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935B1 - Debris removal device of sorted aggregate - Google Patents
Debris removal device of sorted aggreg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6935B1 KR100556935B1 KR1020040020469A KR20040020469A KR100556935B1 KR 100556935 B1 KR100556935 B1 KR 100556935B1 KR 1020040020469 A KR1020040020469 A KR 1020040020469A KR 20040020469 A KR20040020469 A KR 20040020469A KR 100556935 B1 KR100556935 B1 KR 100556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suction
- aggregate
- scattering
- suction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33/00—Means for wearing or carrying smallarms
- F41C33/02—Holsters, i.e. cases for pistols having means for being carried or worn, e.g. at the belt or under the arm
- F41C33/04—Special attachments therefor
- F41C33/041—Special attachments therefor for connecting a holster to a belt, webbing or other object
- F41C33/045—Special attachments therefor for connecting a holster to a belt, webbing or other object for connection in more than one rotational position around an axle, e.g. by using a rotatabl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기로 선별된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크린이나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토사나 파쇄석분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재생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프라스틱,섬유 등)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는 선별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mixed in the aggregates selected by the sorting machin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mixed with reclaimed aggregates such as soil, crushed stone powder and waste concrete selected by a sorting machine such as a screen or a sorting dr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bris removal device for sorting aggregates that produces high quality aggregates by removing debris (powder, vinyl, wood, leather, plastics, fibers, etc.).
이러한 본 발명은 한쪽에 투입호퍼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왕복 이송하며 프레임 위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위에 놓이게 설치되고 하단부 둘레에 컨베이어와 밀착되는 사이드패드가 부착되며 상부에 흡입관이 장착된 흡입케이싱과; 상기 흡입케이싱의 내부에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되게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샤프트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비산날개가 장착되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비산날과; 상기 흡입케이싱의 상부에 장착된 흡입관이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며 배출관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송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reciprocating conveyance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a conveyor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height; A suction casing installed on the conveyor and attached to a side pa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veyor around a lower end thereof, and a suction pipe moun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cattering blad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suction casing to cros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uction casing, and a plurality of scattering blades are radially mounted on the shaft and rotated by driving of a motor; And a suction fan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casing, operating by driving of the motor, and transferr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dust collector.
선별, 골재, 이물질, 흡입, 비산Screening, Aggregate, Foreign Objects, Inhalation, Shattering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1 is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main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날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cattering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cattering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도9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컨베이어 11: 프레임 12: 투입호퍼10: Conveyor 11: Frame 12: Feed Hopper
13: 모터 20: 흡입케이싱 21: 흡입관13: motor 20: suction casing 21: suction pipe
23: 사이드패드 30: 비산날 31: 샤프트23: side pad 30: flying blade 31: shaft
32: 비산날개 33: 풀리 34: 모터32: flying wing 33: pulley 34: motor
35: 라이닝패드 40: 흡입팬 41: 모터35: lining pad 40: suction fan 41: motor
42: 배출관 50: 집진기42: discharge pipe 50: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선별기로 선별된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크린이나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토사나 파쇄석분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재생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프라스틱,섬유 등)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mixed in the aggregates selected by the sorting machin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mixed with reclaimed aggregates such as soil, crushed stone powder and waste concrete selected by a sorting machine such as a screen or a sorting dr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that produces high quality aggregates by removing foreign matters (fine powder, vinyl, wood, leather, plastics, fibers, etc.).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으로 사용되는 모래나 자갈 등의 골재는 대부분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에서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이를 규격별로 선별해 생산하거나, 또는 석산이나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파쇄장에서 크러싱(crushing) 작업으로 골재를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ggregates such as sand or gravel used for concrete are mostly collected from rivers, rivers or the sea, washed with water, and produc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r crushed in recycling crushing sites of quarries or waste concrete. Aggregate is produced and used by work.
그러나, 최근 강이나 하천에서의 골재 채취는 자연환경의 파괴와 자원고갈을 초래하여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석산이나 폐콘크리트 재활용 파쇄장에서의 골재 생산은 석분과 미세입자의 과다한 포함으로 모래와 잔골재의 생산이 불합리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However, recently, the collection of aggregates in rivers and rivers is a major problem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epletion of resources, and the production of aggregates in quarries or waste concrete recycling crushing sites is caused by the excessive inclusion of fine powder and fine particles. Not only was the production of aggregates and fine aggregates unsuccessful, but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high quality aggregates.
