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208B1 -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7208B1 KR100577208B1 KR1020040036793A KR20040036793A KR100577208B1 KR 100577208 B1 KR100577208 B1 KR 100577208B1 KR 1020040036793 A KR1020040036793 A KR 1020040036793A KR 20040036793 A KR20040036793 A KR 20040036793A KR 100577208 B1 KR100577208 B1 KR 100577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ventilation
- frame
- suction
- ventilation sy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압력 손실 및 소음이 감소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at pressure loss and noise are reduc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창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중창(110); 상기 다중창(11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중창(110) 사이의 구획된 공간과 실내외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다중창(110) 사이의 공간과 함께 제1,2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120);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125)와 제2유로(126)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실내외에 토출시키는 환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window 110 is installed so that at least three or more window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multi-window 110, so that the partitioned space between the multi-window 110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with the space between the multi-window 110 Frame 120; In addition, a ventil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frame 120 and configured to discharge indoor and outdoor air to the outside of the room through the first passage 125 and the second passage 126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환기 시스템에 제1,2유로를 교차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2유로의 교차된 부분에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are formed in the ventilation system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an electrothermal exchanger is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환기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다중창 111, 112, 113 : 창110:
114,115 : 제1,2유로 120 : 프레임114,115 1,2 euro 120: frame
121 : 제1흡입부 122 : 제1토출부121: first suction unit 122: first discharge unit
123 : 제2흡입부 124 : 제2토출부123: second suction unit 124: second discharge unit
121a,122a,124a : 그릴부 123a : 필터121a, 122a, 124a: Grill
131 : 제1환풍수단 132 : 제2환풍수단131: first vent means 132: second vent means
131a,132a : 팬모터 131b,132b : 횡류팬131a and 132a:
240 : 전열교환기240: total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압력 손실 및 소음이 감소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at pressure loss and noise are reduced.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창문은 주로 빛을 받아 들이는 채광역할을 하고, 창문을 여닫음으로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사용한다.In general, the windows in the building mainly serve as a light receiving light, and by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s to use the role of ventilating the air in the room.
이러한 창문은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비가 오는 날씨에는 빗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므로, 의도적으로 실내를 환기시키지 않는다. 또한, 황사현상과 대기 오염이 심해질 경우에도 대부분 실내를 환기시키지 않는다. Such windows do not intentionally ventilate the room because of the strong wind or rainy weather when rain or dust enters the room. In addition, even if the yellow dust phenomenon and air pollution is severe, most of the room is not ventilated.
이와 같이, 실내를 환기시키고 싶지만 주위의 환경에 따라 환기를 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위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원하는 때에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s such, there is a problem that you want to ventilate the room but not ventilat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ventilating the indoor space when desir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한편, 건축물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등에 환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지만, 이러한 환기장치는 천정에 내장되고 벽을 뚫어 닥트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닥트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으며, 상기 환기 장치의 설치비와 설치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indoor space is ventilated by installing a ventilator on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such a ventilator is built in the ceiling and penetrates a wall to install a duct. Therefore, the length of the duct can not only be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device increases.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유동공기의 세트저항과 닥트저항으로 압력손실과 소음이 증가하고, 이러한 압력손실에 의해 용량이 큰 팬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저소음팬 및 흡음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ventilator has a pressure loss and noise increase due to the set resistance and duct resistance of the flow ai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large capacity fan by this pressure loss.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low noise fan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압력 손실 및 소음이 감소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pressure loss and noise are redu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3개 이상의 창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중창; 상기 다중창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중창 사이의 구획된 공간과 실내외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다중창 사이의 공간과 함께 제1,2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실내외에 토출시키는 환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or more window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rame installed to surround the edges of the multiple windows and allowing the partitioned space between the multiple window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door and outdoor to form first and second flow paths together with the spaces between the multiple windows; And, it is provided in the frame, and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device for discharging indoor and out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 및 제1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 및 제2토출부가 형성된다.In the frame, a first suction part and a first discharge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suction part and a second discharge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상기 환풍장치는, 상기 제1흡입부 또는 제1토출부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 그리고, 상기 제2흡입부 또는 제2토출부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lude: first ventilation means installed on the first suction part or the first discharge part; And a second ventilation means installed in the second suction part or the second discharge part.
