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34B1 - A Dismonuting Stair Form - Google Patents

A Dismonuting Stair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34B1
KR100557334B1 KR1020030058979A KR20030058979A KR100557334B1 KR 100557334 B1 KR100557334 B1 KR 100557334B1 KR 1020030058979 A KR1020030058979 A KR 1020030058979A KR 20030058979 A KR20030058979 A KR 20030058979A KR 100557334 B1 KR100557334 B1 KR 100557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
block
lightweight concrete
bol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1772A (en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3005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334B1/en
Publication of KR2005002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stairs or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무해체 계단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이격된 각 바닥면 사이에 경사 연결되며 상기 바닥면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별로 병렬 배치되고, 일측은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ㄴ'형상의 프레임; 상기 인접한 각 프레임에 걸쳐져서 상기 각 프레임을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며, 상기 각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볼트 관통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계단 슬라브판넬;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의 양끝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별로 고정되는 다수의 경량 콘크리트 블록; 상기 각 계단 슬라브판넬의 관통구를 하향 관통하여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의 상부에서 인접한 상기 각 볼트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타이; 상기 타이가 소정높이로 이격되도록 상기 타이의 하부로 상기 각 볼트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배치구조를 따라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계단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슬라브의 시공 전이라도 계단을 먼저 시공할 수 있고, 적절한 철근 배근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제거할 필요없이 건축물의 계단으로 그대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의 무해체 계단 거푸집을 제시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ngible stair formwork, which is inclinedly connected between spaced apart floors and is arranged in parallel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side of which extend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A 'b' shaped fram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stair slab panels that span each adjacent frame to connect the frame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form bolt through holes therein for connecting the frames; A plurality of lightweight concrete blocks positioned on both ends of the stair slab panel and fixed to the stair slab pan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A plurality of bolts penetrating down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each stair slab panel and connecting the stair slab panel and the frame; A plurality of ties fitted to the adjacent bolts at the top of the stair slab panel to connect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pacers which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bolts to the bottom of the tie so that the tie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lurality of staircase blocks coupled to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s and corresponding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estructible stair form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step ev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can be used as it is as a staircase of the building without having to remove even after the concrete placing through the appropriate reinforcement.

계단, 거푸집, 모르타르, 경량 콘크리트, 타이, 블럭, 프레임Stairs, Formwork, Mortar, Lightweight Concrete

Description

무해체 계단 거푸집{A Dismonuting Stair Form}A Dismonuting Stair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계단 거푸집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disassembled stair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푸집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formwork shown in FIG.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프레임 200 : 경량 콘크리트 블럭 100: frame 200: lightweight concrete block

300 : 계단 블럭 400 : 스페이서 300: stair block 400: spacer

500 : 타이 600 : 계단슬라브 판넬500: tie 600: stair slab panel

700 : 볼트 710 : 보조볼트700: bolt 710: auxiliary bolt

1000 : 계단 거푸집 2000 : 바닥면1000: Step Formwork 2000: Floor

본 발명은 무해체 계단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높이로 이격된 두 바닥면에 프레임의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계단 슬라브판넬, 경량 콘크리트 블럭, 스페이서, 타이, 계단블럭을 적조하고, 헤드부에 축선방향으로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 및 보조볼트로 상기 구성요소를 체결하는 무해체 계단 거 푸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ngible stair form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fix both ends of the frame to the two bottom surfaces sp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o the step of applying a stair slab panel, lightweight concrete block, spacer, tie, step block to the frame. And it relates to a non-disassembled stair form for fastening the components with bolts and auxiliary bolts formed with female threads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계단실을 만들고 나서 계단을 시공하는데, 소정높이로 대면하는 두 바닥면을 연결할 계단 바닥 거푸집을 설치하고 배근 작업과 상판 거푸집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계단 바닥 거푸집의 설치 시에는 상기 바닥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함으로써 작업장이 복잡해지고, 계단 상판 거푸집은 디딤판의 규격에 따라 제작되므로 각각의 결합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했다.In general, the construction site is to create a staircase, then construct the staircase, to install the staircase floor formwork connecting the two floors facing the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reinforcement work and the top plate formwork. 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stair floor formwork is complicated by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members for supporting the floor formwork, and the stair deck formwork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stepping plate, so much time and effort must be invested in each joining work. did.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은 목수들이 현장에서 도면에 따라 합판과 각재를 절단가공하여 거푸집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해체해야 하므로 해체과정에서 대부분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하며 오히려 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이중 부담이 되었다.In addition, these conventional formwork is carpenters cut the plywood and lumber according to the drawings in the field to make the formwork, and then cast concrete and dismantle the form after curing, most of which are damaged during the disassembly process is not reused, rather than garbage It became a double burden to deal with.

이러한 상황에서 거푸집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 현재 건설업계는 슬라브 거푸집 분야에서 테크플레이트를 통해 하나의 변화가 시도되고 있으나, 계단 거푸집 분야에 대해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이 재래식 합판 거푸집을 사용한 공법을 계속 시행하고 있다.Under these circumstances, research on formwork has been promoted,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currently trying to make a change through the technology plate in the slab formwork field, but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ventional plywood formwork without any obvious change in the step formwork field is continued. have.

한 때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계단 거푸집의 규격화를 시도하였으나, 알루미늄의 재료적 한계인 공기중 산화와 가격 경쟁력의 열세로 시장진입에 실패한 것이 전부였다.At one time, aluminum was used to standardize stair formwork, but all failed to enter the market due to the oxidation of air, which is a material limitation of aluminum, and the inferior price competitiveness.

