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994B1 -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 Google Patents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994B1
KR100694994B1 KR1020050050608A KR20050050608A KR100694994B1 KR 100694994 B1 KR100694994 B1 KR 100694994B1 KR 1020050050608 A KR1020050050608 A KR 1020050050608A KR 20050050608 A KR20050050608 A KR 20050050608A KR 100694994 B1 KR100694994 B1 KR 10069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ny forming
granulocyte colony
human granulocyte
forming factor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889A (ko
Inventor
고형곤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994B1/ko
Priority to CNA2006800211595A priority patent/CN101198357A/zh
Priority to US11/917,335 priority patent/US8088899B2/en
Priority to JP2008516745A priority patent/JP2008543304A/ja
Priority to EP06768836A priority patent/EP1896081A4/en
Priority to BRPI0613332-0A priority patent/BRPI0613332A2/pt
Priority to PCT/KR2006/002238 priority patent/WO2006135176A1/en
Publication of KR2006012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3Colony-stimulating factor [CSF]
    • C07K14/535Granulocyte CSF; Granulocyte-macrophage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3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체내 지속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작된 신규의 생리활성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폴리펩티드와 폴리펩티드 성분이 아닌 중합체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결합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펩티드의 특정 부위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단백질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위를 선정하며, 이 부분에 대한 아미노산을 시스테인으로 변형을 수행하고, 이 변형된 위치에 폴리에틸렌 결합을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종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들을 코딩하는 유전자, 아미노산 서열 변경을 위한 프라이머 등을 제공한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체내 지속성,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시스테인 치환

Description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Isoforms}
도 1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 및 단백질의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N-말단부위에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킨 동종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C-말단부위에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킨 동종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리펩티드 중간 부위의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킨 동종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 벡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랫트에서의 체내 지속성을 조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rhG-CSF)의 체내 지속성을 증대시킨 새로운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동종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N 말단 또는 C 말단에 시스테인을 첨가한 동종체에 비단백질 부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공유결합시킨 동종체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생물학적으로 주된 기능은 호중구 과립구(neutrophilic granulocytes) 또는 호중구로 알려진 특정의 백혈구의 성장 및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자극하는 기능을 갖는다(Welte et al PNAS, 82, 1526-1530, 1985; Souza et al Science, 232, 61-65, 1986). 이와 같이 생성된 호중구 과립구는 혈류로 방출되었을 때, 미생물 감염에 대해 방어하는 기능을 한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아미노산 서열은 나가타 등(Nature, 319, 415-418, 1986)에 의해 보고 되었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는 그의 수용체 2개의 중합(dimerize)을 형성함으로 해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와 수용체를 2:2로 복합체(complex)를 형성 시킬 수 있는 단백질이다. (Horan et al, Biochemistry, 35, 4886-96, 1996)
아리토미 등은(Nature, 401, 713-717, 1999)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와 수용체의 BN-BC 도메인 복합체의 X-선 구조를 밝혔다. 그의 보고에 의하면 수용체 결합에서 접촉 또는 인접 부위에 존재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아미노산은 G4, P5, A6, S7, S8, L9, P10, Q11, S12, L15, K16, E19, Q20, L108, D109, D112, T115, T116, Q119, E122, E123, L124 임을 밝혔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단백질 공학으로 제작된 동종체가 몇몇 보 고되어 있다(USP5581476, USP5214132, USP5362853, USP4904584). 라이드할-올슨 등(Biochemistry, 1966, 35, 9034-9041)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Lys40, Val48, Leu49, Phe144의 아미노산이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수용체와 결합에 관여한다고 보고하였으며, 레이톤 등의(J. Biol. Chem., 2001, 276, 36779-36787) 보고에 의하면 Glu46, Leu49, Phe144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수용체의 임뮤노글로불린 유사부위(Ig-like domain)와 접촉하지만, Lys40과 Val49는 주변에 위치함으로써 수용체와 접촉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고 하였다. 레이톤 등은(J. Biol. Chem., 1999, 274, 17445-17451)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Glu19는 수용체의 Arg288과 상호작용을 하여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신호를 전달하는데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단백질에 인위적으로 유전자 조작의 방법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당쇄를 적어도 하나를 도입하는 것이 제시되고 있다(USP5218092). 이는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아미노산의 교체, 제거, 첨가 등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당쇄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폴리에틸렌의 결합을 포함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Satake-Ishikawa et al Cell Structure and Function, 17, 157-160, 1992; USP5824778, USP5824784, WO96/11953, WO95/21629, WO94/20069).
폴리펩티드 또는 그의 중합체의 체내에서 제거는 신장, 비장 혹은 간에서의 제거와 수용체 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receptor mediated degradation)로서 특정 단백질에 대해서 작용을 하는 기질 특이성을 갖거나 혹은 비 특이성을 갖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체내에서 단백질의 제거는 크기, 즉 사구체(glomerular filtration)에서의 여과를 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 단백질 분자가 갖고 있는 전하를 띤 정도, 당쇄화 부착 정도, 단백질에 대한 세포 표면의 수용체 등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신장에서 일어나는 제거는 단백질 또는 그의 중합체의 크기(물질의 지름), 대칭성, 형태/단단함의 정도(rigidity), 전하도(charge)등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좌우된다.
수용체 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단백질의 기능적인 작용을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나타난다. 초기에 백혈구의 수가 부족할 때에는 원시 조혈모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이 백혈구로의 분화 및 성장으로 나타나지만, 일단 백혈구의 수치가 증가되어 어느 정도의 수치에 달할 때에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의한 과도한 백혈구의 분화 및 성장을 막기 위해 생성된 백혈구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의해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제거가 이루어 진다. 원시 조혈모 세포와 백혈구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수용체 수는 약 1: 5의 비율을 나타낸다.
백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의한 단백질의 제거는 수용체 결합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단백질(receptor-bound polypeptide)이 세포의 내부로 도입된 후 엔도좀(endosome)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들이 존재하는 리소좀에 의한 분해(lysosomal degradation)에 의해 나타난다. 특히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대한 수용체 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의 연구는 사커와 라우펜버거 (Mol. Pharmacol., 2003, 63, 147-158) 사커등의(Nature biotech. 2002, 20, 908-913)에서 설명되고 있다.
단백질의 혈액 내에서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은, 주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신장에서 일어나는 제거와 수용체 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를 감소시켜야 한다. 이것은 외관상의 분자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는 중합물을 단백질에 결합시킴으로써 신장에서 일어나는 제거를 감소시키고, 생체 내에서 반감기의 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단백질에 중합물의 부착은 단백질 분해 효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비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에 대한 방지도 이룩할 수 있다.
