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030B1 -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030B1
KR100583030B1 KR1020040019989A KR20040019989A KR100583030B1 KR 100583030 B1 KR100583030 B1 KR 100583030B1 KR 1020040019989 A KR1020040019989 A KR 1020040019989A KR 20040019989 A KR20040019989 A KR 20040019989A KR 100583030 B1 KR100583030 B1 KR 10058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olester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010A (ko
Inventor
허태린
송희복
이동웅
박동찬
도경민
황승락
노경보
이원규
전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4001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0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005Straightedges combined with other drawing aids

Abstract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욕 및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내 중성지방 농도 및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의약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 증가 억제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증가 억제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중성지방 농도 저하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중성지방 농도 저하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백강잠, 추출물, 의약 조성물, 식품, 콜레스테롤

Description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baekangjam extract}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을 경구 투여한 후 각 모델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욕 및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내 중성지방 농도 및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의약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과거에는 전염성 질환 위주였으나,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등에 의한 순환기계 질환과 대사성 질환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순환기계 질환 중 고혈압성 질환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또는 관상동맥 질환(coronary heart disease)이 주요 관리대상 질환으로 주목되어지고 있다(통계청, 1996).
역학연구에 의해 밝혀진 관상동맥질환의 제1 위험인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이다. 혈청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들은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유전적 요인의 대표적인 예로서 지단백의 생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이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환경적인 요인의 주된 인자들은 부적절한 식사, 체지방 과다, 운동부족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치료하고 나아가서는 정상인들의 질병 예방을 위해 영양상태 평가에 관한 적절한 지표들을 찾아내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증 치료제에 로바스타틴(lou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등 스타틴(Statin) 류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히 낮출 수는 있으나, 근육세포 파괴, 간세포 손상, 위궤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간이나 위 질환자에게는 신중하게 처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고지혈증 또는 고콜레스테롤증 치료제에 대한 대체로서, 최근 식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즉 천연물에서 분리된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이들 천연물이 간이나 신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천연소재로서 콜레스테롤 조절을 위한 효율성 높은 기능성 제제로 이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욕 및 체중증가를 억제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욕 및 체중증가를 억제하는 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내 중성지방 농도를 저하시키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내 중성지방 농도를 저하시키는 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 증가 억제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 증가 억제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중성지방 농 도 저하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체내 중성지방 농도 저하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용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백강잠은 에나방과(Bombycidae) 동물인 누에나방의 누에가 백강균에 감염되어 경화병으로 경직사한 충체로 맛이 매우며 독이없다. 백강잠은 어린아이의 경간(驚癎)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또한 흑간(黑癎)을 덜어주고, 피부가 가려우며 마비된 것과 붕중하혈(崩中下血)을 치료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백강잠의 이미 알려진 효능 이외에 백강잠이 체내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검증하고, 이를 이용한 의약 조성물 및 식품을 개발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백강잠 추출물이 체중감소의 효과와 아울러 체내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혈중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비만 및 고지혈증 억제와 관련하여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동물체내에 함유된 스테롤의 거의 대부분은 콜레스테롤이고, 동물 체내의 각 조직에 있어서 존재하는 양이나 형태는 콜레스테롤의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콜레스테롤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세포막, 혈장 지단백질 및 마일린(myelin)의 필수 안정화 구성성분으로 담즙산이나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구체이다.
사람을 포함한 여러 동물에서 간장콜레스테롤 함량과 혈장콜레스테롤 농도와의 사이에 직접적인 상관은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동물실험에서는 답즙과 혈장콜레스테롤 농도 사이에 가끔 네가티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포유동물의 간장스테롤은 거의 모두가 콜레스테롤이고, 함량은 조직 1 g 당 2 ~ 3 mg 이다.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식사 등으로 간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경우는 거의 에스테르형이고, 에스테르형 콜레스테롤이 총콜레스테롤의 80% 이상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지방간 동물모델에서는 정상 간의 10배 이상의 콜레스테롤 함유랑을 나타내기도 한다.
