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536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536B1
KR100531536B1 KR1019980053450A KR19980053450A KR100531536B1 KR 100531536 B1 KR100531536 B1 KR 100531536B1 KR 1019980053450 A KR1019980053450 A KR 1019980053450A KR 19980053450 A KR19980053450 A KR 19980053450A KR 100531536 B1 KR100531536 B1 KR 10053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aft
drive motor
wash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798A (ko
Inventor
겐지 고시가
신이치 나카지마
준이치 모리나카
신이치 마쓰다
도시히코 우라
겐이치 아카사카
노리마사 곤도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09910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76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1194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000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4713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248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조내에 배치된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는 세탁축을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중공의 탈수축과 동일 축상에 배치하여, 세탁축을 감속 기구의 출력측에 접속하고, 감속 기구의 입력측에 세탁측 입력축을 접속하여서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세탁축을 회전시키며, 세탁측 입력축의 하부에 구동 모터의 회전자를 연결한 것으로, 구동 모터의 토크를 증대시키지 않고 교반 날개의 회전 토크를 크게 함과 동시에, 세탁물이 교반 날개에 충돌하더라도 세탁측 입력축으로의 편심을 억제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대형화를 피하고 세탁 용량의 증대에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 및 헹굼을 저속으로 회전하는 교반 날개에 의해서 실행하고, 탈수를 탈수조의 고속 회전에 의해서 실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세탁기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였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곽(1)내에는 서스펜션(2)에 의해서 지지된 물받이조(3)를 설치하고, 물받이조(3)내에는 세탁조를 겸한 탈수조(4)[이하, 단순히 탈수조(4)라고 함]를 구비한다. 탈수조(4)는 상부면을 개구하여, 세탁물을 상부면으로부터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에는 교반 날개(5)를 갖고, 측면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고 있다.
탈수조(4)는 물받이조(3)의 저면에 설치한 베어링(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탈수축(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교반 날개(5)는 탈수축(7)의 내부에 베어링(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세탁축(9)에 고정되어 있다. 이 세탁축(9)은 감속 기구(10)에 연결되고, 세탁측 입력축(11)에는 풀리(12)를 장착한다. 세탁측 입력축(11)의 풀리(12)의 장착부는 4면이 절삭되어, 풀리(12)의 장착 구멍이 이것에 끼워맞춤되는 형상으로서 풀리(12)의 회전력을 전달시킨다. 풀리(12)는 벨트(13)를 거쳐서, 구동 모터(14)에 연결된다. 또한, 세탁측 입력축(11)에는 구동 모터(14)의 회전을 세탁축(9) 또는 탈수축(7)으로 전환하여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15)를 갖는다.
클러치 기구(15)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측 입력축(11)에 설치한 4면을 절삭한 부분에 끼워맞춤하는 구멍 형상을 설치한 클러치 입력 보스부(15d)와, 클러치 스프링(15b)과, 클러치 스프링(15b)의 단부를 구부려서 설치한 제어 클릭부(15e)와, 클러치 스프링(15b)의 단부를 구부려서 설치한 제어 클릭부(15e)가 끼워맞춤되는 절결부를 설치한 릴리스 슬리브(15c)와, 릴리스 슬리브(15c)의 스토퍼(15f)에 맞물리는 클러치 구동 수단(15a)과, 클러치 스프링(15b)이 감기는 탈수축(7)의 클러치 출력 보스부(15g)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세탁 및 헹굼 행정에서는 클러치 기구(15)의 클러치 구동 수단(15a)을 릴리스 슬리브(15c)의 스토퍼(15f)에 맞물리게 하고, 클러치 스프링(15b)의 단부를 구부려서 설치한 제어 클릭부(15e)를 고정하면, 클러치 스프링(15b)은 클러치 입력 보스부(15d)에 권취되지 못하므로, 클러치 입력 보스부(15d)가 회전하더라도 탈수축(7)의 클러치 출력 보스부(15g)에 회전을 전달할 수 없다. 구동 모터(14)의 회전은 세탁축(9)을 거쳐서 교반 날개(5)에만 전달되어, 피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4)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이 진행된다.
또한, 탈수 행정에서는, 클러치 기구(15)의 클러치 구동 수단(15a)을 릴리스 슬리브(15c)의 스토퍼(15f)로부터 맞물림을 해제하여, 클러치 스프링(15b)의 단부를 구부려서 설치한 제어 클릭부(15e)를 자유롭게 하면, 클러치 스프링(15b)은 클러치 입력 보스부(15d)에 권취된다. 이 때문에, 클러치 입력 보스부(15d)가 회전하면, 탈수축(7)의 클러치 출력 보스부(15g)에 회전을 전달한다. 구동 모터(14)의 회전은 탈수축(7)을 거쳐서 탈수조(4)에만 전달되어, 탈수조(4) 전체가 회전한다. 탈수조(4)가 회전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서 탈수조(4)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물받이조(3)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탈수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구동 모터(14)가 벨트(13)를 거쳐서 감속 기구(10)에 동력을 전달하였다. 이 때문에, 세탁 용량의 대용량화나 세정력의 향상을 위해서 세탁물에 의해 큰 기계력을 부여하고자 하면, 벨트 슬립, 벨트 신장, 벨트 절단 등, 경시 변화에 따른 벨트(13)의 장력 변화에 의한 전달 토크에 상한이 있으므로, 대용량에 대응하는 전달 토크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중량물(重量物)인 구동 모터(14)와 감속 기구(10)가 물받이조(3)의 하방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곽(1)내에 현수되어 있는 탈수조(4), 물받이조(3) 등의 무게중심 위치가 탈수조(4)의 회전 중심[탈수축(7)]과 어긋나게 된다. 이에 의해, 탈수조(4)가 탈수 회전을 실행할 때, 불균형으로 되기 쉽고, 회전에 의한 진동이 커진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세탁기가 제안된다.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받이조(16)는 외곽(17)에 복수의 서스펜션(18)에 의해서 현수되어 있고, 물받이조(16)의 내부에, 탈수축(19)의 상단측에 고정되고 탈수축(19)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조를 겸한 탈수조(20)[이하, 단순히 탈수조(20)라고 함]를 갖고 있다. 이 탈수조(20)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수(通水) 구멍(21)을 설치하고, 상부 개구부에는 유체 밸런서(22)를 설치하여, 상부 개구로부터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어링(23)은 탈수축(19)을 축지지하는 것으로, 물받이조(16)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축(24)은 중공의 탈수축(19) 내부에 배치하고, 탈수축(19)과 동축으로 되도록 설치한다. 세탁축(24)의 상단측에는 탈수조(20)의 내측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교반 날개(25)를 장착하고, 하단측에는 구동 모터(26)의 회전자(27)를 연결한다. 구동 모터(26)는 회전자(27)와, 이 회전자(27)의 외주에 설치한 자석과 대치하여 설치한 고정자(28)로 구성되고, 고정자(28)의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자(27)가 회전한다. 또한, 탈수축(19)의 하단측과 회전자(27) 사이에는 커플링(29)을 거쳐서 클러치 기구(30)를 설치하고, 클러치 기구(30)의 전환에 의해 회전자(27)의 회전을 탈수축(19)에 전달 및 비(非)전달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세탁 및 헹굼 행정에서는, 클러치 기구(30)를 전환하여 탈수축(19)과 회전자(27)를 분리시킴으로써, 구동 모터(26)의 회전자(27)의 회전은 세탁축(24)을 거쳐서 교반 날개(25)에만 전달되어, 피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20)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한다.
