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494B1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494B1
KR100490494B1 KR10-2002-0028220A KR20020028220A KR100490494B1 KR 100490494 B1 KR100490494 B1 KR 100490494B1 KR 20020028220 A KR20020028220 A KR 20020028220A KR 100490494 B1 KR100490494 B1 KR 10049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ver
outer case
projector
cas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191A (ko
Inventor
나카노히로히사
사쿠라이데루오
나카노기요타카
아라이츠요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34Change-ove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Abstract

램프 커버(61)의 상측 케이스(21)로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로 클램프(631)의 일부(631C)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램프 커버(61)와 상측 케이스(21)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 외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로 가압하는 단일 동작으로 램프 커버(61)를 개방할 수 있어,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 장치에서 방사된 광속(光束)을 변조한 후에 확대 투사하여 투사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의, 학회, 전시회 등에서의 프리젠테이션에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로젝터로는 광원에서 방사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상을 스크린 등에 확대 투사한다.
최근, 이와 같은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환경이 확장되고 있고, 사내 회의나 출장지에서의 프리젠테이션 등에 사용되는 외에, CAD/CAM/CAE 데이터를 받아들여 확대 투사함으로써, 연구 개발 부문 등에서의 기술 검토회에 사용되거나, 각종 세미나나 연수회, 또한 시청각 교육을 하는 학교의 수업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CT 스캔이나 MRI 등의 의료 화상이나 데이터를 투사하여, 치료법의 검토, 의료 지도 등에 쓸모 있게 하거나, 전시회나 많은 인파가 모이는 이벤트 등을 효과적으로 연출하는 데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광원 장치에서 방사된 광속을 변조한 후에 확대 투사하여 투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로젝터에는 광원 장치의 수명이 다되는 등의 경우에, 상기 광원 장치를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광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 이와 같은 개구는 외장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램프 커버로 밀폐되어 있고, 광원 장치 교환시에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설치 구조로는 외장 케이스로의 나사 고정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나사 고정 방식은 설치 구조가 매우 간략한 반면,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할 때에는 복수개의 나사를 돌려 분리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램프 커버가 외장 케이스의 천정에 설치되고, 천정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식으로는 외장 케이스에 슬라이딩용 가이드를 형성하여 램프 커버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나사의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램프 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해, 램프 커버의 표면에 조작용 슬라이딩 방지 장치나 노치(notch)(예컨대, 탁상 시계나 리모트 컨트롤 장치 등의 전지 커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방지 장치나 노치)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이들이 외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광원 장치를 교환할 때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한편, 상술한 램프 커버의 설치 위치로는 외장 케이스의 저면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램프 커버가 외장 케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는 경우, 광원 장치를 교환할 때에 프로젝터를 거꾸로 뒤집어야 한다. 이 때문에, 교환 작업이 종료된 후에, 스크린에 대한 프로젝터의 자세 조정을 다시 실행할 필요가 있어, 교환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시청각실 등에서 프로젝터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천정면과 외장 케이스의 저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프로젝터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광원 장치를 교환할 때, 천정으로부터 프로젝터를 일단 분리하고 나서 교환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진다.
이에 대하여, 램프 커버를 천정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 배치하는 것도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되지만, 램프 커버의 설치 구조가 다른 구성부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즉, 예컨대 슬라이드식이면, 외장 케이스의 표면에 노치 등을 형성하여 램프 커버가 슬라이딩할 때 가이드를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를 외장 케이스 표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경우, 외장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예컨대, 냉각 팬으로부터의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나, 프로젝터를 운반할 때 사용되는 핸들 등)과 간섭할 우려가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는,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에서 방사된 광속을 변조한 후에 확대 투사하여 투사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광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와, 이 개구를 밀폐하며, 상기 외장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식의 램프 커버와, 이 램프 커버를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과,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외장 케이스에 고정하는 결합 구조체와, 조작하여 상기 결합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를 조작하여 램프 커버와 외장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 제 1 가압 수단에 의해 램프 커버가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외장 케이스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종래의 나사 고정과 달리, 조작부를 조작하는 단일 동작으로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고,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를 교환할 때에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조작부는 조작 스위치 등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커버와 외장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램프 커버는 결합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제 1 가압 수단에 의해 외장 케이스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작업자가 램프 커버를 손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방지 장치나 노치 등을 램프 커버 표면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는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램프 커버는 통상 외장 케이스의 저면에 배치되어 있어, 램프 커버를 분리할 때, 프로젝터를 거꾸로 뒤집어야 했다. 