콜레스테롤은 신생 HDL(high-density lipoprotein) 이나 킬로마이크론(chylomicron), VLDL(very low-density lipoprotein)로서 소장과 간으로부터 혈액 중으로 분비된다.
하루에 100 g 의 지방을 섭취하고 있는 사람에서는 약 500mg의 콜레스테롤이 식사로부터 공급되어진다. 그런데 간 외 조직은 콜레스테롤을 거의 이화할 수 없고, 생식선이나 부신에서 콜레스테롤을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전환하는 양은 하루 50 mg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콜레스테롤의 이화 및 체외로의 배설을 위해서는 간으로의 수송이 일어나야 하며, 간 외 조직으로 들어간 콜레스테롤이 간으로 다시 수송되는 역수송(reverse transport)이 일어나야 한다. 혈청 HDL은 세포표층으로부터 유리형 콜레스테롤을 끌어내며, 끌어내어진 콜레스테롤은 LCAT(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에 의해 에스테르화되고, 간으로 수송되어 이화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백강잠에서 추출된 에탄올 분획을 이용하여 혈청 콜레스테롤의 농도와 간 조직의 지질함량, 체중 감소 여부 등을 확인한다.
< 실시예 1 :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
상기의 백강잠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우선 백강잠 분말 100 g 에 70% 에탄올을 약 500 mL 정도 넣은 후, 수욕상에서 2시간 정도 가열한다. 그리고 가열된 것을 여과하여 얻어지는 액체를 증발기(evaporator)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백강잠 추출물을 얻는다.
상술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백강잠 추출물을 일반적인 환약을 제조하는 소재와 혼합하여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조한다.
물론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은 환제 뿐만 아니라, 액제나 캡슐형 등 여러가지 형태의 의약으로 제조될 수 있다.
< 실시예 2 :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의 제조 >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의약 조성물을 일반적인 건강보조식품 기재와 혼합하여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조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에 의하여 하루 동안 채내에 투입되는 백강잠 추출물의 양이 0.01 ~ 10 g이 되도록 식품에 함유되는 백강잠 추출물의 함량을 조절한다.
< 실험 1 > 동물실험 모델
동물실험은 다음과 같이 디자인한다.
실험대상 동물은 쥐를 사용하고, 쥐를 세가지 유형의 비만 모델로 사용한다. 즉,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High-fat & high-cholesterol diet)요법으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 유전적 비만 모델, 식욕억제 유전자가 제거된 비만 쥐 모델을 사용하는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High-fat & high-cholesterol diet)요법으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로는 수컷 마우스(C57BL/6J, 5주령)를 구입하여 사용 하고, 유전적 비만 모델로는 B6.V-Lepob 마우스(5주령)를 구입하여 사용하며, 식욕 억제 유전자가 제거된 비만 쥐 모델로는 OLETF(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쥐를 사용하며, 그의 대조군 모델로 LETO(Long-Evans Tokushima Otsuka) 쥐를 사용한다. 사육 환경은 항온 25±2℃, 항습 50±5 %, 12시간 간격의 dark-light cycle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한다.
세가지 모델에 있어서 식이 요법은 다음과 같다.
식이 요법으로 비만을 유도하는 마우스 모델에는 30% 지방과 1%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먹이를 공급하고, 유전적 비만 마우스 모델과 식욕 억제 유전자 제거 모델은 pellet형의 Lap-chow 정상먹이를 공급한다.
식이성 비만 유도 모델은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먹이로 17주 동안 비만을 유도한 후 백강잠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하여 11주간의 경과를 실험하며, 유전적 비만모델은 정상식이 공급과 동시에 11주간 백강잠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여 그 경과를 관찰한 것이다. 또한 식욕 억제 유전자 제거 모델은 백강잠 추출물을 매일 경구 투여하여 22주간의 경과를 관찰한 것이다.
실험은 각각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고, 실험군은 백강잠 추출물 농도에 따라 각각 100 mg/kg, 500 mg/kg로 한다.
