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155B1 -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155B1
KR100644155B1 KR1020060071370A KR20060071370A KR100644155B1 KR 100644155 B1 KR100644155 B1 KR 100644155B1 KR 1020060071370 A KR1020060071370 A KR 1020060071370A KR 20060071370 A KR20060071370 A KR 20060071370A KR 100644155 B1 KR100644155 B1 KR 10064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weight
precast
cement
precast culve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홍
Original Assignee
한일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일피씨
오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일피씨, 오상홍 filed Critical 한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1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 프리케스트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케스트 암거에 시멘트의 독성(毒性)을 중화시킬 수 있는 광물질들이 포함되어 암거를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사정계(單斜晶系)의 운모족(雲母族) 광물인 일라이트(illite), 삼사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회장석(灰長石), 삼방정계(三方晶系)의 광물인 돌로마이트(dolomite)를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여 150메시 이하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 시멘트 19∼21중량%, 모래 19∼21중량%, 골재 29∼31중량%, 일라이트 9∼11중량%, 회장석 6∼8중량%, 돌로마이트 3∼5중량%, 혼화재 1.5∼2.5중량%를 고르게 혼합한 후 물 6∼8중량%를 투입하여 고르게 반죽하는 단계; 사각형의 관 형상의 수납홈을 갖는 형틀의 내부에 철근 골조를 투입하고, 반죽된 콘크리트를 형틀에 투입하여 가압시키면서 진동을 부여하여 암거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암거를 25∼65℃를 유지하는 양생실에 투입하여 간헐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면서 12시간 양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 프리케스트 암거{a precast closed condu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recast closed conduit}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프리케스트 암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케스트 암거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케스트 암거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암거
11 : 몸체
12 : 결합홈
13 : 결합구
14 : 철근 골조
15 : 구멍
20 : 결속봉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 프리케스트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케스트 암거에 시멘트의 독성(毒性)을 중화시킬 수 있는 광물질들이 포함되어 암거를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케스트 암거(暗渠)는 지하에 매설하거나 지표에 있으면 복개를 하여 수면이 보이지 않도록 콘크리트 관으로 제작한 통수로(通水路)를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사각형이 관을 연속으로 연결하여 하수(下水)를 흘려 보네거나 기타 필요한 곳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프리케스트 암거는 주로 제작의 편의성 및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시멘트에 의한 독성(毒性)을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즉, 시멘트는 물과 접촉하면 탄산가스를 다량 배출하고, 강한 알칼리 성분으로 이루어져 장기간 유독성 물질을 용출하는 특성이 있는 것이므로 결국 시멘트의 독성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는 암거를 통해 흐르는 물을 오염시켜 하천의 수질을 악화시키거나 기타 필요한 곳으로 공급된 물을 오염시키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시멘트는 수분이 부여되면 시멘트 경화체 중에 함유된 수용성 성분 이 표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CaCO3, Ca(OH)2, Na2SO4, K2SO4, CaSO4, Na2CO3, K2CO3와 같은 독성물질들이 물의 수산기(OH-) 이온에 반응하는 수화반응에 의하여 백화를 석출하여 독성물질을 서서히 용출하는 백화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백화현상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장된 철근 골조를 부식시켜 암거의 구조를 약하게 하는 것이므로 결국 암거의 설치 후 일정기간 지나면 철근들이 부식되면서 유속이나 집중강우 등에 의하여 암거가 파손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리케스트 암거에 시멘트의 독성(毒性)을 중화시킬 수 있는 광물질들이 포함되어 암거를 통해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사정계(單斜晶系)의 운모족(雲母族) 광물인 일라이트(illite), 삼사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회장석(灰長石), 삼방정계(三方晶系)의 광물인 돌로마이트(dolomite)를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여 150메시 이하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 시멘트 19∼21중량%, 모래 19∼21중량%, 골재 29∼31중량%, 일라이트 9∼11중량%, 회장석 6∼8중량%, 돌로마이트 3∼5중량%, 혼화재 1.5∼2.5중량%를 고르게 혼합한 후 물 6∼8중량%를 투입하여 고르게 반죽하는 단계; 사각형의 관 형상의 수납홈을 갖는 형틀의 내부에 철근 골조를 투입하고, 반죽된 콘크리트를 형틀에 투입하여 가압시키면서 진동을 부여하여 암거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암거를 25∼65℃를 유지하는 양생실에 투입하여 간헐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면서 12시간 양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의 제조공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단사정계(單斜晶系)의 운모족(雲母族) 광물인 일라이트(illite)와 삼사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회장석(灰長石) 및 삼방정계(三方晶系)의 광물인 돌로마이트(dolomite)를 자연에서 채취한 후 잡석을 골라내고 깨끗하게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이어서, 일라이트, 회장석, 돌로마이트 등의 광물을 각각 분쇄기에 투입하여 미세한 분말로 분쇄한 후 150메시 이하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광물들을 미세한 분말로 가공하였다.
