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293B1 -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293B1
KR100639293B1 KR1020050076625A KR20050076625A KR100639293B1 KR 100639293 B1 KR100639293 B1 KR 100639293B1 KR 1020050076625 A KR1020050076625 A KR 1020050076625A KR 20050076625 A KR20050076625 A KR 20050076625A KR 100639293 B1 KR100639293 B1 KR 10063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haped
box
steel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호
김상연
이수진
김형근
이창신
남순우
강석태
이창남
김성배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에스에이치공사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센구조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에스에이치공사, 명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센구조연구소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05007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293B1/ko
Priority to JP2005348408A priority patent/JP4361049B2/ja
Priority to US11/295,296 priority patent/US766525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으로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ㄱ형강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함에 조립기둥 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저항하는데 유리하면서 접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가지도록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ㄱ형강 두개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강판을 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내측으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 설치하여 제1면을 제작하는 단계; (b)상기 (a)단계를 거쳐 완성된 1차조립부재(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강판이 접합된 부재) 2개를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제2면을 제작하는 단계; (c)이격 배치된 상기 2개의 1차조립부재 사이에 강판을 끼워넣어 강판이 1차조립부재의 ㄱ형강 내측에 강판이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 설치하여 제3면을 제작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를 반복하여 강판으로 마지막 일면을 폐쇄하여 제4면을 제작함으로써 박스형 조립기둥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강판, ㄱ형강, 조립기둥, CFT, 내측접합

Description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uilt up box column using steel sheets and ㄱ-shape steels}
도 1은 선출원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에 사용되는 강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현장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
110: ㄱ형강 120: 강판
120a: 띠형강판 120b: 개구부용 띠형강판
121: 돌기 122: 엠보싱
125: 접합철물 130: 1차조립부재
150: 개구부
M: 자석손잡이 SB: 강재보(steel beam)
본 발명은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용접조립기둥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으로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ㄱ형강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함에 조립기둥 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저항하는데 유리하면서 접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가지도록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CFT구조는 강관기둥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구조로서, 강성, 내력, 변형 등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내화, 시공 등에서 우수한 장점을 갖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CFT구조는 그 소재인 강관이 특별한 제작설비를 갖춘 대형 공장에서 주문 생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과다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제적인 문제는 CFT구조의 적용성을 제한한다. 실제 CFT구조는 구조적인 안정성, 시공성 등 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주로 대형 고층건축물에서 저층부의 시공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CFT구조의 경제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ㄱ형강에 강판을 접합한 박스형 조립강관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제10-2004-0102058호로 특허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제10-2004-0102058호의 발명(선출원발명)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며,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선출원발명은 사각 네모서리에 ㄱ형강을 배치하고 ㄱ형강 사이에 얇은 강판을 배치하여 ㄱ형강과 강판을 용접하여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강관으로,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모서리에 강재를 집중배치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얇은 강판을 배치함으로써 최소의 강재량으로 구조적인 내력을 극대화한 조립기둥이다. 강판이 지나치게 얇을 경우에는 콘크리트 충전시 강판에 변형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바, 강판에 돌기, 엠보싱을 형성시켜 이를 보완하고 있다.
