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921B1 -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9921B1 KR100529921B1 KR10-2003-0058751A KR20030058751A KR100529921B1 KR 100529921 B1 KR100529921 B1 KR 100529921B1 KR 20030058751 A KR20030058751 A KR 20030058751A KR 100529921 B1 KR100529921 B1 KR 100529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abinet
- indoor unit
- hot water
- du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또는 온수관의 온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송풍 가열하므로, 안전하고 비용이 저감될 수 있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 내부를 공기 흡입 유로와 공기 토출 유로로 분리하는 베리어와; 상기 공기 토출 유로 일측에 설치된 송풍 유닛과; 상기 송풍 유닛의 상측에 배치된 보조 난방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which can be safely and cost-reduced by blowing air using hot water of a boiler or a hot water pipe, the cabinet; An upper panel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barrie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into an air intake passage and an air discharge passage; A blow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ary heating devic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수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을 할 수 있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capable of heating a room using hot water.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흡입공기를 열교환 한 후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a heater, an air conditioner, a purifier, etc., which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or heating the room or purifying the ai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It is a device that supplies heat to the building or room after heat-exchanging the suction air.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Such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a window type and a separate type or a split type.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를 하나의 장치로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와 팽창기구 및 송풍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The integrated type and the separate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integrated type is an indoor heat exchanger,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expansion device installed as a single device. An outdoor heat exchanger (condenser or evaporator), a compressor, an expansion device, and a blower were installed at each floor to connect two separate devices with refrigerant pipes.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흡입공기를 열교환 한 후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heater, an air conditioner, a purifier, etc., which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or heating the room or purifying the ai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It is a device that supplies heat to the building or room after heat-exchanging the suction air.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Such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a window type and a separate type or a split type.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를 하나의 장치로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증발기 혹은 응축기)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응축기 혹은 증발기)와 압축기와 및 송풍기를 설치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팽창기구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The integrated type and the separated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integrated type is one in which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 compress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expansion mechanism are installed as a single device, and the separate type is provided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evaporator or condenser) and the blower i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r (condenser or evaporator), a compressor, and a blower are installed at each other, and an expansion mechanism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connect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최근에는 실내기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상기 실내기를 천정, 벽면, 베란다 등에 장착하거나 옥상 등의 실외에 장착하고 별도의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토출하는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가 증가되는 추세이다.Recently, due to the space occupied by the indoor unit,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that mounts the indoor unit on a ceiling, a wall, a veranda, or the like outdoors on a rooftop, and absorbs / exhales indoor air through separate suction and discharge ducts has increased. to b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하부에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된 캐비닛(6)과, 상기 캐비닛(6)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 토출구(4)로 토출시키는 송풍기(20)와, 상기 캐비닛(6)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송풍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indoor unit 1 of the conventional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binet 6 having an air inlet 2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air outlet 4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lower 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binet 6 to suck air into the air inlet 2 and to be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4, and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cabinet 6 to be blown And a heat exchanger 26 for exchanging air with the refrigerant.
상기 캐비닛(6)은 냉방을 희망하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6)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덕트(30)가 상기 공기 흡입구(2)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2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냉방을 희망하는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덕트(40)가 상기 공기 토출구(4)에 연결된다.The cabinet (6)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2), the suction duct 30 for guiding the air in the room to be cool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binet (6), by the heat exchanger (20) A discharge duct 40 for guiding the cool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room to be cooled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4.
상기 캐비닛(6)은 베이스(8)와, 상기 베이스(8)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세움된 복수개의 앵글(10)과, 상기 복수개의 앵글(10)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덕트(40)가 연결되는 플랜지(12)가 형성된 상면 패널(14)과, 상기 복수개의 앵글(10) 상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상부 패널(16)과, 상기 복수개의 앵글(10) 하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하부 패널(18)로 구성된다.The cabinet 6 includes a base 8, a plurality of angles 10 perpendicular to the edge of the base 8,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angles 10 and the air outlet 4 A top panel 14 having a flange 12 to which the discharge duct 40 is connected, a plurality of upper panels 16 mounted on the plurality of angles 10, and a plurality of angles 10.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er panels 18 mounted on the lower part.
