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489B1 -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489B1
KR100592489B1 KR1020060015200A KR20060015200A KR100592489B1 KR 100592489 B1 KR100592489 B1 KR 100592489B1 KR 1020060015200 A KR1020060015200 A KR 1020060015200A KR 20060015200 A KR20060015200 A KR 20060015200A KR 100592489 B1 KR100592489 B1 KR 10059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obesity
sleep
powd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280A (ko
Inventor
진일혜
김기권
이동웅
Original Assignee
진일혜
김기권
이동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일혜, 김기권, 이동웅 filed Critical 진일혜
Priority to KR102006001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4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489B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분(蠶糞)을 이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분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여 수면증강, 진통 완화, 항경련, 체중 감소 및 고지혈증 억제효과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내에 잠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안정 및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잠분은 우수한 수면증강효과, 진통효과, 항경련효과, 체중감소효과 및 고지혈증 억제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증상이나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잠분, 수면증강, 진통 완화, 항경련, 체중 감소, 고지혈증 억제효과

Description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A composition having anti―obesity effects by silkworm excreta}
본 발명은 잠분(蠶糞)을 이용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분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여 수면증강, 진통 완화, 항경련, 체중 감소 및 고지혈증 억제효과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현대인에게 빈번히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활리듬을 깨뜨려 사회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데, 이와같은 불면은 사회적인 문제나 직업적 요인이 15∼20% 정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현대인의 사회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중에서 73.4%가 불면증을 경험하였으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3월), 치료가 필요한 수면장애 환자가 약 8%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국수면학회, 2000년 8월).
한편, 교통사고와 안전사고의 급증, 청소년들의 향정신성 의약품의 오남용 및 과도한 전자오락 등은 경련발작의 유발원인이 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경련발작 증상이 간질이다. 간질은 돌발적이고 일과성의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중추신 경계 질환으로서 간질의 유병율은 전 인구의 0.3-1.5%정도이며, 1년 동안의 새로운 환자의 발생률은 0.05%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신경정신과학, 대한신경정신의학회편, 서울, 하나의학사, pp. 251-252, 1998).
이러한 불면과 경련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현대적 의미의 진정제로 개발된 1900년대 초의 바비투레이트(barbiturate)계통의 약물은 불안치료에 효과적인 약재로 소개되어 사용되었으나 치료지수가 낮아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중독 등의 부작용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1957년에는 클로르디아즈에폭사이드(chlordiazepoxide)등의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계 약물이 진정제로서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이와 관련된 많은 유도체가 진정제로 개발되어 있다. 이들 약물은 비교적 안전하고 불안증상을 경감시키는 항불안효과 외에 항경련제, 진정수면제, 근육이완제등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본태성 고혈압과 자율신경계의 장애, 위장관 장애, 운동장애, 금단시의 경련유발, 알코올 또는 바비투레이트(barbiturate) 계와의 병용시에 중추신경 억제작용이 강화되는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으며 또 드물게는 불안증상의 악화와 적개심 야기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수도 있어 이상적인 진정제로서는 한계가 있다(J. Clin. Psychiat. 42, 1981, M.A. Schuckit, Current therapeu- tic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pp. 15-24).
또한, 1970년대부터 개발되어 온 아자스피로데칸디온(azaspirodecanedione)계 약물인 부스피론(buspirone)의 경우는 다른 항불안제들과 달리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에 결합되지 않고 GABA(γ-아미노부티르산) 신경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지 않으며 도파민(dopamine) 수용체와 해마에 있는 세로토닌(serotonine) 수용체에 작용하므로 기존의 벤조디아제핀계에 비해 운동장애등의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지만, 약리효과가 2, 3주 지연되어 나타나고, 또 도파민계에 작용하는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어 역시 이상적인 신경안정제라고 할 수 없다(정신의학 15, 1990년, 황광민, 권준수, 이부영, 불안증상의 치료효과에 관한 부스피론과 디아제팜의 비교연구, pp. 87-93).
그리고, 현재 미국 수면제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엠비엔(Ambien, Monsanto사)은 수면효과가 8시간 지속되어 아침에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을 정도이다.
