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537B1 - 바베큐 구이기 - Google Patents

바베큐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537B1
KR100532537B1 KR10-2005-0050013A KR20050050013A KR100532537B1 KR 100532537 B1 KR100532537 B1 KR 100532537B1 KR 20050050013 A KR20050050013 A KR 20050050013A KR 100532537 B1 KR100532537 B1 KR 10053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heat source
supply unit
barbecue
ch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942A (ko
Inventor
차창일
Original Assignee
차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창일 filed Critical 차창일
Priority to KR10-2005-005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5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5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원공급부와, 꼬지장착부와, 모터/체인의 동력장치에 연계되는 꼬지고정부재를 갖는 동력구동부와, 꼬지대를 포함하는 바베큐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꼬지장착부는 일측단부에 구이대상물이 꽂아진 꼬지대의 일단부를 측면에서 삽입/지지할 수 있도록 절개홈을 형성하되, 상기 절개홈은 외측단에서 내측단부로 향하는 수평형 삽입부 및 그 끝단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걸림부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동력구동부의 꼬지고정부재는 지그재그형 구조로 배열하여 상기 열원공급부의 열원이 구이대상물 전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꼬지대는 창살꼬지를 일정간격을 두고 2조로 분리 형성하여 구이기의 가동 중에도 구이물의 배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외면상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꼬지대의 구이기측 결합/분리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대상물 꼬지대의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며 견고한 장착은 물론 회전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구이기의 가동 중에도 구이물의 용이한 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꼬지대의 지그재그 배열로 구이대상물에 미치는 열원의 효율적인 전달을 지원하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베큐 구이기{BARBECUE BROILER}
본 발명은 바베큐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대상물 꼬지대의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이장치에 장착시 견고함을 주어 회전에 따른 이탈우려를 종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가동 중에도 꼬지대에 꽂아진 구이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시도할 수 있도록 하며, 상/하 다층 배열되는 구이대상물에 열원 전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바베큐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베큐 구이나 숯불구이 등은 지방질을 함유한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한 대표적인 조리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비린향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숯불구이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의 특유한 향으로 고기의 맛을 돋구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곳에서 이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베큐 구이나 숯불구이에 대한 조리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구이대상물을 꼬지대에 꽂아 구이장치에 장착시킨 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도록 하는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구이기 등의 자동기기가 개발되고 실제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한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구이기는 구이대상물이 꽂아진 꼬지대가 상/하 다층으로 직선상 일렬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열원이 구이대상물에 의해 진로가 차단되어 상측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구이대상물 꼬지대를 구이장치 상에 장착시 단순하게 삽입/지지되도록 되어있어 동력전달에 따른 자동 회전시 이탈의 우려가 강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꼬지대에 꽂아진 구이물을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구이장치의 가동 중에 구이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더러 이를 위해서는 구이장치의 가동을 정지시켜야하는 등 동력 소모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구이대상물 꼬지대는 구이장치에 결합 및 분리시 사용자로 하여금 애를 먹이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나아가 동력구동부의 구동체인이 사용중에 장력을 상실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이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이대상물 꼬지대의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구이장치에 장착시 견고함을 주어 회전에 따른 이탈우려를 종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가동 중에 꼬지대에 꽂아진 구이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시도할 수 있도록 하며, 다층으로 배열되는 구이대상물의 상/하에 열원이 모두 미치도록 하여 열원 전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바베큐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동력구동부에 있어 구동체인의 장력을 초기 장착시와 같이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기적인 교체작업 없이 장기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바베큐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원공급부와, 꼬지장착부와, 모터/체인의 동력장치에 연계되는 꼬지고정부재를 갖는 동력구동부와, 꼬지대를 포함하는 바베큐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꼬지장착부는 일측단부에 구이대상물이 꽂아진 꼬지대의 일단부를 측면에서 삽입/지지할 수 있도록 절개홈을 형성하되, 상기 절개홈은 외측단에서 내측단부로 향하는 수평형 삽입부 및 그 끝단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걸림부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동력구동부의 꼬지고정부재는 지그재그형 구조로 배열하여 상기 열원공급부의 열원이 구이대상물 전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꼬지대는 창살꼬지를 일정간격을 두고 2조로 분리 형성하여 구이기의 가동 중에도 구이물의 배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외면상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꼬지대의 구이기측 결합/분리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에 있어서는 체인의 장력을 지지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하는 장력유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꼬지고정부재측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이에 맞물리는 상기 꼬지대의 타단부를 육각으로 대응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꼬지대의 장착 예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꼬지대의 미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대상물 꼬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어 개방상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유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100)는 숯불이나 가스열 및 전기열 등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열원공급부(110)와, 상기 열원공급부의 하측으로 연장 설치하되 구이기를 일정 높이로 유지되게 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열원공급부(110)의 상측 좌/우측단부로 각각 연장 설치되게 하되 다음에 기술되는 꼬지대(150)의 안정된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꼬지장착부(130) 및 상기 꼬지대(1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구동부(140)와, 상기 꼬지장착부(130)측에 일단부가 삽입/지지되고 상기 동력구동부(140)측에 타단부가 삽입/고정되며 구이대상물을 꼬지형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꼬지대(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하단부에는 구이기(100)의 높낮이 및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정식 다리(121)를 구비되게 한다.