이때, 상기 제1환풍수단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를 통해 실외로 토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vent means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he second vent means is preferably installed to discharge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3개 이상의 창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중창; 상기 다중창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중창 사이의 구획된 공간과 실내외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다중창 사이의 공간과 함께 제1,2유 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2유로가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유로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실내외에 토출시키는 환풍장치;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제1,2유로가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유로를 통해 흡토출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or more window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rim of the multi-window, and the partitioned space between the multi-window and indoor and outdoor communication to form a first and second flow path with the space between the multi-window,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 intersect A frame formed to be;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frame and discharging indoor and outdoor air to the outside and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of the frame intersects with each other, the heat exchanger: to provide a heat exchange for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 및 제1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 및 제2토출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흡입부와 제2토출부의 유로가 교차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흡입부의 유로가 교차되게 형성된다.In the frame, a first suction part and a first discharge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suction part and a second discharge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At this time, the flow path of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is formed to cross, or the flow path of the first discharge part and the second suction part is formed to cross.
상기 환풍장치는 제1흡입부 또는 제1토출부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 그리고, 상기 제2흡입부 또는 제2토출부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ventilation means installed in the first suction part or the first discharge part; And a second ventilation means installed in the second suction part or the second discharge part.
상기 제1환풍수단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다.The first vent means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he second vent means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창의 테두리를 둘러싸고,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제1,2유로가 적어도 1쌍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2유로가 교차되게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제1,2유로에 설치되어 실내외 공기를 흡토출하는 환풍장치; 그리고, 상기 제1,2유로의 교차된 부분에 실내외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설치되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surrounding at least one pair of first and second flow paths surrounding an edge of a window and communicating indoors and outdoors is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at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to suck air in and out of the room; In addition, it provides a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total heat exchanger: which is installed to heat exchange while the indoor and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와 제1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와 제2토출부가 형성된다.In the frame, a first suction part and a first discharge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suction part and a second discharge part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상기 환풍장치는 상기 제1유로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 그리고, 상기 제2유로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lude first ventilation means installed in the first passage; And a second ventilation means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상기 제1환풍수단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다.The first vent means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he second vent means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상기 제1흡입부는 제2흡입부에, 상기 제1토출부는 제2토출부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uction part is formed to face the second suction part, and the first discharge part is opposite to the second discharge part.
이때, 상기 제1흡입부와 제2흡입부 사이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열교환기의 공기유동방향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는 제1,2환풍수단이 설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total heat exchanger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second suction part, and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ar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r the downstream side in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상기 제2흡입부와 제2토출부는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부와 제1토출부는 제2유로를 기준으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part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suction part and the first discharge part may be alternately formed based on the second flow path.
이때, 상기 제2흡입부 근처에는 전열교환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열교환기의 공기유동방향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는 제1,2환풍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heat exchanger is formed near the second suction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ar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r the downstream side in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용 창틀은 다중창(110), 프레임(120) 및 환풍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ventilation window frame includes a
상기 다중창(11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창(111,112,113)이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다중창(110)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투명한 창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불투명한 창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상기 다중창(11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프레임(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120)은 다중창(110) 사이의 구획된 공간과 실내외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다중창(110) 사이의 공간과 함께 제1,2유로(114,115)를 형성한다.The
이때, 상기 프레임(120)에는, 상기 제1유로(114)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121) 및 제1토출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115)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123) 및 제2토출부(124)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
예컨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흡입부(121)는 프레임(120)의 하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부(122)는 프레임의 상변에 설치된다. 또, 상기 제2흡입부(123)는 프레임의 상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토출부(124)는 프레임의 하변에 설치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이러한 제1,2흡토출부(121,122,123,124)는 프레임(120)의 상하변뿐만 아니라 양측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변 또는 하변과 양측변에 설치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이러한 프레임(12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의 형상은 설계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프레임(120)에는 다중창(110)을 개폐시킬 수 없도록 고정시킨다. 또, 상기 프레임의 하변에 레일을 형성하여 다중창(110)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프레임(120)에는 환풍장치(130 : 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114)와 제2유로(115)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실내외로 토출시킨다.In this case, a ventilator 130 (see FIG. 1) is installed in the
이러한 환풍장치는, 상기 제1흡입부(121) 또는 제1토출부(122)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131)과, 상기 제2흡입부(123) 또는 제2토출부(124)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lude a
상기 제1,2환풍수단(131,132)은 팬모터(131a,132a)와 환풍팬(131b,1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ng means 131 and 132 may include
이때, 상기 환풍팬으로는 횡류팬을 제시한다. 이러한 횡류팬은 회전반경이 작고 길기 때문에 프레임에 설치하기 적합하고 충분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crossflow fan is presented as a crossflow fan. This is because the crossflow fan has a small and long rotation radius, so that the crossflow fan is suitable to be installed on the frame and sufficient air volume can be obtained.
