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43B1 -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8843B1 KR100658843B1 KR1020050087143A KR20050087143A KR100658843B1 KR 100658843 B1 KR100658843 B1 KR 100658843B1 KR 1020050087143 A KR1020050087143 A KR 1020050087143A KR 20050087143 A KR20050087143 A KR 20050087143A KR 100658843 B1 KR100658843 B1 KR 100658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plate
- shelf
- steam
- clot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othing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lothes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선반 고정 구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helf fixing structur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8 and 9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의류 재생 장치 11 : 증기 발생부10: clothing recycling apparatus 11: steam generator
12 : 캐비닛 13 : 탑 테이블12: cabinet 13: top table
14 : 도어 15 : 선반14 door 15 shelf
본 발명은 의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세탁 및 건조가 완료된 세탁물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배어 있는 악취 기타 음식물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의류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recyc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thes recycling apparatus for effectively removing the wrinkles of the laundry and drying is completed, or to effectively remove the odor or other food smells in the clothes.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한 번에 다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가전 기기로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세탁기는 펄세이터 방식 또는 드럼 회전 방식 등이 채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used in most homes as a home appliance capable of washing a large amount of laundry at a time, and the washing machine is a pulsator method or a drum rotating method.
한편, 상기와 같은 세탁기는 드럼 내부에서 다량의 세탁물이 회전하기 때문에 세탁물끼리 뒤엉키게 된다. 따라서, 헹굼 및 탈수 과정이 종료되면 세탁물의 구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세탁기 내부에서 건조 과정까지 완료되는 경우 세탁물의 구김 현상은 더욱 현저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김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세탁이 완료되고 건조과정을 거친 세탁물을 다림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림질 과정은 바쁜 현대인에게는 시간적 부담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is entangled with the laundry because a large amount of laundry rotates inside the drum. Therefore, when the rinsing and dehydration process is finished, wrinkles of the laundry occurs. Furthermore, when the drying process is complet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wrinkles of the laundry are more remarkably generated. In order to remove such wrinkles, the user goes through a process of ironing the laundry after the washing is completed and dried. However, this ironing process is a time burden for busy modern people.
또한, 세탁된 옷을 입고 음식 냄새가 많이 발생하는 식당에 들어가거나,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의 경우 입고 있던 옷에 악취가 스며들게 된다. 이 경우, 세탁 을 한 지 오래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의류에 배어 있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시 세탁을 하거나 세탁소에 맡겨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a smoker who wears laundry clothes and eats a lot of food, or smokes a cigarette, smells badly. In this case, even if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laundry, there is a problem that you have to wash again or leave it to the laundry in order to remove the bad smell in the cloth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의 구김을 제거하여 별도의 다림질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류에 배어 있는 악취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remove the wrinkles of the laundry is completed to be able to wear immediately without undergoing a separate ironing process, and to easily remove the odor on the cloth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recycling apparatus.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는 내부에 재생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장착되는 증기 발생부; 상기 캐비닛의 내측 벽에 층을 이루어 장착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측 벽에 장착되는 선반;이 포함된다.Clothing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binet in which a play space is formed; A steam generator mounted below the cabinet; And a shelf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cabinet and mounted on at least two inner walls.