상기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그 하부가 베이스(2)와 복수개의 하부 패널(16)로 이루어져, 그 설치조건에 따라 상기 흡입덕트(30)를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has a lower portion consisting of a base 2 and a plurality of lower panels 16, and the suction duct 30 can be variously connected according to its installation conditions.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바닥면에 설치된 경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된 경우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천정에 설치된 경우의 개략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wall, 5 is a schematic sid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가 바닥면에 세움되게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하부 패널(18) 중 어느 하나를 떼어낸 후 상기 하부 패널(18)이 분리된 개구부에 상기 흡입덕트(30)를 연결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가 벽면에 매달리듯이 설치될 경우, 상기 베이스를 떼어낸 후 상기 베이스가 분리된 개구부에 상기 흡입덕트(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가 천정측에 옆으로 눕혀서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하부 패널(18) 중 어느 하나 또는 베이스를 떼어낸 후 상기 복수개의 하부 패널(18) 중 어느 하나 또는 베이스가 분리된 개구부에 상기 흡입덕트(3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the indoor unit 1 may be detached from the opening of the lower panel 18 after removing one of the plurality of lower panels 18. Suction duct 30 can be connected, 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as if hanging on a wall, the suction duct ( 30), a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lying on the ceiling sid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wer panels 18 or the base is detached and then the plurality of The suction duct 30 may be connected to an opening in which one of the lower panels 18 or the base is separa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상기 송풍기(20)가 작동되면, 실내 공기가 흡입덕트(30)와 흡입구(2)를 통해 캐비닛(6)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4)의 방향으로 송풍되면서 상기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되어 냉각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4)와 토출덕트(40)를 통해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킨다.In the indoor unit 1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wer 20 is operat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binet 6 through the suction duct 30 and the suction port 2. It is sucked, blown in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4), heat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20) and cooled,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4) and the discharge duct 40 to cool the room.
한편, 상기 캐비닛(16)의 내부에 별도의 전열 히터나 가스 히터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실내기(2)를 냉방기 뿐만 아니라 난방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e heat transfer heater or gas heater is mounted inside the cabinet 16, the indoor unit 2 can be used not only as a cooler but also as a heat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덕트(30)와 토출덕트(40)가 캐비닛(6)의 반대편에 연결되므로, 그 연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상기 실내기(2)를 난방기로 사용하기 위하여 실내기(2)에 별도의 전열 히터나 가스 히터를 장착하는 경우, 전열 히터나 가스 히터의 비용이 증대되고, 전력 및 연료 소비량이 증가되며, 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uction duct 30 and the discharge duct 40 are connected to opposite sides of the cabinet 6 in the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onnection work is not easy, and the indoor unit 2 is turned into a heater. When a separate electric heater or a gas heater is mounted on the indoor unit 2 for use, the cost of the electric heater or the gas heater is increased, the power and fuel consumption are increased, and the risk of fire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수 배관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온수 배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최소화하여 난방 성능이 높은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minimiz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pipes without heating by the hot water pipe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with high heating performance. There is th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 연결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nd speed up the work of connecting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 내부를 공기 흡입 유로와 공기 토출 유로로 분리하는 베리어와; 상기 공기 토출 유로 일측에 설치된 송풍 유닛과; 상기 송풍 유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지그재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복수열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온수 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upper panel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barrie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into an air intake passage and an air discharge passage; A blow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er unit, is formed in a zigzag shap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up and dow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t water pipes arranged upside down mutual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기 및 실외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는 보일러(51)나 바닥(A)에 매설된 온수관(52)에 온수 유입관(53) 및 온수 배출관(54)이 연결되고, 상기 온수 유입관(53) 및 온수 배출관(54)은 실내기(56)를 관통하여 실내기(56)의 내부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ure 6,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water inlet pipe 53 and hot water discharge pipe 54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52 embedded in the boiler 51 or the floor (A), The hot water inlet pipe 53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56 through the indoor unit 56.
그리고, 상기 실내기(56)는 실외기(58)와 냉매배관(59)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indoor unit 56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58 and the refrigerant pipe 59.
상기 실내기(56)에는 실내 열교환기(증발기)가 내장되고, 상기 실외기(58)에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응축기)와, 팽창기구가 내장되며, 상기 냉매배관(59)은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를 순환하도록 각각을 연결하여,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흡열하고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방열토록 한다.The indoor unit 56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evaporator), and the outdoor unit 58 includes a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condenser), and an expansion mechanism, and the refrigerant pipe 59 includes a refrigerant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is absorb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radi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미설명부호 62는 일단이 상기 실내기(56)의 공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56)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덕트이다.Reference numeral 62 is an intake duct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of the indoor unit 56 to allow the air to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56.
