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066B1 -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066B1
KR100714066B1 KR1020050111885A KR20050111885A KR100714066B1 KR 100714066 B1 KR100714066 B1 KR 100714066B1 KR 1020050111885 A KR1020050111885 A KR 1020050111885A KR 20050111885 A KR20050111885 A KR 20050111885A KR 100714066 B1 KR100714066 B1 KR 10071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assigned
basic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익수
Original Assignee
은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익수 filed Critical 은익수
Priority to KR102005011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기본 모음들을 중앙에 배치하고 조합원리에 따라 2개 키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또는 장단의 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각 키에 자음과 모음을 각각 하나씩 배정하고 자모입력순서에 따라 선택되어 입력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이 신속하고 간편하며 문자의 식별성이 우수한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6개의 기본모음 "ㅡ,ㅣ,ㅏ,ㅓ,ㅗ,ㅜ"를 12개의 키들 중 5개의 키들에 배정하되, 'ㅣ,ㅡ'를 하나의 중앙 키에 배정하고 상기 'ㅣ,ㅡ'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키에는 'ㅗ', 하측 키에는 'ㅜ', 좌측 키에는 'ㅓ', 우측 키에는 'ㅏ'가 위치하도록 배정하고,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을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은 조합생성문자가 없는 2개의 키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된다.
모바일 기기, 휴대폰, 문자메시지, 문자입력, 한글입력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N A MOBILE DEVICE AND KEYPAD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지인 한글입력방식의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다양한 한글입력방식의 자판배열들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제1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제2,제3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제4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문자입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 모음들을 중앙에 배치하고 조합원리에 따라 2개 키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또는 장단의 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각 키에 자음과 모음을 각각 하나씩 배정하고 자모입력순서에 따라 선택되어 입력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이 신속하고 간편하며 문자의 식별성이 우수한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전자 및 통신기술이 진보하면서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문자입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기, 예컨대 피디에이(PDA), 휴대폰 등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문자메시지의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에서 문자입력을 통해 원격으로 외부 기기의 제어, 예컨대 홈케어서비스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문자입력기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자통신기술협회(TTA)가 1992년에 표준으로 결정한 전자식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코드(KICS. KO-05.0018)는 사용하기 불편하여 1998년에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을 공모하여 표준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
휴대폰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삼성전자, LG정보통신, 현대전자, 모토로라 등 단말기 생산업체들은 독자적으로 한글입력방식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현재 휴대폰에 적용하고 있는 한글자판은 크게 자음의 기본자가 ㄱ,ㄴ,ㄷ,ㅂ,ㅅ,ㅈ,ㅇ와 모음의 기본자가 ㅣ, ·, ㅡ 인 천지인 방식, 그리고 자음의 기본자가 ㅇ,ㅁ,ㄱ,ㄴ,ㅅ,ㄹ과 모음의 기본자가 ㅏ, ㅗ, ㅡ인 나랏글 방식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이동식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중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삼성의 '천지인' 방식인데, 이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천지인 한글입력방식 문자배치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음을 상단 3개의 ㅣ, ㆍ, ㅡ 키(key)에 할당하고, 자음을 그 아래 7개의 ㄱㅋ, ㄴㄹ, ㄷㅌ, ㅂㅍ, ㅅㅎ, ㅈㅊ, ㅇㅁ 키에 각각 할당한 후 자음 14자, 모음 10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천지인 입력방식은 자음 14자는 7개의 키에 각 2개씩 할당되어 한번 내지 두번의 누름으로 입력되게 하는 반면 모음 10개는 단 3개의 키를 가지고 여러번 바꿔가면서 입력하기 때문에 모음 입력시 불가피하게 많은 회수의 키를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모음 입력의 번거로움과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모음에 있어서 'ㅏ' 의 경우는 두 개의 키('ㅣ'+'ㆍ')을 각 한번씩 눌러야 하고, 'ㅑ'의 경우는 두 개의 키를 사용하되 한 개의 키는 한번 다른 한개의 키는 2번을 눌러 총 3회를 눌러야 하고, "ㅙ"의 경우는 총 5회의 많은 횟수를 눌러야 한다. 모음은 어떠한 문장이든 하나의 한글문자마다 자음과 함께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모음입력의 용이성은 한글입력의 전체 효율성(약 50% 해당됨) 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는데, "천지인"방식은 모음입력타수가 상당히 많아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천지인방식에서 자음의 배열은 기본자가 7자로서, 예컨데 된소리(경음; ㄲ,ㄸ,ㅃ,ㅆ,ㅉ)는 모두 3타를 연이어 눌러야 하므로 오타가 나올 확률이 높으며, 'ㅅ'과 'ㅎ', 'ㅇ'와 'ㅁ'의 관계는 필연적 연관관계를 따르지 않고 임의적으로 배치한 것이어서 사용자가 문자연상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또한, 모음의 배열은 기본자가 3자로 되어 있어 간단하긴 하나, 모음 한획에 한 타씩 배당되므로 모음을 입력하는데 많은 타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복모음인 경우에는 4-5타가 되므로 오타가 나올 확률이 매우 높으며, 타수의 분포도를 보면 3타가 8자나 되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천지인방식은 모음에 있어 전반적으로 오타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다양한 한글입력방식의 자판배열들을 예시한 도면들로, 도 2a는 엘지(LG)의 나랏글 방식의 키패드이고, 도 2b는 에스케이(SK)의 스카이 휴대폰의 키패드이고, 도 2c는 모토롤라 휴대폰의 키패드이고, 도 2d는 큐리텔의 키패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에 예시된 나랏글 방식에서는 초성에 3타 문자의 비율이 높아서 오타율이 높고, 중성은 1타 문자부터 6타 문자까지 분포되어 있으므로 3타이상은 오타율도 높고 입력능률이 떨어져 어쩔수 없이 변칙형을 써서 타수를 줄일 수밖에 없다. 