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861B1 -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7861B1 KR100637861B1 KR1020050008650A KR20050008650A KR100637861B1 KR 100637861 B1 KR100637861 B1 KR 100637861B1 KR 1020050008650 A KR1020050008650 A KR 1020050008650A KR 20050008650 A KR20050008650 A KR 20050008650A KR 100637861 B1 KR100637861 B1 KR 100637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piece
- horizontal
- support
- balcon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34 wood's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발코니측 천정면이 아래로 쳐진 상태로 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a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for preventing the construction of the balcony-side ceiling surface of the apartment, such as down.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는, 실외측 벽체 거푸집(11) 외면에 설치되는 갱폼 프레임(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에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게 결합된 지지체(220)로 구성되며,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구조는, 슬래브 거푸집의 저면에 발코니 벽체(13)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밀착 배열되며 지지수단이 구비되지 못한 장선(16)의 발코니측 일측단부 저면에 발코니 벽체(13)와 평행한 방향으로 밀착 배열된 멍에(100)와; 갱폼 프레임(12)에 결합되어 상단부가 상기 멍에(100)의 저면을 밀착 지지하는 수평 받침대(200)로 구성된다.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2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ang foam frame 12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formwork 11; It is composed of a support 220 which is coupled to the body 2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lcony wall 13 on the bottom of the slab formwork A yoke (100)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cony wall (13) i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end of the joist line (16), which is arranged and not provided with support means; Is coupled to the gangform frame 12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edestal 200, the upper end of the yoke 100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는 아파트 등의 발코니 슬래브의 시공 품질이 향상되며, 필요에 따라 발코니 슬래브의 경사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할 수는 이점이 있다.Balcony slab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construction quality of the balcony slab such as apartm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ope of the balcony slab can be adjusted upward or downward within a certain range as needed.
거푸집, 거푸집 판넬, 합판, 벽체, 갱폼, 슬래브, 발코니Formwork, Formwork Panels, Plywood, Walls, Gangforms, Slabs, Balconies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아파트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의 구조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ventional apartment balcony slab formwork.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rizontal pedest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pedestal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edestal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ther embodiment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아파트 일실시예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의 구조도.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artment balcony slab formwork.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1. 실외측 벽체 거푸집 12. 갱폼 프레임 13. 발코니 벽체 11.
14. 벽체 거푸집 15. 슬래브 거푸집 16. 장선 14.
17,100. 멍에 18. 지지대 200. 수평 받침대 17,100. Yoke 18.
210. 몸체 211. 지지편 211A,211A'. 수평부 210.
211B. 수직부 212. 보강편 213. 결합편 211B.
214. 조임편 215. 지지조임편 215A. 연결부 214.
220. 지지체 221. 지지봉 222. 받침편 220.
223. 손잡이 B. 볼트 C. 절곡부 223. Handle B. Bolt C. Bend
G. 관통홈 N. 너트 P. 결합 파이프 G. Through Groove N. Nut P. Combined Pipe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슬래브 거푸집의 경우, 거푸집의 저면에 "장선"이라 불리는 다수의 각목들이 서로 평행하게 밀착되고, 장선의 저면에는 "멍에"라 불리는 다수의 각목들이 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멍에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지지대가 직립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이 지지되는 바, 실·내외를 구분하는 완전한 벽체가 없는 아파트 등의 발코니측에 위치하게 되는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는 멍에와 지지대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슬래브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밑으로 처지게 되는 발코니측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멍에를 설치하고, 이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아파트 발코니측 슬래브의 저면 즉, 아파트의 발코니측 천정면이 쳐진 상태로 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 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pedestal for supporting a balcony slab formwork, such as an apartment, and a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slab formwork in which concrete is poured, a plurality of pieces of wood called "joints" on the bottom of the formwork The bars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the bottom of the joist is plac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joist, and a support is installed upright between the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yoke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Since the yoke and support cannot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joist, which is located on the balcony side of the apartment, which does not have a complete wall sepa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balcony is drooped under the weight of concrete placed in the slab formwork. Yok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one end of side joist and securely supported It relates to a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a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so as to prevent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of the apartment balcony side slab, that is, the balcony side ceiling surface of the apartment struck.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구조의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 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정 슬래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하도록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우는 상기 '틀'은 '판재'의 테두리 부분과 중앙부를 프레임으로 보강한, 일반적으로, 거푸집 판넬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판넬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begin with the installation of concrete walls and slab formwork. First, the interior space is made of a mold like a wall, and the ceiling slab construction board is formed on top of the frame. After installing the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is formed by the method of filling the concrete and curing the inside of the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the 'frame' called 'forms' reinforces the frame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plate' frame One, generally, is made by connecting a number of rectangular panels called formwork panels.