또한, 탈수 행정에서는 탈수조(20)내의 물이 배수되고, 클러치 기구(30)를 전환하여, 탈수축(19)과 회전자(27)를 연결함으로써, 구동 모터(26)의 회전자(27)와 연결된 세탁축(24), 탈수축(19) 및 탈수조(20)가 회전한다. 탈수조(20)가 회전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서 탈수조(20)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통수 구멍(21)으로부터 물받이조(16)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탈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세탁기는 탈수시에 있어서의 불균형의 억제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탈수축(19)의 회전 중심 및 세탁축(24)을 커플링(30)을 이용함으로써 구동 모터(26)의 회전축과 동일 축상선상에 배치하여 탈수조(20) 및 물받이조(16) 등의 무게중심 위치와 구동 모터(26)의 무게중심 위치를 대략 일치시켰다. 따라서, 커플링(30)의 축심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고, 조립성이 불량하며, 또한 커플링(30)의 높이 만큼 세탁기의 높이가 위로 신장하여, 비용도 많이 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 모터의 토크를 증대시키지 않고 교반 날개의 회전 토크를 크게 함과 동시에, 세탁물이 교반 날개에 충돌하더라도 세탁측 입력축으로의 편심을 억제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대형화를 피하고 세탁 용량의 증대에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탈수조내에 배치된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는 세탁축을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중공의 탈수축과 동일 축상에 배치하여, 세탁축을 감속 기구의 출력측에 접속하고 감속 기구의 입력측에 세탁측 입력축을 접속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세탁축을 회전시키며, 세탁측 입력축의 하부에 구동 모터의 회전자를 연결한 것으로, 이 구성에 따르면 감속 기구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구동 모터의 토크를 증대시키지 않고 교반 날개의 회전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교반 날개에 충돌하더라도 세탁축의 편심은 감속 기구에 의해 흡수되어, 감속 기구의 세탁측 입력축으로의 편심을 억제할 수 있고, 그 입력축에 연결된 회전자의 편심도 억제되어, 회전자와 고정자의 간극도 작게 할 수 있고, 구동 모터의 대형화를 피하며, 세탁 용량의 증대에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탁측 입력축에 직접 회전자가 연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동 모터의 베어링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세탁측 입력축의 베어링과 겸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감속 기구와 구동 모터를 동일 축상에 배치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의 회전을 탈수축에 전달 또는 비전달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동 모터의 회전을 탈수축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이 회전력 전달부를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로 구성하여, 회전력 전달부의 일부를 구동 모터의 회전자에 형성함으로써, 탈수조, 물받이조 등의 무게중심 위치와 탈수조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고 탈수시의 불균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벨트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벨트에 의한 과제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클러치 기구의 회전력 전달부의 일부를 구동 모터의 회전자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감소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클러치 기구의 박형화나 소형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세탁기의 본체 하방의 용적이 크게 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동 모터를 회전자와 고정자와 고정자 하우징부에 의해 구성하고, 탈수축을 내포한 케이스에 고정자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 모터와 탈수축, 세탁축과의 축심 일치나, 회전자와 고정자의 간극 조정 등의 조작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으로 조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회전자와 고정자의 간극을 작게 하여, 구동 모터의 대형화를 피하고, 비용 상승 없이 세탁 용량의 증대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감속 기구와 구동 모터를 동일 축선상에 배치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 하우징부의 내부에 클러치 기구를 배치하여, 클러치 기구를 구동하는 클러치 구동 수단을 고정자 하우징부의 외부로부터 구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고 탈수시의 불균형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도, 구동 모터의 내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실수로 인하여 손으로 클러치 레버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구동 모터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곽(31)내에는 서스펜션(32)에 의해서 현수된 물받이조(33)를 설치하여, 탈수시의 진동을 서스펜션(32)에 의해 흡수하는 구성으로 한다. 물받이조(33)내에는 세탁조를 겸한 탈수조(34)[이하, 단순히 탈수조(34)라고 함]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탈수조(34)는 내측 바닥부에 세탁물을 교반하는 교반 날개(35)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중공의 탈수축(37)은 물받이조(33)의 바닥부 중앙에 설치한 탈수 베어링(36)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이 탈수축(37)의 상단측을 탈수조(34)의 바닥부에 고정하여, 탈수조(34)를 회전시킨다. 세탁축(39)은 상단측을 교반 날개(35)에 고정시켜 교반 날개(35)를 회전시키고, 이 세탁축(39)은 탈수축(37)의 중공부에 동일 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탈수축(37)의 중공부에 설치한 세탁 베어링(38)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감속 기구(40)는 탈수축(37)내에 내포되어, 기어 열에 의해 회전수를 감속하는 것으로, 탈수시의 탈수조(34)의 불균형에 의한 이상 회전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기어가 대칭인 형태로 정렬한 유성 기어 장치에 의한 감속 기구를 이용한다. 이 감속 기구(40)의 출력측에는 세탁축(39)을 접속하고, 입력측에는 세탁측 입력축(41)을 접속한다. 세탁측 입력축(41)은 탈수축(37)의 하부측 중공부내에 설치된 입력 베어링(42)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감속 기구(40)를 내포하는 탈수축(37)은 케이스(43)에 의해 내포되고, 또한 탈수축(37)의 하부는 케이스(43)의 하부에 설치된 베어링(44)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43)는 물받이조(33)의 바닥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모터(45)는 탈수축(37) 및 세탁측 입력축(4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원반 형상으로 그 외주에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석 장착부(45c)를 갖는 회전자(45a)와, 자석 장착부(45c)의 외주에 장착된 자석과 대향하도록 회전자(45a)의 자석의 외주측에 배치하여, 회전자(45a)에 회전 자계를 부여하는 고정자(45b)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45b)와 회전자(45a) 사이에는 간극을 설치한다. 이 간극은 고정자(45b)의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45a)의 외주면, 즉 자석이 고정자(45b)에 접촉하지 않도록 부품의 편차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 이외에, 구동 모터(45)를 회전시키는 출력축, 즉 세탁축(39), 탈수축(37)이 회전중에 받는 힘에 의해 회전자(45a)가 편심되는 정도도 고려하여 구성한다.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에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를 연결하고, 감속 기구(40)와 구동 모터(45)를 동일 축상에 배치한다.
클러치 기구(46)는 구동 모터(45)의 회전을 탈수축(37)에 전달 또는 비전달하는 것으로, 그 일부를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연결한다. 즉, 클러치 기구(46)는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회전력 전달부를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력 전달부는 감속 기구(40)의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자(45a)의 일부에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46a)와,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46c)에 의해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 또는 분리하여 탈수축(37)과 공동회전하는 가동 클러치부(46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클러치부(46a)는 회전자(45a)의 자석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구성하고, 그 형상은 바닥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하고, 바닥부에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단측을 연결하기 위한 각형(角形)의 관통 구멍을 설치한다. 그 바닥부의 상면에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신장한 볼록부(47a)를 형성한다. 가동 클러치부(46b)는 고정 클러치부(46a)의 상방 개구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삽입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하고, 고정 클러치부(46a)의 볼록부(47a)와 결합되도록 그 하측 저면에는 오목부(47b)를 형성한다. 또한, 가동 클러치부(46b)의 측부에는 테두리부(47c)를 설치하여, 이 테두리부(47c)의 하면이 솔레노이드(46c)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레버(46d)에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6c)에 의해 레버(46d)를 상하 이동시키면, 가동 클러치부(46b)가 그 레버(46d)의 움직임에 맞춰 상하 이동하여,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가동 클러치부(46b)는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갖고, 탈수축(37)의 하부측에 삽입된다. 탈수축(37)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홈을 복수개 설치하고, 가동 클러치부(46b)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측에는 탈수축(37)의 세로 홈에 끼워맞춤되는 복수의 볼록부가 설치되며, 가동 클러치부(46b)는 탈수축(37)의 세로 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반면, 가동 클러치부(46b)의 볼록부가 탈수축(37)의 세로 홈에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가동 클러치부(46b)의 회전을 탈수축(37)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가동 클러치부(46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 기구(40)의 외곽과 일체적으로 하방측(클러치 기구측)으로 신장하는 탈수축(37)에 장착되지만, 탈수축(37)의 하방측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홈을 설치하는 반면, 가동 클러치부(46b)에는 탈수축(37)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이 관통 구멍에는 탈수축(37)의 홈에 끼워맞춤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설치한다. 따라서, 가동 클러치부(46b)는 탈수축(37)의 홈을 설치하고 있는 범위내를 상하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가동 클러치부(46b)의 회전력도 탈수축측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가동 클러치부(46b)의 내부 저면에는 탈수축(37)의 관통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볼록부(47d)를 설치한다. 반면, 감속 기구(40)를 수용하는 케이스(43)의 저면에는 가동 클러치부(46b)의 볼록부(47d)를 걸기 위한 절결부(47e)를 설치하고, 가동 클러치부(46b)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경우에, 볼록부(47d)가 절결부(47e)에 끼워맞춤되어, 가동 클러치부(46b)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를 고정자(45b)의 내측에 형성하는 내측 회전자형으로 하고 있지만, 고정자(45b)의 외측에 회전자(45a)를 형성하는 외측 회전자형, 혹은 고정자(45b)와 회전자(45a)를 수직 방향으로 대치시키는 형식이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46c)에 통전하여 발생한 자력에 의해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클러치부(46b)를 감속 기구(40)를 내포한 케이스(43)측, 즉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 클러치부(46a)의 볼록부(47a)와 가동 클러치부(46b)의 오목부(47b)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은 탈수축(37)에는 전달되지 않고 세탁측 입력축(41), 감속 기구(40), 세탁축(39)을 거쳐서 교반 날개(35)에만 전달되어, 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교반 동작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34)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한다.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종료하면 탈수 행정으로 진행된다. 탈수 행정에서는 탈수조(34)내의 물이 배수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46c)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이 때, 가동 클러치부(46b)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탈수축(37)의 세로 홈을 따라 하강하여, 고정 클러치부(46a)의 볼록부(47a)와 가동 클러치부(46b)의 오목부(47b)가 결합한다. 따라서, 고정 클러치부(46a)의 볼록부(47a) 및 가동 클러치부(46b)의 오목부(47b)의 결합에 의해 탈수축(37)과 회전자(45a)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이 탈수축(37)에 전달되어, 교반 날개(35)와 탈수조(34) 전체가 일체적으로 되어 회전한다. 탈수조(34)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탈수조(34)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물받이조(33)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탈수된다.