물론, 상기 횡류팬으로는 원심팬 및 축류팬 등을 적용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때에는 팬의 특성에 따라 제1,2유로를 적절하게 변경해야 할 것이다.Of course,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crossflow fan may be a centrifugal fan, an axial fan,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uros should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n.
상기 제1환풍수단(131)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114)를 통해 실외로 토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132)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115)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ventilation means 131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때, 상기 제1유로(114)와 연통되는 다중창의 구획된 공간은 실내측에 배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외 공기가 중간 창을 통해 열교환된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토출되는 실내 공기에 의해 단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추운 경우, 상기 실외 공기가 창을 통해 열교환됨에 따라 공기 중의 습기가 창에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햇빛이 창을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ed space of the multi-window communicated with the
물론, 상기 제1유로(114)와 연통되는 다중창(110)의 구획된 공간은 실외측에 배치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partitioned space of the multi-window 110 communicating with the
상기 제2흡입부(123)에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1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 한 후 실내 공간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이러한 필터(130)는 제2환풍수단(132)의 흡입력과 필터링 이물질 등을 감안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제1흡입부(121) 및 제1,2토출부(122,124)에는 각각 그릴부(121a,122a,124a)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흡입부(123)에도 그릴부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이러한 그릴부(121a,122a,124a)는 공기의 토출각도를 일정하게 하도록 고정시키거나, 또는 공기의 토출각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환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여 구동시키거나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구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Such a ventilation system may be implemented to be driven by a user selecting a button 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pollution degree of indoor air.
또한, 상기 환기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과 환기장치를 일체의 유닛으로 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벽면 등 창문을 설치하는 곳에 고정하여 간단하게 설치하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entilation system can produce a product using the window frame and the ventilation unit as an integral unit, the ventilation system may be simply installed by fixing it to a window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wall of a building.
이와 같이 구성된 환기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첫째, 실내 공기가 혼탁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2흡입부(121,123)의 팬모터(131a,132a)를 가동하여 환풍팬(132b,132b)을 모두 회전시킨다.Fir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is turbid, the
이때, 상기 제1흡입부(121)의 환풍팬(131b)은 혼탁한 실내 공기를 제1유로(114)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흡입부(123)의 환풍팬(132b)은 신선한 실외 공기를 제2유로(115)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킨다. 이때, 제2흡입부(123)의 외부 공기는 필터(123a)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 실내 공간에 토출된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신선한 실외 공기는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고, 실내의 오염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을 환기시킨다.Accordingly, the fresh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and the indoor air is ventilated by exhausting the indoor polluted air to the outside.
둘째,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자연스럽게 공급해야 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흡입부(123)의 환풍팬(132b)만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신선한 외부 공기는 제2유로(115)를 통해 실내 공간에 유입되고, 신선한 공기가 급기되는 실내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고압이 형성되어 거실 등 다른 실로 신선한 공기가 이동된다.Seco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fresh air should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room, only the
셋째, 요리 등을 함에 의해 실내 공간이 심하게 오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흡입부(121)의 환풍팬(131b)만을 회전시킨다. 이때, 심하게 오염된 실내 공기는 제1유로(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오염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저압이 형성되어 거실 등 다른 실로부터 공기가 환풍 시스템측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만을 배출시킴으로써, 실내의 오염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Thi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space is severely contaminated by cooking, the
이와 같이 제1환풍수단(131)과 제2환풍수단(132)을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가동시킴에 의해 실내 공간을 소정의 환기모드로 환기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indoor space can be ventilated in a predetermined ventilation mode by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ventilation means 131 and the second ventilation means 13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환기 시스템은 다중창(210), 프레임(220), 환풍장치 및 전열교환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ventilation system includes a
상기 다중창(21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창(211,212,213)이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다중창은 여닫을 수 없도록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다중창을 여닫을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The
상기 프레임(220)은 다중창(21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에는 다중창 사이의 구획된 공간과 실내외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다중창(210) 사이의 공간과 함께 제1,2유로(214,2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2유로는 교차하도록 형성된다.The
이러한 프레임(220)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유로(214)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221) 및 제1토출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215)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223) 및 제2토출부(224)가 형성된다. 3, a first suction part 221 and a
이때, 상기 제1흡입부(221)와 제2토출부(224)의 유로가 교차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low path between the first suction part 221 and the
또는,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토출부(222)와 제2흡입부(223)의 유로가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flow paths of the
이와 같이 하나의 변에 형성된 흡토출부를 교차되게 형성한다.In this way, the suction dischar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is formed to cross.