따라서, 벽체와 슬래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거푸집 판넬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벽체 형성용 내부 공간과 슬래브가 형성되는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and the slab starts by installing the formwork, which is a frame having an upper surface on which the slab is formed and an inner space for forming a wall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ormwork panels to fill concrete.
건축물은 크게 벽체와 기둥 및 슬래브로 이루어지며, 기둥은 벽체와 일체화되는 등 그 시공 방법은 벽체와 비슷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바, 기둥과 관련된 거푸집은 설명에서 제외하기로 한다.The building is composed of walls, pillars, and slabs, and the pillars are integrated with the walls. The construction method is similar to the walls, and the formwork associated with the pillars will be excluded from the description.
건축물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The walls of the building are made of concret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wall formwork, with each front facing each other in the spaced distance of the wall.
그리고, 천정을 형성하는 슬래브 거푸집은, 다수 벽체 거푸집들의 상단면이 동일 수평면을 이루고, 전면이 서로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공간이 막히지 않도록 각 벽체 거푸집의 상단면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두 벽체 거푸 집 사이와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된다.And, the slab formwork forming the ceiling is coupl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wall formwork forms the same horizontal plane,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formwork parallel to the floor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two wall formwork facing each other is not blocked. Concrete is poured together between the two wall formwork and on top of the slab formwork.
벽체 콘크리트에 밀착되는 판재와, 판재를 지지하는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 벽체 거푸집의 경우, 종래에는 거의 대부분 합판과 각목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목재 판넬이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판넬을 사용할 경우 판넬들간의 연결 및 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벽체 거푸집의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In the case of wall formwork consisting of a boar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wall concrete and a frame supporting the plate, in the past, almost all wood panels made of plywood and lumber frames have been used. Since it is made by nailing or tightening of w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to install the wall formwork, and also a lot of time and manpower is required to remove the formwork after concrete curing.
따라서, 근래에는 철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프레임의 전면에 목재 코팅판 등의 판재가 결합된 목재-금속 판넬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wood-metal panels in which a plate such as a wood coating plate is combined on a front surface of a metal frame such as steel or aluminum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the range and scale of their use are rapidly increasing. .
그러나, 벽체 거푸집과 달리 슬래브 거푸집의 경우에는 금속제 판넬의 중량과 핸들링 상의 어려움 등으로 여전히 합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아파트 등의 발코니측 슬래브 거푸집의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unlike the wall formwork, in the case of slab formwork, the plywood is still widely used due to the weight of the metal panel and the difficulty in handling, and the structure of the balcony form slab formwork of the apartmen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시공용 거푸집의 경우 일반적으로 실외측 벽체 거푸집(11)의 외면에는 시공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도면 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사각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갱폼(gang-form) 프레임(12)이 설치되며, 상기 갱폼 프레임(12)에 금속판, 작업대, 금속망 등이 결합되어 갱폼을 이루게 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an apartment construction formwork, a plurality of square pipes may b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an
그리고, 실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에 설치되는 벽체 거푸집(14)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목재 합판들로 연결 구성된 슬래브 거푸집(15)의 저면에 는, 장선(16, 長線)이라 불리는 다수의 각목 가로바들이 발코니 벽체(13)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밀착되고, 장선(16)들의 저면에는, 멍에(17)라 불리는 다수의 각목 세로바들이 서로 평행한 동시에 상기 장선(16)들과 직교하도록 밀착된 후 각 멍에(17)의 저면을 따라 다수의 지지대(18)들이 바닥에 세워지게 된다.On the bottom of the
이때, 발코니에 시공되는 발코니 벽체(13)는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발코니측 슬래브 거푸집의 저면에 밀착되는 장선(16)의 일측단부에는 멍에(17)와 지지대(18)를 설치할 수 없게 되며, 그에 따라 발코니측 장선(16)의 일측단부가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량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발코니측 천정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발코니 벽체(13)에 가장 가까운 지지대와 발코니 벽체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좁게 하기도 하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으며, 발코니측 장선(16)의 일측단부 저면에 멍에를 설치한 후 이를 갱폼에 와이어 등으로 고정시키기도 하나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울 뿐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장선이 처지게 되는 현상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wall closest to the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발코니측 슬래브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아파트 실외측 벽체 거푸집 외면에 설치되는 갱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멍에를 안정적으로 설치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장선의 일측단부 높이, 즉, 슬래브 저면의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할 수 있는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prevent the balcony side slab of the apartment, such as falling down, stable yoke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the joist while detachably coupled to the gangform frame installed on the outside wall formwork of the apartment Not only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but also the horizontal height of one side end of the joist, that is,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slab can be adjusted up or down within a certain range, the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the balcony slab formwork using the