또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는 내부에 재생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측에 장착되는 증기 발생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안착되며, 일측에 증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탑 테이블; 상기 캐비닛의 내측 벽에 층을 이루어 장착되며, 소정 크기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선반;이 포함된다.Clothing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aspect is a cabinet in which the play space is formed; A steam generator mounted below the cabinet; A top tabl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provided with a steam outlet at one side; A shelf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cabinet, the shelf including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 support for allowing the plate to be mounted to the cabinet, and a hinge for pivotally coupling the plate to the support;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의류 재생 장치 내에 많은 양의 의류 기타 세탁물이 수납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의류 재생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스팀 유로에 의하여 공급되는 스팀이 수납된 의류 전체에 골고루 스며들어 의류 재생 효과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a large amount of clothes or laundry can be stored in the clothes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clothes supplied with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lothes reproducing apparatus are evenly absorbed into the clothes. The regeneration effect is increa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 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inventions which are further deteriorat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are easily limited. Make sure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lothing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10)는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옷장이 형성되는 캐비닛(12)과, 상기 캐비닛(12)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적재되도록 하는 선반(15)과, 상기 캐비닛(12)의 하측에 구비되는 증기 발생부(11)와, 상기 캐비닛(12)의 상측에 안착되는 탑 테이블(13)과, 상기 캐비닛(1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4)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a
상세히, 상기 증기 발생부(11) 내부에는 증기 발생을 위한 증기 발생 장치가 내장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증기 발생 장치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 내부에 히터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제시 가능한 증기 발생 장치는 내부에 히터가 장착되고, 내부로 소정 직경의 관이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관 내부를 따라 흐르는 물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증기가 발생된다.In detail, a steam generator for steam generation is built in the
또한, 상기 증기 발생부(11)의 상부면에는 증기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상 기 증기 발생부(11)에서 형성되는 증기가 상기 증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옷장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탑 테이블(13)의 일측에는 증기 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2) 내부에 유입되어 상승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의류 재생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기 발생부(11) 내부에 증기 발생 장치가 별도로 장착되도록 하여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증기 발생부(11)가 세탁기의 증기 발생 장치와 연결되도록 하여, 세탁기와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 발생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증기 분사 노즐 또는 세탁기의 증기 발생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증기 분사 노즐이 상기 증기 유입구(111)에 위치되도록 하여, 증기가 옷장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증기 발생부(11) 내부에는 고온의 건조 공기를 생성하는 가열 장치가 내장되도록 하여, 옷장 내부로 건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증기 유입구(111)와 연통되어, 증기와 건조 공기가 동시에 또는 교번하여 분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증기 유입구(111)에는 증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건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별도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또한, 상기 선반(15)은 착탈식 또는 접이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되지 않는 선반(15)은 접어 두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옷장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15)은 상기 캐비닛(12)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증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 닛(12)의 좌측면에 선반(15)이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12)의 우측면에 또다른 선반(15)이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2)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선반(15)은 좌측면에 장착되는 선반(15)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15)은 캐비닛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기까지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태로 교번하여 장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장착 구조에 의하여, 상기 증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옷장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가 상기 선반(15)을 따라 유선형(meander line)의 유로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증기 배출구(1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상기 옷장 내부에서 형성되는 증기의 유로가 직선 형태인 경우보다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승하는 증기가 옷장 내부의 의류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기 위함이다.By the mount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flowing into the closet through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의류 재생 장치(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세탁기에 장착된 증기 발생 장치와 의류 재생 장치(10)가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는 경우에는, 스팀 세탁 행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기 발생 장치(10)가 작동된다. First, when the steam generator mounted on the washing machine and the
상세히, 상기 세탁기에서 스팀 세탁 행정이 시작되면 증기 발생 장치에서 증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발생된 증기의 일부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와 의류 재생 장치(10)의 증기 발생부(11)를 연결하는 호스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되는 증기는 상기 증기 발생부(11)로 유입되어 상기 증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옷장 내 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옷장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선반(15)과 선반(15)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상승하면서 선반(15)에 안치된 의류에 스며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 발생부(11)에서는 고온의 건조 공기가 생성되어 상기 증기 유입구(111)로 유입된다. 이 때, 증기가 옷장 내부로 설정 시간 동안 유입되도록 하고, 증기 유입이 완료되면 건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옷장 내부로 증기가 유입되기 전에 건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의류 재생 분위기를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 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옷장 내부가 실내 온도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옷장 내부로 유입된 증기가 상승하면서 응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detail, when the steam washing stroke is started in the washing machine, steam is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And, a part of the generated steam is moved along the hose connecting the
