방향 또는 인스톨먼트 패널(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당한 간격으로 나란한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로드(4)도 2열로 배열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합계 8개의 지지 로드(4)가 사용되고 있다. 각 로드(4)는, 대응하는 한개 또는 두개의 오목부(2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형(2B)의 코어(21a, 21b)는, 에어백 도어부(10)의 편면(12)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코어(21a, 21b)는, 하형(2B)의 다른 부분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또한 그 주위는 복수의 홈형성 날(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들 코어(21a, 21b)는, 각 지지 로드(4)에 접접(摺接)해서 그 길이 방향(N1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되고 있다. 이 왕복이동을 실현하는 기구로서는, 도 2에 잘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구동 블록(41), 종동 블록(42)과, 유압식 왕복이동 실린더 등의 구동원(40)을 갖는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구동 블록(41)은, 구동원(40)과 로드(40a)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고, 구동원(40)에 의해, 지지부(44) 상을 N2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구동 및 종동 블록(41, 42)은, 서로 접접 가능한 경사면을 갖고 있다. 구동 블록(41)이 N2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 종동 블록(42)이 N1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코어(21a, 21b)는, 연결 지레(Lever)(29)를 개재해서 종동 블록(42)에 연결되어 있고, 종동 블록(42)에 수반해서 승강을 행한다.
캐비티(20) 내에 수지를 충전해서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할 때에는, 코어(21a, 21b)에 대해서 N1 방향 하향의 압력이 작용한다. 이 압력은 도 2에 나타낸 기구에 의하면, 구동 블록(41)에 의해서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압력을 구동원(40)에 의해 직접 부담시킬 필요는 없고, 구동원(4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다음으로, 성형장치 A1 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형(2A) 및 하형(2B)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20) 내에 수지를 충전해서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한다. 그 후, 상형(2A)을 상승시켜서 하형(2B)과 분리시킨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형(2B)의 코어(21a, 21b)를 N1 방향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있어서, 구동원(40)에 의해 구동 블록(41)을 N2 방향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코어(21a, 21b)(및 종동 블록(42))가 중력 작용에 의해 N1 방향 하향으로 이동한다.
코어(21a, 21b)에는, 에어백 도어부(10)의 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어(21a, 21b)의 하강 개시 시에 있어서는, 에어백 도어부(10)를 코어(21a, 21b)와 함께 하강시키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복수의 지지 로드(4)는 에어백 도어부(10)에 당접해 있고, 에어백 도어부(10)의 하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로드(4)는 부동이기 때문에, 에어백 도어부(10)를 인스톨먼트 패널(1)의 다른 부분에 상대시켜 들어 올리는 작용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것에 의해, 인스톨먼트 패널(1)의 각 파단용 홈(11)의 형성 부분에 큰 응력 집중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에어백 도어부(10)와 코어(21a, 21b)를 적절하게 이반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로드(4)가 오목부(22)(나아가서는 리브(1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에어백 도어부(10)와 코어(21a, 21b)를 이반시킬 때에 생기는 힘이, 파단용 홈(11)의 형성 부분에 대해서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코어(21a, 21b)와 에어백 도어부(10)와의 밀착력이 상당히 강한 경우에는, 구동 블록(41)을 구동원(40) 근처에 이동시켜도, 종동 블록(42) 및 코어(21a, 21b)가 중력의 작용만으로는 강하하지 않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종동 블록(42)을 강제적으로 끌어 내리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적당한 보조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참조)
상술한 것과 같이, 코어(21a, 21b)를 하강시킨 후에는, 인스톨먼트 패널(1)을 하형(2B)로부터 취출한다. 하형(2B)의 코어(21a, 21b) 이외의 부분에는, 일반적 인 금형 장치와 마찬가지로, 수지 성형품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핀(도시 생략)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압출핀에 의해 인스톨먼트 패널(1)의 에어백 도어부(10) 이외의 부분을 압압함으로서, 인스톨먼트 패널(1)을 하형(2B)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코어(21a, 21b)나 복수의 홈형성 날(3)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부분, 즉, 인스톨먼트 패널(1)의 에어백 도어부(10)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이라면, 압출핀을 왕복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압출핀에 의해 인스톨먼트 패널(1)을 압출할 때에는, 에어백 도어부(10)와 코어(21a, 21b)가 이미 이반(離反)해 있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과는 달리, 상기 압출의 압압력이 파단용 홈(11)의 형성 부분에 집중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파단용 홈(11)의 형성 부분에 백화나 손상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스톨먼트 패널(1)을 적절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5~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근거한 성형장치 A2 의 설명도이다. 