상기 꼬지장착부(130)는 플레이트의 구성이되 일측단부에 구이대상물이 꽂아진 꼬지대(150)의 일단부를 측면에서 삽입/지지할 수 있도록 절개홈(131)을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131)은 다단으로 형성되며, 외측단에서 내측단부로 향하는 수평형 삽입부(131a)를 형성하되 그 끝단부에 하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걸림부(131b)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홈(131)은 그 절개에 따른 가공성을 위하여 레이저 가공으로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동력구동부(140)는 패널의 구성으로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꼬지장착부(130)와 마주하는 내측면 상에 다단으로 돌출 형성되되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며 중심에 상기 꼬지대(150)의 타단부측 삽입/고정을 위한 고정홈(141a)을 형성한 꼬지고정부재(141)와, 상기 꼬지고정부재(141)의 후방으로 모터(142a) 동력 및 체인(142b) 결합을 통해 상기 꼬지고정부재(141)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142)와, 상기 동력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꼬지고정부재(141)의 고정홈(141a)은 이에 삽입/고정되는 꼬지대(150)의 삽입 및 분리에 따른 용이성 및 회전력 향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원형이 아닌 다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육각으로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장치(142)에 있어서는 체인(142b)에 대한 장력상태를 초기와 같이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체인의 장력을 지지하여줌과 더불어 완충기능을 담당하는 장력유지부재(144)를 더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유지부재(144)는 지지브래킷(144a)을 구비하여 동력구동부(140)의 패널 측면에 일측단 고정되게 하되 체인(142b)을 내포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단에 지지판(144b)을 고정시킨 인장스프링(144c)을 통해 체인(142b)의 하측면을 받쳐주도록 하고 인장스프링(144c)의 타측을 상기 지지브래킷(144a)에 고정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꼬지대(150)는 일정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로 일단부에 손잡이(151)가 구비되고 타단부(150a)는 상기 꼬지고정부재(141)의 고정홈(141a)에 대응하는 다각 즉, 육각으로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꼬지대(150)에는 그 몸체의 외면에서 연장 돌출 형성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2조로 분리 형성되는 창살꼬지(15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꼬지대(150)에는 그 몸체의 외면상으로 삽입 설치되되 손잡이 위에 배치되며 스프링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153)가 구비되는데, 이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꼬지대(150)의 결합/분리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구이기(100)에 장착된 꼬지대(150)의 완충작용을 기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꼬지장착부(130)에 있어 수평형 삽입부(131a) 및 함몰형 걸림부(131b)의 구조로 형성되는 절개홈(131)을 구성함으로써 걸림부(131b)를 통해 꼬지대(150)의 몸체를 함몰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인 지지를 수행하게 되므로 꼬지대(150)에 회전력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꼬지장착부(130)로부터 이탈을 아주 강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동력구동부(140)에 있어서는 꼬지고정부재(141)를 지그재그형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다층으로 배열되는 꼬지대(150)의 지그재그 배열을 유도하므로 즉, 구이대상물의 지그재그 배열로 기존의 단일 일렬 배열에 비하여 상기 열원공급부측 열원 전달이 구이대상물 전체에 미치게 되므로 효율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꼬지고정부재(141)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41a) 및 이에 맞물리는 상기 꼬지대(150)의 타단부를 육각으로 대응 구성함에 의해 꼬지대(150)를 구이기(100)측에 삽입하거나 분리시 꼬지대(150)의 삽입/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더불어 맞물림의 조화로 회전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꼬지대(150)에 있어서는 창살꼬지(152)를 2조로 분리 형성함에 의해 구울 수 있는 구이대상물의 양을 배가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구이기(100)의 가동 중에도 구이물의 배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몸체의 외면상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153)를 삽입 설치하여 꼬지대(150)에 구비함에 의해 꼬지장착부(130)의 절개홈(131)과 동력구동부(140)의 꼬지고정부재(141)측 동시 삽입/배출을 이루어야하는 꼬지대(150)의 구이기(100)측 결합/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추진할 수 있게 되며, 꼬지대(150)의 구이기(100)측 장착에 따른 회전시 회전력에 의해 꼬지대(150)가 뒤로 밀리더라도 즉 꼬지장착부(130)측으로 후진하게 되더라도 완충부재(153)의 스프링 장력에 의해 앞으로 미는 힘을 계속적으로 받고 있고 완충기능을 하게 되어 구이기(100)의 가동시 꼬지대(150)의 분리를 효율적으로 방지되게 한다.
상기 동력구동부(140)에 있어서는 장력유지부재(144)측 인장스프링(144c)의 인장력에 의해 체인(142b)의 처짐을 방지되게 함과 동시에 인장스프링(144c)의 탄성력으로 체인(142b)의 구동시 완충기능을 제공하게 되므로 체인(142b)에 대한 장력상태를 설치초기에서와 같이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체인의 주기적인 교체작업 없이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에 의하면, 구이대상물 꼬지대의 결합 및 분리에 따른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회전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과는 달리 꼬지대를 구이장치에 아주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어 회전에 따른 이탈우려를 종식시킬 수 있으며, 창살꼬지의 2단 분리에 의해 꼬지대에 꽂아진 구이물의 배출을 구이기의 가동 중에도 용이하게 시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이대상물이 꽂아진 꼬지대의 지그재그 배열로 기존의 일렬 배치에 비해 열원의 공급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어 구이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구이물의 맛을 배가시킬 수 있게 하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더불어, 동력구동부의 구동체인에 대한 장력을 초기 장착시와 같이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주기적인 교체작업 없이 장기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경제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베큐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대상물 꼬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유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바베큐 구이기 110: 열원공급부
120: 지지부 130: 꼬지장착부
131: 절개홈 140: 동력구동부
141: 꼬지고정부재 141a: 고정홈
144: 장력유지부재 150: 꼬지대
151: 손잡이 152: 창살꼬지
153: 완충부재