이렇게 하여, 탈수조(34)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감속 기구(40)에 의해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및 세탁측 입력축(41)의 회전이 1/6로 감속되어 세탁축(39) 및 교반 날개(35)에 전달되도록 하면, 전달 효율을 무시하면 토크는 감속하기 전의 약 6배로 된다. 이와 같이 세탁축(39)과 세탁측 입력축(41)이 감속 기구(40)를 거쳐서 연결된 것으로는, 구동 모터(45)의 토크가 작더라도 교반 날개(35)를 회전시키는 토크를 크게 할 수 있어 세탁 용량의 증대, 세정 성능의 향상을 구동 모터(45)의 토크를 증대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교반 날개(35)에 세탁물이 충돌하여 세탁축(39)은 편심력을 받지만, 세탁축(39)과 세탁측 입력축(41)이 감속 기구(40)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힘이 감속 기구(40)의 각 기어간의 간극 등에 의해 흡수되어, 세탁측 입력축(41)에 그 편심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에 연결된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편심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취할 필요가 없어, 구동 모터(45)의 외형을 크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을 작게 하면, 회전자(45a)를 회전시키는 토크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45)를 조립할 때에 있어서, 우선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에 회전자(45a)를 고정시킨 후, 이 회전자(45a)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환상(環狀)의 고정자(45b)를 삽입하여, 이 고정자(45b)를 케이스(43)의 하부에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자(45b)의 장착 위치, 혹은 부품 편차 등에 의해서,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이 전체 주위에 걸쳐 균일하게 되지 않고 간극이 큰 곳, 간극이 작은 곳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에 의해서 간극(S)의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회전자(45a)의 편심량을 억제함으로써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회전중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교반 날개(35)에 세탁물이 충돌하여 세탁축(39)은 편심력을 받지만, 세탁축(39)은 세탁 베어링(38)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세탁 베어링(38)에 의해 그 힘을 받고, 다음에 감속 기구(40)에 의해 완화되어,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편심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수조(34)에도 의류 등이 충돌하여 탈수축(37)은 편심력을 받지만, 클러치 기구에 의해 세탁 및 헹굼 행정에서는 구동 모터(45)의 회전은 탈수축(37)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반대로 탈수축(37)의 편심도 구동 모터(45)에 전달되지 않고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편심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 및 클러치 기구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45a)의 회전축을 축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불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자(45a)에 그 하부를 연결한 세탁측 입력축(41)의 입력 베어링(42)과 탈수축(37)의 베어링(44)의 축심을 일치시킬 필요도 없어진다.
또한, 감속 기구(40)의 세탁측 입력축(41)과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가 직결되어 있다. 즉, 감속 기구(40)와 구동 모터(45)는 동일 축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탈수조(34), 물받이조(33), 또한 물받이조(34)의 하방에 장착한 감속 기구(40) 및 구동 모터(45) 등의 무게중심 위치와, 탈수조(34)의 회전 중심을 대략 일치시킬 수 있어, 탈수시의 불균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조(33)가 서스펜션(32)에 의해 현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중량물인 감속 기구(40)나 구동 모터(45)가 동일 축상에 없으면 무게중심이 어긋나서, 탈수조(34)를 잘 회전시킬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탈수조(34)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45)에 의해 감속 기구(40), 탈수축(37)을 직접 회전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벨트가 불필요하게 되어 벨트 슬립이나 내구성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탈수 행정에 있어서, 탈수축(37)이 편심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탈수축(37)은 탈수 베어링(36)과 베어링(44)에 의해 축지지되어, 탈수 베어링(36) 및 베어링(44)에 의해 그 힘을 받기 때문에,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편심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클러치부(46a) 및 가동 클러치부(46b)로 이루어지는 회전력 전달부를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와 탈수축(37)의 하부 사이에 설치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을 근방의 탈수축(37)에 전달, 비전달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의 일부, 즉 고정 클러치부(46a)를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형성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클러치 기구(46)의 박형화나 소형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외곽(31)의 하방 용적이 크게 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자(45a)를 바닥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하고, 그 내부 공간내에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을 실행하는 볼록부(47a)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어 외곽(31)의 하방 용적이 크게 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를, 회전자(45a)에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46a)와, 클러치 기구(46)의 구동부에 의해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 또는 분리하는 가동 클러치부(46b)로 구성하고, 가동 클러치부(46b)를 클러치 기구(46)의 구동부에 의해 탈수시에는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하고, 세탁시에는 분리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탈수시에는 클러치 기구(46)의 구동부에 의해 가동 클러치(46b)가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하고 세탁축(39)과 탈수축(37)이 일체화되어 회전함으로써 탈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세탁시에는 가동 클러치부(46)는 고정 클러치부(46)와 분리되기 때문에, 탈수축(37)은 회전하지 않는 반면, 세탁축(39)은 감속 기구(40)에 의해서 감속하고서 토크를 높여서 교반 날개(35)를 회전시켜, 세탁 및 헹굼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세탁 및 헹굼의 경우와 탈수의 경우에는 가동 클러치부(46b)를 이동시켜 탈수축(37)으로의 전달 전환을 실행하고 회전자(45a)에 설치한 고정 클러치부(46a)는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전자(45a)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구성을 채용할 필요도 없다.
또한,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를 구성하는 고정 클러치부(46a)와 가동 클러치부(46b)의 회전력 전달은 관통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외주측에 설치한 볼록부(47a)와 오목부(47b)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에 장착된 탈수축(37)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크게 하더라도 이들 오목부(47b) 및 볼록부(47a)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즉, 관통 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오목부(47b), 볼록부(47a)의 위치]로부터, 관통 구멍에 위치하는 탈수축(37)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모멘트력에 의해 오목부(47b), 볼록부(47a)에 부가되는 토크를 억제할 수 있어, 이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수축(37)을 큰 토크에 의해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클러치부(46a)의 볼록부(47a) 및 그것에 결합하도록 형성한 가동 클러치부(46b)의 오목부(47b)의 토크를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고정 클러치부(46a) 및 가동 클러치부(46b)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대형화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클러치 기구(46)의 박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시에는 솔레노이드(46c)에 의해 가동 클러치부(46b)가 탈수축(37)의 스러스트 방향, 즉 상방으로 이동하여 고정 클러치부(46a)의 볼록부(47a)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반면, 가동 클러치부(46b)의 볼록부(47d)는 케이스(43) 하부의 절결부(47e)에 대하여 결합하여 가동 클러치부(46b)의 회전이 저지된다. 케이스(43)는 물받이조(33)의 하방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케이스(43) 자체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세탁시에 세탁축(39)을 좌우 반전의 회전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교반 날개(35)가 좌우 반전하여 세탁물을 교반하지만, 이 세탁물을 교반할 때에 탈수조(34)가 교반력을 받아 공동회전하고자 한다. 그러나, 가동 클러치부(46b)가 케이스(43)의 절결부(47e)에 의해 걸려 있기 때문에, 이 가동 클러치부(47b)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춤되는 탈수축(37)의 회전도 저지되고 탈수축(37)에 연결된 탈수조(34)의 회전도 저지된다.
