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268B1 -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268B1
KR100591268B1 KR1020040084380A KR20040084380A KR100591268B1 KR 100591268 B1 KR100591268 B1 KR 100591268B1 KR 1020040084380 A KR1020040084380 A KR 1020040084380A KR 20040084380 A KR20040084380 A KR 20040084380A KR 100591268 B1 KR100591268 B1 KR 10059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tainer
pumping device
plunger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448A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김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수 filed Critical 김길수
Publication of KR2006001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가 개시된다. 펌핑장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제1공간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에 배치된 밸브장치를 구비한다. 가압부는 외력에 의해 가압시 제1공간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제1공간을 가압하며, 외력의 해제시 제1공간 내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한다. 밸브장치는 제1공간의 압력 증가시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고 제1공간의 압력 감소시 제2공간을 제1공간에 대해 폐쇄시킨다. 펌핑장치의 펌핑 동작에 의해서 화장품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으며, 펌핑장치가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제작비용이 작게 소요되고 제작이 간단하다.
화장품, 용기, 펌핑, 스프링, 피스톤, 실린더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 {Cosmetics container and a pumping device used for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4 는 종래의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
도 6 은 도 5 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5 의 가압 시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도 5 의 가압 진행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도 5 의 가압 해제 시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이 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
도 12 는 도 11 의 부분 확대도,
도 13 은 도 11 의 분해 사시도,
도 14 는 도 11 의 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 는 도 14 의 부분 확대도, 그리고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화장품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용기 및 이러한 화장품 용기에 사용되는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형태와, 용기에 마련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노즐을 통해 일정량의 화장품이 유출되도록 한 펌핑 형태로 크게 구분된다. 도 1 은 이러한 화장품 용기 중 펌핑장치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부(110), 및 용기부(1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펌핑장치(200)를 구비한다.
용기부(110)는 통상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용기부(110)는 그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을 형성하며, 용기부(110)의 하면에는 통기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부(110) 내에는 용기피스톤(113)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공간(1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이 펌핑장치(20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어 그 양이 줄어듬에 따라, 용기피스톤(113)은 수용공간(111) 내의 부압(minus pressure)에 의해 점진적으로 상승한다. 이때, 통기공(115)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부(11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용기피스톤(113)의 상승이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펌핑장치(200)는, 용기부(110)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캡(220), 노즐캡(220)의 상부에 설치된 노즐버튼(210), 노즐캡(220)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230), 노즐캡(2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부플런저(260)와 하부플런저(270), 및 실린더(230) 내에 설치된 스프링(240)과 볼(250)을 포함한다.
노즐캡(220)은 용기부(110)의 상부에 고정되어 펌핑장치(200) 전체를 용기부(110)상에 설치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노즐캡(220)과 용기부(110)의 상단부 사이에는 가스켓(223)이 설치되어 용기부(110)와 노즐캡(220) 사이의 기밀 상태를 유지한다.
노즐버튼(210)은 노즐캡(220)의 상부에서 상부플런저(260)와 결합되어 있고, 노즐버튼(210)의 측면에는 노즐(213)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213)은 노즐버튼(210)을 사용자가 누를 때 최종적으로 화장품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제공한다.
상부플런저(260)의 상부는 노즐버튼(210)에 결합되어 있고 상부플런저(260)의 하부는 하부플런저(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버튼(210)을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노즐버튼(210)과 함께 상부플런저(260) 및 하부플런저(270)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실린더(230)는 용기부(110)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수용공간(111) 내의 화장품이 실린더(230) 내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33)가 형성되어 있다. 볼(250)은 실린더(230) 내에서 유입구(233)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플런저(270)의 하부는 실린더(23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스프링(240)은 하부플런저(270)의 하단부와 볼(2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플런저(270)는 상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그리고 볼(250)은 실린더(230)의 유입구(233)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노즐버튼(210), 상부플런저(260) 및 하부플런저(270)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유동로(217, 267, 27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노즐버튼(210)의 유동로(217)는 노즐(213)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플런저(270)의 유동로(217)의 단부는 실린더(230)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하부플런저(270)가 도 6 과 같이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는 하부플런저(270)의 유동로(277)의 말단 개구는 실린더(230)의 내벽에 의해 폐쇄되며, 하부플런저(27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하부플런저(270)의 유동로(277)의 말단 개구는 실린더(230) 내측으로 이동되어 실린더(230) 내부공간 내에 개방된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의 펌핑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노즐버튼(210)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부플런저(260)와 하부플런저(270)가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볼(250)은 스프링(240)의 하방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230)의 유입구 (233)를 강하게 폐쇄하며, 하부플런저(270)의 유동로(277)는 실린더(230) 내에 개방된다. 따라서, 실린더(230) 내에 사전에 충진되어 있던 화장품은 하부플런저(270)의 유동로(277), 상부플런저(260)의 유동로(260), 및 노즐버튼(210)의 유동로(217)를 거쳐 노즐(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노즐버튼(210)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플런저(270), 상부플런저(260) 및 노즐버튼(210)이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하부플런저(270)의 유동로(277)가 실린더(230) 내벽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상방이동하므로 실린더(230) 내부는 음압 상태로 되고, 이러한 실린더(230) 내부의 압력 저하에 의해 볼(250)이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저항하며 상방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240)의 유입구(233)가 개방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111) 내에 충진되어 있던 화장품이 유입구(233)를 통해 실린더(240) 내로 유입된다.
