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212B1 -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212B1
KR100580212B1 KR1020040108809A KR20040108809A KR100580212B1 KR 100580212 B1 KR100580212 B1 KR 100580212B1 KR 1020040108809 A KR1020040108809 A KR 1020040108809A KR 20040108809 A KR20040108809 A KR 20040108809A KR 100580212 B1 KR100580212 B1 KR 10058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loaded
feed cassett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수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212B1/ko
Priority to US11/233,040 priority patent/US7600749B2/en
Priority to CNB200510123290XA priority patent/CN100554107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6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 B65H2301/362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of stationary material
    • B65H2301/3621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of stationary material perpendicularly to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material is already in registered position
    • B65H2301/36212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of stationary material perpendicularly to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material is already in registered position centering, positioning material symmetrically relatively to said firs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6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 B65H2301/363Positioning; Changing position of material in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65H2403/411Double rack cooperating with one pinion, e.g. for performing symmetrical displacement relative to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7Bottom pivotable, e.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arranged at rear side of sheet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개시된다. 개시된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급지카세트의 장착시 용지의 관성으로 인한 가이드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발명과 달리 가이드부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여 가이드부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급지카세트의 장착시 용지가 핑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용지의 잼(jam)이나 스큐(skew)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에 적재된 용지가 핑거에 물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급지장치에서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용지가 핑거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급지장치 중 피니언기어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지지부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가이드 스토퍼가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가이드 스토퍼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가이드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급지카세트의 측벽 및 가이드 스토퍼가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110(110C,110M,110Y,110K)...현상카트리지
120...반송벨트 121,122,123,124...지지롤러
140...전사롤러 130(130C,130M,130Y,130K)...노광부
150...정착부 160...인쇄유닛
170...급지장치 171...급지카세트
172...픽업롤러 202...핑거(finger)
210...피니언기어 220...가이드부재
222...가이드부 224...슬라이딩부
250...지지부 260...가이드 스토퍼
270...결합공 272...단
본 발명은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장치를 장착시 용지가 핑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센터 피딩 방식의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ED 프린터, 디지털 복 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한 후, 이를 중간전사벨트나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단색화상 또는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급지장치는 폭이 다른 각종 용지를 사행(skew)없이 이송시키기 위해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용지가 일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이송될 때에는 어느 한 가이드부재만이 용지의 폭에 맞추어 이동되고(이를 사이드 피딩(side feeding) 방식이라 한다), 용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될 때에는 양쪽 가이드부재가 용지의 폭에 맞추어 대면되어 이동된다(이를 센터 피딩(center feeding) 방식이라 한다).
본 발명은 센터 피딩 방식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부재는 용지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이들 가이드부는 피니언기어에 결합되어 있어 어느 하나를 움직이면 다른 하나도 이에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에 구비되는 급지장치에는 A4 용지, 레터(letter) 용지 등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용지가 적재된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에 적재된 용지가 핑거에 물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급지장치에서 용지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용지가 핑거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급지장치(10)는 급지카세트(12)와, 가이드부(15)를 구비 한다. 급지카세트(12)에는 용지 분리수단의 하나인 핑거(finger, 20)가 설치된다. 핑거(20)는 급지카세트(12)의 양측 선단에 설치되어 픽업롤러(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를 한 장씩 분리시킨다. 한 쌍의 가이드부(15)는 용지(S)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급지카세트(12)에 적재된 용지(S)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급지장치(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2)의 측벽과 가이드부(15) 사이에 소정 간격의 유격(gap, A)이 존재한다.