시료수집 방법은, 백강잠 추출물을 경구투여하기 시작한 후 11주 경과한 쥐 를, 희생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켜 공복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ketamin-HCl을 근육주사하여 마취시키고, 복부하대정맥(inferior venacava)으로부터 공복 혈액을 채취한다. 채취된 혈액은 3,000 rpm, 4 ~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다. 또한 간 조직은 적출 후 지질정량용으로 분리 수집하여 -70℃ 에 보관한다.
< 실험 2 > 백강잠 추출물에 의한 체내 체중변화 측정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 백강잠 추출물 투여 후 체중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백강잠 추출물을 투여한 후 각 주 별로 체중을 측정한다.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울에 마우스를 담을 수 있는 상자를 두고 영점을 조절한 후 마우스의 행동이 멈추었을 때의 수치를 측정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11주 동안의 백강잠 추출물 500 mg/kg 으로 경구투여 한 경우 9주까지 16% 의 체중감소 효과를 보인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욕억제 유전자 제거 모델(OLETF) 및 그의 대조군 모델(LETO)에서도 22주 동안의 백강잠 추출물 500 mg/kg으로 경구 투여한 경우 각각 18 %, 13 %의 체중감소 효과를 보인다.
< 실험 3 > 백강잠 추출물에 의한 식이 섭취량 측정
식욕 억제 유전자 제거 모델에서 백강잠 추출물 투여 후 식이 섭취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백강잠 추출물 500 mg/kg을 투여한 후 각 주 별로 식이 섭취량 을 측정한다. 식이 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주일 간격으로 일정 시간에 일정량을 공급한 후 다음 날 남은 양을 측정하여 계산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욕억제 유전자 제거 모델(OLETF)에서 22주 동안의 백강잠 추출물 500 mg/kg 으로 경구 투여한 경우 27%의 식이 섭취량의 감소 효과를 보인다. 또한 그의 대조군으로 사용한 쥐(LETO)에서도 백강잠 추출물 500 mg/kg 으로 경구 투여한 후 식이 섭취량의 감소가 18%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 4 > 백강잠 추출물에 의한 혈중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영향 측정
중성지방(triglyceride) 및 총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농도의 측정은 아산제약 주식회사의 측정 키트들을 각각 사용한다.
백강잠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마우스와 백강잠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각각 혈액을 채취하여 항응고제를 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을 확보한다.
혈장 10 ㎕에 1.5 ㎖의 중성지질 측정 키트액 또는 1.5 ㎖의 콜레스테롤 측정 키트액을 1:1로 섞은 후 37℃ 에서 5분간 반응시킨다.
각 키트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 중성지질 측정 키트액
리포프로테인리파제(lipoprotein lipase) 10800 U, 글리세롤키나제(glycerol kinase) 5.4 U, 퍼옥시다제(peroxydase) 135000 U, L-α-글리세로 인산옥시다제 160 U를 72 ㎖의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메탄설폰산 완충액에 녹인 용액
2) 콜레스테롤 측정 키트액
콜레스테롤에스테라제 20.5 KU/ℓ , 콜레스테롤옥시다제 10.7 KU/ℓ , 수산화나트륨 1.81 g/ℓ, 인산일칼륨 13.6 g/ℓ , 페놀 1.88 g/ℓ 을 완충액에 녹인 용액
그리고 나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석기 (microplate reader)에서 총콜레스테롤은 492 nm, 중성지방은 540 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중 농도를 측정한다.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정량 환산은 이들의 표준 용액에 대하여 농도별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표준 농도곡선을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정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는 [mg/dl]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이성 비만 유도 모델에서 혈중 중성지방의 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적 비만 모델에서도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식이성 비만 유도 모델에서보다 그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이성 비만 모델에서 혈중에 존재하는 HDL-콜레스테롤(HDL-C)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이 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HDL이 혈중에 증가하여 콜레스테롤의 대사가 활발하게 벌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백강잠 추출물이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적 비만 모델에서 혈중에 존재하는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 5 > 백강잠 추출물에 의한 간 조직 내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백강잠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마우스와 백강잠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간을 일정량 채취하여 이를 20 mmol/ℓ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액 2 ㎖ 와 혼합한 후 분쇄한다.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1:1로 섞은 용액 5 ㎖을 더하여 60분간 반응시킨 후, 2.5 ㎖ 클로로포름과 0.74 % 포타슘클로라이드 0.8 ㎖을 첨가하여 2,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지질층을 분리한다.
