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962B1 -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962B1
KR100688962B1 KR1020040056111A KR20040056111A KR100688962B1 KR 100688962 B1 KR100688962 B1 KR 100688962B1 KR 1020040056111 A KR1020040056111 A KR 1020040056111A KR 20040056111 A KR20040056111 A KR 20040056111A KR 100688962 B1 KR100688962 B1 KR 10068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boundary stone
cutting
gear
cutt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314A (ko
Inventor
이인형
Original Assignee
이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형 filed Critical 이인형
Priority to KR102004005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9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9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1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cylinder saws, e.g. trepanning; saw cylinders, e.g. having their cutting rim equipped with abras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reciprocating saw-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로 이루어져 차도쪽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의 상측 테두리를 편리하게 자동으로 곡면 절삭할 수 있도록 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투입부(21)와 배출부(22)로 이루어지는 절삭다이(20); 투입부(21)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로경계석(2)을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30); 절삭다이(20)에 설치되어 투입된 도로경계석(2)을 배출부(22)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 배출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으로 호형장공(51)이 형성된 승강대(50); 승강대(5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60); 호형장공(51)에 끼워져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절삭부재(70); 절삭부재(70)의 양측에 베어링(81)으로 축설되는 작동기어(80); 작동기어(80)를 곡선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기어(90); 작동기어(80)의 곡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기어(100); 절삭부재(70)와 구동기어(90)를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200) 및 정역모터(300); 상기 배출부(22)에 설치되는 인출실린더(400); 배출부(22)의 전방에 배치되어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을 인출하는 인출컨베이어(500); 및 이들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테두리, 곡면, 절삭다이, 절삭부재

Description

도로경계석 절삭장치{Apparatus for cutting boundary stone of street}
도 1a,1b는 일반적인 도로경계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a,4b,4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a,5b는 투입컨베이어의 작동레버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이송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8a,8b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a,9b는 절삭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0a,10b는 절삭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1a,11b는 절삭부재의 다른 실싱케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도로경계석 2a : 테두리
10 : 프레임 20 : 절삭다이
21 : 투입부 22 : 배출부
30 : 투입컨베이어 40 : 이송부재
50 : 승강대 51 : 호형장공
60 : 승강실린더 70 : 절삭부재
71,75 : 금속봉 72,77 : 팁
76 : 원판 78 : 라이너
80 : 작동기어 81 : 베어링
90 : 구동기어 100 : 가이드기어
200 : 모터 300 : 정역모터
400 : 인출실린더 500 : 인출컨베이어
600 : 컨트롤러
본 발명은 석재로 이루어진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도쪽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의 상측 테두리를 편리하게 자동으로 곡면 절삭할 수 있도록 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거나 또는 정원과 보도 등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도로경계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수분 및 마모에 취약한 콘크리트 도로경계석과는 달리 원형훼손이 거의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도로 미관도 살릴 수 있는 이점을 고려하여 다소 초기비용의 부담이 있더라도 화강암의 석재로 이루어진 도로경계석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a,1b는 석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도로경계석(1)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도로경계석(1)에 있어서, 차도쪽으로 배치되는 도로경계석(1)의 상측 테두리(1a)는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타이어를 보호함과 동시에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곡면으로 절삭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그라인더 등의 절삭도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도로경계석(1)의 상측 테두리(1a)를 일일이 곡면으로 절삭하였기 때문에 절삭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도로경계석(1)의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도로경계석(1)의 상측 테두리(1a)를 곡면으로 절삭하였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여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로경계석(1)의 상측 테두리(1a)를 일정한 곡면으로 균일하고 정확하게 절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석재로 이루어져 차도쪽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의 상측 테두리를 편리하게 자동으로 곡면 절삭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경계석의 상측 테두리 모서리를 곡면으로 절삭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도로경계석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하부에 투입부와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절삭다이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부의 전방에 도로경계석을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를 배치하며, 상기 절삭다이에 투입된 도로경계석을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양측으로 호형장공이 형성된 승강대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 호형장공에 도로경계석의 상부 테두리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절삭부재를 장착하며, 상기 절삭부재의 양측에 작동기어를 베어링으로 축설하고, 상기 승강대에 작동기어를 곡선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승강대의 양측에 작동기어의 곡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대에 절삭부재와 구동기어를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 및 정역모터를 설치하며, 상기 배출부에 테두리가 절삭된 도로경계석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인출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부의 전방에 테두리가 절삭된 도로경계석을 인출하는 인출컨베이어를 배치하며, 이들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도 2 내지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부(21)와 배출부(22)로 이루어지는 절삭다이 (20); 상기 투입부(21)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로경계석(2)을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30); 상기 절삭다이(20)에 설치되어 투입된 도로경계석(2)을 배출부(22)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 상기 배출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으로 호형장공(51)이 형성된 승강대(50); 상기 승강대(5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60); 상기 호형장공(51)에 그 양단이 끼워져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절삭부재(70); 상기 절삭부재(70)의 양측에 베어링(81)으로 각각 축설되는 작동기어(80); 상기 작동기어(80)를 곡선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기어(90); 상기 작동기어(80)의 곡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기어(100); 상기 절삭부재(70)와 구동기어(90)를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200) 및 정역모터(300); 상기 배출부(22)에 설치되는 인출실린더(400); 상기 배출부(22)의 전방에 배치되어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을 인출하는 인출컨베이어(500); 및 이들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은 절삭다이(20),승강대(50),컨트롤러(600)를 지지한다.