따라서, 아파트 건설현장 등에서 목수들의 못질에 의존하는 종래의 합판 거푸집의 사용은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모되고 한번 사용된 거푸집은 다시 활용하기 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 of conventional plywood formwork, which depends on carpenter's nail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an apartment,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and it is difficult to reuse the formwork once used.

또한, 평면이 아닌 경사면에 다수의 디딤판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상의 어려움도 많고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규격화된 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mwork for forming a plurality of stepping plates on the inclined surface rather than the plane must be constructed, there are many problems in construc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standardized foam that can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거푸집의 구성요소가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도 계단과 일체화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of the formwork is to be integrated with the stair even after the concrete by the step of dismantling the formwork without the need for dismantling the separate formwork. To provide.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벽체 상단부에 'ㄷ'형강과 같은 부재가 1개만 설치되면 슬라브 공사 이전에 계단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브 거푸집 공사를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one member, such as' '' section steel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all so that the staircase can be built before the slab construction to ensure the passage for the slab formwork construction is a harmless staircase To provide the formwork.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프레임으로 계단 거푸집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하여 별도의 거푸집 지지부재없이 계단 거푸집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인력과 시간소모를 방지하고, 정돈된 건설현장을 구현하기 위한 무해체 계단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 formwork with a frame to be able to construct the step formwork without a separate formwork supporting member, to prevent manpower and time consumption, to implement an orderly construction site To provide a non-disassembled stair formwork.

아울러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계단 거푸집의 구성요소를 규격화하여 공장생산화 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일일이 거푸집을 제작할 필요없는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해체 계단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r and more efficient and non-destructible stair formwork without the need to manufacture the formwork on the site, because the components of the stair formwork can be standardize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이격된 각 바닥면 사이에 경사 연결되며 상기 바닥면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별로 병렬 배치되고, 일측은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ㄴ'형상의 프레임(100);

The above objects are inclinedly connected between the spaced apart bottom surface and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side is extend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ide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B' shaped frame 100;

상기 인접한 각 프레임(100)에 걸쳐져서 상기 각 프레임(100)을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며, 상기 각 프레임(100)을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볼트 관통구(610)를 형성하는 다수의 계단 슬라브판넬(600);A plurality of stair slabs spanning each adjacent frame 100 to connect each frame 100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o form a bolt through hole 610 therein for connecting the frames 100. Panel 600;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양끝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별로 고정되는 다수의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A plurality of lightweight concrete blocks 200 positioned on both ends of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fixed to the stair slab panel 6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상기 각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관통구(610)를 하향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판(600)과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700);A plurality of bolts 700 penetrating down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s 610 of the stair slab panels 600 to connect the bolt fastening plate 600 and the frame 100;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상부에서 인접한 상기 각 볼트(70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타이(500);A plurality of ties 500 fitted to the adjacent bolts 700 at the top of the stair slab panel 600 to connect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s 200 to each other;

상기 타이(500)가 소정높이로 이격되도록 상기 타이(500)의 하부로 상기 각 볼트(700)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400); 및A plurality of spacers 400 fitted to the respective bolts 700 to the bottom of the tie 500 so that the tie 500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과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배치구조를 따라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계단블럭(300);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It can be achieved by a plurality of staircase block 300 is coupled to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corresponding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frame 100.

그리고, 상기 볼트는 상기 볼트(700)는 상기 계단블럭(300),경량 콘크리트 블록(200), 타이(500) 및 스페이서(400)가 끼워지는 헤드부(300b)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olt 700 is a female screw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300b to which the step block 300,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the tie 500, and the spacer 400 are fit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tructure.

또한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은 상기 계단 블록(300)과 결합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 상부에 돌출되어 볼트 삽입구(211)가 형성되며, 타측은 경량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된 'ㄱ'형상의 고정 보철물(21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coupled to the stair block 300, one side is protruded on the top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form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211,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ightweight concrete' It is preferable that a '' shaped fixed prosthesis 210 is provided.

또한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과 계단 블록(300)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볼트 관통구(710)와 나사 관통구(720)를 형성한 연결 보철물(700)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nection prosthesis 700 having a bolt through hole 710 and a screw through hole 720 formed therein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stair block 300.

상기 볼트(700)는 계단의 경사면과 연직방향을 이루면서 체결되는 배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lt 700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rrangement structure which is fastened while making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airs.

아울러, 상기 각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이 대응 결합되도록 형강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형강의 수직면에 상기 각 프레임이 양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단은 상기 수직면에 대응하여 부분절개 및 절곡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bottom surf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tion steel so that both ends of the frame correspondingly coupled, and both ends of the frame is partially cut in correspondence to the vertical surface so that both ends of the frame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ection steel It is preferably a bent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분명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부터 더 분명해 질 것이다.
Other objects, obviou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계단 거푸집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 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demolition step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000)은 건축물의 상하층간수직동선으로 사용되는 이동통로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건축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인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ormwork.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formwork (1000) is to form a staircase,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architectural design, as well as function as a mobile passage used as vertical vertical inter-floor vertical line of the building.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계단 거푸집(1000)은 프레임(100), 계단 슬라브판넬(600),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 스페이서(400), 타이(500), 계단블럭(300) 및 헤드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on-disassembled stair formwork 10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100, a stair slab panel 600, a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 spacer 400, a tie 500, a stair block 300 And a bolt 700 formed with a female thread in the head portion.

