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420B1 -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 Google Patents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420B1
KR100714420B1 KR1020050028692A KR20050028692A KR100714420B1 KR 100714420 B1 KR100714420 B1 KR 100714420B1 KR 1020050028692 A KR1020050028692 A KR 1020050028692A KR 20050028692 A KR20050028692 A KR 20050028692A KR 100714420 B1 KR100714420 B1 KR 10071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unit module
wiring duc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202A (ko
Inventor
김경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102005002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42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4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덕트의 일측에 배치된 숫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암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부여되어 복수 쌍으로 배선되고, 각 쌍별로 극성이 표시된 전선; 및 상기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자를 포함하여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작,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규격화한 것이다.
단위 모듈, 덕트, 조명등, 전선, 커넥터, 등기구

Description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Unit Module of Duct for Wi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의 단위 모듈별 규격화를 위한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등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결합되는 등기구의 색상별 배선 설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결선 작업을 위한 단위 모듈별 등기구의 색상 및 작업지지수단을 표시한 배선 설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등기구 색상에 따른 결선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숫 커넥터 12: 암 커넥터
14: 전선 16: 안정기
18: 식별 표시자 20: 베이스 커버
21, 52: 관통공 22, 31, 32, 54: 통공
30: 클립 34: 고정수단
40, 44: 커넥터 50: 등기구 갓
60: 접속재 70: 전선지지부재
72: 절연튜브 73, 74: 지지편
80: 커버 100: 덕트
101: 격벽 102: 요홈
104, 105: 고정턱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규격화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 컴퓨터나 프린터, 또는 전화기나 스피커 등의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또는 배선, 그리고 각종 배선기구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면, 전선들끼리 꼬이거나 엉키는 등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하여 배선 상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배선 상태의 정리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로 배선용 덕트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덕트는 통상적으로는 벽체 내부에 매입된 상태이거나 바닥면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배선용 덕트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나 모듈의 형태로 적용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또한 배선용 덕트는 작업 환경이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배선 덕트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배선용 덕트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복수의 덕트를 직선으로 연결 및 조합하거나 직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배선용 덕트를 설치하는 경우에 단순히 설계된 작업도면을 이용하거나 현장의 조건에 따라 즉흥적으로 설치하는 등, 배선용 덕트의 설치 및 배치가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져 미관 및 안전을 저해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더욱이 배선용 덕트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계된 후에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단위 모듈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접속 및 연결하고 있지만, 단위 모듈별로 제작하는 방법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배선 작업자가 임의로 전선의 배선 및 커넥터의 조립, 그리고 등기구의 설치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현장 시공자도 배선도나 설계도를 원칙으로 하여 현장에서 배선용 덕트를 설치하고는 있지만, 이 또한 현장 시공자가 일일이 현장 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각각 달라질 뿐만 아니라, 시공자 위주의 편의에 의한 설치로 인하여 다른 시공자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없었다. 또한 배선도나 설계도를 기반으로 배선 및 제작, 그리고 설치작업 도중에 어느 한 작업자나 시공자 등이 임의로 작업하거나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배선용 덕트의 설치 후에 배선의 단락(short)에 의한 등기구나 전선의 망실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발생하거나 배선의 개방(open) 등에 의한 재배선이나 덕트의 재설치 등의 문제가 빈번한 실정이었다.
이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제작 및 설치, 그리고 유지보수 등에 일관성이 없어 제작 및 설치, 그리고 유지보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 등도 상승하는 문제가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정해진 규칙과 일관성 등을 통일화시켜 도면 설계자, 배선 작업자, 현장 시공자 및 유지관리자 등이 공통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단위 모듈을 규격화하기 위하여 배선을 위한 커넥터의 배 치와 배선에 사용되는 복수 전선의 식별을 위한 표시, 그리고 해당하는 한 조의 전선에 극성을 표시하고,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각각 표시함으로서, 규격화된 배선용 덕트의 단위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덕트의 일측에 배치된 숫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암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부여되어 복수 쌍으로 배선되고, 각 쌍별로 극성이 표시된 전선; 및
상기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를 단위 모듈별로 규격화하기 위한 커넥터의 배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함에 있어서, 배선용 덕 트를 단위 모듈화하고, 단위 모듈별로 커넥터의 배치 및 접속방법, 전원의 방향, 전선의 극성, 접속재의 위치, 등기구의 설치 및 커버 등을 규격화시켜 제작하고, 제작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시공과 배선 설계 등을 일관성이 있도록 표시하며, 배선용 덕트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의 제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덕트(100)를 준비하고, 덕트(100) 내부 또는 외부 등에 배치, 배열 또는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준비한다.