이 때문에, 램프 커버를 분리하여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이 종료된 후에, 스크린에 대한 프로젝터의 자세 조정을 다시 실행할 필요가 있어, 교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특히, 시청각실 등에서 프로젝터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천정면과 외장 케이스의 저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프로젝터가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광원 장치를 교환할 때, 천정으로부터 프로젝터를 일단 분리하고 나서 교환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 설치했기 때문에, 광원 장치를 교환하는 경우, 프로젝터의 천정면이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즉, 테이블상에 프로젝터를 탑재하는 등, 프로젝터가 통상 사용되는 자세인 상태)로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프로젝터를 거꾸로 뒤집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원 장치를 교환한 후에, 프로젝터의 자세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원 장치를 교환할 때의 작업성을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천정에 프로젝터가 설치된 경우에도 하방으로 향한 천정면에서 램프 커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천정으로부터 프로젝터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제 1 가압 수단은 상기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실드판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가압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외장 케이스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램프 커버측으로 가압되며, 또한 상기 가압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상기 램프 커버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작동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며, 이 검출 스위치가 상기 램프 커버에 의해 소정량 가압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가압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의 검출 스위치와 겸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가압 수단을 검지 수단의 검출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가압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압 수단은 검지 수단의 검출 스위치에 의해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실드판의 일부에 의해서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검지 수단의 탄성 부재 및 실드판의 일부의 양쪽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검출 스위치를 램프 커버측으로 가압하는 수단으로는, 예컨대 용수철이나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에 의해 검출 스위치를 가압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검출 스위치 자체를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구성하여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 힘을 가압력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shield)가 설치되며, 이 실드는 상기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된 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커버 내면의 실드와 외장 케이스내의 실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들 실드를 동일 전위로 유지할 수 있어, 외부로의 전자 노이즈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 커버 내면에 실드를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열에 의한 램프 커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커버 및 외장 케이스간의 결합 구조체를 외장 케이스 내부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결합 구조체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도 되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작부를 외장 케이스 내부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프로젝터를 운반하거나 조작할 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작부에 접촉하여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에 의한 예기하지 않는 램프 커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 상기 램프 커버에는 상기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하여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장 케이스의 가이드부의 중간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노치로부터 상기 램프 커버의 슬라이딩부가 상기 외장 케이스내로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의 중간에 노치를 형성하고, 이 노치로부터 램프 커버의 슬라이딩부를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를 탈착할 때,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도중에, 즉 슬라이딩부가 가이드부의 노치에 도달한 때에 램프 커버의 슬라이딩부를 외장 케이스에 대해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프로젝터를 협소한 공간에 설치한 경우라도 램프 커버를 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슬라이딩부의 삽입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로부터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램프 커버를 분리할 때, 램프 커버가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부가 가이드부의 노치까지 이동하면, 램프 커버가 제 2 가압 수단에 의해 외장 케이스로부터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외장 케이스의 가이드부로부터 램프 커버의 슬라이딩부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 커버의 분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제 2 가압 수단은 상기 외장 케이스내, 및 상기 램프 커버의 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실드판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가압 수단은 외장 케이스내, 및 상기 램프 커버 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실드판의 일부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 2 가압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는,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 장치에서 방사된 광속을 변조한 후에 확대 투사하여 투사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광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와, 이 개구를 밀폐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램프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를 교환하는 경우, 프로젝터의 천정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즉, 테이블상에 프로젝터를 탑재하는 등, 프로젝터가 통상 사용되는 자세의 상태)로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프로젝터를 거꾸로 뒤집을 필요가 없다. 이로써, 광원 장치를 교환한 후에, 프로젝터의 자세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천정에 프로젝터가 설치된 경우에도, 하방으로 향한 천정면으로부터 램프 커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천정으로부터 프로젝터를 분리할 필요가 없고,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만 배치했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부(예컨대, 냉각 팬으로부터의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나, 프로젝터를 운반할 때에 사용되는 핸들 등)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만 배치하고, 측면에는 걸리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외관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는,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외장 케이스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하는 결합 구조체와, 조작하여 상기 결합 구조체를 해제하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램프 커버가 외장 케이스에 나사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때, 복수의 나사를 돌려 분리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 구조체에 의해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 설치하고, 결합 구조체를 해제하는 조작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램프 커버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원터치로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결합 구조체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램프 커버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램프 커버와 외장 케이스와의 결합 구조체를 외장 케이스의 내부측에 배치하며, 조작부를 램프 커버로부터 서로 분리된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의 외면에, 결합 구조체나 조작부를 형성하기 위한 노치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의 외면과 외장 케이스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상기 간극에서의 광원 장치의 광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측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작부를 외장 케이스 내부측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프로젝터를 운반하거나 조작할 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작부에 접촉하여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에 의한 예기치 못한 램프 커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조작 