상기 환풍장치는, 상기 제1흡입부(221) 또는 제1토출부(222)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231)과, 상기 제2흡입부(223) 또는 제2토출부(224)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2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entilation device may include a
이때, 상기 제1환풍수단(231)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214)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232)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215)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ventilation means 231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러한 제1,2환풍수단(231,232)은 팬모터(231a,232a)와 환풍팬(231b,23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환풍팬으로는 횡류팬(cross flow fan)을 제시한다. 그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다.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231 and 232 include
상기 제1유로(225)와 연통되는 다중창(210)의 구획된 공간은 실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이유도 상술한 바와 같다.The partitioned space of the multi-window 21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assage 225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indoor side. The reason for this is also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2흡입부(223)에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223a)가 설치된다.The
또, 제1흡입부(221)와 제1,2토출부(222,224)에는 그릴부(221a,222a,224a)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흡입부(223)에도 그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이와 같이 구성된 환풍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첫째, 공기가 혼탁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2흡입부의 팬모터(231a,232a)를 가동하여 환풍팬(231b,232b)을 모두 회전시킨다.Fir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is turbid, the
이때, 상기 제1흡입부의 환풍팬(231b)은 혼탁한 실내 공기를 전열교환기(240)를 통해 제1유로(214)에 유입시키고, 상기 제2흡입부의 환풍팬(232b)은 신선한 실외 공기를 제2유로(215)를 통해 전열교환기(240)에 유입시킨다. 이때, 제2흡입부(223)의 외부 공기는 필터(223a)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In this case, the
이렇게 유입된 제1,2유로(214,215)의 공기는 전열교환기(2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의 열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The air of the first and
이어, 실내 공기 제1유로(214)와 제1토출부(222)를 통해 실외로 토출되고, 실외 공기는 상기 제2유로(215)와 제2토출부(224)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흡입된다.Subsequently,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둘째,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자연스럽게 공급해야 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흡입부의 환풍팬(232b)만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신선한 외부 공기는 제2유로(215)를 통해 실내 공간에 유입되고, 신선한 공기가 급기되는 실내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고압이 형성되어 거실 등 다른 실로 신선한 공기가 이동된다.Second, if it is determined that fresh air should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room, only the ventilation fan 232b of the second suction part is rotated. Accordingly, the fresh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셋째, 요리 등을 함에 의해 실내 공간이 심하게 오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흡입부의 횡류팬(231b)만을 회전시킨다. 이때, 심하게 오염된 실내 공기는 제1유로(2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오염 공기가 배출되는 실내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저압이 형성되어 거실 등 다른 실로부터 공기가 환풍 시스템측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만을 배출시킴으로써, 실내의 오염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Thi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space is severely contaminated by cooking, the only
이와 같은 환기 시스템은 제1환풍수단(231)과 제2환풍수단(232)을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가동시켜 소정의 환기 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Such a ventilation system may operate in a predetermined ventilation mode by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ventilation means 231 and the second ventilation means 232.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thir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프레임의 대향되는 두 변에 환풍장치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structure in which a ventilator is installed at two opposite sides of the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 시스템은 프레임(320), 환풍장치 및 전열교환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ventilation system includes a
상기 프레임(320)은 창(310)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창은 단일창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다중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프레임(320)에는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제1,2유로가 적어도 1쌍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유로는 교차되게 형성된다.At least one pair of first and second flow paths communicating indoors and outdoors is formed in the
상기 프레임(120)에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321)와 제1토출부(3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323)와 제2토출부(324)가 형성된다.In the
상기 환풍장치는 제1,2유로에 설치되어 실내외 공기를 흡토출하도록 한다. The ventilator i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so as to suck out the indoor and outdoor air.