여기서, 상기 흡입덕트(62)는 냉/난방을 희망하는 실내(B)로 연장되는 경우 실내(B)의 공기를 흡입한 후 열교환할 수 있어 신속한 냉/난방이 가능하게 되고, 실외(C)로 연장되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한 후 열교환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uction duct 62 is extended to the room (B) which is desired to cool / heat, the suction duct 62 may suck heat from the room (B) and exchange heat, thereby enabling rapid cooling / heating and the outdoor (C). If it extends to the outside can be heat exchanged after inhaling fresh ai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또한, 미설명 부호 64는 일단이 상기 실내기(56)의 공기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난방을 희망하는 실내(B)로 연장된 토출덕트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64 is a discharge duc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indoor unit 56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room (B) for cooling / heating.
그리고, 미설명부호 68은 상기와 같은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68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indoor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56)는 캐비닛(72)과, 상기 캐비닛(72)의 상면에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74) 및 공기 토출구(76)가 형성된 상면 패널(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indoor unit 56 is disposed on the cabinet 7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72, and the top panel 78 having the air inlet 74 and the air outlet 76 formed there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캐비닛(72)은 베이스(121)와, 상기 베이스(121)의 가장자리 상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상면 패널(78)이 올려져 장착되는 복수개의 앵글(122)과, 상기 실내기(56)의 양측면부과 배면부을 구성하는 캐비닛 본체(125)와, 상기 캐비닛(56)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129)로 구성된다.The cabinet 72 includes a base 121, a plurality of angles 122 arranged vertically above the edge of the base 121, and the upper panel 78 mounted on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indoor unit 56. The cabinet main body 125 constituting both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 and the front panel 129 constitu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abinet 56.
상기 캐비닛 본체(125)는 단면 형상이 ‘ㄷ’모양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abinet body 125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cross-sectional shape into a 'c' shape,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combined.
상기 전면 패널(129)은 상기 송풍기(90)와 열교환기(100) 등의 서비스가 용이하도록 복수개로 분할되는 바, 상기 복수개의 앵글(122) 중 전면측 앵글의 상부에 장착된 전면 상부 패널(129a)과, 상기 복수개의 앵글(122) 중 전면측 앵글의 하부에 장착된 전면 하부 패널(129b)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9a)과 전면 하부 패널(129b)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82)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전면 중앙 패널(129c)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129a)과 전면 하부 패널(129b)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유로(84)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전면 중앙 패널(129d)로 구성된다.The front panel 129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r to facilitate the service such as the blower 90 and the heat exchanger 100, a front upper panel mounted on the top of the front angle of the plurality of angles 122 ( 129a, a front lower panel 129b mounted below the front angle of the plurality of angles 122, and the suction flow path disposed between the front upper panel 129a and the front lower panel 129b. A first front center panel 129c forming a part of 82 and a second disposed between the front top panel 129a and the front lower panel 129b and forming a part of the discharge flow path 84. It consists of the front center panel 129d.
상기 상면 패널(78)은 그 우측과 좌측에 상기 공기 흡입구(74) 및 공기 토출구(76)는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upper panel 78 is formed at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air inlet 74 and the air outlet 76 are spaced apart.
또한, 상기 상면 패널(78)은 상기 공기 흡입구(74)의 상측 둘레에 상기 흡입덕트(6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흡입구 플랜지(124a)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76)의 상측 둘레에 상기 토출덕트(64)가 연결될 수 있도록 토출구 플랜지(124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panel 78 is formed with an inlet flange 124a so that the suction duct 62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air inlet 74, and the discharge around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air outlet 76. The outlet flange 124b is formed so that the duct 64 can be connected.
이 경우, 상기 실내기(56)는 상기 공기 흡입구(74)와 공기 토출구(76)가 상기 상면 패널(78)에 함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입 덕트(62) 및 토출 덕트(64)의 연결이 용이하다.In this case, the indoor unit 56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62 and the discharge duct 64 because the air inlet 74 and the air outlet 76 are formed together on the upper panel 78. It is easy.