하지만, 선출원발명의 조립기둥은 ㄱ형강의 외측에 강판이 접합되는 실시예로서 설명되고 있는데, 이러한 조립기둥은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강판의 접합상태가 해체되어 탈락할 우려가 있으며, 강판의 양단부가 조립기둥 외부로 노출되면서 접합되기 때문에 외관이 그다지 말끔하지 못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보강하기 위해 내측 표면에 엠보싱(부풀림)과 돌기가 형성되도록 롤포밍(roll forming) 가공된 강판을 이용하여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돌기 양단부를 눌러 평활면처리 가공해야 하는 불편 이 초래되며, 또한 가공과정에서 접합부위의 강판 내측면이 고르지 않게 될 우려가 있어 강판과 ㄱ형강의 밀착접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강판을 ㄱ형강 외측에 접합함으로써 예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판을 ㄱ형강 내부에 접합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으로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ㄱ형강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함에 조립기둥 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저항하는데 유리하면서 접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가지도록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띠형강판을 이용하여 현장 기둥시공단계에서 조립기둥을 용이하게제작하면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한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으로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ㄱ형강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함에,
(a)ㄱ형강 두개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강판을 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내측으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 설치하여 제1면을 제작하는 단계;
(b)상기 (a)단계를 거쳐 완성된 1차조립부재(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강판이 접합된 부재) 2개를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제2면을 제작하는 단계;
(c)이격 배치된 상기 2개의 1차조립부재 사이에 강판을 끼워넣어 강판이 1차조립부재의 ㄱ형강 내측에 강판이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 설치하여 제3면을 제작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를 반복하여 강판으로 마지막 일면을 폐쇄하여 제4면을 제작함으로써 박스형 조립기둥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강판(120)을 ㄱ형강(110)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ㄱ형강(110) 사이 거리보다 큰 너비를 가지는 강판(120)을 ㄱ형강(110) 내측에서 접하도록 설치되는 박스형 조립기둥(100)은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때 상당한 콘크리트 측압이 작용하거나 접합상태에 하자가 있더라도 강판(120)이 일단 ㄱ형강(110)에 걸 려 있으므로 탈락할 염려가 없다. 다시 말해, 강판(120)의 내측 접합으로 접합부위에는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고 전단력만 있게 되므로 탈락 위험이 없어지며, 오히려 강판(120)을 누르는 콘크리트 측압이 ㄱ형강(110)과 만나는 면에서 마찰저항을 생기게 하므로 ㄱ형강(110)과 강판(120)의 접합력은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강판(120)의 양단부가 ㄱ형강(110) 내측에 접합되어 박스형 조립기둥에 수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ㄱ형강(110)이 박스형 조립기둥(100)의 모서리를 감싸는 몰딩역할을 하게 되는 바, 전체적으로 외관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3의 순서도에 따라 강판(120)을 ㄱ형강(110)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100)의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1차조립부재(130) 제작단계- 도 3(a) ;제1면 제작
ㄱ형강(110) 두개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강판(120)을 두개의 ㄱ형강(110) 사이에 내측으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120)을 ㄱ형강(110)에 접합 설치하여 1차조립부재(130)를 완성한다.
강판(120)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돌기(121)와 엠보싱(122)이 형성된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21)는 강판(120) 내측으로 수평방향의 띠로 형성되며, 그 끝이 상방을 향하면서 강판(120) 내측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기(121)는 강판(120)의 단면계수와 단면2차모멘트를 증대시켜 휨강성과 변형저항 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강판 두께가 상당히 얇은 경우(1㎜ 이하)에도 박스형 조립기둥(100)은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 트 측압을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121)는 박스형 조립기둥(100)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를 구속하여 보강하는 띠철근으로서 역할하기도 한다. 강판(120)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엠보싱(부풀림, 122)은 상기 돌기(121)와 마찬가지로 강판(120)의 강성을 증대시켜 콘크리트 측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역할한다.
상기 돌기(121)와 엠보싱(122)은 열연코일의 성형과정에서 롤포밍(roll forming) 가공하여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내측에 돌기(121)와 엠보싱(122)이 형성된 강판(120)을 채택하더라도 강판(120)은 ㄱ형강(110) 내측에 접합(강판 외측면과 ㄱ형강 내측면을 접합함)되므로 접합부위의 돌기(121)와 엠보싱(122)의 평활면처리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소요두께의 확보를 위해 필요시(점용접하는 경우-후술함) 돌기(121)의 양단부를 누르는 가공을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ㄱ형강(110)은 강판 외측면(어떠한 가공을 하지 않아 평평하고 고른 면으로 확보됨)과 접하므로 강판 내측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강판(120)과 ㄱ형강(110)의 밀착접합에는 문제가 없다. 이러한 점은 강판의 외측 접합과 구별되는 것이다.
한편, 강판(120)으로는 도 5와 같은 띠형강판(120a)을 채택할 수 있다. 띠형강판(120a)은 ㄱ형강(110)에 직접통전방식으로 점용접(spot welding)하는데 유리하다. 직접통전방식은 압접시 접합재와 피접합재가 마주치는 반대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극을 대고 누르면서 전기를 통하는 방법으로, 누르는 힘이 상쇄되어 비틀림변형이 생기지 않게 하기 때문에 동일면에서 같은방향으로 진행되는 간접 통전방식보다 접합부위의 내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방식이다. 그러나, 직접통전방식은 서로 반대편에서 누르면서 통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부재 끝에서 용접점까지의 거리에 제한이 있다. 이와 같은 직접통전방식의 거리 제한 문제는 띠형강판(수직거리가 600㎜ 정도, 120a)을 채택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띠형강판(120a) 복수개를 순차적으로 연속 배치하여 용접접합함으로써 박스형 조립기둥(100)의 일면 전체에 강판(120)이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띠형강판의 접합방법 상세는 도 3(d) 참고). 다만, 점용접시 모재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 본 발명에 채택되는 강판의 0.8~10㎜ 두께로는 부족할 것이므로 도 5에서와 같이 돌기의 양단부를 눌러 소요두께를 확보한 상태에서 그 부분을 점용접하도록 한다.