도 5와 도 2와의 비교 및 도 6과 도 1과의 비교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제 2실시예의 성형장치 A2 는, 제1 실시예의 성형장치 A1 와 기본적으로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그 결과로서 성형장치 A1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성형장치 A2 는, 상형(2A) 및 하형(2B)을 포함하는 금형 및 복수의 홈형성 날(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성형장치 A2 는, 형성된 인스톨먼트 패널(1)에 당접하는 복수개의 지지 로드(4)를 구비하고 있다. 상형(2A)은 하형(2B)에 대해서 접근 및 이반이 자 유롭다. 상형(2A) 및 하형(2B)은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0)를 형성한다. 하형(2B)은 2개의 가동 코어(21a, 21b)를 갖고 있다. 홈형성 날(3)은 캐비티(20)내에 진입함으로서, 인스톨먼트 패널(1)에 복수의 파단용 홈(11)을 형성한다. 이들 날(3)은, 연결부재(30)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 로드(4)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부재(30) 및 하형(2B)의 코어(21a, 21b)를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하형(2B)의 코어(21a, 21b)에는, 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21a, 21b)는, 지지 로드(4)에 접접해서, N1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9참조). 이 왕복이동을 실현하는 기구로서는, 도 5에 잘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구동 블록(41), 종동 블록(42)과 유압식 왕복이동 실린더 등의 구동원(40)을 갖는 기구가 사용된다. 구동 블록(41)은, 구동원(40)과 로드(40a)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고, 구동원(40)에 의해, 지지부(44) 상을 N2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 2실시예의 성형장치A2 에 있어서도,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지지 로드(4)가 캐비티(20)에 형성된 인스톨먼트 패널(1)에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어(21a, 21b)를 하강시킨 경우에 있어서, 지지 로드(4)가 에어백 도어부(10)의 하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인스톨먼트 패널(1)의 파단용 홈(11)의 형성 부분에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에어백 도어부(10)와 코어(21a, 21b)를 이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실시예의 성형장치 A2 가 제 1실시예의 성형장치 A1 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성형장치 A2 는, 구동 및 종동 블록(41, 42)의 구성에 있어서, 성형장치A1 와 다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 블록(41)의 상면은, 이 구동 블록(41)의 두께 방향(N1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모양 상면은, 복수의 캠면(45a)과 복수의 수압면(46a)이 N2 방향에 있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동 블록(42)의 하면도, 구동 블록(41)의 상면부에 대응한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캠면(45a)과 복수의 평면(46a)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 블록(41)의 각 캠면(45a)은, 구동 블록(41)이 도 5의 N2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전진할 때에 종동 블록(42)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사면이다. 경사의 각도(<90°)는, N2 방향에 대해서, 예를 들면 45도 이하이다. 종동 블록(42)의 각 캠면(45b)은, 상기 캠면(45a)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구동 블록(41)의 수압면(46a)은, 종동 블록(42)의 승강을 정지시키고 있을 때에, 종동 블록(42)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평탄면이다. 수압면(46a)은, N2 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제로 또는 대략 제로로 되어 있다. 종동 블록(42)의 각 평면(46b)은, 각 수압면(46a)에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다.
구동 블록(41) 및 종동 블록(42)은, 링크(4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크(43)의 하단(43a)은, 구동 블록(41)에 대해서 축(47)을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링크(43)의 상단(43b)에는 돌기(49)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49)는, 종동 블록(42)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48)에 계입(係入)해 있다. 오목부(48)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돌기(49)에 N1, N2 방향으로의 적당한 여유를 갖게 하는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블록(41) 이 N2b 방향으로 일정량 이상 변위할 때에는, 오목부(48)를 규정하는 벽면(48a) 에 돌기(49)가 계합하고, 그 결과, 종동 블록(42)은 링크(43)에 의해 하방으로 끌려간다.