이와 같이, 세탁시 및 헹굼시에 있어서의 탈수조(34)의 공동회전을 방지하여 세정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클러치부(46b)에 탈수조(34)의 공동회전 방지 기능도 겸용시킴으로써, 탈수조(34)의 공동회전 방지 기구를 배제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 클러치부(46b)의 상면측을 이용하여 탈수조(34)의 공동회전 방지 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의 박형화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자(45a)와 회전력 전달부인 고정 클러치부(46a)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였지만, 각각 별체로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탈수축(37)을 내포하며, 탈수축(37)의 하부를 축지지하는 베어링(44)을 하부 내측에 설치한다. 케이스(48) 하부의 외주는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가서, 덴트부(dent portion)(49)를 형성하고 이 덴트부(49)에 구동 모터(45)의 장착부를 설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45)를 케이스(48)에 근접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와 감속 기구(40)를 접속하는 세탁측 입력축(4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회전자(45a)의 편심량을 작게 할 수 있고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서, 구동 모터(45)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클러치부(46b)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가동 클러치부(46b)가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 덴트부(49)가 있는 케이스(48)의 하부를 덮게 되어 이 덴트부(49)에서 가동 클러치부(46b)의 릴리프부를 겸용할 수 있어,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도 세탁측 입력축(4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회전자(45a)의 편심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측 입력축(50)은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와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이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세탁측 입력축(41)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와 세탁측 입력축(50)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자(45a)를 박형으로 하더라도 회전자(45a)와 세탁측 입력축(50)의 연결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따라서 회전자(45a)를 경량으로 할 수 있어 회전의 시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자(45a)를 박형으로 한 만큼, 세탁측 입력축(5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세탁측 입력축(50)에 회전자(45a)를 접근시킬 수 있고, 회전자(45a)의 편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51)는 외주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석 장착부(51c)를 갖는 회전자(51a)와, 자석 장착부(51c)의 외주에 장착된 자석과 대향하도록 회전자(51a)의 자석의 외주측에 배치하고, 회전자(51a)에 회전 자계를 부여하는 고정자(51b)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51)에 의해 감속 기구(40)를 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51)에 의해 감속 기구(40)를 내포함으로써, 감속 기구(40) 및 구동 모터(51)를 동일 축상에 배열하더라도 전체를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외곽(31)의 하방 용적이 크게 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수축(52)은 중공으로, 물받이조(33)의 바닥부 중앙에 설치된 탈수 베어링(36)에 의해서 축지지되어 있다. 이 탈수축(52)의 상단측은 탈수조(34)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탈수조(34)를 회전시킨다. 세탁축(53)은 교반 날개(35)를 회전시키도록 상단측을 교반 날개(35)에 고정하고, 이 세탁축(53)은 탈수축(52)의 중공부에 동일 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며, 탈수축(52)의 중공부에 설치한 세탁 베어링(38)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탈수축(52)은 상하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54)에 의해 내포되고, 또한 탈수축(52)의 하부는 케이스(54)의 하부 내면에 장착된 탈수 베어링(44)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54)는 물받이조(33)의 바닥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모터(45)는 탈수축(52) 및 세탁축(5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세탁축(53)의 하부에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 모터(45)내에는 회전자(45a)의 외주에 설치한 자석과 대치하도록, 고정자(45b)를 배치하고, 고정자(45b)와 회전자(45a) 사이에는 간극을 설치한다. 이 간극은 고정자(45b)의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45a)의 외주면, 즉 자석이 고정자(45b)에 접촉하지 않도록, 부품의 편차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 이외에, 구동 모터(45)를 회전시키는 출력축, 즉 세탁축(53), 탈수축(52)이 회전중에 받는 힘에 의해 회전자(45a)가 편심하는 정도도 고려하여 구성한다.
고정자(45b)는 대략 원통 형상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내측에 장착되고, 또한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하부 내면에 탈수 베어링(44)을 장착한 케이스(54)의 하부 외측에 장착된다.
구동 모터(45)의 회전을 탈수축(52)에 전달 또는 비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기구(46)는 그 일부를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연결시킨다. 즉, 클러치 기구는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회전력 전달부를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력 전달부는 세탁축(53)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자(45a)의 일부에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46a)와,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부(46c)에 의해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 및 분리하고 탈수축(52)과 공동회전하는 가동 클러치부(46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46)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는, 구동부(46c)에 통전하여, 발생한 자력에 의해서 가동 클러치부(46b)를 케이스(54)측, 즉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고정 클러치부(46a)와 가동 클러치부(46b)의 결합을 해제한다(도 3a 참조). 이와 같이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은 탈수축(52)에는 전달되지 않고 세탁축(53)을 거쳐서 교반 날개(35)에만 전달되어, 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교반 동작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34)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한다.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종료하면 탈수 행정으로 진행된다. 탈수 행정에서는 탈수조(34)내의 물이 배수되고, 동시에 구동부(46c)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이 때, 가동 클러치부(46b)는 자중에 의해서 탈수축(52)의 세로 홈을 따라 하강하여(도 3b 참조) 고정 클러치부(46a)와 가동 클러치부(46b)가 결합한다. 따라서, 고정 클러치부(46a) 및 가동 클러치부(46b)의 결합에 의해 탈수축(52)과 회전자(45a)가 연결되어,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이 탈수축(52)에 전달되고 교반 날개(35)와 탈수조(34) 전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탈수조(34)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탈수조(34)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물받이조(33)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탈수된다.
이렇게 하여, 탈수조(34)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의 구동 모터(45)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 우선 내측에 환상의 고정자(45b)를 장착한 대략 원통 형상의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하부 내면에 탈수 베어링(44)을 장착한 케이스(54)의 하부 외측에 끼워맞춤하여 케이스(54)의 하부에 장착한다. 그 후, 환상의 고정자(45b)의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자(45a)를 삽입하여, 세탁축(53)의 하부에 회전자(45a)를 고정한다. 따라서, 통상은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장착 위치, 혹은 부품 편차 등에 의해서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이 전체 주위에 걸쳐 균일하게 되지 않으므로 간극이 큰 곳, 간극이 작은 곳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자(45a)가 세탁축(53)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45a)와 세탁축(53)의 축심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세탁축(53)은 중공의 탈수축(52)내에 세탁 베어링(38)을 거쳐서 동일 축상에 배치되고 탈수축(52)은 케이스(54)내에 탈수 베어링(44)을 거쳐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축(53)도 케이스(54)내에 유지되고 세탁축(53)과 연결된 회전자(45a)도 케이스(54)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고정자(45b)를 유지하는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케이스(54)에 의해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고정자(45b)도 케이스(54)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고정자(45b)와 회전자(45a)는 모두 케이스(54)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고정자(45b)와 회전자(45a)의 축심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 베어링(38)을 거쳐서, 세탁축(53)을 동일 축상에 배치한 탈수축(52)을 축지지하는 탈수 베어링(44)을 하부 내면에 장착한 케이스(54)의 하부 외측에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장착하기 때문에, 케이스(54) 하부의 내면 및 외면을 거쳐서 세탁축(53)의 하부에 고정된 회전자(45a)와, 대략 원통 형상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내측에 장착된 고정자(45b)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어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54)의 변형에 의한 영향도 받기 어렵고,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45a)는 세탁축(53)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회전자(45a)의 회전을 위한 베어링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탈수축(52)내에 축지지된 세탁축(53)에 의해 회전자(45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45a)는 세탁 베어링(38) 및 탈수 베어링(44)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회전자(45a)의 편심이 억제되고,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54)의 하부는 탈수 베어링(44)과 고정자 하우징부(45d)에 끼워진 형태로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케이스(54) 하부의 강도가 상승하여 변형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을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탈수조(34)에도 의류 등이 충돌하여 탈수축(52)은 편심력을 받지만, 클러치 기구(46)에 의한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45)의 회전은 탈수축(52)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반대로 탈수축(52)의 편심도 구동 모터(45)에 전달되지 않아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편심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수 행정에 있어서 탈수축(52)이 편심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탈수 베어링(36, 44)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고, 탈수 베어링(36, 44)에 의해 그 힘을 받기 때문에,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편심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상기 제 5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 기구(40)는 탈수축(37)내에 내포되어, 기어 열에 의해 회전수를 감속하는 것으로, 탈수시에 탈수조(34)의 불균형에 의한 이상 회전 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기어가 대칭 형태로 정렬된 유성 기어 장치에 의한 감속 기구를 이용한다. 이 감속 기구(40)의 출력측에는 세탁축(39)을 접속하고, 입력측에는 세탁측 입력축(41)을 접속한다. 세탁측 입력축(41)은 탈수축(37)의 하부측 중공부내에 설치된 입력 베어링(42)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구동 모터(45)는 탈수축(37) 및 세탁측 입력축(4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덴트부(55)는 케이스(56)의 바닥에 있어서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설치하여, 덴트부(55)의 내면에는 탈수 베어링(44)을 장착하고, 덴트부(55)의 외측에는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장착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는 구동부(46c)에 통전하여 발생한 자력에 의해서 가동 클러치부(46b)를 감속 기구(40)를 내포한 케이스(56)측, 즉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 클러치부(46a)와 가동 클러치부(46b)의 결합을 해제한다(도 3a 참조). 이와 같이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은 탈수축(37)에는 전달되지 않고 세탁측 입력축(41), 감속 기구(40), 세탁축(39)을 거쳐서 교반 날개(35)에만 전달되어, 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교반 동작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34)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한다.
세탁 및 헹굼 행정을 종료하면 탈수 행정으로 진행된다. 탈수 행정에서는 탈수조(34)내의 물이 배수되고, 동시에 구동부(46c)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이 때, 가동 클러치부(46b)는 자중에 의해서 탈수축(37)의 세로 홈을 따라 하강하여(도 3b 참조), 고정 클러치부(46a)와 가동 클러치부(46b)가 결합한다. 따라서, 고정 클러치부(46a) 및 가동 클러치부(46b)의 결합에 의해 탈수축(37)과 회전자(45a)가 연결되어,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이 탈수축(37)에 전달되고, 교반 날개(35)와 탈수조(34) 전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탈수조(34)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서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탈수조(34)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물받이조(33)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탈수된다.
