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268B1 -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268B1
KR100715268B1 KR1020060125528A KR20060125528A KR100715268B1 KR 100715268 B1 KR100715268 B1 KR 100715268B1 KR 1020060125528 A KR1020060125528 A KR 1020060125528A KR 20060125528 A KR20060125528 A KR 20060125528A KR 100715268 B1 KR100715268 B1 KR 10071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cover
fixed
movab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6012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콘크리트재 고정분리대(50)를 이격설치하고, 상기 고정분리대(50)에 단부커버(60)를 고정한 후, 상기 단부커버(60)에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분된 이동분리대(70)를 밀착시킨 다음, 상기 이동분리대(70) 및 상기 단부커버(60)를 연결핀(P)으로 연결한 후,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연결커버(78)를 장착하여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를 단일체로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실시되는 해체방법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상기 단부커버(60) 및 상기 연결핀(P)을 통해 상기 고정분리대(50)에 연결되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도로, 콘크리트, 분리대, 차량, 회차

Description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VEHICLES GUARD FOR BYPASS WAY PROVIDEING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및
도 8은 도 7의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된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고정분리대 60 : 단부커버
62 : 차폐판 62a : 끼움공
64 : 고정날개 66 : 리브
70 : 이동분리대 72 : 수직판
72a : 끼움판 72b, 74b : 절곡날개
74 : 크로스패널 76 : 가드레일
78 : 연결커버 82 : 축공
82a : 너트공 84 : 볼트
84a : 너트 90 : 구름부재
91 : 베이스 93 : 래크
95 : 가이드 97 : 피니언
97a : 축봉 97b : 회전판
97c : 걸림핀 99 : 지지판
C : 케스터 P : 연결핀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콘크리트 분리대에 회차로를 제공하는 차량방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분리대의 일부분을 필요에 따라 개폐하면서 회차로를 제공하는 차량방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된 콘크리트 분리대는 도로를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콘크리트 분리대는 한쪽의 차선이 사고나 폭설로 차단될 경우 차량이 콘크리트 분리대를 넘어갈 수 없으므로 우회로를 제공할 수 없다.
한편, 도 1은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1998-62847호(명칭: 도로 경계용 가변분리대)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방호대는 내부에 물이 저장된 플라스틱재 물통(2)들이 일단부의 암·수형 결합돌기(5, 6)가 핀(P)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서로 연결되면서 차량방호대를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방호대는 상기 핀(8)을 뽑을 경우 상기 물통(2)들이 분리됨에 따라 회차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는 도로에 이미 설치되어있는 콘크리트 분리대에는 연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물통(2)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콘크리트 분리대와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물통(2)들을 콘크리트 분리대와 혼용할 경우 형상적 차이에 의해 이질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성형하여 상기 물통(2)들을 제조하여야 하므로 금형설계와 같은 초기 제조비용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매우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 물통(2)이 콘크리트 분리대에 비해 강성이 매우 약한 플라스틱재로 제조되므로, 차량이 고속주행하는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은 도로에서는 중앙분리대로 사실상 이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물통(2)에 물을 저장하거나 배출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 상기 물통(2)을 이동시킬 경우 저장된 물을 배출시킨 후 트럭에 적재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한쌍을 이루면서 도로에 이격설치된 콘크리트 분리대의 단부에 프 레스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중공체형 금속재 방호벽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서로 연결된 콘크리트 분리대 및 금속재 방호벽에 의해 주행차량을 방호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는 콘크리트 분리대에서 제거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된 구름부재에 의해 차로의 일측에 이동보관되는 금속재 방호벽을 통해 도로에 회차로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 및 해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은, 도로에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분리대; 상기 고정분리대의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커버; 상기 단부커버에 연결되어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 사이에 개재되고, 볼팅식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커버가 절단된 일부분에 착탈됨에 따라 양분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며, 선택적으로 상기 단부커버에서 분리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된 구름부재에 의해 도로의 일측에 이동보관되는 중공체형의 이동분리대 및; 상기 이동분리대를 상기 단부커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대가 도로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분리대를 도로상에 이격설치하는 고정분리대 설치단계; 상기 고정분리대에 상기 이동분리대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분리대의 단부에 상기 단부커버의 차폐판 테두리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고정날개를 볼팅고정하는 단부커버 고정단계; 상기 단부커버에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가 제각기 연결되도록, 상기 단부커버의 상기 차폐판에 상기 이동분리대의 수직판을 밀착시켜서, 상기 차폐판의 끼움공에 상기 수직판의 끼움판을 끼우는 끼 움판 끼움단계; 상기 이동분리대의 상기 끼움판이 상기 단부커버의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핀을 상기 단부커버의 상기 고정날개 및 상기 이동분리대의 상기 