기존에도 상기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석분이나 재생골재 석분에서 골재를 채취하는 골재 제조기술들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단순히 석분을 물로 세척하거나, 또는 스크린 및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를 이용하여 이물질과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써, 석분을 세척한 폐수처리와 분진처리 등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은 피할 수 없는 불가피한 공정이었으며 그 실용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aggregat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collecting aggregates from stone powder or recycled aggregate stone powder are known in the related art, but this conventional method simply washes the powder powder with water, or uses a sorter such as a screen and a selection drum. As a method of removing and fine particles,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wastewater treatment and dust treatment, which have been washed with stone powder, were inevitable and have not been shown to be practical.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 생산되는 골재는 규격별 입자가 골고루 분포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골재의 편석이 많고 토사 미분과 비닐조각, 목재조각, 나무뿌리 등 잡쓰레기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생산된 골재를 콘크리트 재료로 사용할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흡수율이 높아 골재로서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aggregate produc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not only uniformly distributed particles according to the standard, but also has a lot of segregation of aggregates, soil and fines, vinyl chips, wood chips, tree roots, etc. When used as a concrete material, the strength was low and the absorption rate was high, so the quality as aggregate could not be guaranteed.
특히, 골재를 규격별 입자로 선별하는 스크린이나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로 선별된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프라스틱,섬유 등)은 골재와 분리시켜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으로 즉, 골재와 유사한 크기의 이물질은 스크린이나 선별드럼을 이용하여 선별작업을 하여도 스크린 및 선별드럼의 망체를 통과하여 그대로 골재에 혼합됨으로서 선별된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작업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In particular,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powder, vinyl, wood, leather, plastics, fibers, etc.) mixed with aggregates selected by screening machines such as screens or sorting drums, which sort aggregates into particles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re very difficult to remove from aggregates. As a matter of fact, even if the foreign matter similar in size to the aggregate is screened using a screen or a sorting drum, it is passed through the screen and the screening drum of the screen and mixed with the aggregate as it is. It wa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골재의 선별작업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린 및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토사나 파쇄석분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재생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프라스틱,섬유 등)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는 것으로,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선별골재를 비산시키고 비산된 골재에서 비중이 작은 이물질을 골재와 분리시켜 흡입하는 한편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송시켜 여과처리 함으로서 선별된 골재에서 골재의 편석을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고 환경오염을 최대한 방지하는 선별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sorting operation of the aggregate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fine powder)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s, such as soil and crushed stone powder and waste concrete selected by the screening and sorting drum, such as the sorting drum To produce high-quality aggregates by removing vinyl, wood, leather, plastics, fibers, etc., scattering selected aggregates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and separating and inhaling foreign substances with low specific gravity from aggregat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for sorting aggregates to remove segregation of aggregates from the selected aggregates and to remove foreign matters to produce high quality aggregates an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s much as possible. It is to be done.