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959B1 -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59B1
KR100671959B1 KR1020050051438A KR20050051438A KR100671959B1 KR 100671959 B1 KR100671959 B1 KR 100671959B1 KR 1020050051438 A KR1020050051438 A KR 1020050051438A KR 20050051438 A KR20050051438 A KR 20050051438A KR 100671959 B1 KR100671959 B1 KR 10067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eel frame
retaining wall
fram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31194A (en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안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한 filed Critical 안승한
Priority to KR102005005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959B1/en
Publication of KR2006013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 삽입홈이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삽입홈에 블록을 끼워 철골프레임의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프레임의 노출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된 철골프레임에 블록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축조되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철골프레임의 버팀력과, 철골프레임에 연결된 보강재의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having a high response force to the lateral pressure of earth and s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teel frame frame is formed, the block insertion groove is arrang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ixed, the bottom of the steel frame is arrang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ground; Inserting the block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to assemble the block between the steel frames; Backfilling and compacting stepwise such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It provides a method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comprising a; finishing the finishing process so that the exposed portion of the steel frame is not ex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is excellent in the construction method by the block is fitted to the steel frame fixed to the ground, and above all, high responsiveness to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arth and earth by the support force of the steel frame, and the embedding of the reinforcement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It has the effect of having.

옹벽, 블록, 보강재, 철골프레임, 토압 Retaining wall, block, reinforcement, steel frame, earth pressure

Description

옹벽의 축조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상기 도 1a의 평면도이다. FIG. 1B is a plan view of FIG. 1A.

도 1c는 상기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B.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 1a의 사용상태도이다. FIG. 1D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s a state diagram of FIG. 1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철골프레임이 배열 고정된 구성도이다. Figure 2 is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the steel frame is arranged on the ground fixed.

도 3은 철골프레임에 블록이 끼움, 조적되는 구성도이다.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itted to the steel frame,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옹벽의 단면 구성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프레임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steel fram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상기 도 5의 횡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도 7 및 도 8은 철골프레임과 보강재의 바람직한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사시도이다.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eferr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eel frame and the reinforcement.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블록의 내부에 매입되는 심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re embedded in a block.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조립되는 모습의 종단면도이다.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block is assemb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철골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 coupled to the steel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단면 구성도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마감층 100 : 철골프레임50: finishing layer 100: steel frame

112 : 전방지지부 113 : 중앙심재부112: anterior support 113: central core material

114 : 후방지지부 120 : 블록 삽입홈114: rear support portion 120: block insertion groove

130 : 결속공 132 : 수직프레임130: binding hole 132: vertical frame

134 : 수평프레임 150 : 연결부재134: horizontal frame 150: connecting member

200 : 블록 220 : 단턱200: block 220: step

242 : 요홈부 244 : 돌출부242: groove 244: protrusion

250 : 심재 260 : 문양250: heartwood 260: glyph

300 : 보강재 410 : 보강재 삽입공300: reinforcing material 410: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420 : 고착재료 B : 수직면420: fixing material B: vertical plane

C : 수평면C: horizontal plane

본 발명은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durability, and having a high responsiveness to lateral pressure of earth and sand.

옹벽은 성토지나 절개지 등에 시공되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함으로써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이다. 이에 따라, 옹벽은 무엇보다 토사의 횡압력(토사의 측방향 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이 요구된다. A retaining wall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collapse of soil by supporting the soil on the back by constructing it in the land or incision. Accordingly, the retaining wall is required to have a high response force to the transverse pressure of the soil (lateral pressure of the soil).

종래, 옹벽의 축조방법으로는, 시공현장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푸집 내에 철근의 조립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철근콘크리트의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를 뒤채움하여 축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 철근의 조립 등이 모두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양생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용됨은 물론 구부러진 부분(굴곡부)은 공사가 불편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는 공사가 불가능하며, 옹벽의 전면에 양각, 음각 등의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서 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Conventionally, as a method of building retaining walls, after the formwork i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reinforcement of reinforced concrete such as earth and rubble is filled in the form of reinforcement concrete after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and the reinforcement of concrete in the formwork. The method was common. However, such a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is all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such as the installation and release of formwork,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use of a lot of time due to the curing of the concrete, as well as the bent part (flexion part) is inconvenient in construction work due to inconvenient work there was. In addition,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construction is not possible in winter, and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give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an embossed or engraved appearanc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조립식 볼록(Block)을 상호 끼움, 조적하여 구축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많이 축조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시공이 용이하고 미려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장점 등의 이유로 철근콘크리트 옹벽의 대체공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As a result,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block 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constructed by interposing and stacking prefabricated blocks are constructed. At present, such a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easy to construct and can be given a beautiful appearance, and is widely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s for economic reasons.

