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64B1 -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 - Google Patents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1964B1 KR100491964B1 KR10-2005-0008657A KR20050008657A KR100491964B1 KR 100491964 B1 KR100491964 B1 KR 100491964B1 KR 20050008657 A KR20050008657 A KR 20050008657A KR 100491964 B1 KR100491964 B1 KR 1004919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plate
- rainwater
- window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방보와 벽돌에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창문틀로 누수되는 유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인방보(170)에는 상부에 벽돌(110)이 적층시, 그 사이에 인방보 커버(900)가 설치되어 우수의 유입을 방지시키는 구조로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방보와 벽돌에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창문틀로 누수되는 유체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벽체에는 벽돌이 조적되는 관계로, 문틀이 설치되는 상,하부에 인방보와 창대 기초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벽돌 벽체는 창대 기초와 인방보의 사이에 문틀이 설치되고, 문틀에는 내부에 창문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주택 인방보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벽돌 벽체(10)에는 문틀(30)의 상부에 인방보(20)가 설치되고, 문틀(30)의 내부에 창문(40)이 설치된다.
상술한 벽돌 벽체(10)의 창호 시스템은, 인방보(20)와 문틀(30)의 결속 구조가 미흡하여 인방보(20)에 균열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 인방보(20)와 문틀(30)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벽돌 벽체를 시공시 인방보와 그 인방보의 상부에 적층되는 벽돌의 사이에 인방보 커버를 설치하여 인방보에서 발생되는 균열에 따른 하자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시공성이 양호한 인방보 커버를 구성하는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인방보 상부에 우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인방보 커버를 설치하여 문틀과 창문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방보 커버가 설치된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인방보 커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벽돌 벽체(100)에는 벽돌(110)이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되고, 상기 벽돌 벽체(100)에는 창호가 시공되는 경우, 창대 기초(150)와 인방보(170)의 사이에 문틀(200)과 창문(250)이 설치된다.
상기 인방보(170)에는 상부에 벽돌(110)이 적층시, 그 사이에 인방보 커버(900)가 설치되어 우수가 화살표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인방보 커버(900)는, 판재를 수직 및 경사지게 형성한 빗물 커버판(300), 빗물 커버판(300)의 하부 체결대 연결구(330)와 하부 지지구(340)의 사이에 수평하게 삽입되는 하부판(400), 빗물 커버판(300)의 체결대 연결구(320)(330)에 밀착되고 하부 볼트부(510)가 하부판(400)의 체결홀(41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삼각 체결대(500) 및 상기 빗물 커버판(300), 하부판(400), 삼각 체결대(50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체결 볼트(550)와 너트(560)로 구성된다.
상기 빗물 커버판(300)은, 상부가 수직하게 절곡되고, 중간부와 하부가 경사지게 절곡되는 한편, 상부 수직판부와 90°각도로 절곡된 수평판부에 다수개의 체결홀(310)이 형성되고, 중간부의 절곡 위치에 체결대 연결구(320)가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 절곡 위치에 체결대 연결구(330)와 하부 지지구(340)가 형성된다.
상기 빗물 커버판(300)에는 체결홀(310)에 고정 나사(390)이 체결된다.
상기 하부판(400)은 직사각형 판재로, 다수개의 체결홀(410)이 형성된다.
상기 삼각 체결대(500)는, 다수개가 1조로 구성되고, 삼각형 형태로, 절곡된 하부에 볼트부(510)가 형성되고, 중앙 양측 말단에 각각 체결홀(520)이 형성되며, 체결 볼트(550)와 너트(56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인방보 커버(900)는, 우수 등의 유체가 문틀(200)과 창문(250)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인방보(170)와 벽돌(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바,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하부판(400)과 삼각 체결대(600)가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에폭시 접착제(590)를 포설하여 견고한 결합 구조 및 우수(또는 유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돌 벽체를 시공시 인방보와 그 인방보의 상부에 적층되는 벽돌의 사이에 인방보 커버를 설치하여 인방보에서 발생되는 균열에 따른 하자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시공성이 양호한 인방보 커버의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주택 인방보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인방보 커버가 설치된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인방보 커버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벽돌 벽체 110: 벽돌
150: 창대 기초 170: 인방보
190: 외벽 미장층 200: 문틀
250: 창문 300: 빗물 커버판
400: 하부판 500: 삼각 체결대
550: 체결 볼트 900: 인방보 커버
Claims (1)