이렇게 하여, 탈수조(34)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감속 기구(40)에 의해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 및 세탁측 입력축(41)의 회전이 1/6로 감속되어 세탁축(39), 교반 날개(35)에 전달되도록 하면, 전달 효율을 무시하면 토크는 감속하기 전의 약 6배로 된다. 이와 같이 세탁축(39)과 세탁측 입력축(41)이 감속 기구(40)를 거쳐서 연결된 것으로는, 구동 모터(45)의 토크가 작더라도 교반 날개(35)를 회전시키는 토크를 크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의 토크를 증대시키지 않고 세탁 용량의 증대, 세정 성능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감속 기구(40)를 내포하는 케이스(56)의 하부를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덴트부(55)를 형성하고 있지만, 감속 기구(40)의 외경과 탈수축(37) 하부의 외경의 관계상, 케이스(56)의 외경을 특히 크게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덴트부(55)를 형성할 수 있고, 이 덴트부(55)의 내면에 탈수 베어링(44)을 장착하고, 덴트부(55)의 외주에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장착함으로써, 덴트부(55)에 의해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지고, 구동 모터(45)의 조립이 보다 실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덴트부(55)를 케이스(56)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케이스(56) 전체의 강성이 증가하고, 덴트부(55)도 변형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덴트부(55)의 내외면에서 탈수 베어링(44)과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위치 결정, 즉 탈수 베어링(44)에 의해 축지지된 탈수축(37)의 중공부에 동일 축상에 배치한 입력 베어링(42)과 연결된 회전자(45a)와, 고정자 하우징부(45d)내에 설치한 고정자(45b)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어 위치 결정의 정밀도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덴트부(55)가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변형력도 받기 어려우므로,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S)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45)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크도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56)는 하부의 대략 원통 형상의 외면(57)에 축방향으로 볼록부(58)를 설치한다.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중앙에 대략 원통 형상의 개구부(59)를 설치하고, 이 개구부(59)의 내면에 볼록부(58)를 끼워맞춤하는 오목부(60)를 설치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끼워맞춤하는 케이스(56)의 하부의 대략 원통 형상의 외면(57)과,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개구부(59)의 내면에, 각각 끼워맞춤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58, 60)를 설치하기 때문에, 회전자(45a)가 회전할 때에 오목부 및 볼록부(58, 60)에 의해 고정자(45b) 및 고정자 하우징부(45d)에 발생하는 회전 반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45)의 보다 큰 회전 토크에 견딜 수 있다.
또한, 오목부 및 볼록부(58, 60)는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개구부(59)에 케이스(56)의 하부의 대략 원통 형상의 외면(57)을 끼워맞춤할 때 회전 방향에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케이스(56)에 옆으로부터 나사로 고정할 때 등 위치 정렬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조립이 대단히 간단하게 된다.
또한, 오목부 및 볼록부(58, 60)에 의해, 케이스(56)의 하부 및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강도가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회전자(45a)의 회전시 케이스(56)의 하부 및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S)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상부면 중앙을 케이스(56)의 하부에서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간 덴트부(55) 루트(root)에 접촉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받이조(33)의 저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보스(61)를 형성하여,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 외주에 설치된 장착부(62)를 보스(61)에 장착하고,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보스(61)를 거쳐서 물받이조(33)에 직접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 중앙은 케이스(56)의 하부에서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간 덴트부(55) 루트에 접촉되고,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 외주는 장착부(62)에서 보스(61)를 거쳐서 물받이조(33)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56)에 고정되고 케이스(56)를 거쳐서 물받이조(33)에 유지되는 경우에 비해서, 회전자(45a)의 회전중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안정이 양호하게 되고, 흔들림이 작아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세탁측 입력축(41) 및 회전자(45a)의 회전을 얻을 수 있고,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S)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증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상부면 중앙에 수용부(63)를 설치하고, 이 수용부(63)에 탈수 베어링(44)을 수용한다. 또한, 고정자 하우징부(45d)에 장착부(64)를 설치하여, 케이스(65)에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 중앙에 탈수 베어링(44)을 수용하는 수용부(6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에서 고정자(45b)와 탈수 베어링(44)을 유지할 수 있어 고정자(45b)와, 세탁측 입력축(41), 탈수축(37)을 거쳐서 탈수 베어링(44)에 지지된 회전자(45a)와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자(45b)와 회전자(45a)의 간극(S)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65)의 하부는 탈수 베어링(44)을 유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하부를 외측을 향해서 개구할 수 있게 되고,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의 장착부(64)에 케이스(65)를 고정할 수 있어 회전자(45a)의 회전중에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흔들림이 작아지고, 안정적인 회전자(45a)의 회전을 얻을 수 있으며,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S)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6)는 저면을 외측으로 개구하고,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 외주에 설치한 장착부(67)와 함께, 물받이조(33)의 저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한 보스(68)에 고정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66)는 외측에 개구된 저면에 의해, 물받이조(33)의 보스(68)를 거쳐서 물받이조(3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66)를 다른 곳에서 물받이조(33)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케이스의 구조가 간단히 되며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케이스(66) 및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물받이조(33)의 저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보스(68)에 모두 고정되기 때문에, 케이스(66)와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물받이조(33)로의 장착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어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조(33)의 하방에 있는 케이스(66), 탈수축(37), 고정자 하우징부(45d) 및 회전자(45a) 등은 모두 아래에서 위로의 일방향 작업만으로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보스(68)를 거쳐서 물받이조(33)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45a)의 회전중에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안정성이 양호하게 되고 흔들림이 작아지며, 안정적인 세탁측 입력축(41) 및 회전자(45a)의 회전이 얻어지며,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S)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상기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9)는 저면을 외측으로 개구하고,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면 외주부에 설치한 장착부(70)와 함께, 물받이조(33)의 저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보스(71)에 고정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고정자 하우징부(45d)는 그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면 외주부에 설치한 장착부(70)로부터 보스(71)를 거쳐서 물받이조(3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45a) 회전시의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흔들림이 작아지고, 회전자(45a)와 고정자(45b)의 간극(S)을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구동 모터(45)를 크게 하지 않고서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물받이조(33)로의 장착부(70)를 갖는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상부면 외주부가 그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물받이조(33)에 장착할 때, 그 위치가 고정자 하우징부(45d)내에 있어서, 항상 고정자(45b)의 내측에 위치되지 않으면 조립될 수 없으므로 고정자(45b)의 크기에 좌우되지도 않고 고정자 하우징부(45d)내의 고정자(45b)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히 물받이조(33)에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 기구(40)의 세탁측 입력축(72)에는 구동 모터(73)를 장착한다. 구동 모터(73)는 원반 형상으로, 그 외주에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석 장착부(73c)를 갖는 회전자(73a)와, 자석 장착부(73c)의 외주부에 장착한 자석과 대향하도록 회전자(73a)의 자석의 외주측에 배치하고, 회전자(73a)에 회전 자계를 부여하는 고정자(73b)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 기구(40)의 세탁측 입력축(72)은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의 회전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74)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7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회전력 전달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회전력 전달부는 회전자(73a)와 자석 장착부(73c)에 의해 내포되는 공간에 설치한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와, 탈수축(37)에 설치한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와, 고정 및 해제하는 클러치 스프링(74b)과, 클러치 스프링(74b)의 제어 클릭부(74e)가 끼워맞춤되고 제어 클릭부(74e)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릴리스 슬리브(74c)와, 릴리스 슬리브(74c)의 스토퍼(74f)에 맞물려 릴리스 슬리브(74c)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는 클러치 구동 수단(7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탁 및 헹굼 행정에서는, 클러치 기구(74)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구동 수단(74a)에 통전을 정지한다. 클러치 구동 수단(74a)은 릴리스 슬리브(74c)의 스토퍼(74f)에 맞물려, 릴리스 슬리브(74c)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릴리스 슬리브(74c)에는 끼워맞춤된 클러치 스프링(74b)의 제어 클릭부(74e)가 고정되어 있고, 클러치 스프링(74b)은 세탁측 입력축(72)과 끼워맞춤된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와 탈수축(37)에 설치한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의 조임 장치 장착을 완화시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로 한다. 구동 모터(73)의 동력은 세탁축(39)을 거쳐서 교반 날개(35)에만 전달되어, 피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34)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한다.
세탁 행정을 종료하면 자동적으로 탈수 행정으로 진행되어, 이 탈수 행정에서는 탈수조(34)내의 물이 배수되고, 클러치 기구(74)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구동 수단(74a)에 통전한다. 클러치 구동 수단(74a)은 릴리스 슬리브(74c)의 스토퍼(74f)로부터 분리되어, 릴리스 슬리브(74c)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릴리스 슬리브(74c)에 끼워맞춤된 클러치 스프링(74b)의 제어 클릭부(74e)가 자유롭게 되고, 클러치 스프링(74b)은 세탁측 입력축(72)과 끼워맞춤된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와 탈수축(37)에 설치된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를 체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세탁측 입력축(72)과 탈수축(37)은 연결되어, 탈수조(34)가 회전한다. 탈수조(34)가 회전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서 탈수조(34)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물받이조(33)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탈수된다.