즉, 사용자가 노즐버튼(210)을 가압할 때에는 볼(240)이 유입구(233)를 폐쇄하여 실린더(240) 내에 충진되어 있던 화장품이 노즐(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노즐버튼(2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 때에는 볼(240)이 유입구(233)를 개방하여 용기부(110) 내의 화장품이 실린더(23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사용자는 노즐버튼(210)을 가압할 때마다 일정량의 화장품을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장품의 유출에 의해 용기부(110) 내의 화장품의 양이 줄어들면 수용공간(111) 내의 압력 저하에 의해 용기피스톤(113)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실린더(230)의 유입구(233)가 항상 화장품과 접 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용기부(110) 내의 화장품이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서는 실린더(230) 내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화장품이 실린더(230) 내에 충진되어 있는 동안에는 실린더(230) 내에서 금속 재질의 스프링(240)과 접촉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화장품이 이러한 금속 재질의 스프링(240)과 접촉되는 상태에서 많은 시간이 경과되면 화장품이 변질되거나, 금속재질의 스프링(240)이 녹슬 경우 유출되는 화장품에 녹이 포함될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많은 수의 작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생산 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펌핑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서 실린더(230) 하단의 유입구(233)가 상시 화장품 내에 담그어진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용기부(110) 내에 용기피스톤(113)이 반드시 설치되어야만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노즐버튼(210)에 노즐(213)이 마련되어 있는 구조, 즉, 사용자가 누르는 부위와 화장품이 분출되는 부위가 인접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눈가에 소량의 화장품을 뿌리면서 사용하는 아이크림(eye cream) 등과 같은 화장품은 사용자가 마치 펜을 쥐는 듯한 상태로 용기를 파지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화장품 용기의 유출구를 눈가의 피부에 댄 상태로 후면을 누르는 방식을 채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이러한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61356 호는 비교적 적은 부품으로 구성되고 펌핑 동작을 위한 버튼과 화장품이 배출되는 노즐이 용기의 반대편에 각각 위치된 구조를 가진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상기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61356 호에 개시된 화장품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 화장품 용기는, 실린더 형상의 용기부(310) 내에 용기피스톤(313)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부(310)의 양단에는 밸브장치(320)와 펌핑장치(330)가 각각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밸브장치(320)와 용기피스톤(313) 사이에는 화장품이 충진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된다. 용기피스톤(313)이 펌핑장치(33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밸브장치(320)는 개방되어 수용공간(311) 내의 화장품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고, 용기피스톤(313)의 펌핑장치(330)에 의한 가압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밸브장치(320)는 폐쇄된다.
펌핑장치(330)는 플런저(340), 가압피스톤(360), 가압부재(350), 스프링(370), 및 캡(380)으로 구성된다. 캡(380)은 플런저(340)가 용기부(310)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일 부위에 통기공(381)이 형성되 어 있다. 가압부재(350)는 캡(380)의 내측에 설치되며, 플런저(340)의 하향 이동시 하향된다. 스프링(370)은 가압부재(350)에 용기부(310)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가압피스톤(360)은 가압부재(350)와 용기피스톤(313) 사이에 설치되며, 플런저(340)의 하부가 그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가압피스톤(360)과 플런저(340)는 가압피스톤(360) 내측면에 형성된 리브(363)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되어, 가압피스톤(360)의 내외측 공간은 상호 연통된다.