이들 중합물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치료용 단백질 제품의 조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합물 중의 하나이다. 단백질 의약품을 합성 고분자와 결합시켜 단백질 분자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면 물 또는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생체 적합성을 증가시켜 면역 반응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생체 내에서의 안정성이 증가되며, 장관 시스템, 신장, 비장 또는 간에 의한 소실 (clearance)이 보다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단백질의 분자량이 작을 경우 장관 시스템 또는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실되는데, 고분자 PEG를 결합시키면 이를 방지하게 된다 (Knauf, M. J. et al, J. Biol. Chem. 263:15064, 1988). 따라서, 단백질 의약품에 고분자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수식하는 것은 용액 내에서 단백질 분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의 내인성 (intrinsic) 표면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비특이적 단백 질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에 PEG를 결합시켜 체내 반감기를 연장하고 용해도를 증가시키며 체내에서의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는 미국 특허 USP4,179,337호에서 처음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단백질과 PEG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부작용이 많이 감소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PEG와 결합한 후에는 그 단백질이 활성에 필요한 부위가 PEG에 의해 가려져 생체 활성도가 무척 감소한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많이 쓰이고 있는 PEG는 단백질 표면의 하나 이상의 자유 라이신 (lysine) 잔기와 공유결합을 하여 PEG가 단백질의 표면에 부착되는데, 이때 단백질의 표면 중 단백질의 활성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부위가 PEG와 결합하면 그 활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PEG와 라이신 잔기의 결합은 대개 무작위적으로 일어나므로 많은 종류의 PEG화된 단백질 결합체들이 혼합물로 존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결합체를 순수하게 분리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공개 제EP 0401384호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가 부가된 G-CSF의 제조를 위한 물질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고, 유럽 특허공개 제EP 0335423호는 인체 과립구 군체 자극 인자 활성도를 가지는 변형된 폴리펩티드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발명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가 예측 가능한 특정 잔기에 결합하지 않으며, PEG가 라이신 잔기와 같은 단백질 내부에 위치해 있는 어떠한 반응기나 N-말단에 비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불균질한 집단이 생성된다. 단백질의 특정 부위만을 PEG와 결합시키기 위해 미국 특허 USP5,766,897호 및 국제 특허공개공보 제WO 00/42175호는 인간 성장 호르몬과 PEG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PEG가 인간 성장 호르몬의 활성부위와 반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PEG-말레이미드를 사용하여 PEG가 시스테인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PEG를 사용하려면 인간 성장 호르몬에 이황화 결합에 관여하지 않은 자유 시스테인 잔기가 있어야 되지만 인간 성장 호르몬에 존재하는 4개의 시스테인 잔기는 모두 이황화 결합에 참여하고 있으므로 인간 성장 호르몬에 인위적으로 시스테인 잔기가 삽입된 인간 성장 호르몬 유도체를 사용하여 페길레이션 (pegylation) 반응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USP6,555,660, USP6,753,165, 미국특허공개 US2005/0058621, KR2002-0079778 등에서도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대한 여러 부분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을 시스테인으로 교체한 것을 언급하고 있다.
한편, 보웬 등(Experimental Hematology, 27, 425-432, 1999)은 폴리에틸렌 중합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서 폴리에틸렌의 분자량과 지속성에 연관성을 밝혔다. 시험관 실험에서의 단백질의 약효와 단백질에 결합한 폴리에틸렌 부분의 분자량 사이에는 역의 관계가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생체 내에서의 활성은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는 생리활성 단백질의 중합체가 수용체 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에서 낮은 친화성이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중합체는 생체 내에서 호중구의 회복을 이룩함에도 불구하고 시험관 에서의 활성도에서는 중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보다 열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20 kDa 폴리에틸렌글리콜을 N-말단에 하나 결합시킨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Neulasta).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는 증가된 반감기를 가짐으로써 투여 횟수를 줄일 수 있었다.
상품화 되어 있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는 대장균 유래의 필그라스팀(filgrastim: 상품명으로서 Gran과 Neupogen), 동물 세포인 중국 햄스터 난소세포(CHO)에서 생산된 레노그라스팀(lenograstim: 상품명으로서 Neutrogin과 Granocyte), 또한 대장균 유래로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단백질의 약효 증대를 위해 N-말단 부위에 5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킨 나토그리스팀(nartograstim: 상품명으로 Neu-up)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아미노산 서열이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활성이 떨어지거나 생체내 반감기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PEG을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결합할 때 균일한 생성물이 얻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아미노산 서열이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결합함으로써 활성이 우수하면서 생체내 반감기가 종래에 비하여 대폭 증가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폴리에 틸렌글리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정부위에서 아미노산 서열을 시스테인으로 치환 또는 첨가하여 변형하고 그 변형된 부위의 일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제공하다. 종래에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는 보통 폴리펩티드 내부의 서열을 변형하고 특정부위의 적당한 아미노산에 페길레이션(pegylation)함으로써 생체내 활성이나 지속성을 증대시켜 왔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폴리펩티드 양 말단에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여기에 페길레이션함으로써 종래의 동종체보다 생체내 활성 또는 지속성이 더욱 증대됨을 발견하여 완성된 것이다.
특히, 아미노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N 말단 부위의 Thr 앞에 또는 C 말단 부위의 Pro다음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상기 첨가되는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은 시스테인이며, 상기 시스테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결합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에서 N 말단에는 Met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공지된 사실이고, Met을 포함할 경우 첨가되는 시스테인은 상기 Met과, N 말단의 쓰레오닌 사이에 첨가될 수 있고, 이들 동종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각각의 말단 부위에 첨가되는 상기 아미노산은 각각 1 내지 12개가 첨가될 수 있는데, 1개의 시스테인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스테인은 C 말단에 첨가되는 175C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첨가되는 시스테인에 공유적으로 결합하고, 그 분자량은 20kDa 내지 40kDa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측쇄가지를 가진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들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 말단 또는 C 말단에 시스테인이 첨가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형하기 위한 프라이머로 사용되는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가 제공된다.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 내지 7의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 및 단백질의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아미노산 서열번호 1은 도 1에 도시된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1 위치의 Met만 차이가 있고 다른 서열은 동일하다.
도 2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N-말단부위에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 킨 동종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AA는 아미노산들을 표시하며, n은 아미노산의 개수를 표시한다.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또한 여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한다.
도 3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C-말단부위에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킨 동종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AA는 아미노산들을 표시하며, n은 아미노산의 개수를 표시한다. n은 1 내지 12의 정수이다. 또한 여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한다.
도 4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당쇄화 부위에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킨 동종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133번 위치의 쓰레오닌이 시스테인으로 바뀌어 표시되어 있으며, 이 시스테인 위치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공유결합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은 동종체는 종래기술에 공지된 기술이다(예컨대, 한국특허공개번호 KR2002-0079778).