한편, 상기 의류 재생 장치(10)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는 상기 증기 발생부(11) 내부에 장착된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하여 증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발생된 증기가 상기 증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옷장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상기 의류 재생 장치(10)로 증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증기 발생부(11) 내부에 장착된 증기 발생 장치와 세탁기에 구비된 증기 발생 장치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두 개의 증기 발생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증기가 상기 증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옷장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의류 재생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supplying steam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lothes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의류 재생 장치(10)는 선반(15)이 캐비닛(12)의 좌/우측면 및 후측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상세히, 상기 선반(15)이 상기 캐비닛(12)의 좌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15)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높이의 후측면에 또다른 선반(15)이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5)의 후측면에 장착된 선반(15)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높이의 우측면에 또다른 선반(15)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순서로 상기 캐비닛(12)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다수 개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상기와 같은 배열 구조에 의하여, 상기 증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옷장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는 선반과 선반 사이에 형성되는 유선형 유로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 3 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증기가 옷장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증기가 의류에 충분히 스며들게 된다. 그 결과, 의류의 주름이 효과적으로 펴지며, 의류에 스며 있는 냄새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By the arrangemen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flowing into the closet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선반(15)의 폭은 선반(15)이 장착되는 캐비닛(15)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선반(15)의 길이는 캐비닛(12)의 좌우 폭 또는 전후 폭 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옷장 내부로 유입된 증기의 대부분은 선반(15)의 단부와 캐비닛(15)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선형으로 상승하고, 선반(15)의 양측면과 캐비닛(1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반(15)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틈새로 상승하는 증기가 의류와 접촉하지 아니하고 곧바로 증기 배출구(131)로 수직 상승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Here, the width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15)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151)와, 상기 플레이트(151)의 단부에 장착되는 지지부(153)와, 상기 플레이트(151)가 상기 지지부(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152)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the
상세히, 상기 지지부(153)는 상기 캐비닛(12)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151)는 상기 힌지(15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51)는 수평상태에서 고정되어, 의류가 적재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상기 플레이트(151)를 조작하여야만 플레이트(151)가 캐비닛(12)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한다.In detail, the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선반 고정 구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helf fixing structur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는 플레이트(151)와, 지지부(153) 및 힌지(152)로 구성된 선반(15)의 저면에 고정 장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nd 5, the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세히, 상기 선반 고정 구조는 상기 선반(15)과, 상기 선반(15)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15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51)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대(154)가 안착되기 위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지지대 수용홈(1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3)가 부착되는 캐비닛(12)의 내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지지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54)의 단부가 안착된다. 다 시 말하면, 상기 지지대(154)의 단부가 상기 지지홈(121)에 안착되면, 상기 플레이트(151)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detail, the shelf fixing structure includes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선반 고정 구조의 작동을 보면, 상기 지지대 수용홈(155)에 상기 지지대(154)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플레이트(151)를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비닛(12)의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는 의류 재생 과정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 또는 의류가 안치되지 않는 선반의 기본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선반(15)에 의류가 안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레이트(151)를 상측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수용홈(155)에 안착된 지지대(154)를 회전하여 지지대(154)의 단부가 상기 지지홈(121)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선반(15)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의류가 안치되더라도 플레이트(151)가 하측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elf fixing structur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는 캐비닛(12)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선반(15)과, 상기 플레이트(151)의 측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캐비닛(12)의 내주면에 타측이 연결되는 링크(16)가 포함된다.6 and 7, the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세히,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151)의 양측면에 링크(16)가 장착되도록 하여, 플레이트(151)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16)가 일직선을 이루고, 상기 플레이트(151)가 캐비닛(12)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16)가 완전히 접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16)가 일직선 상태인 경우에는 플레이 트(151)에 안치되는 의류의 하중에 의하여 저절로 접혀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는 플레이트(151)가 접철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8 and 9, the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세히, 상기 선반 고정 구조는 메인 플레이트(151a)와 서브 플레이트(151b)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151)와, 상기 플레이트(151)가 캐비닛(12)의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지지부(153)와, 상기 플레이트(151)가 지지부(15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152)와, 상기 플레이트(151)가 이분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힌지(156)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가 메인 플레이트(151a)에 밀착되도록 하는 걸림 부재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shelf fixing structure includes a
더욱 상세히,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의 측면에 구비되는 걸림 고리(157)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51a)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 고리(157)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 돌기(158)가 포함된다.In more detail, the catching member includes a catching
또한, 상기 플레이트 힌지(156)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51)가 이등분되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가 회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151a)에 밀착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는 상기 플레이트 힌지(156)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부에 돌출되는 지지 리브(159)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 리브 (159)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51a)와 동일 면상에 위치되는 각도까지만 회전되도록 제한된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선반(15)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를 접어서 선반(15)의 크기가 반으로 감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15)이 캐비닛(1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옷장 내부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고리(157)가 상기 걸림 돌기(158)에 걸리도록 하면, 상기 서브 플레이트(151b)가 자중에 의하여 펴지지 않게 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여기서, 상기 선반(15)이 수평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며, 그러한 구조는 상기에서 제시된 고정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 Here, a structure is required so that the
또한, 상기에서 제시된 고정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비롯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가능함을 밝혀 둔다.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embodiments can be presented, including the embodiment for the fixing structure presented above.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반 고정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elf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선반 고정 구조는 각각의 선반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0, the shelf fixing structure proposed i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shelf is detachably coupled.