끼움판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키는 연결핀 관통단계 및; 상기 연결핀이 관통된 상기 끼움판을 갖는 상기 이동분리대의 절단된 일부분이 연결되면서 상기 이동분리대가 단일체를 이루도록, 볼팅식 상기 고정수단을 로킹시켜서 상기 이동분리대의 절단부위에 상기 연결커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커버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전술한 방법에 의해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은, 상기 연결커버가 고정되어 단일체를 이루는 상기 이동분리대의 일부분이 다시 절단되면서 양분되도록, 볼팅식 상기 고정수단을 언로킹시켜서 상기 연결커버를 상기 이동분리대에서 제거하는 연결커버 제거단계; 상기 이동분리대의 상기 끼움판이 상기 연결핀과 분리되도록, 상기 연결핀을 상기 단부커버에서 제거하는 연결핀 제거단계; 상기 연결핀이 제거된 상기 이동분리대의 상기 끼움판이 상기 단부커버의 상기 끼움공에서 이탈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를 상기 단부커버로부터 제각기 이격시켜서 분리시키는 이동분리대 분리단계; 상기 단부커버에서 분리되는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에 상기 연결커버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를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정렬시키는 이동분리대 정렬단계; 상이 이동분리대의 절단된 일부분이 연결되면서 상기 이동분리대가 단일체를 이루도록, 볼팅식 상기 고정수단을 로킹시켜서 상기 이동분리대의 절단부위에 상기 연결커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커버 고정단계 및; 상기 연결커버가 고정되어 단일체를 이루는 상기 이동분리대가 도로의 일측에 이동보관되도록, 상기 이동분리대에 설치된 상기 구름부재를 이용하여 단일체의 상기 이동분리대를 도로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분리대 이동단계(S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분리대에 고정된 단부커버를 통해 이동분리대가 연결되고, 이동분리대가 연결커버에 의해 양분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분리대를 콘크리트 분리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또, 이동분리대가 연결핀에 의해 단부커버에 용이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되므로, 설치 및 해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볼팅식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되는 연결커버에 의하여 이동분리대가 용이하게 양분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므로, 설치 및 해체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분리대가 구름부재에 의해 도로상을 주행하면서 이동되므로, 이동부재의 해체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고정분리대(50); 단부커버(60); 이동분리대(70) 및; 연결핀(P);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분리대(50)는 콘크리트재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분리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도로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분리대(50)는 서로 이격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S)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분리대(50)는 도로에 설치된 기존의 콘크리트 분리대에서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공간(S)은 제거된 일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단부커버(60)는 금속성 판재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에 볼팅으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분리대(50)와 일체를 이룬다. 상기 단부커버(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를 감싸면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부커버(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날개(64)에 의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날개(64)는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를 감싼다. 따라서, 상기 고정날개(64)는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가면서 상기 고정분리대(50)와 접촉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날개(64)는 후술되는 차폐판(62)의 테두리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차폐판(62)과 함께 상기 단부커버(60)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분리대(70)는 금속성 판재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양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상기 이격공간(S)을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분리대(50)들 사이에 벽체형의 차량방호물을 제공한다. 즉, 상기 고정분리대(50)는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의해 일직선으로 길게 연속된다.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 판상의 금속성 가드레일(76)에 의해 외부(상부 및 측부)가 차폐된다. 상기 가드레일(76)은 일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연결커버(78)로 연결된다. 즉, 상기 가드레일(76)은 일부분에 상기 연결커버(78)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연결핀(P)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상기 연결핀(P)은 상기 단부커버(60)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단부를 연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부커버(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62) 및 상기 고정날개(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판(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종단면도)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를 차폐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날개(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62)의 테두리가 직각으로 절곡됨에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날개(64)는 상기 차폐판(62)의 테 두리를 미도시된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날개(64)는 금속성 판재를 상기 차폐판(62)의 테두리에 용접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날개(64)는 상기 연결핀(P)이 삽입되는 삽입공(6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핀(P)은 상기 삽입공(64a)으로 삽입된다.
상기 차폐판(62)은 후술되는 상기 이동분리대(70)의 끼움판(72a)이 끼워지는 끼움공(62a)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판(72a)은 상기 끼움공(62a)에 끼워진다.