단지, 종성에서만 'ㅁ, ㄴ, ㄹ'이 1타로 입력되므로 타수를 줄일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나랏글 방식에서도 자음과 모음의 입력시 많은 타수가 사용되므로 입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음 "ㅑ,ㅕ,ㅛ,ㅠ" 입력의 경우 "ㅏ,ㅓ,ㅗ,ㅜ'와 기능키(*)을 조합하여 입력시키므로, 입력시 연상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도 2b의 스카이 방식에서는 자판의 12개의 키 중 모음에 많은 수의 키를 할애하다 보니까 자음부분이 무척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자음입력시에 많은 입력타수가 요구되어 자음입력이 더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도 2c의 모토롤라 방식에서도 모음 "ㅑ,ㅕ,ㅛ,ㅠ" 입력의 경우 엘지방식과 유사하게 "ㅏ,ㅓ,ㅗ,ㅜ'와 기능키(#)을 조합하여 입력시키므로, 입력시 연상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자음의 경우 많은 자음이 2타이상의 입력이 요구되므로 입력속도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도 2d의 큐리텔 방식에서는 모음의 입력방식이 삼성과 같은 천지인 방식이 채용되므로 모음입력타수가 많이 증가하고 복잡하여, 앞서 천지인 방식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단점들이 존재하였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한글입력방식은 키를 누를 때마다 키의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자리에 배정된 문자들이 순환되면서 입력되는 순환입력방식이었다. 따라서, 휴대폰의 액정표시창을 보면서 입력되는 문자를 확인하게 되고, 순환되는 것을 기다려야 하므로 입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시간이 길었다. 그로 인하여, 한 키에 배정된 문자들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키를 누른 후 문자가 확정되기까지 대략 3-4초의 시간이 걸려 입력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기본 모음들을 다이아몬드 형태로 중앙에 배치하고 조합원리에 따라 2개 키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또는 장단의 연속누름 등에 의해 입력되게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각 키에 자음과 모음을 각각 하나씩 배정하고 자모입력순서에 따라 선택되어 입력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이 보다 수월하고 간편하며 문자의 식별성이 우수한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이 적용되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은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6개의 기본모음 "ㅡ,ㅣ,ㅏ,ㅓ,ㅗ,ㅜ"를 12개의 키들 중 5개의 키들에 배정하되, 'ㅣ,ㅡ'를 하나의 중앙키에 배정하고 상기 'ㅣ,ㅡ'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키에는 'ㅗ', 하측 키에는 'ㅜ', 좌측 키에는 'ㅓ', 우측 키에는 'ㅏ'가 위치하도록 배정하고,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을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은 조합생성문자가 존재하지 않 는 상기 기본 모음 및/또는 상기 기본 자음의 2개의 키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은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6개의 기본모음 "ㅡ,ㅣ,ㅏ,ㅓ,ㅗ,ㅜ"를 12개의 키들 중 5개의 키들에 배정하되, 'ㅣ,ㅡ' 중 어느 하나는 중앙키에 배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2개의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며, 상기 키에 배정된 'ㅣ' 또는 'ㅡ'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키에는 'ㅗ', 하측 키에는 'ㅜ', 좌측 키에는 'ㅓ', 우측 키에는 'ㅏ'가 위치하도록 배정하고,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을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은 조합생성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본 모음 및/또는 상기 기본 자음의 2개의 키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은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10개 키의 각각에는 10개의 모음 'ㅡ,ㅣ,ㅗ,ㅜ,ㅓ,ㅏ,ㅛ,ㅠ,ㅕ,ㅑ'와 9개의 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이 각각 하나씩 배정되고 자모의 입력순서가 교번하도록 설정되며,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모의 입력순서에 따라, 입력순서가 자음 차례이면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모음 차례이면 모음이 선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키패드는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기본모음을 "ㅡ,ㅣ,ㅏ,ㅓ,ㅗ,ㅜ"의 6개로 하고, 상기 'ㅣ,ㅡ'는 중앙에 위치한 5번 또는 8번의 중앙키에 배정되고, 상기 'ㅗ'는 상기 중앙키의 상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ㅜ'는 상기 중앙키의 하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ㅓ'는 중앙키의 좌측키에 배정되고, 상기 'ㅏ'는 중앙키의 우측키에 배정되어, 상기 6개의 기본모음들이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열되며,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 중 'ㄱ,ㄴ,ㄷ,ㅂ,ㅅ,ㅈ,ㅇ' 7개를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 'ㄹ,ㅁ'은 상기 기본 모음의 'ㅗ'+'ㅓ', 'ㅏ'+'ㅜ' 조합의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키패드는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기본모음을 "ㅡ,ㅣ,ㅏ,ㅓ,ㅗ,ㅜ"의 6개로 하고, 상기 'ㅣ,ㅡ' 중 어느 하나는 중앙에 위치한 5번 또는 8번의 중앙키에 배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2개의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며, 상기 'ㅗ'는 상기 중앙키의 상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ㅜ'는 상기 중앙키의 하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ㅓ'는 중앙키의 좌측키에 배정되고, 상기 'ㅏ'는 중앙키의 우측키에 배정되어, 상기 6개의 기본모음들이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열되며,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 중 'ㄱ,ㄴ,ㄷ,ㅂ,ㅅ,ㅈ,ㅇ' 7개를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 'ㄹ,ㅁ'은 상기 기본 모음의 'ㅗ'+'ㅓ', 'ㅏ'+'ㅜ' 조합의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키패드는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10개 키의 각각에는 10개의 모음 'ㅡ,ㅣ,ㅗ,ㅜ,ㅓ,ㅏ,ㅛ,ㅠ,ㅕ,ㅑ'와 9개의 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이 각각 하나씩 배정되고, 상기 12개의 키 중 자모가 배정되지 않은 1개의 키는 자음을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화시키는 기능키로 할당되어, 상기 기능키를 한번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자음이 격음화되고,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 경음화되게 하고, 상기 12개의 키 중 자모 및 기능키로 배정되지 않은 나머지 1개의 키에 키 누름에 의해 순환되며 입력되게 기호들이 배정되고,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모의 교번되는 입력순서에 따라, 입력순서가 자음 차례이면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모음 차례이면 모음이 선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입력에 2개 키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장단의 연속누름 기능과 1개 키의 더블 클릭(double click) 기능을 도입함에 의하여 한정된 개수의 키에서 되도록 많은 문자의 입력을 적은 타수로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키의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위의 용어 '동시누름'은 다른 2개의 키, 예컨대 기본 모음 키과 다른 기본 모음 키를 2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동시에 누르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사람의 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시간상으로 0.15~0.2초 내의 입력은 동시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용어 '오버랩(overlap)누름'은 다른 2개의 키를 누르되, 하나의 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키를 눌러 키의 누름상태가 겹치는 것을 뜻한다.