일반적으로, 종래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소형 블록을 서로 맞물림 구조로 조립, 조적해 가면서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를 뒤채움하여 축조되고 있는데, 이는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대비하여 소형 블록을 조적하는 단순한 시공방법과 굴곡부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기반의 침하에 의한 옹벽의 변형과 블록의 이탈이 생기기 쉬우며, 이 역시 시공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the conventional block-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soil such as soil and rubble on the back while assembling and stacking the small blocks into the interlocking structure. There is a simple construction method and easy construction of the bent por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susceptible to deforma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detachment of the block due to the settlement of the foundation, which is also inferior in constructability, and above 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arthquake's lateral pressure is insufficient.

일례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81265호에는 위와 같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블록(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평면도이며, 도 1c는 상기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d는 상기 도 1a의 사용상태도이다. For example,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81265 proposes a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block for constructing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D as follows.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1, FIG. 1B is a plan view of FIG. 1A, and FIG.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B. 1D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FIG. 1A.

먼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용신안등록에서 제시한 옹벽 블록(1)은 그의 상부에는 돌출부(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가 끼워지는 요홈(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에는 보강재(5)가 연결되는 연결부재(4)가 일부 매입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옹벽 블록(1)은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돌출부(2)와 요홈(3)의 끼움 구조로 조적되면서, 후면에 설치된 보강재(5)에는 연결부재(4)가 연결된 다음,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의 뒤채움에 의해 보강재(5)가 보강토에 매립되어 옹벽을 축조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A to 1C, the retaining wall block 1 present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has a recess 2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recess into which the protrusion 2 is fitted. 3) is formed. And the rear side is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4 to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5 is connected is partially embedded. As the retaining wall block 1 is assembled with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protrusions 2 and the grooves 3 in a staggered form as shown in FIG. 1D, the connecting member 4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5 installed at the rear side. The reinforcing material 5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by the backfilling of the reinforcing soil such as soil and rubble, and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위와 같은 조립식 옹벽 블록(1)은 단순한 끼움 조적에 의해 축조되어 시공성이 좋으며, 보강재(5)의 보강토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대응력을 어느 정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그의 크기 및 구조 상 서로 엇갈리게 조적해야 하고, 각 블록(1) 마다 보강재(5)를 연결해야만 토압에 대한 대응력을 가짐에 따라 조적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1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by simple fitting masonry, and the construction is good, it may have a degree of coping force to the lateral pressure of the soil by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5). However, this has to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size and structure,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form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as it has a responsiveness to earth pressure only when connec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5) for each block (1).

무엇보다 옹벽은 토압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져야 하는 데, 보강재(4)만으로는 토압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여 사용에 대한 제약이 따르고, 토체의 변위발생에 대응력이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대비하여 무엇보다 토압에 대한 대응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bove all, the retaining wall has to have a high response to earth pressure, but the reinforcement 4 alone lacks a corresponding force to earth pressure, which leads to restrictions on use, and a weakness in response to displacement of the earth causes poor durability. That is, the conventional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response to earth pressur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또한, 보강재(5)가 매립되어야 하는 이유로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벽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작업이 가능하며, 그러하지 못할 경우 매립되는 보강재(5)의 길이가 짧아 토압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ork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loca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constructed is sufficient for the reason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5 should be buried. Otherwise,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5 being embedded is not short enough to have a corresponding force against earth pressur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지면에 다수의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배열 고정한 후, 상기 철골프레임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되, 상기 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철골프레임에 블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블록을 끼움, 조적함게 함과 동시에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뒤채움 흙)에 매립되도록 축조함으로써,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a plurality of steel frame frame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aligning blocks between the steel frame, the steel frame so that the block does not leave By forming a block insertion groove in the frame and inserting the block in the insertion groove, while making the reinforcement is embedded in the reinforcement soil (backfilling soil) while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to the steel frame, construction and durab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which is excellent and has a high responsiveness to the lateral pressure of so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블록 삽입홈이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Arrang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steel frames having block insertion grooves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rein the lower ends of the steel frames are embedded and fixed on the ground;

상기 블록 삽입홈에 블록을 끼워 철골프레임의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는 단계와; Inserting the block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to assemble the block between the steel frames;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와; Backfilling and compacting stepwise such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외부로 노출된 상기 철골프레임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method of building a retaining wall comprising a; finishing the finishing process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teel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is not exposed.

