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503B1 - Do construction waste and place of business waste and Insanitation life waste automatic sorting device use double water tank - Google Patents
Do construction waste and place of business waste and Insanitation life waste automatic sorting device use double water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6503B1 KR100616503B1 KR1020040011627A KR20040011627A KR100616503B1 KR 100616503 B1 KR100616503 B1 KR 100616503B1 KR 1020040011627 A KR1020040011627 A KR 1020040011627A KR 20040011627 A KR20040011627 A KR 20040011627A KR 100616503 B1 KR100616503 B1 KR 100616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float
- waste
- water
- floa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26—Horizontal carrier comprising wall type elements whereby the substrates are vertically supported, e.g. comprising sidewalls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을 파쇄 및 단계별 선별 분리공정 시스템을 통하여 재활용물과 매립물을 각각 선별 분리시키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분리탱크를 설치하여 교대로 사용하면서 부유물과 중량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수조탱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rt and separate the recycled and landfill through each of the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waste and workplace waste by crushing and step-by-step segregation process system, more specifically, floating and heavy materials while alternately using neighboring separation tan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and workplace waste using a double tank tank to effectively separate.
이러한 본 발명은 더블로 양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로가 열결된 수조탱크와,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in a double and a plurality of water tank tank is connected,
상기 수조탱크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며 부유물을 좌측으로 모으는 부유물 처리판과 모아진 부유물을 회전하며 배출하는 부유물 처리솔로 공급되는 부유물을 외부로 분리시키는 부유물 이동 콘베어로 형성된 부유물 분리장치와,A float separation device formed of a float moving conveyor reciprocating in the water tank tank and floating float supplied to a float handling plate for collecting floats to the left and floating floats for discharging floating floats;
상기수조탱크의 내부와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가라앉는 중량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상 이동 콘베어로 형성된 중량물 분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heavy weight separation device formed of a solid-phase moving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sinking heavy material to the outside and installed inclined at one side and the inside of the tank.
건축폐기물, 분리탱크, 이동 콘베어, 물 회수호퍼Construction Waste, Separation Tank, Mobile Conveyor, Water Recovery Hopper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후에 대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the post-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측면도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200 : 수조탱크 101, 201 : 부유물 이동 콘베어100, 200:
102, 202 : 호퍼 103, 203 : 부유물 처리솔102, 202: Hopper 103, 203: float treatment brush
104, 204 : 부유물 처리판 105, 205 : 살수 파이프104, 204:
106, 206 : 고상 이동 콘베어 107, 207 : 물회수 호퍼106, 206: solid
110 : 구동모터 120 : 이송모터110: drive motor 120: transfer motor
121 : 이송바퀴 122 : 레일121: transfer wheel 122: rail
130 : 수로 131, 231 : 물회수 탱크130:
300 : 부유물 분리장치 400 : 중량물 분리장치300: suspended solids separator 400: heavy weight separator
본 발명은 각종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을 파쇄 및 단계별 선별 분리공정 시스템을 통하여 재활용물과 매립물을 각각 선별 분리시키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분리탱크를 설치하여 교대로 사용하면서 부유물과 중량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 수조탱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과 비위생 매립된 생활폐기물의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rt and separate the recycled and landfill through each of the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waste and workplace waste by crushing and step-by-step segregation process system, more specifically, floating and heavy materials while alternately using neighboring separation tan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s and workplace wastes and unsanitary landfills using double tank tanks for effective separation.
종래 건설폐기물은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철거할 경우 생성되는 일종의 폐건설자재를 뜻하는 것으로 이는 시멘트 덩어리 및 골재, 스티로폼, 종이류, 목재, 철근등 다양한 형태의 부산물이 포함된 형태로 발생되며, 단순 매립에 의해 처리하거나 종류별로 선별 분류하여 재활용/매립/소각대상으로 처리하게 된다.Conventional construction waste generally refers to a kind of waste construction material that is generated when various buildings are dismantled, and is generated in the form of various forms of by-products such as cement lumps and aggregates, styrofoam, paper, wood, and reinforcing bars. It is processed by or sorted by type to be processed for recycling, landfilling, incineration.