상기 절삭다이(20)는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로경계석(2)을 받쳐주는 것으로, 이러한 절삭다이(20)는 도 2와 도 3a,3b에서와 같이 투입부(21)와 배출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와 배출부(22)에는 도로경계석(2)의 투입상태 및 이송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S1)(S2)가 설치되고, 상기 센 서(S1)(S2)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절삭다이(20)는 수평받침과 수직받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컨베이어(30)는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 전방에 배치되어 도로경계석(2)을 투입부(21)내로 투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투입컨베이어(30)는 다수개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입컨베이어(30)에는 도 5a,5b에서와 같이 도로경계석(2)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작동레버(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투입컨베이어(30)의 적소에는 작동레버(31)의 하강상태를 감지하여 모터(32)를 구동시키는 센서(S3)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32)와 센서(S3)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31)에는 스프링(33)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32)가 구동하면 투입컨베이어(30)가 작동하여 도로경계석(2)을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측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평상시(도로경계석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작동레버(31)가 스프링(33)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어 모터(32)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지게차 등으로 도로경계석(2)을 투입컨베이어(30)에 올려놓으면 도 5b에서와 같이 도로경계석(2)의 자중에 의해 작동레버(31)가 스프링(33)을 당기면서 밑으로 하강하고 이 상태를 센서(S3)가 감지하여 모터(32)를 구동시키므로 투입컨베이어(30)에 올려진 도로경계석(2)은 도 3a와 도 4a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로 투입되고, 한편 도 3a와 도 4a에서와 같이 투입부(21)로 도로경계석(2)의 투입이 완료되면 절삭다이(20)에 설치된 센서(S1)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이송부재(40)는 절삭다이(20)에 설치되어 투입부(21)로 투입된 도로경계석(2)을 배출부(22)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부재(40)는 절삭다이(2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롤러(41) 및 수직롤러(42)와, 상기 수평롤러(41)를 구동시키는 모터(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43)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롤러(41)와 모터(43)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체인(44)으로 각각 연결되는 스프로킷(45)이 각각 축설되고, 상기 수평롤러(41)의 높이는 투입컨베이어(30),인출컨베이어(500)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이때, 수평롤러(41)가 투입컨베이어(30),인출컨베이어(500)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투입컨베이어(30)와 인출컨베이어(500)는 도로경계석(2)을 용이하게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로경계석(2)이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로 투입되면 이후 이송부재(40)의 모터(43)가 구동하여 수평롤러(41)를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투입부(21)로 투입된 도로경계석(2)은 도 3b에서와 같이 절삭다이(20)의 배출부(22)로 이송하게 되고, 한편 배출부(22)로 도로경계석(2)의 이송이 완료되면 절삭다이(20)에 설치된 센서(S2)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승강대(50)는 배출부(22)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절삭부재(7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대(50)의 양측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호형장공(51)이 형성된 측판(5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측판(52)의 하부에는 모터(200)를 지지하는 받침판(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대(50)의 양측 호형장공(51)은 도로경계석(2)의 테두리(2a)를 곡면으로 절삭할 수 있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다.