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한쪽에 투입호퍼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왕복 이송하며 프레임 위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위에 놓이게 설치되고 하단부 둘레에 컨베이어와 밀착되는 사이드패드가 부착되며 상부에 흡입관이 장착된 흡입케이싱과; 상기 흡입케이싱의 내부에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교차되게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샤프트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비산날개가 장착되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비산날과; 상기 흡입케이싱의 상부에 장착된 흡입관이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며 배출관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송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veyor and the hopper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reciproc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rame; A suction casing installed on the conveyor and attached to a side pa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veyor around a lower end thereof, and a suction pipe moun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cattering blad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suction casing to cros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uction casing, and a plurality of scattering blades are radially mounted on the shaft and rotated by driving of a mo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ipe is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casing is connected to operate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the suction fan for transferr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스크린 및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토사나 파쇄석분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재생골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도 1 내지 도 8 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자세하게 보이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of the sorting aggregat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recycled aggregates, such as earth and sand, crushed stone powder and waste concrete selected by the screen and sorting drum, such as, Figure 1 to Figure 8 show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한쪽에 투입호퍼(12)가 설치되고 모터(13)의 구동으로 왕복 이송하며 프레임(11) 위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어 투입호퍼(12)에 투입된 선별골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10)와; 상기 컨베이어(10) 위에 놓이게 설치되고 하 단부 둘레에 컨베이어(10)와 밀착되는 사이드패드(23)가 부착되며 상부에 흡입관(21)이 장착되어 비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케이싱(20)과; 상기 흡입케이싱(20)의 내부에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게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샤프트(3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비산날개(32)가 장착되며 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되어 컨베이어(10)로 이송되는 선별골재를 교란 비산시키는 비산날(30)과; 상기 흡입케이싱(20)의 상부에 장착된 흡입관(21)이 연결되고 모터(41)의 구동으로 작동하며 배출관(42)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50)로 이송하는 흡입팬(4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10)는 투입호퍼(12)에 투입된 선별골재를 한쪽으로 이송하는 기능으로서 프레임(11) 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한쪽에는 투입 컨베이어(15)를 통해 선별골재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2)가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는 컨베이어(10)의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3)가 설치되어 컨베이어(10)를 왕복 이송시키는 한편 다수개의 롤러(14)가 컨베이어(10)를 받치도록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상기 프레임(11) 위에 설치된 컨베이어(10)는 모터(13)의 구동에 의해 왕복 이송하여 투입호퍼(12)에 투입된 선별골재를 투입호퍼(12)의 반대쪽으로 적당량씩 지속적으로 이송하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컨베이어(10) 위에 놓이게 설치되는 흡입케이싱(20)은 양측에 복수개의 지지대(24)로 프레임(11) 위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부가 점점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관(21)이 장착되며, 컨베이어(10)의 상부면과 근접하는 하단부 둘레에는 사이드패드(23)가 부착되어 컨베이어(10)와 어느정도 밀착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부 한쪽에 점검용 도어(22)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조의 흡입케이싱(20)은 컨베이어(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을 갖도록 사각체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흡입케이싱(20)의 하단부 둘레에서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 쪽에 부착된 사이드패드(23)는 도면의 도 5 와 같이 다수로 절개시켜 부착함으로서 컨베이어(10) 위에서 선별골재의 이송이 원활하고 흡입케이싱(20)의 내부가 어느정도 밀폐되게 구성한다.The
흡입케이싱(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선별골재를 파헤쳐 교란 비산시키는 기능의 비산날(30)은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게 수평상으로 한쌍이 설치되는 것으로, 샤프트(31)가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과 교차되게 흡입케이싱(20)의 내부 양측에 수평상으로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비산날개(32)가 장착되는 한편 흡입케이싱(20)의 한쪽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샤프트(31)에 풀리(33)가 장착된다.Scattering
상기 샤프트(31)를 회전시키는 모터(34)는 흡입케이싱(20)의 한쪽 상측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프레임(11)의 상부에 브라켓을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모터(34)에 장착된 풀리와 샤프트(31)에 장착된 풀리(33)에 벨트를 감아 모터(34)의 구동으로 샤프트(31)가 회전되게 설치한다.The
샤프트(31)에 방사상으로 장착되는 비산날개(32)는 선별골재의 파헤침이 용이하도록 끝이 한쪽으로 굽어지게 형성되고 컨베이어(10)가 파손되지 않도록 컨베이어(10)의 상부면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의 도 4 와 같이 중앙부가 함 몰되게 곡면형태로 설치되는 컨베이어(10)의 경우는 비산날개(32)가 컨베이어(10)에 닿지 않도록 양측으로 점점 작아지게 장착하며, 컨베이어(10)가 일반적인 평면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는 비산날개(32)를 동일한 길이로 장착할 수 있다.The