또한 사업장페기물은 각종 사업장을 철거할 경우 생성되는 일종의 폐기물을 뜻하는 것으로 시멘트 덩어리, 아스팔트 덩어리 및 골재, 목재, 철근 등 다양한 부산물이 포함된 형태로 발생되며, 비위생 매립된 생활계 폐기물의 경우 60∼70년대 대도시주변 농경지에 소단위로 무작위 매립된 생활폐기물형태로 매립물의 50∼70%가 연탄재 및 건설폐자래로 형성된 상태이다.In addition, workplace waste refers to a kind of waste that is generated when various workplaces are dismantled. It is generated in the form of various by-products such as cement lumps, asphalt lumps and aggregates, wood, and reinforcing bars. In the form of household wastes, which are randomly embedded in agricultural lands around metropolitan cities in the 1960s, 50-70% of the landfills are formed of briquettes and construction wastes.
이러한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은 대개는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간척사 업장 등의 매립지에 매립되기도 하지만, 일반 도로변이나 후미진 곳 혹은 인근 공터에 무단으로 투기되게 됨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Such construction wastes and workplace wastes are usually buried in landfills such as reclamation sites through legal procedures, but they are seriously polluted by unauthorized dumping on general roadsides, backsides, or nearby empty lots.
단순 매립의 경우 여러 가지 제한사항이 있고, 매립지의 확보도 곤란할 뿐만 아니라 토지의 오염이나 훼손 등의 우려가 높고,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는 등 문제점이 많아 분류 후 선별처리가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분류 후 선별처리가 시행되고 있으며, 재활용 골재의 회수처리방법이 가장 바람직한 처리방법이다.In the case of a simple landfill,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landfills,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high risk of land contamination or damage, and strict management is required. The sorting treatment is carried out, and the recovery method of recycled aggregate is the most preferable treatment method.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은 그 특성상 골재(모래포함)가 주로 포함되고, 그 외 철근, 단열보온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 천조각, 목재 등이 함께 포함된다.Construction waste and workplace waste mainly include aggregates (including sand), and other styrofoam, sculptural, and wood used as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따라서, 골재의 회수 후 재활용을 위해서는 크기 별 분리/파쇄/금속분리/이물질분리/세척 등의 공정을 반복적으로 시행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recycle aggregate after recovery, processes such as separation, crushing, metal separation, foreign material separation, and washing by size are repeatedly performed.
이중 스티로폼이나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나 골재에 묻어 있는 토사는 생산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전체처리작업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Soil, which is embedded in foreign matter such as styrofoam or wood chips or aggregates, affect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affects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processing operation.
종래, 이와 같은 폐기물의 처리공정중 이물질이나 골재의 세척을 위해 다양한 구조의 처리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며, 때때로 풍압을 가하여 가벼운 물질을 날려보내는 방법도 사용되나 완전하지 않으며, 제2의 환경오염원인 및 대기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고, 골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토분 등의 제거는 곤란하였다.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treatment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or aggregates during the treatment of such wastes. Sometimes, a method of blowing light substances by applying wind pressure is also used, but it is not complete. It caused enormous damage to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it wa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matters and soil powder on aggregate.
이러한 이유로 종래 골재를 수조에 투입하여 부유물을 분리하고, 가라앉은 골재는 스크류 등으로 배출시키는 구조의 수처리장치가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For this reason,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introduced and used to put aggregate into a water tank to separate suspended matter, and the sinked aggregate is discharged with a screw or the lik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는 수조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골재를 투입하여 수면으로 떠오르는 부유물은 회전날개(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팔을 부착한 날개)로 걷어내고, 가라앉은 골재는 퍼 올리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토분과 골재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골재의 배출과정에서 많은 량의 물이 함께 퍼올려져 물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처리작업장 주위 사방으로 물이 튀어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ating water floats to the surface by putting the aggregate in the state filled with water in the tank to be rotated by the rotor blades (wings attached to the arm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unken aggregate is pumped up. As a result, soil and aggregate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and a large amount of water is sprinkl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ggregate, so that the water supply must be continuously performed. There was a problem with getting lost.
또한 골재와 함께 토분 등이 함께 배출됨으로서 골재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생산된 골재의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ith the aggregate, such as soil powder is discharged together,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ed aggregate is degraded without the aggregate washing properly.