Claims (3)

  1. 열원공급부와, 꼬지장착부와, 모터/체인의 동력장치에 연계되는 꼬지고정부재를 갖는 동력구동부와, 꼬지대를 포함하는 바베큐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꼬지장착부는 일측단부에 구이대상물이 꽂아진 꼬지대의 일단부를 측면에서 삽입/지지할 수 있도록 절개홈을 형성하되, 상기 절개홈은 외측단에서 내측단부로 향하는 수평형 삽입부 및 그 끝단부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함몰형 걸림부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동력구동부의 꼬지고정부재는 지그재그형 구조로 배열하여 상기 열원공급부의 열원이 구이대상물 전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꼬지대는 창살꼬지를 일정간격을 두고 2조로 분리 형성하여 구이기의 가동 중에도 구이물의 배출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외면상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꼬지대의 구이기측 결합/분리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에 있어서는 체인의 장력을 지지함과 동시에 완충기능을 하는 장력유지부재를 설치하여 체인에 대한 장력상태를 설치초기에서와 같은 장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꼬지고정부재측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이에 맞물리는 상기 꼬지대의 타단부를 육각으로 대응 구성하여 꼬지대의 구이기측 삽입 및 분리에 대한 용이성과 더불어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 .
KR10-2005-0050013A 2005-06-10 2005-06-10 바베큐 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013A KR100532537B1 (ko) 2005-06-10 2005-06-10 바베큐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013A KR100532537B1 (ko) 2005-06-10 2005-06-10 바베큐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42A KR20050079942A (ko) 2005-08-11
KR100532537B1 true KR100532537B1 (ko) 2005-12-01

Family

ID=3726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0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2537B1 (ko) 2005-06-10 2005-06-10 바베큐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04B1 (ko) * 2015-04-01 2016-05-10 주식회사 영월기업 바베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6583B (zh) * 2015-06-17 2018-05-18 浙江海洋学院 一种烧烤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04B1 (ko) * 2015-04-01 2016-05-10 주식회사 영월기업 바베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42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971A (en) Shish kabob rotisserie
US8087352B2 (en) Rotisserie spit
KR20110032489A (ko) 석쇠
KR101199682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JP4268526B2 (ja) 回転オーブン
KR101686415B1 (ko) 절단 크기 조절이 용이한 닭고기 절단장치
US20120285338A1 (en) Attachment to barbeque grill
JP2005525840A (ja) 回転オーブン
KR100532537B1 (ko) 바베큐 구이기
JP3148554U (ja) グリル装置及び鳥肉等の自動炭火焼き機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200394475Y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0817518B1 (ko) 회전식 꼬치구이장치용 꼬치고정구
JP3165858B2 (ja) 自動串焼機に用いる焼串
KR101740588B1 (ko)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KR100517206B1 (ko) 생선비늘 자동제거장치
US20090282989A1 (en) Universal rotisserie cooking apparatus
KR101576015B1 (ko) 회전 구이 지지대 구조
KR200161031Y1 (ko) 원적외선 치킨 구이기
KR200433972Y1 (ko) 꼬치봉이 구비된 야외용 바비큐 구이기
KR20060128636A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0427375Y1 (ko) 숯을 이용한 바베큐 구이기
KR200220179Y1 (ko) 통닭 자동 구이기
KR200310022Y1 (ko) 닭고기 자동 절단기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7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