이때, 플런저(340)가 하향이동할 때에는 가압피스톤(360)의 상면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40)의 경사면(343)과 접하며, 이에 의해 가압피스톤(360)의 중앙 부위의 관통공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런저(340)에 의해 가압피스톤(360)이 하향이동하게 된다. 또한, 플런저(340)가 상향이동할 때에는 가압피스톤(360)의 리브(363)의 하단부는 플런저(340) 하단의 돌출부(345)와 접하며, 이에 의해 가압피스톤(360)의 중앙 부위의 관통공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런저(340)에 의해 가압피스톤(360)이 상향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런저(340)를 손가락으로 하향 가압하면, 플런저(340)와 가압부재(350)가 하향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3 과 같은 상태가 되어 가압피스톤(360)이 용기피스톤(313)과 가압피스톤(360) 사이의 공간을 가압하면서 하향하게 된다. 이때, 가압피스톤(360)과 가압부재(350) 사이의 공기 및 가압부재(350)와 캡(380) 사이의 공기는 통공(351, 381)을 통해 빠져나가며, 스프링 (370)은 가압부재(350)에 의해 압축된다.
용기피스톤(313)과 가압피스톤(36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용기피스톤(313)이 하향하는 힘을 받고, 따라서, 수용공간(311) 내의 화장품이 밸브장치(320)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플런저(34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37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재(350)가 상향이동하고, 가압부재(350)와 함께 플런저(340)도 상향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4 와 같은 상태로 가압피스톤(360)이 플런저(340)와 함께 상승한다. 이때, 통공(351, 38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캡(380)과 가압부재(350) 사이의 공간 및 가압부재(350)와 가압피스톤(36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며, 나아가, 개방된 가압피스톤(360)의 관통공을 통해 가압피스톤(360)과 용기피스톤(31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가압피스톤(360)이 상향이동하는 동안 가압피스톤(360)과 용기피스톤(313) 사이의 공간의 압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용기피스톤(313)은 하향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플런저(340)를 반복해서 누름에 따라 용기피스톤(313)이 점진적으로 하향하면서 화장품이 외부로 조금씩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누름 방향으로의 화장품 배출 구조에 의해 용도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적은 수의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 동작이 불완전하여 화장품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가압피스톤(360)이 하향이동한 상태에서 가압피스톤(360)과 용기피스톤 (313) 사이의 공간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런저(340)가 하향이동할 때 압축된 공기가 플런저(340)가 상향이동할 때 가압피스톤(360)의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용기피스톤(313)의 하향 압력이 매우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며, 화장품 배출량의 조절도 어려워져서 펌핑시마다의 화장품 배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플런저(340)의 상하방향 이동 거리가 충분히 큰 정도로 확보되어 충분한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펌핑 장치 전체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펌핑 동작에 의해서 화장품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금속 재질의 스프링에 의해 화장품이 변질될 우려가 없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제작비용이 작게 소요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사용자가 펌핑을 위해 가압하는 부위와 화장품이 배출되는 부위가 상호 상이하여 용도에 따라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의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 용기용 펌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며 외측으로 개구된 제2공간을 구비한 본체; 외력에 의해 가압시 상기 제1공간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제1공간을 가압하며, 상기 외력의 해제시 상기 제1공간 내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1공간의 압력 증가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공간의 압력 감소시 상기 제2공간을 상기 제1공간에 대해 폐쇄시키는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 내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며, 일 부위에 상기 제1공간을 상기 본체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압피스톤;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공간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고 상기 제1공간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키는 플런저부; 상기 제1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부에 상기 제1공간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제1공간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외측면에 있는 상기 관통공 주위의 외측림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둘레부를 구비한 플런저를 포함하한다. 상기 둘레부와 상기 외측림은 상기 플런저부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면에 의해 상호 면접촉된다.
상기 둘레부와 상기 외측림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플런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제1공간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 부위에 상기 관통공을 상기 제1공간과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제2공간에 대해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밸브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며, 외력에 의해 함몰 변형 가능한 연성 재질로 제조되고, 일 부위에 상기 제1공간을 외부 공간에 대해 탄력적으로 개폐가능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선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재의 일 부위는 상기 가압부재의 외면에 대해 함몰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공간 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외향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간과 상기 밸브장치 사이에는 일방향 밸브가 개재되어 있다.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1공간 내의 공기의 상기 제2공간 내로의 유입은 허용하고 상기 제2공간 내의 공기의 상기 제1공간 내로의 유입은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며, 일 부위에 탄력적으로 개폐가능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2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선은 상기 만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절개선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수용공간을 구비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펌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용기의 수용공간 내에는, 상기 펌핑장치의 펌핑 동작에 의해 가압되는 용기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에는, 외력에 의한 가압시 개방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용기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밸브부는, 상기 용기부에 마련된 배출공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 외측 및 내측으로 유동가능한 스핀들; 상기 스핀들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차단하며, 상기 스핀들이 상기 배출공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배출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스핀들이 상기 배출공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공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스핀들을 상기 배출공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재는 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일 부위에 상기 스핀들에 의해 개폐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펌핑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용기부 내의 유체가 상기 용기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위치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 배치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부(510), 및 용기부(5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펌핑장치(50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화장품 이외의 다른 유체도 수용 가능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일 예이다.