무엇보다도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의 선별 후 재활용은 연속화되고, 자동화된 일련의 처리공정에 의해 이루어져야만 처리의 성력화를 기할 수 있는데 종래 제시되거나 사용되어 온수처리기들은 독립적 사용에 기반을 둔 것으로 연속적인 처리에는 문제점이 있었다.Above all, the construction and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s and workplace wastes must be continuous and automated by a series of automated treatment process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Conventionally presented or used hot water processors are based on independent use. Had a problem.
또한 하나의 수조를 연속해서 사용하게 되므로 폐수의 발생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분리 및 선별능력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었다.In addition, since one tank is used continuously, i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wastewater, and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which causes the separation and sorting ability to fall.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더블 수조탱크를 교환 사용하여 물을 절약하고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it is possible to save water and double the efficiency by replacing and using a double tank tank.
본 발명은 물속에 폐기물을 공급하여 중량차이에 의하여 부유물과 중량물이 분리되어 자동으로 선별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waste in the water to separate the suspended solids and heavy materials by the weight difference is to be automatically sorted.
본 발명은 부유물과 중량물이 분리되어 선별될 때 발생되는 물은 다시 수조탱크로 재 공급되는 물회수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generated when the suspended solids and the heavy materials are separated and sorted is applied to a water recovery system which is supplied back to the tank tank.
본 발명은 더블로 양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로가 열결된 수조탱크와,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in a double and a plurality of water tank tank is connected,
상기 수조탱크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며 부유물을 좌측으로 모으는 부유물 처리판과 모아진 부유물을 회전하며 배출하는 부유물 처리솔로 공급되는 부유물을 외부로 분리시키는 부유물 이동 콘베어로 형성된 부유물 분리장치와,A float separation device formed of a float moving conveyor reciprocating in the water tank tank and floating float supplied to a float handling plate for collecting floats to the left and floating floats for discharging floating floats;
상기수조탱크의 내부와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가라앉는 중량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상 이동 콘베어로 형성된 중량물 분리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heavy weight separating device formed of a solid-phase moving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sinking weight to the outside and installed inclined at one side and the inside of the tan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와 작동상태 단면도 및 작동후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4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the installation stat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수조탱크(100, 200)가 더블로 설치되어 있으며, 수조탱크(100, 200)에는 부유물 분리장치(300)와 중량물 분리장치(400)가 설치되어 있어서 부유물과 중량물(고상)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tank (100, 200) is installed in double to enable the exchange, the water tank tank (100, 200) is installed floating
수조탱크(100, 200)가 더블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유물 분리장치(300)는 공급된 물의 수위와 유사하여 부유물을 이송시키는 부유물 처리솔(103, 203)의 일측으로 중앙에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 201)가 설치되어 있다.Water tank tank (100, 200) is installed in double, each
상기 부유물 처리솔(103, 203)은 중앙에서 구동모터(1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수면에 있는 부유물을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 201)에 공급하도록 설치한다.The float treatment brush (103, 203) is connected to the
상기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 201)의 양측으로 호퍼(102, 202)가 설치되어 있어서 부유물이 모여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 201)의 일측에는 물회수 탱크(131, 231)가 설치되어 있어서 부유물에서 발생되는 물을 수거하여 다시 수조탱크(100, 200)로 재 공급하여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조탱크(100, 200)의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2개의 레일(122)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바퀴(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바퀴(121)는 이송모터(120)가 올려져 있어서 수조탱크(100, 200)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부유물 처리판(104, 204)이 연결되어 좌/우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부유물을 부유물 처리솔(103, 203)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Two
상기 수조탱크(100, 200)는 더블로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이 얕고 중앙이 깊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으로 다수개의 수로(130)가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한쪽에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다른 쪽으로 물이 이동되어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water tank (100, 200)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double, both sides are shallow and the center is formed in a deep form, a plurality of
상기 중량물 분리장치(400)는 수조탱크(100, 200)의 수심이 가장 깊은 중심부분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되, 수조탱크(100, 20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물속으로 가라앉는 고상의 중량물을 외측으로 배출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heavy
상기 수조탱크(100, 200)의 우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살수 파이프(105, 205)가 설치되어 있어서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어 좌측으로 고압의 물을 살수하여 부유물을 밀어내는 작용 및 물을 보충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The right side of the water tank (100, 200) is installed in 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거된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을 분리/선별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비교적 큰 물체의 경우에는 분쇄하여 모래 또는 골재로 재활용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만든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in a system for separating / selecting the collected construction waste and workplace waste, and 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object, it is made to a size that can be crushed and recycled into sand or aggregate.