또한, 본 발명은 계단형 옹벽의 축조방법으로서, Moreover, this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epped retaining wall,

블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교대로 연결되어 계단형의 구조를 가지는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Block insertion groove is formed,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is alternately connected to arrange a plurality of steel frame having a staircase structure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ixed, but arranged, fixed so that the bottom of the steel frame is embedded in the ground Making a step;

상기 수직프레임의 블록 삽입홈에 블록을 끼움, 조적하여 옹벽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Inserting a block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of the vertical frame to form a vertical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수직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나 토사를 덮어 옹벽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Step-up and compacting the reinforc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so as to be embedded in the reinforcement soil, and then cover the concrete or soil to form a horizontal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외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method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comprising a; finishing the finishing process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옹벽의 시공현장은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토체 벽면과의 거리가 짧아 보강재가 충분히 매립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은, 상기 단계에 더하여 토체 벽면에 보강재 삽입공을 천공하고, 상기 보강재 삽입공에 보강재를 삽입한 다음, 고착재료를 주입,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retaining wall may not be secured enough distance for the reinforcement is burie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earth wall surface is shor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In addition, dri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in the earth wall, inser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in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and then injecting and curing the fixing material; further comprises.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망통체의 심재가 다수 매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은 철골프레임에 끼워진 후, 그 전면이 돌출되도록 좌우측 말단에 단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볼록 상호간의 조립구조로서 그 상하부면에 요철 조립구조가 형성된 것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단턱과 요철 조립구조가 모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The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plurality of core members of a mesh tube is embedded therein.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is fitted with a steel frame,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protruded, or as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convex mutually arranged up and down, it is useful that the uneven structure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t is used,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stepped and uneven structur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된 철골프레임에 블록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축조되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철골프레임의 버팀력 및 보강재의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는다. 또한, 축조된 옹벽은 토체의 변위발생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상기 블록에 심재로서 다수의 망통체가 매입된 경우 우수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tructed in a way that the block is fitted to the steel frame fixed to the ground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above all has a high response to the lateral pressure of the soil by the buoyancy of the steel frame and the embedd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 addition, the constructed retaining wall has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generation of displacement of the soil, and when a plurality of mesh bodies are embedded in the block as a core material, the retaining wall has excellent strength and further improves dur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onl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here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는 지면에 철골프레임(100)이 배열 고정된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철골프레임(100)에 블록(200)이 끼움, 조적되는 사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옹벽의 단면 구성도이다. 2 to 4 are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eel frame 100 is fixed to the ground arrangement, Figure 3 is a block (in the steel frame 100) 200)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that is fitted and assembled.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종래와 같이 벽면 깎음 공사 및 지반 다짐 등의 기초 공사를 한 다음, 본 발명에 따라서 옹벽이 축조될 위치에 다수의 철골프레임(100)을 소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한다. 이때, 철골프레임(100) 간의 간격은 볼록(200)의 가로 길이와 거의 동일한 거리를 갖게 하며, 철골프레임(100)의 하단을 지면에 매설하여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견고히 고정한다. 지면과의 고정은 지면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여기에 철골프레임(100)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블록(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양측에는 블록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철골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H형 빔, ㅗ형 빔 또는 I형 빔을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first, as in the prior art, such as wall cutting work and ground compaction, and t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eel frame frame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will be constructed Arrange in line.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steel frame 100 is to have a distanc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onvex 200, and firmly fix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y embedding the lower end of the steel frame 100 on the ground. Fixing with the ground can be fixed by drilling a hole in the ground, and then insert the steel frame 100 therein, inject concrete, curing. The steel frame 100 is a block insertion groove 120 i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block 200 can be fitted, the steel frame 100 is, for example, H-shaped beam, ㅗ -shaped beam or I-type beam Can be used.

위와 같이, 철골프레임(100)을 고정한 다음에는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볼록(200)을 끼움, 조적한다. 이때, 철골프레임(100)의 볼록 삽입홈(120)에 볼록(200)의 측면 끝부분을 끼워진다.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끼워지는 블록(200)의 개수는 옹벽의 높이 및 블록(200)의 세로 길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the steel frame 100, the convex 200 is inserted between the steel frame 100, assembles. At this time, the side end portion of the convex 200 is fitted into the convex insertion groove 120 of the steel frame 100. The number of blocks 200 inserted between the steel frame 100 may be one or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block 200.

상기 블록(200)은 공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철골프레임(100)에 끼워진 후 그 전면(201)이 돌출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우측 말단에는 단턱(22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The block 200 is manufactured separately in the factory, which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crete structure.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3 so that the front surface 201 protrudes after being fitted to the steel fram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epped 220 is formed.

다음으로, 상기 철골프레임(100)에 보강재(300)를 연결한다. 상기 보강재(300)는 철골프레임(100)과 보강토의 결속력을 갖게 하여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금속, 유리섬유 등의 부패성이 없는 재질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300)는 철사, 유리섬유 가닥의 집합체(통상의 고강도 지오그리드), 철사에 합성수지가 피복된 선 등의 와이어 형태는 물론 띠 형태를 포함한다. Next, the reinforcement 300 is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100. The reinforcement 300 is to increase the coping force of the steel frame 100 and the reinforcement soil to increase the coping force agains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arth, which uses a non-corrosive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fiber.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ncludes a wire shape, as well as a wire shape, such as a wire, an aggregate of glass fiber strands (usually a high strength geogrid), a wire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on the wire.