한편, 상기 실내기(56)는 상기 캐비닛(72)의 내부를 공기 흡입 유로(82)와 공기 토출 유로(84)로 분리하는 베리어(80)가 길게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door unit 56, a barrier 80 for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72 into the air intake passage 82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84 is disposed long.
상기 베리어(80)는 일단이 상기 캐비닛(78)의 공기 흡입구(74)와 공기 토출구(76) 사이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흡입구(74) 및 공기 토출구(76)가 형성된 상면 패널(78)의 반대편인 베이스(121)와 이격되며, 상기 캐비닛(72)의 내부에는 ‘U’자형 유로가 형성된다.The barrier 80 has one end fixed at a position between the air inlet 74 and the air outlet 76 of the cabinet 78, and the other end of the barrier 80 is provided with an upper panel (the air inlet 74 and the air outlet 76). The base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121, and a '-' channel is formed in the cabinet 72.
즉, 상기 실내기(56)는 상기 베리어(80)의 일측면 옆에 공기 흡입구(74)와 통하는 상기 공기 흡입 유로(82)가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80)의 타측면 옆에 상기 흡입 유로(82)와 하부가 통하고 공기 토출구(76)와 통하는 공기 토출 유로(84)가 형성된다.That is, the indoor unit 56 has the air intake passage 82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take port 74 next to one side of the barrier 80, and the intake passage (side) of the barrier 80 next to the other side of the barrier 80. An air discharge flow path 84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82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port 76 is formed.
또한, 상기 실내기(56)에는 공기를 상기 캐비닛(72)의 내부 유로로 흡입시킨 후 다시 토출시키는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90)가 장착되는 바, 상기 송풍기(90)는 상기 캐비닛(72) 내부의 토출 유로(84)에 장착되는 송풍기 지지 브라켓(91)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56 is equipped with a blower 90 for generating a blowing force to suck air into the inner flow path of the cabinet 72 and discharge it again, the blower 90 is the cabinet 72 It is attached to the blower support bracket 91 attach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84 inside.
상기 송풍기(90)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홀과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 지지 브라켓(91)에 고정되는 팬 하우징(92)과, 상기 팬 하우징(92)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팬 하우징(92)의 내부로 회전축이 돌출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송풍모터(94)와, 상기 송풍모터(94)의 샤프트에 회전중심이 연결되고 상기 팬 하우징(92)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된 송풍팬(96)으로 구성된다.The blower 90 includes a fan housing 92 having a suction hol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fixed to the blower support bracket 91, and mounted on one side of the fan housing 92. And a rotating shaft protruding into the fan housing 92 and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nd a rotation center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blowing motor 94, and is rotatable inside the fan housing 92. It is composed of a blower fan 96 is positioned.
한편, 상기 실내기(56)는 상기 송풍기(90)의 하측에 상기 열교환기(100)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door unit 56 is the heat exchanger 100 is moun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lower (90).
상기 열교환기(100)는 핀 튜브 타입의 열교환기나 플레이트 타입의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매배관(59)이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구동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내부에 흐르면서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며, 냉매와 공기의 전열면적이 크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열교환부(102)와 우측 열교환부(104)로 나뉜다.The heat exchanger 100 is composed of a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or a plate type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pipe 59 is connected to cool the ambient air while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flows inside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refrigerant and air is formed in a '∧' shape to be divided into a left heat exchanger 102 and a right heat exchanger 104 based on the upper center.
또한, 상기 실내기(56)는 상기 좌측 열교환부(102) 및 우측 열교환부(104)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좌측 열교환부(102) 및 우측 열교환부(104)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거하고, 중앙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106)이 형성된 제 1 드레인 팬(107)과, 상기 좌측 열교환부(102) 및 우측 열교환부(104)의 옆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56)가 옆으로 눕혀 설치될 경우 상기 좌측 열교환부(102) 또는 우측 열교환부(104)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제 2 드레인팬(10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56 is disposed below the left heat exchanger 102 and the right heat exchanger 104 to collect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left heat exchanger 102 and the right heat exchanger 104, A first drain pan 107 formed with a through hole 106 through which air can pass, and the left side heat exchanger 102 and the right heat exchanger 104, and the indoor unit 56 is laid on its side. When installed,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ain pan 108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left heat exchanger 102 or the right heat exchanger 104.