이렇게 하여, 탈수조(34)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축(39), 탈수축(37)이 동일 축의 2중 구조로, 교반 날개(35)측으로부터 감속 기구(40), 클러치 기구(74), 구동 모터(73)의 순서로 배열되고, 이들이 동일 축선상에 있음으로써, 구동 모터(73)와 기구부가 일체로 되어, 물받이조(33)의 중심에 무게중심이 설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구동 모터가 물받이조(33)의 중심에 없기 때문에 발생한 불균형이 없어지고, 탈수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73)에 의해 감속 기구(40), 탈수축(37)을 직접 회전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벨트가 불필요하게 되어, 벨트 슬립이나 내구성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74)의 회전력 전달부의 일부, 즉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를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내포하기 때문에, 박형화나 소형화가 도모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73)의 종류는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의 내부에 공간을 설치하는 형식이면 무방하고,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는 클러치 기구(74)의 일부로서, 이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를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일체화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동축 구조에 의한 구동 모터(73)의 회전자부(73a)를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세탁측 입력축(72)을 거치지 않고서 토크를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탈수축(37)에 높은 토크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탈수조(34)의 높은 토크의 회전이 가능해져 하강 시간의 단축 및 기포에 의한 기동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는 클러치 기구(74)의 일부로서, 이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를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일체화하고,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의 표면을 다른 재료 클러치 보스링(75)에 의해 덮는다.
이 구성에 의해,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필요한 특성인 내마모성이 양호한 재료와 구동 모터(73)의 회전자부(73a)에 필요한 특성인 인성(靭性)이 양호하고, 경량이고 가공성이 양호한 재료를 따로따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는 두께가 얇은 자성체에 의해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일체화하고, 회전자 보스(76)를 압입하여 회전자(73a)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자(73a)와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를 동일 금형으로 형상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클러치 기구(74)의 박형화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를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각각 맞물림 클러치부(74h, 73e)를 설치하고 이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발생한 회전력을 클러치 입력 보스부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각각 설치한 맞물림 클러치부(74h, 73e)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회전자(73a)의 회전력을 세탁측 입력축(72)을 거치지 않고서, 맞물림 클러치부(73e, 74h)를 거쳐서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의 세탁측 입력축(72)과의 장착 구멍은 동그란 구멍이더라도 무방하고, 또한 세탁측 입력축(72)의 강도에 관계없이, 탈수조(34)의 높은 토크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를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맞물림 클러치부(73e)를 형성하여,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플랜지(74i)를 설치하고, 보스 외경보다 외측에서 토크 전달의 맞물림 클러치부(74h)를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맞물림 클러치부(73e, 74h)를 반경 방향으로 거리가 취해지므로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회전자(73a) 및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의 플랜지(74i)의 재료를 염가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의 플랜지(74i)에 의해 회전자(73a)의 면 접촉을 규제할 수 있어 높은 토크의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를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출력 보스부(74d)는 탈수축(37)과는 별개 부품으로 하여, 탈수축(37)과 클러치 출력 보스부(74d)에 토크 전달의 맞물림 클러치부(37a, 74j)를 설치하고 이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발생한 회전력을 탈수축(37)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클러치 기구(74)의 조립을 클러치 스프링(74b)과 조합하여 먼저 조립 탈수축(37)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고, 조립성을 높일 수 있어 클러치 기구 단독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클러치 기구만을 교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를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세탁기의 전체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수조는 물받이조(모두 도시하지 않음)의 바닥부에 설치된 탈수 베어링(36)에 의해서 축지지되어 있는 탈수축(37)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교반 날개(도시하지 않음)는 탈수축(37)의 중공부에 탈수축(37)과 동일 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여, 탈수축(37)의 중공부내에 설치한 세탁 베어링(38)에 의해서 축지지된 세탁축(39)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세탁축(39)의 하단부는 감속 기구(4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모터(77)를 구성하는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컵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구부를 아래로 하여 감속 기구(40)에 장착하고, 이 고정자 하우징부(77d) 안에 회전자(77a)에 회전 자계를 부여하는 고정자(77b)를 압입하며, 이 고정자(77b)에 회전자(77a)를 대향시켜 구동 모터(77)를 구성하고, 감속 기구(40)와 구동 모터(77)를 동일 축선상에 배치하여, 감속 기구(40)의 세탁측 입력축(41)에 구동 모터(77)를 장착한다.
클러치 기구(78)는 구동 모터(77)의 회전을 탈수축(37) 및 세탁축(39)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것으로, 세탁측 입력축(41)에 설치한 4면을 절삭한 부분에 끼워맞춤하는 구멍 형상을 갖는 클러치 보스(79)와, 클러치 스프링(80)과, 클러치 스프링(80)에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전환력을 전달하기 위한 릴리스 슬리브(82)로 구성하고, 회전자(77a)의 내부에 설치된 공간에 배치한다.
클러치 구동 수단(81)은 클러치 기구(78)를 구동하는 것으로, 클러치 클릭부(83)와, 클러치 레버(84)와 클러치 레버(84)를 회동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기어드 구동 모터 등으로 구성하는 클러치 전환 수단(도시하지 않음)과 클러치 레버 스프링(85)으로 구성한다.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구멍(86)을 설치하여, 이 구멍(86)에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고, 클러치 전환 수단에 의해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외부로부터 구동함으로써, 클러치 레버(84)를 회동시키도록 구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 클러치 구동 수단(81)은 클러치 기구(78)의 클러치 스프링(80)을 해제시켜, 탈수축(37)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로 한다. 구동 모터(77)의 동력은 세탁축(39)을 거쳐서 교반 날개에만 전달되어 피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한다. 이렇게 해서 탈수조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진행한다.
세탁 행정을 종료하면 탈수 행정으로 진행되어, 이 탈수 행정에서는 탈수조내의 물이 배수되고, 클러치 기구(78)의 클러치 스프링(80)을 구동하여, 탈수축(37)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구동 모터(77)의 동력은 세탁측 입력축(41)과 탈수축(37)이 연결되어, 탈수조가 회전한다.