이와는 별도,로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영양의 과다섭취와 운동량의 부족으로 전세계적으로 비만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비만은 체내에 필요이상의 에너지원이 지방세포에 축적된 상태로서 지방조직의 증가에 의하여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체중증가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30인 경우를 과체중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의 비만은 당뇨병 2 타입, 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증 및 관절염 등의 다양한 고질적인 만성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주요 퇴행성 질환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비만의 치료는 이들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선행되어야 하는 핵심사항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만 치료에 있어서, 미국 FDA에 의해서 승인을 받아 국내에서도 시판되고 있는 제니칼(Xenical)과 리덕틸(Meridia/Reductil) 등은 부작용 및 약효의 미약성으로 인해 매출이 17~25%의 감소추세에 있는 실정이다(Gura, 2003; Bioword Today, 2003년 3월 31일).
이는 제니칼의 경우, 리파아제의 기능을 억제하여 지방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나 지방 흡수를 차단하기 때문에 지용성인 비타민과 β-카로틴도 흡수하지 못하므로 매일 비타민을 함께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흡수되지 않은 지방은 장 속에 남아 배에 가스가 차 있게 하여 복부 팽만감과 기름이 많이 낀 대변이 나오는 부작용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리덕틸은 식욕조절 신경호르몬인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시켜 식욕을 떨어뜨리게 하는 약물로서 중독의 위험은 없지만 환자 가운데 약 10%는 체중 감량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또 혈압상승을 비롯한 각종 부작용이 나타나고,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2명의 환자사망으로 인해 2002년 판매중지가 되어 있다(Gura, 2003).
따라서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천연 항비만 제품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비만외에 다른 원인으로도 발병하는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등에 의한 순환기계 질환과 대사성 질환들도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이중 순환기계 질환에서 고혈압성 질환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허혈성 심장질환 또는 관상동맥 질환이 주요 관리대상 질환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데(통계청, 1996), 역학연구에 의해 밝혀진 관상동맥질환의 제1위험인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Statin)류는 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히 낮출 수는 있으나 근육세포 파괴, 간세포 손상, 위궤양 등의 부작용으로 간이나 위 질환자에게는 신중한 처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전통 한약재를 비롯한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간이나 신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콜레스테롤 조절을 할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지금까지 단일 한방약재의 고지혈증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논문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청소, 번 등(영목도생. 정상철리. 복권영증, 1991; 일본약국방해설서 제 12개정 D-132. D-576 광천수점, 동경)은 실험동물의 총콜레스테롤을 억제하며 황금(黃芩)과 황련(黃連)이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기무라 등(日본약국방해설서 제 12CtE D-116. 광천서점. 동경)은 황금(黃芩)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고지혈증에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억제함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치자(梔子)는 혈청 콜레스테롤 억제, 지방질의 감소로 동맥경화증 예방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Gainer, J. K., Jones, J. R. The use of crocetin in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Experimentica. 1975:31, 548; Kimura, Y., Okuda, H., Arichi, S. Effect of geniposide isolated from Gardenia jasmonoides on metabolic alterations in high sugar diet-fed rats. Chem. Pharm. Bull. 1982:30, 4444-7, 일본약국방해설서 제 12개정, D-391. 광천서점, 동경).
또한, 황백(黃柏)의 경우에는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 다(Vad, B. G., Raman, P. H., Deshmukh, V. K. Indian J. Pharm. 1971:33, 23-7).
그리고, 복합방의 경우,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과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흰쥐의 고지혈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정명현, 한성준. 생약복합제제(三黃瀉心湯, 黃連解毒湯)가 흰쥐의 실험적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1996:27, 397-407].