상기 차폐판(62)은 내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리브(66)가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브(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P)이 관통되는 핀공(66a)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66)는 상기 단부커버(60)가 상기 고정분리대(50)에 고정될 경우,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단부커버(60)는 상기 리브(66)를 통해 상기 고정분리대(5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76)이 테두리에 장착되는 금속성 수직판(72) 및 크로스패널(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고, 테두리에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날개(72b, 74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절곡날개(72b, 74b)는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의 테두리를 미도시된 프레스금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금속성 판재를 상기 수 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의 테두리에 용접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때, 상기 수직판(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단부에 세워져서 상기 단부커버(60)와 마주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패널(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72)의 후방에 이격상태로 세워진다. 즉,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은 정렬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크로스패널(74)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가드레일(64)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직판(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와 마주하는 전면에 전술한 상기 끼움판(72a)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끼움판(72a)은 도면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끼움공(62a)에 끼워진다. 상기 끼움판(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P)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공(7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드레일(7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의 상기 절곡날개(72b, 74b)에 볼팅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의 테두리는 상기 가드레일(76)에 의해 차폐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가드레일(76)에 의해 외부가 차폐된다.
상기 가드레일(7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절단되어 일부분에 절단구간(CS)이 형성된다. 이렇게 일부분이 절단된 상기 가드레일(76)은 절단부위가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의 상기 연결커버(78)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가드레일(76)은 상기 연결커버(78)에 의해 상기 절단구간(CS)이 차폐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커버(7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에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커버(78)는 양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82) 및 볼트(84)로 구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에 볼팅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연결핀(P)은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고정날개(64)와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리브(66)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끼움판(72a)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때, 상기 연결핀(P)은 상기 고정날개(64)의 상기 삽입공(64a)과, 상기 리브(66)의 상기 핀공(66a) 및 상기 끼움판(72a)의 상기 걸림공(72a')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P)은 상기 이동분리대(70)를 상기 단부커버(6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커버(7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수평상태로 절곡된 수직형 판재이다. 상기 연결커버(78)는 상기 가드레일(76)에 밀착된 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76) 및 상기 연결커버(78)에 제각기 형성되는 축공(82) 및, 상기 축공(82)에 나사축이 삽입되는 볼트(84)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공(8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 및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에 제각기 형성된다. 이렇게 제각기 형성되는 상기 축 공(82)들은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에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가 중첩될 경우 서로 마주하면서 연통된다.
이와 같은 상기 축공(82)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굴절되고, 일단부에 너트공(82a)이 형성된 장공이다. 상기 축공(82)은 상기 볼트(84)의 나사축의 외경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너트공(82a)은 상기 볼트(84)에 체결되는 후술되는 너트(84a)의 외경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상기 볼트(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의 단부에 너트(84a)가 체결된다. 즉, 상기 볼트(84)는 단부에 상기 너트(84a)가 체결된다. 이렇게, 상기 너트(84a)가 상기 볼트(84)의 단부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이격거리(L)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거리(L)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된 상기 가드레일(76) 및 상기 연결커버(78)의 두께(t)에 상응한다.
상기 볼트(84)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이 상기 축공(8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볼트(84)는 나사축이 상기 너트(84a)와 함께 상기 축공(82)의 상기 너트공(82a)으로 삽입되고, 헤드는 상기 너트공(82a)에 삽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볼트(84)는 나사축만 상기 축공(82)에 삽입된다.
상기 볼트(84)는 나사축이 상기 너트공(82a)을 통해 상기 축공(82)의 일단부로 삽입된 후,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된 상기 축공(82)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84)는 헤드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볼트(8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걸린다. 그리고, 상기 너트(84a)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단면도)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84)의 헤드와 반대되는 방향에서 걸린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76) 및 상기 연결커버(78)는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 사이에 끼워져서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는 상기 가드레일(76) 및 상기 연결커버(78)를 중첩된 상태로 파지하여 고정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가 상기 가드레일(76) 및 상기 연결커버(78)를 중첩상태로 로킹시킨다.
한편, 상기 축공(82)은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너트공(82a)를 형성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공(82)은 일단부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84)에 체결된 상기 너트(84a)의 외경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축공(82)은 타단부가 상기 볼트(84)의 나사축의 외경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축공(82)은 일단부가 넓고 타단부가 좁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84)는 나사축이 상기 너트(84a)와 함께 상기 축공(82)의 일단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84)는 나사축이 상기 축공(82)의 타단부로 이동함에 따라 헤드가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걸린다. 이때, 상기 너트(84a)는 상기 축공(82)의 반대편측 타단부에 걸린다. 즉, 상기 너트(84a)는 상기 볼트(84)의 헤드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걸린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름부재(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9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스터(C)가 장착 된 베이스(91); 래크(93); 가이드(95); 피니언(97); 회전판(97b)이 장착된 축봉(97a); 지지판(99) 및; 걸림핀(97c);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9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분리대(6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9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자재하면서 구름운동하는 상기 케스터(C)가 장착된다.