탈수조가 회전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을 종료한 세탁물의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서 탈수조의 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구멍으로부터 물받이조내로 탈수되어 나온다. 이렇게 해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탈수된다. 이렇게 하여, 탈수조내에 투입된 세탁물은 자동적으로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축(39), 탈수축(37)이 동축인 2중 구조로, 교반 날개측으로부터 감속 기구(40), 구동 모터(77)의 순서로 배열되고, 이들이 동일 축선상에 있음으로써, 구동 모터(77)와 감속 기구(40)가 일체로 되고, 물받이조의 중심에 무게중심이 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구동 모터(77)가 물받이조의 중심에 없기 때문에 발생한 불균형이 없어져, 탈수시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77)에 의해 감속 기구(40), 탈수축(37)을 직접 회전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벨트가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자 하우징부(77d)의 내부에 구동 모터(77)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있어서도, 구동 모터(77)의 내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실수로 인해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에도 손가락이 구동 모터(77)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86)을 설치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신뢰성 높은 클러치 기구(78)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축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정리된 구동 기구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기구(78)는 클러치 보스(79), 클러치 스프링(80), 릴리스 슬리브(82) 등으로 구성하고,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외부로부터 구동함으로써, 구동 모터(77)의 회전을 탈수축(37), 세탁축(39)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도록 구성하지만,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46)를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와, 회전력 전달부를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로 구성하더라도 무방하고,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를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여 회동시키는 구멍(86)을 설치하고, 이 구멍(86)은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입구측(87)과 출구측(88)에서의 개구 면적이 상이하도록 구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구멍(86)의 개구 면적을 필요 최소한의 면적으로 할 수 있어 고정자 하우징부(77d)의 강도를 높게 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짧게 구동 기구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를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89)을 설치하고, 이 구멍(89)은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할 때에 필요한 크기와 형상을 갖고,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한 후에는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90)을 갖는 커버(91)를 연결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설치한 구멍(89)에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90)을 갖는 커버(91)를 연결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커버(91)의 구멍(90)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해 손으로 클러치 레버(84)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를 도 2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92)을 설치하고, 이 구멍(92)의 주위의 일부에 커버(93)와 끼워맞춤하는 볼록부(94)를 설치한다. 커버(93)는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95)을 갖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설치한 구멍(92)의 주위의 일부에 커버(93)와 끼워맞춤하는 볼록부(94)를 설치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커버(93)의 구멍(95)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해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를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96)을 설치하고, 이 구멍(96)에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97)을 갖는 커버(98)를 설치한다. 덮개(99)는 클러치 레버(84)와 연동하여, 커버(98)에 설치된 구멍(97)을 덮도록 구성한다. 물론,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더라도 항상 덮개(99)는 구멍(97)을 덮는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클러치 레버(84)와 연동하는 덮개(99)에 의해, 커버(98)에 설치된 구멍(97)을 덮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구멍(97)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해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를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100)을 설치하고, 이 구멍(100)에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01)을 갖는 커버(102)를 설치한다. 구멍(101)에 리브(103)로 벽을 설치하여, 구멍(101)의 위치가 높아지도록 구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커버(102)에 설치된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01)에 리브(103)로 벽을 설치하여, 구멍(101)의 위치가 높아지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구멍(101)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하여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를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104)을 설치하고, 이 구멍(104)에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05)을 갖는 커버(106)를 설치한다. 구멍(105)은 주위를 고무 형상의 탄성체(107)의 시일로 구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05)의 주위를 고무 형상의 탄성체(107)의 시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구멍(105)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하여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를 도 2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108)을 설치하고, 이 구멍(108)에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09)을 갖는 커버(110)를 설치한다. 구멍(109)은 주위를 브러쉬 형상의 시일(111)로 구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09) 주위를 브러쉬 형상의 시일(111)로 구성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구멍(109)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하여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를 도 3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의 클러치 레버(84)를 삽입하는 구멍(112)을 설치하여, 이 구멍(112)에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13)을 갖는 커버(114)를 설치한다. 구멍(113)은 주위에 클러치 레버(84)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벨로즈 형상의 탄성체로 구성한 가요성 튜브(115)를 설치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9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하면,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113)의 주위에 클러치 레버(84)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벨로즈 형상의 탄성체로 구성한 가요성 튜브(115)를 설치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물받이조로부터 물이 넘친 경우에, 바닥면에 떨어진 물이 튀어올라와서, 클러치 레버(84)가 회동하는 구멍(113)으로부터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물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인하여 손으로 클러치 레버(84)의 주변을 접촉한 경우이더라도 손가락이 고정자 하우징부(77d)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 모터의 토크를 증대시키지 않고 교반 날개의 회전 토크를 크게 함과 동시에, 세탁물이 교반 날개에 충돌하더라도 세탁측 입력축으로의 편심을 억제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대형화를 피하고, 세탁 용량의 증대에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 행정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기의 탈수 행정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세탁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31은 종래의 세탁기의 단면도,
도 32는 종래의 세탁기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3은 종래의 세탁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8 : 세탁 베어링 39 : 세탁축
40 : 감속 기구 41 : 세탁측 입력축
42 : 입력 베어링 46c : 구동부

Claims (35)

  1. 탈수조(34)를 회전시키는 중공의 탈수축(37)과, 상기 탈수조(34)내에 배치된 교반 날개(35)를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탈수축(37)과 동일 축상에 배치된 세탁축(39)과, 상기 탈수축(37)과 상기 세탁축(39)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45)와,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세탁축(39)을 회전시키는 감속 기구(40)와,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을 탈수축(37)으로 전달 또는 비전달하는 클러치 기구(46)를 포함하는 세탁기로서, 상기 감속 기구(40)와 상기 구동 모터(45)를 동일 축상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 기구(46)를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을 탈수축(34)으로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46a, 46b)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46a, 46b)를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46c)로 구성하여, 상기 회전력 전달부(46a, 46b)의 일부를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형성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46a, 46b)는 상기 회전자(45a)에 형성된 고정 클러치부(46a)와, 상기 클러치 기구(46)의 구동부(46c)에 의해 상기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 또는 분리하는 가동 클러치부(46b)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 클러치부(46b)는 클러치 기구(46)의 구동부(46c)에 의해, 탈수시에는 고정 클러치부(46a)와 접촉하고, 세탁시에는 분리하도록 구성된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40)는 상기 세탁축(39)을 출력측에 접속하고 입력측에 세탁측 입력축(41)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세탁축(39)을 회전시키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상기 클러치 기구(46) 및 상기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를 연결한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46)를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와 탈수축(37) 하부 사이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 기구(46) 및 세탁측 입력축(41)의 하부를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에 연결한
    세탁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43)는 상기 탈수축(37)을 내포함과 동시에, 상기 탈수축(37)을 축지지하는 베어링(44)을 갖고, 상기 케이스(43)의 하부 외주를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고, 이 덴트부에 상기 구동 모터(45)의 장착부를 설치한
    세탁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40)의 입력측에서 상기 세탁측 입력축(41)과 상기 구동 모터(45)의 회전자(45a)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45a)의 축심으로부터 외주측에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46a, 46b)의 일부를 형성한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45a)를 원반과 상기 원반의 외주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석 장착부(45c)로 구성하고, 상기 원반과 상기 자석 장착부(45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내에 상기 클러치 기구(46)의 회전력 전달부(46a, 46b)를 배치한
    세탁기.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40)를 상기 구동 모터(45)에 의해 내포한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40)를 수용하는 케이스(43)의 하부에 걸림부(47d)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 클러치부(46b)에는 상기 케이스(43)의 걸림부(47d)에 결합하는 결합부(47b)를 설치하며, 세탁시에 상기 가동 클러치부(46b)의 결합부(47b)가 상기 케이스(43)의 결합부(47d)에 의해 걸려서 상기 가동 클러치(46b)의 회전을 저지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45)는 상기 회전자(45a)와 고정자(45b) 및 고정자 하우징부(45d)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자(45a)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탈수축(37) 및 세탁축(39)을 회전시키며, 케이스(48)는 상기 탈수축(37)을 내포하고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유지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8)의 하부 내면에 탈수 베어링(44)을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48)의 하부 외측에 상기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장착한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부를 축 중심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고, 이 덴트부(55)의 내면에 탈수축을 축지지하는 탈수 베어링(44)을 배치하고, 상기 덴트부(55)의 외측에 상기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장착한
    세탁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서 외주를 따라 오목부(47b) 및 볼록부(47a)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가 축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케이스 하부의 외면과, 상기 외면과 끼워맞춤하는 형상으로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중앙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개구부의 내면을 포함한
    세탁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 상부면 중앙을 상기 덴트부(55) 루트에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면 외주는 외곽(31)내에 서스펜션(32)에 의해서 현수된 물받이조(33)에 직접 고정된
    세탁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45)의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45d) 상부면 중앙에 탈수 베어링(44)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설치한
    세탁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축(37)을 내포하는 상기 케이스(43)는 그 저면을 개구하고, 상기 개구 외주에 외측으로 돌출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고정자 하우징부(45d)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 모터(45)의 고정자 하우징부(45d) 상면 중앙에 상기 탈수축(37)을 축지지하는 탈수 베어링(44)을 수용하는 수용부(63)를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스(69, 66)와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 상면을 모두 외곽(31)내에 서스펜션(32)에 의해서 현수된 물받이조(33)에 직접 고정한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45d)의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부면 외주부와 상기 케이스(43)를 모두 외곽(31)내에 서스펜션(32)에 의해서 현수된 상기 물받이조(33)에 직접 장착한
    세탁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고정자(45b)의 직경이 탈수조 또는 외곽(31)내에 서스펜션(32)에 의해서 현수된 물받이조(33)의 직경과 동일한
    세탁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74)는, 구동 모터(73)의 회전을 상기 탈수축(37)에 전달하는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와, 클러치 스프링(74b)과, 상기 클러치 스프링(74b)의 단부를 구부려서 형성한 제어 클릭부(74e)와, 상기 제어 클릭부(74e)가 끼워맞춤되는 절결부를 형성한 릴리스 슬리브(74c)와, 상기 릴리스 슬리브(74c)에 설치된 스토퍼(74f)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클러치 구동 수단(74a)과, 상기 클러치 스프링(74b)이 권취되는 상기 탈수축(37)의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 기구(74)의 일부를 상기 구동 모터(73)의 회전자 내부에 내포한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74)의 일부인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를 상기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형성한
    세탁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의 표면을 다른 부재로 한
    세탁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자성체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상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를 형성하여 일체화한
    세탁기.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와 상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상기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전달하는 맞물림 클러치부(74h, 73e)를 설치한
    세탁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73)의 회전자(73a)에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에 전달하는 맞물림 클러치부(74h)를 상기 클러치 입력 보스부(74d)의 외주보다 외측에 설치한
    세탁기.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축(37)의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를 세탁축(39)과 별개 부품으로 하고, 상기 탈수축(37)의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와 상기 세탁축(39)에 상기 클러치 출력 보스부(74g)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탈수축(37)에 전달하는 맞물림 클러치부(37a, 74j)를 설치한
    세탁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78)는 구동 모터(73)의 회전을 탈수축(37) 또는 세탁축(39)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73)를 구성하는 고정자 하우징부(77d)의 내부에 상기 클러치 기구(78)를 배치하고, 상기 클러치 기구(78)를 구동하는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고정자 하우징부(77d)의 외부로부터 구동하도록 한
    세탁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삽입하는 구멍(86)을 설치한
    세탁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설치된 구멍(86)은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개구 면적을 상이하게 한
    세탁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설치된 구멍(92)은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 삽입 후에는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의 구멍을 갖는 부재를 연결한
    세탁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부(77d)에 설치된 구멍(92)은 상기 구멍(92) 주위의 일부에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이 회동하는 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부재와의 연결부와 끼워맞춤되도록 볼록부(94)를 설치한
    세탁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회동시키는 구멍(96)을 덮도록,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과 연동하는 덮개(99)를 설치한
    세탁기.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회동시키는 구멍(100)의 주위에 리브(103)에 의해 벽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100)의 위치를 높게 한
    세탁기.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회동시키는 구멍(104)은 주위를 고무형 탄성체의 시일(107)로 구성한
    세탁기.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회동시키는 구멍(109)은 주위를 브러쉬 형상의 시일(111)로 구성한
    세탁기.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을 회동시키는 구멍(112)은 주위에 상기 클러치 구동 수단(81)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벨로즈 형상의 탄성체로 구성한 가요성 튜브(115)를 설치한
    세탁기.