sa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갱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체로 구성된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structure consisting of a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angform frame, the support is screwed to the body height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는,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의 저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의 발코니측 단부 저면에 멍에를 밀착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파트 등의 발코니측 외벽에 설치되는 갱폼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멍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발코니 슬래브 선단부의 경사도 또는 높이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음에 구조적 특징이 있다.The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losely support the yok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cony side end portion of the joist tha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cony slab formwork, and to the gangform frame installed on the balcony side exterior wall of the apartmen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tably support the yoke, there is a structural feature in that the slope or height of the balcony slab tip portion can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를 이용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는, 상기의 수평 받침대에 의해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의 저면에 결합된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멍에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발코니 슬래브가 밑으로 쳐진 상태로 시공되는 것을 방지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And, the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the yoke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end of the joist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lcony slab formwork by the horizontal pedestal, the w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ts technical feature is to prevent the construction of the balcony slab under construction.
상기와 같이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의 저면에 밀착된 장선의 처짐 현상이 방지되는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의 구조는, 갱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 받침대에 의해 가능한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balcony slab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events sagging of the joist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balcony slab formwork,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angform frame and is possible by a height adjustable horizontal pedestal. Same as
상기 수평 받침대는, 아파트 실외 벽체 거푸집에 밀착 설치되는 갱폼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발코니측에 위치하는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멍에를 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멍에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시공되는 슬래브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갱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방향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멍에의 일측단부 저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체로 구성된다.The horizontal pedestal,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ame of the gangform tha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door wall formwork of the apartment allows the yoke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end of the joist located on the balcony side, the slab constructed by stably supporting the yoke Bar to prevent sagging down, the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angform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yoke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yoke in the state that the height is adjustable up and down by screwing the body It is composed of a support.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결합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갱폼의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몸체는, 지지체가 나사결합되며 갱폼 프레임의 실내측 내면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갱폼 프레임의 실외측 외면에 밀착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갱폼의 프레임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측 부분에 결합되는 실외측 부분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body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of the gangform so that the coupling height can be adjus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ortion is the support body is screwed and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terior of the gangform fram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gangform fram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and consists of the outdoor side portion coupled to the indoor portion in the state of the frame of the gang form by the bolt and nut interposed.
이때, 상기 몸체의 실내측 부분은 "ㄱ"자형으로 절곡 또는 결합되어 수직부의 외면이 갱폼 프레임의 실내측 내면에 밀착되고 그 중앙부에 갱폼 프레임의 외면을 벗어나 실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가 수직하게 고정 결합된 지지편과,At this time, the interior portion of the body is bent or coupled to the "b" shap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ior of the gangform frame, and bolt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angform frame to the center vertically fixedly coupled Support piece,
지지편의 수평부 양 측 테두리부와 수직부 양 측 테두리부 각각에 인접한 두 선단면이 결합되어 지지편의 강성을 보강하여 주는 한 쌍의 삼각형상 보강편과,A pair of triangular reinforcement pieces which combine the two end faces adjacent to each of the horizontal edges of the support piece and the vertical edges of the support piece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iece;
지지체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편의 수평부에 위치 변경 가능토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체의 실내·외측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편으로 구성된다.The support is screwed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piece to be detachably coupled so that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piece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in the interior and the outside direction.