분쇄된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을 분쇄한 후 수조탱크(100)를 구동시키며 공급하면 가벼운 부유물은 수면위로 떠오르고, 무거운 중량물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After crushing the crushed construction waste and workplace waste and driving the
이때, 부유물 분리장치(300)는 부유물을 수조탱크(100)에서 분리하여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로 배출하고, 중량물 분리장치(400)는 고상 이동 콘베어(106)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부유물 분리장치(300)의 이송모터(120)가 구동되면 이송바퀴(121)가 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좌측으로 이송하면서 부유물 처리판(104)도 함께 이송하게 되고, 좌측의 선단에 이송되면 이를 도시하지 않는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후 정지함과 동시에 부유물 처리판(104)이 도 3 의 우측에 도시된 가상선과 같이 하측으로 90°회전된다.When the
부유물 처리판(104)이 회전되어 정지되면 이송모터(120)가 역회전하면서 이송바퀴(121)가 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좌측으로 이송하면서 부유물 처리판(104)은 수조탱크(100)에 있는 부유물을 좌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도 4 와 같이 좌측의 부유물 처리솔(103)에 부유물을 이송시키는 작용을 제공한다.When the
부유물이 부유물 처리솔(103)에 이르게 되면 부유물 처리솔(103)이 구동모터(110)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부유물을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에 공급하게 된다.When the float reaches the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에 부유물이 공급되면 좌측의 물회수 탱크(131)를 지나 한곳에 모아서 압축기를 거쳐 물이 제거됨(탈수)과 압축포장되어 정형화되어 소각대기용이나 시멘트 생산용 생석회 가공용의 열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float is supplied to the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의 하측에 설치된 호퍼(102)는 부유물 처리솔(103)에서 공급되는 부유물이 부유물 콘베어(101)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이때, 부유물 이동 콘베어(101)에서 발생되는 수분은 물회수 탱크(131)에 모아져서 수조탱크(100)에 재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water generated in the
또한 살수 파이프(105)는 물을 좌측 방향을 향하여 고압으로 살수하게 되므로 수조탱크(100)에 떠 있는 부유물을 좌측으로 이송시켜 고상 이동 콘베어(106)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조탱크(100)에 물을 공급하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prinkling
여기서 수조탱크(100)에 물이 넘치게 되면 다수의 수로(130)를 통하여 반대편의 수조탱크(200)로 공급되어 물의 손실을 막고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Here, if the
그리고 고상 이동 콘베어(106)는 수조탱크(1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중량물을 이송시켜 부유물과 분리하는 것이며, 선단부분에 물회수 탱크(107)를 설치하여 발생된 물을 모아서 수조탱크(100)에 공급하므로 물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nd the solid-
이와 같이 수조탱크(100)를 사용한 후에는 일측으로 설치된 수조탱크(200)를 사용하여 이상과 같이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부유물과 중량물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조탱크(100, 200)를 더블 수조로 만들어서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us, after using the
본 발명은 수조탱크를 더블로 설치하여 교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을 절약하고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ouble tank tank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o save water and double the efficiency.
본 발명은 물속에 폐기물을 공급하여 중량차이에 의하여 부유물과 중량물이 분리되어 자동으로 선별되도록 하여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recycling efficiency by supplying the waste in the water to be separated by the weight and the suspended solids and heavy by automatically sorting.