도 5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 벡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모터는 박테리오 파지 람다의 PR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실험에 사용되는 대장균에서 발현을 위해 플라스미드 벡터에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 cI857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렛트에서의 체내 지속성을 조사한 것이다. 시험물질은 대조물질로서 담체(PBS)와 T133C20kDa(Br)(G-CSF의 133 위치 쓰레오닌 대신에 시스테인을 치환하고 상기 치환된 시스테인에 2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으로 한국특허공개번호 KR2002-0079778에 기재된 동종체), 현재 상업적으로 시판중인, 20 kDa PEG을 N 말단에 결합한 Neulasta(암겐사제), N+20kDa(Br)(G-CSF의 N 말단의 메티오닌과 쓰레오닌 사이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1C) 상기 첨가된 시스테인에 2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 175C+20kDa(Br)(G-CSF의 C 말단의 174 위치 Pro 다음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 상기 첨가된 시스테인에 2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 및 175C+40kDa(Br) (G-CSF의 C 말단의 174 위치 Pro 다음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 상기 첨가된 시스테인에 4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 동종체를 각각 PBS로 희석하여 조제한 후 투여당일 측정된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100ug/kg 용량으로 Rat의 꼬리 미정맥에 투여하였다. 투여횟수 및 투여기간은 시험 개시일 단회 투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단백질 구조 및 그를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들이 활성에 미치는 영향들을 종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을 위해 기본이 된 자료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구조 및 구성 아미노산이 활성에 미치는 정보, 추가로 아미노산의 변형 후, 단백질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GOR4 단백질 2차구조 분석 예측법(http: us.expasy.org의 secondary structure prediction내에 GOR program)의 결과를 참고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동종체(isoform)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고유 아미노산 서열 잔기 하나에서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 변형이 이루어졌으나 그의 고유한 활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유사체(analogs), 변이체(variants, muteins), 결합체(conjugates) 등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아미노산의 삼문자(일문자)는 생화학 분야에서의 표 준 약어규정에 따라 다음의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Ala(A): 알라닌; Asx(B): 아스파라긴 또는 아스파르트산; Cys(C): 시스테인;
Asp(D): 아스파르트산; Glu(E): 글루탐산; Phe(F): 페닐알라닌; Gly(G): 글라이신;
His(H): 히스티딘; IIe(I): 이소류신; Lys(K): 라이신; Leu(L): 류신; Met(M): 메티오닌;
Asn(N): 아스파라긴; Pro(P): 프롤린; Gln(Q): 글루타민; Arg(R): 아르기닌; Ser(S): 세린;
Thr(T): 쓰레오닌; Val(V): 발린; Trp(W): 트립토판; Tyr(Y): 티로신;
Glx(Z):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
본원 명세서에 표기되는 "(아미노산일문자)(아미노산위치)(아미노산일문자)"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해당 아미노산 위치에서 선행 표기된 아미노산이 후행 표기된 아미노산으로 치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T133C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133번에 해당하는 쓰레오닌이 시스테인으로 치환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원 명세서에 특정 부위의 아미노산 변형을 일으키기 위해서 프라이머는 "(아미노산일문자)(아미노산위치)(아미노산일문자)1 또는 2"로 표기되어 있는데 여기서 1은 이중 가닥 주형 중에서 5'→3'방향으로 진행되는 단일 가닥 주형을 위한 프라이머이고 2는 이중 가닥 중에서 3'→5'방향으로 진행되는 단일 가닥 주형을 위한 프라이머를 말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확보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는 하나 이상 선택된 코돈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변형이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돈을 치환 또는 첨가함으로써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아미노산 서열상에서 변화를 일어나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아미노산 서열상에 첫 번째 아미노산인 쓰레오닌 앞에 시스테인을 첨가시킨 것, C-말단의 프롤린 다음에 시스테인을 첨가시키는 것, 이들 말단부의 변형에 더 나아가 폴리펩티드 서열의 중간 부위에서의 서열 변경 등을 말한다.
예를 들면, T133C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133번에 해당하는 쓰레오닌이 시스테인으로 치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서 목적한 아미노산 변형을 암호화하는 코돈(codon)을 포함하는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길이면에서 약 27-36개 뉴클레오타이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사용된다. 더 짧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도입될 수도 있지만 최적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변형을 암호화한 뉴클레오타이드의 양쪽으로 주형에 상보적인 12개 내지 15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주형 DNA에 충분히 혼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미노산 변형의 생성을 위해서 사용한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당업계에 공 지된 기술에 의해서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아미노산이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DNA를 제작한다. 이 경우,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DNA( 도 1)를 주형으로 하고, 변형을 암호화한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프라이머(primer)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한다. PCR의 가열(heating) 단계에서 이중 가닥 주형이 분리되면 각각의 단일 가닥 주형에 상보적인 프라이머가 혼성화(hybridzation)된다. DNA 합성효소(DNA polymerase)는 변형을 암호화한 프라이머의 -OH기로부터 주형에 상보적인 뉴클레오타이드를 5′→ 3′ 방향으로 연결시켜 나간다. 결과적으로, 두 번째 가닥은 변형을 암호화한 프라이머를 포함하게 되므로 유전자 상에서 목적한 변형을 암호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두 번째 가닥은 PCR의 반복되는 복제 단계에서 주형 DNA로 작용하게 되므로 변형을 암호화한 유전자는 계속 증폭될 것이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폴리펩티드 중간에서의 아미노산 서열의 변형을 T133C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T133C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133번에 해당하는 쓰레오닌이 시스테인으로 치환시키기 위해서 천연형의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DNA(도 1)를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 N-term과 T133C2 그리고 T133C1과 C-term을 각각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에 해당하는 코돈으로 변형된 두 개의 DNA 단편을 얻을 수 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두 가지의 DNA 단편을 넣어주고 N-term, C-term을 프라이머 쌍으로 하여 두 번째 PCR을 수행하면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으로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T133C의 변형 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N 말단 또는 C 말단에서의 아미노산이 첨가된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제작은 N-말단과 C-말단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부위에 대한 변형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N-말단에 대해서는 Met-(AA)n-Thr-와 같은 서열이 되며, C-말단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ln-Pro-(AA)n의 서열을 갖게 된다. 여기서 AA는 임의의 아미노산을 표시하며, 여기에는 주로 분자량이 작으면서 특정한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 아미노산으로 글라이신 세린 알라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A에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테인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또한 n은 아미노산의 개수를 나타내며 n은 1부터 12개 까지의 아미노산 갯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추가로 부가된 아미노산에 의해 생체 내에서 이종 단백질로 인식하여 항체를 형성하기 위해 인지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수로서 아미노산의 수가 대략 12개 이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범위를 피하기 위한 아미노산의 최대한 가능한 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가적인 아미노산을 갖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유전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N-말단의 경우에는 Met-(AA)n-Thr-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짐으로써 ATG-(NNN)n-ACT-의 DNA 염기서열을, C-말단의 경우에는 -Gln-Pro-(AA)n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짐으로써, -CAG-CCG-(NNN)n-TAA의 DNA 염기서열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NNN은 해당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DNA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작된 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해당 프라이머를 도 1에 표시 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말단에 1개의 글라이신과 시스테인이 첨가된 경우를 보면 N-말단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이 Met-(Gly-Cys-)Thr-이 될 수 있다. 이때에 사용될 프라이머의 고안은 GTAATAAATA-ATG-(GGT-TGT-)ACT-로 할 수 있으며, 이를 도 1의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 주형을 이용하여, 표 1에 표시된 C-term 프라이머와 함께 사용하여 Met-(Gly-Cys-)Thr-의 서열을 갖는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작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유전자를 다시 N-term과 C-term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다시 PCR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N 말단 또는 C 말단에 아미노산의 첨가하고 더 나아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리펩티드 중간부위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후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N 말단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리펩티드내의 133 위치의 쓰레오닌을 시스테인으로 치환하는 예로서 -1C/T133C는, 이미 제작한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 N-term과 T133C2 그리고 T133C1과 C-term을 각각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에 해당하는 코돈으로 변형된 두 개의 DNA 단편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두 가지의 DNA 단편을 넣어주고 N-term, C-term을 프라이머 쌍으로 하여 두 번째 PCR을 수행하면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으로 변형되고, N 말단의 쓰레오닌 앞에 시스테인이 첨가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1C/T133C의 변형 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133 위치 이외의 동종체의 제작도 각각의 해당하는 DNA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상기 -1C/T133C 동종체의 제작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N 말단 또는 C 말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이 첨가된 동종체의 폴리펩티드 중간 부위에서의 아미노산 변형 위치는 기존에 공지된 위치가 이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리펩티드 중간부위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종래기술로서는 한국특허등록 KR0248111(N-말단 폴리에틸렌 글리콜화된 G-CSF 또는 그의 유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한국특허공개2002-0007297(G-CSF 결합체), 한국특허공개KR2002-0079778(지-씨에스에프 접합), 한국특허공개2004-0084884((지-씨에스에트 접합체), USP5214132(Polypeptide derivatives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P5416195(Polypeptide derivatives of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미국특허공개US2003-0158375(G-CSF polypeptides and conjugates), US2004-0214287, US2005-0058621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USP5214132, USP5416195, US2004-0214287, 등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리펩티드의 1, 3, 4, 5, 및 17번 위치의 아미노산을 각각 Ala, Thr, Tyr, Arg 또는 Ser로 치환하거나 17번 위치의 아미노산인 시스테인을 알라닌 또는 세린으로 치환하고 있다.