위와 같이, 보강재(300)를 연결한 다음에는,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뒤채움 흙)를 채워 보강재(300)가 매립되도록 배면을 뒤채움하되, 통상과 같이 단계적으로 채우고 다짐한다. 즉, 소정 두께로 뒤채움하는 과정과, 진동 다짐하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connecting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while filling the reinforcement soil (backfilling soil) such as earth and rubble on the back and back filling the back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buried, and fill and step by step as usual. That is, the process of backfill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process of vibration compaction are continuously repeated.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골프레임(100)의 전면(10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데, 우수에 의해 철골프레임(100)이 부식될 수 있으므로 노출된 철골프레임(100)의 전면(101)을 마감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노출된 전면(101)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바르는 등의 방법으로 마감층(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감층(50)은 블록(200) 제작에 사용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200)에 단턱(220)이 형성된 경우, 이에 의해 블록(200)의 전면(201)이 철골프레임(100)보다 돌출되는데, 이때 마감층(50)에 의해 옹벽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을 갖는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front surface 101 of the steel fram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steel frame 100 may be corroded by rain, because of the exposed steel frame 100 Finish the front 101.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inishing layer 50 by applying concrete mortar to the exposed front surface 101. At this time, the finishing layer 50 is preferably used the same as the concrete mortar used in the block 200 production. In addition, when the step 220 is formed in the block 200 as described above, thereby the front surface 201 of the block 200 protrudes than the steel frame 100, the retaining wall by the finishing layer 50 It has a flat surface as a whol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프레임(100)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바람직한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사시도이다. 5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steel fram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eferr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eel frame 100 and the reinforcement 300.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그 횡단면의 형상이 H형, ㅗ형 또는 I형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지지부(112), 후방지지부(114) 및 이들의 중앙을 일체로 연결하는 중앙심재부(113)를 가지는 H형이 좋다. 그리고 전방지지부(112)의 길이(L)는 후방지지부(114)의 길이(ℓ)보다 더 길고, 상기 전방지지부(112)는 중앙심재부(113)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부(112)는 그 양말단부보다 중앙부의 두께가 더 큰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전방지지부(112)가 중앙심재부(113)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높은 토압에도 휘어지지 않는 이점 이 있다. The steel frame 10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shaped, X-shaped or I-shaped,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front support 112, the rear support 114 and these H-type having a central core 113 to connect the center of the body integrally. And the length (L)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is longer than the length (L)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14,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is more preferably convex toward the central core portion 113.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and Figure 6,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sock e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ont support part 112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central core part 11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ont support part 112 does not bend even at high earth pressure.

또한, 상기 철골프레임(100)에는 보강재(300)를 연결할 수 있는 결속공(130)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러한 결속공(130)은 철골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를 묶음 연결하는 데에 유용하다. In addition, the steel frame 1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binding hole 130 to connect the reinforcement 300. The binding hole 130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frame 100, which is useful to bundle the reinforcement 300 of the wire form.

철골프레임(100)에 보강재(30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공(151)이 형성된 'U'자형 또는 'ㄷ'자형 본체(152)와, 상기 체결공(151)에 결합되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15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50)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의 끝부분을 고리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본체(152)에 끼우고, 철골프레임(100)과는 체결구(153)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연결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철골프레임(100)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는 물론 띠 형태의 보강재(300)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In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300 to the steel frame 100,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50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ng member 150 has a 'U'-shaped or' c'-shaped body 152 having a fastening hole 151 formed thereon, and a bolt / nut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51. The fastener 153 may be configured. When using such a connection member 150, the end of the wire-shaped reinforcing material 300 is made in the shape of a ring, then inserted into the body 152, the fastener 153 and the steel frame 100 By connecting through the steel frame 100 and the reinforcement 300 can be easily connected. In addition, the wire frame reinforcement 300, as well as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300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100.