다음으로, 성형장치 A2 에 있어서 구동 및 종동 블록(4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형 캐비티(20) 내에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할 때에는, 구동 블록(41)의 각 수압면(46a)과 종동 블록(42)의 각 평면(46b)을 서로 당접시켜 둔다. 이것에 의해, 종동 블록(42)의 하강이 저지되기 때문에, 캐비티(20) 내의 압력에 의해 코어(21a, 21b)가 눌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각 수압면(46a)은, N2 방향에 대해서 경사가 없는 면이기 때문에, 종동 블록(42) 으로부터 받는 압압력 F에는, N2 방향의 큰 분력이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압압력 F의 전부 또는 대략 전부를 지지부(44)에 의해 부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것에 의해, 구동원(40)에 압압력 F가 직접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원(40)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인스톨먼트 패널(1)의 수지 성형 후에, 이 인스톨먼트 패널(1)을 취출하는 순서는,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형(2A)을 상승시켜서 금형을 연다. 다음으로, 구동원(40)을 작동시킴으로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형(2B)의 코어(21a, 21b)를 하강시킨다. 이 하강 동작은, 구동 블록(41)을 도 7의 N2b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종동 블록(42)을 중력에 의해 하강시킴으로서 행한다. 종동 블록(42)의 하강이 중력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는 경우(즉, 코어(21a, 21b)와 인스톨먼트 패널(1)과의 밀착력이 강한 경우)에는, 구동 블록(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링크(43)가 종동 블록(42)을 끌어당기고, 강제적으로 하강시킨다.
인스톨먼트 패널(1)의 취출이 완료한 후에는, 코어(21a, 21b)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 복귀시킨다. 그를 위해서는, 구동원(40)에 의해 구동 블록(41)을 N2a 방향으로 적당량만 변위시킨다. 구동 블록(41)이 전진하면, 경사 모양의 캠면(45a, 45b)끼리가 접접(摺接)하는 작용에 의해서 종동 블록(42)이 상승한다.
도 10~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근거한 성형장치A3 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과 도 5와의 비교 및 도 11과 도 6과의 비교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제 3실시예의 성형장치A3 는, 제2 실시예의 성형장치A2 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성형장치A2 에 대해서 위에서 상술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성형장치A3 도 가질 수 있다.
제 3실시예의 성형장치 A3 는, 코어(21a, 21b)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 2실시예의 성형장치 A2 와 다르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3실시예의 냉각수단은, 냉각수 공급원(50)과 배관(51) 및 냉각수 유로(5)를 포함하고 있다. 냉각수 공급원(50)은, 상형(2A) 및 하형(2B)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관(51)은, 냉각수 공급원(50)을 냉각수 유로(5)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 유로(5)는, 종동 블록(42), 연결지레(29) 및 코어(21a, 21b)의 내부를 연장해 있다. 배관(51)은, 플렉시블한 일단부를 갖고 있고, 이 단부가 종동 블록(42)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종동 블록(42)은, 배관(51) 에 규제되는 일 없이, N1 방향으로 변위(變位)할 수 있다.
냉각수 유로(5)는, 종동 블록(42)에 설치된 유로(5a), 연결 지레(29)에 설치된 유로(5b) 및 코어(21a, 21b)의 각각에 설치된 유로(5c)를 포함한다. 이들 유로(5a~5c)는,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코어(21a, 21b)는, 긴 직사각형 모양이다. 유로(5c)는 각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해 있고, 코어의 넓은 영역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로(5c)를 통과한 냉각수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유로를 개재해서 금형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성형장치 A3 에 대한 냉각수단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 1 및 제 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형(2A) 및 하형(2B)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20) 내에 수지를 충전함으로서,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한다. 제 3실예에 있어서는, 캐비티(20) 내에 수지를 충전할 때에, 냉각수 유로(5)에 냉 각수를 유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코어(21a, 21b)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고, 코어(21a, 21b)의 열 팽창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냉각 수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코어(21a, 21b)의 열팽창에 의한 홈형성 날(3)의 파손이나 동작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날(3)의 동작 불량이란, 열팽창한 코어에 의해, 날(3)의 N1 방향에 대한 변위가 방해되는 것을 말한다.