이들 문헌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다. 또한, 이들에 기재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조방법, 페길레이션 방법 등도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은 본 분야에 공지된 표준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자동 DNA 합성기(예, 바이오서치,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TM)를 사용하여 합성할 수도 있다.
연관된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 및 이러한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된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폴리펩티드"란 용어는 단백질 또는 생리활성 단백질이란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동종체"는 원래의 생리활성 단백질의 주요 기능은 갖고 있으나, 유전자 조작 또는 다른 조작을 통해 변형된 생리 활성 단백질을 의미한다. 여기서 변형이란 아미노산 서열의 치환, 첨가 및 결실을 의미하며, 이러한 변형 중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결합을 위하여 시스테인으로의 치환 또는 첨가를 포함한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시스테인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합물이 화학 반응에 의해 공유결합적으로 결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체내 지속성"은 생리활성 단백질이 사람 혹은 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신장에서의 제거 등을 통해서 초기에 투여된 생리활성 단백질의 총량 및 활성이 감소됨으로 인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 다. 따라서 생리활성 단백질이 체내에서 기능을 할 수 있는 정도의 단백질의 잔류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체내에서의 생리활성 단백질의 반감기로 나타낸다.
본원 명세서에 사용된 "벡터"란 용어는 외래 유전자를 숙주 세포 내로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운반체로서의 DNA 분자를 말한다. 유용한 벡터가 되기 위해서는 복제될 수 있어야 하며, 숙주 세포 내로 유입할 수 있는 방안을 갖추어야 하고, 자신의 존재를 검출 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재조합 발현 벡터"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외래 유전자가 숙주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벡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환상의 DNA 분자를 말한다.
재조합 발현 벡터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가 삽입된 DNA 벡터가 생성될 수 있다. 재조합 발현 벡터의 제작에 있어서,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이, 숙주 세포에서 형질감염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유전자가, 선택된 발현 숙주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는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현 조절서열 및 해당 유전자를 세균 선택 마커 및 복제 개시점(replication origin)을 같이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발현 벡터 내에 포함되게 된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암호화한 유전자뿐만 아니라 상기의 구성 성분들(즉, 조절서열)을 포함하는 적합한 벡터의 제작은 기본적인 재조합 DNA기술을 사용해서 제작할 수 있다. 목적한 벡터를 형성하기 위해서 분리된 각각의 DNA 단편들이 결합되려면 먼저 제한 효소로 절단한 다음 특정한 순서(order)와 방향(orientation)을 고려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DNA는 적절한 완충액(buffer)내에서 특정한 제한 효소를 사용해서 절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 0.2∼1ug의 플라스미드 또는 DNA 단편은 대략 20μl의 버퍼용액에 해당 제한 효소 약 1∼2 단위와 함께 사용된다. 적절한 버퍼, DNA농도, 반응 시간과 온도는 제한 효소의 제조업체에 의해서 특정된다. 일반적으로, 37℃에서 약 한 두시간 정도 반응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일부 효소들은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반응 후에, 효소와 다른 불순물들은 페놀과 클로로포름의 혼합물로 상기 소화용액을 추출함에 의해서 제거되고 DNA는 에탄올로 침전시켜 수용액 층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이때 DNA 단편들이 기능성 벡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되기 위해서는 DNA 단편의 말단이 서로 상용성이 있어야만 한다.
절단된 DNA 단편들은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해서 크기별로 분류되고 선택되어야 한다. DNA는 아가로스나 폴리아크릴아미드 매트릭스(matrix)를 통해서 전기영동될 수 있다. 매트릭스의 선택은 분리될 DNA 단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 영동 후에 DNA는 전기용출(electroelution)에 의해서 매트릭스로부터 추출되거나, 매트릭스로부터 추출되거나, 저용융 아가로스가 사용되었다면 아가로스를 용융시키고 그로부터 DNA를 추출한다.
연결되어야 할 DNA 단편들은 동일한 몰양으로 용액에 첨가되어야 한다. 그 용액은 ATP, 연결 효소(ligase) 완충액, DNA 0.5ug당 약 10 단위의 T4 연결효소(ligase)와 같은 연결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DNA 단편이 벡터에 연결되려면, 먼저 벡터는 적합한 제한효소에 의해서 절단되어 선형화되어야 한다. 선형화된 벡터는 알칼리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 또는 소 내장의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산 가수분해 효소 처리는 연결 단계 동안에 벡터의 자가 연결(self-ligation)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제작된 재조합 발현 벡터로 숙주 세포를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시킨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문헌(Davis et al., Basic Methods in Molecular Biology(1986)) 및 문헌(Sambrook, J., et al.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과 같은 기본적인 실험 지침서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서 숙주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숙주 세포로 도입하는데 바람직한 방법은 칼슘클로라이드 형질전환(calcium chloride transformation), 전기천공(electroporation)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산 방법에서, 숙주 세포들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해서 폴리펩타이드의 생산에 적합한 영양 배지에서 배양된다. 예를 들어서, 세포들은 적당한 배지와 폴리펩타이드가 발현 및/또는 분비되는 것을 허용하는 조건 하에, 실시된 실험실 또는 산업용 발효기에서 소규모 또는 대규모 발효, 셰이크 플라스크 배양에 의해서 배양될 수 있다. 배양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해서, 탄소, 질소 공급원 및 무기염을 포함하는 적절한 영양배지에서 일어난다. 배지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가 영양배지로 직접 분비된다면 폴리펩타이드는 배지로부터 직접 분리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가 분비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세포의 파쇄액(lysate)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 어서, 이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심분리, 여과, 추출, 분무 건조, 증발, 또는 침전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서 영양 배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폴리펩타이드는 크로마토그래피(예를 들면, 이온 교환, 친화성, 소수성 및 크기별 배제), 전기영동, 분별용해도(예를 들면,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SDS-PAGE 또는 추출을 포함하여 일반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정제될 수 있다.