또한, 상기 연결부재(1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본체(152)와, 상기 개방된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너트(15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된 양측 단부에는 나사산(1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너트(154)의 이동에 의해 본체(152)는 개폐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152)를 결속공(130)에 끼운 다음, 본체(152)에 보강재(300)를 삽입한 후 너트(154)를 잠금으로써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연결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철골프레임(100)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는 물론 띠 형태의 보강재(300)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것이고, 도 8은 띠 형태의 보강재(300)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member 150 may include a main body 152 of which a portion is open, and a nut 154 coupled to both open ends. At this time, the threads 152a are formed at both open ends. Accordingly, the main body 15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nut 154, the main body 152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130 in the open state, and then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52. By locking the nut 154, the steel frame 100 and the reinforcement 300 can be easily connected. In addition, the wire frame reinforcement 300, as well as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300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100. Figure 7 shows the wire-shaped reinforcement 300 is connected, Figure 8 shows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300 is connect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블록(200)의 내부에 매입되는 심재(250)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이 조립되는 모습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이 철골프레임(100)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re material 250 embedded in the block 200. And Figure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lock 200 is assemb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bloc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teel frame 100 Here is a cross-sectional view.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블록(200)은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좌우측 말단에 단턱(220)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배치되는 블록(200) 상호간의 조립구조로서 그 상하부 면에는 요철 조립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요철 조립구조로서 상부 면에는 요홈부(242)가 형성되고, 하부 면에는 돌출부(244)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First, referring to FIG. 9, the block 20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crete structure, and preferably, the step 220 is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thereof. More preferably, the assembling structure between the blocks 200 arranged up and down may have an assembling structure on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9 illustrates a concave-convex assembly structure in which a groove 24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rotrusion 244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블록(200)은 그 내부에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은 망통체의 심재(250)가 적어도 1개 이상 매입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심재(250)는 삼각 또는 사각 망통체가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재(250)는 3개(삼각 망통체) 또는 4개(사각 망통체)의 지지봉(252)과, 상기 지지봉(252)들을 망 형태로 결선하는 와이어(2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삼각 망통체의 심재(250)를 예시하였다. In addition, the block 200 is preferably embedded with at least one core member 250 of the mesh tube as illustrated in Figure 10, the core member 250 is preferably a triangular or rectangular mesh tube. Specifically, the core member 250 is composed of three (triangular net tube) or four (square net tube) support rods 252, and the wires 254 for connecting the support rods 252 in a net form. desirable. 10 illustrates a core material 250 of a triangular mesh tube.

위와 같은 망통체의 심재(250)는 콘크리트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일반전인 철 근 심재보다 우수한 강도를 블록(200)에 부여한다. 아울러, 망통체의 심재(250)는 도 11에 도시한 보와 같이 볼록(200) 내부에 두 줄로 매입되는 것이 강도의 보강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망통체의 심재(250)를 사용하는 경우 지그재그 형으로 두 줄로 배열하는 것이 더욱 좋다. The core member 250 of the mesh tube as described above strengthens the binding force of the concrete to give the block 200 superior strength than the reinforcing core core material. In addition, the core member 250 of the mesh tube is more preferably embedded in the convex 200 in two rows as shown in FIG. 11 in view of reinforcing strength.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1, when using the core material 250 of the triangular mesh cylindrical body is more preferably arranged in two lines in a zigzag form.

또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하로 배치되는 블록(200) 상호간의 요철 조립구조로서 요홈부(242)와 돌출부(244)를 형성하되, 돌출부(244)의 길이(H)보다 요홈부(242)의 깊이(h)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즉, h > H) 그리고, 블록(200)을 조적함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242)에 폴리머, 모르타르 등의 고착제(A) 및/또는 방수제(A)를 주입한 다음, 요홈부(242) 돌출부(244)를 끼워 조적함으로써 블록(200)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력 및/또는 방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1, as the concave-convex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blocks 200 are arranged up and down to form the groove portion 242 and the protrusion 244, the groove portion than the length (H) of the protrusion 244 A depth h of 242 may be formed longer (ie, h> H). In the case of structuring the block 200, a fixing agent (A) such as polymer or mortar is formed in the recess 242. And / or after the injection of the waterproofing agent (A), by inserting the grooves 242 projecting portions 244 can be combined to have a strong bonding force and / or waterproof between the blocks 200.

또한, 철골프레임(100)과 블록(200)이 좀 더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200)의 단턱(220)에는 끼움홈(2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20a)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철골프레임(100)의 전방지지부(112)에는 볼록(200) 쪽으로 돌출된 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tting frame 220a may be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220 of the block 200 so that the steel frame 100 and the block 200 have a more firm coupling force. And as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220a, the projection 112a protruding toward the convex 200 may be formed in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of the steel frame 100.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2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가로(길이)는 1.0m ~ 5.0m, 세로(높이)는 0.5m ~ 3.0m, 두께는 10cm ~ 30c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Block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structure, the horizontal (length) is 1.0m to 5.0m, the vertical (height) is preferably 0.5m to 3.0m, thickness 10cm ~ 30cm.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200)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보다 대형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끼움, 조적 시에는 장비가 동원되어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좋다. Specifically, the block 2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larger size than the block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in the prior art,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steel frame 100, and equipment is mobilized when the work is performed. Good to go.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옹벽에는 통상과 같은 방법으로 배수 구조 또 는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관은 옹벽의 전면 표면에 페인트 도장 등의 방법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옹벽에 페인트를 도장함에 있어서,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7개의 블록(200)을 끼움, 조적하고, 각 블록(200)의 색깔을 다르게 하되, 맨 아래에서부터 또는 맨 위에서부터 차례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및 보라색의 무지개 색깔을 도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drainage structure or appearance in the same manner as usual. For example, the external appearance can be given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y a method such as paint coating. In this case, in painting the retaining wall, the seven blocks 200 are sandwiched between the steel frame 100, are stacked, and the color of each block 200 is different, but from the bottom or from the top in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indigo and purple rainbow colors can be painted.