상기 구성요소로서, 일정 규격을 갖는 덕트(100)의 양단까지 배열되는 복수 조(組)의 전선(14)을 일정 길이로 마련하고, 각 전선은 식별이 용이한 소정의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전선(14)의 양단에는 암 커넥터(12) 및 숫 커넥터(10)를 각각 결합한다. 조명등의 점등을 위한 안정기(16), 조명등(56)의 고정을 위한 베이스 커버(20), 그리고 베이스 커버(20)에 고정되는 램프홀더(42) 등도 준비한다. 상기 안정기(16)로부터 램프홀더(42)까지 연결되는 소정 길이를 갖는 전선(14)의 일단에 램프홀더(42)에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커넥터(40)를 결합한다. 덕트(100)의 내부 공간에 배열되는 전선(14)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대 등을 준비한다.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베이스 커버(20) 사이에 조명등(56)의 반사를 위한 등기구 갓(50)을 준비하고, 덕트(100)와 덕트를 내측으로부터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접속재(60)와 외측으로부터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 등을 준비한다. 덕트(100)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버(20) 사이에 등기구 갓(50)을 제외한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등을 준비한다. 그리고 구성요소의 고 정을 위한 각종 고정부재나 고정수단 등도 준비한다.
이와 같이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규격화하기 위한 제반 구성요소를 준비한 후에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의 일측에 숫 커넥터(10)를 배치하고, 타측에 암 커넥터(12)를 배치한다. 예를 들어, 숫 커넥터(10)는 덕트(100)의 왼쪽에 배치하고, 암 커넥터(12)는 덕트(100)의 오른쪽에 배치한다.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는 작업성이 용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 사이에 배선되는 복수 쌍의 전선(14)에는 식별이 가능한 표시를 각각 부여한다. 즉 도 4a에서, 복수 쌍의 전선(14, 14a)에는 각각 고유의 색상(예로, R-적색, G-녹색, B-청색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쌍의 전선(14, 14a)을 커넥터(10)의 상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0)의 형상이나 전선(14)의 수용량에 따라 연결되는 전선의 수는 달라지고 배치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숫 커넥터(10) 및 암 커넥터(12)에 각각 배선되는 한 조의 전선(14, 14a)에 극성을 표시한다. 이는 도 4b 내지 도 4d에서, 숫 커넥터(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커넥터(10)에 배선되는 한 쌍의 전선(14, 14a)에 양극(+) 및 음극(-)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양극(+)에 태그(tag)(15)를 부착하거나 또는 음극(-)에 태그(15)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c에서, 한 쌍의 전선(14, 14a)을 양극(+) 및 음극(-)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어느 한 전선(14) 또는 (14a)에 스트립과 같은 줄무늬 등을 적용하거나, 도 4d와 같이 커넥터(10)의 상부에 연결된 전선(14)을 양극(+)으로 하부에 연결된 전선(14a)을 음극(-)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10)의 상하 표시는 커넥터(10)의 외관에 형성된 걸림턱(11)이나 물림턱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거나 외관에 상하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의 외관 일측에 설치방향, 예를 들어, 전원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식별 표시자(18)를 적용한다. 전원방향을 나타내는 식별 표시자(18)는 단위 모듈로 구성된 덕트(100)를 연결할 때에 분전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방향을 표시하거나 규격화된 덕트(1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방향을 나타내는 식별 표시자(18)는 작업자나 시공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화살표와 같은 기호로 표시하거나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접속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한 식별수단으로서, 전원방향이나 충전방향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 사이의 접속을 위한 접속재(60)를 덕트(100)의 일단에 연결한다. 접속재(60)는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재(60)는 덕트의 일단, 예를 들어, 덕트(100)의 왼쪽에 접속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른쪽에 접속하여도 좋다. 단, 어느 한쪽으로만 일관성이 있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에 램프 홀더(42)가 결합된 베이스 커버(20)를 배치한다. 램프 홀더(42)가 결합된 베이스 커버(20)는 덕트(100)에 소정 간격, 즉 램프 홀더(42)에 장착되는 조명등(56)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램프 홀더(42)는 장착되는 조명등(56)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등(56)을 지지하는 것으로, 안정기(16)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배선되어 있는 것이다. 