즉, 상기 환풍장치는, 상기 제1유로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331)과, 상기 제2유로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at is, 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ventilation means 331 installed in the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ventilation means 332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이러한 제1,2환풍수단(331,332)은 팬모터(331a,332a)와 환풍팬(331b,332b)으 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환풍팬으로는 횡류팬을 적용한다.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331,332) is composed of a fan motor (331a, 332a) and the ventilation fans (331b, 332b). In this case, a cross flow fan is applied to the ventilation fan.
이때, 상기 제1환풍수단(331)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332)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first ventilation means 331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he second ventilation means 332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do.
상기 전열교환기(340)는 제1,2유로의 교차된 부분에 실내외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설치된다.The
이러한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부(321)는 제2흡입부(323)에, 상기 제1토출부(322)는 제2토출부(324)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In the ventilation system, the
상기 제1흡입부(321)와 제2흡입부(323)의 교차된 유로에는 전열교환기(340)가 설치되고, 상기 전열교환기(340)의 공기유동방향 후류측에는 제1,2환풍수단(331,332)이 설치된다. The
즉, 상기 제1환풍수단(331)은 전열교환기(340)와 제1토출부(32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332)은 전열교환기(340)와 제2토출부(324) 사이에 설치된다.That is, the first vent means 331 is installed between the
이와 같이 제1,2환풍수단을 후류측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us, by providing the 1st, 2nd ventilation means in the wake side, the fluidity | liquidity of air can be increased.
물론, 상기 제1,2환풍수단은 전열교환기의 공기유동방향 상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may be installed upstream of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r.
이때, 상기 제2유로의 제2흡입부에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323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또한, 제1흡입부(321)와 제1,2토출부(322,324)에는 그릴부(321a,322a,324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흡입부(323)에도 그릴부가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그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의 일변에 환풍장치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tructure in which the ventilat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도 4의 환기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FIG.
상기 환기 시스템은 프레임, 환풍장치 및 전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ntilation system comprises a frame, a ventilator and a heat exchanger.
상기 프레임(120)에는,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421)와 제1토출부(4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423)와 제2토출부(4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유로는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다.In the
상기 환풍장치는 제1유로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431)과, 제2유로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4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ventilation means 431 installed in the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ventilation means 432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이러한 제1,2환풍수단(431,432)은 팬모터(431a,432a)와 환풍팬(431b,432b)으로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431 and 432 are composed of
상기 전열교환기(440)는 제1,2유로의 교차된 부분에 실내외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설치된다.The
이러한 환풍 시스템의 구조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system is as shown in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환풍 시스템의 제4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환기 시스템은 프레임, 환풍장치 및 전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ntilation system comprises a frame, a ventilator and a heat exchanger.
상기 프레임에는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제1,2유로가 적어도 1쌍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유로는 교차되게 형성된다.At least one pair of first and second flow paths communicating indoors and outdoors is formed in the fram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are formed to cross.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1흡입부(521)와 제1토출부(5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제2흡입부(523)와 제2토출부(524)가 형성된다.In the frame, a
상기 환풍장치는, 상기 제1유로에 설치되는 제1환풍수단(531)과, 상기 제2유로에 설치되는 제2환풍수단(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ventilation means 531 provided in the first flow passage and a second ventilation means 532 installed in the second flow passage.
이러한 제1,2환풍수단(531,532)은 팬모터(531a,532a)와 환풍팬(531b,532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환풍팬으로는 횡류팬을 적용한다.The first and second ventilation means 531 and 532 are composed of
이때, 상기 제1환풍수단(531)은 실내 공기를 제1유로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환풍수단(532)은 실외 공기를 제2유로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rst vent means 531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he second vent means 532 is installed to discharge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do.
상기 전열교환기(540)는 제1,2유로의 교차된 부분에 실내외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설치된다.The
이러한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부(523)와 제2토출부(524)는 도 6과 같이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흡입(521)부와 제1토출부(522)는 제2유로를 기준으로 엇갈리게 형성된다.In the ventilation system, the second suction part 523 and the
이때, 상기 제2흡입부(523) 근처에는 전열교환기(540)가 형성되고, 상기 전 열교환기(540)와 제2토출부(523) 사이에는 제2환풍수단(532)이 설치되고, 상기 전열교환기(540)와 제1토출부(521) 사이에는 제1환풍수단(531)이 설치된다.In this case, a
상기 제2유로의 제2흡입부(523)에는 실외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필터(523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또한, 제1흡입부(521)와 제1,2토출부(522,524)에는 그릴부(521a,522a,524a)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흡입부(523)에 그릴부가 설치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그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이러한 환기 시스템의 흡토출부는 6과 같이 프레임의 상하변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프레임의 어느 일변에 하나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intake and exhaust por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such as 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or may be installed on any one side of the frame, although not shown.