코어(21a, 21b)의 냉각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도 있다. 코어(21a, 21b)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면, 캐비티(20) 내로의 수지 충전 후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부(10) 에 상당하는 부분은, 비교적 단시간에 냉각 경화한다. 그 결과, 이 부분에 있어서 수지의 수축량은 적어지고, 에어백 도어부(10)에 꼴사나운 뒤쳐짐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코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어의 외표면(캐비티에 대향하는 부분을 제외)에, 냉각용 매체를 접촉시킴으로서, 코어를 차게 하도록 해도 좋다. 냉각용 매체도 냉수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매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근거한 성형장치A4 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성형장치 A4 는, 상형(2A), 하형(2B), 복수의 홈형성 날(3), 구동 블록(41), 종동 블록(42), 제 1구동원(40) 및 제 2구동원(40')을 포함하고 있다.
상형(2A)은, Nd로 나타내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고, 하형(2B)과 협동하는 것으로 캐비티(20)를 형성한다. 하형(2B)은 교체 가능한 보조블록(26) 과, 이 블록(26)을 지지하는 본체부(27)로 이루어진다. 블록(26)에는, 구멍부(2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에 홈형성 날(3)이나 그 외의 관련부재가 수용된다.
블록(26)은, 인스톨먼트 패널(1)의 에어백 도어부(10)의 주변부분의 편면을 성형 가능한 면(26)을 갖고 있다. 본체부(27)는, 인스톨먼트 패널(1)의 다른 부분의 편면을 성형 가능한 면(27a)을 갖고 있고, 블록(26)을 감합(嵌合)시켜서 조립하기 위한 오목부(27b)를 갖고 있다. 이 오목부(27b)는, 연직방향으로 기립한 벽면(27c)과 수평면(27d)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블록(26)의 측면(26c) 및 바닥면(26d)은, 그들 벽면(27c) 및 수평면(27d)에 접촉하도록 해서 본체부(27)에 고정된다. 고정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볼트 고정 수단(도시 생략)을 채용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제1~제 3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4실시예의 하형(2B)은 에어백 도어부(10)의 편면을 성형하기 위한 가동형 코어(21a, 21b)를 갖고 있다. 코어(21a, 21b)는 종동 블록(42)에 연결 지레(29)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 1구동원(40)에 의해 종동 블록(42)이 N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종동 블록(42)이 N2 방향에 변위하는 것은, 제 2 또는 제 3실시예의 형성 장치의 경우와동일하다. 단지, 제 4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블록(41)과 종동 블록(42)을 연결하는 링크(도 5 또는 도 10의 부호 43 참조)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물론 본 발명이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4실시예에 있어서도 링크(43)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구동원(40)은, 본체부(27)에 설치된 구멍부(27f) 내에 배치되어 있다.
홈형성 날(3)은, 캐비티(20) 내에 그들 선단부가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형성 날(3)의 기단부끼리는, 연결부재(30)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홈형성 날(3)은, 제 2구동원(40')에 로드(40a')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 2구동원(40')은, 예를 들면 유압식의 실린더이고, 홈형성 날(3)을 N1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구동원(40')은 본체부(27)에 설치된 구멍부(27e) 내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40a')의 선단부는 연결부재(3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홈형성 날(3)이 왕복 이동할 때에는, 구멍부(25)의 내주벽면을 그 왕복이동 가이드면으로서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로드(40a')의 선단부와 연결부재(3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들 부재에 수나사 및 암나사를 설치함으로서, 이들을 나합(螺合) 연결시키는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 블록(41)도 이것과 동일한 계합 수단에 의해, 로드(40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성형장치A4 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형(2A) 및 하형(2B)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20) 내에 수지를 충전함으로서, 인스톨먼트 패널(1)을 성형한다. 수지의 충전시에는, 제 2구동원(40')을 구동시킴으로서 각 홈형성 날(3)을 하강시켜 두고, 그 선단부가 캐비티(20) 내에 진입하지 않도록 해 둔다. 그 후, 충전된 수지가 경화하기 전에, 홈구성 날(3)의 선단부를 캐비티(20) 내에 진입시킴으로서, 파단용 홈(11)을 형성한다.