따라서, 비산날(30)은 어느정도 밀폐된 공간의 흡입케이싱(20)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300~800rpm으로 회전함으로서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선별골재를 파헤쳐 교란 비산시키게 되며, 골재중에 모가 나있는 편석과 마찰 마모시켜 둥글게 하므로 편석을 제거하는 기능도 가지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비산날(30)의 회전으로 흡입케이싱(20)의 내부에서 비산된 골재중에서 비중이 작은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프라스틱,섬유 등)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기능의 흡입팬(40)은 흡입케이싱(20)의 상부에 장착된 흡입관(21)과 연결되게 설치하고, 프레임(11) 상부나 또는 프레임(11)이 놓인 지면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입팬(40)은 모터(41)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fan (40) to suck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fine powder, vinyl, wood, leather, plastics, fibers, etc.)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among the aggregates scattered inside the
상기에서 흡입팬(40)에 의해 흡입케이싱(20)의 내부에서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팬(40)의 배출관(42)을 통하여 집진기(50)로 이송시켜 여과처리 하는 것으로, 여기서 집진기는 일반적인 사이클론 집진장치나 휠터처리되는 휠터집진기를 이용할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sucked in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에서 선별골재를 파헤쳐 교란 비산시키는 비산날(30)은 도면과 같이 흡입케이싱(20)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비산날(30)이 설치된 흡입케이싱(20)을 컨베이어(10) 위에 복수개로 연결시켜 설치 함으로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ttering blade (30) to dig and scatter the screening aggregate can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horizontally inside the
한편 본 발명의 비산날(30)에서 도면의 도 6 과 같이 샤프트(31)에 장착되는 비산날개(32)의 끝단부에 고무재질의 라이닝패드(35)를 교체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컨베이어(10)의 파손을 방지하고 라이닝패드(35)를 컨베이어(10)에 더욱 근접하게 설치함으로서 선별골재의 비산효율을 높이게 된다.Meanwhile, in the
또한 도면의 도 7 은 본 발명에서 비산날(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강철선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탄성을 갖는 작은 직경의 막대형태로 비산날개(32a)를 형성하고, 상기 막대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비산날개(32a)를 샤프트(31)에 방사상으로 장착하여 브러시 형태로 설치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러한 경우 컨베이어(10)의 마모와 파손을 더욱 방지하고, 입자가 작은 선별골재의 비산효과를 높이게 되며, 또한 도면의 도 8 과 같이 흡입케이싱(20)이 복수개로 연결되어 설치된 구조에서 선별골재가 이송되는 후방측의 흡입케이싱(20)에 비산날개(32a)를 브러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wear and breakag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투입 컨베이어(15)를 통해 선별골재가 투입호퍼(12)로 적정량 투입되고, 이와 함께 모터(13)의 구동으로 컨베이어(10)가 작동하는 한편 흡입케이싱(20)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비산날(30)이 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흡입팬(40)도 모터(41)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흡입케이싱(20)의 내부공기를 흡입하게 된다.First, the selective aggregate is introduced into the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10)에 의해 선별골재가 흡입케이싱(20) 내부로 이송되 면 모터(34)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비산날(30)이 컨베이어(10) 위로 이송되는 선별골재를 파헤쳐 교란 비산시키며, 이때 비중이 큰 골재는 비산된 후 컨베이어(10) 위로 다시 떨어지고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비산된 상태에서 흡입팬(4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케이싱(20)의 상부에 장착된 흡입관(21)으로 흡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orting aggregate is transported into the
상기에서 선별골재의 비산과정과 이물질의 흡입과정은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과정을 모두 거친 선별골재는 흡입케이싱(20)을 벗어나 배출되고, 흡입팬(40)으로 흡입된 이물질은 배출관(42)을 통하여 집진기(50)로 이송되어 여과처리 된다.The scattering process of the sorting aggregate and the suction process of the foreign matter is made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어느정도 밀폐된 공간의 흡입케이싱(20) 내부에서 컨베이어(10) 위로 이송되는 선별골재를 비산날(30)이 파헤쳐 교란 비산시키고 비산된 선별골재에서 흡입팬(40)의 흡입력으로 비중이 작은 미분말과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골재에서 제거함으로서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ing aggregate transported over the
한편 본 발명은 어느정도 밀폐된 공간에서 선별골재를 비산시켜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기(50)로 이송시켜 여과처리 함으로서 분진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ust by inhaling the foreign matter by scattering the screening aggregate in a somewhat closed space, transporting the sucked foreign matter to the dust collector (50).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10) 위로 이송되는 선별골재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비산날(30)이 파헤쳐 비산시킴으로서 소정크기로 덩어리진 선별골재도 파쇄하여 비산시키는 기능과 골재의 편석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crushing and scattering agglomerated sorting aggregates 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본 발명에서 도면에 도시된 도 9 는 선별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한층 높여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설치상태로서 흡입케이싱(20)이 컨베이 어(10) 위에 복수개로 설치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복수대로 연결시켜 설치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 선별골재의 비산과정과 이물질의 흡입과정이 연속해서 반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보다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9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drawing to increase the removal effec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sorted aggregate to produce a high-quality aggregate, the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do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changes.
