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483B1 -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system - Google Patents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9483B1 KR100559483B1 KR1020050055788A KR20050055788A KR100559483B1 KR 100559483 B1 KR100559483 B1 KR 100559483B1 KR 1020050055788 A KR1020050055788 A KR 1020050055788A KR 20050055788 A KR20050055788 A KR 20050055788A KR 100559483 B1 KR100559483 B1 KR 100559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aggregate
- waste
- blower
- production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19 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0 compromis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8 magnetic separ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건식으로 구성되고, 이물질과 혼합되어 분리된 폐골재를 다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경제적인, 풍력선별장치가 구비된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폐골재(A)를 적재하여 시스템 가동시 콘베이어벨트(20)에 공급하는 호퍼(10); 호퍼(10)로부터 공급된 폐골재(A)를 스크린(30)으로 이동하여 낙하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 콘베이어벨트(20)에 의해 이송된 폐골재(A)중 소정 크기 이하의 것은 재활용 골재로 분리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것은 분쇄기(40)에 공급하는 스크린(30); 스크린(30)으로부터 공급된 폐골재(A)를 정해진 크기 이하의 재활용 가능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기(40); 콘베이어벨트(20)로부터 스크린(30)으로 낙하되는 폐골재(A)의 후단에서 강한 바람을 송풍하여 송풍관(60) 내부로 이물질을 유입시키는 송풍기(50); 및 유입된 이물질중 상대적으로 무겁고 정해진 크기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배출하기 위한 선별망(62)이 하단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철재 송풍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equipped with a wind sorting device, which is constructed dry so that waste water does not occur, and can be used again to collect waste aggregates separated and mixed with foreign matters,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conomical. Specifically, the hopper (10) for loading the waste aggregate (A) to supply to the conveyor belt (20) during system operation; Conveyor belt 20 for moving the waste aggregate (A) supplied from the hopper 10 to the screen 30 to drop; A screen 30 for separating the waste aggregates 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nto recycled aggregates, and supplying the on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the grinder 40 by the conveyor belt 20; A grinder 40 for crushing the waste aggregate A supplied from the screen 30 to a recyclable siz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A blower 50 which blows strong wind from the rear end of the waste aggregate A falling from the conveyor belt 20 to the screen 30 to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into the blower pipe 60; And a cylindrical steel blow pipe (60) having a lower end of the sorting network (62) for discharging the relatively heavy and having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size of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o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It is abou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pipe of a recycling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pipe of a recycling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duct of a recycling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제4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실을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chamber of a fourth embodiment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 송풍실의 충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llision plate of the ventilation chamber of FIG. 7.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호퍼 20: 콘베이어벨트10: Hopper 20: Conveyor Belt
30: 스크린 40: 분쇄기30: screen 40: grinder
50: 송풍기 60: 송풍관50: blower 60: blower
61: 몸체 62, 72, 82, 92: 선별망61:
63: 유입구 64: 배출관63: inlet port 64: discharge pipe
65: 이송관 76, 86: 회동차단선별망65:
90: 송풍실 91: 송풍통로90: ventilation chamber 91: ventilation passage
93: 이물질차단선별망 94: 안내면93: foreign matter blocking screen 94: guide surface
95: 충돌판95: crash plate
본 발명은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풍력에 의해 잔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풍력선별장치가 구비된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having a wind sorting device capable of sorting fine aggregates and foreign matter by wind power.
근래 자원의 남용으로 그 매장량이 줄고 더욱 엄격해진 환경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채취에 대한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하면서 천연 골재 또는 건축재의 생산 및 공급은 그 한계점에 도달하였다고 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abuse of resources has reduced its reserves and the use of more stringent environmental standards has resulted in a number of restrictions on harvesting, leading to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natural aggregates or building materials.
이와 같은 천연 골재 공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대안은 바로 각종 철거 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축 또는 토목 폐기물 내의 폐골재를 재활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Almost the only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is limitation of natural aggregate supply is to recycle the waste aggregate in the construction or civil waste from various demolition sites.
그러나, 대부분의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골재는 대부분 그 부피가 크고 입도가 균일하지 않아서 그대로 건설/건축용 재활용 골재로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However, most of the waste aggregate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site is large and its particle size is not uniform,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use as the recycled aggregate for construction / construction.