용어 '장단의 연속누름'은 다른 2개의 키를 누르되, 하나는 통상적인 길이(시간)로 누르고 다른 하나는 좀더 길게 누르는 연속적인 누름형태를 의미한다.
용어 '더블 클릭'은 컴퓨터의 마우스(mouse)에서의 더블 클릭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하나의 키를 빠른 속도로 두 번 연속하여 눌러 2번의 연속적인 키입력이 소정시간내에 존재하게 하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제1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모음입력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6개의 기본모음을 이용하여 모든 모음을 구현한다. 부연설명하면, 6개의 기본모음 "ㅡ,ㅣ, ㅏ,ㅓ,ㅗ,ㅜ"를 12개의 키들 중 5개의 키들에 배정하되, 'ㅣ,ㅡ'를 자판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키(이하, '중앙키'이라 함)에 배정하고 그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키에는 'ㅗ', 하측 키에는 'ㅜ', 좌측 키에는 'ㅓ', 우측 키에는 'ㅏ'가 위치하도록 배정한다. 하나의 중앙키의 첫번째 자리와 두번째 자리에 배정된 'ㅣ'와 'ㅡ'는 해당 키를 한번 누르면 첫번째 자리의 'ㅣ'가 입력되고, 더블 클릭하면 'ㅡ'가 입력되게 프로그램된다. 다른 방법으로, 두번째 자리의 'ㅡ'는 더블 클릭 대신에 해당 키를 길게 누르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한편으로, 'ㅣ'와 'ㅡ'는 해당키에서 그 자리를 바꾸어 실시해도 된다. 위의 중앙키는 휴대폰 키패드에서 5번 키 또는 8번 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본모음의 자판배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ㅣ,ㅡ'는 5번 키에, 'ㅗ'는 2번 키에, 'ㅜ'는 8번 키에, 'ㅓ'는 4번 키에, 'ㅏ'는 6번 키에 배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기본 모음 'ㅗ,ㅜ,ㅓ,ㅏ'의 작은 획들이 중앙키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바깥쪽을 향하게 됨으로써 개념화, 시각화가 일목요연해진다. 따라서, 5번 키를 중심으로 상하좌우의 키들, 2,6,8,4를 연결하면 기본 모음들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기본모음의 확인이 용이할 뿐더러 모음의 입력조작이 편리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와 같이 키패드에 기본 모음들이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정된 키들을 다이아몬드 형태의 가는선으로 구획 표시함으로써 식별성을 보다 향상하는 것이 좋다.
위의 기본 모음들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은 위의 6개의 기본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즉, 이중모음과 복모음은 6개의 기본 모음들 중에서 2개의 기본 모 음을 모음생성원리에 입각하여 조합하여 입력된다. 이때, 보다 빠른 입력을 위해 동시누름, 오버랩누름,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중모음 'ㅛ,ㅠ,ㅕ,ㅑ'의 경우,
'ㅣ(5)'+'ㅗ(2)'='ㅛ', 'ㅣ(5)'+'ㅜ(8)'='ㅠ', 'ㅣ(5)'+'ㅓ(4)'='ㅕ', 'ㅣ(5)'+'ㅏ(6)'='ㅑ'의 조합원리로 해당 기본모음이 배정된 2개의 키를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한다. 여기서, 기본 모음 뒤에 괄호안의 번호는 기본 모음이 배정된 키번호를 나타낸다. 다른 방법으로, 'ㅛ,ㅠ,ㅕ,ㅑ'는 각각 'ㅗ,ㅜ,ㅓ,ㅏ'의 키를 더블 클릭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복모음의 경우 'ㅘ,ㅝ,ㅚ,ㅟ'를 예를 든다면,
'ㅗ(2)'+'ㅏ(6)'='ㅘ', 'ㅜ(8)'+'ㅓ(4)'='ㅝ', 'ㅗ(2)'+'ㅣ(5)'='ㅚ', 'ㅜ(8)'+'ㅣ(5)'='ㅟ'의 조합원리에 의해 기본 모음 2개를 순서적 조합누름, 즉 오버랩누름이나 장단연속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한다. 여기서, 'ㅘ'와 'ㅝ'는 조합되는 기본 모음들의 순서가 바뀌어도 가능하다.