상기 승강실린더(60)는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승강대(5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실린더(60)는 승강대(5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승강실린더(60)의 작동은 컨트롤러(6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60)는 도 3b에서와 같이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승강실린더(60)의 피스톤은 승강대(50)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출부(22)로 도로경계석(2)의 이송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60)가 작동하여 승강대(50)를 하강시키고, 한편 도로경계석(2)의 테두리(2a) 절삭이 완료되면 다시 승강실린더(60)가 반대로 작동하여 승강대(50)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적소에는 도 3a,3b에서와 같이 승강대(50)의 승강작동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S4)(S5)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S4)(S5)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삭부재(70)는 양측 호형장공(51)에 그 양단이 끼워져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절삭부재(70)는 도 9a,9b에서와 같이 호형장공(51)의 곡면을 따라 곡선으로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구동하면서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절삭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a,10b에서와 같이, 상기 절삭부재(70)는 그 양단이 호형장공(51)에 끼워지는 금속봉(71)과, 상기 금속봉(71)의 외주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다이아몬드 팁(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11b에서와 같이, 상기 절삭부재(70)는 그 양단이 호형장공(51)에 끼워지는 금속봉(75)과, 상기 금속봉(75)에 적정간격을 주고 끼어지는 다수개의 원판(76)과, 상기 원판(76)의 외경에 적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다이아몬드 팁(77)과, 상기 원판(76)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너(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기어(80)는 절삭부재(70)의 양측에 베어링(81)으로 각각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기어(80)는 승강대(50)의 양측 호형장공(51)에 끼워진 절삭부재(70)를 곡선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기어(80)는 절삭부재(70)에 베어링(81)으로 축설되므로, 절삭부재(70)는 도 8a,8b와 도 9a,9b에서와 같이 호형장공(51)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기어(80)에 의해 절삭부재(70)가 호형장공(51)을 따라 곡선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절삭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90)는 작동기어(80)를 곡선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기어(90)는 작동기어(80)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기어(90)와 작동기어(80)는 서로 치합된다. 이때, 상기 작동기어(80)는 작동 시 구동기어(90)와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8a,8b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기어(80)는 구동기어(90)에 치합된 상태에서 곡선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기어(100)는 작동기어(80)의 곡선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 한 가이드기어(100)는 승강대(50)의 양쪽 측벽(52)에 각각 부착되고, 가이드기어(100)의 상부에는 작동기어(80)가 치합된다.
상기 모터(200)는 절삭부재(7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200)는 승강대(50)의 받침판(53)에 설치된 상태에서 풀리와 벨트를 통해 절삭부재(7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모터(200)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정역모터(300)는 구동기어(90)를 정역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정역모터(300)는 승강대(5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정역모터(300)의 구동축에는 구동기어(90)가 축설된다. 이때, 상기 정역모터(200)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정역모터(300)를 구동시키면 구동기어(9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구동기어(90)에 치합된 작동기어(80)가 곡선으로 구동하면서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절삭부재(70)가 호형장공(51)을 따라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왕복 운동하는 절삭부재(70)는 모터(200)에 의해 구동하면서 도 9a,9b에서와 같이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절삭하게 된다.
상기 인출실린더(400)는 절삭다이(20)의 배출부(22)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인출실린더(400)는 도 4c에서와 같이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을 전방으로 밀어 인출컨베이어(5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 4c에서와 같이 테두리(2a)의 절삭이 완료된 후 인출실린더(400)를 작동시키면 도로경계석(2)은 인출컨베이어(500)로 배출된다.
상기 인출컨베이어(500)는 절삭다이(20)의 배출부(22) 전방에 배치되어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을 인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출컨베이어(500)는 다수개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컨베이어(500)의 적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이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모터(510)를 구동시키는 센서(S6)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510)와 센서(S6)는 컨트롤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모터(510)가 구동하면 인출컨베이어(500)가 작동하여 도로경계석(2)을 외부로 인출시킨다.
따라서, 평상시(도로경계석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는 모터(51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이 도 4c에서와 같이 인출컨베이어(500)로 배출되면 이 상태를 센서(S6)가 감지하여 모터(510)를 구동시키므로 인출컨베이어(500)에 올려진 도로경계석(2)은 전방으로 이송하면서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컨트롤러(600)는 투입컨베이어(30),이송부재(40),승강실린더(60),구동기어(90),모터(200),정역모터(300),인출실린더(400) 및 인출컨베이어(5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러(600)에 의해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도로경계석(2)의 테두리(2a)를 자동으로 절삭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컨베이어(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투입컨베이어 (30)에 석재로 이루어진 도로경계석(2)을 올려놓으면 도로경계석(2)의 자중에 의해 작동레버(31)가 하강하고, 이러한 작동레버(31)의 하강상태를 투입컨베이어(30)에 설치된 센서(S3)가 감지하여 모터(32)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투입컨베이어(30)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도로경계석(2)들이 순차적으로 투입된다.