상기 래크(9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91)상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래크(93)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91)상에 볼팅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래크(93)는 상기 베이스(91)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95)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판재이다. 상기 가이드(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양측의 양단부가 전술한 상기 크로스패널(74) 또는 상기 수직판(72)의 상부에 볼팅고정된다. 상기 래크(9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가이드(95)의 오목한 중앙부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래크(93)는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95)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95)는 상기 래크(93)의 상부를 감싸면서 지지한다.
상기 피니언(97)은 상기 가이드(95)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95)의 하부에서 상기 래크(93)에 교합된다. 상기 피니언(97)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축봉(97a)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축봉(97a)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즉, 상기 축봉(97a)은 상기 피니언(97)의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97)의 축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축봉(97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가드레일(76)을 관통하여 상기 피니언(97)의 중앙에 키(K)결합된다.
상기 축봉(97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상기 가드레일(76)의 외측에 노출된다. 상기 축봉(97a)은 파지가 용이하도록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된다. 상기 축봉(97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97b)이 용접으로 장착된다. 상기 회전판(97b)은 상기 가드레일(76)과 인접하도록 상기 축봉(97a)에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판(97b)은 상기 축봉(97a)에 장착되어 상기 가드레일(76)의 내측면과 인접한다. 상기 회전판(97b)은 상기 축봉(97a)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회전판(97b)은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구멍(H)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99)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술한 상기 크로스패널(74) 또는 상기 수직판(72)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9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봉(97a)이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99)은 상기 축봉(97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걸림핀(97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60)의 상기 가드레일(76)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99)에 지지된 상기 축봉(97a)의 상기 회전판(97b)에 관통고정된다. 이때, 상기 걸림핀(97c)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97b)의 상기 걸림구멍(H)에 관통고정되면서 걸린다. 따라서, 상기 걸림핀(97c)은 상기 축봉(97a)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97b)의 회전을 억 제한다. 즉, 상기 회전판(97b)은 상기 걸림핀(97c)이 걸릴 경우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피니언(97)은 상기 축봉(97a)의 회전시, 상기 축봉(97a)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래크(93)를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래크(93)는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기 베이스(91)와 함께 승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스터(C)는 도면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노출되거나, 도면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하부로 삽입된다. 즉, 상기 케스터(C)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분리대(70)의 하부로 노출되거나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상기 케스터(C)에 의해 따라 필요에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분리대(50)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 사이에는 전술한 상기 이격공간(S)이 다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분리대(50)는 상기 이격공간(S)을 통해 회차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단부커버(60)는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분리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P)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를 차폐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 및 해체방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8은 도 7의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된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을 도시한 플로 우챠트이다. 설명에 있어서, 도 7 및 도 8은 괄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는,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가 도로상에 우선적으로 이격설치된다.(도 7의 S1) 그리고,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에는 상기 단부커버(6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부커버(60)는 상기 차폐판(62)의 테두리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상기 고정날개(64)가 볼팅으로 고정된다.(도 7의 S2)
이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가 고정된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는, 평상기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S)은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가드레일(76)의 일부분이 상기 연결커버(78)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절단됨 없이 일직선을 형성하면서 상기 고정분리대(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분리대(50) 및 상기 이동분리대(70)는 평상시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행차량을 방호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에 고정된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분리대(5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단부커버(60)를 통해 상기 고정분리대(5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상기 연결핀(P)에 의해 상기 단부커버(6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평상시 상기 고정분리대(5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분리대(50)의 상기 이격공간(S)을 차폐하면서 주행차량을 방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상태로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연결커버(78)가 분리된 상태로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작업자에 의해 밀리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설치된 상기 수직판(72)이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차폐판(62)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판(72)에 돌출형성된 상기 끼움판(72a)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62)의 상기 끼움공(62a)에 삽입된다. 즉, 상기 끼움판(72a)은 상기 끼움공(62a)에 끼워진다.(도 7의 S3)
이렇게, 상기 끼움공(62a)에 상기 끼움판(72a)이 삽입되면, 상기 연결핀(P)은 도면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이때, 상기 연결핀(P)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판(72a)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직판(72)을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한다. 즉, 상기 연결핀(P)은 상기 단부커버(60)를 관통해서 상기 끼움판(72a)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연결핀(P)에 의해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된다.(도 7의 S4)
이와 같이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제각기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 되면, 상기 연결커버(78)는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분리대(70)를 절단됨 없이 하나로 연결한다. 물론, 상기 연결커버(78)는 일부분이 절단된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가드레일(76)에 장착되면서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를 하나로 연결한다. 즉,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연결커버(78)의 장착에 의해 단일체를 이룬다.(도 7의 S5)
이때, 상기 연결커버(78)는 양단부가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에 중첩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82) 및 상기 볼트(84)로 구성된 상기 고정수단의 로킹작용에 의해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드레일(76)은 절단된 일부분이 상기 연결커버(78)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절단된 일부분이 상기 연결커버(7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절단됨 없는 일직선형의 방호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분리대(70)는 평상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되어 주행차량을 방호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평상시 절단됨 없는 일직선형의 방호벽을 이루면서 주행차량을 방호한다.