또한, 옹벽에 외관을 부여함에 있어, 블록(200) 자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260)을 형성시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블록(200)의 전면(201)에는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2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260)은 블록(200)의 제작과정에서 그 전면(201)이 돌출 또는 패여서 형성된 문자, 도형, 이미지로서, 예를 들면 공을 반으로 쪼갠 반구형 모양;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모양; 중심에 꼭지점이 돌출된 마름모 모양; 벽돌 모양; 대리석 모양; 꽃, 동물, 인물, 십자가, 종(bell), 새(bird), 나무, 무지개, 폭포, 산, 자동차, 비행기, 열차, 건물, 식물 등을 형상화한 모양;을 포함한다. 도 13에는 반구형의 문양(260)이 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In addition, in imparting an appearance to the retaining wall, an embossed or engraved pattern 260 may be formed on the block 200 itself to impart an appearanc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an embossed or intaglio pattern 26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01 of the block 200. The pattern 260 is a character, a figure, an image formed by the front surface 201 protruded or du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lock 200, for example, a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a ball is split in half; Polygonal shapes such as triangles, squares, pentagrams, and octagons; A rhombus with a vertex protruding in the center; Brick shape; Marble shape; Include shapes depicting flowers, animals, figures, crosses, bells, birds, trees, rainbows, waterfalls, mountains, cars, airplanes, trains, buildings, plants, and the like. FIG. 13 illustrates a hemispherical pattern 260 formed to protrude regularly.

한편, 옹벽의 시공현장은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토체 벽면과의 거리가 짧아 보강재(300)가 충분히 매립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축조하면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토체 벽면의 거리가 짧아도 손쉽게 축조할 수 있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retaining wall is a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built and the earth wall surface is short, there is a case that the distance that the reinforcement 300 can be sufficiently buried may not be secured.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nd the earth wall is short, it can be easily construc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단면 구성 도이다.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먼저 토체의 벽면에 보강재 삽입공(410)을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 삽입공(410)에 보강재(300)를 삽입한 다음, 고착재료(420)를 주입, 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재 삽입공(410)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장공(412)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공(4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고착재료(420)는 모르타르나 수지(resin)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착재료(420)의 경화에 의해 보강재(300)와 고착재료(420)는 일체가 되고, 상기 일체물은 철근프레임(100)과 토체를 견고하게 결속시켜 높은 토압에도 충분한 대응력을 발휘할 수 있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first,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410 is drill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arth body. Then,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410, and then the fixing material 420 is injected and cured.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 410 is preferably made of a vertical hole 414 formed vertically with the horizontal long hole 412 formed horizontally long, as illustrated in FIG. And the fixing material 420 may be used mortar or resin (resin). Accordingly,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and the fixing material 42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hardening of the fixing material 420, and the integrally binds the reinforcing frame 100 and the earth body firmly to exert sufficient coping force even at high earth pressure. Can b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은 성토지나 절개지 등에 축조되는 옹벽은 물론 제방공사, 다리 구축공사 등과 같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는 목적으로 구축되는 옹벽이면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ll the retaining walls that ar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earth and sand of the back, such as embankment construction and bridge construction, as well as retaining walls that are constructed on the ground or incision.

한편, 옹벽은 시공현장에 따라 필연적으로 계단형으로 축조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천 제방공사 현장이나, 토체의 벽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가 그러하며, 이때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단형으로 구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taining wall may inevitably be constructed in a step shap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this is the case when a river dike construction site or a wall of a soil forms a gentle slope, and in this case, it is constructed in a stepped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단형의 옹벽이 구축되도록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계단형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32)과 수평프레임(134)이 교대로 연결된 계단형 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3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강재(300)가 연결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5, the steel frame 100 has a stepped structure so that a stepped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5, the steel frame 100 has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frame 132 and the horizontal frame 134 are alternately connected. And the vertical frame 132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300 as described above.

위와 같이, 계단형의 철골프레임(100)을 고정한 다음에는 옹벽의 수직면(B)은 블록(200)을 끼워 형성한다. 즉, 수직프레임(132)의 블록 삽입홈(120)에 블록(200)을 끼워 옹벽의 수직면(B)을 형성한다. 그리고 블록(200)의 배면에 보강토(토사 및 잡석)를 뒤채움하고 다짐한 다음,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표면은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거나 또는 토사를 덮어 마감한다. 즉, 뒤채움 보강토 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나 토사 덮어 마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옹벽의 수직면(B)은 블록(200)으로 형성되게 하고, 수평면(C)은 콘크리트 또는 토사의 마감에 의해 형성되게 한다. 이때, 토사는 잔디 등의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bove, after fixing the staircase steel frame 100, the vertical surface (B) of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by fitting the block 200. That is, the block 200 is inserted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120 of the vertical frame 132 to form a vertical surface B of the retaining wall. And after filling and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soil (soil and rubble) on the back of the block 200,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s to pour concrete, curing or cover the soil. In other words, it is covered with concrete mortar or soil on the backfill reinforcement soil.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surface B of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by the block 200 and the horizontal surface C is formed by the finish of concrete or soi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arth and sand so that plants such as grass can grow well.