상기 거푸집(1000)을 시공하기 위해서, 먼저 소정높이로 이격된 두개의 바닥면에 프레임(100)을 설치한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formwork 1000, first, the frame 100 is installed on two bottom surfaces sp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프레임(100)은 상기 바닥면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별로 병렬 배치되고, 일측은 경사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ㄴ'형상의 부재이다.Frame 100 is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side is upward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the other side is a 'b' 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상기 프레임(100)에는 계단 슬라브판넬(600),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 스페이서(400), 타이(500), 계단블럭(3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데, 이 때, 헤드부에 암나사가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볼트(700)와 보조볼트(710)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체결하여 구성된다.In the frame 100, a stair slab panel 600, a light weight concrete block 200, a spacer 400, a tie 500, and a stair block 300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bolt 700 and the auxiliary bolt 710 formed in the direction is configured by faste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이 때 계단이 하중을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타이(500) 상에 철근을 필요한 만큼 배근하여 거푸집(1000)을 완성한다. 그리고 거푸집(1000) 상의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과 계단블럭(300) 사이에 생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을 완성한다. 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on the tie 500 as necessary so that the stairs can bear the load better to complete the formwork (1000). T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step block 300 on the formwork 1000 to complete the stairs.

이 후 완성된 계단은 외관을 형성하는 계단블럭(300)과 프레임(100) 및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은 그대로 계단과 일체화되므로 따로 거푸집(1000)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Thereafter, the completed stairs do not need to release the formwork 1000 separately because the stairs block 300 and the frame 100 and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forming the exterior are integrated with the stairs as they are.

이하에서는 거푸집(1000)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formwork 1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프레임(100)은 일측은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ㄴ'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소정높이로 이격된 2개의 바닥면에 대해 양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100)의 양단은 계단이 형성되는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에 미리 설치된 'ㄴ형강'(100a)과 각각 고정 보철물(800)에 의해 고정된다. The frame 100 has a 'b' shape structure in which one side extend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id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wo bottom surfaces spaced at a predetermined height. .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rame 100 is fixed by the 'b-shaped steel' (100a) and the fixed prosthesis 800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wall surrounding the space in which the stairs are formed.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형강(100a)은 일측이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향연장되고 타측은 계단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ㄴ'형상이다. 그리고, 계단실을 형성하는 벽체를 시공할 때 계단이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의 높이에서 계단에 직각방향으로 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형강(100a)의 상향연장된 양면이 부분 절개되면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기 형강(100a)의 바닥면이 벽체에 삽입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형강(100a)은 상하단 슬라브가 시공되기 이전에도 계단의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계단이 먼저 형성되어 슬라브의 시공을 돕도록 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ection steel 100a has a 'b' shape in which one side is extend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sid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airs are formed. And, when constructing the wall forming the staircase the upper side of the steel beam (100a) to be fixed to the wall at right angles to the stairs at the height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tep is partially cut in the relatively protrud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ped steel 100a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wall. Therefore, the shape steel 100a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100 of the stairs even before the upper and lower slabs are installed, so that the stairs may be formed first to help the construction of the slabs.

프레임(100)은 계단의 경사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단은 형강(100a)과 각도를 가진 상태에서 만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양단은 계단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형강(100a)의 측면과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보철물(800)은 프레임(100)과 형강(100a)의 밑면바닥에 위치하게 되며 계단이 이루는 각도만큼의 각도를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Since the frame 100 is form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tairs, both ends meet at an angle with the shape steel 100a.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rame 100 are bolted by the side of the shaped steel (100a) extending in the step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rosthesis (800). Therefore, the connecting prosthesis 80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rame 100 and the shape steel 100a and has a shape having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stairs.

또한 프레임(100)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재에 후술할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볼트 체결구(110)를 구비한다. 이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fram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olt fasteners 110 to couple with the step slab panel 60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memb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계단 슬라브판넬(600)은 상기 인접한 각 프레임(100)에 걸쳐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100)과 볼트 결합하기 위해 2개의 볼트 관통구(도면 미도시)를 구비하며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The stair slab panel 600 is coupled over each adjacent frame 100. Therefore, there are two bolt through holes (not shown) in order to bolt to the frame 100 therein and has a rectangular shape.

즉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프레임(100)에 걸쳐지게 되고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관통구(도면 미도시)는 각각의 프레임(100)에 형성된 볼트 체결구(110)와 대응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볼트(700)의 수나사(700a)가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어 진다.That is, the stair slab panel is spread over two frames 100 facing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stair slab panel 600 is formed with a bolt fastener 110 formed in each frame 100. Will be located correspondingly. Thus, the male screw 700a of the bolt 700 is coupled to the nut through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즉 도면에서는 계단의 폭을 구성하는 양끝의 2개와 중앙에 인접하는 2개합하여 총 4개의 프레임(1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일단의 계단에는 2개의 계단 슬라브판넬(600)이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은 프레임(100)의 외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속 두고 배치된다. That is, in the figure, a total of four frames 100 are installed by combining two of the two ends forming the width of the stairs and two adjacent to the center, and two stair slab panels 600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stairs. . In addition, the stair slab panel 60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0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은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양끝단 상부에 계단의 경사방향으로도 연속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은 일측이 내부에 삽입된 'ㄱ'형상의 고정 보철물(2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 보철물(210)은 일측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 상부에 돌출되어 보조볼트(710)가 관통하는 볼트 삽입구를 형성하며, 타측은 경량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tairs on both ends of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has a fixed prosthesis 210 of the 'b' shape is inserted into one side. That is, the fixed prosthesis 210 has one side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to form a bol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bolt 710 penetrates,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ightweight concrete.