상기 분쇄기는 커터들이 서로 마주보며 회전되고, 단계적으로 분쇄 입자가 작아지면 맷돌 식으로 갈아서 분쇄하는 통상적인 분쇄기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시멘트 19∼21중량%, 모래 19∼21중량%, 골재 29∼31중량%, 일라이트 9∼11중량%, 회장석 6∼8중량%, 돌로마이트 3∼5중량%, 혼화재 1.5∼2.5중량%를 고르게 혼합한 후 물 6∼8중량%를 투입하여 고르게 반죽하였다.
상기 암거를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된 콘크리트는 한국산업규격(KS)에서 정하는 기존의 암거를 제조하는 동일한 배합비율을 사용하였고,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일라이트, 회장석 및 돌로마이트 분말을 첨가하였다.
상기 시멘트 혼화재는 포촐라나(pozzolana) 또는 플라이애시(fly ash) 등을 사용하여 암거의 내구성과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혼화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화재의 종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사각형의 관 형상의 수납홈을 갖는 형틀의 내부에 철근 골조를 투입하고, 반죽된 콘크리트를 암거 형틀에 투입하여 가압시키면서 진동을 부여하여 철근 골조가 내장된 프리케스트 암거를 성형하였다.
상기 진동장치는 코일스프링으로 지지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주입된 형틀을 올려놓고 지지대의 양측에 장착된 진동기로 지지대를 진동시켜 콘크리트에 진동을 부여하여 다져지도록 하였으며 진동기는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캠이 장착된 통상의 진동장치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성형된 암거를 25∼65℃를 유지하는 양생실에 투입하여 1시간마다 5∼7분간 스팀을 분사하면서 12시간 양생(養生)시켜 암거를 완성할 수 있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성형물을 30∼40℃를 유지하는 양생실에 투입하여 3 ∼5일간 양생(養生)시킬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프리케스트 암거의 양생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성된 프리케스트 암거의 강도는 35.0MPA 이상으로 나타나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프리케스트 암거(10)는 도 2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관으로 구성된 몸체(11)의 내부에는 철근골조(14)가 내장되고, 전방에는 내측면이 단턱진 결합홈(12)이 형성되고, 몸체(11)의 후방에는 외측면이 단턱진 결합구(13)가 형성되며, 암거(10)의 결합구(13)가 다른 암거(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고, 몸체(11)의 사방에 뚫려진 구멍(15)들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속봉(20)이나 와이어에 의하여 암거(10)들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험 예 1 : 탈취효과의 측정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성된 프리케스트 암거를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탈취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험방법은 시료를 넣은 용기와 시료를 넣지 않은 용기의 내부에 암모니아가스 500ppm을 주입하여 탈취율을 검사하는 KFIA-FI-1004 시험규격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의 탈취율(%) 시험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더니 시료가 투입된 용기는 최초 30분 후 탈취율이 88%로 나타났고, 60분에서는 탈취율 91%, 90분에서는 탈취율 93%, 120 분에서는 탈취율 94%로 나타나 점차적으로 탈취율(%)이 높아지면서 약 2시간이 지난 후에는 암모니아 가스의 대부분이 흡착 제거되어 탈취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료가 주입되지 않은 용기는 가스검지관으로 시료를 채취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암모니아가스의 양을 제외하고는 탈취율(%)이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결과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Blank농동(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탈취시험 초기 500 500 -
30 490 60 88
60 480 45 91
90 460 30 93
120 450 25 94
발급번호 : KFIG-295 의뢰인 : 김춘옥(한일주식회사)
시료명 : 프리케스트 암거(합성광물 가공) 접수일자 : 2006년 06월 14일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560-3
(주) Blank : 시료를 넣지 않고 측정한 것임. 끝.
