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432B1 - 미분 탈수기 - Google Patents

미분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432B1
KR100562432B1 KR1020050078153A KR20050078153A KR100562432B1 KR 100562432 B1 KR100562432 B1 KR 100562432B1 KR 1020050078153 A KR1020050078153 A KR 1020050078153A KR 20050078153 A KR20050078153 A KR 20050078153A KR 100562432 B1 KR100562432 B1 KR 10056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and
water
vibration
sor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창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05007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를 세척하여 생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모래 세척시 발생하는 미분과 이물질에서 수분을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분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에서 투입되는 모래를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정높이로 채워진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모래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모래 세척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이 미분을 배출하는 스크랩퍼가 설치된 선별장치로 투입되게 하되 상기 선별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진동 콘베이어에서 이물질과 미분의 수분이 제거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단한 장치에 의해 이물질과 미분에 포함되는 수분을 탈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모래 세척, 이물질 탈수, 진동 콘베이어

Description

미분 탈수기{A sand dehydr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 구성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 구성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모래 세척기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 콘베이어와 선별장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진동 콘베이어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진동 콘베이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인 장착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인과 받침대 및 콘베이어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래세척기 120 : 이송스크류
150 : 배출구 200 : 진동 콘베어
210 : 진동모터 220 : 프레임
230 : 콘베이어 250 : 브러시
300 : 선별장치
본 발명은 모래를 세척하여 생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모래 세척시 발생하는 미분과 이물질에서 수분을 탈수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분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재활용 골재를 생산하는 경우 모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래의 표면에 묻어 있는 토분이나 시멘트 가루 등을 제거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모래 크기로 분쇄 선별하는 한편 분쇄된 골재를 물로 세척하여 깨끗한 모래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재활용 모래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는 통상 일정 높이로 물이 채워져 있고, 상측으로 재활용 모래가 투입되게 되며, 투입된 모래는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 스크류를 타고 상부로 이동하면서 물에 표면이 세척되게 되고, 이송 스크류를 타고 이송되며 세척이 완료된 모래는 밖으로 배출되어 물기를 제거한 후 건축자재로 사용되게 된다.
여기서 모래를 세척할 때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재활용 모래의 표면에 붙어 있는 미분 및 이물질인 것으로, 기존에는 물위에 뜨게 되는 이물질은 일측으로 이동시켜 배출시킨 후 별도의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에 묻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 후 재활용을 하거나 폐기물로 처리하게 되고, 또한 바닥에 가라앉은 미분은 별도의 스크래퍼로 퍼 올린 후 탈수 건조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이 기존의 방식은 재활용 모래의 세척시 발생되는 미분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탈수장치를 활용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는 추가 부지를 필 요로 하는 등 비용이 많이 들고 시설이 복잡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재활용 모래의 세척시 발생되는 미분과 이물질을 진동 콘베이어를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이물질과 미분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복잡한 탈수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탈수가 이루어지는 한편 사용된 물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에서 투입되는 모래를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정수위를 넘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모래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모래 세척기의 배출구에서 이물질과 미분이 포함된 채로 배출되는 물이 미분을 배출하는 스크랩퍼가 설치된 선별장치로 투입되게 하되 상기 선별장치의 상부에 설치된 진동 콘베이어에서 이물질과 미분의 수분이 제거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단한 장치에 의해 이물질과 미분에 포함되는 수분을 탈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래 세척기(100)와 진동 콘베이어(200) 및 선별장치(300)로 구성되며 사용된 물을 침전시켜 슬러지를 제거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게 여과시키는 재활용수 공급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모래 세척기(100)는 공지된 장치로서 함체(1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게 되고, 상기 함체(110)에 경사지게 이송스크류(120)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20)의 상단 에는 이송스크류(120)를 구동시키는 모터(121)를 설치하는 한편 하측에는 이송스크류(120)로 이송된 모래를 배출시키는 모래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110)의 일측에서 공급되어 함체(110)에 채워진 물은 수위가 높아진 만큼 모래 배출구(130)와 대향된 위치의 함체(110)에 형성된 배출구(15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며, 배출구(150)로 배출되는 물에는 모래를 세척할 때 발생 되는 이물질과 미분을 포함하게 된다.