따라서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과 계단의 틀을 형성하는 계단 블록(300)과의 연결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의 고정 보철물(210)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를 관통하는 보조 볼트(710)로 가능하며, 이 때 상기 보조 볼트(710)는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관통하는 볼트의 헤드부(300b)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는 스페이서(400), 타이(500)가 끼워진다.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stair block 300 forming the frame of the stairs is possible by the auxiliary bolt 710 penetrating the bol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prosthesis 210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n this case, the auxiliary bolt 710 is connected and fixed by being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formed in the head portion 300b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In this case, the spacer 400 and the tie 500 are fitted to the head of the bolt 700.

스페이서(400)는 볼트(700)의 헤드부에 해당하는 내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서,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고정하는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 각각 끼워져 타이(500)를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Spacer 400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700, is fitt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700 for fixing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respectively, tie (500) ) Is spaced apart from the stair slab panel 600.

타이(500)는 폭보다 긴 길이의 길쭉한 부재로써,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볼트(700)의 헤드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볼트(700) 간을 연결한다. The tie 500 is an elongated member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is fitted to the head portions of the bolts 700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op of the stair slab panel 600 to connect the bolts 700. .

이러한 타이(500)는 스페이서(400)에 의해 지지되고, 거푸집(1000)의 철근 배근시 철근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묻힐 수 있도록 철근과 계단 슬라브판넬(600)과의 간격을 유지해 준다. The tie 500 is supported by the spacer 400 and maintains a gap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step slab panel 600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of the formwork 1000 may be buried in the poured concrete.

계단블럭(300)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배치구조를 따라 대응하여 배치되어 계단 디딤판의 외곽을 형성한다.The staircase block 3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corresponding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frame 100 to form an outline of the stepping step.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계단블럭(300)은 계단 디딤판의 외곽면을 형성하는 'ㄷ'형상인데 중앙이 절개되어 계단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된다. 이러한 계단블럭(300)의 측면을 형성하는 면은 계단 경사면을 따라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과 수직으로 결합되고, 계단블럭(300)의 정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계단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의 전달이 원활하도록 타이(50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다. In more detail, the stair block 300 is a 'c' shape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ing step, the center is cut off and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aircase. The surface forming the side of the stair block 300 is vertically coupled with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long the step slope, the front of the step block 300 is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transferred to the bottom along the step slope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tie 500 to smoothly.

그리고, 계단블럭(300)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이 구비한 것과 같게 역'ㄴ'자 형상의 2개의 고정 보철물(3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 보철물(310)은 일측은 상기 계단블럭(300)하부 밖으로 돌출되어 볼트(720)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구를 형성하며, 타측은 계단블럭 (3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aircase block 300 includes two fixed prostheses 310 having an inverted 'b' shape as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provided to couple with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That is, the fixed prosthesis 310 has one side protruding out of the bottom of the step block 300 to form a bol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olt 720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tep block 300.

또한 상기 계단블럭(300)은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과 연결 보철물(900)에 의해 연결되어 진다. In addition, the stair block 300 is connected by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connecting prosthesis 900.

연결 보철물(9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결합구를 구비하되, 하나는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의 고정 보철물(210)에 결합되는 보조볼트(710)와, 나머지 하나는 계단블럭(300)의 고정 보철물(310)에 결합되는 볼 트(720)와 각각 결합하게 되고, 상기 연결 보철물(900)은 상기 각각의 고정 보철물(210, 310) 상부에 걸쳐 결합되어 진다.The connecting prosthesis 900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as shown, and has two coupling holes, one of which is an auxiliary bolt 710 coupled to the fixed prosthesis 210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other one The bolts 720 are coupled to the fixed prostheses 310 of the step block 300,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rostheses 900 are coupled over the respective fixed prostheses 210 and 310.

따라서 도시된 일시시예에 의하면 계단의 한면에는 2개의 계단블록(300)이 설치되고,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은 4개가 설치되며 연결 보철물(900)은 4개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계단의 폭에 따라서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temporary embodiment, two stair blocks 300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airs, four lightweight concrete blocks 200 are installed, and four connecting prostheses 900 are required. This can of course increase and decrease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stairs.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양단이 각각 바닥면과 슬라브에 볼트결합으로 고정되어 있고, 계단 슬라브판넬(600)이 계단 경사방향을 따라 프레임(100) 위에 적조되고, 고정수단인 볼트 중심축 상으로 스페이서(400), 타이(500)가 체결되어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As shown in FIG. 3, both ends of the frame 100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lab by bolt coupling, respectively, and the step slab panel 600 is reddened on the frame 100 along the step slope direction, and fixing means. The spacer 400 and the tie 500 are fastened on the in-bolt central axis.

프레임(100)은 일측이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은 상층 슬라브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형강(100a)에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볼트결합되고, 하단은 하층 슬라브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형강(100a)과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또한 프레임(100)과 형강(100a)의 체결은 볼트결합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리벳팅같은 체결수단이나 용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ram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extend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id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0 is bolted by the connecting prosthesis 800 to the section steel (1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lab,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0 and the connecting prosthesis (10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lab ( And bolted together). In addition, the fastening of the frame 100 and the shaped steel (100a) is not limited to the bolt coupling, fastening means such as riveting or welding may be used.

