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336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9336B1 KR100669336B1 KR1020050019036A KR20050019036A KR100669336B1 KR 100669336 B1 KR100669336 B1 KR 100669336B1 KR 1020050019036 A KR1020050019036 A KR 1020050019036A KR 20050019036 A KR20050019036 A KR 20050019036A KR 100669336 B1 KR100669336 B1 KR 1006693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jection hole
- electrolyte injection
- sealing member
- case
- secondary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 주입구와 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해액 주입구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세퍼레이터와 이 세퍼레이터 양면에 배치되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며 상기 전극군과 연결되는 단자가 결합되는 캡 조립체, 상기 케이스 또는 캡 조립체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부를 향해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대응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for sealing it, so that the electrode group including a separator and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to improve the sealing property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electrode group A built-in case,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to seal the case, and having a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ode group coupled thereto,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or the cap assembly and having an inclin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The outer surface is incl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전해액 주입구, 밀폐부재, 경사, 용접, 캡 플레이트 Electrolyte inlet, sealing member, warp, welding, cap plat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해액 주입구를 상세하게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해액 주입구가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aled state of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액 주입구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써,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상기 전지 셀을 수십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 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 not be charged, and recently, a high-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electrolyte of high energy density has been developed, one battery cell pack type In the case of low-capacity batteries packaged with a battery,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hone, a notebook computer, a camcorder, and the like are use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t i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to form a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띠 상의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또는, 젤리롤)을 형성하거나,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복수개로 적층하여 전극군을 형성한 후 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The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and rectangular shapes. The secondary batteries are wound in a vortex through a separator, which is an insulator, between the two bands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 Jelly roll), or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negative electrode plates, and separators are stacked to form an electrode group, and then built in the case, and a cap assembly having external terminals formed on the case is configured to constitute a battery.
또한, 상기 캡 조립체에는 케이스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는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ap assembly is formed with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밀폐부재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에는 전해액 주입구가 단순하게 원형단면구조로 형성되고 그 위에 전해액 주입구보다 직경이 큰 구 형태의 밀폐부재를 위치시켜 프레스와 같은 가압수단으로 상기 볼을 전해액 주입구에 가압하여 볼이 전해액 주입구에 압착되어 부착되도록 하였다. Looking a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in the prior art,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simply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placed on the sealing member of a sphere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on the ball by pressing means such as a press Was press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so that the ball was pressed and attach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그리고 볼의 외주면을 따라 레이저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시켰다.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was sealed by performing laser wel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상기한 구조 이외에 종래의 경우 전해액 주입구의 내주면을 단차가공하고 전해액 주입구를 막는 밀폐부재 또한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대응되는 형태로 단차가공하여 밀폐부재를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끼운 후 전해액 주입구와 밀폐부재 사이를 레이저 용접하였다.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in the conventional case, a sealing member for step process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block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also stepp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to insert the sealing member in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n a laser is separated betwe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Weld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구형태의 밀폐부재를 이용하여 주입구를 막는 경우 압착 후 밀폐부재의 위치 정도가 확보될 수 없는 한편, 밀폐부재의 상부면이 정확하게 원형을 이룰 수 없어 캡 조립체와의 용접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described above, when the injection port is blocked using a spherical sealing member, the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cannot be secured after pres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cannot be accurate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ld is not properly formed.
또한, 단차가공된 밀폐부재를 사용하는 구조의 경우 무엇보다도 가공이 어려우며 전해액 주입구와 이에 끼워지는 밀폐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양자의 크기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려워 밀폐부재와 전해액 주입구 사이의 틈새가 균일하지 않게 되고 용접이 이루어지는 면의 높이차가 발생하게 되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using the stepped sealing member,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above, and it is difficult to exactly match the size of both in manufacturing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fitted thereto so that the gap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not uniform. And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is made is not made properly welding.
이에 따라 전지 내부에 주입된 전해액이 전해액 주입구를 따라서 외부로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누수 전해액으로 인하여 용접시 과도한 스파크가 발생되는 등 전해액 주입구에 대한 밀폐성이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이는 전지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As a result,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battery leaks to the outside along the electrolyte inlet, and the leaking electrolyte causes excessive sparking during welding, thereby preventing the sealing of the electrolyte inlet from being ensured. This results in a lower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 주입구와 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해액 주입구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for sealing it,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mproved the sealing property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해액 주입구가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끼워지는 밀폐부재는 상기 전 해액 주입구와 대응되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and the sealing member fitt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와 이 세퍼레이터 양면에 배치되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포함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며 상기 전극군과 연결되는 단자가 결합되는 캡 조립체, 상기 케이스 또는 캡 조립체 일측에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부를 향해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대응되도록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group including a separator and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 case in which the electrode group is built,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ase to seal the separator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group. And a sealing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assembly, the case or the cap assembly,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formed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in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outer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to seal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member is preferably fixed by welding in a state fitt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또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캡 조립체 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cap assembly.