정제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페길레이션된다.
페길레이션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적합한 "비단백질 부분"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바람직하며, 특히 측쇄가지를 가진(branched)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POE), 폴리트리메틸렌 글리콜(polytrimethylene glyco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및 그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 폴리(아미노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포스파진(polyphosphazenes), 폴리(L-라이신)[poly(L-lysine)],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PAO),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등의 수용성 고분자 및 덱스트란(dextran),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아크릴 아미드(polyacryl amide) 등의 비 면역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유도체의 합성에 사용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약 2,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20,000 내지 4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G-CSF의 티올 기를 통하여 G-CSF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반응성 작용기와 결합될 수 있다. "반응성 작용기"란 목적하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과 결합하기 위해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활성화시키는 기(group) 또는 잔기(moiety)를 말한다.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생물학적 활성 물질에 결합시키기 위해 말단 기 중 하나를 반응성 작용기로 전환시키는데 이 과정을 "활성화"라 한다.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이드록실 말단 기 중 하나를 카보네이트와 같은 반응성 작용기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얻어진 생성물은 활성화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생체적합성 비단백질 부분 고분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반응성 작용기는 말레이미드(maleimide), 아세트아미드(acetamide), 펜텐산 아미드(pentenoic amide), 부텐산 아미드(butenoic amid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cyanuric chloride), 1,4-벤조퀴논(1,4-benzoquinone), 디설파이드(disulfides)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PEG를 단백질의 티올 기를 통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공지된 방법들의 예는 하기와 같다. 예를 들면, PEG-말레이미드(maleimide)를 사용하여 마이클 반응(Michael reaction)에 의해 활성화된 이중 결 합에 티올 기가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Ishii et al., Biophys J. 1986, 50:75-80]. 또한, 단백질 화학에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PEG-요오도아세트아미드(iodoacetamide) 시약을 사용한 방법이 있다. 이 변형 방법은 강한 산성 가수분해에 의해, 표준 아미노산 분석에 의해 동정되고 정량될 수 있는 안정한 형태의 PEG가 결합된 시스테인 유도체인, 카르복시메틸시스테인을 만드는 이점이 있다[Gard FRN. Carboxymethylation. Method Enzymol 1972;B25:424-49]. 이외에도, PEG-오르토-피리미딜-디설파이드를 사용하여 안정한 대칭 이황화물을 얻는 방법[Woghiren et al. Bioconjgate Chem 1993, 50:75-80]; 활성화된 PEG인, 설포석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 활성-PEG를 시스테인의 티올 기에 반응시켜 공유 결합시키는 방법[USP5,166,322호]; 활성화된 PEG인 말레이미도-6-아미노카프로일 에스테르-활성화된 PEG4000을 특정 부위에 시스테인을 치환시킨 IL-2 변이체에 반응시켜 시스테인 잔기에 접합시키는 방법[USP5,206,344호]; 감마-말레이미도부틸산 및 베타-말레이미도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티올 기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Rich et al., J. med. Chem. 18, 1004, 1975]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행한 페길레이션법은 NOF사의 mPEG20,000-말레이미드, branched mPEG20,000-말레이미드, branched mPEG40,000을 사용하였으며,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에 대한 20배의 몰 비율로 사용하였으며, 반응은 0.1M 인산 완충용액(pH 7-8) 속에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행하였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제는 도입된 투여용량과 농도에서 투여자에게 독성이 없어야 하고 그 제제의 다른 구성성분들과 상용성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당해 제제는 폴리펩타이드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진 산화제 또는 기타 물질들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적합한 담체는 인산, 시트르산, 및 그 외 유기산과 같은 버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한 항산화제; 저분자량 폴리펩타이드; 혈장 알부민, 젤라틴, 및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 글라이신,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글루코오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한 단당류, 이당류, 그 외 탄수화물; EDTA같은 킬레이트 인자; 아연, 코발트,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이온;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당알코올;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카운터이온(counterion); 및/또는 트윈(Tween), 플루로닉(Pluronic),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당쇄화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가 치료를 위한 투여용으로 사용되려면 멸균되어야만 한다. 멸균은 멸균 여과 막(sterile filtration membrane)을 통한 여과를 통해서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치료용 당쇄화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멸균 접근 포트(sterile access port)를 가지고 있는 용기 예를 들면, 피하주사 바늘에 의해서 관통될 수 있는 마개를 가지고 있는 정맥 주사액 백(bag) 또는 바이알(vial)에 보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는 비경구 투여를 포함한, 적절한 기술에 의해서 동물에게 직접적으로 투여되고, 국소적 또는 전신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적인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를 이용해서 인지되었거나 예상되는 부작용을 포함한 환자의 병력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다. 비경구 투여의 예는 피하조직,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투여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투여는 지속적인 주입 (예를 들면 삼투압 펌프와 같은 미니 펌프) 또는 주사 예를 들면, 정맥내 또는 피하조직내 경로를 통하는 것이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경우에 바람직한 투여 방식은 피하조직내이다.
본 발명의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는 환자에게 치료에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될 것이다. "치료에 효과적인"이란 주어진 상태와 투여 방식에서 목적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충분한 양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치료에 사용될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조성물은 치료될 특정한 상태, 개개 환자의 임상 조건(특히,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단독 처리시의 부작용),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조성물의 전달 장소, 투여 방법, 투여 스케줄, 당업자에게 숙지된 다른 요건들을 고려해서 바람직한 의료 업무(practice)와 일관되게 제조되고 복용되어야 한다.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치료에 효과적인 양이란 그러한 사항들의 고려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일일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약 1㎍/kg 내지 100㎍/kg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구현 예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을 위해 주형으로 사용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유전자를 합성하였다. 합성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표 1에 기재되어 있으며, 주형으로 사용된 사람 콜로니 형성인자의 DNA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은 도면 1에 표시되어 있다. 하기 표 1의 N-Term 내지 175C는 각각 서열번호 2 내지 7에 해당한다.
N-Term 5'TGCTCTAGAAAAAACCAAGGAGGTAATAAATA3'
C-Term 5'TTACTGGACCGGATCCGAATTCTATTA3'
-1C 5'AGGAGGTAATAAATAATGTGTACTCCATTAGGTCCT3'
T133C1 5'GCACCAGCTCTGCAACCGTGTCAAGGTGCTATGCCGGCA3'
T133C2 5'TGCCGGCATAGCACCTTGACACGGTTGCAGAGCTGGTGC3'
175C 5'GGATCCGAATTCTATTAACACGGCTGAGCCAGATG3'
1.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
-1C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N-말단의 쓰레오닌 앞에 시스테인 아미노산을 첨가한 동종체를 제작하기 위해서 프라이머 -1C 프라이머와 C-term 프라이머를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했다. 증폭된 DNA 단편을 N-term 프라이머와 C-term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다시 PCR을 수행하여 제한 효소 절단부위(Xba I과 BamH I)를 도입하여 발현 벡터에 도입함으로써 N-말단의 쓰레오닌 앞에 시스테인 아미노산이 첨가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유전자를 얻을 수 있었다.