위에 설명한 방식에 의해 5개의 키에 배정된 6개의 기본 모음들을 모음조합원리에 입각하여 조합하여 누름에 의해 모든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본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은 기본모음을 조합하여 구현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본 모음들은 키패드의 중앙에 다이아몬드꼴로 배치함에 의해 사용자가 키패드를 보지 않고도 모음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음의 경우는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이 기본 자음의 격음,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하게 한다. 특히, 격음기능키는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 자음이 배정된 키 중에서 선택되며, 경음기능키는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 자음이 배정된 키 중에서 선택된다. 이 경우 격음기능이 부여된 키를 한번 누르면 그에 배정된 기본 자음이 입력되거나 아니면 격음기능이 수행되는데, 이것은 앞에 입력된 기본 자음에 격음이 있는 경우 격음기능이 수행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그에 배정된 기본 자음이 입력되게 한다. 경음기능이 부여된 키의 입력도 이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격음기능키로는 'ㄴ,ㄹ,ㅁ,ㅅ'이 배정된 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하고, 경음기능키로는 'ㄴ,ㄹ,ㅁ,ㅇ'이 배정된 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시한 바와 같이 격음기능키로는 'ㄴ'이 배정된 키가 좋으며, 경음기능키로는 'ㅇ'이 배정된 키가 적당하다. 이러한 격음기능키 또는 경음기능키는 기본 자음과 동시누름, 오버랩누름,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위의 9개의 기본 자음은 12개의 키 중 기본 모음이 배정된 5개의 키를 제외한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되고, 나머지 2개의 기본 자음은 조합생성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기본 모음 2개, 기본 자음 2개, 또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의 키 조합에 의해 입력되게 한다. 위의 나머지 2개의 기본 자음으로는 격음과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자음이 될 수 있으며, 예시한 바와 같이 'ㄹ'과 'ㅁ'이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모음 'ㅗ'가 배정된 키과 'ㅓ'가 배정된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ㄹ'이 입력되게 하고, 기본 모음 'ㅏ'가 배정된 키과 'ㅜ'가 배정된 키의 조 합누름에 의해 'ㅁ'이 입력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본 자음은 예시한 바와 같이, 1번 키에 'ㄱ', 3번 키에 'ㄷ', 7번 키에 'ㅂ', 9번 키에 'ㄴ', * 키에 'ㅅ', 0번 키에 'ㅈ', # 키에 'ㅇ'을 배정하여 해당 키를 한번 누르면 배정된 기본 자음이 입력되게 하고, 2번 키과 4번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ㄹ' 그리고 6번 키과 8번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ㅁ'이 입력되게 하며, 나아가 'ㄴ'이 배정된 9번 키에 격음기능(ㆍ)을 부여하여 기본 자음(ㄱ,ㄷ,ㅈ,ㅂ,ㅇ)이 배정된 키의 입력과 격음기능이 부여된 9번 키가 조합하여 눌려지면 해당 기본 자음의 격음(ㅋ,ㅌ,ㅊ,ㅍ,ㅎ)이 입력되게 하고, 'ㅇ'이 배정된 #키에 경음기능(‥)을 부여하여 기본 자음(ㄱ,ㄷ,ㅂ,ㅅ,ㅈ)이 배정된 키의 입력과 경음기능이 부여된 #키가 조합하여 눌려지면 해당 기본 자음의 경음(ㄲ,ㄸ,ㅃ,ㅆ,ㅉ)이 입력되게 한다. 여기서, 기능키의 조합입력은 동시누름, 오버랩누름, 또는 장단연속누름을 포함한다. 예컨대, 1번 키의 입력과 9번 키의 조합입력이 있으면 9번 키의 입력은 제어부에서 격음기능으로 인지되어 'ㅋ'이 입력되게 된다. 'ㅎ'의 경우는 'ㅇ'의 # 키의 입력과 9번 격음기능키(ㆍ)의 조합입력이 있으면 'ㅇ'의 격음인 'ㅎ'이 입력된다.
또한, 기호들은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과 모음 등의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2개 키의 조합누름으로써 입력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ㄱ(1)'과 'ㅗ(2)' 사이에 ':', 'ㅗ(2)'와 'ㄷ(3)' 사이에 '-', 'ㄱ(1)'과 'ㅓ(4)' 사이에 ;, 'ㅓ(4)'와 'ㅂ(7)' 사이에 ',', 'ㅂ(7)'과 'ㅅ(*)' 사이에 '.', 'ㄷ(3)'과 'ㅏ(6)' 사이에 '∨', 'ㅏ(6)'와 'ㄴ(9)' 사이에 '∧'를 배정하여 옆의 2개 문자가 배정된 키들을 누르면 그 사이에 배정된 기호가 입력되게 한다. 다른 방법으로, 기호들은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만 배정된 키의 2번째 자리에 배정하여 해당 키를 더블 클릭(double click)하면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예시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제, 이 도면 및 전술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의 휴대폰에서의 신호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편지쓰기 등의 문자입력모드에서 한글입력모드로 들어가서, 자판의 문자키들을 통해 한글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입력된 문자가 자음인지를 먼저 판단한다.(단계S1,S3) 이때, 자음으로 판단되면 다음에 입력된 키에 격음기능 또는 경음기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S5) 격음기능이나 경음기능의 키인 것으로 판단되면 앞에 입력된 자음의 격자음 또는 경자음을 표시창에 표시하고, 그러한 기능이 없는 키가면 앞에 입력된 자음에 연달아 해당 키에 배정된 기본 자음을 표시한다.(단계S7,S9)
한편, 단계S3에서 입력된 문자가 자음이 아니면, 제어부는 모음입력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S11) 이때, 모음입력이 아니면 키 입력에 해당하는 기호를 표시한다.(단계S13) 반면에, 모음입력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모음이 2개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인지를 판단한다.(단계S15) 여기서, 조합누름에 해당하면 입력된 2개 키의 조합에 해당하는 모음이 입력되고(단계S17), 그렇지 않으면 해당 키에 배정된 기본 모음이 입력된다.(단계S19)
[문자 입력예 1]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이 적용된 휴대폰 자판에서 아래의 문장을 들어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 입력예에서 자모 뒤의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키 번호를 나타내며, 조합누름은 2타로 계산한다.