이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에 관한 작용은 제3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system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환기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과 환풍장치를 일체의 유닛으로 구현한 것으로서, 건물 벽면의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환풍 시스템를 설치하기 위해 벽을 뚫을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First, the ventilation system is implemented as a unit of the window frame and the ventilation unit, it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windows of the building w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simply, without having to drill a wall for installing the ventilation system.
둘째, 상기 환기 시스템은 공기의 흡토출을 위한 닥트가 창문 프레임에 형성되므로, 종래에 비해 닥트의 길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닥트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벽을 뚫는 등의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Secondly, since the duct for the intake and discharge of air is formed in the window frame, the ventilation system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ength of the duct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out work such as drilling a wall separately to install a duct.
셋째, 상기 환기 시스템은 유동공기의 세트저항과 닥트저항을 감소되므로, 압력손실과 유동소음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압력손실에 의해 용량이 작은 팬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별도의 저소음팬 및 흡음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Third, since the ventilation system reduces the set resistance and duct resistance of the flow air,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essure loss and the flow noise, and to install a fan having a small capacity by the pressure loss.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low noise fan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넷째, 상기 환기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과 일체의 유닛으로 구현되므로, 외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필요한 때에 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나 바람이 많이 부는 등 창문을 열기 곤란한 때에도, 필요한 때에는 언제든지 실내 공간을 환기 시킬 수 있다.Fourth, since the ventilation system is implemented as a unit integral with the window frame, it can be operated when necessary without considering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open a window such as during rainy weather or when there is a lot of wind, the indoor space can be ventilated whenever necessary.
Claims (2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6793A KR100577208B1 (en) | 2004-05-24 | 2004-05-24 | Venti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6793A KR100577208B1 (en) | 2004-05-24 | 2004-05-24 | Ventil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1870A KR20050111870A (en) | 2005-11-29 |
KR100577208B1 true KR100577208B1 (en) | 2006-05-10 |
Family
ID=3728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67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7208B1 (en) | 2004-05-24 | 2004-05-24 | Venti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720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6626B1 (en) * | 2008-03-06 | 2010-11-25 | 이학철 | Indoor air ventil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22598A (en) * | 2019-01-29 | 2020-08-1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
JP2020106185A (en) * | 2018-12-27 | 2020-07-09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
JP2020122599A (en) * | 2019-01-29 | 2020-08-1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
KR102266222B1 (en) * | 2019-10-28 | 2021-06-17 | 클레어 주식회사 | Ventilator |
-
2004
- 2004-05-24 KR KR1020040036793A patent/KR1005772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6626B1 (en) * | 2008-03-06 | 2010-11-25 | 이학철 | Indoor air ventil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1870A (en) | 2005-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42194B1 (en) | Intake / exhaust unit and double skin system using the same | |
KR100476156B1 (en) | Window having a ventilation equipment | |
KR101994354B1 (en) | Purifying Window of New Wind and Ventilating Method Thereof | |
KR100912453B1 (en) | Window-mounted automatic natural ventilation and ventilation system for both heat exchange | |
KR101146332B1 (en) | Window having ventilation and heat recovery | |
KR100399310B1 (en) |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 |
KR200377212Y1 (en) | Window having various ventilation roles | |
CN110319494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7036223A (en) | Multifunctional indoor fresh air conditioner | |
KR20050023790A (en) | The structure for exhausting air at air-conditioner | |
KR102052348B1 (en) | Vantilation | |
KR100577208B1 (en) | Ventilation system | |
WO2005040689A3 (en) |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
JP6414781B2 (en) | Dehumidification intake / exhaust unit, double skin system, and dehumidification intake / exhaust method | |
KR20050111145A (en) | Window frame for changing air | |
KR102379009B1 (en) | Wall-embedded type Ventilation apparatus | |
CN2205519Y (en) | Insulation two-way air exchanger | |
KR200238298Y1 (en) |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 |
KR20060088723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070089001A (en) | Window type ventilation system | |
JP2005257090A (en) | Ventilation system and outlet | |
BE1030597B1 (en) | Ventilation unit with housing | |
KR100996626B1 (en) | Indoor air ventilator | |
KR20090055367A (en) | Building Ventilator | |
CN202281333U (en) | full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