안정기(16)로부터 램프 홀더(42)로 배선되는 전선(14)의 일단에는 커넥터(40)가 결합되어 있어 램프 홀더(42)에 구비되는 커넥터(44)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정기(16)로부터 연결되는 커넥터(40)를 암 커넥터로 구성하고, 램프 홀더(42)에 구비되는 커넥터(44)를 숫 커넥터로 구성하는 것이다. 램프 홀더(42)는 덕트(100)와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20)의 외측으로부터 베이스 커버(20)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하여 끼워지고, 안정기(16)로부터 연결되는 커넥터(40)는 덕트의 내측으로부터 관통공(21)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커넥터(40) 및 (44)의 연결은 억지끼움에 의하여 커넥터에 형성된 돌기 및 걸림턱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커넥터(40)와 램프홀더(42)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형상이나 모양으로 가공된 관통공(21)을 통하여 직접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 커버(20)에 등기구 갓(50)을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 커버(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22)에 통공(31) 및 (32)을 갖는 금속 클립(30)을 부착하며, 관통공(22) 및 금속 클립(30)의 통공(31) 및 (32)을 통하여 고정수단(34)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베이스 커버(20)의 재질이나 두께에 의하여 고정수단(34)을 직접 결합하였을 경우에 고정수단(34)이 베이스 커버(20)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속 클립(30)을 결합한 것이다. 금 속 클립(30)은 베이스 커버(20)의 내외측으로 삽입되어 관통공(22)에 일치하는 통공(31) 및 (32)이 형성되어 있고, 금속 클립(30)은 고정수단(34)으로 고정할 때에 보강력을 위하여 쉽게 마모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며, 금속 클립(30)의 일면에 형성된 통공(31)에 슬릿(31a)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수단(34), 예를 들어, 나사가 결합되면서 나사의 나사골에 통공(31)이 맞물려지면서 슬릿(31a)의 변형으로 고정수단(34)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 사이의 접속과 대응하는 커넥터(10) 및 (12)을 연결한 후에 접속 부위에 단위 길이를 갖는 하부덮개(80)를 각각 결합한다. 즉 덕트(100) 내부에 배선이 완료된 후에 덕트의 양단에 하부덮개(80)를 결합하여 규격화된 단위 모듈의 배선용 덕트를 제작한다.
또한,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100)에는 덕트 내부에 배선되는 전선의 수가 많아지면 전선(14)들이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배선 중이거나 배선 후에 전선의 정리가 불가피하게 되고, 또, 유지 보수를 할 때에 보수 시간이 길어지며, 전선들끼리 간섭에 의한 단락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선(14)들을 덕트(100) 내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시켜 일정하게 정리 및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전선지지부재(70)를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선지지부재(7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합성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금속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 튜브(72) 등을 씌우는 것이 좋다. 또한, 절연용 분체도료를 사용하여 분체 도장된 표면을 갖는 전선지지부재(7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로서,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덕트(100)의 내측에 배선되는 전선(14)들을 전선지지부재(70)를 이용하여 덕트(100)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전선지지부재(70)는 양단에 절곡된 지지편(73, 74)이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편(73, 74)이 없어도 좋다. 전선지지부재(70)는 덕트(100) 내측에 형성된 고정턱(104, 105)에 각각 지지편(73, 74)이 고정되고, 지지편(73, 74)은 전선지지부재(70)의 탄성을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선지지부재(70)가 전선(14)들을 눌러 고정 및 지지하거나 덕트(100) 내측에 형성된 요홈(102)에 의하여 전선지지부재(70)가 가압되어 탄성을 갖도록 하는 것도 좋다. 또한, 나사공(75)을 통하여 고정수단(77)으로 전선지지부재(70)를 요홈(102)에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덕트(100)에 상단에 상부덮개(25)가 구비되고, 하단에 베이스 커버(20) 및 하부덮개(80)가 결합되며, 내측에 격벽(101)이 형성되고, 격벽(101) 중앙 부분에 요홈(102)이 형성된 경우에 적용된 것이지만, 상부덮개(25)가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덕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덕트 내측의 구조에 따라 전선지지부재(70)에 지지편이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전선지지부재(70)에 부착되는 절연튜브(72)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를 덮어씌우거나 코팅 또는 도포함으로서 전선(14)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덕트(100) 내에 배선되는 전선(14)을 종류, 색깔 또는 용도별로 분리하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도 