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319B1 -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2319B1 KR100642319B1 KR1020040062536A KR20040062536A KR100642319B1 KR 100642319 B1 KR100642319 B1 KR 100642319B1 KR 1020040062536 A KR1020040062536 A KR 1020040062536A KR 20040062536 A KR20040062536 A KR 20040062536A KR 100642319 B1 KR100642319 B1 KR 100642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broth
- oyster
- cabbag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5000013882 gravy Nutrition 0.000 title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6906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276497 Lycopersicon esculent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0633 brot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276 Capsicum chin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27653 Lycopersico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IUHFFTVRNATP-UHFFFAOYSA-N Trimethylglycine Chemical compound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767 Ala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514 Candida albicans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49 Gly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6919 Glyc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7 Glyco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YSGBSNPRWKUQH-UJDJLXLFSA-N Glycoge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2[C@@H]([C@@H](O)[C@H](O)[C@@H](CO)O2)O)[C@H](O)[C@@H](O)[C@@H](O[C@@H]2[C@H](O[C@H](O)[C@H](O)[C@H]2O)CO)O1 BYSGBSNPRWKUQH-UJDJLXLFSA-N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37 Succ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37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2 st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2 ster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84 succ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8 yeas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8~12배량의 물을 가한 후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인 뒤 건더기를 제거하여 육수를 얻고 상기 육수에 상기 혼합물: 굴을 1~3:1~3의 중량비로 하여 굴을 투입한 다음 다시 끓여 건더기를 제거함으로써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굴육수는, 굴 고유의 풍미 및 영양과 함께 이를 상승적으로 보완해주는 부재료들의 맛·향 및 영양으로 인하여 기호성과 영양성이 더욱 향상된 새로운 식품 조성물로, 이를 이용하면 국밥, 국수, 냉면, 떡국, 매운탕 등 국물이 필요한 다양한 요리에 육수로 사용하여 보다 개운하고 새로운 맛의 요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굴, 육수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8~12배량의 물을 가한 후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인 뒤 건더기를 제거하여 육수를 얻고 상기 육수에 상기 혼합물: 굴을 1~3:1~3의 중량비로 하여 굴을 투입한 다음 다시 끓여 건더기를 제거함으로써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Oyster)에는 각종 영양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소화 흡수가 잘되는 글리코겐이 풍부(겨울철에는 4-6% 정도이나 산란기인 5월에는 1% 이하로 감소)하며, 아미노산으로는 히스티딘, 라이신 등이 많고, 무기질로는 철, 망간, 동 등이 많으며,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군, C 등이 풍부하다. 뿐만 아니라 엑기스분에는 알라닌, 글리신, 베타인,타우린, 호박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스테롤 성분이 30% 내외로 풍부한 편이나, 그 중에서도 콜레스테롤은 30% 이하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굴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빈혈, 갈증 및 혈색을 좋게 하는데 애용되 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굴의 영양성분과 풍미를 이용하기 위하여 굴 소스, 굴 엑기스, 굴죽 등의 많은 상품들이 국내 및 국제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1-57037호에서 굴, 바지락 및 홍합 등으로부터 얻은 패류추출물에 설탕, 간장, 식염, 전분류, 루, 카라멜, 효모엑기스, MSG, 동·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물 등을 혼합하고 열처리 가공하여 얻은 굴 소스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99-14404호에서 장기유통이 가능하고 열탕이나 전자렌지에서 1 내지 3분간 가열하여 섭취할 수 있는 즉석 굴죽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굴을 열수 추출하여 얻은 굴 추출물(또는 엑기스)에 장기보존을 위한 코팅제 또는 전분 등을 포함한 설탕, 식염, 효모 엑기스 등의 기본원료만을 혼합한 것으로, 맛· 향· 식감 등의 기호성이나 영양 면에서 뒤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각종 채소 및 어패류 중 굴 고유의 맛·향·식감·영양 등을 더욱 살릴 수 있는 재료들만을 엄선하여 이를 굴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기호성과 영양성을 더욱 강화시킨 신규한 굴육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굴육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굴육수는,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8~12배량의 물을 가한 후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인 뒤 건더기를 제거하여 육수를 얻고 상기 육수에 상기 혼합물: 굴을 1~3:1~3의 중량비로 하여 굴을 투입한 다음 다시 끓여 건더기를 제거함으로써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은, 본 발명자가 각종 채소 및 어패류 중에서 굴 고유의 맛과 향·식감 및 영양성분 등을 상승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재료만을 어렵게 선별하여, 여러 번의 실험끝에 도출해 낸 최적 비율의 혼합물이다.