특히, 박스형 조립기둥(100)의 일부 구간에는 (띠형)강판이 설치되지 않은 개구부(15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150)는 조립기둥(100)에 보(SB)를 볼트접합하기 위한 작업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다(도 7 참고), 다시 말해, 도 7과 같이 기둥과 보가 접합하는 패널존에서 박스형 조립기둥(100)에 TSC보와 같은 강재보(SB)를 볼트접합하는 경우에는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조이기 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간확보를 위해 패널존 구간에 강판 설치를 생략하여 개구부(150)를 형성시키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개구부(150)는 그 아래로 조립기둥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립기둥(100)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모서리에 배 치되는 ㄱ형강과 ㄱ형강 사이에 T형강을 배치하고, 강판을 ㄱ형강과 T형강 사이에 배치 접합하는 방법으로 소정 크기의 조립기둥을 완성하기 위한 1차조립부재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b)1차조립부재(130) 배치단계- 도 3(b) ;제2면 제작
상기 (a)단계를 거쳐 완성된 1차조립부재(130, 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강판이 접합된 부재) 2개를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c)1차조립부재(130)에의 강판(120) 접합단계- 도 3(c) ;제3면 제작
이격 배치된 상기 2개의 1차조립부재(130) 사이에 강판(120)을 끼워 넣어 강판(120)이 1차조립부재의 ㄱ형강(110)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120)을 ㄱ형강(110)에 접합 설치한다. (c)단계는 조립기둥의 4면 중 2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일면(제3면)을 폐쇄하는 단계로서 여전히 마지막 일면(제4면)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강판의 내측 접합은 별다른 불편없이 진행될 것이다. (c)단계에서도 띠형강판(120a)을 이용할 수 있으며, 패널존 구간에는 강판 설치를 생략하도록 한다.
(d)박스형 조립기둥 완성단계- 도 3(d) ; 제4면 제작
상기 (c)단계를 반복하여 강판(120)으로 마지막 일면(제4면)을 폐쇄함으로써 박스형 조립기둥(100)을 완성한다. (d)단계는 조립기둥의 4면 중 3면이 폐쇄된 상 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지막 일면의 내측 접합은 그다지 용이하지 않을 것이므로, 특히 마지막 일면은 도 5와 같은 띠형강판(120a)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진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겠다. (d)단계에서도 패널존 구간에 강판 설치를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a) 내지 (d)단계를 거쳐 완성된 상태의 조립기둥을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지만, 현장에서 직접 (a) 내지 (d)단계를 거치면서 조립기둥을 완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e)개구부용 띠형강판 접합단계- 도 3(e)
상기 (a), (b), (c), (d)단계에서 패널존 구간에 강판 설치를 생략하여 개구부(150)를 형성시키는 경우 향후 상기 개구부(150)를 패쇄할 필요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강재보(SB)와의 접합을 위해 패널존 구간에 개구부(150)를 형성시키면서 (a) 내지 (d)를 거치는 경우에는 개구부(150)를 활용하여 조립기둥(100)에 강재보(SB)를 접합한 후 조립기둥(100)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개구부(150)의 폐쇄가 필요해지는 것이다(도 7 참고).
(e)단계는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을 준비하고 이를 이웃하는 ㄱ형강(110) 사이에 끼워넣어 ㄱ형강(110)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한 후 외측에서 ㄱ형강(110)에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조립기둥(100)을 완전히 폐쇄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내측에서 접합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을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외측에서 접합하고 있다. 이때, 자석손잡이(M)를 이용하면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이 ㄱ형강(110)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외측에서 접합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은 도 6과 같이 그 양단 외측으로 접합철물(125)이 접합된 것을 채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철물(125)은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과 ㄱ형강(110)의 접합부위를 보강하면서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의 좌우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합철물(125)을 ㄱ형강(110)의 끝단부와 용접접합하는 방법으로 개구부용 띠형강판(120b)을 접합 설치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으로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ㄱ형강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함에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함으로써 조립기둥 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충분히 저항하고 접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가지는 조립기둥으로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띠형강판을 이용함으로 현장 기둥시공단계에서도 조립기둥을 용이하게 제작하면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으로 완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으로 사각 모서리에 ㄱ형강이 배치되고 ㄱ형강 사이마다 강판이 접합되어 완성되는 박스형 조립기둥을 제작함에,
    (a)ㄱ형강 두개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강판을 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내측으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 설치하여 제1면을 제작하는 단계;
    (b)상기 (a)단계를 거쳐 완성된 1차조립부재(두개의 ㄱ형강 사이에 강판이 접합된 부재) 2개를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제2면을 제작하는 단계;
    (c)이격 배치된 상기 2개의 1차조립부재 사이에 강판을 끼워넣어 강판이 1차조립부재의 ㄱ형강 내측에 강판이 접하도록 배치한 후 내측에서 강판을 ㄱ형강에 접합 설치하여 제3면을 제작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를 반복하여 강판으로 마지막 일면을 폐쇄하여 제4면을 제작함으로써 박스형 조립기둥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
  2. 제1항에서,
    박스형 조립기둥의 네 면을 구성하는 상기 강판은 띠형강판 복수개를 순차적으로 연속 배치하여 용접접합함으로써 ㄱ형강 사이에 접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박스형 조립기둥은 그 일부 구간에 강판이 설치되지 않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d)단계 후에는, 상기 개구부에 개구부용 띠형강판을 이웃하는 ㄱ형강 사이에 끼워넣어 ㄱ형강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한 후 외측에서 개구부용 띠형강판을 ㄱ형강에 접합하는 (e)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개구부용 띠형강판은 그 양단 외측으로 접합철물이 접합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개구부용 띠형강판의 접합철물을 ㄱ형강의 끝단부와 용접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박스형 조립기둥의 네 면을 구성하는 상기 강판은 내측으로 수평방향의 띠를 형성하면서 그 끝이 상방을 향하는 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볼록하게 다수개의 엠보싱이 형성된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 리트 충전용 박스형 조립기둥의 제작방법.