용기부(510)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용기부(510)는 그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511)을 형성하며, 용기부(510)의 하면에는 배출밸브부(520)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부(510) 내에는 용기피스톤(513)이 설치되어 있다. 핌핑장치(500)의 펌핑동작시 펌핑장치(500)에 의해 용기피스톤(513)이 하향하는 힘을 받는다.
배출밸브부(520)는 용기부(510)의 하부의 배출공(516)을 개폐하는 배출밸브(521) 및 배출밸브(521)가 배출공(516)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스프링(523)으로 구성된다. 용기피스톤(513)이 펌핑장치(500)에 의해 하향이동하는 힘을 받으면 배출밸브(521)가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향이동하고, 이에 따라 배출공(516)이 개방된다. 개방된 배출공(516)을 통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된다. 수용공간(5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이 펌핑장치(500)에 의해 배출밸브부(5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그 양이 줄어듬에 따라, 용기피스톤(513)은 수용공간(511) 내의 부압(minus pressure)에 의해 점진적으로 하향한다.
한편, 용기부(5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캡(515, 517)이 설치되어 있다. 캡(515, 517)은 각각 펌핑장치(500)와 배출밸브부(5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장치(500)는, 실린더(561), 가압부(550), 및 밸브장치(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561)는 용기부(510)의 상측 개구부에 용기부(510)에 대해 기밀적으로 설치되며, 실린더(561)의 상측에는 실린더캡(563)이 설치된다. 실린더(561)는 그 내부에 제1공간(P1)과 제2공간(P2)을 가지고 있다. 제1공간(P1)과 제2공간(P2)은 상호 구획되어 있으며, 구획벽에 연통공(566)이 형성되어 상호 연통된다. 제1공간(P1)은 용기부(510) 외측인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2공간(P2)은 용기부(510) 내측인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가압부(550)는 가압피스톤(543), 플런저부(530), 및 스프링(5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피스톤(543)은 실린더(561)의 내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린더(561) 내에 상기한 제1공간(P1)을 형성한다. 가압피스톤(543)의 중앙부에는 제1공간(P1)을 실린더(561) 외부의 공간과 연통시키는 관통공(543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부(530)는 관통공(543a)을 통해 가압피스톤(543)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가압피스톤(543)과 함께 이동하는 플런저(531)를 구비한다. 이러한 플런저(531)는 중간 부위에 플런저(531)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둘레부(531a)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피스톤(543)은 그의 외측면에 관통공(543a) 주위에 돌출 형성된 외측림(543b)을 구비하고 있으며, 둘레부(531a)는 플런저(531)의 하향이동시 이 외측림(543b)에 기밀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플런저(531)의 하향이동시 관통공(543a)을 기밀적으로 폐쇄한다.
여기에서, 둘레부(531a)와 외측림(543b)은 플런저(531)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진 면에 의해 외측림(543b)과 둘레부(531a)가 면접촉되므로 그 기밀성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외측림(543b)과 둘레부(531a) 사이에는 오링(549)이 개재된다. 오링(549)은 둘레부(531a)와 외측림(543a)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오링(549)이 설치될 경우에는 둘레부(531a)와 외측림(543a)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오링(549)을 통해서 접촉되므로, 둘레부(531a)와 외측림(543a)이 도 5 와 같이 경사면으로서 구성될 필요는 없을 것이나, 도 5 에는 도시의 편의상 오링(549)이 설치된 상태와 둘레부(531a)와 외측림(543a)이 경사면으로 구성된 상태를 함께 도시하였다.