이러한 프레임(100)의 체결구조는 계단이 설치되는 상단과 하단의 슬라브 바닥면에 접한 벽면에 단 한 개의 'ㄴ'형강과 같은 소정의 형강(100a)이 설치되어 있어도 슬라브 공사 이전에도 계단 거푸집(1000)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을 상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바닥면에 접한 벽면에 형강(100a)이 배치되어 상기 형강(100a)에 프레임(100)의 일단을 볼트결합하면 비록 슬라브 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도 계단 공사를 할 수 있고, 아울러 슬라브 공사를 위한 통로로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rame 100 is a step formwork before the slab construction even if a predetermined section (100a), such as a single 'b' section steel is installed on the wall contacting the slab bottom surface of the top and bottom is installed stairs ( It is assumed that 1000 can be constructed. That is, when the section steel (100a) is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bolted to one end of the frame 100 to the section steel (100a), even if the slab construction is not made in the situation can be a stair construction, and also slab It can be used as a passageway for construction.

프레임(100)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진 부재인데,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볼트결합이 되도록 볼트 체결구(110)를 구비한다.As mentioned above, the frame 100 is a memb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bolt fastener 110 to be bolted to the stair slab panel 600.

볼트체결판(600)은 직사각현의 판상 부재로서, 상기 인접한 프레임(100)에 걸쳐서 결합된다. 또한 계단 슬라브판넬(600)은 상기 프레임(100)과 결합하기 위해 관통구(도면 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체결판(600)의 관통구(도면 미도시)는 상기 볼트(700)의 수나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lt fastening plate 600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and is coupled over the adjacent frame 100. In addition, the stair slab panel 60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coupling with the frame 100. Th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bolt fastening plate 600 preferably has a diameter enough to allow the male screw of the bolt 700 to pass therethrough.

따라서 상기 볼트(700)의 수나사는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 및 하부에 있는 프레임(100)의 볼트 체결구(110)를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고, 상기 볼트(700)에 의해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male thread of the bolt 700 is coupled to the nut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bolt fastener 110 of the frame 100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bolt 700. By the step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is to be coupled.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은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양끝단 상부에 계단의 경사방향으로도 연속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은 일측이 내부에 삽입된 'ㄱ'형상의 고정 보철물(2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 보철물(210)은 일측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 상부에 돌출되어 볼트 삽입구(211)를 형성하며, 타측은 경량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tairs on both ends of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has a fixed prosthesis 210 of the 'b' shape is inserted into one side. That is, the fixed prosthesis 210 has one side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to form a bolt insertion hole 211,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lightweight concrete.

따라서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과 계단의 틀을 형성하는 계단 블록(300)과의 연결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의 고정 보철물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삽입구를 관통하는 보조 볼트(710)로 가능하며, 이 때 상기 보조 볼트(710)는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관통하는 볼트의 헤드부(300b)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는 스페이서(400), 타이(500)가 끼워진다.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stair block 300 forming the frame of the stairs is possible by the auxiliary bolt 710 penetrating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prosthesis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n this case, the auxiliary bolt 710 is connected and fixed by being fastened to a female screw formed in the head portion 300b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In this case, the spacer 400 and the tie 500 are fitted to the head of the bolt 700.

계단블럭(300)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배치구조를 따라 대응하여 배치되어 계단 디딤판의 외곽을 형성한다. 또한 계단의 상판은 개방되어 있고 계단블럭(300)의 정면은 상단으로부터 타이(500)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다. The staircase block 3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corresponding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frame 100 to form an outline of the stepping step. In addition, the top plate of the staircase is open and the front of the stair block 300 is formed from a top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tie 5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계단블럭(300)이 계단의 측면을 이루는 부분에서는 계단의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어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의 상단과 결합하게 되며, 상기 계단블럭(300)의 상판은 외곽면만을 상기 블럭(300)이 둘러싸고 내부는 비어 있다. 계단블럭(300)의 상판이 막혀 있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낮게 했을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유동이 심하지 않아 윗계단을 채우는 콘크리트의 압력이 아래계단에 채워진 콘크리트로 전해지지 않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step block 300 is a portion forming the side of the stairs exten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airs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the upper plate of the step block 300 is the outer surface only the block 300 ) And the inside is empty. When the upper plate of the stair block 300 is not blocked, when the slump of the concrete is lowered,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not so severe that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filling the upper stairs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crete filled in the lower stairs.

여기서 슬럼프란, 높이 30cm의 깔때기 형상의 바케스에 콘크리트를 가득 채우고 뒤집은 후 바케스를 제거했을 때, 상기 콘크리트가 무너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슬럼프 값이 작을수록 상기 콘크리트는 된(수분이 적은) 상태의 콘크리트 반죽인 것이고, 슬럼프 값이 커질수록 더 묽은(수분이 많은) 콘크리트 반 죽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슬럼프 값은 계단블럭(300)의 상단으로 콘크리트가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값을 선택해서 사용된다. Here, the slump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concrete collapses when the fungus-shaped bacques having a height of 30 cm are filled with concrete and turned over, and then the bacques are removed. Thus, the smaller the slump value, the more concrete the concrete dough in the crushed (less moisture) state, and the higher the slump value, the thinner (moisture) concrete kneading. Therefore,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mp value is us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value such that the concrete does not flow out to the top of the step block 300.

그리고, 계단블럭(300)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이 구비한 것과 같게 역'ㄴ'자 형상의 2개의 고정 보철물(3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 보철물(310)은 일측은 상기 계단블럭(300)하부 밖으로 돌출되어 볼트(720)가 관통하는 볼트 삽입구를 형성하며, 타측은 계단블럭(3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aircase block 300 includes two fixed prostheses 310 having an inverted 'b' shape as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provided to couple with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That is, the fixed prosthesis 310 has one side protruding out of the bottom of the step block 300 to form a bol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bolt 720 penetrates,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tep block 300.