한편, 상기 실내기(56)는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100)를 이용한 냉/난방 기능 이외에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바, 상기 공기 흡입구(74)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름되는 메쉬 형상의 에어 필터(114)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냄새 등을 정화하는 고성능 필터(118)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indoor unit 56 has an air purify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cooling / heating function using the heat exchanger 100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mesh shape in which dust in the air sucked toward the air inlet 74 is filtered. The air filter 114 and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18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rt and purifies | cleans dust, an odor, etc. in air are further included.
상기 고성능 필터(118)는 상기 베리어(80)의 하단과 캐비닛(72)의 일측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 필터(114)에서 1 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를 2 차적으로 정화하는 것으로,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118a)와, 상기 전리부(118a)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포집부(118b)와, 상기 전리부(118a) 및 포집부(118b)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로 구성된다.The high-performance filter 118 is moun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arrier 80 and one side of the cabinet 72 to purify the air primarily purified by the air filter 114, and to remove dust in the air.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ionizing unit 118a for ionizing the ion, a collecting unit 118b disposed behind the ionizing unit 118a and collecting the ionized dust, and the ionizing unit 118a and the collecting unit 118b. It consists of a high voltage generator.
상기 전리부(118a)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접지전극을 이루는 방전 대응극과, 상기 방전 대응극 사이에 공기의 유동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고 고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형성하여 상기 방전 대응극과의 사이에 이온화선을 형성하는 방전극을 포함한다.The ionizing part 118a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ground electrode, and is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between the discharge corresponding electrode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form a positive electrode to form the discharge corresponding electrode. It includes a discharge electrode for forming an ionization line between.
그리고, 상기 포집부(118b)는 상기 전리부(118a)에서 전리된 먼지가 흡착되는 포집 전극과, 상기 전리부(118a)에서 전리된 먼지를 상기 포집 전극으로 가속시키는 가속 전극으로 구성된다. The collecting unit 118b includes a collecting electrode to which the dust ionized by the ionizing unit 118a is adsorbed, and an acceleration electrode to accelerate the dust ionized by the ionizing unit 118a to the collecting electrode.
또한, 상기 실내기(56)는 상기와 같은 냉방 및 공기정화 이외에 온수를 이용한 난방 기능을 갖는 바, 상기 송풍기(90)와 공기 토출구(76)의 사이 위치에는 상기 온수 유입관(53)에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온수 배출관(54)에 타단이 연통되는 보조 난방 장치(130)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56 has a heating function using hot water in addition to the cooling and air purification as described above, and one end is provided at the hot water inlet pipe 53 at a position between the blower 90 and the air discharge port 76. An auxiliary heating device 13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is disposed.
상기 보조 난방 장치(130)는 상기 온수 유입관(53)에서 유입된 온수가 통과하고 상기 온수 배출관(54)으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관이다.The auxiliary heating device 130 is a hot water pipe through which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inflow pipe 53 passes and discharges hot water to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상기 온수 배관(130)은 상기 송풍기 지지 브라켓(91)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장착된 좌,우 온수 배관 지지 브라켓(131,132)에 단부가 올림되어 상기 송풍기(9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hot water pipe 13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hot water pipe support brackets (131, 132) vertically mounted to the upper edge of the blower support bracket 91 and spaced apart from the blower (90).
또한, 상기 온수 배관(130)은 상하로 복수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t water pipe 130 is preferably arranged in multiple rows up and down.
한편, 상기 실내기(56)는 상기 온수 배관(130)으로 유입되거나 온수 배관(130)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단속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관, 온수 유입관(53), 온수 배출관(54), 상기 온수 배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온수 제어 밸브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door unit 56 is the hot water pipe, hot water inlet pipe 53, hot water discharge pipe 54, so that the hot water introduced to the hot water pipe 130 o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pipe 130 to regulate or regulate. It is preferable that a hot water control valve is moun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t water pipe 130.
상기 온수 제어 밸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기계식 밸브로 이루어지거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hot water control valve may be made of a mechanica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flow path by the user's operation, or may be made of a solenoi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flow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온수 배관이 도시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hot water pipe of an embodimen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온수 배관(13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공기 토출방향과 직교하게 배열되고, 상측 온수 배관과 하측 온수 배관이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다.The hot water pipe 130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orthogonal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and the upper hot water pipe and the lower hot water pipe are alternately arranged up and down.