① 입력문장 : '학교에 간다'
- 본 방법 : 'ㅇ(#)'+격음키(9)→'ㅏ(6)'→'ㄱ(1)'→'ㄱ(1)'→'ㅣ(5)'+'ㅗ(2)'→'ㅇ(#)'→'ㅓ(4)'+'ㅣ(5)'→'ㄱ(1)'→'ㅏ(6)'→'ㄴ(9)'→'ㄷ(3)'→'ㅏ(6)'
=> 총 15회
- 종래 방법(천지인 방식) : 'ㅎ(ㅅ키 2번누름)'→'ㅣ'+'ㆍ'→'ㄱ'→'ㄱ'→'ㆍ'+'ㆍ'+'ㅡ'→'ㅇ'→'ㆍ'+'ㅣ'+'ㅣ'→'ㄱ'→'ㅣ'+'ㆍ'→'ㄴ'→'ㄷ'→'ㅣ'+'ㆍ'
=>총 20회
위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장 '학교에 간다'를 입력할 경우 종래 방법의 경우 총 20회의 키입력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총 15회의 키입력만 있으면 되어, 종래 방법에 비해 입력타수를 20%이상 줄일 수 있다.
② 입력 문장 : '사랑과 평화'
- 본 방법 : 'ㅅ'→'ㅏ'→'ㄹ(조합누름)'→'ㅏ'→'ㅇ'→'ㄱ'→'ㅗ+ㅏ'→'ㅍ( ㅂ+격음키)'→'ㅣ'→'ㅓ'→'ㅇ'→'ㅎ(ㅇ+격음키)'→'ㅗ+ㅏ'
=> 총 18타
- 종래 방법(천지인 방식) : 'ㅅ'→'ㅣ'+'ㆍ'→'ㄹ'→'ㅣ'+'ㆍ'→'ㅇ'→'ㄱ'→'ㆍ'+'ㅡ'+'ㅣ'+'ㆍ'→'ㅍ(ㅂ키 2번누름)'→'ㆍ'+'ㆍ'+'ㅣ'→'ㅇ'→'ㅎ(ㅅ키 2번누름)'→'ㆍ'+'ㅡ'+'ㅣ'+'ㆍ'
=> 총 24타
위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장 '사랑과 평화'를 입력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총 18회의 키입력만 있으면 되지만, 종래 방법으로는 총 24회의 키입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방법에 비해 20%이상의 입력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비교예와 비교해 볼 때 입력타수가 상당히 감소되어 보다 빠르고 편리한 입력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제2,제3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들로, 본 제2,제3실시예는 위의 제1실시예를 약간 변형한 변형실시예들이다. 특히, 도 5b는 도 5a에서 모음부분에만 약간의 변경이 있어 모음이 배정된 키만을 발췌하여 도시하였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의 한글입력방법은 기본 모음 'ㅡ'의 입력을 제외하고는 앞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하다. 단지, 본 제2실시예 에서 기본 모음 'ㅡ'는 기본 모음 'ㅣ'와 기본 자음 'ㄷ'를 동시누름, 오버랩누름 또는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한다. 따라서, 키패드에 나타낸 바와 같이 'ㅡ'는 3번 키과 5번 키의 사이에 표시하고, 이중모음 'ㅛ,ㅠ,ㅕ,ㅑ'는 그에 해당하는 기본 모음의 옆에 작게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구분이 쉽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ㅡ'는 2개의 키들의 조합누름 대신에 해당 키를 길게 누르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위의 제2실시예에 더하여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키패드에 이중모음 'ㅛ,ㅠ,ㅕ,ㅑ'는 조합되는 2개의 해당 키들 사이에 표시하여 조합방법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기본 모음 'ㅓ'와 'ㅏ'가 배정된 키에는 2번째 자리에 각각 'ㅖ'와 'ㅒ'를 배정하여 더블 클릭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기본 모음 'ㅗ'와 'ㅜ'에도 각각의 2번째 자리에 각각 복모음 'ㅙ'와 'ㅞ'를 배정하여 더블 클릭에 의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ㅖ','ㅒ','ㅙ' 및 'ㅞ'는 더블 클릭 대신에 해당 키를 길게 누르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의 제4실시예가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4실시예의 한글입력방법은 제어부가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문자입력을 판단하고 표시한다.
1. 문장입력시 최초문자는 자음으로 시작하고 자음과 모음의 입력순서가 교 대로 반복(교번)되며, 만약 길게 누른 입력신호가 있으면 그 입력은 항시 종성으로 판단한다. 단, 자모입력순서에서 기능키의 입력은 제외한다. 물론, 종성 입력후의 다음 입력은 반드시 초성으로 판단한다.
2. 연속되는 자음 키의 입력시 뒤에 입력되는 자음 키를 길게 누르면 쌍받침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쌍받침은 서로 다른 자음 두개가 합쳐서 이루어진 자음으로, 예컨대 'ㄳ, ㄶ, ㄼ' 등을 들 수 있다.
3. 자음 입력 후 격음,경음화 기능키를 한번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자음의 격음으로 인식하고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 경음으로 인식한다.
4. 오버랩누름 또는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각 키에 배정된 기본 모음 이외의 모든 모음을 조합하여 생성한다.
위와 같은 규칙에 근거하여 모음과 자음을 각 키에 하나씩 배정하고,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모의 입력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가 결정된다. 즉, 입력순서가 자음 차례이면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모음 차례이면 모음이 선택되어 입력되게 된다.