용지(S)를 적재한 후 급지장치(10)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시, 가이드부(15)의 측벽에는 용지(S)의 관성에 의해 장착되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5)는 용지(S)의 진행 방향으로 밀려나거나, 또는 흔들림이 생긴다. 즉, 용지(S)의 관성으로 인해 가이드부(15)에 유동이 생긴다. 이로 인해 용지(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20)의 위측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용지(S)가 핑거(20)에서 이탈되므로, 핑거(20)는 용지 분리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용지(S)의 이송시 잼(jam)이나 사행(skew)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급지장치(10)는 급지카세트(12)의 측벽과 가이드부(15) 사이의 유격(A)으로 인해 가이드부(15)가 고정되지 못하므로, 급지장치(10)의 장착시 가이드부(15)의 유동으로 인해 용지(S)가 핑거(20)로부터 이탈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급지장치를 장착시 가이드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적재된 상기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용지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용지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어, 적재되는 상기 용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 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는 상기 용지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단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들 중 일부는 상기 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된 단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단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적재되는 상기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결합공과의 결합 고정과 결합 해제가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퇴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상기 용지의 폭방 향으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용지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어 적재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는 상기 용지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단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들 중 일부는 상기 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된 단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단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적재되는 상기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퇴되도록 설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빠른 이해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또한, 설명의 빠른 이해를 위해 급지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먼저 설명한 후 급지장치를 설명하며,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용지(S)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160)과, 상기 인쇄유닛(160)으로 용지(S)를 급지하는 급지장치(170)를 구비한다.
인쇄유닛(16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 반송벨트(120), 노광부(130C, 130M, 130Y, 130K), 전사롤러(140), 정착부(150)를 포함한다.
반송벨트(120)는 다수의 지지롤러들(121, 122, 123, 124)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주행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반송벨트(12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각 노광부(130C, 130M, 130Y, 130K)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 (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컴퓨터 신호에 따라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1)에 조사한다.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는 감광드럼(111)과, 현상롤러(112)와, 대전롤러(113)와, 공급롤러(114)와, 규제부재(116)와, 클리닝부재(118)와 저장부(119)를 포함한다. 감광드럼(111)은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전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다.
대전롤러(113)에는 감광드럼(11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13)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12)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111)으로 공급한다. 현상롤러(112)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11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12)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드럼(111)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12)의 외측에는 현상롤러(112)에 토너를 부착시키는 공급롤러(114)와, 현상롤러(112)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토너층 규제부재(116)가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있다.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롤러(114) 및/또는 현상롤러(112) 쪽으로 이송시키는 교반기(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는 노광부(130C, 130M, 130Y, 130K)에 의하여 주사된 광이 감광드럼(111)에 조사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117)를 구비한다. 감광드럼(111)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반송벨트(120)와 대면된다.
4개의 전사롤러(140)는 반송벨트(120)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1)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사롤러(140)는 감광드럼(111)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되도록 상기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드럼(111)과 전사롤러(14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정착부(150)는 가열롤러(heating roller, 151)와 가압롤러(152)를 포함하며,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가열롤러(151)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152)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롤러(152)는 가열롤러(151)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용지(S)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6)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S)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인쇄유닛(160)으로부터 용지이송경로(180)를 따라 배지롤러(176)에서 배지된 용지(S)는 적재부(190)에 적재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그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S)를 인쇄유닛(160)으로 급지하는 급지장치(170)를 구비한다. 급지장치(170)는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171)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용지(S)를 장착할 수 있 는 MPF(multi-purpose feeder)가 포함될 수 있다. MPF는 주로 OHP용지나 비규격 용지(S)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급지카세트(171)는 용지(S)가 적재되는 적재수단의 일 예로서, 용지(S)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71a)와, 녹업플레이트(171a)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171b)를 구비한다. 녹업플레이트(171a)에 적재된 용지(S)는 픽업롤러(172)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된다. 탄성부재(171b)는 녹업플레이트(171a)에 적재된 용지(S)를 픽업롤러(172)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즉, 녹업플레이트(171a)에 적재된 용지(S)는 탄성부재(171b)에 의해 픽업롤러(172)에 접촉되고, 픽업롤러(172)에 의해 급지카세트(171)의 밖으로 한 장씩 이송된다.
이송롤러(feed roller, 174)는 픽업롤러(172)에 의해 급지카세트(171)로부터 인출된 용지(S)를 인쇄유닛(160) 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용지(S)는 인쇄유닛(160)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부(150)를 거쳐 용지(S)에 정착되고, 배지롤러(176)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컬러화상정보는 각각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에 해당하는 정보가 혼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1)은 대전롤러(113) 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4개의 노광부(130C, 130M, 130Y, 130K)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개구(117)를 통하여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1)에 조사한다. 광이 조사되면 조사된 부분만 선택적으로 제전되어 전위가 내려가게 되며, 이 전위차에 의해 형성된 출력 패턴이 정전잠상이다.