그리고, 몸체의 실외측 부분은, 갱폼 프레임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지지편의 볼트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그 내면이 갱폼 프레임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조임편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outdoor side portion of the body is made of a tightening piece coupled by a nut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angform frame in a state penetrated by the bolt of the support piece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angform frame.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몸체에 결합되는 지지체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봉과, 지지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멍에의 저면에 밀착되는 받침편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몸체에 나사 결합된 지지봉을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된 구조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평 받침대를 이용한 발코니측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멍에를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upport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structure, the support ro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crewed to the body, and the support piec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yoke,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a handle for adjusting the height by rotating the support rod fixed to the screw coupled to the body, look at how to install the yoke on the bottom of one end of the balcony side joists using the horizontal pedest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
먼저, 수평 받침대를 구성하는 몸체 지지편의 수직부 외면을 갱폼 프레임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갱폼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를 통하여 그 외면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의 볼트에 조임편을 관통시켜 조임편의 내면을 갱폼 프레임의 외면에 밀착시킨 후 너트를 사용하여 지지편과 조임편 사이에 갱폼 프레임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몸체를 갱폼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편에 결합된 결합편에 나사결합된 지지봉 상단부의 받침편에 멍에를 올려 놓은 후 지지봉 하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지지봉을 회전시켜 상승시킴으로써 멍에를 장선의 저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the inner surface of the tightening piece is passed through the tightening piece by penetrating the fastening piece through the bolt of the support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gangform frame and the fram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support piece constituting the horizontal suppor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angform frame. After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ang form frame between the support piece and the tightening piece using a nut, the body is detachably fixed to the gang form frame, the support rod screwed to the coupling piece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After placing the yoke on the support piece of the upper end, the yoke can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joist by raising the support rod by rotating it using the handl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이때,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밀착되는 멍에의 위치는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는 바, 그 위치에 따라 지지편에 결합되는 결합편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yok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end of the joist may be slightly fluctua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upling piece coupled to the support piece according to the posi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s of the effects and the resulting effects, including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본 발명 일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발명 일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를, 도 4에 본 발명 일실시예 수평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였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edestal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3,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200)는, 실외측 벽체 거푸집(11) 외면에 설치되는 갱폼 프레임(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210)와;As shown, the balcony slab formwork
상기 몸체(210)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멍에(100)의 저면에 밀착되어 멍에(100)를 지지하는 지지체(220)로 이루어진 수평 받침대(200)로 구성된다.Screwed to the
이때, 상기 수평 받침대(200)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바,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0)는, 실내측 선단면 중앙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홈(G)이 형성된 사각판상의 수평부(211A)와, "ㄱ"자형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부(211A)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그 외면에 볼트(B)가 수직하게 결합된 사각판상의 수직부(211B)로 이루어진 지지편(211)과;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상기 지지편(211)의 수평부(211A) 저면과 수직부(211B) 내면의 평행한 양 측 테두리부 각각에 인접한 두 선단면이 결합되어 지지편(211)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삼각형상 보강편(212)과;As long as the two end faces adjacent to each of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상기 지지편(211)의 수평부(211A)에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11) 수평부(211A)의 관통홈(G)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결합 파이프(P)가 중앙부에 관통결합된 판상의 결합편(213)과;Removably coupled to the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결합되며 갱폼 프레임(12)을 구성하는 두 사각 파이프 프레임(12') 사이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지지편(211)의 볼트(B)에 관통되며, 너트(N)에 의해 실내측 내면이 상기 두 사각 파이프 프레임(12')의 실외측 외면에 밀착되도록 조여지는 사각판상의 조임편(214)으로 구성된다.Coupl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penetrates through the bolt (B) of the
그리고, 상기 지지편(211)의 수평부(211A)와 수직부(211B)는 두 장 금속판이 결합되거나, 한 장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조임편(214)의 좌·우 양 단부에는 각 내면이 갱폼 프레임(12')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는 절곡부(C)를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몸체(210)에 나사결합되는 지지체(2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몸체(210)의 결합편(213) 중앙부에 관통 결합된 결합 파이프(P)의 내주면에 나사결합하는 지지봉(221)과;The
상기 지지봉(22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멍에(100)의 저면에 밀착되는 판상의 받침편(222)과;A plate-shaped