스프링(545)은 제1공간(P1)내에 설치되어 플런저부(530)에 제1공간 외측, 즉,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한편, 플런저부(530)는, 플런저(531)와 스프링(545) 사이에 개재된 고정부재(535)를 구비한다. 이 고정부재(535)는 플런저(531)의 하부에 그 중앙부가 고정된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그 일 부위에 가압피스톤(543)의 관통공(543a)을 제1공간 (P1)과 연통시키는 통공(537)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545)은 고정부재(535)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부재(535)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며, 이에 의해 플런저(531)가 상향 탄성력을 받는다. 이에 의해, 플런저부(531)가 제1공간(P1) 외측, 즉 상방으로 이동시 가압피스톤(543)의 하면이 고정부재(535)와 면접촉된다. 이때, 고정부재(535)의 통공(537)에 의해 관통공(543a)은 제1공간(P1)과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런저(531) 상부에 설치된 버튼(519)을 하향 가압시 플런저(531)가 가압피스톤(543)의 관통공(543a)을 폐쇄한 상태로 가압피스톤(543)이 하향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1공간(P1)이 가압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519)의 하향 가압을 해제하면 고정부재(535)가 스프링(545)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피스톤(543)을 상향이동시키고, 이때, 관통공(543a)이 통공(537)을 통해 제1공간(P1)과 연통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제1공간(P1) 내로 유입된다.
밸브장치(580)는 밸브부재(581), 스프링(583) 및 소형캡(585)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형캡(585)는 제2수용공간(P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유출공(58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출공(585)을 통해 제2공간(P2)은 용기부(510) 내부와 연통된다.
밸브부재(581)는 제1공간(P1)을 제2공간(P2)에 대해 개폐하는 기능을 하며, 스프링(583)은 밸브부재(581)가 제1공간(P1)과 제2공간(P2) 사이의 연통공(566)을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밸브부재(581)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제1공간(P1)의 압력 증가시에는 밸브부재(581)가 스프링(58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향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공간(P1) 내의 공기가 제2공간(P2) 내로 유입된다. 또한, 제1공간(P1)의 압력 감소시에는 밸브부재(581)가 스프링(583)의 탄성력에 의해 연통공(566)을 폐쇄하고, 이에 따라 제2공간(P2)이 제1공간(P1)에 대해 폐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519)을 누르기 전에는 도 5 와 같은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버튼(519)을 누르면 플런저(531)가 먼저 하향 이동하고, 이에 의해 도 7 과 같이 플런저(531)의 둘레부(531a)가 가압피스톤(543)의 외측림(543b)에 접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 에는 오링(549)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관통공(543a)이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519)을 더욱 눌러 플런저(531)를 하향시키면 제1공간(P1)이 압축되기 시작하고, 제1공간(P1)이 압축됨에 따라 도 8 과 같이 밸브장치(580)의 밸브부재(581)가 연통공(566)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제1공간(P1) 내의 압축된 공기가 제2공간(P2)을 거쳐 소형캡(585)의 유출공(585a)을 통해 용기부(510) 내부로 유출된다. 이에 의하여 용기피스톤(513)이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향이동하고, 용기피스톤(513)이 하향이동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밸브부(520)가 개방되어 수용공간(511) 내의 화장품이 외측으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버튼(519)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도 9 와 같이 먼저 스프링 (54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535)가 상향이동하여 가압피스톤(543)이 상향이동한다. 이때, 플런저(531)의 둘레부(531a)와 가압피스톤(543)의 외측림(543b)이 이격되므로, 제1공간(P1)은 통공(537)과 관통공(543a)을 통해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따라서, 가압피스톤(543)이 상향이동하는 동안 외부 공기가 제1공간(P1) 내로 유입된다.
한편, 가압피스톤(543)이 상향이동하는 동안 제1공간(P1)이 부압(minus pressure)상태가 되므로, 스프링(583)에 의해 밸브부재(581)가 연통공(566)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2공간(P2) 내의 공기가 제1공간(P1)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버튼(519)을 누를 때마다 배출밸브부(520)를 통해 화장품이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펌핑장치(500)의 압축 동작시 제1공간(P1)에서 압축된 공기가 제2공간(P2)을 거쳐 용기부(510) 내로 유입되며, 압축 해제 동작시 제2공간(P2)이 제1공간(P1)에 대해 차단된다. 따라서, 압축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용기부(510) 내의 증가된 압력에 압축 해제 동작시 역으로 제1공간(P1)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을 항상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으며, 화장품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금속 재질의 스프링이 화장품 내에 침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프링에 의해 화장품이 변질될 우려가 없다.
또한,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제작비용이 작게 소요되고 제 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펌핑을 위해 가압하는 부위가 화장품이 배출되는 부위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펌핑장치(500)의 구성, 및 수용공간(511)과 용기피스톤(513)을 구비한 용기부(51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용기부(510)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밸브부(620)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밸브부(620)는 외력에 의한 가압시 개방되어 수용공간(511) 내의 화장품을 용기부(5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배출밸브부(620)는 스핀들(622), 차단부재(621) 및 지지스프링(6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핀들(622)은 용기부(510)에 마련된 배출공(514)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배출공(514) 외측 및 내측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핀들(622)의 내측 단부는 날카로운 첨축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차단부재(621)는 스핀들에 인접 배치되되며, 배출공(514)을 차단하여 수용공간(511)을 외부 공간에 대해 차단한다. 차단부재(621)는 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수용공간(511) 내측으로 만곡 돌출된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때, 차단부재(621)의 상단부에는 절개선(621a)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절개선(621a)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스프링(623)은 스핀들(622)을 배출공(514)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통상의 상태에서 스핀들(522)은 그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으며, 스핀들(522)에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스프링(6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스핀들(522)이 내측으로 이동한다.