한편, 토너는 공급롤러(114)에 의하여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현상롤러(112)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1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토너층 규제부재(116)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박층화가 된다. 이때, 토너는 현상롤러(112)와 토너층 규제부재(116)에 의하여 마찰되면서 대전된다. 현상롤러(11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는 감광드럼(111)의 외주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며, 각 현상카트리지(110C, 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1)에는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용지(S)는 픽업롤러(172)에 의하여 급지카세트(171)로부터 인출되어 소정의 용지이송경로(180)를 거쳐 이송된 후 배지롤러(176)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밖으로 배지된다.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픽업롤러(172)는 녹업플레이트(171a)에 적재된 용지(S)의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용지(S)를 녹업플레이트(171a)로부터 이송롤러(feed roller, 174)쪽으로 이송시킨다. 픽업롤러(172)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S)는 이송롤러(feed roller, 174)를 거쳐 반송벨트(120)로 인입된다.
용지(S)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반송벨트(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반송벨 트(120)의 주행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예를 들면, 현상카트리지(110C)의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140)와 대면된 전사닙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용지(S)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된다.
전사롤러(140)에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감광드럼(11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용지(S)로 전사된다. 용지(S)가 이송됨에 따라 현상카트리지(110M, 110Y, 110K)의 감광드럼(111)들에 형성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S)에 중첩 전사되며, 용지(S)에는 칼라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전사 후 감광드럼(111)의 외주면에 남아있는 토너는 클리닝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된다. 정착부(150)는 전사 후 용지에 형성된 칼라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용지(S)는 배지롤러(176)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용지이송경로(180)를 따라 배지롤러(176)에서 배지된 용지(S)는 적재부(190)에 적재된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17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17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급지장치(170)는 급지카세트(171)와, 피니언기어(210)와, 가이드부재(220), 및 지지부(250, 도 7 참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급지장치(170)는 픽업롤러(172)에 의한 용지(S)의 이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에서 착탈된다.
급지카세트(1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71a)와, 탄성부재(171b)를 구비한다. 급지카세트(171)에는 용지 분리수단의 하나인 핑거(finger, 202)가 설치된다. 핑거(202)는 급지카세트(171)의 양측 선단에 설치되어 픽업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를 한 장씩 분리시킨다. 핑거(202)는 급지카세트(171)에 적재된 용지(S)가 픽업롤러(172)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하는 용지 분리수단의 하나로,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5의 급지장치 중 피니언기어(210)와, 가이드부재(2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니언기어(210)는 급지카세트(171)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니언기어(210)는 녹업플레이트(171a)의 하면에 마련된 보스(21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보스(212)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가이드부재(220)는 적재되는 용지(S)의 측단부를 가이드한다. 가이드부재(220)는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따라 용지(S)의 측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210)에 결합되어 용지(S)의 폭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된다. 즉, 가이드부재(220)는 픽업롤러(172)에 의한 용지(S)의 이송시 용지(S)의 측단부를 가이드한다. 가이드부재(220)는 용지(S)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222)와, 상기 가이드부(222)로부터 연장된 슬라이딩부(224)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224)의 일측에는 피니언기어(210)와 결합되는 랙기어(226)가 형성된다.
적재되는 용지(S)를 가이드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부(222)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면 피니언기어(210)가 회전되면서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부도 피니언기어(210)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게 이동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슬라이딩부(224)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20)가 용지(S)의 폭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급지카세트(171)에 마련된 슬롯에 삽입된다.
용지(S)를 녹업플레이트(171a)에 적재한 후 가이드부(222)를 용지(S)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가이드부(222)만 슬라이딩시키면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222)도 피니언기어(210)에 맞물리는 랙기어(226)에 의해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172)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S)는 그 양측 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2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사행(skew)없이 이송된다.
도 7은 지지부(2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250)는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대응하여 가이드부재(220)의 일측, 즉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지지한다. 지지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270)과, 상기 결합공(270)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스토퍼(260)를 구비한다.
결합공(270)은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20)는 용지(S)의 폭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적재되는 용지(S)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한다. 즉, 가이드부재(220)는 급지카세트(171)의 착탈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용지(S)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게 된다.