6은 단위 모듈의 배선용 덕트(100)에 결합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색상별 배선 설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덕트(100)를 통하여 배선되는 복수 쌍의 전선(14)이 해당하는 색상으로 표시되어 있고, 배선 설계도에 의하여 조명등(56)이 동시에 또는 일부 라인만 점등 또는 소등을 하고, 이는 복수의 배선 스위치(S1, S2), 그리고 분전함(PB) 등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전선 결선 작업을 위한 단위 모듈별 등기구의 색상 및 작업지시수단을 표시한 배선 설계도에는 가로방향으로 6라인(A~F-Line)의 배선 및 약 5개 내외의 조명등(L),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2라인(G, H-Line) 및 약 10개 내외의 조명등(L)이 설치되도록 하고, 조명등(L)에는 해당하는 색상이 표시되어 있다. 즉 흑색, 청색 및 적색의 조명등(L)을 번갈아 설치하거나 해당하는 라인에 동일한 색상의 조명등(L)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전선 결선 작업에 해당하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라인 배선과 조명등의 설치 개수는 해당하는 현장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설계도에 의하여 현장 시공자는 덕트의 설치 및 시공을 하면서 해당하는 조명등(L)의 색상을 참고하여 작업지시수단으로 이용하게 된다. 즉 배선 설계도에 표시된 색상을 갖는 조명등(L)은 단위 모듈 내의 색상을 갖는 복수 쌍의 전선(14)이 배선 스위치(S1, S2)에 의하여 각각 구분되어 점멸되는 조명용 점멸회로를 식별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 시공 및 보수 작업을 할 때에 회로 점검을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배선 설계도면(도 7)에 등기구로 표시된 색상과 조명등(L)의 점멸을 위한 배선 스위치(S1, S2)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회선이 해당하는 조명등(L)의 안정기에 접속되므로(도 8 참조) 덕트 및 조명등의 조립을 위한 작업지시, 현장의 설치를 위한 작업지시, 그리고 사후 보수관리 등을 위한 동일한 일체화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일관성 및 통일화된 배선 작업에 의하여 규격화된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해진 과정을 통하여 단위 모듈별로 제작하기 보다는 커넥터의 배치 방향, 전원의 방향 표시, 전선의 색상 및 극성 표시, 그리고 단위 모듈별 덕트와 덕트의 연결을 위한 접속재의 접속 위치, 등기구 및 커버 등을 규격화하고, 배선 설계도에 전선의 색상 및 전원방향을 표기함으로서 도면 설계자, 배선 작업자, 현장 시공자, 유지관리자 등이 공통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격화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는 단위 모듈별로 제작되는 배선용 덕트를 소정의 방향이나 위치를 갖도록 커넥터의 배치, 전원방향의 표 시, 전선의 색상 및 극성의 부여, 그리고 단위 모듈별 덕트와 덕트의 연결을 위한 접속재의 접속 위치, 등기구 및 커버 등을 규격화하고, 배선 설계도에 전선의 색상 및 전원방향을 표기함으로서 도면 설계자, 배선 작업자, 현장 시공자, 유지관리자 등이 공통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규격화함으로서, 빠른 시공, 간편한 식별, 용이한 보수 및 관리, 그리고 제작 및 설치비용 등의 절감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규격화된 단위 모듈별로 배선용 덕트를 제작 및 공급함으로서, 배선용 덕트를 소정 공간을 갖는 현장에서 시공할 때에 커넥터의 연결과 접속재의 접속 및 결합만으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수급이 원활하며, 덕트를 이용한 배선 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덕트의 일측에 배치된 숫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암 커넥터;
    상기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표시가 부여되어 복수 쌍으로 배선되고, 각 쌍별로 극성이 표시된 전선; 및
    상기 단위 모듈로 이루어진 배선용 덕트의 외관에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식별 표시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 및 암 커넥터의 상하 표시는 커넥터의 외관에 형성된 걸림턱(11)이나 물림턱의 위치 또는 외관에 상하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식별이 가능한 표시로서 색상이나 태그를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방향은 전원방향 또는 충전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에 램프 홀더가 결합된 베이스 커버가 배치되고, 베이스 커버에 등기구 갓을 결합하기 위하여 베이스 커버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에 통공을 갖는 금속 클립이 부착되고, 관통공 및 금속 클립을 통하여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KR1020050028692A 2005-04-06 2005-04-06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Expired - Lifetime KR10071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692A KR100714420B1 (ko) 2005-04-06 2005-04-06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692A KR100714420B1 (ko) 2005-04-06 2005-04-06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202A KR20060106202A (ko) 2006-10-12
KR100714420B1 true KR100714420B1 (ko) 2007-05-04