위와 같은 작업을 진행하면, 수평프레임(134)은 콘크리트나 토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수직프레임(132)의 전면(10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32)의 전면(101)에 콘크리트를 발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 처리를 진행한다. Proceeding to the above operation, the horizontal frame 134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concrete or soil, but the front surface 101 of the vertical frame 132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by applying a concrete to the front surface 101 of the vertical frame 132 proceeds to the finish treatment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길이의 철골프레임(100) 및 블록(200)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그 위에 철골프레임(100)의 배열 및 블록(200)을 조적하되 계단형이 되도록 2층 이상부터는 토체 쪽으로 옹벽을 축조하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형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계단형 옹벽의 수직면(B)은 블록(200)으로 형성되는 것 이 좋고, 수평면(C)은 잔디 등의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토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steel frame 100 and the block 200 of a small length, and the arrangement and the block 200 of the steel frame 100 thereon. ), But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oward the earth body from two or more floors so as to become a step shape, a stepped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16 can be constructed. At this time, the vertical surface (B) of the stepped retaining wall is preferably formed as a block 200,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surface (C) is preferably formed of earth and sand to grow plants such as gras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철골프레임(100)에 블록(200)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축조되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철골프레임(100)의 버팀력과, 철골프레임(100)에 연결된 보강재(300)의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재(300)는 철골프레임(100)에 연결되어 블록(200)에 연결되는 종래와 대비하여, 볼록(200)의 조적 및 보강재(300) 설치작업이 간소화되어 공기가 대폭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축조된 옹벽은 토체의 변위발생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block 200 is fitted to the steel frame 100 fixed to the ground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bove all the support of the steel frame 100, steel frame 100 By embedding the reinforcement 300 connected to the) has an effect having a high response to the lateral pressure of the soil.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300 is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10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nection to the block 200, the stiffening of the convex 200 and the installation of the reinforcement 300 is simplified effect of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air Has And the retaining wall has a good durability against the displacement of the soil.

그리고 블록(200)의 내부에 심재(250)로서 다수의 망통체가 매입된 경우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mesh bodies are embedded in the block 200 as the core material 250, they have excellent strength and durability.

Claims (12)

옹벽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블록 삽입홈(120)이 형성된 철골프레임(100)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100)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Arranging and fixing a plurality of steel frame frames (100) having block insertion grooves (120) formed on the groun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ranging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steel frame frames (100) to be embedded in the ground; 상기 블록 삽입홈(120)에 블록(200)을 끼워 철골프레임(100)의 사이에 블록(200)을 조적하는 단계와; Inserting a block (200)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120) to assemble the block (200) between the steel frame (100); 상기 철골프레임(100)에 보강재(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300)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와; Filling and compacting stepwis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connected to the steel frame 10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철골프레임(100)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Comprising: the finishing process so that the front of the steel frame 100 exposed to the outside is not exposed;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전방지지부(112), 후방지지부(114) 및 중앙심재부(113)를 가지는 H형으로서, 상기 전방지지부(112)의 길이(L)가 후방지지부(114)의 길이(ℓ)보다 더 길고, 상기 전방지지부(112)는 중앙심재부(113)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The steel frame 100 is an H-type having a front support portion 112, a rear support portion 114 and a central core portion 113, the length (L)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is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14 Longer than (ℓ),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central core portion 113, 상기 블록(200)은 그 내부에 심재(250)가 매입되고, 상기 심재(250)는 지지봉(252)과 상기 지지봉(252)을 망 형태로 결선하는 와이어(254)로 구성된 망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The block 200 is a core member 250 is embedded therein, the core member 2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member consisting of a support rod 252 and the wire 254 for connecting the support rod 252 in the form of a net How to build retaining walls 옹벽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블록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수직프레임(132)과 수평프레임(134)이 교대로 연결되어 계단형의 구조를 가지는 철골프레임(100)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100)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Block insertion groove 120 is formed, the vertical frame 132 and the horizontal frame 134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teel frame 100 having a stepped structure in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and fixed, Arrang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teel frame frame 100 to the ground; 상기 수직프레임(132)의 블록 삽입홈(120)에 블록(200)을 끼움, 조적하여 옹벽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Inserting a block (200) into the block insertion groove (120) of the vertical frame (132) to form a vertical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상기 수직프레임(132)에 보강재(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300)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나 토사를 덮어 옹벽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Filling and compacting stepwise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30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132, and then covering the concrete or soil thereon to form a horizontal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외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프레임(132)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Comprising: the finishing process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32 exposed to the outside is not exposed;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전방지지부(112), 후방지지부(114) 및 중앙심재부(113)를 가지는 H형으로서, 상기 전방지지부(112)의 길이(L)가 후방지지부(114)의 길이(ℓ)보다 더 길고, 상기 전방지지부(112)는 중앙심재부(113)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The steel frame 100 is an H-type having a front support portion 112, a rear support portion 114 and a central core portion 113, the length (L) of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is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14 Longer than (ℓ), the front support portion 112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central core portion 113, 상기 블록(200)은 그 내부에 심재(250)가 매입되고, 상기 심재(250)는 지지봉(252)과 상기 지지봉(252)을 망 형태로 결선하는 와이어(254)로 구성된 망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The block 200 is a core member 250 is embedded therein, the core member 2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member consisting of a support rod 252 and the wire 254 for connecting the support rod 252 in the form of a net How to build retaining walls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연결은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옹벽의 축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eel frame (100)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300) is connected via a connection member (1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00)은 그 좌우측 말단에 단턱(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lock 200 is a stepped wall 220,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220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thereof.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00)은 그 상하부 면에 요철 조립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lock (200) has a concave-convex assembly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00)은 요철 조립구조로서, 상부 면에는 요홈부(242)가 형성되고, 하부 면에는 돌출부(2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lock (200) is an assembling structure of concave-convex structure, and the groove portion (24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protrusion portion (24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00)은 그 전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200) has an embossed or intaglio pattern formed on its front surface. 삭제delete
KR1020050051438A 2005-06-15 2005-06-15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0671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8A KR100671959B1 (en) 2005-06-15 2005-06-15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8A KR100671959B1 (en) 2005-06-15 2005-06-15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94A KR20060131194A (en) 2006-12-20
KR100671959B1 true KR100671959B1 (en) 2007-01-19