급지카세트(171)에는 다양한 크기의 용지(S)들이 적재되므로, 가이드부재(220)의 일측, 즉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gap)이 존재하게 된다. 화상형성장치에 급지카세트(171)를 장착시 용지(S)의 관성으로 인해 용지(S)의 측단부가 가이드부(222)에 충격을 주어 가이드부(222)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부(222)에 유동(움직임)이 발생된다. 이때, 용지(S)는 핑거(202)에서 이탈되므로, 핑거(202)는 더 이상 용지(S) 분리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고정 지지하면 상기와 같은 용지(S)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사이의 유격(gap)을 없애면 용지(S)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스토퍼(260)는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이와 같은 유격(gap)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스토퍼(260)는 급지카세트(171)에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이드 스토퍼(260)는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 스토퍼(260)는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사이의 유격(gap)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급지카세트(171)에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사이의 유격(gap)이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급 지카세트(171)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이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이 가이드 스토퍼(26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지지부(2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지지부(250)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는 용지(S)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단(272)이 형성된다. 상기 단(272)은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와 종류를 고려하여 가이드 스토퍼(260)가 가이드부(222)를 접촉 지지하도록 적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공(270)들 중 일부는 상기 단(27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해당되는 단(272)에 형성된 결합공(270)에 가이드 스토퍼(260)를 결합하여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단(272)에 형성된 결합공(270)에 가이드 스토퍼(260)를 결합하여 가이드부(222)를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에도 용지(S)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단(272) 사이의 유격(gap)이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이 가장 돌출되게 형성된 단(272)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단(272)은 가이드 스토퍼(26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급지카세트(171)에는 다양한 크기의 용지(S)가 적재된다. 각각의 크기에 해당되는 용지(S)의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부(222)를 슬라이딩시켜 각 용지(S)의 측단부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기 위해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단(272)을 형성하고, 여기에 형성된 결합공(270)에 가이드 스토퍼(260)를 결합하였다. 이와 달리,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단(272)을 형성하지 않고 가이드 스토퍼(260)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 스토퍼(2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스토퍼(260)는 손잡이(262)와, 돌기부(264)와, 접촉부(266)를 구비한다. 손잡이(262)는 가이드 스토퍼(260)를 결합공(270)에 결합하거나, 결합공(270)에서 분리하는 데 이용된다. 돌기부(264)는 가이드 스토퍼(260)가 결합공(270)에 삽입된 후, 가이드 스토퍼(260)의 위치를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접촉부(266)는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스토퍼(260)는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급지카세트(171)에 용지(S)를 적재시,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해당되는 가이드 스토퍼(260)를 결합공(270)에 결합함으로써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급지카세트(171)에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사이의 유격(gap)이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이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은 가이드 스토퍼(26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2는 가이드 스토퍼(260)가 결합공(270)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가이드 스토퍼(260)가 결합공(270)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 스토퍼(260)는 결합공(270)과의 결합과 결합 해제가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스토퍼(2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270)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가이드 스토퍼(260)를 회전시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스토퍼(260)에 형성된 돌기부(264)에 의해 가이드 스토퍼(260)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가이드 스토퍼(260)는 돌기부(264)에 의해 결합공(270) 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도 14는 가이드 스토퍼(26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였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이드 스토퍼(260)는 결합공(270)과 나사결합되어 가이드부(222)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스토퍼(260)는 수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으로 첨부되지는 않았으나 결합공(270)은 암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스토퍼 (260)와 결합공(270)이 나사결합되면, 가이드 스토퍼(260)가 소정의 위치에서 가이드부(222)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과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사이의 유격(gap)이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S)가 적재되는 경우 가이드부(222)의 일측이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은 가이드 스토퍼(26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급지카세트(171)의 측벽 및 가이드 스토퍼(260)의 접촉부(266)가 가이드부(222)를 접촉 지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이나 가이드 스토퍼(260)는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한다. 즉,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이나 가이드 스토퍼(260)가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용지(S)의 관성에 의해 발생되던 가이드부(2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래 발명과 달리 급지카세트(171)의 측벽이나 가이드 스토퍼(260)에 의해 적재되는 용지(S)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이드부(222)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여 가이드부(2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가이드부의 일측을 밀착 지지하여 가이드부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급지카세트의 장착시 용지가 핑거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용지의 잼(jam)이나 스큐(skew)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적재된 상기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용지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상기 용지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화상형성장치에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어, 적재되는 상기 용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는 상기 용지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적어 도 하나의 단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들 중 일부는 상기 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된 단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단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적재되는 상기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결합공과의 결합 고정 및 결합 해제가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퇴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13.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용지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어 적재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는 가이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는 상기 용지가 적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의 단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들 중 일부는 상기 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된 단은,