스핀들(522)이 배출공(514) 내측으로 인입시에는 스핀들(622)은 차단부재(621)의 절개선(621a)을 관통하며, 이에 의해 절개선(621a)이 개방되어 결과적으로 배출공(514)이 개방된다. 따라서, 수용공간(511) 내의 화장품이 배출공(514)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스핀들(522)이 배출공(514) 외측으로 인출시에는 스핀들(622)은 도 10 과 같이 차단부재(6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절개선(621a)이 봉합되어 결과적으로 배출공(514)아 폐쇄된다. 따라서, 수용공간(511) 내의 화장품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펌핑장치(500)를 동작시킬 경우 펌핑 동작의 반복에 따라 용기피스톤(513)과 펌핑장치(500)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증대된다. 이때, 도 10 과 같은 상태에서는 차단부재(621)에 의해 배출공(514)이 폐쇄된 상태에 있으므로 화장품이 배출되지 않는다. 나아가, 수용공간(511) 내측으로 돌출된 차단부재(621)의 형상에 의하여, 차단부재(621)의 절개선(621a)은 수용공간(511) 내부 압력의 증가시 더욱 강하게 봉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의 배출밸브부(620)를 안면 등에 대고 가압하면, 안면에 의해 스핀들(622)이 내부로 인입되어 차단부재(621)를 개방시 키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511) 내의 화장품이 배출공(5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도포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의 배출공(514)측 단부를 안면에 대고 가압할 때에 화장품이 배출되므로,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편리한 화장법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의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부가적인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도 5 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펌핑장치(500)를 동작시켜 화장품을 배출시킨 후에도, 펌핑장치(500)와 용기피스톤(513) 사이의 공간이 다소 가압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가 있다. 이때, 가압된 압력이 배출밸브부(520)를 개방시킬 정도의 압력인 경우, 펌핑 동작 완료 후에도 배출밸브부(520)를 통해 약간의 화장품이 추가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펌핑 동작 중에는 배출밸브부(620)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고, 펌핑 동작에 의해 실린더(510) 내부의 압력이 증가될수록 배출밸브부(620)는 더욱 강하게 폐쇄된다. 따라서, 펌핑 동작에 의한 잔여 압력에 의해 원하지 않는 화장품 배출이 일어나지 않게 되며, 스핀들(622)을 화장품이 도포될 부위에 대고 누르는 경우에만 화장품 배출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품 배출을 더욱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펌핑장치의 구성 이외의 다른 부분은 전술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와 같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하고 그 상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700)는, 가압부(730)와 밸브장치(7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부(730)와 밸브장치(780) 사이에는 중간부재(510a)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부재(510a)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제2공간(P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재(510a)의 상부에는 용기부(510)와 중간부재(510) 및 가압부(730)에 의해 제1공간(P1)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730)는 가압부재(731)와 스프링(735)로 구성된다.