스위치 등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커버와 외장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외장 케이스에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는 상기 램프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천정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천정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램프 커버에 설치하기 때문에, 램프 커버가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되기 어렵게 되어,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설치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기 외장 케이스에 대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램프 커버를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결합부의 외장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램프 커버를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조작부에 의한 제 2 결합부의 결합 상태의 해제에 수반하여, 제 2 결합부를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서 분리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어, 램프 커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램프 커버의 내면을 각각 피복하는 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압 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 커버가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된 때, 상기 제 1 가압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에 접하며, 타 단부가 상기 램프 커버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장 케이스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와, 램프 커버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를 설치하며, 이들 실드를 제 1 가압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의 전자 노이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수단은 램프 커버를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과, 실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역할의 두 가지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기 외장 케이스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 상기 램프 커버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결합부의 외장 케이스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램프 커버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조작부에 의해 제 2 결합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도, 제 1 결합부는 외장 케이스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에서 램프 커버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램프 커버가 분리되지 않고, 프로젝터가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낙하에 의한 램프 커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램프 커버에는 상기 램프 커버가 약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커버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고정부에 의해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로 램프 커버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램프 커버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이로써, 프로젝터가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램프 커버를 분리할 때, 조작부의 조작과 동시에 램프 커버가 누락되는 일이 없어, 낙하에 의한 램프 커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에서는, 상기 외장 케이스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고정부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검지 수단의 조작을 램프 커버의 고정부에 의해 수행하기 때문에, 검지 수단을 조작하기 위해 램프 커버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설치를 깜박 잊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1. 프로젝터의 주요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프로젝터(1)를 하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프로젝터(1)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프로젝터(1)의 상측 케이스(21)를 분리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실드판(80), 드라이버 보드(90) 및 상측 라이트 가이드(472)를 분리하여 후방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광학 유닛(4)을 분리한 도면이다.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이들 부품(4, 21, 80, 90, 472)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프로젝터(1)는 외장 케이스(2)와 외장 케이스(2)내에 수용된 전원 유닛(3)과, 마찬가지로 외장 케이스(2)내에 배치된 평면 U자형의 광학 유닛(4)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2)는 상측 케이스(21), 하측 케이스(23) 및 인터페이스 커버(22)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커버(22)는 프로젝터(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21)는 프로젝터(1)의 천정면, 전면 및 측면을 각각 구성하는 상면부(211), 전면부(213) 및 측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면부(211)의 전방측에는 램프 커버(61)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램프 커버(61)의 상측 케이스(21)로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측 케이스(21)에 있어서, 램프 커버(61)의 측방에는 상면부(211)로부터 전면부(213)에 걸쳐 노치부(21A)가 형성되고, 대응하여 투사 렌즈(4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투사 렌즈(46)는 그 상면 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노치부(21A)에 배치되고, 투사 렌즈(46)의 줌 조작, 포커스 조작을 레버를 통해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1)의 전면측에 있어서, 투사 렌즈(46)[노치부(21A)]가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는 내부 전원 유닛(3)의 전방측에 위치한 배기구(2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기구(212B)에는 냉각 공기를 화상 투사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즉 도 1에서 좌측으로 배기하는 동시에, 차광을 겸하는 배기용 루버(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 있어서, 노치부(21A)의 후방측에는 조작 패널(25)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 케이스(23)는 프로젝터(1)의 저면, 측면 및 배면을 각각 구성하는 저면부(231), 측면부(232) 및 배면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면부(231)의 전방측에는 프로젝터(1)의 전후 방향에서의 경사를 조절하여 투사 화상의 위치를 맞추는 제 1 자세 조정 기구(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31) 후방측의 한쪽 구석부에는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좌우 방향에서의 프로젝터(1)의 경사를 조정하는 제 2 자세 조정 기구(28)가 설치되고, 다른쪽 구석부에는 위치를 조정할 수는 없지만, 제 2 자세 조정 기구(28)에 대응한 리어 푸트(rear foot)(23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31)에는 냉각 공기 흡기구(231B)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 측면부(232)에는 "ㄷ"자형의 핸들(29)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장 케이스(2)의 한쪽 측면측에 있어서는, 상측 케이스(21) 및 하측 케이스(23)의 각 측면부(212, 232)에는 핸들(29)을 상측으로 하여 프로젝터(1)를 세운 경우에 발이 되는 사이드 풋(side foot)(2A)(도 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2)의 배면측에는 인터페이스 커버(22) 및 하측 케이스(23)의 배면부(233)에 걸친 오목부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2B)가 설치되고, 이 인터페이스부(2B)의 내부측에는 각종 연결자가 장착된 인터페이스 기판(대략적으로 도시됨)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B)의 좌우 양측에는 인터페이스 커버(22) 및 하측 케이스(23)의 배면부(233)에 걸쳐 스피커 구멍(2C) 및 흡기구(2D)가 설치되어 있다. 이중에서 흡기구(2D)는 내부 전원 유닛(3)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전원 유닛(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31)과 전원(31)의 측방에 배치된 램프 구동 회로[밸러스트(ballast)](32)로 구성된다.