- 벽돌 벽체, 창대 기초, 인방보, 문틀 및 창문을 포함하는 주택 창문 인방보에 있어서,상기 인방보(170)에는 상부에 벽돌(110)이 적층시, 그 사이에 인방보 커버(900)가 설치되어 우수의 유입을 방지시키는 한편,상기 인방보 커버(900)는, 판재를 수직 및 경사지게 형성한 빗물 커버판(300), 빗물 커버판(300)의 하부 체결대 연결구(330)와 하부 지지구(340)의 사이에 수평하게 삽입되는 하부판(400), 빗물 커버판(300)의 체결대 연결구(320)(330)에 밀착되고 하부 볼트부(510)가 하부판(400)의 체결홀(41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삼각 체결대(500) 및 상기 빗물 커버판(300), 하부판(400), 삼각 체결대(50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체결 볼트(550)와 너트(560)로 구성되며,상기 빗물 커버판(300)은, 상부가 수직하게 절곡되고, 중간부와 하부가 경사지게 절곡되며, 상부 수직판부와 90°각도로 절곡된 수평판부에 다수개의 체결홀(310)이 형성되고, 중간부의 절곡 위치에 체결대 연결구(320)가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 절곡 위치에 체결대 연결구(330)와 하부지지구(340)가 형성되며,상기 하부판(400)은 직사각형 판재로, 다수개의 체결홀(410)이 형성되고,상기 삼각 체결대(500)는, 다수개가 1조로 구성되고, 삼각형 형태로, 절곡된 하부에 볼트부(510)가 형성되고, 중앙 양측 말단에 각각 체결홀(520)이 형성되며, 체결 볼트(550)와 너트(560)에 의해 상호 체결되며, 그 사이에 에폭시 접착제(590)가 포설되어 우수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 인방보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8657A KR100491964B1 (ko) | 2005-01-31 | 2005-01-31 |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8657A KR100491964B1 (ko) | 2005-01-31 | 2005-01-31 |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91964B1 true KR100491964B1 (ko) | 2005-05-30 |
Family
ID=4366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8657A KR100491964B1 (ko) | 2005-01-31 | 2005-01-31 |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9196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8073B1 (ko) | 2006-02-17 | 2006-06-14 | 김규용 |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
KR100594741B1 (ko) | 2005-08-29 | 2006-07-04 | 주식회사 탑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아치형 외각 창문 구조 |
KR101381923B1 (ko) | 2013-11-04 | 2014-04-17 | 임현승 | 베란다 난간대용 빗물방지 캡 |
KR200477960Y1 (ko) * | 2014-05-27 | 2015-08-11 | 김동운 | 빗물 실내유입 차단장치 |
KR102089103B1 (ko) | 2019-07-03 | 2020-03-13 | 김동섭 | 빗물감지 창문 자동개폐 시스템 |
-
2005
- 2005-01-31 KR KR10-2005-0008657A patent/KR1004919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741B1 (ko) | 2005-08-29 | 2006-07-04 | 주식회사 탑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아치형 외각 창문 구조 |
KR100588073B1 (ko) | 2006-02-17 | 2006-06-14 | 김규용 |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
KR101381923B1 (ko) | 2013-11-04 | 2014-04-17 | 임현승 | 베란다 난간대용 빗물방지 캡 |
KR200477960Y1 (ko) * | 2014-05-27 | 2015-08-11 | 김동운 | 빗물 실내유입 차단장치 |
KR102089103B1 (ko) | 2019-07-03 | 2020-03-13 | 김동섭 | 빗물감지 창문 자동개폐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91121B1 (en) | Thermally improved curtain wall connection system | |
KR100491964B1 (ko) | 주택 창문 빗물 누수막이용 인방보 커버 | |
US20140260011A1 (en) | Window sill with rainwater channel drainage | |
KR100730901B1 (ko) |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 |
JP6205197B2 (ja) | 建物の換気構造 | |
KR101354665B1 (ko) |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 |
KR20050101244A (ko) |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 |
KR20130068833A (ko) | 건축용 지붕패널 조립장치 | |
KR200411821Y1 (ko) |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 |
KR100491963B1 (ko) |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 |
JP2009019366A (ja) | 建具周囲の排水構造 | |
JP5046677B2 (ja) | 鋼製のドア枠 | |
KR101310406B1 (ko) | 수직 및 수평 배수수단을 구비한 건식 커튼월유닛 | |
US6321491B1 (en) | Bulkhead door seal | |
JP2007100435A (ja) | 金属カーテンウォールによる外壁コーナー部の構造 | |
JP6872314B2 (ja) | 建具と建具の施工方法 | |
CN205638055U (zh) | 一种被动式房屋用窗的木窗框安装结构 | |
CN217518297U (zh) |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 | |
KR200361541Y1 (ko) |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 |
JP2012233340A (ja) | 外壁構造 | |
KR20120109095A (ko) |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2181848B1 (ko) | 일체형 열교차단재를 구비하는 커튼월 | |
CN208698104U (zh) | 一种环保高分子防水防火隔音保温复合板材 | |
JP2022062484A (ja) | 建具 | |
JP2022177345A (ja) | 建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52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