재활용 모래는 콘베이어(10)를 타고 모래세척기(100)의 함체(110)로 투입된 후 이송스크류(120)를 타고 이동하면서 모래 배출구(130)로 배출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모래가 함체(110)에 채워진 물과 부딪히면서 모래 표면에 묻어 있는 미분을 제거하여 깨끗한 모래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모래 세척기(100)는 공지된 장치로서 재활용 모래를 물속에 담가놓고 이송스크류(120)로 이동시킴으로서 모래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함체(110)에 공급되는 물의 양만큼 함체(110)의 수위가 높아지면 배출구(150)를 통하여 이물질과 미분이 포함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구(150)로 배출되는 물에는 모래에서 씻겨진 미분과 이물질을 포함하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부유물과 같은 형태로 함체(110)에서 물과 함께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진동 콘베이어(200)는 진동모터(21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220)이 진동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 프레임(220)의 바닥 쪽에 거름망을 설치하여 크기 별로 선별할 때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220)에 콘베이어(230)를 설치하여 모래 세척기(100)의 배출구(150)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과 미분을 걸러주어 탈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 콘베이어(200)는 프레임(200)의 하측으로 철망으로 이루어진 콘베이어(230)를 설치하되 상기 콘베이어(230)는 모터(231)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 지게 하고, 상기 콘베이어(230)는 배출되는 쪽이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
진동 콘베이어(200)의 프레임(220)에는 양측 선단에 스프라켓(240)을 설치하되 상기 스프라켓(240)은 모터(231)에 의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스프라켓(240)에는 체인(241)을 걸어준 후 상기 체인(241)에는 철망으로 이루어지진 콘베이어(230)를 설치하여 콘베이어(230)가 프레임(220)을 타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인(241) 사이에는 받침대(242)를 설치하여 콘베이어(230)가 쳐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진동 콘베이어(200)는 콘베이어(230)의 일측으로 물이 배출되면 물은 철망으로 된 콘베이어(230)를 통과하여 선별장치(300)로 배출되게 되고, 비교적 입자가 큰 미분과 이물질은 콘베이어(230)를 타고 이동하게 되며, 이때 진동 콘베이어(200)는 진동모터(210)에 의해 진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콘베이어(230) 위에 놓인 이물질과 미분에 포함된 수분이 선별장치(300)로 떨어져 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진동 콘베이어서(200)에서 탈수가 이루어진 미분과 이물질은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콘베이어(230)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콘베이어(230)에는 하측으로 브러시(250)를 설치하여 콘베이어(230)의 철망 구멍이 브러시(250)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진동 콘베이어(200)는 선별장치(300)의 상측으로 스프링(260)을 매개로 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진동 콘베이어(200)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선별장치(300)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진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선별장치(300)는 바닥에 쌓이게 되는 미분을 긁어내는 스크래퍼(310)가 설치되는 한편 한쪽으로 물을 배출시켜 도시되지 아니한 재활용수 공급장치로 공급되게 하며, 스크래퍼(310)로 퍼 올려진 미분은 배출구(311)를 통하여 한곳에 쌓이게 된다.
선별장치(300)에서 배출된 물은 재활용수 공급장치로 이동되어 침전시키는 한편 슬러지를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모래 세척기(100)의 모래 세척시 재활용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먼저 모래 세척기(100)에 관하여 살펴본다.
분쇄되고 선별된 재활용 모래는 콘베이어(10)를 타고 함체(110)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함체(110)에는 배출구(150)의 높이를 유지하는 일정수위가 유지되고, 경사지게 모래를 이동시키는 이송 스크류(120)가 설치되어 있어, 함체(110)로 투입된 재활용 모래는 이송스크류(120)를 타고 이동하여 모래 배출구(130)로 배출되게 된다.