따라서, 이와 같은 폐골재들을 골재 또는 건축재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가공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인 폐골재 재활용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에 폐골재(A)를 투입하는 투입호퍼 또는 투입콘베이어(1), 투입된 폐골재(A)를 스크린으로 안내하는 콘베이어벨트(2), 콘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온 폐골재(A) 중 그대로 재활용 골재로서 사용 가능한 일정 입도 이하의 것을 선별하여 채집하고 일정 입도 이상의 것은 분쇄기로 투입하는 스크린(3), 및 스크린으로부터 투입된 일정 입도 이하의 폐골재(A)를 파쇄롤러 등을 사용 분쇄하여 재활용 가능한 입도로 만드는 분쇄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refore, a processing operation for making such waste aggregates usable as aggregates or building materials must be performed. A general waste aggregate recycling system, as shown in FIG. The input hopper or the input conveyor (1), the conveyor belt (2) for guiding the injected waste aggregate (A) to the screen, and the waste aggregate (A) conveyed by the conveyor belt can be used as recycled aggregate as it is below a certain particle size. Screening (3) for sorting and collect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into a grinder, and a grinder (4) for crushing the waste aggregate (A) of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or less from the screen into a recyclable particle by crushing using a crushing roller, etc. It is compos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은 부피가 크고 입도 분포가 고르지 않은 폐골재를 일단 스크린으로 조선별한 후 큰 덩어리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가능한 입도의 골재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cessed into a granular aggregate of usable particle size by pulverizing a large lump with a grinder after the shipbuilding sorting the waste aggregate having a bulky and uneven particle size distribution by a screen.
한편, 건설/건축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는 각종 이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러한 상태의 폐기물은 어느 정도 불순물이 걸러진 후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 보통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ste generated from the construction / construction site is mixed with a variety of foreign matter, the waste of this state is usually applied to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fter the impurities are filtered to some extent.
그러나, 원료의 특성 및 경제적인 이유로 이러한 불순물 선별 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는 없으므로,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원료로서 제공되는 폐골재 에는 여전히 어느 정도의 불순물이 섞여 있게 마련이다.However, since the impurity sorting operation cannot be precisely perform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nd economic reasons, some amount of impurities are still mixed in the waste aggregate provided as a raw material to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이렇게 폐골재와 함께 섞여 들어간 불순물이 스크린을 통과하거나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어 최종 재활용 골재에 혼입되면 골재의 품질을 급격히 떨어뜨려 사용 자체가 어렵게 되거나 사용된다 하더라도 그 사용 범위에 큰 제한이 오게 되며, 결과적으로 건축/건설/토목 공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심지어는 안전상에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When impurities mixed with the waste aggregate pass through the screen or are crushed by the crusher and mixed into the final recycled aggregate, the quality of the aggregate is drastically deteriorated, and even if the use itself becomes difficult or used, there is a big limitation on the range of use. This results in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building / construction / civil works, and even creates safety problems.
이와 같은 재활용 골재에의 불순물 혼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종래 불순물을 물에 띄워 제거하는 방식의 부상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As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impurity incorporation into recycled aggregates,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the floating method of removing the impurities by floating them in water.
그러나, 부상법의 경우, 비교적 처리 효율이 높고 품질이 높은 최종 재활용 폐기물을 생산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폐기물 처리후 발생되는 2차폐기물로서의 폐수를 다시 처리해야 하고, 처리 시설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커서 경제적으로 볼 때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However, the float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producing the final recycled waste which is relatively high in processing efficiency and high quality, but it is necessary to reprocess wastewater as secondary waste generated after the waste treatment, and the cost of installing the treatment facility. This is not so economically desirable.