전원(31)은 전원 케이블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램프 구동 회로(32)나 드라이버 보드(90)(도 3) 등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 케이블이 삽입된 입구 커넥터(33)(도 2)를 구비한다.
램프 구동 회로(32)는 전력을 광학 유닛(4)의 광원 램프(411)에 공급한다.
광학 유닛(4)은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 램프(411)에서 방사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학상을 형성하는 유닛으로서, 적분기 조명 광학 시스템(41), 색 분리 광학 시스템(42), 릴레이 광학 시스템(43), 전기 광학 장치(44), 색 합성 광학 시스템으로서의 크로스다이크로익(crossdichroic) 프리즘(45)(도 7) 및 투사 광학 시스템으로서의 투사 렌즈(46)를 구비한다.
이들 전원 유닛(3) 및 광학 유닛(4)은 상하를 포함하는 주위의 알루미늄제 실드판(80)(도 3 및 도 5)으로 피복되어 있고, 이로써 전원 유닛(3) 등으로부터 외부로의 전자 노이즈의 누출을 방지한다.
(2. 광학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
도 4, 도 7에 있어서, 적분기 조명 광학 시스템(41)은 3장의 액정 패널(441)[적색, 녹색, 청색의 색광마다 각각 액정 패널(441R, 441G, 441B)로 도시함]의 화상 형성 영역을 거의 균일하게 조명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으로서, 광원 장치(413)와 제 1 렌즈 어레이(418)와 제 2 렌즈 어레이(414)와 편광 변환 소자(415)와 제 1 콘덴서 렌즈(416)와 반사 미러(424)와 제 2 콘덴서 렌즈(419)를 구비한다.
이들 중, 광원 장치(413)는 방사상의 광선을 방사하는 방사 광원으로서의 광원 램프(411)와, 이 광원 램프(411)로부터 방사된 방사광을 반사하는 반사기(reflector)(412)를 갖는다. 광원 램프(411)로는 할로겐 램프나 메탈할라이드 램프, 또는 고압 수은 램프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반사기(412)로는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다. 포물면 거울 외에, 평행화 렌즈(오목 렌즈)와 함께 타원면 거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 렌즈 어레이(418)는 광축 방향에서 보아 거의 구형상의 윤곽을 갖는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소형 렌즈는 광원 램프(411)에서 방사된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한다. 각 소형 렌즈의 윤곽 형상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형상과 거의 서로 유사한 형상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액정 패널(441)의 화상 형성 영역의 종횡비(가로와 세로의 치수 비율)가 4:3이면, 각 소형 렌즈의 종횡비도 4:3으로 설정한다.
제 2 렌즈 어레이(414)는 제 1 렌즈 어레이(418)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소형 렌즈가 매트릭스상에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이 제 2 렌즈 어레이(414)는 제 1 콘덴서 렌즈(416) 및 제 2 콘덴서 렌즈(419)와 함께, 제 1 렌즈 어레이(418)의 각 소형 렌즈의 상을 액정 패널(441)상에 결상(結像)하는 기능을 갖는다.