인스톨먼트 패널(1)의 수지 성형이 완료된 후, 이 인스톨먼트 패널(1)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형(2A)을 Nd 방향 우측으로 이동시켜 금형을 열고, 구동원(40)을 구동시켜서 코어(21a, 21b)를 하강시킨다. 제 4실시예에 있어서도, 지지 로드(도 11의 부호 4 참조)가 인스톨먼트 패널(1)의 에어백 도어부(10)에 당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어(21a, 21b)에 수반해 에어백 도어부(10)가 하강하는 것이 저지된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형(2B)의 보조 블록(26)은, 본체부(27)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구성은, 블록(26)의 수리 등에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블록(26)의 구멍부(25) 내에 편입되어 있는 가동부재(코어(21a, 21b), 홈형성 날(3), 구동 블록(41) 및 종동 블록(42))는, 마모 등에 기인해서 교환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생긴다. 이들 교환 작업도 블록(26)을 본체부(27)로부터 떼어 냈을 때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하형(2B)의 전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록(26)에 상당하는 부분에 파손이 생겼을 때에는 하형(2B)의 전체의 교체또는 보수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성형장치A4 에 있어서는, 블록(26)의 교환 또는 보수를 행하는 것만으로 좋다.
하형(2B)을 제조할 경우에는, 각각 별개로 제작한 블록(26) 및 본체부(27) 를 조립하면 좋다. 블록(26)에 구멍부(25)를 형성할 경우에는, 블록(26)의 지지 자세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서, 구멍부(25)를 연직 방향(경사각 90°) 또는 수평 방향( 경사각 0°)로 연장하는 구멍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사각이 0° 또는 90°인 구멍을 만드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0° < 경사각 < 90°)에 비해 용이하다. 따라서, 블록(26)을 본체부(27)와 별도로 작성하는 것은, 하형(2B)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이상과 같이 설명했지만, 이것을 다른 다양한 상태로 개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와 같은 개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게 자명한 모든 변경은 이하에 있어서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Claims (16)

  1. 에어백 도어부를 갖는 수지제의 에어백 커버체가 내부에서 형성되는 캐비티를 구성하는 성형용 형(型)과,
    상기 에어백 도어부를 규정하는 파단용 홈을 상기 에어백 커버체에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홈형성 날과,
    상기 캐비티 내에서 형성된 상기 에어백 커버체의 에어백 도어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과는 다르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형은, 상기 에어백 커버체에 당접하는 위치 및 상기 에어백 커버체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위치를 연결하는 선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가동 코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코어가 상기 에어백 도어부로부터 이반(離反)할 때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당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동 코어를 관통해서 연장하는 로드인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코어는,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리브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에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코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왕복이동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종동(從動) 블록과, 이 종동 블록에 당접하는 구동 블록과, 이 구동 블록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왕복이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원을 더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이 상기 제2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종동 블록이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 및 상기 종동 블록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종동 블록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캠 면이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에는, 상기 종동 블록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캠 면과, 이 경사캠 면에 연결된 수압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압면은 상기 제2 왕복이동 방향에 평행인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블록에는, 상기 구동 블록의 상기 경사캠 면에 당접 가능한 경사캠 면과, 이 종동 블록의 경사캠 면에 연결되는 평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종동 블록의 상기 평면은 상기 구동 블록의 상기 수압면에 접촉 가능한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블록 및 상기 종동 블록을 연결하는 링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링크는, 상기 구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상기 종동 블록을 상기 에어백 도어부로부터 멀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서로 이간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구동 블록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종동 블록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형성 날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원을 