KR1019980053450A 1998-04-10 1998-12-07 세탁기 KR100531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99102 1998-04-10
JP10099102A JP3097651B2 (ja) 1998-04-10 1998-04-10 洗濯機
JP98-111942 1998-04-22
JP10111942A JPH11300085A (ja) 1998-04-22 1998-04-22 洗濯機
JP10147131A JP3022483B2 (ja) 1998-05-28 1998-05-28 洗濯機
JP98-147131 1998-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798A KR19990081798A (ko) 1999-11-15
KR100531536B1 true KR100531536B1 (ko) 2006-01-27

Family

ID=2730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450A KR100531536B1 (ko) 1998-04-10 1998-12-07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470714B2 (ko)
EP (1) EP0949374B1 (ko)
KR (1) KR100531536B1 (ko)
CN (3) CN1250799C (ko)
AT (1) ATE263861T1 (ko)
DE (1) DE6982300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2573A (zh) * 2010-12-27 2013-09-04 大宇电子株式会社 自动洗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2792B2 (en) * 2001-02-19 2006-08-0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7254965B2 (en) * 2001-02-19 2007-08-1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N1308533C (zh) * 2001-06-12 2007-04-04 Lg电子株式会社 全自动洗衣机
CN100336965C (zh) * 2002-06-11 2007-09-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驱动装置
KR100504867B1 (ko) * 2003-01-1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덕션모터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EP1797234A1 (en) * 2004-10-08 2007-06-20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Outer rotor type mo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including same
KR100629335B1 (ko) * 2004-10-29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와 그 계자 제작 방법과 그를 갖는 세탁기
EP1810387B1 (en) * 2004-11-09 2013-06-26 LG Electronics Inc. Direct drive motor in washing machine
DE102006032356B3 (de) * 2006-07-13 2008-04-10 Diehl Ako Stiftung & Co. K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Waschmaschine
US7900305B2 (en) * 2006-12-13 2011-03-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spin drain flow channels and reservoir; wash action tub ramps and cycles
MX2007002852A (es) * 2007-03-08 2008-09-17 Mabe Mexico S De R L De C V Sistema de embrague para lavadora.
US9616557B2 (en) 2013-03-14 2017-04-11 Black & Decker Inc. Nosepiece and magazine for power screwdriver
CN105579636B (zh) * 2013-10-02 2018-11-27 阿莫泰克有限公司 洗衣机马达及具有其的洗衣机
CN103668870B (zh) * 2013-12-27 2019-03-12 宁波奉化科创科技服务有限公司 波轮洗衣机安全型弹性支撑机构
JP6397216B2 (ja) * 2014-04-25 2018-09-26 アクア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6502087B2 (ja) * 2014-12-22 2019-04-17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の設計方法
JP6750161B2 (ja) * 2015-12-01 2020-09-02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ドラム式洗濯機
KR101859039B1 (ko) * 2016-07-18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CN110158273B (zh) * 2018-02-14 2023-02-28 菲舍尔和佩克尔应用有限公司 用于洗涤机的集成电机和齿轮箱驱动系统
CN108607698B (zh) * 2018-05-29 2023-09-19 河南省鹏达羽绒制品有限公司 一种羽绒脱水机的清污机构及使用方法
KR102676460B1 (ko) * 2019-05-13 202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장치
CN112301659A (zh) * 2019-08-01 2021-02-0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JP2022090569A (ja) * 2020-12-07 2022-06-1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N114857863B (zh) * 2022-04-09 2024-06-25 安徽天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化学纺织纤维脱水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536A (en) * 1978-05-16 1980-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gitator-type washing machine
JPS60179091A (ja) * 1984-02-27 1985-09-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H0910474A (ja) * 1995-06-30 1997-01-14 Toshiba Corp 洗濯機
KR980008214U (ko) * 1996-07-29 1998-04-30 김광호 직결세탁기용 구동장치의 동력전달수단
KR980009611A (ko) * 1996-07-13 1998-04-30 김광호 샤프트조립체에 직결된 구동모터를 갖는 세탁기
KR19990066656A (ko) * 1998-01-31 1999-08-16 윤종용 직결식 세탁기의 모터-클러치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7238A (en) 1944-08-25 1950-10-24 Gen Electric Clutch structure for spinner type washing machines
US2517088A (en) * 1947-11-20 1950-08-01 Gen Electric Gear and clutch mechanism for spinner type clothes-washing machines
US2947159A (en) 1958-11-18 1960-08-02 Fernandez Enrique Clutching mechanisms for washing machines including an agitator
US5619871A (en) 1985-11-12 1997-04-15 General Electric Company Laundry machine
KR950018821A (ko) * 1993-12-24 1995-07-22 기따오까 다까시 전기 세탁기
TW262496B (ko) 1994-03-30 1995-11-11 Toshiba Eng Co
KR100189141B1 (ko) * 1996-01-16 1999-06-01 윤종용 직결식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07073B1 (ko) * 1996-06-12 1999-07-15 윤종용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264120B1 (ko) 1997-05-09 2000-08-16 윤종용 세탁기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536A (en) * 1978-05-16 1980-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gitator-type washing machine
JPS60179091A (ja) * 1984-02-27 1985-09-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脱水洗濯機の駆動装置
JPH0910474A (ja) * 1995-06-30 1997-01-14 Toshiba Corp 洗濯機
KR980009611A (ko) * 1996-07-13 1998-04-30 김광호 샤프트조립체에 직결된 구동모터를 갖는 세탁기
KR980008214U (ko) * 1996-07-29 1998-04-30 김광호 직결세탁기용 구동장치의 동력전달수단
KR19990066656A (ko) * 1998-01-31 1999-08-16 윤종용 직결식 세탁기의 모터-클러치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2573A (zh) * 2010-12-27 2013-09-04 大宇电子株式会社 自动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2097A (zh) 1999-10-20
CN1515734A (zh) 2004-07-28
DE69823005D1 (de) 2004-05-13
US20020007653A1 (en) 2002-01-24
ATE263861T1 (de) 2004-04-15
US6546762B2 (en) 2003-04-15
US6470714B2 (en) 2002-10-29
CN1120258C (zh) 2003-09-03
US20020184928A1 (en) 2002-12-12
CN1515733A (zh) 2004-07-28
KR19990081798A (ko) 1999-11-15
EP0949374B1 (en) 2004-04-07
CN1250799C (zh) 2006-04-12
CN1250800C (zh) 2006-04-12
DE69823005T2 (de) 2005-04-14
EP0949374A1 (en) 199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536B1 (ko) 세탁기
US6148646A (en) Washing machine
KR100219897B1 (ko) 세탁기
US20030213271A1 (en) Washing machine with structure for absorbing vibration of driving part
US6077184A (en) Shaft assembly for use in a washing machine
JP3097651B2 (ja) 洗濯機
KR100397419B1 (ko) 세탁기
JP3965855B2 (ja) 洗濯機
JP3391338B2 (ja) 洗濯機
EP3378983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bearing assembly for the washing drum
JP4265077B2 (ja) 洗濯機の電動機
JP3669298B2 (ja) 洗濯機
JP2000042287A (ja) 洗濯機
JP3965854B2 (ja) 洗濯機
KR19990087031A (ko) 세탁기
US11761136B2 (en) Washing machine
KR100228627B1 (ko) 전자동 탈수 세탁기
JP3099773B2 (ja) 洗濯機
KR102045005B1 (ko) 세탁기
JP3094951B2 (ja) 洗濯機
KR101033565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JP3391336B2 (ja) 洗濯機
JP2001204990A (ja) 洗濯機
KR200232025Y1 (ko) 세탁기
KR20050067915A (ko) 모터 직결식 전자동 세탁기의 슬라이딩 커플러와 커플러스프링간의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