    적재가능한 가장 큰 용지가 적재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상기 단에 밀착되어 상기 용지의 측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적재되는 상기 용지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퇴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108809A 2004-12-20 2004-12-20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58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09A KR100580212B1 (ko) 2004-12-20 2004-12-20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233,040 US7600749B2 (en) 2004-12-20 2005-09-23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B200510123290XA CN100554107C (zh) 2004-12-20 2005-11-15 送纸装置和包括该送纸装置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09A KR100580212B1 (ko) 2004-12-20 2004-12-20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212B1 true KR100580212B1 (ko) 2006-05-16

Family

ID=3680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809A KR100580212B1 (ko) 2004-12-20 2004-12-20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00749B2 (ko)
KR (1) KR100580212B1 (ko)
CN (1) CN10055410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5202B2 (en) 2005-08-11 2022-11-29 Adeia Semiconductor Bonding Technologies Inc. 3D IC method and device
US11830838B2 (en) 2015-08-25 2023-11-28 Adeia Semiconductor Bonding Technologies Inc. Conductive barrier direct hybrid bon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461A (ja) * 2005-12-16 2007-06-28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およびこの給紙装置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4659661B2 (ja) * 2006-03-31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E530304C2 (sv) * 2006-09-14 2008-04-29 Bindomatic Ab Bindningsmaskin, kassettpaket och förfarande för bindning av mappar
JP4687774B2 (ja) * 2008-11-18 2011-05-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6075865B2 (ja) * 2013-03-21 2017-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TWI556981B (zh) * 2014-06-05 2016-11-1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進紙裝置
JP7056042B2 (ja) * 2017-09-07 2022-04-1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77979A (ja) * 2018-03-30 2019-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94116A (ja) * 2018-05-02 2019-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CN108629428B (zh) * 2018-05-03 2021-07-0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基于互联网共享的自助复印打印系统的智能废纸回收方法
JP2021123493A (ja) * 2020-02-07 2021-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5628A (ja) * 1988-09-28 1990-04-06 Canon Inc カセット
JPH06255810A (ja) 1993-03-08 1994-09-13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09216738A (ja) 1995-12-08 1997-08-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39175A (ja) 1996-11-05 1998-05-26 Canon Inc トレイ用幅規制ガイド装置、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75742A (ja) 1996-12-16 1998-06-30 Ricoh Co Ltd 給紙トレイ
JP3740287B2 (ja) 1998-07-10 2006-02-01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トレイ
US6332610B1 (en) * 1999-07-12 2001-12-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taining apparatus
JP2002265070A (ja) 2001-03-13 2002-09-18 Murata Mach Ltd 用紙ガイド装置
EP1264791B1 (en) 2001-06-07 2006-04-26 Ricoh Company, Ltd. Sheet feed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5202B2 (en) 2005-08-11 2022-11-29 Adeia Semiconductor Bonding Technologies Inc. 3D IC method and device
US11830838B2 (en) 2015-08-25 2023-11-28 Adeia Semiconductor Bonding Technologies Inc. Conductive barrier direct hybrid bo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80998A1 (en) 2006-08-17
CN100554107C (zh) 2009-10-28
CN1792751A (zh) 2006-06-28
US7600749B2 (en)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749B2 (en)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320798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320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supporting a recording medium
US9969577B2 (en) Sheet lo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loader
US10656593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0744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condary transfer roller clean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64804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18194B2 (en) Medium 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mploys the medium transporting apparatus
EP2942671B1 (en)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437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19073B1 (ko) 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365844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10397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62982B2 (ja) 画像形成装置
JP4203650B2 (ja) 給紙装置
JP2021187634A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099080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006422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9244A (ja) 給紙カセット
KR20060059347A (ko) 화상형성장치
JP20030121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9245A (ja) 給紙カセット
JP2010202311A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KR20060059319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