이를 위해, 키패드에는 10개의 모음 'ㅡ,ㅣ,ㅗ,ㅜ,ㅓ,ㅏ,ㅛ,ㅠ,ㅕ,ㅑ'가 12개의 키 중 10개 키에 하나씩 배정되고, 이 10개의 모음이 배정된 10개의 키들에는 또한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의 9개의 자음이 각각 하나씩 배정된다. 이때, 10개의 키 중 9개의 키에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이 함께 배정되며, 1개의 키에는 기본 모음만이 배정된다. 키에 기본 모음만이 배정되는 기본 모음으로는 'ㅣ'가 바람직하며, 그것은 예외적으로 'ㅙ', 'ㅞ'와 같은 복모음을 생성할 때 모음입력순서에서 누름조합하여 'ㅘ','ㅝ'를 생성한 후 다시 'ㅣ'를 눌러 입력하기 때문으로, 자음입력순서이지만 'ㅣ' 키에는 자음이 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정된 모음이 입력되어 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모음, 복모음 등은 기본 모음이 배정된 키 2개를 오버랩누름 또는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한다. 한편, 12개의 키 중 1개의 키는 위의 기본 자음을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화시키는 기능키로 할당된다. 이 기능키를 한번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자음이 격음화되고,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 경음화된다. 물론, 격음과 경음의 누름회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1개의 키에는 기호들이 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이 적용된 키패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 키에는 'ㅡ'와 'ㅈ'이, 2번 키에는 'ㅗ'와 'ㄱ'이, 3번 키에는 'ㅛ'와 'ㄷ'이, 4번 키에는 'ㅣ'가, 5번 키에는 'ㅏ'와 'ㄴ'이, 6번 키에는 'ㅑ'와 'ㅇ'이, 7번 키에는 격음,경음 기능키(△)가, 8번 키에는 'ㅜ'와 'ㅁ'이, 9번 키에는 'ㅠ'와 'ㄹ'이, * 키에는 기호들이, 0번 키에는 'ㅓ'와 'ㅂ'이, #키에는 'ㅕ'와 'ㅅ'이 배정되어 있다. 키패드에는 모음은 크게 중앙에 배치표시하고, 자음은 외곽에 작게 표시하고 테두리를 쳐서 구분하여 자모 구별이 용이하도록 한다. 위에서 기호들은 ,.?!∨∧-:; 등이 배정되어 * 키를 누르면 순환되면서 입력되게 한다. 나아가, 기호들은 2개 문자가 조합되어 생성되는 문자가 없는 2개 문자가 배정된 키들을 조합누름하여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호들은 ⓐ,ⓑ,ⓒ,ⓓ,ⓔ 자리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고, 그 양쪽의 'ㅗ'+'ㅛ', 'ㅛ'+'ㅑ', 'ㅑ'+'ㅠ', 'ㅠ'+'ㅕ', 'ㅓ'+'ㅕ'로서 오버랩누름 또는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문자 입력예 2]
위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한글입력방법이 적용된 휴대폰 자판에서 아래의 문장을 들어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 입력예에서 자모 뒤의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키 번호를 나타내며, 조합누름은 2타로 계산한다.
① 입력문장 : '학교에 간다'
- 본 방법 : 'ㅇ(6)'+격음키(9)→'ㅏ(5)'→'ㄱ(2)'→'ㄱ(2)'→'ㅛ(3)'→'ㅇ(6)'→'ㅓ(0)'+'ㅣ(4)'→'ㄱ(2)'→'ㅏ(5)'→'ㄴ(5)'→'ㄷ(3)'→'ㅏ(5)'
=> 총 14회
- 종래 방법(천지인 방식) : 'ㅎ(ㅅ키 2번누름)'→'ㅣ'+'ㆍ'→'ㄱ'→'ㄱ'→'ㆍ'+'ㆍ'+'ㅡ'→'ㅇ'→'ㆍ'+'ㅣ'+'ㅣ'→'ㄱ'→'ㅣ'+'ㆍ'→'ㄴ'→'ㄷ'→'ㅣ'+'ㆍ'
=>총 20회
위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장 '학교에 간다'를 입력할 경우 종래 방법의 경우 총 20회의 키입력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총 14회의 키입력만 있으면 되어, 종래 방법에 비해 입력타수를 30%나 줄일 수 있다.
② 입력 문장 : '표현의 자유'
- 본 방법 : 'ㅂ'+격음키→'ㅛ'→'ㅇ'+격음키→'ㅕ'→'ㄴ'→'ㅇ'→'ㅡ'+'ㅣ'→'ㅈ'→'ㅏ'→'ㅇ'→'ㅠ'
=> 총 14타
- 종래 방법(천지인 방식) : 'ㅍ(ㅂ키 2회누름)'→'ㆍ'+'ㆍ'+'ㅡ'→'ㅎ(ㅅ키 2회누름)'→'ㆍ'+'ㆍ'+'ㅣ'→'ㄴ'→'ㅇ'→'ㅡ'+'ㅣ'→'ㅈ'→'ㅣ'+'ㆍ'→'ㅇ'→'ㅡ'+'ㆍ'+'ㆍ'
=> 총 21타
위의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장 '표현의 자유'를 입력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총 14회의 키입력만 있으면 되지만, 종래 방법으로는 총 21회의 키입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방법에 비해 30%이상의 입력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방법은 특히 모음입력에 강점이 있으며, 'ㅛ,ㅠ,ㅕ,ㅑ'를 포함하는 문장의 입력을 보다 쉽게 하며 보다 많은 입력타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많은 자음과 모음을 1번의 입력으로 가능하므로, 종래의 비교예와 비교해 볼 때 입력타수가 상당히 감소되어 보다 빠르고 편리한 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 모음들을 중앙에 배치하고 조합원리에 따라 2개 키의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또는 장단의 연속누름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각 키에 자음과 모음을 각각 하나씩 배열하고 자모입력순서에 따라 선택되어 입력되게 함으로써 문자입력이 보다 적은 타수로 수월하고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는 기본 모음들을 중앙에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함에 의해 문자의 식별성이 우수하다. 특히, 모음의 경우 모음조합원리에 입각하여 다아아몬드 형태로 기본 모음을 배치하여 조합원리가 쉽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조합모음의 학습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각 키의 비어 있는 두번째 자리 이상에는 기호들을 배정하여 더블 클릭을 계속하면 순환입력되게 함으로써 기호입력의 용이성을 배가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입력에 동시누름, 오버랩(overlap)누름, 장단연속누름의 조합누름 개념을 도입함에 의하여 키의 활용도를 높여 한정된 개수의 키에 되도록 많은 자모의 입력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위와 같은 조합누름의 개념도입으로 기존의 순환입력방식을 폐지함에 따라 입력된 문자가 확정되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어 문자입력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문자입력 메카니즘은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프로그램으로 써 구현되며, 따라서 기존의 문자입력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구조변경없이 프로그램만 변경하면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기존 제품에 적용이 간편하고 용이하다.