Family

ID=3781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438A KR100671959B1 (en) 2005-06-15 2005-06-15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9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63B1 (en) * 2009-04-08 2010-04-29 조정태 Panel block
KR101356724B1 (en)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769B (en) * 2018-05-07 2020-07-03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super-long rock-socketed T-shaped combined column plate high retaining wall
KR102548929B1 (en) * 2022-09-20 2023-06-28 주식회사 세기 Retaining wall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with modular construction method of pc concrete block and secure stability even in high-rise design by reinforced wire tension and integrated behavior of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888U (en) * 1993-04-19 1994-11-17 Soil Panel
KR200157315Y1 (en) * 1996-12-28 1999-09-15 대정산업상사주식회사 A braced wall board of foundation pits
KR200261318Y1 (en) * 2001-04-11 2002-01-24 윤여원 Rapid Construc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H P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888U (en) * 1993-04-19 1994-11-17 Soil Panel
KR200157315Y1 (en) * 1996-12-28 1999-09-15 대정산업상사주식회사 A braced wall board of foundation pits
KR200261318Y1 (en) * 2001-04-11 2002-01-24 윤여원 Rapid Construc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H Pi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63B1 (en) * 2009-04-08 2010-04-29 조정태 Panel block
KR101356724B1 (en)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94A (en)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571B2 (en) Modular construction blocks, building structures, kits, and methods for forming building structures
KR10067195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KR100304861B1 (en) Insulation Precast Concrete Panel
KR101066752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one-body type concrete form panel
CA1286123C (en) Structural assembly for producing walls
KR100625782B1 (en) Pier Structure having Precast Concrete For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KR102263958B1 (en)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Pre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Bulwark
KR100696297B1 (en)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KR10103541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CN212867118U (en) Assembled enclosure wall capable of being repeated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for use
CN208762948U (en) A kind of Prefabricated composite stake Ecological Retaining Wall and the waterway system using the Ecological Retaining Wall
KR100375821B1 (en) Blocks for Constructing a Breast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Breast Wall
CN216690035U (en) Building block for assembled enclosure and assembled enclosure
CN219364698U (en) Ecological barricade of compound soil nail of stock
KR200146327Y1 (en) An assembling block for a retaining wall
CN221142668U (en) Ecological building block and bank protection structure
CN218952237U (en) Retaining wall with ecological hole
KR100859294B1 (en) Composite a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by
KR200242401Y1 (en) Grounding stone
CN219118228U (en) Assembly type soil retaining greening water permeable member
CN212867119U (en) Assembled enclosure for permanent use
RU224782U1 (en) Modular retaining wall block
KR19990075158A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sing only natural stone and its structure
KR101107279B1 (en) retaining wall using reinforcement soil blocks and const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that at cutting ground
CN109057084B (en)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