가압부재(731)는 용기부(510) 내에 제1공간(P1)을 형성하도록 용기부(510) 외측으로 만곡 돌출된다. 가압부재(731)는 외력에 의해 함몰 변형 가능한 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그 중앙 부위에는 가압부재(731)의 외면에 대해 함몰형성된 함몰부(733)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733)에는 제1공간(P1)을 외부 공간에 대해 탄력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절개선(7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개선(733a)은 가압부재(731)의 상면에서 볼 때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735)은 제1공간(P1) 내에 개재되어 있으며, 가압부재(731)에 외향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스프링(735)은 가압부재(731)가 함몰변형된 후 다시 도 11 과 같은 형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가압부재(731)가 연성 재질로 제조되므로 이러한 스프링(735)은 필수적으로 채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735)이 채용될 경우 가압부재(731)의 복원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밸브장치(780)는 배출밸브(781)와 스프링(783) 및 캡부재(78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의 구조와 동작은 도 5 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의 밸브장치(580)에 마련된 밸브부재(581), 스프링(583) 및 소형캡(5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공간(P1)과 밸브장치(780) 사이에 개재되어 제1공간(P1)과 제2공간(P2)을 구획하는 일방향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일방향 밸브는 그 중앙부위에 탄력적으로 개폐가능한 십자 형상의 절개선(793a)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부재(790)로 구성된다. 밸브부재(790)의 중앙 부위에는 제2공간(P2)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만곡부(7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개선(793a)은 이 만곡부(793)에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부재(790)에 의해 제1공간(P1) 내의 공기의 제2공간(P2) 내로의 유입은 허용되고, 제2공간(P2) 내의 공기의 제1공간(P1) 내로의 유입은 차단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펌핑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 14 와 같이 손가락으로 가압부재(731)를 가압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부재(731)의 절개선(733a)이 막히게 되며, 나아가 절개선(733a)이 형성된 함몰부(733)의 형상에 의하여 절개선(733a)은 막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1공간(P1)이 압축되어 제1공간(P1)의 내부 압력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밸브부재(790)의 절개선(793a)이 개방된다. 이때, 절개선(793a)이 형성된 만곡부(793)의 형상에 의하여, 절개선(793a)의 개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공간(P1)의 압력이 밸브장치(780)에 가해지고 이에 의해 밸브 장치(780)가 도 15 와 같이 개방되어, 제1공간(P1) 내의 공기가 제2공간(P2)을 거쳐 용기부(510) 내로 유입된다. 이에 의한 화장품 배출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한편, 사용자가 가압부재(731)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가압부재(731)는 자체의 탄성력과 스프링(735)의 탄성력에 의해 도 11 과 같은 원상태로 복원하는 힘을 받는다. 이때, 제1공간(P1)이 부압 상태가 되며, 이에 의해 가압부재(731)의 절개선(733a)은 개방되고 밸브부재(790)의 절개선(793a)은 폐쇄되며, 밸브장치(780)는 폐쇄된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제1공간(P1)측으로 유입되며, 용기부(510) 내의 공기가 제2공간(P2)측으로 역류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장점을 모두 갖는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적은 개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한 펌핑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부(730)와 밸브장치(780)에 의한 이중 체크 방식에 부가하여 밸브부재(780)에 의한 3 중 체크 방식이 제공된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펌핑 동작이 보장되고 및 펌핑 압력의 역류 현상이 보다 견실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3중 체크 방식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들 중 원웨이 밸브의 기능을 하는 부품들이 가압부재(731)와 밸브부재(793)의 예에서와 같이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부위와 이러한 만곡 부위에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매우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가능한 구조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는 전술한 제 3 실시예에서의 가압부(730)가 용기부(510)의 측면에 배치된 제 3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8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함몰부(833)와 절개선(833a)을 구비한 가압부재(831)로 구성되며, 용기부(510)의 측면에 부착되어 용기부(510)의 측면에 제1공간(P1)을 형성한다. 한편, 가압부(510)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만곡부(893)와 절개선(893a)을 구비한 밸브부재(890)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부재(890)와 용기부(510) 사이에는 제2공간(P2)이 형성된다.
밸브부재(890)의 개방시 동작하는 밸브장치는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게 용기부(5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도 16 에는 그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가압부재(831)를 누름에 따라 가압부재(831)와 밸브부재(890)가 동작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에 의해 용기부(510) 내의 화장품이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830)가 용기부(510)의 측면에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펜을 쥐듯이 화장품 용기를 손에 쥐고 엄지와 검지 등을 이용하여 펌핑작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을 도포하는 부위를 이동하면서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펌핑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 동작에 의해서 화장품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때, 금속 재질의 스프링이 화장품에 직접 접하지 않 으므로 화장품이 변질되거나 화장품에 녹이 혼입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펌핑장치가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제작비용이 작게 소요되고 제작이 간단하며, 펌핑장치와 화장품 배출구가 상호 상이한 위치에 놓여 있어 화장품 용도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3)

  1.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며 외측으로 개구된 제2공간을 구비한 본체;
    외력에 의해 가압시 상기 제1공간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제1공간을 가압하며, 상기 외력의 해제시 상기 제1공간 내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1공간의 압력 증가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공간의 압력 감소시 상기 제2공간을 상기 제1공간에 대해 폐쇄시키는 밸브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 내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며, 일 부위에 상기 제1공간을 상기 본체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압피스톤;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공간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고 상기 제1공간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상기 관통공을 개방 시키는 플런저부;