Claims (19)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6개의 기본모음 "ㅡ,ㅣ,ㅏ,ㅓ,ㅗ,ㅜ"를 12개의 키들 중 5개의 키들에 배정하되, 'ㅣ,ㅡ'를 하나의 중앙키에 배정하고 상기 'ㅣ,ㅡ'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키에는 'ㅗ', 하측 키에는 'ㅜ', 좌측 키에는 'ㅓ', 우측 키에는 'ㅏ'가 위치하도록 배정하고,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을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은 조합생성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본 모음 및/또는 상기 기본 자음의 2개의 키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앙키는 5번 또는 8번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합누름은 2개의 서로 다른 키들을 동시에 누르는 동시누름이거나, 하나의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겹쳐 누르는 오버랩(overlap)누름이거나, 2개의 서로 다른 키를 연속하여 누르되 하나는 길게 다른 하나는 짧게 누르는 장단연속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음 중 하나의 키에 배정된 'ㅣ'와 'ㅡ'는 첫번째 자리와 두번째 자리에 배정되고, 첫번째 자리에 배정된 'ㅣ'는 해당 키를 한번 누르면 입력되고, 두번째 자리에 배정된 'ㅡ'는 더블 클릭하거나 길게 누르면 입력되게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6개의 기본모음 "ㅡ,ㅣ,ㅏ,ㅓ,ㅗ,ㅜ"를 12개의 키들 중 5개의 키들에 배정하되, 'ㅣ,ㅡ' 중 어느 하나는 중앙키에 배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2개의 키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며, 상기 중앙키에 배정된 'ㅣ' 또는 'ㅡ'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키에는 'ㅗ', 하측 키에는 'ㅜ', 좌측 키에는 'ㅓ', 우측 키에는 'ㅏ'가 위치하도록 배정하고,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을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은 조합생성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기본 모음 및/또는 상기 기본 자음의 2개의 키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앙키는 5번 또는 8번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합누름은 2개의 서로 다른 키들을 동시에 누르는 동시누름이거나, 하나의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겹쳐 누르는 오버랩(overlap)누름이거나, 2개의 서로 다른 키를 연속하여 누르되 하나는 길게 다른 하나는 짧게 누르는 장단연속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음기능키는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 자음이 배정된 키 중에서 선택되어 키를 한번 누르면 그에 배정된 기본 자음이 입력되거나 아니면 격음기능이 수행되며,
상기 경음기능키는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 자음이 배정된 키 중에서 선택되어 키를 한번 누르면 그에 배정된 기본 자음이 입력되거나 아니면 경음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음기능키는 'ㄴ'이 배정된 키이고, 상기 경음기능키는 'ㅇ'이 배정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에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은 'ㄹ'과 'ㅁ'이고, 상기 'ㄹ'과 'ㅁ'은 각각 상기 기본 모음의 조합 'ㅗ'+ 'ㅓ' 및 'ㅏ'+'ㅜ'의 어느 하나의 조합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삭제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ㅓ'가 배정된 키를 더블 클릭하면 'ㅖ'가 입력되고, 상기 'ㅏ'가 배정된 키를 더블 클릭하면 'ㅒ'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삭제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기본모음을 "ㅡ,ㅣ,ㅏ,ㅓ,ㅗ,ㅜ"의 6개로 하고, 상기 'ㅣ,ㅡ'는 중앙에 위치한 5번 또는 8번의 중앙키에 배정되고, 상기 'ㅗ'는 상기 중앙키의 상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ㅜ'는 상기 중앙키의 하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ㅓ'는 중앙키의 좌측키에 배정되고, 상기 'ㅏ'는 중앙키의 우측키에 배정되어, 상기 6개의 기본모음들이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열되며,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 중 'ㄱ,ㄴ,ㄷ,ㅂ,ㅅ,ㅈ,ㅇ' 7개를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 'ㄹ,ㅁ'은 상기 기본 모음의 'ㅗ'+'ㅓ', 'ㅏ'+'ㅜ' 조합의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 또는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기본모음을 "ㅡ,ㅣ,ㅏ,ㅓ,ㅗ,ㅜ"의 6개로 하고, 상기 'ㅣ,ㅡ' 중 어느 하나는 중앙에 위치한 5번 또는 8번의 중앙키에 배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2개의 키의 조합누름 또는 중앙키의 길게 누름에 의해 입력되게 하며, 상기 'ㅗ'는 상기 중앙키의 상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ㅜ'는 상기 중앙키의 하측 키에 배정되고, 상기 'ㅓ'는 중앙키의 좌측키에 배정되고, 상기 'ㅏ'는 중앙키의 우측키에 배정되어, 상기 6개의 기본모음들이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열되며,
'ㄱ,ㄴ,ㄷ,ㄹ,ㅁ,ㅂ,ㅅ,ㅈ,ㅇ'을 기본 자음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본 자음 중 'ㄱ,ㄴ,ㄷ,ㅂ,ㅅ,ㅈ,ㅇ' 7개를 나머지 7개의 키에 하나씩 배정하되 배정되고 남은 2개의 기본 자음 'ㄹ,ㅁ'은 상기 기본 모음의 'ㅗ'+'ㅓ', 'ㅏ'+'ㅜ' 조합의 누름으로써 입력되게 하고, 상기 기본 자음의 격음과 경음은 각각 격음기능키와 경음기능키를 조합하여 입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음기능키는 'ㄴ'이 배정된 키이고, 상기 경음기능키는 'ㅇ'이 배정된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음들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열된 키들을 연결하여 다이아몬드 형태의 가는선으로 구획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10개의 키 각각에는 10개의 모음 'ㅡ,ㅣ,ㅗ,ㅜ,ㅓ,ㅏ,ㅛ,ㅠ,ㅕ,ㅑ'와 9개의 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이 각각 하나씩 배정되고 자모의 입력순서가 교번하도록 설정되며, 각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모의 입력순서에 따라, 입력순서가 자음 차례이면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모음 차례이면 모음이 선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의 입력순서에 따른 자모의 선택입력은 다음 규칙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다음]