N-말단의 아미노산 서열은 메티오닌-시스테인-쓰레오닌-프롤린-류신-글라이신의 순서가 된다.
2. T133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
본 발명에서 종래에 공지된 동종체로서 대조로 사용되거나 또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립펩티드의 중간 부위에서의 아미노산 변형의 예로서 T133C를 제작한다. T133C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133번에 해당하는 쓰레오닌을 시스테인으로 치환시키기 위해서 천연형의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DNA를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 N-term과 T133C2 그리고 T133C1과 C-term을 각각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에 해당하는 코돈으로 변형된 두 개의 DNA 단편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두 가지의 DNA 단편을 넣어주고 N-term, C-term을 프라이머 쌍으로 하여 두 번째 PCR을 수행하면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으로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T133C의 변형 유전자를 얻을 수 있었다. 발현 벡터에 도입하는 과정은 상기의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과 동일하다.
3. -1C/T133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
N 말단에 첨가된 아미노산과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폴리펩티드내의 아미노산의 변형의 예로서 -1C/T133C는 제작된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에 133번에 해당하는 쓰레오닌을 시스테인으로 추가로 치환시키기 위해서, 이미 제작한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 N-term과 T133C2 그리고 T133C1과 C-term을 각각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에 해당하는 코돈으로 변형된 두 개의 DNA 단편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두 가지의 DNA 단편을 넣어주고 N-term, C-term을 프라이머 쌍으로 하여 두 번째 PCR을 수행하면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으로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1C/T133C의 변형 유전자를 얻을 수 있었다. 발현 벡터에 도입하는 과정은 상기의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과 동일하다.
4. 175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
175C는 천연형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N-term 프라이머와 175C 프라이머를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했다. 증폭된 DNA 단편을 N-term 프라이머와 C-term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다시 PCR을 수행하여 제한 효소 절단부위(Xba I과 BamH I)를 도입하여 발현 벡터에 도입함으로써 N-말단에 시스테인 아미노산이 첨가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유전자를 얻을 수 있었다. 발현 벡터에 도입하는 과정은 상기의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과 동일하다.
C-말단의 아미노산 서열은 -알라닌-글루타민-프롤린-시스테인의 순서가 된다.
5. 175C/T133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
175C/T133C는 제작된 175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에 133번에 해당하는 쓰레오닌을 시스테인으로 추가로 치환시키기 위해서, 이미 제작된 175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 N-term과 T133C2 그리고 T133C1과 C-term을 각각 쌍으로 하여 PCR을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에 해당하는 코돈으로 변형된 두 개의 DNA 단편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두 가지의 DNA 단편을 넣어주고 N-term, C-term을 프라이머 쌍으로 하여 두 번째 PCR을 수행하면 133번째 아미노산 위치에 쓰레오닌 대신 시스테인으로 변형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175C/T133C의 변형 유전자를 얻을 수 있었다. 발현 벡터에 도입하는 과정은 상기의 -1C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제작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작된 사람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유전자를 람다 PR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될 수 있도록 발현 벡터에 삽입하였다. 발현 벡터의 구성은 다음 표 2와 같다.
유래
PR프로모터 NEB사 람다 DNA#301-18
자가 복제 기구 pT7T319U
항생제 마커(Kanamycin) pACYC177
Par pSC101
cI 857 repressor NEB사 람다 DNA#301-18
SD 서열 합성 DNA
전사종결 부위 NEB사 람다 DNA#301-18(toop)
<실시예 2>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발현 및 정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벡터를 대장균에 형질 전환을 수행하여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단백질을 생산하는 균주를 제작한다.
형질 전환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칼슘 클로라이드법을 사용하였으며, 숙주 세포로 사용되는 대장균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장균(HB101, NM 계통의 균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15 ml 튜브에서 5 ml의 Luria Broth (LB) 배지에 접종하여 30℃ 배양기에서 밤샘 배양하였다. 이 종배양균을 3,000 ml 삼각 플라스크에서 500 ml의 Luria Broth (LB)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배양하였다. 600 nm에서의 흡광도가 0.8 - 1.2에 도달하면 배양 온도를 42℃로 올려 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균체는 Microfluidizer (Microfluidics사)로 12,000 psi 에서 4회 파쇄하고 원심분리로 봉입체(inclusion body)를 회수하고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다.
봉입체는 10 ml의 8 M urea, 50 mM glycine (pH 11.0)에 용해하기 위해 상온에서 5시간 이상 강하게 현탁시키고, 10,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단백질 용액을 수득하였다. 단백질용액은 glycine과 urea의 농도가 각각 50 mM과 2 M 되게 glycine과 증류수 첨가한 후 pH를 9.0으로 적정하고 4℃에서 밤새 단백질 재구성(refolding)을 완성하였다.
단백질재구성을 마친 용액의 pH를 4.0으로 조정하고 증류수로 3배 이상 희석한 후 미리 3배의 컬럼 부피 이상의 2 mM HCl로 평형화된 CM Sepharose FF (Amersham Biosciences사) 10 ml을 충진한 컬럼에 로딩하였다. 로딩이 완료된 컬럼은 3 컬럼 부피 이상의 2 mM HCl로 평형한 후, 3 컬럼 부피의 5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4)로 세척하였다. 12 컬럼 부피 이상의 35 mM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5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4)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용출하고 5 ml 씩 분획하였다. 용출된 분획은 HPLC로 분석 후 모았다.
CM Sepharose FF로 정제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를 10,000 Da 분자량의 Centricon Plus-80로 3000 rpm, 25 min 씩 수행하여 최종 농축액의 단백질 농도가 5 mg/ml 정도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단백질은 3 컬럼 부피 이상 1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4)로 평형된 Sephacryl S-100 (Amersham Biosciences사) 300 ml을 충진한 컬럼에 로딩하였다. 완충용액을 분당 1 ml의 속도로 전개하여 단백질 용액에 포함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응집체(multimer)를 제거하고 단량체 만을 순수분리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부가 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결합
1. Branched mPEG(20,000)-말레이미드-G-CSF 동종체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각각의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각각 10 mg을 0.1 M 인산완충용액 (pH 7.0 - 8.0)에 넣고 branched mPEG(20,000)-말레이미드(NOF사제) 20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은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하였고 1 N 염산용액으로 pH를 3.0으로 낮추어서 반응을 정지하였다.
2. Branched mPEG(40,000)-말레이미드-G-CSF 동종체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각각 10 mg을 0.1 M 인산완충용액 (pH 7.0 - 8.0)에 넣고 branched mPEG(40,000)-말레이미드 (NOF사제) 40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은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하였고 1 N 염산용액으로 pH를 3.0으로 낮추어서 반응을 정지하였다.