하지만,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비상시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되면서 회차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연결커버(78)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커버(78)는 상기 고정수단의 언로킹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가드레일(76)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절단되면서 양분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연결커버(78)가 상기 가드레일(76)에서 제거됨으로써,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된 일부분에 의해 양분된다.(도 8의 Sa)
이렇게,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양분되면, 상기 연결핀(P)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작업자에 의해 밀리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에서 이격상태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수직판(72)에 돌출형성된 상기 끼움판(7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의 외측으로 이탈된다. 즉, 상기 끼움판(72a)은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끼움공(62a)에서 이탈된다.(도 8의 Sc)
이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되면,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구름부재(90)의 작동에 의해 다시 일렬로 정렬한다. 즉,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름부재(90)의 미도시된 상기 케스터에 의해 이동한 후, 다른 하나의 상기 이동분리대(70) 후방에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즉,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일렬로 정렬한다.(도 8의 Sd)
이때,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들은 상기 연결커버(78)의 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정렬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커버(78)는 상기 고정수단의 로킹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가드레일(76)에 다시 장착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커버(78)가 상기 가드레일(76)에 다시 장착됨에 따라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다시 절단됨 없이 하나로 연결된다. 즉,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연결커버(78)가 다시 장착됨에 따라 다시 단일체를 이룬다.(도 8의 Se)
이와 같이 하나로 연결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구름부재(90)를 통해 차도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즉,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차도의 일측에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단부커버(60)에서 제거되어 차도의 일측에 보관됨에 따라 회차로를 제공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함)(도 8의 Sf)
한편,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가드레일(76)이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설치된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76)을 가로지르면서 등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76)의 내측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은 상기 가드레일(76)에 주행차량이 충돌할 경우 상기 가드레일(76)의 내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가드레일(76)의 자체강성 및 상기 수직판(72) 및 상기 크로스패널(74)의 지지력에 의해 충돌하는 주행차량을 방호한다.
다른 한편,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의 내측에 부착된 상기 리브(66)는 상기 연결핀(P)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리브(66)는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주행차량이 충돌할 경우,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차폐판(62)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충격을 상기 고정분리대(50)로 전이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에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리브(66)를 통해 상기 고정분리대(50)로 분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일부분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커버(7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82) 및 상기 볼트(84)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커버(78)는 상기 이동분리대(70)에 고정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부가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중첩된다. 즉, 상기 연결커버(78)는 측단부가 상기 가드레일(76)의 절단부위에 중첩된다. 이때, 상기 연결커버(78) 및 상기 가드레일(76)에 제각기 형성된 상기 고정수단의 상기 축공(82)은 서로 중첩되면서 연통된다.(도 7의 S5-1 및 도 8의 Se-1)
이러한 상기 연결커버(78)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82)에 상기 볼트(84)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볼트(8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84a)가 체결된 나사축의 단부가 상기 축공(82)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너트공(82a)으로 삽입된다.(도 7의 S5-2 및 도 8의 Se-2) 그리고, 상기 볼트(8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의 단부만이 상기 축공(8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축공(82)의 굴절된 형상을 따라 상기 축공(82)의 타측으로 이동한다.(도 7의 S5-3 및 도 8의 Se-3)
이에 따라, 상기 볼트(84)는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상기 연결커버(78)의 외측에 걸린다. 이와 동시에, 상기 너트(84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76)의 내측에 걸린다. 따라서, 서로 중첩된 상기 연결커버(78) 및 상기 가드레일(76)은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 사이에 개재되면서 파지된다. 즉, 상기 연 결커버(78)는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가 파지식의 로킹작동을 함에 따라 상기 가드레일(76)에 용이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볼트(84)는 상기 축공(82)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너트(84a)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축공(8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커버(78)는 상기 고정수단이 언로킹작동을 할 경우, 즉 상기 볼트(84)가 상기 축공(82)에서 제거될 경우 상기 가드레일(76)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84)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역동작에 의해 상기 축공(82)에서 제거된다. 즉, 상기 볼트(84)는 상기 축공(82)에 삽입되는 동작의 역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위치한 상기 볼트(84)는 상기 축공(82)의 일단부로 이동된 후, 상기 축공(82)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너트공(82a)을 통해 탈거된다.(도 8의 Sa-1 및 Sa-2)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내부에 설치된 상기 구름부재(90)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구름부재(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76)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축봉(97a)이 회전함에 따라 작동한다. 이와 같은 상기 축봉(97a)은 작업자가 굴절된 단부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피니언(97)과 함쎄 회전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97)은 회전하면서 상기 래크(93)를 승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래크(93)의 승강에 의해 상기 베이스(91)는 상기 케스터(C)와 함께 승강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상기 구름부재(90)의 작동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분리대(70)를 이동시킬 경우,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가드레일(76)을 관통하여 상기 축봉(97a)의 상기 회전판(97b)에 걸려있는 상기 걸림핀(97c)을 제거한다.(도 8의 Sf-1)
이와 같이 상기 걸림핀(97c)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9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축봉(97a)은,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피니언(97)을 정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97)은 상기 래크(93)를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래크(93)는 상기 가이드(95)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이 안내된다.