상기 혼합물과 굴은 1~3:1~3의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이 본 발명 굴육수의 맛, 향,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굴육수 제조방법은,
(a) 원료들을 전처리 하는 단계;
(b) 전처리한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 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8~12배량의 물을 가한 후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c) 건더기를 제거하고 육수만 모으는 단계;
(d) 상기 육수에 전처리한 생굴을 상기 (a) 단계에서의 혼합물과 1~3:1~3의 중량비가 되도록 투입하여 다시 100℃에서 5~10분간 끓이는 단계; 및
(e) 굴을 건져내어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a)의 원료들을 전처리하는 단계에서, 무우, 홍당무, 양배추, 토마토, 감자, 붉은 양배추, 배추, 대파, 부추, 다시마는 정선하여 깨끗이 씻은 후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사용하며, 생강, 마늘, 풋고추, 매운 고추는 역시 정선하여 깨끗이 씻은 후 썰지 않고 통으로 사용한다. 또한 게는 어느 부위를 사용하든 무방하나 깨끗이 씻어서 사용하며, 바지락과 굴은 3% 식염수로 세정하여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 후 물빼기하여 사용한다.
상기 (b) 단계에서,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은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에서 11시간 동안 끓이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구성 원료들의 풍미, 향, 그리고 영양성분 등이 충분히 우러나도록 하기 위한 최적 온도 및 최적 가열 시간이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생굴을 투입한 후에는 100℃에서 5~10분 동안만 끓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5분 이하로 끓일 경우에는 굴 고유의 맛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게 되고, 반대로 10분 이상 끓일 경우에는 굴 맛이 너무 진하게 되어 상기 (b) 및 (c) 단계를 거쳐 얻은 육수의 맛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굴육수는, 굴 고유의 풍미 및 영양과 함께 이를 상승적으로 보완해주는 부재료들의 맛·향 및 영양으로 인하여 기호성과 영양성이 더욱 향상된 새로운 식품 조성물로, 이를 이용하면 국밥, 국수, 냉면, 떡국, 짬뽕, 우동, 매운탕 등 국물이 필요한 다양한 요리에 육수로 사용하여 보다 개운하고 새로운 맛의 요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무우, 홍당무, 양배추, 토마토, 감자, 붉은 양배추, 배추, 대파, 부추, 다시마는 정선하여 수세한 후 3~5cm 크기로 썰어 준비하였으며, 생강, 마늘, 풋고추, 매운 고추는 정선 및 수세한 후 썰지 않고 그대로 준비하였다. 게는 가슴 및 다리부위를 깨끗이 씻어서 준비하였으며, 바지락과 굴은 3% 식염수로 세정하여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한 후 다공성 용기에 받쳐 물빼기를 하여 준비하였다.
상기와 같이 전처리한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 1kg을 대형솥에 넣고 물 10ℓ를 첨가하여 95℃에서 11시간 동안 팔팔 끓인 후, 건더기를 제거하여 육수만을 모았다.
상기 육수를 다시 대형솥에 넣고, 거기에 전처리한 생굴을 1kg 투입하여 100℃에서 7분간 팔팔 끓인 후, 굴을 건져내어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굴육수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과 생굴의 투입함량을 각각 1kg:1.5kg, 1.5kg:1kg, 1kg:2kg, 2kg:1kg, 1kg:3kg, 3kg:1kg으로 달리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을 제조하였다.