이와 같이 재활용 골재 생산시스템에 사용되는 폐골재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시도를 특허/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64185호에 보면, 금속재 철편, 철근 등의 제거를 위행 자석선별기를 구비함과 더불어, 진동스크린 배출부분에 스크린 배출구보더 더 큰 직경의 직사각형 송풍구를 설치하고 풍력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자 한 시도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Such attempts to remove impurities from waste aggregates used in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s are often found in prior art in patents / utility models,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64185. In addition, there has been disclosed an attempt to remove impurities using a wind turbine by installing a rectangular blow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creen discharge port and providing a magnetic separator for removing the rebar and the like.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106385호에는, 상향송풍되도록 상향경사식으로 송풍기를 구성하고, 맞은편에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이물질저장부 를 구비한 이물질제거수단을 스크린과 반송콘베이어 사이에 설치한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1-106385, between the screen and the conveying conveyor has a foreign matter removing means comprising a blower in an upward inclination type to upwardly blow, and having a foreign matter storage portion for accommodating foreign matter falling on the opposite side. Installed construction waste shredding and sorting systems have been discl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풍력 이용 이물질 제거 시스템들은 장치의 설치가 단순하고 기존의 재활용 골재 생산시스템으로부터 간단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 가능하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물질과 함께 입도가 작은 골재가 함께 날아감으로써, 골재에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폐기되는 이물질에 골재가 혼입되어 이의 폐기가 쉽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wind-powered foreign matter removal systems have the advantages of simple installation of the device, simple design change and manufacture, and economical from the existing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while small particle aggregates fly together with foreign matters. As a result, not only loss occurs in the aggregate, but aggregates are mixed in the foreign matter to be discarded, so that the disposal thereof is not easy.
따라서, 상기 부상법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고품질의 재활용 폐기물을 생산해 낼 수 있으면서도 풍력 이용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경제성을 함께 가지는 새로운 이물질 제거장치가 적용된 재활용 골재 생산시스템의 출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mergence of a recycling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pplied with a new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that can produce high quality recycled waste, which can be said to be an advantage of the floating method, together with the economics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system using wind pow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물질 제거시 폐수 등의 2차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서 다시 처리해야 할 필요가 없고, 이물질과 함께 날라간 작은 입도의 폐골재를 다시 회수할 수 있어서 골재 손실을 막고 이물질의 최종 폐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hat the secondary waste, such as waste water does not occur when removing the foreign matter does not need to be treated again, small particle size blown with the foreign matter It is to provide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that can recover the waste aggregate of the aggregate to prevent the loss of aggregate and facilitate the final disposal of foreign mat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 제거를 위한 장치의 설치가 단순하고 기존의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간단하게 설계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nomical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because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s simple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isting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이밖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과제와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objects,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풍력에 의해 잔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풍력선별장치가 구비된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건식으로 구성되고, 이물질과 혼합되어 분리된 폐골재를 다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경제적인, 풍력선별장치가 구비된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equipped with a wind sorting device capable of sorting fine aggregates and foreign substances by wind power, which is configured to be dry so that waste water does not occur, and recovers the waste aggregate separated and mixed with foreign matters. A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equipped with a wind sorting device, which is simple to use and economical in structur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송풍기와 송풍관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풍력 분리함과 동시에, 송풍관에 스크린을 적용하여 이물질과 함께 유입된 작은 입도의 폐골재는 회수하고 이물질은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waste aggregate with small particle size introduced with the foreign matter at the same time by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wind by using the blower and the blower tube, the screen is applied to the blow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첨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현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서 콘베이어벨트, 분쇄기, 