이에, 본 발명자는 비용이 저렴하면서, 현재까지 효능이 전혀 알려진 바 없는 천연물질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도 수면장애, 진통 및 경련과 같은 신경장애와 비만 개선 등 현대 질병에 대해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질병에 대해서 잠사물(蠶事物) 중 잠분(蠶糞)에 대한 신규한 효능을 입증하여 농가에 새로운 수입원을 창출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내에 잠분(蠶糞)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안정 및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내에 잠분(蠶糞)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안정 및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 안정은 구체적으로 수면장애 개선, 통증 완화 또는 경련 완화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항비만 효과는 비만 억제 및 항고지혈증에 대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수면증강효과, 진통효과, 항경련효과, 체중감소효과 및 고지혈증 억제효과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잠사(蠶事)시 지금까지 누에나 뽕잎과는 달리, 이용가치가 낮게 평가된 잠분(蠶糞)에 대해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효능을 입증함으로써, 새로운 고부가가치 상품을 창출하게 하여 잠사 농가에 새로운 수입원이 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경구투여에 의해 투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투여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선정하여 제조되도록 각종의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에는 활택제(滑澤劑), 결합제, 희석제, 붕해제, 색소 등을 사용하는 데, 예를들어 약의 용적을 증가 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희석제나 충전제로는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또는 솔비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효를 나타내는 주성분과 충전제에 점착력을 주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로는 미결정 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밀 전 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양을 찍어내는 기계(타정 펀치)에 정제가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활택제는 물체를 미끌미끌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는 데, 보통 스테아린산 칼슘과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체내에 섭취된 후, 분해 또는 붕괴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붕해제로는 아라비아 고무, 아르긴산, 아르긴산염 등의 물질을 주로 사용하고, 기타, 보기 좋게 하기위해 클로로필과 같이 부작용이 없는 천연 색소를 사용하거나 맛을 내기 위해 과당, 맥아덱스트린린, 솔비톨, 맥아 등의 감미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약효를 갖고 있으면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잠분은 철구조물 형태의 누에 사육틀 아래에 그물망을 설치한 다음, 누에를 사육하면서 누에분을 받아내어 얻은 것을 건조하고, 이를 균일하게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잠분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추출, 정제하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어느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잠분이라도 사용이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잠분은 일반적으로 유기산이 84%, 회분이 9-16%, 총질소량이 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미노산에는 히스티딘(histidine), 류신(leucine) 등이 있고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등의 스테롤(sterol)류가 있으며 이외에 요산, 인산, 칼륨, 칼슘, 비타민 A 및 B군, 식물성장호르몬 및 엽록소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류강선, 정성현. 누에와 당뇨. 도서출판 신일상사. 1998. p. 101, 129-130.)
또한, 잠분은 위염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Photoinactivation of vesicular stomatitis virus by a photodynamic agent, chlorophyll derivatives from silkworm excreta., Lim, Dae-Seog; Ko, Si-Hwan; Kim, Seung-Jin; Park, Young-Jae; Park, Jeon-Han; Lee, Won-Young.,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2002), 67(3), 149-156.]와 간암 및 흑색종(피부암) 억제효과[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Chinese drugs. VII. Cytostatic pheophytins from silkworm excreta, and derived photocytotoxic pheophorbides.,Nakatani, Yoichi; Ourisson, Guy; Beck, Jean Paul.,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81), 29(8), 2261-9.] 및 류마티스 및 복통 치료효과[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Shan-Si. People's press of Shan-Si, China, 1972, p. 53., Atlas of frequently us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eople\'s press of health, China, 1970, pp. 210-211]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수면증강효과, 진통효과, 항경련효과, 체중감소효과 및 고지혈증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잠사의 유효량은 통상적으로 50-100㎎/kg/일(day)의 농도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경구 투여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험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와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나 실험예로 국한되지 않는다.
[실험예 1] 수면시간 연장효과 측정
각 군별로 7마리의 마우스(ICR계 웅성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잠분가루를 용량별(500mg/kg, 1g/kg)로 7일간 경구투여한 다음, 마지막 투여 1시간 뒤, 펜토바르비탈 소듐 50mg/kg을 살린(saline)에 녹여 복강주사하고 그 수면시간을 측정하였다. 수면시간은 동물의 코 끝에 손을 대어보아 정향반사(righting reflex)가 소실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다시 정향반사가 회복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비교하였다. 대조군에는 대신 1% CMC(Carboxyl methyl cellulose)만을 투여하고, 양성대조물질(positive control)로는 진정제인 염산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10mg/kg을 사용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1520526-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의 수면시간은 79.1분이나 잠분 500mg/kg 투여군은 105.7분, 1g/kg 투여군은 122.4분으로 수면시간이 각각 33.6%, 54.7% 증가하여 잠사가 수면증강효과가 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효과는 진정제인 염산 클로르프로마진 10mg을 투여했을 때의 수면시간인 165.8분과 비교해서 조금 약하기는 하나 이 수면제가 단일성분인데 비하여 잠분은 많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잠사의 수면효과가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즉, 시판 수면제가 복용 또는 주사로 사용되며 단일 성분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는 반면, 다수의 성분으로 구성된 잠사는 복용으로 부작용없이 수면효과를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2] 진통효과 측정
진통효과의 측정은 화학적 통증유발물질인 페닐퀴논투여 시 통증 때문에 뒷다리를 쭉 뻗는 스트레치 횟수를 측정하는 라이팅시험(writhing test)을 실시하였다. 잠분가루를 용량별(500mg/kg, 1g/kg)로 7일간 경구투여한 다음, 시료투여 1시간 후에 페닐퀴논을 복강주사하고 20분간 라이팅횟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11520526-pat00002
상기 표 2로부터 대조군의 라이팅횟수는 21.8회이었으나 잠분 500mg/kg 투여시 11.8회, 1g/kg 투여시 9.8회로 줄어들어 각각 45.9와 55.1%의 억제율을 보임으로서 잠사투여에 의해 통증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경련효과 측정
항경련효과는 실험동물에 7일간 잠분 가루를 용량별(500mg/kg, 1g/kg)로 경구 투여한 다음 최종투여 1시간 후, 경련유발물질인 펜틸렌테트라졸 70mg/kg을 피하주사하여 인위적으로 경련을 유발시키고 경련발현시간(onset time) 및 사망률(lethality)을 측정하였다. 이 때, 경련은 5초간 지속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는 비가바트린(vigabatrin) 10mg/kg을 주사하여 그 효과를 상호비교하였다.