1) 시험방법 : KFIA-FI-1004
2) 시료의 크기 : 100ㅧ150ㅧ20mm
3) 시험가스명 : 암모니아
4) 가스농도측정 : 가스검지관
실험예 2 : 음이온 방출량의 측정시험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의하여 완성된 프리케스트 암거를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실내온도 20℃, 습도 40%, 대기중 음이온 수 104/cc의 조건에서 음이온 방출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 당 이온수로 표시하는 KFIA-FI-1042 시험규격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의 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음이온 수가 987/cc로 나타나 대기중 음이온 수 104/cc보다는 약 9.5배에 가까운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결과
항목 시료명 음이온(ION/cc)
프리케스트 암거 (합성광물 가공) 987
발급번호 : KFIM-249 의뢰인 : 김춘옥(한일주식회사)
시료명 : 프리케스트 암거(합성광물 가공) 접수일자 : 2006년 06월 14일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 560-3
1) 시험방법 : KFIA-FI-1042
2) 시험편 : 시료의 크기 100ㅧ150ㅧ20mm
전술한 제조과정을 통해 완성된 저독성 암거는 일라이트, 회장석, 돌로마이트와 같이 자연상태에서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이 혼화재로 첨가된 것이므로 광물질의 미립 물질 흡착효과에 의하여 시멘트의 강한 독성을 흡착하여 중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멘트의 알칼리성 독성인 자극성 취기를 없앨 수 있는 것이므로 암거를 통해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여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점토광물들이 갖는 강한 음이온 치환능력에 의하여 시멘트의 각종 성분들과 수화반응을 일으키는 물의 수산기(OH-) 이온을 강력하게 환원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시멘트에서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시멘트의 독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것으로서 암거 및 철근골조의 부식을 상당간 지연시켜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광물질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일라이트(illite)는 광물학적 구조가 점토질 구조로 되어 있고, 화학성분은 SiO₂, Al₂O₃, K₂O로 구성되고, 비중 2.6∼2.9,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며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된다.
또한, 일라이트는 구조상 미소한 다공질로서 강력한 흡착기능과 이온교환기능을 가지고 있고, 자연상태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미립 물질을 흡착하거나 크기가 서로 다른 미립 물질을 분리시키는 특성에 의하여 시멘트 경화체인 CaCO3, Ca(OH)2, Na2SO4, Na2CO3, K2CO3 성분들의 화학적인 치환작용 및 물질변환을 유도하여 시멘트에 함유된 강한 알칼리 독성을 흡착하여 분리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백화현상을 억제하여 시멘트가 갖는 독성을 차단하므로 암거를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여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암거를 흐르는 물이 오염되어 농지(農地)에 재배된 식물에 나쁜 영향을 주거나 오염된 물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의 종래 제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회장석(灰長石)은 삼사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광물로 화학성분은 CaAl2Si2O8이고, 석회가 풍부한 사장석(斜長石)으로 대부분은 백색으로 반투명하다. 회장석은 판상, 주상, 등방상(等方狀)의 결정을 나타내며, 쌍정(雙晶)을 이루고 안산암, 현무암과 같이 화산암의 반정(斑晶)을 이루고, 굳기 6∼6.5, 비중 2.7∼2.8이며 화산지대에서 많이 산출되는 광물로 흡착기능과 함께 항균력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회장석(灰長石)은 자연상태에서 음이온 및 회전전자파(π- RAY)를 방사하여 미립물질을 흡착하거나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특성에 의하여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석회암 성분이므로 시멘트와의 결합력이 매우 강하여 암거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로마이트(dolomite)는 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하고, 화학성분은 CaMg(CO3)2이다. 마름모결정을 나타내며 결정면은 다소 만곡되어 있고, 석회암을 구성하는 방해석 전체가 돌로마이트화된 것도 있지만 일부만 돌로마이트화된 것도 많다.
또한, 돌로마이트는 자연상태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미립물질을 흡착 및 분리시키는 특성에 의하여 시멘트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특성이 있고, 석회암에서 돌로마이트화된 것이므로 시멘트와의 결합력이 매우 강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라이트, 회장석, 돌로마이트와 같이 자연상태에서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이 혼화재로 첨가된 것이므로 광물질의 미립 물질 흡착효과에 의하여 시멘트의 강한 독성을 흡착하여 중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멘트의 알칼리성 독성인 자극성 취기를 없앨 수 있는 것이므로 암거를 통해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여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시멘트에서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폐단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시멘트의 독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것이므로 암거 및 철근 골조의 부식을 상당기간 지연시켜 그 내구성을 향상시 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프리케스트 암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단사정계(單斜晶系)의 운모족(雲母族) 광물인 일라이트(illite), 삼사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회장석(灰長石), 삼방정계(三方晶系)의 광물인 돌로마이트(dolomite)를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여 150메시 이하의 입도(粒度)를 갖는 체로 걸러서 미세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
    시멘트 19∼21중량%, 모래 19∼21중량%, 골재 29∼31중량%, 일라이트 9∼11중량%, 회장석 6∼8중량%, 돌로마이트 3∼5중량%, 혼화재 1.5∼2.5중량%를 고르게 혼합한 후 물 6∼8중량%를 투입하여 고르게 반죽하는 단계;
    사각형의 관 형상의 수납홈을 갖는 형틀의 내부에 철근 골조를 투입하고, 반죽된 콘크리트를 형틀에 투입하여 가압시키면서 진동을 부여하여 암거를 성형하는 단계;
    성형된 암거를 25∼65℃를 유지하는 양생실에 투입하여 간헐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면서 12시간 양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케스트 암거의 양생단계는 30∼40℃를 유지하는 양생실에 성형물을 투입하여 3∼5일간 양생시켜 암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 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3.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사각형의 관으로 구성된 몸체(11)의 내부에는 철근골조(14)가 내장되고, 전방에는 내측면이 단턱진 결합홈(12)이 형성되고, 몸체(11)의 후방에는 외측면이 단턱진 결합구(13)가 형성되며, 암거(10)의 결합구(13)가 다른 암거(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고, 몸체(11)의 사방에 뚫려진 구멍(15)들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속봉(20)이나 와이어에 의하여 암거(10)들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케스트 암거.