모터(32)의 구동에 따라 투입컨베이어(30)가 구동하면서 투입된 도로경계석(2)을 도 3b에서와 같이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로 이송시키고, 투입부(21)내로 도로경계석(2)의 투입이 완료되면 센서(S1)가 감지하여 투입컨베이어(30)의 모터(32)를 정지시킨다.
절삭다이(20)의 투입부(21)내로 도로경계석(2)의 투입이 완료되면 이송부재(40)의 모터(43)가 구동하고, 이에 의해 체인(44)으로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수평롤러(41)들이 구동하면서 투입부(21)로 투입된 도로경계석(2)을 절삭다이(20)의 배출부(22)로 이송시키고, 절삭다이(20)의 배출부(22)로 도로경계석(2)의 이송이 완료되면 센서(S2)가 감지하여 모터(4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절삭다이(20)의 배출부(22)로 도로경계석(2)의 이송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60)가 작동하여 도 3b와 도 4b에서와 같이 승강대(50)를 하강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승강대(50)에 설치된 절삭부재(70)가 하강하여 도 9a에서와 같이 도로경계석(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절삭부재(70)의 하강작동이 완료되면 센서(S5)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의해 승강실린더(60)의 작동은 정지된다.
승강대(50)의 하강이 완료되면 정역모터(300)가 작동하여 구동기어(9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모터(200)가 작동하여 절삭부재(70)를 구동시키 기 때문에,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기어(90)에 의해 작동기어(80)는 가이드기어(100)를 따라 곡선을 그리면서 구동하고, 또한 호형장공(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동기어(80)에 베어링(81)으로 연결된 절삭부재(70)가 도 9a,9b에서와 같이 호형장공(51)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구동하면서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절삭하게 된다.
즉, 절삭부재(70)는 승강대(50)의 양측 호형장공(51)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고, 또한 작동기어(80)는 베어링(81)을 통해 절삭부재(70)에 축설된 상태로 조립되었기 때문에, 모터(200)와 정역모터(300)를 구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기어(80)는 가이드기어(100)를 따라 호형장공(51)과 같은 곡면을 그리면서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작동기어(80)에 베어링(81)으로 축설된 상태에서 모터(200)에 의해 구동하는 절삭부재(70)가 호형장공(51)을 따라 곡선으로 이동하면서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절삭하게 된다.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 곡면 절삭이 완료되면 정역모터(30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서 구동기어(90)를 통해 작동기어(80)와 절삭부재(70)를 원상태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절삭부재(70)는 호형장공(51)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한번 더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매끄럽게 절삭하게 되고, 이러한 절삭작동이 완료되면 모터(200)와 정역모터(300)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승강실린더(60)가 작동하여 승강대(50)를 상승시키고, 승강대(50)의 상승이 완료되면 센서(S4)가 감지하여 승강실린더(6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승강대(50)의 상승이 완료되면 도 4c에서와 같이 인출실린더(400)가 작동하 여 상부 테두리(2a)가 곡면으로 절삭된 도로경계석(2)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도로경계석(2)은 인출컨베이어(500)의 후방 상부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인출컨베이어(500)로 도로경계석(2)이 이동되면 센서(S6)가 감지하여 모터(510)를 구동시키고, 따라서 테두리(2a)가 곡면으로 절삭된 도로경계석(2)은 구동하는 인출컨베이어(500)를 따라 외부로 인출되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작용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도로경계석(2)의 테두리(2a)를 곡면으로 일정하게 절삭하게 된다. 이때, 인출컨베이어(500)를 통해 인출되는 도로경계석(2)은 지게차 등으로 들러 올려 외부로 빼내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석재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석(2)의 상측 테두리(2a)를 보다 편리하게 자동으로 곡면 절삭할 수 있기 때문에 절삭시간이 크게 절약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도로경계석(2)의 제조원가를 경제적으로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경계석(2)의 상측 테두리(2a)를 편리하게 자동으로 곡면 절삭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도로경계석(2)의 상측 테두리(2a)를 일정한 곡면으로 균일하고 정확하게 절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경계석 절삭장치는 석재로 이루어 져 차도쪽에 배치되는 도로경계석의 상측 테두리를 보다 편리하게 자동으로 곡면 절삭할 수 있으며, 도로경계석의 상측 테두리 모서리를 곡면으로 절삭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도로경계석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부(21)와 배출부(22)로 이루어지는 절삭다이(20); 상기 투입부(21)의 전방에 배치되어 도로경계석(2)을 투입하는 투입컨베이어(30); 상기 절삭다이(20)에 설치되어 투입된 도로경계석(2)을 배출부(22)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40); 상기 