이렇게, 상기 래크(93)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91)는 상기 래크(93)와 함께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91)에 장착된 상기 케스터(C)는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하부로 노출되고, 이와 달리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약간 상승하면서 하단이 지면(G)과 이격된다.(Sf-2)
이와 같이 상기 케스터(C)가 노출되고,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지면과 이격되면, 상기 걸림핀(97c)을 상기 가드레일(76)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걸림핀(97c)은 상기 축봉(97a)에 장착된 상기 회전판(97b)의 상기 걸림구멍(H)에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판(97b)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핀(97c)은 상기 회전판(97b)에 걸리면서 상기 축봉(97a)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97b)의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축봉(97a)은 상기 회전판(97b)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피니언(97)은 상기 축봉(97a)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도 8의 Sf-3)
이렇게, 상기 피니언(97)의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래크(93)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이에 따라, 상기 케스터(C)는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작업자에 의해 밀릴 경우 구름운동하는 상기 케스터(C)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작업자에 의해 밀리면서 도로의 일측으로 인도되어 보관된다.(도 8의 Sf-4)
다음, 전술한 바와 반대로 상기 이동분리대(70)를 고정시킬 경우, 작업자는 상기 축봉(97a)의 굴절된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걸림핀(97c)을 상기 회전판(97b)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피니언(97)이 역회전하도록 상기 축봉(97a)의 단부를 반대방향으로 서서히 돌린다.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97)은 역회전하면서 상기 래크(97)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베이스(91)는 상기 캐스터(C)와 함께 상승한다. 따라서, 지면(G)에서 이격된 상기 이동분리대(70)는 하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하단이 지면(G)에 접지된다. 이때, 상기 이동분리대(70)는 하중에 의해 지면(G)에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지면(G)에 고정되면, 상기 걸림핀(97c)을 다시 상기 회전판(97b)에 관통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97b)은 상기 걸림핀(97c)에 의해 걸리면서 상기 축봉(97a)의 회전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피니언(97)은 상기 축봉(97a)과 함께 회전이 방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분리대(70)는 비상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로의 일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되어 상기 구름부재(90)에 의해 차로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인도(이동)된다. 즉, 상기 이동분리대(70)는 상기 고정분리대(50)에서 분리된 후 차로의 일측에 보관된다.