스크린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 크기 등 본 발명의 실질적 내용 및 효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한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관계없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a detailed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r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actual content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specific shape, structure, size of the conveyor belt, crusher, screen Since it is omitted, it is clear that any device that can be appl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제4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송풍실의 충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 pipe of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 pipe of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 pipe of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chamber of a fourth embodiment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lision plate of the blower chamber of FIG. 7.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은, 폐골재(A)를 적재하여 시스템 가동시 콘베이어벨트(20)에 공급하는 호퍼(10); 호퍼(10)로부터 공급된 폐골재(A)를 스크린(30)으로 이동하여 낙하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 콘베이어벨트(20)에 의해 이송된 폐골재(A)중 소정 크기 이하의 것은 재활용 골재로 분리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것은 분쇄기(40)에 공급하는 스크린(30); 스크린(30)으로부터 공급된 폐골재(A)를 정해진 크기 이하의 재활용 가능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기(40); 콘베이어벨트(20)로부터 스크린(30)으로 낙하되는 폐골재(A)의 후단에서 강한 바람을 송풍하여 송풍관(60) 내부로 이물질을 유입시키는 송풍기(50); 및 유입된 이물질중 상대적으로 무겁고 정해진 크기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배출하기 위한 선별망(62)이 하단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철재 송풍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10) for loading the waste aggregate (A) to supply to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콘베이어벨트(20)는 구동모터(21)에 의해 체인(22)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으로서, 작업 환경 구조에 따라 1조 이상의 콘베이어벨트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콘베이어벨트(20)에 의해 공급된 폐골재(A)를 선별하는 상기 스크린(30)은 작업상 필요에 따라, 또는 원하는 재활용 골재의 입도나 품질에 따라 스크린 망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단의 망(31)을 몸체(32)와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린(30)은 상면의 망(31)이 분쇄기(40) 방향으로 경사져 하향하는 경사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망(31)의 눈보다 더 큰 폐골재는 경사진 면을 따라 굴러 분쇄기(40)로 유입되고 망(31)의 눈보다 입도가 더 작은 폐골재는 망(31)을 통과하여 하단에 재활용 골재로서 적재되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분쇄기(40)는 1조 이상의 맞물림 로울러(41)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폐골재를 원하는 크기로 분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 또는 구조의 것을 사용해도 관계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기(50)는, 비교적 무거운 물질인 폐골재를 재료로 한다는 특성상 출력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60)은 원통형의 몸체(61), 송풍기(50)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중 자체 무게와 입도에 의해 낙하하는 폐골재를 재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61) 하단부에 구성되는 선별망(62), 몸체(61)의 송풍기(50) 방향 선단에 몸체(61)에 비해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유입구(63), 몸체(61)의 후단부에 구성되는 이물질 배출관(64), 및 선별망(62)을 통해 배출된 재활용골재를 수집하기 위한 이송관(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여기서, 상기 몸체(6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선별망(62)은 상기 스크린(30)에 구비되는 망(31)에 비해 더 조밀한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이물질과 함께 송풍기(50)로부터 바람에 날려온 폐골재는 직접 스크린(30)에 의해 분류되는 폐골재에 비해 일반적으로 훨씬 더 입도가 작은 것들이기 때문이다.Here,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1실시예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관(60)에서, 송풍기(50)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 중 비교적 가볍거나 크기가 큰 물질은 선별망(62)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부유하여 배출관(64)을 통해 배출된다.In the
그러나, 크기가 작다 하여도 비교적 밀도가 큰 폐골재는 자체 무게에 의해 낙하하게 되며, 이중 입도가 선별망(62)의 스크린 크기에 비해 작은 물질들은 이송관(65)을 통하여 재활용 골재로서 분리된다.However, even if the size is small, the relatively dense waste aggregate falls by its own weight, and material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compared to the screen size of the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서 송풍관(40)의 하부 에 이송관(65)이 구비되는 것은, 바람에 의해 유입된 후 자체 무게와 입도에 의해 재분리된 골재를 재활용 골재로 수집하여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recycle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폐골재중 이물질을 송풍에 의해 분리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출력이 큰 송풍기가 사용되는데, 바람이 너무 강할 경우 오히려 송풍된 이물질중 재활용 가능한 폐골재가 송풍관(60)에서 하부로 낙하하지 못하고 이물질과 함께 배출관(64)으로 배출될 염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in the waste aggregat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blower having a relatively large output, when the wind is too strong, the recycled waste aggregate in the blown foreign matter is lower in the blower tube (60) There is a fear that it will not fall to the