1. 입력되는 문자들은 자음과 모음이 교번되고, 만약 길게 누른 입력신호가 있으면 그 입력은 항시 종성으로 판단한다. 단, 자모순서에서 기능키의 입력은 제외한다. 물론, 종성 입력후의 다음 입력은 반드시 초성으로 판단한다.
2. 연속되는 자음 키의 입력시 뒤에 입력되는 자음 키를 길게 누르면 쌍받침으로 판단한다.
3. 자음 입력 후 격음,경음화 기능키를 한번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자음의 격음으로 인식하고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 경음으로 인식한다.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12개의 키 중 자모가 배정되지 않은 1개의 키는 자음을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화시키는 기능키로 할당되고, 상기 기능키를 한번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자음이 격음화되고,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 경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12개의 문자입력키가 마련된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10개의 키 각각에는 10개의 모음 'ㅡ,ㅣ,ㅗ,ㅜ,ㅓ,ㅏ,ㅛ,ㅠ,ㅕ,ㅑ'와 9개의 자음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이 각각 하나씩 배정되고,
상기 12개의 키 중 자모가 배정되지 않은 1개의 키는 자음을 격음 또는 경음으로 변화시키는 기능키로 할당되어, 상기 기능키를 한번 누르면 앞에 입력된 자음 이 격음화되고, 두번 연속해서 누르면 경음화되게 하고,
각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모의 교번되는 입력순서에 따라, 입력순서가 자음 차례이면 하나의 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 중에서 자음이 선택되어 입력되고, 모음 차례이면 모음이 선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12개의 키 중 자모 및 기능키로 배정되지 않은 나머지 1개의 키에 키 누름에 의해 순환되며 입력되게 기호들이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기호는 조합생성문자가 없는 2개의 상기 기본 자음 및/또는 상기 기본 모음의 2개의 키를 조합누름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
KR1020050111885A 2005-11-22 2005-11-22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KR10071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885A KR100714066B1 (ko) 2005-11-22 2005-11-22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885A KR100714066B1 (ko) 2005-11-22 2005-11-22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066B1 true KR100714066B1 (ko) 2007-05-02

Family

ID=3826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885A KR100714066B1 (ko) 2005-11-22 2005-11-22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504Y1 (ko) * 2009-06-29 2009-11-05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한글 입력용 키패드
KR101040610B1 (ko) 2009-03-10 2011-06-10 박남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한글 입력 키패드 및 한글 입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760A (ko) * 2003-03-20 2004-09-30 (주)블루버드 소프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92626A (ko) * 2003-04-24 2004-11-04 (주)네이스텍 한글 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단말 장치
KR20050005158A (ko) * 2003-07-05 2005-01-13 송우찬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540942B1 (ko) 2003-03-25 2006-01-10 강윤기 한글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760A (ko) * 2003-03-20 2004-09-30 (주)블루버드 소프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540942B1 (ko) 2003-03-25 2006-01-10 강윤기 한글 입력 방법
KR20040092626A (ko) * 2003-04-24 2004-11-04 (주)네이스텍 한글 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단말 장치
KR20050005158A (ko) * 2003-07-05 2005-01-13 송우찬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10B1 (ko) 2009-03-10 2011-06-10 박남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한글 입력 키패드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0446504Y1 (ko) * 2009-06-29 2009-11-05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한글 입력용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77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TW200823725A (en) Input device
KR100714066B1 (ko) 모바일 기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를 적용한 키패드
KR100365671B1 (ko) 한글을 숫자 키패드에 배열하는 장치
KR20060033275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KR100322914B1 (ko)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714067B1 (ko) 모바일기기의 한글입력방법
JP2001331253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100470698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586319B1 (ko)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100580146B1 (ko)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KR100350781B1 (ko) 조그다이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JP4130458B2 (ja) モバイル機器の日本語入力方法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JP2008131581A (ja) モバイル器機の日本語文字入力方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536553B1 (ko) 한글 키패드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KR101088072B1 (ko) 한글 키패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문자 생성 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190459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일본어(카나)의 입력자판 및 입력방법
KR20090010144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숫자 조합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