모래 세척기(100)는 함체(110)의 내부에서 이송 스크류(120)가 모래를 이동시키게 되어 모래를 세척한 후 배출시키게 되며, 함체(110)의 배출구(150)로는 미분과 이물질이 포함된 모래를 세척한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함체(110)에는 함체(110)의 일측에서 재활용수 공급장치에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은 함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5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며, 이때 배출되는 물에는 미분과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모래 세척기(100)의 함체(110)는 물이 공급된 만큼 배출구(150)에서 배출되는 물은 진동 콘베이어(200)의 콘베이어(230)에 떨어지게 하여 철망으로 이루어진 콘베이어(230)의 상측에 이물질과 미분이 걸려지게 하고 물만 콘베이어(230)를 통과하여 선별장치(300)로 떨어지게 한다.
이때 진동 콘베이어(200)는 콘베이어(230)를 모터(231)로 회전시키게 되어 콘베이어(230)에 걸려진 미분과 이물질을 콘베이어(230)를 타고 이동하여 콘베이어(230)가 끝나는 지점에서 배출되게 되며, 이때 콘베이어(230)는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여 이물질이 선별장치(300)로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모래 세척기(100)의 배출구(150)에서 배출된 물은 진동 콘베이어(200)의 콘베이어(230)위로 떨어져 물과 고운 미분은 콘베이어(230)를 통과하여 선별장치(300)로 떨어지게 하고, 이물질과 미분은 콘베이어(230)를 타고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진동 콘베이어(200)는 프레임(220)을 진동모터(210)로 진동시키게 되어 콘베이어(230)가 진동하게 되므로, 콘베이어(230)에 놓인 이물질과 미분에 묻어 있는 수분이 진동에 의해 콘베이어(230)의 하부로 배출되게 되어 콘베이어(230)를 타고 이동한 이물질과 미분에는 수분이 탈수되어 있게 된다.
진동 콘베이어(200)는 콘베이어(230)를 회전시키며 물을 밑으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이물질과 미분을 이동시키되 진동모터(210)에 의해 진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물질과 미분에 묻어 있는 수분을 탈수시킨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콘베이어(230)는 이물질과 미분을 배출시킨 후에도 표면에 묻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콘베이어(230)가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곳에서 방향이 바뀌게 되고 콘베이어(230)가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진동이 가해지게 되어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없게 된다.
게다가 콘베이어(230)의 하부에 밀착되는 브러시(250)를 설치하여 혹시라도 붙어 있는 이물질을 브러시(250)로 제거해 주도록 한다.
진동 콘베이어(200)의 콘베이어(230)를 통과한 물과 미분은 선별장치(300)에 모이게 되며, 선별장치(300)에서는 스크래퍼(310)를 구동시켜 물속에 가라앉은 미분을 제거해 주도록 한다.
그리고 선별장치(300)에서 배출되는 물은 재활용수 공급장치를 통하여 깨끗한 물로 만든 후 모래 세척에 재활용 한다.