미설명 부호 140은 상기 온수 유입관(53)이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 배관의 입구부(133)가 타측에 연결되는 유입측 커플링이고, 미설명부호 142는 상기 온수 배출관(54)이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 배관(130)의 출구부(134)가 타측에 연결되는 배출측 커플링이다. Reference numeral 140 is an inlet coupling of the hot water inlet pipe 53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inlet 133 of the hot water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the reference numeral 142 is one side of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It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hot water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134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상기 유입측 커플링(140)과 배출측 커플링(142)은 상기 온수 유입관(53)과 온수 배출관(54)이 상기 온수 배관(130)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기 좌,우 온수 배관 지지 브라켓(131,132)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The inlet coupling 140 and the outlet coupling 142 is to allow the hot water inlet pipe 53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to be easily and quickly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130, It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hot water pipe support brackets (131, 132).
한편, 미설명 부호 144는 상기 온수 유입관(53)이 상기 캐비닛(72)을 관통하여 상기 유입측 커플링(1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72)에 형성된 제 1 관통홀이고, 미설명부호 146은 상기 온수 배출관(54)이 상기 캐비닛(72)을 관통하여 상기 배출측 커플링(14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72)에 형성된 제 2 관통홀이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44 is a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cabinet 72 so that the hot water inlet pipe 53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coupling 140 through the cabinet 72, and not described Reference numeral 146 denotes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binet 72 so that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may pass through the cabinet 72 and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coupling 14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6)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실외기(58)의 압축기는 온 작동되고, 상기 실내기(56)의 열교환기(100)에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흐르게 되며, 상기 실내기(56)의 열교환기(100) 주변의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다. First, when the indoor unit 56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is cooled and operated,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58 is turned on, and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00 of the indoor unit 56. The air around the heat exchanger 100 of the indoor unit 56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그리고, 상기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6)는 상기 실외기(58)의 압축기 온 작동과 함께 상기 송풍모터(94)와 고성능 필터(118)가 온 작동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56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operates the blower motor 94 and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18 together with the compressor on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58.
상기 송풍모터(94)의 온 작동으로 상기 송풍팬(96)은 회전되게 되고, 상기 캐비닛(72)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96)의 회전에 따른 송풍압이 생성되며, 실내(B)의 공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덕트(62)와 공기 흡입구(74)를 차례로 통과하여 캐비닛(72)의 내부로 흡입된다.The blower fan 96 is rotated by the on-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94, and a blowing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abinet 7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96. As shown in FIG. 8, air passes through the suction duct 62 and the air suction port 74 in order to be sucked into the cabinet 72.
상기 공기 흡입구(74)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필터(114)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름되고, 상기 흡입 유로(82)를 통해 상기 캐비닛(72)의 하부로 유동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let 74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14, an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primarily filtered and flow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72 through the suction passage 82.
상기 캐비닛(72)의 하부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고성능 필터(118)를 통과하면서 먼지나 냄새가 2차적으로 흡착 포집되고, 상기 캐비닛(72)의 저면부인 베이스(121)에 부딪힌 후 유동 방향이 ‘U’자 형으로 꺽여서 상기 캐비닛(72)의 토출 유로(84)를 통해 캐비닛(72)의 상부로 유동된다.The air flo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72 is adsorbed and collected by secondary adsorption of dust or odor while passing through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18, and the flow direction after hitting the base 121 which is the bottom of the cabinet 72 is It is bent in a 'U' shape and flows to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72 through the discharge flow path 84 of the cabinet 72.
상기 캐비닛(72)의 상부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되고, 상기 팬 하우징(92)의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온수 배관(130)의 사이를 지나고, 상기 공기 토출구(76)와 토출덕트(64) 실내(B)로 다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킨다.Air flow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72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100,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92, and then between the hot water pipes 130. After that, the air discharge port 76 and the discharge duct 64 are discharged again to the room B to cool the room.
한편, 상기 덕트 연결용 공기조화기의 실내기(56)가 난방 운전되면, 실외기(58)의 압축기는 오프 작동되어 상기 열교환기(100)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게 되고, 상기 온수 제어 밸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부가 개방되거나 상기 제어부(68)에 의해 내부가 개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oor unit 56 of the duct connection air conditioner is heated and operated,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58 is turned off so that no refrigerant flows in the heat exchanger 100, and the hot water control valve is operated by a user. The interior is opened by or the interior is opened by the control unit 68.