배출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으로 호형장공(51)이 형성된 승강대(50); 상기 승강대(5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60); 상기 호형장공(51)에 끼워져 도로경계석(2)의 상부 테두리(2a)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절삭부재(70); 상기 절삭부재(70)의 양측에 베어링(81)으로 축설되는 작동기어(80); 상기 작동기어(80)를 곡선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구동기어(90); 상기 작동기어(80)의 곡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기어(100); 상기 절삭부재(70)와 구동기어(90)를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200) 및 정역모터(300); 상기 배출부(22)에 설치되는 인출실린더(400); 상기 배출부(22)의 전방에 배치되어 테두리(2a)가 절삭된 도로경계석(2)을 인출하는 인출컨베이어(500); 및 이들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70)는 그 양단이 호형장공(51)에 끼워지는 금속봉(71)과, 상기 금속봉(71)의 외주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다이아몬드 팁(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70)는 그 양단이 호형장공(51)에 끼워지는 금속봉(75)과, 상기 금속봉(75)에 적정간격을 주고 끼어지는 다수개의 원판(76)과, 상기 원판(76)의 외경에 적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다수개의 다이아몬드 팁(77)과, 상기 원판(76)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너(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20040056111A 2004-07-19 2004-07-19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111A KR100688962B1 (ko) 2004-07-19 2004-07-19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111A KR100688962B1 (ko) 2004-07-19 2004-07-19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314A KR20060007314A (ko) 2006-01-24
KR100688962B1 true KR100688962B1 (ko) 2007-03-02

Family

ID=3711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1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962B1 (ko) 2004-07-19 2004-07-19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08B1 (ko) 2007-10-20 2009-07-06 이익규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CN106827265A (zh) * 2017-01-18 2017-06-13 天津市山友玉石纽扣有限公司 一种玉石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004B1 (ko) * 2006-02-09 2007-07-06 주식회사 해민테크 석재 샘플의 측모서리 가공 장치
KR100645004B1 (ko) * 2006-06-12 2006-11-15 (주)신일석재산업 원통형 커터를 사용하여 석재의 모서리를 곡면으로가공하는 장치
KR100821991B1 (ko) * 2006-07-10 2008-04-15 김진호 곡면 형성기
KR100676758B1 (ko) * 2006-11-02 2007-02-02 (주)신일석재산업 도로 안전기능을 갖는 빛 반사 도로경계석의 가공장치
CN104149206B (zh) * 2014-07-16 2015-11-18 霍丰源 一种泡沫陶瓷自动化切割设备及其切割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08B1 (ko) 2007-10-20 2009-07-06 이익규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CN106827265A (zh) * 2017-01-18 2017-06-13 天津市山友玉石纽扣有限公司 一种玉石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314A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962B1 (ko)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1059926B1 (ko) 도로경계석 가공장치
KR100906108B1 (ko)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KR100693356B1 (ko)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1979549B1 (ko) 금속봉 자동 절단장치
KR102409196B1 (ko) 포장박스용 시트의 자동공급장치
KR101680017B1 (ko) 시트고무의 자동 적재 장치
KR102248817B1 (ko) 레이저 절단용 피절단물의 이송 시스템
KR100453550B1 (ko)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200348683Y1 (ko)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N103341996B (zh) 一种轮胎成型机的胎面小车自动上料装置
KR101525693B1 (ko) 프로파일 성형장치
KR100680824B1 (ko) 도로경계석 절삭방법과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KR101269546B1 (ko) 곡선형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N217675157U (zh) 一种用于石板的入料运输装置
CN212023815U (zh) 一种砂石输送机
CN111924535B (zh) 一种玻璃生产流水线用输送结构
KR100815435B1 (ko) 도로경계석 요철 생성장치
CN214870917U (zh) 一种切管设备
KR102139904B1 (ko) 목재 이송장치
KR20120115632A (ko) 도로경계석의 표면가공시스템
CN109626090B (zh) 一种布料转接料机构
KR200388977Y1 (ko)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CN221369545U (zh) 塑料生产供料装置
KR200362465Y1 (ko) 무동력 재료급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7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