KR1020050076625A 2004-12-06 2005-08-22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KR10063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25A KR100639293B1 (ko) 2005-08-22 2005-08-22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JP2005348408A JP4361049B2 (ja) 2004-12-06 2005-12-01 コンクリート充填用組立式ボックス型鋼管柱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11/295,296 US7665259B2 (en) 2004-12-06 2005-12-06 Built-up rectangular steel column for filling concrete therein having L-shaped members and steel plates with curving projections and convex embossed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25A KR100639293B1 (ko) 2005-08-22 2005-08-22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293B1 true KR100639293B1 (ko) 2006-10-27

Family

ID=3762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625A KR100639293B1 (ko) 2004-12-06 2005-08-22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2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54B1 (ko) * 2011-12-27 2013-07-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강재로 구성된 강합성 기둥
WO2014014158A1 (ko) * 2012-07-19 2014-01-23 (주)센벡스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1565463B1 (ko) * 2014-05-28 2015-11-03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KR101846501B1 (ko) * 2017-09-27 2018-04-06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래티스 콘크리트 스틸합성 박스형 기둥 구조체
KR20180131929A (ko) * 2017-06-01 2018-12-11 박문신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KR20230123384A (ko) 2022-02-16 2023-08-23 염경수 거더접합 플레이트가 구성된 내다이아프램의 외피부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601A (en) 1973-03-23 1976-03-23 Rowley Edward C Knock-down reusable column 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601A (en) 1973-03-23 1976-03-23 Rowley Edward C Knock-down reusable column for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54B1 (ko) * 2011-12-27 2013-07-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강재로 구성된 강합성 기둥
WO2014014158A1 (ko) * 2012-07-19 2014-01-23 (주)센벡스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1565463B1 (ko) * 2014-05-28 2015-11-03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조립체
KR20180131929A (ko) * 2017-06-01 2018-12-11 박문신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KR101989224B1 (ko) * 2017-06-01 2019-09-30 박문신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KR101846501B1 (ko) * 2017-09-27 2018-04-06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래티스 콘크리트 스틸합성 박스형 기둥 구조체
KR20230123384A (ko) 2022-02-16 2023-08-23 염경수 거더접합 플레이트가 구성된 내다이아프램의 외피부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1049B2 (ja) コンクリート充填用組立式ボックス型鋼管柱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100684931B1 (ko) 절곡성형 철판을 이용한 조립식 폐쇄형 철골부재 및 이의설치구조
KR100908507B1 (ko)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0639293B1 (ko) 강판을 ㄱ형강 내측에 접합한 콘크리트 충전용 박스형조립기둥의 제작방법
KR101159041B1 (ko) 조립강관박스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구조
JP4729217B2 (ja) 構造部材
JP6148687B2 (ja) モジュール構造システム
KR20130142755A (ko) Cft기둥용 내부 다이어프램 설치형 조립박스강관의 제작방법
KR20090093561A (ko) 무거푸집 기둥과 tsc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120058697A (ko) 선조립 철근기둥의 현장이음 공법
JP6053485B2 (ja)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KR101187666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017800B1 (ko) 십자형 보강판을 이용한 냉간성형 각형강관 기둥의 강재보 접합부 구조
JP200624981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KR100648376B1 (ko) 조립 철골 철근콘크리트기둥과 수평부재의 접합구조 및이의 시공방법
KR20160137705A (ko) Cft기둥의 합성거더 접합구조
KR102202675B1 (ko) 보 일체형 무용접 강판 거푸집
JP2009161984A (ja) 波形鋼板耐震壁
JP2006183318A (ja) 耐震補強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JP6293207B2 (ja)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KR20090093599A (ko) 무거푸집 기둥과 슬림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100643356B1 (ko) 성형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스템
KR101371198B1 (ko) 조립식 사각강관 구조재
KR101017791B1 (ko) 냉간성형 각형강관 기둥의 강재보 접합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