또한, 상기 전해액 주입구는 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도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전해액주입구와 상기 밀폐부재의 형태에 있어서 원형단면구조에 한정되지않 으며 타원형태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made of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made of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It may be made of polygonal cross-sectional structure such as oval shape or square shape.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밀폐부재도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크기가 작아져 측면이 상기 전해액 주입구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correspondingly, the sealing member is gradually reduced in siz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side surface has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 끼워졌을 때 상기 전해액 주입 구의 상단과 동일 면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may be plac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upper end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when inserted in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각형 또는 원통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a rectangular or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또한, 상기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i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the device in a device that operates by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Can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서는 각형의 이차 전지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각형 이외에 원통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atteries such as a cylinder in addition to a square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차 전지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이차 전지는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10)과, 상기 전극군(10)이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각형의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30), 상기 양,음극판과 탭(15)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31,32), 상기 캡 조립체(30)에 설치되어 전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밸브(20), 상기 캡 조립체 일측에 형성되어 케이스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34), 상기 전해액 주입구(34)를 밀봉하여 케이스 내부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밀폐부재(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secondary battery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econdary battery is the
여기서 상기 케이스(14)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군(10)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군(10)은 각각의 활물질이 집전체에 코팅되어 구성된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상태에서 이들이 와류상으로 감겨 형성된 젤리롤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양극판의 무지부(11a)와 음극판의 무지부(12a)가 전극군(10)의 양단에 대향 배치되어, 케이스(14)를 수직으로 세워 캡 조립체(30)가 상,하방향으로 놓여졌을 때를 기준으로 케이스(14)의 양 측면에 전극군(10)의 무지부(11a,12a)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장설치되며, 전극군(10)의 양단의 무지부(11a,12a)에 각각 설치되는 탭(15)(또는 집전판)을 매개로 캡 조립체의 양,음극단자(3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캡 조립체(30)는 가스켓을 매개로 상기 케이스(14) 상단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33)와, 이 캡 플레이트(33) 양쪽에 설치되고 각각 탭(15)을 매개로 전극군의 무지부(11a,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단자(31,32)를 포함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33)의 중앙에 상기 안전밸브(20)가 설치되고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전해액 주입구(34)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nd 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전해액 주입구(34)에 대해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33)의 외측에서 케이스 내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내주면이 일정 각도로 경사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여기서 상기 전해액 주입구(34)의 내주면의 경사각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밀폐부재(40)는 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은 상기 전해액 주입구(34)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뿔형태를 이룬다.In addition, the sealing
상기 밀폐부재(4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캡 플레이트(3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sealing
상기 밀폐부재(40)의 두께는 상기 전해액 주입구(34)가 형성되는 캡 플레이트(33)의 두께 와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게 반드시 캡 플레이트(33)의 두께와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캡 플레이트(33)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40)의 외측 선단 직경은 상기 전해액 주입구(34)의 외측면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부재(40)가 상기 전해액 주입구(34)에 끼워지는 경우 캡 플레이트(33)의 외측면과 상기 밀폐부재(40)의 외측 선단이 동일 면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outer tip diameter of the
이와 같이 전해액 주입구(34)와 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40)가 서로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해액 주입구(34)에 밀폐부재(40)를 끼우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주입구(34)의 내주면에 밀폐부재(40)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밀폐부재(40)가 전해액 주입구(34)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전해액 주입구(34)에 밀폐부재(40)가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전해액 주입구(34)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33)와 상기 밀폐부재(40)의 선단이 만나는 경계부를 따라서 용접 예컨대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전해액 주입구(34)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33)의 외측면과 상기 밀폐부재(40)의 외측면이 서로 동일 면상에 놓여지게 되어 도 3에서와 같이 레이저 용접에 의한 용접부(50)를 전해액 주입구(34)와 밀폐부재(40) 사이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aling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전해액 주입구(34)는 밀폐부재(4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될 수 있게 된다.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와 전지 모듈은, 고출력/대용량을 요구받는 HEV용 전지의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용도가 HEV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case of a HEV battery that requires high output / large capacity, but the use thereof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HEV.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액 주입구와 이를 밀봉하는 밀폐부재의 결합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이게 되어 용접불량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전지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전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liably perform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sealing member for sealing it to prevent the welding failure and thereby to improve the sealability of the battery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또한, 전해액 주입구에 대한 밀폐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sealing member to the electrolyte inlet to simplify the process and reduce the amount of work.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9036A KR100669336B1 (en) | 2005-03-08 | 2005-03-08 |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9036A KR100669336B1 (en) | 2005-03-08 | 2005-03-08 | Secondary batt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7986A KR20060097986A (en) | 2006-09-18 |
KR100669336B1 true KR100669336B1 (en) | 2007-01-15 |
Family
ID=3762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9036A KR100669336B1 (en) | 2005-03-08 | 2005-03-08 | Secondary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933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34799B (en) * | 2019-09-05 | 2020-12-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Battery and battery cover plate assembly |
-
2005
- 2005-03-08 KR KR1020050019036A patent/KR100669336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7986A (en) | 2006-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476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27374B1 (en) | Secondary battery | |
US8765291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JP6091815B2 (en) | Secondary battery | |
EP2228852B1 (en) |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ing plates with improved structure | |
US9118061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599793B1 (en) |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s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1165503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0599792B1 (en) | Secondary battery, electrodes assembly and plate using the same | |
KR10066794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060037595A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786871B1 (en) | Secondary battery | |
US20060068273A1 (en) | Cap assembly having a vent plate and rechargeable battery with same | |
EP2477257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264425B1 (en)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 |
KR20130115594A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121205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70110821A (en) | Battery Cell Comprising Cylindrical Can Having Screw-typed Fastening Portion | |
EP3799198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69336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658681B1 (en) | Secondary battery and terminal of secondary battery | |
KR100684732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264461B1 (en) |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is same and assembly method of cap assembly | |
KR100624968B1 (en) | Cap Assembl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 |
KR100717744B1 (en) | Secondary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