KR1020060071370A 2006-07-28 2006-07-28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Active KR10064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370A KR100644155B1 (ko) 2006-07-28 2006-07-28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370A KR100644155B1 (ko) 2006-07-28 2006-07-28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155B1 true KR100644155B1 (ko) 2006-11-15

Family

ID=3765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370A Active KR100644155B1 (ko) 2006-07-28 2006-07-28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1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79B1 (ko) * 2011-03-25 2011-09-19 김병기 친환경 저탄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N111906921A (zh) * 2019-05-08 2020-11-10 姚井祥 建筑用管状构件一次浇筑成型装置
CN114855629A (zh) * 2022-05-23 2022-08-05 中建八局西北建设有限公司 预应力桥梁的无排气孔孔道压浆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397A (ja) 1997-12-03 1999-06-22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暗渠
KR20000017967A (ko) * 1999-12-31 2000-04-06 박병무 암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6664A (ko) * 2001-12-06 2003-06-18 유성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미장용 드라이 몰탈의 제조방법
KR20050097460A (ko) * 2005-04-29 2005-10-07 류용진 수질 정화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라이닝 시공방법 및 라이닝 도막의 다층 구조와 라이닝 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397A (ja) 1997-12-03 1999-06-22 Nippon Steel Corp 耐食性に優れた暗渠
KR20000017967A (ko) * 1999-12-31 2000-04-06 박병무 암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6664A (ko) * 2001-12-06 2003-06-18 유성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미장용 드라이 몰탈의 제조방법
KR20050097460A (ko) * 2005-04-29 2005-10-07 류용진 수질 정화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라이닝 시공방법 및 라이닝 도막의 다층 구조와 라이닝 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79B1 (ko) * 2011-03-25 2011-09-19 김병기 친환경 저탄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CN111906921A (zh) * 2019-05-08 2020-11-10 姚井祥 建筑用管状构件一次浇筑成型装置
CN114855629A (zh) * 2022-05-23 2022-08-05 中建八局西北建设有限公司 预应力桥梁的无排气孔孔道压浆施工方法
CN114855629B (zh) * 2022-05-23 2024-03-15 中建八局西北建设有限公司 预应力桥梁的无排气孔孔道压浆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pçu et al. Effect of the use of mineral filler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Zhou et al. Upcycling of natural volcanic resources for geopolymer: Comparative study on synthesis, reaction mechanism and rheological behavior
CN104072066B (zh) 一种利用陶瓷废料和建筑垃圾的道路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12328B1 (ko) 비산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레미콘 조성물
Park et al. Effect of healing products on the self-healing performance of cementitious materials with crystalline admixtures
KR100644155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프리케스트 암거의 제조방법 및프리케스트 암거
CN102875107A (zh) 一种以废弃混凝土制备超低水泥人工鱼礁混凝土的方法
Okafor et al. Predic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obudu earth blocks stabilized with cement kiln dust
KR100642496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맨홀의 제조방법 및 맨홀
KR100899600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세굴방지 블록의 제조방법 및 세굴방지블록
KR100753429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방파제용 테트라포드의 제조방법 및방파제용 테트라포드
CN111218287A (zh) 一种土壤重金属锡和铅的联合修复剂配方、方法和应用
KR100642494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호안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호안블록
KR100765172B1 (ko)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및 빗물 저류조
EP3064480A1 (en) Anti-radiation concrete composition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20090095094A (ko) 투수성 황토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0761990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어도 블록
KR20200138573A (ko)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Su et al. Solidification/stabilization of simulated cadmium-contaminated wastes with magnesium potassium phosphate cement
Murtazaev et al. The use of highly active additives for the production of clinkerless binders
KR100642495B1 (ko) 친환경적인 저독성 수로관의 제조방법 및 그 수로관
KR20110113329A (ko)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항균·탈취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0842422B1 (ko) 콘크리트 유해물질 제거 혼화제 제조방법
Aukour Feasibility study of manufacturing concrete eco-blocks using marble sludge powder as raw materials
KR100987788B1 (ko) 펌프압송성 증대를 위한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콘크리트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20

End annual number: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