더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 제2 구동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은, 상기 캐비티 내에 돌출하는 위치 및 상기 캐비티로부터 퇴피(退避)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형은, 협동해서 상기 캐비티를 구성하는 상형 및 하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형은 지지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보조 블록체를 포함하고, 이 보조 블록체에는,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을 상기 제1 왕복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원은, 상기 지지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록체의 상기 구멍부에는, 또한 상기 종동 블록 및 상기 구동 블록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원은, 상기 지지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원은, 상기 구동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연결 로드를 개재해서 상기 구동 블록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구동원은, 상기 복수의 홈형성 날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다른 연결 로드를 개재해서 상기 홈형성 날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코어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가동 코어의 내부에 설치된 유로를 포함하고 있고, 이 유로에 냉각용 매체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가동 코어에 설치된 상기 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종동 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다른 유로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KR1020057005370A 2002-09-30 2003-09-26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6498A JP3889694B2 (ja) 2002-09-30 2002-09-30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装置
JPJP-P-2002-00286497 2002-09-30
JP2002286497A JP3889693B2 (ja) 2002-09-30 2002-09-30 エアバッグカバー体の成形装置
JPJP-P-2002-00286498 2002-09-30
JP2002286495A JP2004122839A (ja) 2002-09-30 2002-09-30 エアバッグカバー体の成形装置
JPJP-P-2002-00286496 2002-09-30
JPJP-P-2002-00286495 2002-09-30
JP2002286496A JP3889692B2 (ja) 2002-09-30 2002-09-30 樹脂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730A KR20050055730A (ko) 2005-06-13
KR100716432B1 true KR100716432B1 (ko) 2007-05-21

Family

ID=3207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3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6432B1 (ko) 2002-09-30 2003-09-26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38279B2 (ko)
EP (1) EP1555107B1 (ko)
KR (1) KR100716432B1 (ko)
CN (1) CN1684810B (ko)
AU (1) AU2003266660A1 (ko)
CA (1) CA2500561C (ko)
WO (1) WO2004030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2623B1 (en) * 2003-03-07 2011-08-17 Tosoh Corporation Method of moulding a microfluidic structure and mould
US7168945B2 (en) * 2004-12-20 2007-01-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Injection mold with accessorial ejecting mechanism
TWM295577U (en) * 2006-02-21 2006-08-11 Techwin Opto Electronics Co Lt Structure of mold of led lamp mask
KR100828817B1 (ko) * 2006-10-31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2835B1 (ko) * 2006-12-06 2008-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FR2916175B1 (fr) * 2007-05-16 2009-11-27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habillage de l'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CN101428453B (zh) * 2007-11-06 2011-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成型模具
US8425221B2 (en) * 2010-12-03 2013-04-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ld assembly having ejection mechanism
KR101334016B1 (ko) * 2011-08-18 2013-11-28 강완수 에어백 금형장치
DE102014103501A1 (de) * 2014-03-14 2015-09-17 Euwe Eugen Wexl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auteils mittels eines Spritzgießprozes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74A (ja) * 1993-08-06 1995-02-21 Sanyo Electric Co Ltd 射出成形金型
JPH07125009A (ja) * 1993-10-29 1995-05-16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用成形型
US5762983A (en) 1995-11-27 1998-06-09 Toyoda Gosei Co., Ltd. Mold for air bag cover
JPH10323866A (ja) * 1997-05-28 1998-12-08 N G K Fine Mold Kk 部分薄肉樹脂成形用金型および部分薄肉樹脂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61937B1 (ko) * 1974-02-21 1979-05-25 Captocap Ltd
US4306851A (en) * 1980-11-26 1981-1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m acting core lock and straightener