<실시예 4>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합체의 정제
실시예 3에서 제조된 PEG-G-CSF 중합체는 다음의 과정으로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1. CM Sepharose FF 크로마토그래피
반응이 완료된 각각의 mPEG-G-CSF 중합체를 pH를 3.0으로 적정하고 증류수로 10배 이상 희석한 후 미리 3배의 컬럼 부피 이상의 2 mM HCl로 평형화된 CM Sepharose FF (Amersham Biosciences사) 10 ml을 충진한 컬럼에 로딩하였다. 로딩이 완료된 컬럼은 3 컬럼 부피 이상의 2 mM HCl로 평형한 후, 3 컬럼 부피의 5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0)로 세척하였다. mPEG(20,000)-말레이미드-G-CSF 동종체 및 branched mPEG(20,000)-말레이미드-G-CSF 동종체의 경우 12 컬럼 부피 이상의 40 mM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5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4)로 mPEG-G-CSF 중합체를 용출하였다. branched mPEG(40,000)-말레이미드-G-CSF 동종체의 경우 12 컬럼 부피 이상의 20 mM 염화나트륨이 포함된 5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4)로 mPEG-G-CSF 중합체를 용출하였다. 용출액은 5 ml 씩 분획하였고 용출된 분획은 HPLC로 분석 후 모았다.
2.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CM Sepharose FF로 정제된 mPEG-G-CSF 중합체를 10,000 Da 분자량의 Centricon Plus-80로 3000 rpm, 25 min 씩 수행하여 최종 농축액의 단백질 농도가 5 mg/ml 정도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단백질은 3 컬럼 부피 이상 10 mM 초산염화나트륨 완충용액 (pH 5.4)로 평형된 Sephacryl S-200 (Amersham Biosciences사) 300 ml을 충진한 컬럼에 로딩하였다. 완충용액을 분당 1 ml의 속도로 전개하여 단백질 용액에 포함된 mPEG-G-CSF 중합체를 순수분리하였다. 이때 단백질은 G-CSF 응집체, PEG-G-CSF, G-CSF dimmer, G-CSF monomer 순으로 용출되었다.
<실시예 5> Rat에서의 mPEG-G-CSF 중합체의 활성도 및 체내 지속성 조사
8주령 Rat (SD계, male, 각 시험물질마다 5마리)을 이용하여 실시예 4 및 5에 의하여 제조 및 정제된 mPEG-G-CSF 중합체의 활성도 및 체내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시험물질은 대조물질로서 담체(PBS)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하여 제조 및 정제된 G-CSF T133C20kDa(Br)(G-CSF의 133 위치 쓰레오닌 대신에 시스테인을 치환하고 상기 치환된 시스테인에 2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으로 한국특허공개번호 KR2002-0079778에 기재된 동종체), 현재 상업적으로 시판중인, 20 kDa PEG을 N 말단에 결합한 Neulasta(암겐사제), 그리고 본 발명의 동종체인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하여 제조 및 정제된 N+20kDa(Br)(G-CSF의 N 말단의 메티오닌과 쓰레오닌 사이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1C) 상기 첨가된 시스테인에 2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 175C+20kDa(Br)(G-CSF의 C 말단의 174 위치 Pro 다음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 상기 첨가된 시스테인에 2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 및 175C+40kDa(Br)(G-CSF의 C 말단의 174 위치 Pro 다음에 시스테인을 첨가하고 상기 첨가된 시스테인에 40 kDa의 branched PEG를 공유결합시킨 것) 동종체를 각각 PBS로 희석하여 조제한 후 투여당일 측정된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100ug/kg 용량으로 Rat의 꼬리 미정맥에 투여하였다. 투여횟수 및 투여기간은 시험 개시일 단회 투여하였다.
분석용 시료의 채취는 시험군의 구성에 따라 각각의 채혈 시간에 맞게 미정맥에서 매회 200 ul의 혈액을 채혈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blank의 경우 투여전, PD/PK 분석용 Sample은 7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째에 시료를 각각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시료로 호중구의 수를 측정하여 in vivo에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채혈된 시료는 EDTA 항응고 튜브에 넣고 원심분리하여 플라스마를 분리하였다. 플라스마내의 G-CSF 농도는 사람 G-CSF ELISA 키트(Quantokine, R&D Systems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는 키트에서 농도진단이 가능한 직선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희석하였으며 시료 당 2 번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표 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N 말단 또는 C 말단에 시스테인이 첨가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는 체내 활성 또는 체내 지속성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N+20kDa(Br)과 175C+20kDa(Br)은 투여후 24시간 시점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175C+40kDa(Br)은 24 시간 시점부터 활성이 증가한 점과 호중구의 생성 정도는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지속성이 72시간까지 유지되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지속성은 175C+40kDa(Br)의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고 활성은 175C+20kDa(Br)과 N+20kDa(Br)의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간 담체 Neulasta N+20kDa(Br) T133C20k(Br) 175C+20k(Br) 175C+40k(Br)
0 1.31 0.94 0.87 1.03 1.19 1.52
24 1.77 12.5 12.78 11.33 12.8 11.5
48 0.99 12.5 16.51 6.84 17.25 10.92
72 1.43 2.31 2.35 4.21 4.32 9.83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동종체는 체내 활성 또는 체내 지속성이 크게 증가하여 임상에서 투여 횟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0)

  1. 아미노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N 말단 부위의 Thr 앞에 또는 C 말단 부위의 Pro다음에 하나의 시스테인이 첨가되고, 상기 시스테인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결합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측쇄가지를 가지며 분자량은 20kDa 내지 40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스테인은 C 말단에 첨가되는 17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7. 청구항 1,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N 말단 또는 C 말단에 시스테인이 첨가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9. 청구항 1,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로,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형하기 위한 프라이머로 사용되는 서열번호 2 내지 7의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
  10. 삭제
KR1020050050608A 2005-06-13 2005-06-13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KR10069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608A KR100694994B1 (ko) 2005-06-13 2005-06-13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CNA2006800211595A CN101198357A (zh) 2005-06-13 2006-06-13 人粒细胞集落刺激因子异构体
US11/917,335 US8088899B2 (en) 2005-06-13 2006-06-13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isoforms
JP2008516745A JP2008543304A (ja) 2005-06-13 2006-06-13 ヒト顆粒球コロニー刺激因子イソ型(HumanGranulocyte−ColonyStimulatingFactorIsoforms)
EP06768836A EP1896081A4 (en) 2005-06-13 2006-06-13 HUMAN FACTOR ISOFORMS OF STIMULATION OF GRANULAR COLONIES
BRPI0613332-0A BRPI0613332A2 (pt) 2005-06-13 2006-06-13 isoformes de fator estimulante de colÈnia granulocìtica humana
PCT/KR2006/002238 WO2006135176A1 (en) 2005-06-13 2006-06-13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isofor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608A KR100694994B1 (ko) 2005-06-13 2005-06-13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889A KR20060129889A (ko) 2006-12-18
KR100694994B1 true KR100694994B1 (ko) 2007-03-14

Family

ID=3753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608A KR100694994B1 (ko) 2005-06-13 2005-06-13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88899B2 (ko)
EP (1) EP1896081A4 (ko)
JP (1) JP2008543304A (ko)
KR (1) KR100694994B1 (ko)
CN (1) CN101198357A (ko)
BR (1) BRPI0613332A2 (ko)
WO (1) WO2006135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83B1 (ko) * 2006-06-12 2009-03-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N-말단이 수식된 peg-trail 결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EP2248832B1 (en) * 2008-02-18 2014-09-03 Jiangsu Hengrui Medicine Co., Ltd. A g-csf conjugate modified by water-soluble polymer