그리고 0.74 % 포타슘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메탄올을 94:96:6으로 섞은 용액 1.5 ㎖로 한번 더 원심 분리 시킨 후 질소가스로 건조시킨다.
그 후 이소프로판올로 용해시킨 후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측정용으로 각각 10 ㎕를 취하여 유화액 [0.5 % 트리톤 X-100 (Triton X-100)과 3 mM 콜산염 (sodiun cholate hydrate)을 혼합] 690 ㎕을 첨가하고, 상술한 <실험 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아산제약 제품인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측정 키트 용액 800 ㎕를 혼합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석기를 이용하여 간 조직의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 테롤의 농도를 측정한다.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정량 환산방법도 상술한 <실험 4>의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적 비만 모델에서의 간에 존재하는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강잠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은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혈장 및 간 조직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지질대사 개선에 유용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및 식품의 콜레스테롤 조절기능은 고콜레스테롤혈증 뿐 아니라 복부비만, 동맥경화, 고혈압 등 각종 고콜레스테롤에서 비롯된 성인병으로 인해 대사기능이 부진하고 체력이 저하되는 중·장년 층을 위한 건강 소재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강잠 추출물은,
    물, 주정, 에탄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강잠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 억제 및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40019989A 2004-03-24 2004-03-24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KR10058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89A KR100583030B1 (ko) 2004-03-24 2004-03-24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989A KR100583030B1 (ko) 2004-03-24 2004-03-24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10A KR20050095010A (ko) 2005-09-29
KR100583030B1 true KR100583030B1 (ko) 2006-05-24

Family

ID=3727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989A KR100583030B1 (ko) 2004-03-24 2004-03-24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30B1 (ko) * 2005-05-04 2006-07-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백강균 동충하초 균사체 및 자실체의 열수추출방법 및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열수추출물의 면역활성물질의규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10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tre et al. Recent findings of green tea extract AR25 (Exolise) and its activity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U2009200897B2 (en)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 for use in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Rodriguez et al. Choleretic activity and biliary elimination of lipids and bile acids induced by an artichoke leaf extract in rats
US2012014868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insulin resistance, diabetes mellitus type 2,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orders
NESTEL Cholesterol turnover in man
Van Niekerk et al. Does nifedipine suppress atherogenesis in WHHL rabbits?
Fukagawa et al. Circadian rhythm of serum and lymph apolipoprotein AIV in ad libitum-fed and fasted rats
EP0916342B1 (en) A medicament for treating obesity and improving lipid metabolism
Al-Omar et al. Safe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orlistat (tetrahydrolipstatin) as the first local antiobesity drug
CN107106576A (zh) 用于因减弱的瘦蛋白活性和脂质贮积障碍中的至少一种导致的障碍的疗法的氧化胆固醇硫酸酯类
CN101284027A (zh) 一种降血脂软胶囊的制备方法
KR10078612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83030B1 (ko) 백강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Hutahaean et al. Antihyperglycem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pirdot (saurauia vulcani korth.) leaves extract in mice
JP2006232782A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抗肥満組成物
KR20060064793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
Kaur et al. Can thylakoids replace bariatric surgery for long term maintenance of weight loss in obesity giving a more physiological approach
US6248728B1 (en) Phosphatidylchol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intestinal absorption and plasma levels of cholesterol
TWI607755B (zh) 麥角固醇之應用
KR20070016417A (ko) 복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Garg et al. Antiobesity activity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Aegle marmelos leaves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rats
CN108354080A (zh) 一种肥胖期专用减肥犬粮的制备方法
KR20040052904A (ko)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 저하 기능을 가지는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품
TW201740936A (zh) 亞丁基苯酞之應用
WO2013016741A1 (en) Dietary supplement for use in a weight loss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