이와 같은 염려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송풍기에는, 중앙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몸체(71) 내부 후단에 구비되는 원형의 회동차단선별망(76)이 더 구성된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concern, in the blower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이 경우,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송풍관(7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71), 송풍기(50)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중 자체 무게와 입도에 의해 낙하하는 폐골재를 재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71) 하단부에 구성되는 선별망(72), 중앙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몸체(71) 내부 후단에 구비되는 원형의 회동차단선별망(76), 몸체(71)의 송풍기(50) 방향 선단에 몸체(71)에 비해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유입구(73), 몸체(71)의 후단부에 구성되는 이물질 배출관(74), 및 선별망(72)를 통해 배출된 재활용골재를 수집하기 위한 이송관(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이와 같이 송풍관(70)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회동차단선별망(76)는 유입구(73)를 통하여 유입되는 바람 자체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와류를 일으키는 동시에, 너무 강한 바람에 의해 이물질과 함께 몸체(71) 후단부까지 날아온 재활용 가능 폐골재가 소정 각도로 선별망에 부딪쳐 낙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며, 바람의 흐름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부유하는 이물질은 망 크기와 관계 없이 통과시켜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As such,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회동차단선별망(86)은 이물질과 재활용 가능 폐골재의 분리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앙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3개의 반원형 선별망이 구비되며 몸체(81) 내부 후단에 구비되는 회동차단선별망(86)의 형태로 구성된다.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이 경우,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송풍관(8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81), 송풍기(50)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중 자체 무게와 입도에 의해 낙하하는 폐골재를 재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81) 하단부에 구성되는 선별망(82), 중앙부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3개의 반원형 선별망이 구비되며 몸체(81) 내부 후단에 구비되는 회동차단선별망(86), 몸체(81)의 송풍기(50) 방향 선단에 몸체(81)에 비해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유입구(83), 몸체(81)의 후단부에 구성되는 이물질 배출관(84), 및 선별망(82)을 통해 배출된 재활용골재를 수집하기 위한 이송관(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에 비해 바람에 대한 더 큰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이물질과 재활용 가능 폐골재의 분리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더 강한 송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urther improve separation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and recyclable waste aggregate by providing greater resistance to wind tha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us a stronger blower It becomes usable.
다음에, 본 발명 제4실시예로서, 송풍관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가 통공되고 하면을 제외한 3면이 밀폐되어 구성되는 송풍통로(91); 송풍기(50)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중 자체 무게와 입도에 의해 낙하하는 폐골재를 재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통로(91) 하면에 하향 경사져 설치되는 선별망(92); 상단이 송풍기(50)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송풍통로(91)의 후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이물질차단선별망(93); 및 선별망(92)의 반대측에서 선별망(92) 중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설치되는 안내면(94)을 포함하는 송풍실(9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Next, a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tube includes: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 선별망(92)은 경사져 설치됨으로써, 무겁고 입도가 작은 재활용 가능 폐골재는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30)으로 배출하고, 입도가 비교적 크고 가벼운 이물질은 스크린(30)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the
안내면(94)은 일부 재활용 가능 골재가 선별망(92) 하단부에 직접 낙하하여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지 않고 선별망(92)의 중단부 이상의 부분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이물질차단선별망(93)은 송풍기(50)에 의해 유입된 이물질이 그대로 송풍통로(91)의 후단부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의 선별망(92)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foreign matter blocking screen (93) serves to allow foreign matter introduced by the blower (50) to fall to the sorting network (92) of the lower portion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rear end of the blow passage (91).
한편,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제4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실 벽면의 일측에는 1개 이상의 수직 고정된 충돌판(95)을 구비하여 재활용 가능 골재나 이물질이 이물질차단선별망(93)에 부딪치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분리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 at least one vertically fixed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의 구성은 이상과 같이 상술한 구현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현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한 기술적 사상이 전혀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이 주지되어야 할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used in various modifications to other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t all It should be noted that it may not be compromi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폐골재(A)를 적재하여 공급하는 호퍼(10); 호퍼(10)로부터 공급된 폐골재(A)를 스크린(30)으로 이동하여 낙하시키는 콘베이어벨트(20); 이송된 폐골재(A)중 소정 크기 이하의 것은 재활용 골재로 분리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것은 분쇄기(40)에 공급하는 스크린(30); 공급된 폐골재(A)를 정해진 크기 이하의 재활용 가능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기(40); 스크린(30)으로 낙하되는 폐골재(A)의 후단에서 강한 바람을 송풍하여 송풍관(60) 내부로 이물질을 유입시키는 송풍기(50); 및 선별망(62)이 하단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철재 송풍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이물질 제거시 폐수 등의 2차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서 다시 처리해야 할 필요가 없고, 이물질과 함께 날라간 작은 입도의 폐골재를 다시 회수할 수 있어서 골재 손실을 막고 이물질의 최종 폐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제거를 위한 장치의 설치가 단순하고 기존의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에 간단하게 설계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을 제공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As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secondary wastes such as waste water do not need to be treated again when removing foreign matters, and thus, waste aggregates of small particle size blown with foreign matters can be recovered to prevent aggregate loss and the final In addition to facilitating disposal, the installation of a device for removing debris is simple and the design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to provide an economical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system.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현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788A KR100559483B1 (en) | 2005-06-27 | 2005-06-27 |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5788A KR100559483B1 (en) | 2005-06-27 | 2005-06-27 |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9483B1 true KR100559483B1 (en) | 2006-03-10 |