Figure 112006011520526-pat00003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펜틸렌테트라졸로 실험동물에 경련을 유발시켰을 때, 대조군의 경련발현시간은 2.59분이었으나 잠분 500mg/kg 투여시에는 2.75분으로 0.16분이 지연되었으며 1g/kg 투여시에는 5.24분으로 2배 이상 지연되어 잠분의 항경련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사망률에서는 대조군이 7마리중에서 6마리가 사망하였으나, 잠분투여군은 500mg/kg의 농도에서는 3마리가 사망하였고 1g/kg에서는 2마리가 사망하여, 잠분투여가 경련에 의한 사망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대조약물인 비가바트린은 10mg/kg 투여시 경련발현시간 및 사망률에서 잠분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약물이 단일성분인데 비하여 잠분은 많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잠분의 항경련 효과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시판 진정제가 주사로 사용되며 단일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있는 반면, 다수의 성분으로 구성된 잠분은 간단한 복용으로 부작용없이 경련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비만 유발 쥐에 대한 체중감소 효과 측정
먼저, 실험동물에 비만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사료를 제조하였다.
이 사료는 일반사료에 1.5%의 콜레스테롤, 0.5%의 콜산, 그리고 25%의 라드(돼지기름)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대조군은 고지방 식이사료를 10일간 자유섭취케 하여 비만과 고지혈증을 동시에 유발시켰다. 실험군은 비만과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약재 1g/kg을 7일간 경구투여하였다. 약재에 의한 체중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7일후의 몸무게의 변화를 관찰하여 대조군과 비교, 검토하였다.
Figure 112006011520526-pat00004
상기 표 4로부터, 10일까지는 비만을 유발시킨 모든 실험군이 3일째 일시적으로 체중감소가 있었으니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7일간 약재를 투여하면 대조군은 체중이 3.6% 증가한 반면, 잠사투여군은 체중이 증가하지 않하 잠사투여로 체중증가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비만 유발 쥐에 대한 고지혈증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험예 4>의 대조군과 잠사투여군의 혈중 지방질 함량은 아산제약 주식회사의 측정 키트들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실험방법으로 혈액시료는 실험군과 미투여군의 마우스에서 각각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응고제를 처리한 후 하루 방치하여 생성된 혈청을 피펫으로 취한 다음, 다시 원심분리하여 준비하였고, 상기 준비된 혈청 0.02 ml에 3.0 ㎖의 중성지방 측정 키트액 [리포프로테인리파제 10800 U, 글리세롤키나제 5.4 U, 퍼옥시다제 135000 U, L-α-글리세로 인산옥시다제 160 U를 72 ㎖의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메탄설폰산 완충액에 녹인 용액]과 3.0 ㎖의 총콜레스테롤 측정 키트액(콜레스테롤에스테라제 20.5 KU/ℓ, 콜레스테롤옥시다제 10.7 KU/ℓ, 수산화나트륨 1.81 g/ℓ과 인산일칼륨 13.6 g/ℓ, 페놀 1.88 g/ℓ인 용액) 및 HDL 콜레스테롤 측정 키트액(콜레스테롤에스테라제 20.5 KU/ℓ, 콜레스테롤옥시다제 10.7 KU/ℓ, 수산화나트륨 1.81 g/ℓ과 인산이수소칼륨 13.6 g/ℓ, 페놀 1.88 g/ℓ인 용액)을 각각 섞은 후 37℃에서 5~10분간 반응시킨 다음,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은 500 nm에서, 중성지방은 550 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정량은 이들의 표준 용액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표준 농도곡선을 이용하였으며 농도는 mg/dl로 나타내었다.