관능검사
실시예 1 내지 7의 굴육수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사골육수에 대하여 20대 내 지 50대 남녀 각 20명씩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 때, 각 평가 항목에 대하여 5점 평점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항목 | 사골육수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맛 | 3.4 | 4.6 | 4.3 | 4.2 | 4.0 | 3.9 | 3.7 | 3.7 |
향 | 3.2 | 4.7 | 4.4 | 4.2 | 4.0 | 3.9 | 3.6 | 3.5 |
식감 | 3.2 | 4.6 | 4.3 | 4.2 | 3.9 | 3.9 | 3.5 | 3.5 |
개운함 | 3.0 | 4.8 | 4.3 | 4.3 | 3.9 | 4.0 | 3.7 | 3.6 |
전체적인 기호도 | 3.2 | 4.7 | 4.3 | 4.2 | 4.0 | 3.9 | 3.6 | 3.5 |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본 발명의 굴육수 모두가, 일반 사골육수보다 맛, 향, 식감, 개운함 및 전체적인 기호도의 모든 면에 있어서 훨씬 더 높은 관능성을 나타내어, 소비자의 기호도 면에서 판매가능성이 매우 높은 우수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굴육수 제조시에는,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과 굴을 1~3:1~3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굴육수의 제품이 가장 탁월한 결과를 나타내어, 상기 혼합물과 굴을 1:1의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명백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육수는, 굴 고유의 풍미·향·식감 및 영양과 함께 이를 상승적으로 보완해주는 부재료들의 맛·향 및 영양으로 인하여 기호성과 영양성이 더욱 향상된 새로운 식품 조성물로, 이를 이용하면 국밥, 국수, 냉면, 떡국, 짬뽕, 우동, 매운탕 등 국물이 필요한 다양한 요리에 육수로 사용하여 보다 개운하고 새로운 맛의 요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8~12배량의 물을 가한 후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인 뒤 건더기를 제거하여 육수를 얻고 상기 육수에 상기 혼합물: 굴을 1~3:1~3의 중량비로 하여 굴을 투입한 다음 다시 끓여 건더기를 제거함으로써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육수.
- (a) 원료들을 전처리 하는 단계;(b) 전처리한 무우 40중량부, 홍당무 5중량부, 양배추 5중량부, 토마토 2중량부, 감자 2중량부, 풋고추 1중량부, 매운 고추 1중량부, 붉은 양배추 2중량부, 배추 10중량부, 대파 10중량부, 생강 2중량부, 마늘 2중량부, 부추 3중량부, 다시마 7중량부, 게 5중량부 및 바지락 3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8~12배량의 물을 가한 후 90~95℃에서 10~12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c) 건더기를 제거하고 육수만 모으는 단계;(d) 상기 육수에 전처리한 생굴을 상기 (a) 단계에서의 혼합물과 1~3:1~3의 중량비가 되도록 투입하여 다시 100℃에서 5~10분간 끓이는 단계; 및(e) 굴을 건져내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육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536A KR100642319B1 (ko) | 2004-08-09 | 2004-08-09 |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2536A KR100642319B1 (ko) | 2004-08-09 | 2004-08-09 |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915A KR20060013915A (ko) | 2006-02-14 |
KR100642319B1 true KR100642319B1 (ko) | 2006-11-02 |
Family
ID=3712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2536A KR100642319B1 (ko) | 2004-08-09 | 2004-08-09 |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23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3579B1 (ko) * | 2020-02-05 | 2020-11-26 | 유한회사 지민 | 초밥용 간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04
- 2004-08-09 KR KR1020040062536A patent/KR1006423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915A (ko) | 2006-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87529B (zh) | 一种方便型番茄酸汤鱼调料及其制备方法 | |
CN102630928B (zh) | 食用菌风味酱及其生产方法 | |
CN102342488A (zh) | 辣椒南瓜酱的制作方法 | |
KR100715148B1 (ko) | 바지락 해장국 | |
CN103948014A (zh) | 含菌菇的卤味方便面调味酱包的生产方法 | |
RU2300921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сервов "мясо тушеное с капустой" | |
CN102934770A (zh) | 果蔬营养饭的制作方法 | |
KR100329416B1 (ko) | 분말상김치혼합양념의제조방법 | |
KR100642319B1 (ko) |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84778B1 (ko) | 장어 분말 스프의 제조방법 | |
KR20140059521A (ko) | 따로삼계탕의 제조방법 | |
KR100210056B1 (ko) | 콩나물국용 복합양념류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728489B1 (ko) | 섞박지 김치 제조 방법 | |
CN101455422B (zh) | 一种即食型风味佐餐汤料的制备方法 | |
KR100954340B1 (ko) | 즉석 담치 미역국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819137B1 (ko) | 게국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961243B1 (ko) | 심황과 갈치를 첨가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405995B1 (ko) | 김치양념을 이용한 다기능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양념장 | |
KR102303015B1 (ko) | 고로쇠 수액을 함유하는 동태탕 육수의 제조방법 | |
KR101866365B1 (ko) |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6333342A (zh) | 一种老坛酸菜竹笋酱及其制备方法 | |
CN102187995A (zh) | 一种泡青菜加工剩余物制作的香辣酱及其加工方法 | |
CN105011060A (zh) | 一种红薯米的加工方法 | |
KR101582666B1 (ko) | 칼국수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용 홍게 육수 | |
KR101704705B1 (ko) | 새송이버섯 염절임과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크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