Family
ID=3717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5788A KR100559483B1 (en) | 2005-06-27 | 2005-06-27 |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9483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979B1 (en) * | 2013-09-13 | 2013-12-05 | 홍상용 | Surface treatment dust dry process disposal method and device |
KR101744944B1 (en) * | 2016-09-23 | 2017-06-08 | 이호성 | an apparatus for wind-weight screening |
KR102022653B1 (en) * | 2019-05-02 | 2019-09-20 | 문재경 |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apparatus with escape preventing guide and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022643B1 (en) * | 2019-01-21 | 2019-09-20 | 문재경 |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apparatus and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11822485A (en) * | 2020-07-13 | 2020-10-27 | 深圳市弗塔信息技术有限公司 | Mobile phone screen recycling and reusing treatment machine and treatment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9059A (en) * | 2002-04-04 | 2002-04-17 | 김도근 | Waste selector |
KR20020084247A (en) * | 2001-01-24 | 2002-11-04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User interface for collecting viewer ratings of media content and facilitating adaptation of content recommenders |
-
2005
- 2005-06-27 KR KR1020050055788A patent/KR10055948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4247A (en) * | 2001-01-24 | 2002-11-04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User interface for collecting viewer ratings of media content and facilitating adaptation of content recommenders |
KR20020029059A (en) * | 2002-04-04 | 2002-04-17 | 김도근 | Waste selecto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20029059 |
2002842470000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979B1 (en) * | 2013-09-13 | 2013-12-05 | 홍상용 | Surface treatment dust dry process disposal method and device |
KR101744944B1 (en) * | 2016-09-23 | 2017-06-08 | 이호성 | an apparatus for wind-weight screening |
KR102022643B1 (en) * | 2019-01-21 | 2019-09-20 | 문재경 |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apparatus and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2022653B1 (en) * | 2019-05-02 | 2019-09-20 | 문재경 |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apparatus with escape preventing guide and ready mixed concret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11822485A (en) * | 2020-07-13 | 2020-10-27 | 深圳市弗塔信息技术有限公司 | Mobile phone screen recycling and reusing treatment machine and treatment method |
CN111822485B (en) * | 2020-07-13 | 2021-02-12 | 深圳市弗塔信息技术有限公司 | Mobile phone screen recycling and reusing treatment machine and treatment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2847B1 (en) | Sel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material | |
KR101685120B1 (en) | Dispose of construction debris in sediment sorting device | |
KR100544233B1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ggregate having air circulation type removing apparatus of impurity and dust | |
KR101223668B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waste from constructionwaste matter | |
KR20050044873A (en) | Apparatus for classifying construction wastes and method thereof | |
KR100559483B1 (en) | Recycled aggregate producing system | |
JP2006088087A (en) | Sand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1685025B1 (en) | Sort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waste | |
KR101464647B1 (en) | Aggregate-powder separative production equipment | |
KR100358687B1 (en) | The constructive recycling methods and instruments of Reclaimed waste. | |
JP3342851B2 (en) | Mixed waste separation system | |
KR200266263Y1 (en) | A system of crushing and sorting the construction wastes | |
KR100467868B1 (en) | A system of crushing and sorting the construction wastes | |
JP2006150312A (en) | Wind power sorting device | |
KR100465313B1 (en) | Appratus for re-used appregate | |
KR100595006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of sorting machine of reclaimed stones | |
KR100494579B1 (en) | Waste selector | |
KR102051412B1 (en) |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 |
KR200418149Y1 (en) |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 |
KR100458286B1 (en) | The foreign material quality sorting system which is included in form improvement and the inside of the aggregate particle | |
KR200236742Y1 (en) |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 |
KR200363038Y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sand and wastes from reclaimed stones | |
KR200317272Y1 (en) | Scrapped Material Crusher | |
KR101629369B1 (en) | System for separate wast vinyl | |
KR100749830B1 (en) | 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