본 발명에서 선별장치(300)에는 진동 콘베이어(200)에서 최대한 이물질과 미분을 제거해 주게 되는 한편 수분을 탈수시켜 제거해 주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탈수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선별장치(300)의 물을 그 만큼 빨리 깨끗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진동 콘베이어(200)는 모래 세척기(100)의 모래 배출구(130)에 설치하여 모래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모래가 진동 콘베이어(200)를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모래의 세척시 발생되는 미분과 이물질을 진동 콘베이어를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 후 배출되게 하므로서, 탈수에 필요한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물질과 미분의 수분을 철망으로 이루어진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도록 하되 콘베이어에 진동을 가하여 콘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이물질과 미 분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물질과 미분을 제거로 인하여 사용된 물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5)

  1. 재활용 모래를 물에 투입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이송스크류(120)로 이동시켜 세척 배출시키는 모래 세척기(100)의 일측에는 이물질과 미분이 포함된 물을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배출하는 배출구(150)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구(150)로 배출되는 물은 선별장치(300)의 상부에 설치된 진동 콘베이어(200)로 배출되게 하되 상기 진동 콘베이어(200)는 회전되는 콘베이어(230)와 진동을 가하는 진동모터(2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콘베이어(200)는 프레임(220)의 하측으로 콘베이어(230)를 설치하되 상기 콘베이어(230)는 모터(231)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프레임(220)의 상부에는 진동모터(210)를 설치하고, 진동 콘베이어(230)의 프레임(220)은 선별장치(300)의 상부에 스프링(260)을 매개로 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탈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콘베이어(200)는 선별장치(300)의 상부에 설치하되 콘베이어(230)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쪽이 선별장치(3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탈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진동 콘베이어(200)는 프레임(220)의 하부 양측으로 스프라켓(240)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라켓(240)은 모터(231)로 회전되게 하는 한편 체인 (241)을 걸어주고, 상기 체인(241)에는 철망으로 된 콘베이어(230)를 고정시키되 상기 콘베이어(230)의 하부에는 콘베이어(230)가 쳐지지 않게 받침대(242)를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탈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선별장치(300)에서 돌출된 진동 콘베이어(200)의 콘베이어(230) 하부에는 브러시(250)를 설치하되 브러시(250)가 콘베이어(230)의 하부와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 탈수기.
KR1020050078153A 2005-08-25 2005-08-25 미분 탈수기 KR10056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153A KR100562432B1 (ko) 2005-08-25 2005-08-25 미분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153A KR100562432B1 (ko) 2005-08-25 2005-08-25 미분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432B1 true KR100562432B1 (ko) 2006-03-21

Family

ID=3717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153A KR100562432B1 (ko) 2005-08-25 2005-08-25 미분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4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589A (ja) * 1995-09-01 1997-05-13 Fuji Electric Co Ltd 原子炉用燃料ペレットの選別装置
KR0185281B1 (ko) * 1996-09-19 1999-04-15 한일석 축산폐수의 찌꺼기 걸름장치
KR200337189Y1 (ko) 2003-09-05 2004-01-07 박진희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쓰레기의 분류 및세척장치
KR200357648Y1 (ko) 2004-05-17 2004-07-31 주식회사세영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청정 재생 골재 생산용 자동 이물질분리 제거 장치
KR200365656Y1 (ko) 2004-05-28 2004-10-21 (주)성인건기 건설폐기물의 분리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589A (ja) * 1995-09-01 1997-05-13 Fuji Electric Co Ltd 原子炉用燃料ペレットの選別装置
KR0185281B1 (ko) * 1996-09-19 1999-04-15 한일석 축산폐수의 찌꺼기 걸름장치
KR200337189Y1 (ko) 2003-09-05 2004-01-07 박진희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쓰레기의 분류 및세척장치
KR200357648Y1 (ko) 2004-05-17 2004-07-31 주식회사세영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청정 재생 골재 생산용 자동 이물질분리 제거 장치
KR200365656Y1 (ko) 2004-05-28 2004-10-21 (주)성인건기 건설폐기물의 분리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CA2961623C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ggregate material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CN108636592A (zh) 一种建筑垃圾分选系统
US7775371B2 (en)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waste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ir densities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102111034B1 (ko) 준설토 처리 장치
RU2571112C2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1804978B1 (ko) 협잡물이 포함된 침사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체형 침사물 분리방법 및 일체형 침사물 분리장치
KR100562432B1 (ko) 미분 탈수기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264696Y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처리장치
KR200303298Y1 (ko)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332864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KR101048065B1 (ko)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200443884Y1 (ko) 건설 폐기물의 습식 이물질분류용 이송장치
KR100557493B1 (ko)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959586B1 (ko) 순환모래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42470Y1 (ko) 쉐이크 크레시파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