    상기 제1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부에 상기 제1공간 외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제1공간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외측면에 있는 상기 관통공 주위의 외측림에 기밀적으로 접촉되는 둘레부를 구비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와 상기 외측림은 상기 플런저부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면에 의해 상호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와 상기 외측림 사이에는 개재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플런저 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런저부가 상기 제1공간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가압피스톤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 부위에 상기 관통공을 상기 제1공간과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제2공간에 대해 개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밸브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본체 내에 상기 제1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 외측으로 만곡 돌출되며, 외력에 의해 함몰 변형 가능한 연성 재질로 제조되고, 일 부위에 상기 제1공간을 외부 공간에 대해 탄력적으로 개폐가능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재의 일 부위는 상기 가압부재의 외면에 대해 함몰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공간 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외향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과 상기 밸브장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공간 내의 공기의 상기 제2공간 내로의 유입은 허용하고 상기 제2공간 내의 공기의 상기 제1공간 내로의 유입은 차단하는 일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며, 일 부위에 탄력적으로 개폐가능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펌핑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2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선은 상기 만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
  17. 유체 수용공간을 구비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며,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을 구비하여,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을 가압하는 펌핑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장치의 펌핑 동작에 의해 가압되는 용기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한 가압시 개방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용 기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부는,
    상기 용기부에 마련된 배출공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공 외측 및 내측으로 유동가능한 스핀들;
    상기 스핀들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배출공을 차단하며, 상기 스핀들이 상기 배출공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배출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스핀들이 상기 배출공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공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스핀들을 상기 배출공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연성 재질로 제조되며, 일 부위에 상기 스핀들에 의해 개폐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용기부 내의 유체가 상기 용기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위치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용기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장치를 구비한 용기.
KR1020040084380A 2004-08-20 2004-10-21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 KR100591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3763 2004-08-20
KR2020040023763 2004-08-20
KR2020040025390 2004-09-03
KR20040025390 2004-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48A KR20060017448A (ko) 2006-02-23
KR100591268B1 true KR100591268B1 (ko) 2006-06-19

Family

ID=3712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380A KR100591268B1 (ko) 2004-08-20 2004-10-21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842A (zh) * 2016-10-28 2017-01-25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防伪按压膏霜罐
KR102097276B1 (ko) * 2020-02-12 2020-04-06 한국바이오뷰티산업협동조합 이종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3144A1 (en) * 2017-09-04 2019-03-07 Ki Development Aps CLOSED PRESERVATION SYSTEM
KR200491519Y1 (ko) * 2018-07-10 2020-04-20 (주)앰비코스믹 진공펌핑 용기
WO2022080518A1 (ko) * 2020-10-14 2022-04-21 이종범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7261A (ja) * 1991-02-04 1992-09-03 Nec Corp ディスペンサー
JPH09226853A (ja) * 1996-02-27 1997-09-02 Takeuchi Press Ind Co Ltd 内容物の取り出し方法および装置
JP2000233152A (ja) 1999-02-15 2000-08-29 Sailor Pen Co Ltd:The 塗布具
KR200305761Y1 (ko) 2002-10-19 2003-03-03 방원서 정량배출 용기
JP2004052415A (ja) 2002-07-22 2004-02-19 Paru Unit Kk 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7261A (ja) * 1991-02-04 1992-09-03 Nec Corp ディスペンサー
JPH09226853A (ja) * 1996-02-27 1997-09-02 Takeuchi Press Ind Co Ltd 内容物の取り出し方法および装置
JP2000233152A (ja) 1999-02-15 2000-08-29 Sailor Pen Co Ltd:The 塗布具
JP2004052415A (ja) 2002-07-22 2004-02-19 Paru Unit Kk 充填装置
KR200305761Y1 (ko) 2002-10-19 2003-03-03 방원서 정량배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7842A (zh) * 2016-10-28 2017-01-25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防伪按压膏霜罐
KR102097276B1 (ko) * 2020-02-12 2020-04-06 한국바이오뷰티산업협동조합 이종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48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8827B (zh) 粉体吐出容器
JP4021268B2 (ja) 流体吐出ポンプ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3338685B2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KR200450995Y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CN105939634A (zh) 粉排出容器
KR101778578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JP2005280712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KR100591268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핑장치
KR100484052B1 (ko) 간단한 구조의 펌핑장치를 구비한 유체 수용 용기
EP334230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identification means
KR200449883Y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120113347A (ko) 연질의 내용기가 구비된 진공 화장품용기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170027528A (ko)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JP4208656B2 (ja) 流動体吐出ポンプ
KR100875906B1 (ko) 액체용기의 간헐펌핑장치
KR101975504B1 (ko) 펌프 용기
KR20060036575A (ko)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화장품 배출장치
JP2019135172A (ja) 流体容器
KR102215864B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