이때, 상기 온수 배관(13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 유입관(53)에서 유입되는 온수가 상기 유입측 커플링(140)과 입구부(133)를 지나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온수는 상기 온수 배관(130) 내부를 흐르면서 온수 배관(130) 주변의 공기를 가열시킨 후, 상기 출구부(134)와 배출측 커플링(142)과 온수 배출관(54)을 통해 배출된다.8 and 9, the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hot water inlet pipe 53 flows through the inlet coupling 140 and the inlet 133 to the hot water pipe 130. The heated water flows through the hot water pipe 130 to heat the air around the hot water pipe 130, and then through the outlet 134, the discharge side coupling 142,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54. Discharged.
배출된 온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A)에 매립된 온수관(52)을 통해 보일러(51)로 순환되거나 상기 보일러(51)로 직접 순환되어 보일러(51) 내부에서 가열되고, 상기와 같은 온수 배관(130)로의 유입/배출이 반복된다. The discharged hot water is circulated to the boiler 51 through the hot water pipe 52 embedded in the bottom (A) or circulated directly to the boiler 51 is heated inside the boiler 51, Inflow / outlet to the hot water pipe 130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한편, 상기와 같은 온수의 순환이 행해지는 동안 상기 송풍모터(94)와 고성능 필터(118)는 온 작동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irculation of the hot water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the blowing motor 94 and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18 is turned on.
상기 송풍모터(94)의 온 작동으로 상기 송풍팬(96)은 회전되게 되고, 공기는 냉방 운전시와 같이 상기 흡입덕트(62), 공기 흡입구(74), 에어 필터(114), 흡입 유로(82), 고성능 필터(118)를 차례로 지난 후, 상기 토출 유로(84)를 따라 상기 캐비닛(72)의 상부로 유동된다. The blower fan 96 is rotated by the on-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94, and th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62, the air suction port 74, the air filter 114, and the suction flow path as in the cooling operation. 82), and after pass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118 in turn, flow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72 along the discharge flow path 84.
상기 캐비닛(72)의 상부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0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체로 상기 열교환기(10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팬하우징(92)을 통과한 후, 상기 온수 배관(130) 주변을 지나면서 온수와의 열교환으로 가열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76)와 토출덕트(64)를 통해 토출되어 실내(B)를 난방시킨다.The air flow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72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00 with no heat exchange with the heat exchanger 100, passes through the fan housing 92, and then the hot water pipe. 130 is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hot water while passing aroun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76 and the discharge duct 64 to heat the room (B).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가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인 경우, 난방 운전시 상기 온수 배관에 의한 가열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is a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eating by the heat exchanger together with the heating by the hot water pipe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is of course possible. to b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캐비닛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면 패널에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공기 흡입 유로와 공기 토출 유로로 분리하는 베리어가 장착되며, 상기 공기 토출 유로 일측에 설치된 송풍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송풍 유닛의 상측에 보조 난방 장치가 장착되므로, 흡입 덕트 및 토출 덕트의 연결이 용이하고, 상기 보조 난방 장치에 의해 난방기로 이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in an upper panel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separated into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barrier is mounted, and a blowing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is mounted, and an auxiliary he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wing unit, so that connection between the suction duct and the discharge duct is easy, and the auxiliary heating device is used as a he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또한, 상기 보조 난방 장치는 온수가 통과하는 온수 배관으로 이루어져, 전열 히터나 가스 히터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것 보다 저렴하고, 안전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heating device is made of hot water pipes through which hot water passes, and is inexpensive and safer than heating the room by using an electric heater or a gas heater.