본 발명은 부유물과 중량물이 분리되어 선별될 때 발생되는 물은 다시 수조 탱크로 재 공급되는 물회수시스템이 적용되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반대편에서 사용하지 않는 수조탱크로 수로를 통하여 공급되므로 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ater recovery system that is re-supplied to the tank tank again, the water generated when the suspended solids and heavy materials are separated and screened, and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tank to the tank tank tha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not used on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outflow of wat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627A KR100616503B1 (en) | 2004-02-21 | 2004-02-21 | Do construction waste and place of business waste and Insanitation life waste automatic sorting device use double water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627A KR100616503B1 (en) | 2004-02-21 | 2004-02-21 | Do construction waste and place of business waste and Insanitation life waste automatic sorting device use double water ta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3080A KR20050083080A (en) | 2005-08-25 |
KR100616503B1 true KR100616503B1 (en) | 2006-08-28 |
Family
ID=3726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1627A KR100616503B1 (en) | 2004-02-21 | 2004-02-21 | Do construction waste and place of business waste and Insanitation life waste automatic sorting device use double water 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65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2544B1 (en) | 2021-09-06 | 2023-01-30 | 주식회사 재운산업 | Vacuum nozzle fill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51242A (en) * | 2020-03-23 | 2020-07-28 | 陈平平 | Buoyancy sorting device and sorting method for medical was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3976A (en) * | 1996-05-30 | 1997-12-09 | Miike Tekkosho Kk | Separating apparatus using water |
KR200313445Y1 (en) | 2003-02-07 | 2003-05-16 | 삼표산업 주식회사 | Sorting equipments of contaminating materials in construction wastes |
KR100385899B1 (en) | 2002-08-19 | 2003-06-02 | Seo Won Environ Ment Co Ltd | Apparatus for sorting underwater construction waste |
KR20040004294A (en) * | 2003-12-16 | 2004-01-13 | 천지환경주식회사 | Construction waste alie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recycled aggregate |
-
2004
- 2004-02-21 KR KR1020040011627A patent/KR10061650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3976A (en) * | 1996-05-30 | 1997-12-09 | Miike Tekkosho Kk | Separating apparatus using water |
KR100385899B1 (en) | 2002-08-19 | 2003-06-02 | Seo Won Environ Ment Co Ltd | Apparatus for sorting underwater construction waste |
KR200313445Y1 (en) | 2003-02-07 | 2003-05-16 | 삼표산업 주식회사 | Sorting equipments of contaminating materials in construction wastes |
KR20040004294A (en) * | 2003-12-16 | 2004-01-13 | 천지환경주식회사 | Construction waste alie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recycled aggregat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2544B1 (en) | 2021-09-06 | 2023-01-30 | 주식회사 재운산업 | Vacuum nozzle fil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3080A (en) | 2005-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35319B1 (en) | Recycling techniques of construction waste meterial | |
KR100650509B1 (en) | Seperated method and its apparatus of vibrating screen using precipitate storage tank | |
KR100981949B1 (en) | Apparatus for reclaiming of waste earth and sand | |
KR100688123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 |
KR100588836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 |
KR20080058076A (en) | Dust seperating method and the apparatus using improved structure of motor-screen | |
CN111871494B (en) | Reinforced concrete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0533738B1 (en) | Equipment classify contaminating materials wet construction waste | |
KR20040004294A (en) | Construction waste alien substance sorting device for recycled aggregate | |
KR100879809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alien substances of circulated aggregate crushed in intermediate handling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765852B1 (en) | Apparatus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 |
KR100510328B1 (en) | A construction waste crushing unit combinde waste sorting machine | |
KR100850489B1 (en) | An apparatus for recycling and treating the concrete particles of the used concrete waster to product the aggregate | |
KR100616503B1 (en) | Do construction waste and place of business waste and Insanitation life waste automatic sorting device use double water tank | |
KR100436545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rejuvenating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rticles | |
KR20030067112A (en) | A type of water tank for separating apparatus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751838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of construction wastes | |
KR200303298Y1 (en) | Recycling sand production device use construction waste | |
KR0118267Y1 (en) | Wet separation device for constructional waste | |
KR100931471B1 (en) | Sorting system and method of recycle material from construction waste | |
CN212651931U (en) | Waste recovery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 |
KR100834710B1 (en) |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rotary screen for waste soil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 |
KR100674006B1 (en) | Classifier of contaminating materials in recycled aggregates using waste concretes | |
KR100525357B1 (en) | Apparatus for washing aggregate for use in a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 |
KR100616525B1 (en) | A cleansing device aggreg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