상기 지지봉(221)을 몸체(210)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하여 지지봉(221)의 하단부에 구비된 손잡이(223)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이때, 상기 받침편(222)은 지지봉(2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지지봉이 회전하여도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단순한 평판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나, 사각단면의 멍에(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단부를 상향 절곡시킨 상향개방형의 "ㄷ"자 형상으로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평 받침대(200)는 상기의 구조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지지편(211)의 수평부(211A)를 실내측 테두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하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부(211A')로 구성하고, 두 수평부(211A') 사이의 공간에 결합편(213)을 삽입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삽입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봉(221)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그리고, 상기 지지판(211)을 구성하는 두 수평부(211A') 사이의 공간에 결합편(2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판의 저면과 결합편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결합편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ap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in the state where the
또한, 본 발명의 수평 받침대(200)는 갱폼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사각 파이프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 하나의 사각 파이프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받침대(200)의 몸체(210)를 구성하는 지 지편(211)의 수직부(211B)와 조임편(214) 및 연결부(215B)를 상·하 방향 단면이 "ㄷ"자 형상을 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지지편(211)과 조임편(214)이 하나로 일체화된 지지조임편(215)으로 만들고, 상기 지지편(211)의 수직부(211B) 외면에 고정 결합되었던 볼트(B)를 분리하여 상기 연결부(215B)에 결합된 상태의 조임편(214)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수평 받침대(200)를 이용한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구조는, 벽체 거푸집(14) 상단부에 결합되는 슬래브 거푸집(15)의 저면에 발코니 벽체(13)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밀착 배열된 다수 장선(16)의 발코니측 일측단부 저면에 발코니 벽체(13)와 평행한 방향으로 밀착 배열되는 멍에(100)와;As shown in FIG. 7, the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실외측 벽체 거푸집(11) 외면에 설치되는 갱폼 프레임(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멍에(100)의 저면에 밀착되어 멍에(100)를 지지하는 지지체(220)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 받침대(200)로 구성되며,The
상기의 수평 받침대(200)에 의해 다수 장선의 일측단부 저면에 밀착되는 멍에의 안정적이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By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 는, 아파트 등의 발코니측 슬래브가 쳐진 상태로 시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바, 발코니 슬래브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켜 주는 이점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발코니 슬래브의 실외측 단부 저면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events the construction of the balcony-side slab, such as apartments are laid down,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balcony slab, if necessary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door end of the balcony slab may be freely adjusted up or down as needed within a certain rang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8650A KR100637861B1 (en) | 2005-01-31 | 2005-01-31 |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8650A KR100637861B1 (en) | 2005-01-31 | 2005-01-31 |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2977U Division KR200383688Y1 (en) | 2005-02-01 | 2005-02-01 | The horizontal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balcony slab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7811A KR20060087811A (en) | 2006-08-03 |
KR100637861B1 true KR100637861B1 (en) | 2006-10-25 |
Family
ID=3717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86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7861B1 (en) | 2005-01-31 | 2005-01-31 |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78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546B1 (en) * | 2009-04-06 | 2009-10-27 | (주)화인테크 | Beam formwork support |
KR101278686B1 (en) * | 2012-12-26 | 2013-06-24 | 두송건설 주식회사 | Device for support slab formwork and its using the same slab construction method |
CN109827278A (en) * | 2018-11-05 | 2019-05-31 | 浙江中环清新净化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multifunctional indoor air aeration device |
-
2005
- 2005-01-31 KR KR1020050008650A patent/KR1006378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7811A (en) | 2006-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3636B1 (en) |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using form-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CA2651150A1 (en) | Flush joist seat | |
GB2487657A (en) | Adjustable ground anchor | |
KR20180092677A (en) | Exterior finish material fixing structure for building | |
JP2011111886A (en) | Outer-wall construction apparatus for building capable of constructing without conducting field welding | |
KR102097339B1 (en) | Deck supporting system | |
KR100637861B1 (en) | Balcony slab formwork horizontal pedestal and balcony slab formwork structure using the same | |
US20130326977A1 (en) | Stud frame wall system | |
KR101966138B1 (en) | 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 |
KR20170022733A (en) | Struct connect unit | |
KR200383688Y1 (en) | The horizontal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balcony slab | |
KR101792193B1 (en) | House construction method | |
JP2634571B2 (en) | Concrete formwork equipment | |
US20190177975A1 (en) | Structural element | |
CN211007712U (en) | Portable pole is counted with skin to building a wall | |
JPH0649756Y2 (en) | Panels for concrete formwork | |
JPH0754427A (en) | Construction method of wall and device thereof | |
KR101189797B1 (en) | Slab concrete mold of building | |
JP2716357B2 (en) | Rising section formwork fixing jig | |
RU109769U1 (en) | BUILDING ESTABLISHED USING A SET OF UNIVERSAL ELEMENTS | |
JP7641102B2 (en) | Wall panel support structure and wall panel standing support method | |
KR101884571B1 (en) | Structure for Outer Wall of Building | |
JPS6329052Y2 (en) | ||
KR830002140B1 (en) | Assembly method of building | |
JPH11172877A (en) | Handrail structure of wooden balcony and handrail frame support hardwa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