또한, 상기 온수 배관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복수열이 구비되며, 상측 온수 배관과 하측 온수 배관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온수 배관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온수 배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난방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t water pipe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up and down, and the upper hot water pipe and the lower hot water pipe are alternately arranged to minimize the air passing between the hot water pipes without being heated by the hot water pip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ing performance is hig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바닥면에 설치된 경우의 개략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벽면에 설치된 경우의 개략 측면도,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when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wall,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천정에 설치된 경우의 개략 측면도,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stalled on the ceil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기 및 실외기가 도시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of an embodiment of a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duct connection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기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온수 배관이 도시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hot water pipe of an embodiment of the duct-connec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보일러 52: 온수관51: boiler 52: hot water pipe
53: 온수 유입관 54: 온수 배출관53: hot water inlet pipe 54: hot water discharge pipe
56: 실내기 58: 실외기56: indoor unit 58: outdoor unit
59: 냉매배관 62: 흡입덕트59: refrigerant piping 62: suction duct
64: 토출덕트 68: 제어부64: discharge duct 68: control unit
72: 캐비닛 74: 공기 흡입구72: cabinet 74: air intake
76: 공기 토출구 78: 상면 패널76: air outlet 78: top panel
80: 베리어 82: 흡입 유로80: barrier 82: suction flow path
84: 토출 유로 90: 송풍기84: discharge flow path 90: blower
92: 팬 하우징 94: 송풍모터92: fan housing 94: blowing motor
96: 송풍팬 100: 열교환기96: blower fan 100: heat exchanger
102: 좌측 열교환부 104: 우측 열교환부102: left heat exchanger 104: right heat exchanger
106: 제 1 드레인팬 107: 제 2 드레인팬106: first drain pan 107: second drain pan
108: 제 3 드레인팬 114: 에어 필터108: third drain pan 114: air filter
118: 고성능 필터 130: 온수 배관118: high performance filter 130: hot water piping
131,132: 온수 배관 지지 브래킷 133: 입구부131, 132: hot water pipe support bracket 133: inlet
134: 출구부 140: 유입측 커플링134: outlet 140: inlet coupling
142: 배출측 커플링 144: 제 1 관통홀142: outlet side coupling 144: first through hole
146: 제 2 관통홀 A: 바닥146: second through hole A: bottom
B: 냉/난방을 희망하는 실내 C: 실외B: Indoor for cooling / heating C: Outdoo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8751A KR100529921B1 (en) | 2003-08-25 | 2003-08-25 |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US10/761,413 US7065978B2 (en) | 2003-08-12 | 2004-01-22 | Air conditioner |
EP04250359A EP1508755B1 (en) | 2003-08-12 | 2004-01-23 | Air conditioner |
ES04250359T ES2285360T3 (en) | 2003-08-12 | 2004-01-23 | AIR CONDITIONING DEVICE. |
CNB200410039760XA CN1300513C (en) | 2003-08-12 | 2004-01-30 | Air-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8751A KR100529921B1 (en) | 2003-08-25 | 2003-08-25 |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2178A KR20050022178A (en) | 2005-03-07 |
KR100529921B1 true KR100529921B1 (en) | 2005-11-22 |
Family
ID=3723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8751A KR100529921B1 (en) | 2003-08-12 | 2003-08-25 |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992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03888B2 (en) | 2012-03-12 | 2017-10-31 | Maximum Air Llc | HVAC base and return air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1728B1 (en) | 2017-03-21 | 202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03
- 2003-08-25 KR KR10-2003-0058751A patent/KR10052992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03888B2 (en) | 2012-03-12 | 2017-10-31 | Maximum Air Llc | HVAC base and return ai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2178A (en) | 2005-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24474B (en) |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 |
CN215216373U (en) | Heat exchanger and range hood provided with same | |
KR20100011144A (en) | Ventilating system having heat pump | |
US20050034472A1 (en) | Air conditioner | |
WO2005095874A1 (en) | Humidity controller | |
JP4325716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KR100529921B1 (en) |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
JP2013137151A (en) | Air conditioner | |
KR100529914B1 (en) | An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
JP3565276B2 (en) |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 |
CN1922451B (en) | Humidity controller | |
JPH1194286A (en) | Air conditioner | |
KR100529920B1 (en) | An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 |
CN212618638U (en) |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0546658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13124453B (en) |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060117832A (en) | Drain Fan of Air Conditioner | |
KR20050074826A (en) | Air-conditioner using exhausting of ventilation | |
JP3815486B2 (en) | Humidity control device | |
KR20240139116A (en) |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with waste heat recovery and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 |
KR20040020709A (en) | An air-conditioner | |
CN113685898A (en) | A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040040034A (en) | Dehumidifier | |
CN115076740A (en) | Heat exchanger and range hood provided with same | |
KR20000004682U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