Family

ID=3762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692A Expired - Lifetime KR100714420B1 (ko) 2005-04-06 2005-04-06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4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216A (ko) 2019-06-26 2019-07-16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선 가능한 브라켓
WO2020262968A1 (ko) 2019-06-26 2020-12-30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선 가능한 브라켓과 그와 결합되는 모듈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411A (ko) * 2012-09-26 2014-04-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배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시스템
KR101436814B1 (ko) * 2012-12-20 2014-09-02 박인철 비상유도 케이블 트레이
KR101640759B1 (ko) * 2014-12-24 2016-07-19 박인철 접지 및 방향표시 기능이 있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73414B1 (ko) * 2019-08-30 2022-03-1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교차 배선 작업용 덕트 조립체
KR102617799B1 (ko) * 2023-02-03 2023-12-27 박건순 원터치 배선관 모듈을 이용한 전기배선 모듈화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107A (ja) * 1993-07-28 1995-02-14 Buresuto Kogyo Kenkyusho:Kk 連用蛍光灯システム
KR100221195B1 (ko) 1997-02-05 1999-09-15 노시열 형광 램프
KR200317843Y1 (ko) 2003-03-22 2003-06-27 채한병 케이블 식별용 라벨링
KR200334290Y1 (ko) 2003-08-26 2003-11-22 조현상 형광등(소형)의 외형구조
KR100423258B1 (ko) 2003-11-18 2004-03-19 김경미 단위 길이로 모듈화된 조명용 등기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107A (ja) * 1993-07-28 1995-02-14 Buresuto Kogyo Kenkyusho:Kk 連用蛍光灯システム
KR100221195B1 (ko) 1997-02-05 1999-09-15 노시열 형광 램프
KR200317843Y1 (ko) 2003-03-22 2003-06-27 채한병 케이블 식별용 라벨링
KR200334290Y1 (ko) 2003-08-26 2003-11-22 조현상 형광등(소형)의 외형구조
KR100423258B1 (ko) 2003-11-18 2004-03-19 김경미 단위 길이로 모듈화된 조명용 등기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216A (ko) 2019-06-26 2019-07-16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선 가능한 브라켓
WO2020262968A1 (ko) 2019-06-26 2020-12-30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선 가능한 브라켓과 그와 결합되는 모듈결합장치
KR20210001832A (ko) 2019-06-26 2021-01-06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선 가능한 브라켓과 그와 결합되는 모듈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202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1858A1 (en) Modular assembled outdoor ligh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light pole structure
KR101394831B1 (ko) 조명장치 및 레일모듈
US8841563B2 (en) Split line and low voltage wire conduit and transformer box
US20030207612A1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100714420B1 (ko) 단위 모듈별 배선용 덕트
WO2014115936A1 (ko) 전선 없이 블럭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엘이디 바
KR101048020B1 (ko) 전등용 덕트
CN103148364B (zh) 直管形led灯用照明系统
KR102347735B1 (ko) 배선 가능한 브라켓과 그와 결합되는 모듈결합장치
CN210985184U (zh) 一种组装式临用电设备
KR100731839B1 (ko) 전원연결구조를 개선한 형광등기구
KR101035631B1 (ko) 등기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복합 덕트
KR20190083063A (ko) 라이팅 부스웨이용 복합 커넥터
US11054118B2 (en) Apparatus to detachably attach LED light fixture to ceiling or recessed lighting fixture housing
CN202550163U (zh) 一种在墙体上安装方便的电器插座与开关
KR200370044Y1 (ko) 천장 조명등 설치구조
CN114041248B (zh) 可配线托架和与其相结合的模块结合装置
KR200399919Y1 (ko) 전광판
CN212323372U (zh) 交流电连接器及具有其的显示屏组件
CA3040941C (en) Apparatus to detachably attach led light fixture to ceiling or recessed lighting fixture housing
JP4356391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CN217087382U (zh) 一种应用于隧道内规范布置电缆线的槽盒
JP3137603U (ja) 組立式パネルハウス
KR20070031592A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KR200405987Y1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