본 발명은 스크린 또는 선별드럼 등의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토사나 파쇄석분 및 폐콘크리트 등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프라스틱,섬유 등)이 혼합되어 있는 재생골재를 비산시키고 비산된 골재에서 비중이 작은 미분말과 이물질 등을 골재와 분리시켜 흡입하는 한편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송시켜 여과처리 함으로서 선별된 골재에서 미분말과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하고 환경오염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catters recycled aggregates in which foreign materials (fine powder, vinyl, wood, leather, plastics, fibers, etc.) are mixed and scattered from selected aggregates by screening machines such as screens or sorting drums, and waste concrete. The fine powder and foreign substances with small specific gravity are separated from the aggregates and sucked, while the inhaled foreign substances are transferred to the dust collector and filtered to remove fine powders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lected aggregate to produce high quality aggregates and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To provid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0469A KR100556935B1 (en) | 2004-03-25 | 2004-03-25 | Debris removal device of sorted aggreg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0469A KR100556935B1 (en) | 2004-03-25 | 2004-03-25 | Debris removal device of sorted aggrega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224A KR20050095224A (en) | 2005-09-29 |
KR100556935B1 true KR100556935B1 (en) | 2006-03-03 |
Family
ID=3727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0469A KR100556935B1 (en) | 2004-03-25 | 2004-03-25 | Debris removal device of sorted aggreg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693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660B1 (en) * | 2005-12-29 | 2007-10-30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Earth and s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true comb meat conveyor |
KR102149777B1 (en) * | 2020-05-14 | 2020-09-01 | 이알앤디 주식회사 | Foreign Material Sorting System In Construction Waste Soil By Dry Continuous Proces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978B1 (en) * | 2006-04-24 | 2007-03-12 | 주식회사 새재환경 | Separation device for shredded construction waste of shredder |
KR100771204B1 (en) * | 2006-06-03 | 2007-10-30 | 이상청 | Recycled Aggregate Manufacturing System |
KR100879830B1 (en) * | 2007-04-06 | 2009-01-22 | 이율 | Recycling aggregate s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
CN105032587A (en) * | 2015-06-26 | 2015-11-11 | 许伟 | Pharmaceutical crusher for removing dust |
KR102304314B1 (en) * | 2017-09-29 | 2021-09-17 |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ycled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From Continuous Fiber Reinforced Composite Waste and Random Sheet Using By This Method |
-
2004
- 2004-03-25 KR KR1020040020469A patent/KR10055693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660B1 (en) * | 2005-12-29 | 2007-10-30 |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 Earth and s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true comb meat conveyor |
KR102149777B1 (en) * | 2020-05-14 | 2020-09-01 | 이알앤디 주식회사 | Foreign Material Sorting System In Construction Waste Soil By Dry Continuous Proc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5224A (en) | 2005-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61623C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aggregate material | |
KR20110074042A (en) | Dry sand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 |
CN111389521B (en) | Screening grinder for recycled concrete aggregate and recycled aggregat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 |
CN113578510B (en) | Production system for machine-made sand concrete | |
KR101136047B1 (en) | Separating device for soil debris | |
KR101464647B1 (en) | Aggregate-powder separative production equipment | |
KR101346354B1 (en) | Landslide debris screening system for landfill | |
KR100556935B1 (en) | Debris removal device of sorted aggregate | |
CN211755586U (en) | Multistage screening machine of concrete recycled aggregate | |
KR100462813B1 (en)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device | |
CN208018926U (en) | A kind of sand sieving machine | |
CN213528882U (en) | Mining rubble sorting device with crushing mechanism | |
JP3710987B2 (en) | Sorting conveyor | |
CN206689127U (en) | A kind of sandstone clean separator | |
KR100556936B1 (en) | Aggreg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 |
KR20030051484A (en) | Dry type sand producing apparatus system and the method threrof | |
KR100616525B1 (en) | Aggregate Washer | |
KR100556901B1 (en) | Drying Equipment for Aggregate Manufacturing | |
KR100462815B1 (en)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process and system | |
CN217313619U (en) | Recycled concrete processing is with broken sieving mechanism of integral type | |
KR100639826B1 (en) | Earth and s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true comb | |
KR100464805B1 (en) | sand and gravel a manufacturing device process and system | |
KR20060091851A (en) | Polishing Separator | |
KR100616502B1 (en) | Aggregat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 |
CN221832813U (en) | Ore screening device with automatic fee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