이렇게,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차로의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서로 이격된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는 상기 이격공간(S)이 다시 형성되면서 회차로를 제공한다. 즉, 회차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분리대(50)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S)이다. 따라서, 주행차량은 도면에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하면서 회차로를 통해 우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상기 고정분리대(50)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단부커버(6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상기 연결핀(P)은 분실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커버(60)에 다시 수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P)은 상기 단부커버(60)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단부커버(60)에 그대로 남아 있는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핀(P)은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다시 상기 단부커버(60)에 결합될 경우, 상기 단부커버(60)에 다시 수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단부커버(60) 및 상기 이동분리대(70)를 다시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는, 콘크리트 분리대에 고정된 단부커버를 통해 이동분리대가 연결되고, 이동분리대가 연결커버에 의해 양분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분리대를 콘크리트 분리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동분리대가 연결핀에 의해 단부커버에 용이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되므로, 설치 및 해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볼팅식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되는 연결커버에 의하여 이동분리대가 용이하게 양분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므로, 설치 및 해체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볼팅식 고정수단이 원터치식으로 연결커버를 착탈시키므로,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이동분리대가 구름부재에 의해 도로상을 주행하면서 이동되므로, 이동부재의 해체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도로에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분리대(50);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커버(60); 상기 단부커버(60)에 연결되어 한쌍의 상기 고정분리대(50) 사이에 개재되고, 볼팅식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커버(78)가 절단된 일부분에 착탈됨에 따라 양분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며, 선택적으로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된 구름부재(90)에 의해 도로의 일측에 이동보관되는 중공체형의 이동분리대(70) 및; 상기 이동분리대(70)를 상기 단부커버(6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P);을 포함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분리대(50)가 도로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분리대(50)를 도로상에 이격설치하는 고정분리대 설치단계(S1);
    상기 고정분리대(50)에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분리대(50)의 단부에 상기 단부커버(60)의 차폐판(62) 테두리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고정날개(64)를 볼팅고정하는 단부커버 고정단계(S2);
    상기 단부커버(60)에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가 제각기 연결되도록,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차폐판(62)에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수직판(72)을 밀착시켜서, 상기 차폐판(62)의 끼움공(62a)에 상기 수직판(72)의 끼움판(72a)을 끼우는 끼움판 끼움단계(S3);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끼움판(72a)이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끼움공(62a)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핀(P)을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고정날개(64)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끼움판(72a)에 순차적으로 관통시키는 연결핀 관통단계(S4); 및
    상기 연결핀(P)이 관통된 상기 끼움판(72a)을 갖는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된 일부분이 연결되면서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단일체를 이루도록, 볼팅식 상기 고정수단을 로킹시켜서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상기 연결커버(78)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커버 고정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 고정단계(S5)는,
    상기 연결커버(78)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를 중첩시켜서,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제각기 형성된 상기 고정수단의 굴절된 축공(82)을 연통시키는 축공 연통단계(S5-1);
    상기 축공(82)에 상기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볼트(84)의 나사축이 삽입되도록, 단부에 너트(84a)가 체결된 상기 볼트(84)의 나사축을 상기 너트(84a)와 함께 상기 축공(82)의 일단부에 형성된 너트공(82a)으로 삽입하는 나사축 삽입단계(S5-2); 및
    상기 볼트(84)의 나사축 외경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가 위치하면서,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가 중첩된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 의 절단부위를 파지하면서 로킹하도록, 상기 볼트(84)를 상기 축공(82)의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볼트 이동단계(S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방법.
  3. 제 1 항에 의해 설치된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78)가 고정되어 단일체를 이루는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일부분이 다시 절단되면서 양분되도록, 볼팅식 상기 고정수단을 언로킹시켜서 상기 연결커버(78)를 상기 이동분리대(70)에서 제거하는 연결커버 제거단계(Sa);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끼움판(72a)이 상기 연결핀(P)과 분리되도록, 상기 연결핀(P)을 상기 단부커버(60)에서 제거하는 연결핀 제거단계(Sb);
    상기 연결핀(P)이 제거된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상기 끼움판(72a)이 상기 단부커버(60)의 상기 끼움공(62a)에서 이탈되도록, 일부분이 절단되어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를 상기 단부커버(60)로부터 제각기 이격시켜서 분리시키는 이동분리대 분리단계(Sc);
    상기 단부커버(60)에서 분리되는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상기 연결커버(78)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양분된 상기 이동분리대(70)를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정렬시키는 이동분리대 정렬단계(Sd);
    상이 이동분리대(70)의 절단된 일부분이 연결되면서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단일체를 이루도록, 볼팅식 상기 고정수단을 로킹시켜서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상기 연결커버(78)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커버 고정단계(Se); 및