또한 상기 계단블럭(300)은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과 연결 보철물(900)에 의해 연결되어 진다. 연결 보철물(9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볼트 결합구를 구비하며, 하나는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의 고정 보철물(210)에 결합되는 보조볼트(710)와, 나머지 하나는 계단블럭(300)의 고정 보철물(310)에 결합되는 볼트(720)와 각각 결합하게 되고, 상기 연결 보철물(900)은 상기 각각의 고정 보철물(210, 310) 상부에 걸쳐 결합되어 진다.In addition, the stair block 300 is connected by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connecting prosthesis 900. The connecting prosthesis 900 has two bolted fittings as shown, one is the auxiliary bolt 710 is coupled to the fixed prosthesis 210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other is a step block 300 The coupling prostheses 900 are coupled to the bolts 720 coupled to the fixed prostheses 310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ed prostheses 310 and 310, respectively.

스페이서(400)는 타이(500)를 계단 슬라브판넬(60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 끼움결합된다. The spacer 400 is a cylindrical member that separates the tie 500 from the step slab panel 600 and is fitted to the head of the bolt 700.

이러한 스페이서(400)의 높이는 계단의 시공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내경은 볼트(700)의 헤드부가 관통되기에 충분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spacer 40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purpose of the stairs, the inner diameter is preferably enough to penetrate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700.

타이(500)는 볼트(700)의 헤드부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0) 상단에 놓이도록 볼트(700)의 헤드부에 끼움결합되는데, 계단 횡방향의 각 볼트(700)의 헤드부를 연 결하여 볼트(700) 상호간을 고정하고 배근되는 철근을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에 완전히 묻힐 수 있도록 해 준다. The tie 500 is fitted to the head of the bolt 700 to be placed on the top of the spacer 400 that is fitted to the head of the bolt 700, by connecting the head of each bolt 7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tairs The bolts 70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separated from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can be completely buried in concrete.

상기 구성요소의 결합은, 상기 볼트(700)의 수나사가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하면서 고정하고,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는 스페이서(400), 타이(500)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는 보조볼트(710)가 끼워지는데, 그 사이에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의 고정보철물(210)이 끼워지고, 이 때 계단블럭(300)의 고정 보철물(310)과는 연결 보철물(900)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보철물(900)은 계단 블럭(300)의 고정 보철물(310)과 볼트결합되어 진다.The coupling of the components, the male screw of the bolt 700 is fixed while engaging with the nut through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700, the spacer 400, Tie 500 is fitted. And the auxiliary bolt 710 is fitt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700, the high information hardware 210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inserted therebetween, at this time fixed prosthesis 310 of the stair block 300 ) Is connected to and fixed by the connecting prosthesis 900. The connection prosthesis 900 is bolted to the fixed prosthesis 310 of the stair block 300.

상기 거푸집(1000)은, 병렬 배치되는 프레임(100)에 계단 슬라브판넬(600)이 끼워지고, 프레임(100)과 계단 슬라브판넬(600)을 헤드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700)가 체결하며,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에는 원통형의 스페이서(400), 타이(500)가 끼워짐으로써 구성된다. The formwork 1000, the stair slab panel 600 is fitted to the frame 100 arranged in parallel, the bolt 100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on the head of the frame 100 and the stair slab panel 600, The head portion of the bolt 700 is configured by fitting a cylindrical spacer 400 and a tie 500.

프레임(100)은 계단이 형성되는 경사면에 병렬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거푸집(1000)의 최하단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프레임(100)의 갯수를 더 많이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Frame 10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 is formed stairs Support the bottom end of the formwork (1000).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but if necessary, the number of the frame 100 may be arranged more.

프레임(100)에는 계단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소정간격별로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볼트결합하기 위한 볼트체결구(110)가 구비된다. The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bolt fastener 110 for bolting the stairs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direc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tep surface.

계단 슬라브판넬(600)은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인데, 계단의 내부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양단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된 후, 계단 거푸집(1000)의 바닥면을 채운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1000)이 완성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가 거푸집(1000)의 바닥면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주는 구성요소이다. The stair slab panel 600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which is fitted to both ends of the frame 100 positioned inside the stair, respectively, and then fill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ir formwork 1000. Therefore,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fter the formwork (1000) is completed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the concrete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1000).

프레임(100)에 계단 슬라브판넬(600)이 끼워지면, 상기 두 구성요소를 헤드에 암나사가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볼트(700)로 체결한다.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는 계단 슬라브판넬(200)의 상부로 노출되어 스페이서(400), 타이(500)가 끼워진다.When the stair slab panel 600 is fitted to the frame 100, the two components are fastened to the head with bolts 700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head of the bolt 700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air slab panel 200, the spacer 400, the tie 500 is fitted.

먼저 스페이서(400)는 볼트(700)의 헤드부가 관통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원통 형상이다. 이러한 스페이서(400)는 모르타르, 플라스틱 또는 레미탈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가볍고 시공이 간편하며 계단 거푸집(1000)에 하중 부담을 주지 않는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spacer 40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the head of the bolt 700 can pass. Since the spacer 40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mortar, plastic, or remitt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r 400 is lightweight, easy to construct, and does not apply a load burden to the stair formwork 1000.

그리고, 스페이서(400)는 각각의 볼트(700)의 헤드부에 끼워지는데, 끼워진 인접한 스페이서(400)와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이것은 거푸집(1000)이 완성되고 콘크리트의 타설될 때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유입될 수 있는 계단의 경사방향, 계단의 횡방향 공간을 형성해 주기 위함이다. And, the spacer 400 is fitted to the head portion of each bolt 700, it has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adjacent spacer 400 is fitted. This is to form a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stair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tairs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rm when the formwork 1000 is completed and the concrete is poured.