이의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잠사 1g/kg을 경구투여한 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13.7%, 중성지방은 26.9%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은 4.8% 증가하였다. 즉, 잠사는 특히 중성지방을 억제시키는 효과는 강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혈청에는 정상군의 혈청보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여 고지혈증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체중 감소를 유도하면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는 우수한 고지혈증 개선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Figure 112006011520526-pat00005
[실시예 ] 잠분을 이용한 정제(tablet) 제조
먼저, 수득된 잠분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성분을 이용하여 대한약전 제제총직에 의거한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1개당 잠분 가루가 250㎎을 함유되도록 정제를 제조하였다.
잠분가루 + 전분 ....................4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5㎎
칼슘 카르복시메틸세룰로즈 ............ 25㎎
경질 무수규산 ............ 70㎎
합 500㎎
그런다음, 패턴이 새겨진 평평한 펀치(patterned flat punches)를 사용하여 분말을 압착하여 직경 10mm, 두께 4.0mm, 경도 10 내지 15kPa의 타블렛을 완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잠분은 통상적인 투여 방식, 즉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에 의해 우수한 수면증강효과, 진통효과, 항경련효과, 체중감소효과 및 고지혈증 억제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증상이나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내에 잠분(蠶糞)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항비만은 체중감소와 고지혈증 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60015200A 2006-02-16 2006-02-16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59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00A KR100592489B1 (ko) 2006-02-16 2006-02-16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00A KR100592489B1 (ko) 2006-02-16 2006-02-16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845A Division KR100615532B1 (ko) 2004-07-19 2004-07-19 잠분을 함유하는 신경안정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80A KR20060018280A (ko) 2006-02-28
KR100592489B1 true KR100592489B1 (ko) 2006-06-26

Family

ID=3712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00A KR100592489B1 (ko) 2006-02-16 2006-02-16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6423B (zh) * 2012-10-25 2014-07-02 常州美胜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棕色素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280A (ko)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ingra et al. Screening for antidepressant-like activity of Convolvulus pluricaulis Choisy in mice
EP2491934B1 (en) Use of albiflorin for anti-depression
CN1915292A (zh) 益母草提取物作为拟胆碱药之乙酰胆碱酯酶抑制剂药物的用途
US1066092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bination extracts of Moutan Root Bark, Angelica Dahurica Root, bupleurum root or fractions thereof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
CN101890082A (zh) 一组用于治疗抑郁症的药物组合物及制法
DK2644198T3 (en) ANTIANXIETY AND SLEEP DISORDER IMPROVING USE OF ALBIFLORIN
CN101332205A (zh) 一种以芍药甙为原料的抗抑郁药物及其制法
KR20150067187A (ko) 비만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제제
CN107468683B (zh) 土木香内酯及其衍生物在制备预防和治疗脂肪肝损伤药物中的用途
CN101654393A (zh) 作为肝脏保护剂的化合物和组合物
KR100592489B1 (ko) 잠분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200230102A1 (en) Composition and medical product for reducing body weight and body fat, and use of said product
KR100733984B1 (ko)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15532B1 (ko) 잠분을 함유하는 신경안정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09062374A1 (fr) Utilisation pharmaceutique de liquiritigénine pour préparer un médicament destiné au traitement de maladies neurodégénératives
RU2408383C1 (ru) Композиция с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и адаптог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варианты) и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на ее основе (варианты)
CN104095938B (zh) 一种治疗抑郁症的蒙药制剂
CN106822095A (zh) 一种防治脂肪肝和肥胖的药物及其在制药中的应用
JP2022519873A (ja) カンナビノイド受容体アゴニスト及びセリンヒドロラーゼ酵素阻害剤ベースの抗不安治療製品
KR100973037B1 (ko)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603628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weight and reducing body fat and pharmaceutical product and application thereof
CN112279811A (zh) C20二萜生物碱、其制备及治疗疼痛相关疾病的用途
US20200323773A1 (en)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s comprising pde5 inhibitors
CN112535715B (zh) 一种治疗酒精性肝损伤的中药组合物及中药制剂和应用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