상세히, 상기 선반(15)은 소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며, 상기 캐비닛(12)의 내측벽에는 상기 선반(15)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선반 삽입홈(122)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선반(15)의 일측 테두리부가 상기 선반 삽 입홈(122)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선반(15)을 옷장 내부로 밀어 넣는 순서로 선반이 캐비닛(12)의 내측벽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삽입홈(122)은 캐비닛(12)의 좌측면과 우측면 및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면에 형성되는 선반 삽입홈(122)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증기 유로가 유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재생 장치에 의하여, 의류 재생 장치의 내부 공간 대비 수납되는 의류 기타 세탁물의 양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clothes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clothes and laundry stor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lothes recycling apparatus is increased.
또한, 의류 재생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스팀 유로 구조에 의하여, 의류 재생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이 수납된 의류에 골고루 스며들어 의류 재생 효과가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the steam flow path structure formed inside the clothes recycling apparatus, the steam supplied to the clothes recycling apparatus evenly soaked in the clothes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othes regeneration effect is increased.
또한, 의류 재생 장치 내부에 형성되는 의류 수납 선반 구조에 의하여, 선반끼리 상호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 수의 선반이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the clothes storage shelf structure formed inside the clothes reproducing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shelves can be mount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helves interfere with each other.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7143A KR100658843B1 (en) | 2005-09-16 | 2005-09-16 |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7143A KR100658843B1 (en) | 2005-09-16 | 2005-09-16 |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8843B1 true KR100658843B1 (en) | 2006-12-15 |
Family
ID=3773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7143A KR100658843B1 (en) | 2005-09-16 | 2005-09-16 |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884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24737A (en) * | 2009-06-25 | 2010-09-08 |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KR101739493B1 (en) | 2015-10-01 | 2017-05-24 | 박규선 | Sterilization drying apparatus for transport equipment |
WO2020055145A1 (en) * | 2018-09-12 | 2020-03-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care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26286U (en) | 1979-03-01 | 1980-09-06 | ||
KR19990049534A (en) * | 1997-12-13 | 1999-07-05 | 전주범 | Split Rotating Wire Rack of Refrigerator |
KR200338657Y1 (en) | 2003-10-28 | 2004-01-16 | 김욱 | Apparatus drying a dish cloth |
KR100595239B1 (en) | 2004-11-30 | 2006-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plex type dryer having lathe which can be folded |
-
2005
- 2005-09-16 KR KR1020050087143A patent/KR1006588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26286U (en) | 1979-03-01 | 1980-09-06 | ||
KR19990049534A (en) * | 1997-12-13 | 1999-07-05 | 전주범 | Split Rotating Wire Rack of Refrigerator |
KR200338657Y1 (en) | 2003-10-28 | 2004-01-16 | 김욱 | Apparatus drying a dish cloth |
KR100595239B1 (en) | 2004-11-30 | 2006-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mplex type dryer having lathe which can be folded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24737A (en) * | 2009-06-25 | 2010-09-08 |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KR101739493B1 (en) | 2015-10-01 | 2017-05-24 | 박규선 | Sterilization drying apparatus for transport equipment |
WO2020055145A1 (en) * | 2018-09-12 | 2020-03-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care apparatus |
US11313070B2 (en) | 2018-09-12 | 2022-04-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care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24600B2 (en) |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ly arranged cabinet module | |
US7849717B2 (en) |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 module spanning two laundry appliances | |
US7628043B2 (en) |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 modules | |
US7617702B2 (en) | Modular laundry system with cabinet module | |
AU2007277599C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60038796A (en) | Washing device integrating clothes dryer | |
US8166667B1 (en) | Clothes drying furniture | |
US11624145B2 (en) | Modular laundry system | |
JP3150459U (en) | Steam exchange connection structure | |
KR20080024864A (en) | The wash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furniture form | |
KR100841308B1 (en) | laundry device | |
KR100658843B1 (en) |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 |
KR100662472B1 (en) | Laundry dryer with steam generator | |
KR20090085712A (en) | Drum type's washer with steam iron | |
US20070151305A1 (en) | Modular laundry system with vertical module | |
KR100710221B1 (en) | Refresher | |
CN107130418B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20070151309A1 (en) | Laundry module for modular laundry system | |
KR20200081116A (en) |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at can remove wrinkles of clothes using shape memory alloy material | |
KR20110079389A (en) | The wash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furniture form | |
US20070256457A1 (en) | Modular laundry system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modules | |
KR100658842B1 (en) | Clothes refres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13498B1 (en) | Wash hanger having function for drying and keeping | |
KR100845844B1 (en) | Refresher | |
KR100873129B1 (en) | laundr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