또한, 스페이서(400)는 소정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스페이서(400) 상단에 타이(500)가 올려지면 스페이서(400)에 의해 타이(500)는 계단 슬라브판넬(600)으로부터 이격된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r 40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n the tie 500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pacer 400, the tie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step slab panel 600 by the spacer 400.

스페이서(400)에 의해 지지되고, 배근되는 철근을 거푸집 상에 띄우는 타이(500)는 볼트(700)의 헤드부에 끼움결합되어 계단의 횡방향에 위치하는 볼트(700)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타이(500)는 볼트(70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는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가 관통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타이(500)의 관통구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ie 500, which is supported by the spacer 400 and floats the reinforcing bars on the formwork, is fitted to the head of the bolt 700 to connect between the bolts 700 positio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tairs. To this end, the tie 500 has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bolt 700,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with a diameter through which the head of the bolt 700 can pas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four through holes of the tie 500 are provided.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은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양단에 위치한다.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일렬에 2개의 계단 슬라브판넬(600)이 있으므로 4개의 경량 콘크리트 블럭(200)이 적재된다.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tair slab panel 600. Since there are two stair slab panels 600 in a line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lightweight concrete blocks 200 are loaded.

그리고,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에 삽입된 고정 보철물(210)의 돌출부위는 계단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 보철물(210)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는 상기 볼트(700)의 헤드부 바로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xed prosthesis 210 inserted into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tairs, and the bol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prosthesis 210 is directly above the head of the bolt 700. It is structured to be located.

따라서 보조볼트(710)는 상기 고정 보철물(210)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600)과 프레임(100)을 수나사가 관통하고, 헤드부에 타이(500) 및 스페이서(400)가 끼워진 볼트의 암나사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럭(600)을 하부의 구조와 결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uxiliary bolt 710 penetrates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prosthesis 210, and penetrates the male thread through the stair slab panel 600 and the frame 100, and has a tie 500 and a spacer 400 in the head part. By fitting to the female screw of the bolt is fitted,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600 is combined with the structure of the lower portion.

이때 상기 보조볼트(710)와 경량 콘크리트 블록(600)의 사이에는 연결 보철물(900)이 개재된다. 상기 연결 보철물(900)에 의해 경량 콘크리트 블록(200)과 계단블럭(300)은 연결되어 진다. 상기 보조볼트(710)는 계단블럭(300)이 콘크리트 타설시 유입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뎌내어 거푸집(1000)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부재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rosthesis 900 is interposed between the auxiliary bolt 710 and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600.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200 and the step block 30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rosthesis 900. The auxiliary bolt 710 is a member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ormwork 1000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flows when the step block 300 is poured concrete.

계단블럭(300)에는 역'ㄴ'자 형상의 고정 보철물(310)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보철물(310)은 일측은 계단블럭(300)하부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은 계단블럭(3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고정 보철물(310)에는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 보철물(900)과 볼트(720)로 결합된다.The stationary prosthesis 310 having an inverted 'b' shape is inserted into the stair block 300, and the fixed prosthesis 310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stair block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stair block 300. It is a structure inserted in. In addition, the fixed prosthesis 310 is form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rosthesis 900 and the bolt 720.

계단블럭(300)은 상기 각 프레임(100) 및 계단 슬라브판넬(600)의 경사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어 계단의 디딤판을 이루는 부재인데, 계단의 횡방향 중앙부에서 절단되어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쌍으로써 계단의 한 단을 구성한다. 계단블럭(300)은 계단의 디딤판 형상을 이루는데, 계단블럭(300)의 내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어 있다. 하부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부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콘크리트의 슬럼프에 의해 유출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계단블럭(300)의 상부가 폐쇄되어 있어도 큰 무리는 없겠지만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계단 거푸집의 구석구석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The staircase block 300 is a member that is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s of the frames 100 and the stair slab panel 600 to form a stepping plate, which is cut at the transverse center of the stair and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pair constitutes one step of the stairs. The step block 300 forms a stepped shape of a step, and the inside of the step block 300 penetrat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lower part is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 flow,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because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 be adjusted so as not to be discharged by the slump of the concrete. However, even if the upper part of the stair block 300 is closed, there is no big crowd,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crete is opened in order to flow into every corner of the stair formwork.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many other possib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계단 거푸집에 의하면, 공장제작이 가능 한 프레임, 계단 슬라브판넬, 경량 콘크리트 블럭, 스페이서, 타이, 계단블럭 및 헤드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 등을 통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벽체의 상단부에 지지 가능한 'ㄷ'형강을 하나만 설치해도 슬라브 공사 이전에 계단을 구축할 수 있어서 슬라브 공사를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n-demolition stai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actory can be easily manufactured through the frame, stair slab panel, lightweight concrete block, spacer, tie, stair block, and bolts formed with female threads on the head. In addition, even if only one 'c' section steel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wall can be installed before the slab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passage for the slab construction.

따라서, 종래의 합판 거푸집이 재질상의 한계로 인해 극복할 수 없었던 콘크리트 타설 순서를 바꿀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용이한 공사수행이 가능해 졌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plywood formwork can change the concrete placing sequence that could not be overcome due to material limitation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easier construction.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은 물론이고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rmwork does not need to be dismantled after curing, it is possible to achieve not only work efficiency but also reduction of air and construction cos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건축물의 공작 제작화하는 현시점에 구성요소의 공장 생산, 비교적 간편한 운반 및 편리한 시공을 통해 바람직한 건축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esirable building environment through the factory production of components, relatively easy transportation and convenient construction at the present time to manufacture the work of the building.