    상기 연결커버(78)가 고정되어 단일체를 이루는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도로의 일측에 이동보관되도록,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설치된 상기 구름부재(90)를 이용하여 단일체의 상기 이동분리대(70)를 도로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분리대 이동단계(S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 제거단계(Sa)는,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84)가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굴절된 축공(82)의 일단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84)를 상기 축공(82)의 일단부로 이동시키는 볼트 이동단계(Sa-1); 및
    상기 볼트(84)가 상기 축공(82)에서 제거되면서 상기 연결커버(78)가 상기 이동분리대(70)에서 분리되도록, 나사축의 단부에 너트(84a)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축공(82)에 삽입된 상기 볼트(84)의 나사축을 상기 너트(84a)와 함께 상기 축공(82)의 일단부에 형성된 너트공(82a)을 통해 탈거시키는 나사축 탈거단계(S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 고정단계(Se)는,
    상기 연결커버(78)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 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를 중첩시켜서,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에 제각기 형성된 상기 고정수단의 굴절된 축공(82)을 연통시키는 축공 연통단계(Se-1);
    상기 축공(82)에 상기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볼트(84)의 나사축이 삽입되도록, 단부에 너트(84a)가 체결된 상기 볼트(84)의 나사축을 상기 너트(84a)와 함께 상기 축공(82)의 일단부에 형성된 너트공(82a)으로 삽입하는 나사축 삽입단계(Se-2); 및
    상기 볼트(84)의 나사축 외경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상기 축공(82)의 타단부에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가 위치하면서, 상기 볼트(84)의 헤드 및 상기 너트(84a)가 중첩된 상기 연결커버(78)의 양단부 및 상기 이동분리대(70)의 절단부위를 파지하면서 로킹하도록, 상기 볼트(84)를 상기 축공(82)의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볼트 이동단계(Se-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리대 이동단계(Sf)는,
    상기 이동분리대(70)에 설치된 상기 구름부재(90)가 작동되도록, 상기 이동분리대(70)를 관통하여 상기 구름부재(90)의 축봉(97a)에 장착된 회전판(97b)에 걸려있는 걸림핀(97c)을 상기 회전판(97b)에서 제거하는 걸림핀 제거단계(Sf-1);
    상기 걸림핀(97c)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축봉(97a)이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분리대(70)의 하부에 상기 구름부재(90)의 케스터(C)가 노출되도록, 상기 구름부재(90)의 피니언(97)과 연결된 상기 구름부재(90)의 축봉(97a)을 회전시켜서 상기 피니언(97)에 교합된 래크(93)를 수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베이스(91)를 통해 상기 래크(93)의 하부에 장착된 케스터(C)를 상기 이동분리대(70)의 하부로 노출시키는 케스터 노출단계(Sf-2);
    상기 케스터(C)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핀(97c)을 상기 회전판(97b)에 다시 걸어주는 걸림핀 걸림단계(Sf-3); 및
    상기 걸림핀(97c)이 걸림에 따라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케스터(C)에 의해 상기 이동분리대(70)가 도로의 일측에 이동보관되도록, 상기 케스터(C)가 하부에 노출된 상기 이동분리대(70)를 밀면서 도로의 일측으로 인도하는 이동분리대 인도단계(Sf-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해체방법.
KR1020060125528A 2006-12-11 2006-12-11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071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528A KR100715268B1 (ko) 2006-12-11 2006-12-11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528A KR100715268B1 (ko) 2006-12-11 2006-12-11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268B1 true KR100715268B1 (ko) 2007-05-04

Family

ID=3826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528A KR100715268B1 (ko) 2006-12-11 2006-12-11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9879A (zh) * 2014-07-24 2014-10-15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防撞墙的拆除工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372A (en) * 1987-08-14 1989-02-20 Toshiba Corp Thermal head energizing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equipment
JPH0271362A (ja) * 1988-09-07 1990-03-09 Fuji Xerox Co Ltd 仮名漢字変換装置
JPH034280A (ja) * 1989-05-31 1991-01-10 Canon Inc 定着ロール及び定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372A (en) * 1987-08-14 1989-02-20 Toshiba Corp Thermal head energizing control circuit for facsimile equipment
JPH0271362A (ja) * 1988-09-07 1990-03-09 Fuji Xerox Co Ltd 仮名漢字変換装置
JPH034280A (ja) * 1989-05-31 1991-01-10 Canon Inc 定着ロール及び定着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136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042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46372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9879A (zh) * 2014-07-24 2014-10-15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防撞墙的拆除工法
CN104099879B (zh) * 2014-07-24 2016-04-2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防撞墙的拆除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426B1 (ko) 중앙분리대용 비상회차장치
KR101420587B1 (ko)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100715268B1 (ko)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0981743B1 (ko) 자동차 전용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비상회차장치
KR100715255B1 (ko)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
KR100715259B1 (ko) 회차로 제공용 차량방호대
KR101198753B1 (ko) 도로의 가드레일용 동물진입 차단장치
KR101765421B1 (ko)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20150144661A (ko) 힌지식으로 개방되는 도로용 차광판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JP2019157450A (ja) 車両規制装置
KR20110004558U (ko) 중앙분리대용 비상게이트
KR20080000732U (ko) 도로용 차광막
KR101137587B1 (ko) 비상회차 가드레일
KR20120121565A (ko) 보강파이프가 구비된 가드레일
KR20100043406A (ko) 분리형 가드레일
KR101403916B1 (ko) 터널 대피통로의 차량충돌 방지장치
CN205711880U (zh) 一种伸缩式移动护栏
KR101042168B1 (ko) 접이식 개폐타입의 중앙분리장치
KR200268029Y1 (ko) 비상회차장치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KR200415446Y1 (ko) 도로용 중분대가이드레일의 개폐구조
CN214695344U (zh) 路侧可快速开启型护栏
KR20140132129A (ko)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CN216360687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公路护栏
KR102670724B1 (ko) 매립형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용 방호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