US4867672A (en) * 1988-06-02 1989-09-19 Primtec Reduction of required mold-cavity clamping force and control of injection-molded product wall thickness
JP2767139B2 (ja) 1989-09-21 1998-06-18 株式会社エナミ精機 絞り成形機
US5112207A (en) * 1991-04-04 1992-05-12 Build-A-Mold Limited Self-releasing mold
WO1994023926A1 (en) * 1993-04-20 1994-10-27 Sankyokase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gate cut and ejection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876935B2 (ja) 1993-05-31 1999-03-31 三菱化学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2880086B2 (ja) 1993-09-14 1999-04-0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圧縮装置および射出圧縮成形機
JP2812198B2 (ja) * 1994-04-28 1998-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3450444B2 (ja) 1994-06-30 2003-09-22 アァルピィ東プラ株式会社 高中空射出成形型物の製造方法
JP3300562B2 (ja) 1995-03-14 2002-07-0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射出圧縮成形方法及び射出圧縮成形装置
DE69615091T2 (de) * 1995-06-16 2002-06-20 Toyoda Gosei Co., Ltd.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Luftsack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3536492B2 (ja) * 1995-12-08 2004-06-07 ソニー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及び当該金型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JP3748481B2 (ja) 1997-07-23 2006-02-22 立松モールド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
JP4005195B2 (ja) 1997-12-29 2007-11-07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US6187247B1 (en) * 1998-05-13 2001-02-13 Velcro Industries B.V. Injection molding parts with fastener elements
JP2000225633A (ja) 1999-02-08 2000-08-15 Pacific Ind Co Ltd 中空成形用金型装置
US6378894B1 (en) 1999-07-09 2002-04-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eamless passenger side inflatable restraint system
JP2001047959A (ja) 1999-08-09 2001-02-20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1088175A (ja) * 1999-09-24 2001-04-03 Ngk Fine Molds Inc 部分薄肉樹脂製品の成形用金型及び成形方法
JP2002103404A (ja) * 2000-09-29 2002-04-09 Toyoda Gosei Co Ltd 樹脂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3615155B2 (ja) 2000-12-06 2005-01-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カバー体成形方法
JP2004025821A (ja) 2002-05-07 2004-01-29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内装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74A (ja) * 1993-08-06 1995-02-21 Sanyo Electric Co Ltd 射出成形金型
JPH07125009A (ja) * 1993-10-29 1995-05-16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用成形型
US5762983A (en) 1995-11-27 1998-06-09 Toyoda Gosei Co., Ltd. Mold for air bag cover
JPH10323866A (ja) * 1997-05-28 1998-12-08 N G K Fine Mold Kk 部分薄肉樹脂成形用金型および部分薄肉樹脂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0892A1 (ja) 2004-04-15
EP1555107A4 (en) 2008-04-09
US20060034974A1 (en) 2006-02-16
EP1555107B1 (en) 2013-05-15
CN1684810B (zh) 2010-05-05
US7338279B2 (en) 2008-03-04
AU2003266660A8 (en) 2004-04-23
CN1684810A (zh) 2005-10-19
AU2003266660A1 (en) 2004-04-23
CA2500561C (en) 2009-10-06
CA2500561A1 (en) 2004-04-15
EP1555107A1 (en) 2005-07-20
KR20050055730A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432B1 (ko) 에어백 커버체의 성형장치
CN203994507U (zh) 一种大斜抽成型车灯模具
CN104260280B (zh) 一种汽车车灯面罩成型模具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CN111152418A (zh) 一种多级滑块脱模装置及汽车功能件模具
CN114147885A (zh) 格栅产品模具的内抽芯与协同顶出的脱模结构
CN111152416A (zh) 一种模具
CN215661665U (zh) 具有防变形结构的日间行车灯盖板及脱模机构
KR100922153B1 (ko) 금형조립체
CN214491453U (zh) 一种抽芯机构
JP5836837B2 (ja) 鋳造用金型
EP2327530B1 (en) De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part with undercut
CN207901545U (zh) 一种照明灯挡板模具
JP3889693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体の成形装置
JP3889694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装置
CN117507256B (zh) 一种水壶膨胀箱下壳的成型模具
CN218615277U (zh) 注塑模具斜顶耐磨块装置
CN209050977U (zh) 一种前模行位结构
JP7071955B2 (ja) 射出成形用金型
CN113414953B (zh) 日间行车灯盖板及脱模机构
CN213166692U (zh) 塑料椅注塑模用后脚双角度抽芯机构
KR100879633B1 (ko) 금형조립체
CN110181748A (zh) 一种发泡模具抽芯的机构
KR100922150B1 (ko) 금형조립체
KR100922151B1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