Claims (8)

건축물의 계단 구조의 거푸집에 있어서,In the formwork of the staircase structure of the building, 이격된 각 바닥면 사이에 경사 연결되며 상기 바닥면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별로 병렬 배치되고, 일측은 경사면에 수직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ㄴ'형상의 프레임과;Inclined connection between each spaced apart floor and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side is extend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side 'b' shaped fram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clined surface and; 상기 인접한 각 프레임에 걸쳐서 상기 각 프레임을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결시키며, 상기 각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볼트 관통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계단 슬라브판넬과;A plurality of step slab panels connecting the respective fram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ver each adjacent frame, and forming bolt through holes therein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frames;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의 양끝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별로 고정되는 다수의 경량 콘크리트 블록과;A plurality of lightweight concrete blocks positioned on both ends of the stair slab panel and fixed to the stair slab pan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상기 각 계단 슬라브판넬의 관통구를 하향 관통하여 상기 볼트체결판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볼트와;A plurality of bolts penetrating down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stair slab panels and connecting the bolt fastening plate to the frame; 상기 계단 슬라브판넬의 상부에서 인접한 상기 각 볼트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타이와;A plurality of ties fitted to the adjacent bolts at the top of the stair slab panel to connect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s to each other; 상기 타이가 소정높이로 이격되도록 상기 타이의 하부로 상기 각 볼트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 및A plurality of spacers which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bolts to the bottom of the tie so that the tie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배치구조를 따라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계단블럭;A plurality of staircase blocks coupled to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s and corresponding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frame;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Non-destructive stair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볼트는 상기 계단블,경량 콘크리트 블록, 타이 및 스페이서가 끼워지는 헤드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The bolt is a non-disassembled stair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female thread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to which the stepable, lightweight concrete block, tie and spacer are fitted.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볼트는 계단의 경사면과 연직방향을 이루면서 체결되는 배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The bolt is a non-disassembled stair 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rrangement structure that is fastened while making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lope of the staircase.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계단 블록과 결합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 상부에 돌출되어 볼트 삽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은 경량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된 'ㄱ'형상의 고정 보철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is protru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in order to combine with the stair block is formed a bolt insertion hole,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shaped fixed prosthesis is inserted into the lightweight concrete is provided Non-disassembled stair formwork.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계단블록은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기 위해 일측은 상기 계단블록 하부에 돌출되어 나사 삽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은 계단블록 내부에 삽입된 역 'ㄴ'형상의 고정 보철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The step block is coupled to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one side is protru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p block is formed with a screw insertion hole,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onary prosthesis of the reverse 'b' shape is inserted into the step block block is provided Non-disassembled stair formwork.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럭과 계단블럭 내부에 망사형보강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The demolition step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the light weight concrete block and the staircase block.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과 계단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볼트 관통구를 형성한 연결 보철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추집.Deconstructing staircase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prosthesis formed with a bolt through-hole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lightweight concrete block and the staircase block.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바닥면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이 대응 결합되도록 형강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계단 거푸집. The demolition step form,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bottom surf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tion steel so that both ends of the frame correspondingly coupled.
KR1020030058979A 2003-08-26 2003-08-26 A Dismonuting Stair Form KR1005573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979A KR100557334B1 (en) 2003-08-26 2003-08-26 A Dismonuting Stair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979A KR100557334B1 (en) 2003-08-26 2003-08-26 A Dismonuting Stair 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72A KR20050021772A (en) 2005-03-07
KR100557334B1 true KR100557334B1 (en) 2006-03-07

Family

ID=3722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979A KR100557334B1 (en) 2003-08-26 2003-08-26 A Dismonuting Stair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3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808A (en) * 2015-04-15 2015-08-05 天津大学 Permanent stair steel template
CN112554548B (en) * 2020-12-10 2022-05-13 昆明市银桥钢模有限公司 Prefabricated stair steel form of assembly type structure
CN115059291A (en) * 2022-05-12 2022-09-16 陕西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Automatic detaching construction process for diagonal internal mold of concrete stairw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72A (en)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063B2 (en) Cast-in-place hybrid building system
US3495371A (en) Prefabricated concrete structure
EP0791113A1 (en) Modular precast wall system with mortar joints
CA2440765C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EA0069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ast and framed block element construction
US4210304A (en) Transparent cement form and method of form usage
KR20180012809A (en) Prefabricated column and beam type structure
KR100612938B1 (en) A construction system of the wall/dome and the the method thereof it
KR100557334B1 (en) A Dismonuting Stair Form
KR10103617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KR101735077B1 (en)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KR102429153B1 (en) Precast Concrete Modular, Vertical Joint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Modular And Horizontal Joint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Modular
KR100561081B1 (en) A Dismonuting Stair Form
KR102050046B1 (en) Building Core System using Precast Concrete Segmented Boxes with Tongue and Groove Joint
KR20210017720A (en) Vehicle protection wall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vehicle protection wall of bridge using the same
KR101202296B1 (en) Pre-fabricated mold
JP2520354B2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beams and columns, and earthquake-resistant walls using them
KR101576224B1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girde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200100730A (en) Removable floor structure
KR100245057B1 (en) Pc column material and the executing method thereby
KR102404023B1 (en) Precast Concrete Modular Structure
KR102273072B1 (en) Wall mold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old structure in which the construction property is improved
KR102289243B1 (en)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assembled bar column, U-shaped beam, Corrugated deck
KR102296982B1 (en)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JP2004084209A (en) Recyclable prefabricated continuous footing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undation footing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