RU2563536C2 (ru) * 2008-10-02 2015-09-20 Октафарма Аг,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екомбинантного человеческого g-csf
HUP1200171A1 (hu) 2012-03-19 2013-09-30 Richter Gedeon Nyrt Módszerek polipeptidek elõállítására
HUP1200172A2 (en) 2012-03-19 2013-10-28 Richter Gedeon Nyrt Methods for refolding g-csf from inclusion bodies
WO2017181920A1 (zh) * 2016-04-18 2017-10-26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重组人粒细胞集落刺激因子的制备方法
EP3694535A4 (en) * 2017-10-11 2021-07-28 Elanco US Inc. VARIANTS OF PORCINE G-CSF AND THEIR USES
KR102020995B1 (ko) * 2017-10-30 2019-09-16 한국코러스 주식회사 콜로니자극인자와 폴리올이 접합된 접합물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
JP2021509805A (ja) * 2017-12-27 2021-04-08 カウンシル オブ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顆粒球コロニー刺激因子活性を示すポリペプチド
CN111574597B (zh) * 2020-05-07 2023-03-31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经大分子量peg修饰的抗hiv多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121009B (zh) * 2020-09-24 2022-12-02 科兴生物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乙二醇修饰重组人粒细胞刺激因子新制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363A (ko) * 2000-07-29 2002-02-04 박명옥 고반응성의 가지 달린 고분자 유도체 및 고분자와 단백질또는 펩타이드의 접합체
US20040175800A1 (en) * 1997-07-14 2004-09-09 Bolder Biotechnology, Inc. Cysteine variants o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337A (en) 1973-07-20 1979-12-18 Davis Frank F Non-immunogenic polypeptides
US5206344A (en) 1985-06-26 1993-04-27 Cetus Oncology Corporation Interleukin-2 muteins and polymer conjugation thereof
US5214132A (en) 1986-12-23 1993-05-25 Kyowa Hakko Kogyo Co., Ltd. Polypeptide derivatives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5362853A (en) 1986-12-23 1994-11-08 Kyowa Hakko Kogyo Co., Ltd. Polypeptide derivatives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4904584A (en) 1987-12-23 1990-02-27 Genetics Institute, Inc. Site-specific homogeneous modification of polypeptides
CA1340810C (en) 1988-03-31 1999-11-02 Motoo Yamasaki Polypeptide derivatives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5218092A (en) 1988-09-29 1993-06-08 Kyowa Hakko Kogyo Co., Ltd. Modified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polypeptide with added carbohydrate chains
DE68925966T2 (de) 1988-12-22 1996-08-29 Kirin Amgen Inc Chemisch modifizierte granulocytenkolonie erregender faktor
US5166322A (en) 1989-04-21 1992-11-24 Genetics Institute Cysteine added variants of interleukin-3 and chemical modifications thereof
GB9107846D0 (en) 1990-04-30 1991-05-29 Ici Plc Polypeptides
US5766897A (en) 1990-06-21 1998-06-16 Incyte Pharmaceuticals, Inc. Cysteine-pegylated proteins
US6565841B1 (en) 1991-03-15 2003-05-20 Amgen, Inc. Pulmonary administration of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US5124132A (en) * 1991-06-20 1992-06-23 Plasma Technics, Inc. Corona discharge ozone generator
US5362953A (en) * 1992-08-18 1994-11-08 Intermec Corporation Reading apparatus with separate illumination and detection optical axes
US5581476A (en) 1993-01-28 1996-12-03 Amgen Inc. Computer-based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preparing G-CSF analogs
PT726778E (pt) 1994-02-08 2001-12-28 Amgen Inc Sistema de administracao oral de proteinas g-csf modificadas quimicamente
US5824784A (en) 1994-10-12 1998-10-20 Amgen Inc. N-terminally chemically modified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FR2741444B3 (fr) 1995-11-22 1998-01-02 Kodak Pathe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de tension superficielle d'une composition liquide dans un rideau
US6753165B1 (en) 1999-01-14 2004-06-22 Bolder Biotechnology, Inc. Methods for making proteins containing free cysteine residues
US7270809B2 (en) 1997-07-14 2007-09-18 Bolder Biotechnology, Inc. Cysteine variants of alpha interferon-2
IL144259A0 (en) 1999-01-14 2002-05-23 Bolder Biotechnology Inc Methods for making proteins containing free cysteine residues
DE19903876B4 (de) 1999-02-01 2006-09-28 Orthogen Gentechnologie Gmbh Verfahren zur in-vitro-Bildung und Anreicherung von Interleukin-1 Rezeptor-Antagonisten
US6646110B2 (en) 2000-01-10 2003-11-11 Maxygen Holdings Ltd. G-CSF polypeptides and conjugates
DE60139110D1 (de) 2000-01-10 2009-08-13 Maxygen Holdings Ltd G-csf konjugate
US6555660B2 (en) 2000-01-10 2003-04-29 Maxygen Holdings Ltd. G-CSF conjugates
ES2290142T3 (es) * 2000-05-16 2008-02-16 Bolder Biotechnology, Inc. Metodos para replegamiento de proteinas que contiene residuos de cisteina libre.
KR100741302B1 (ko) * 2000-08-28 2007-07-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사운드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
AU2002325819B2 (en) 2001-07-11 2008-06-19 Maxygen, Inc. G-CSF Conjugates
US20040084884A1 (en) 2002-02-18 2004-05-06 Masayuki Yamazaki Hybrid inf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5800A1 (en) * 1997-07-14 2004-09-09 Bolder Biotechnology, Inc. Cysteine variants o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KR20020010363A (ko) * 2000-07-29 2002-02-04 박명옥 고반응성의 가지 달린 고분자 유도체 및 고분자와 단백질또는 펩타이드의 접합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1036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6081A1 (en) 2008-03-12
WO2006135176A1 (en) 2006-12-21
KR20060129889A (ko) 2006-12-18
CN101198357A (zh) 2008-06-11
JP2008543304A (ja) 2008-12-04
US8088899B2 (en) 2012-01-03
BRPI0613332A2 (pt) 2011-01-04
US20100143288A1 (en) 2010-06-10
EP1896081A4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994B1 (ko) 사람 과립구 콜로니 형성인자 동종체
AU739359B2 (en) Improved interferon polymer conjugates
JP3727009B2 (ja) エリスロポエチン誘導体
CN100528235C (zh) 红细胞生成素共轭物
CN1729018B (zh) G-csf偶联物
US8901277B2 (en) Interferon alpha mutant and its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
US20070166278A1 (en) Novel g-csf conjugates
EP0730470A1 (en) Improved interferon polymer conjugates
ZA200105932B (en) GCSF conjugates.
WO2006128460A2 (en) Pegylated g-csf polypeptid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KR20070010817A (ko) 인간 과립구콜로니자극인자 변이체 및 이의 화학적 접합물
JP5458416B2 (ja) 二本鎖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化成長ホルモ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CN101376676B (zh) 聚乙二醇化红细胞生成素蛋白长效制剂
US20040204566A1 (en) Chemically-modified G-CSF
KR20040083268A (ko) 안정성이 증가된 인간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 융합체 및이의 제조방법
KR20090103209A (ko) 사람 인터루킨-2 동종체
MX2007015893A (en)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iso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