편광 변환 소자(415)는 제 2 렌즈 어레이(414)와 제 1 콘덴서 렌즈(416) 사이에 배치되며, 제 2 렌즈 어레이(414)와 함께 유닛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 변환 소자(415)는 제 2 렌즈 어레이(414)로부터의 광을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로써 전기 광학 장치(44)에서의 빛의 이용 효율이 높아진다.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소자(415)에 의해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된 각각의 부분광은 제 1 콘덴서 렌즈(416) 및 제 2 콘덴서 렌즈(419)에 의해 최종적으로 전기 광학 장치(44)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상에 거의 중첩된다. 편광광을 변조하는 유형의 액정 패널을 사용한 프로젝터에서는 1종류의 편광광밖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랜덤한 편광광을 발하는 광원 램프(411)로부터의 빛의 거의 절반이 이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에서는 편광 변환 소자(415)를 사용함으로써, 광원 램프(411)로부터의 방사광을 전부 1종류의 편광광으로 변환하여, 전기 광학 장치(44)에서의 광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편광 변환 소자(415)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6-304739 호에 소개되어 있다.
색 분리 광학 시스템(42)은 2장의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와 반사 미러(423)를 구비하고, 다이크로익 미러(421, 422)에 의해 적분기 조명 광학 시스템(41)에서 방사된 복수의 부분 광속을 적색, 녹색, 청색의 3색 색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릴레이 광학 시스템(43)은 입사측 렌즈(431), 릴레이 렌즈(433) 및 반사 미러(432, 434)를 구비하고, 색 분리 광학 시스템(42)에서 분리된 색광, 청색광을 액정 패널(441B)까지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 색 분리 광학 시스템(42)의 다이크로익 미러(421)에서는, 적분기 조명 광학 시스템(41)으로부터 방사된 광속의 청색광 성분과 녹색광 성분이 투과하며, 적색광 성분이 반사된다. 다이크로익 미러(421)에 의해 반사된 적색광은 반사 미러(423)에서 반사되어, 필드 렌즈(417)를 통해 적색용 액정 패널(441R)에 도달한다. 이 필드 렌즈(417)는 제 2 렌즈 어레이(414)로부터 방사된 각 부분 광속을 그 중심축(주광선)에 대하여 평행한 광속으로 변환한다. 다른 액정 패널(441G, 441B)의 빛 입사측에 설치된 필드 렌즈(417)도 동일하다.
다이크로익 미러(421)를 투과한 청색광과 녹색광중, 녹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에 의해 반사되어, 필드 렌즈(417)를 통해 녹색용 액정 패널(441G)에 도달한다. 한편, 청색광은 다이크로익 미러(422)를 투과하여 릴레이 광학 시스템(43)을 통해, 또한 필드 렌즈(417)를 통해 청색광용 액정 패널(441B)에 도달한다. 또한, 청색광에 릴레이 광학 시스템(43)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청색광의 파장이 다른 색광의 파장보다 길어, 빛의 확산 등에 의한 빛의 이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즉, 입사측 렌즈(431)에 입사한 부분 광속을 그대로 필드 렌즈(417)에 전달하기 때문이다.
전기 광학 장치(44)는 3매의 광 변조 장치로 이루어진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구비하고, 이들은 예컨대 폴리실리콘 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하며, 색 분리 광학 시스템(42)에서 분리된 각 색광은 이들 3매의 액정 패널(441R, 441G, 441B)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되어 광학상을 형성한다.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5)은 3매의 액정 패널에 의해 변조된 화상을 합성하여 칼라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45)에는 적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과 청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이 4개의 직각 프리즘의 계면을 따라 대략 X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3개의 색광이 합성된다. 그리고, 프리즘(45)에서 합성된 칼라 화상은 투사 렌즈(46)로부터 방사되어 스크린상에 확대 투사된다.
이상 설명한 각 광학 시스템(41 내지 45)은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광학 부품용 하우징으로서의 라이트 가이드(47)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라이트 가이드(47)는 상술한 각 광학 부품(414 내지 419, 421 내지 424, 431 내지 434)을 상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끼워넣는 홈부가 각각 설치된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와,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의 상부 개구측을 밀폐하는 덮개 형상의 상측 라이트 가이드(47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47)의 광 방사측에는 헤드부(49)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49)의 전방에 투사 렌즈(46)가 고정되고, 후방측에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이 설치된 프리즘(45)이 고정되어 있다.
(3. 냉각 구조)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1)에는,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주로 냉각하는 패널 냉각 시스템(A)과, 광원 램프(411)를 주로 냉각하는 램프 냉각 시스템(B)과, 전원(31)을 주로 냉각하는 전원 냉각 시스템(C)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4, 도 5에 있어서, 패널 냉각 시스템(A)에는 투사 렌즈(46)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시로코 팬(sirocco pan)(51, 52)이 사용된다. 시로코 팬(51, 52)에 의해 하면의 흡기구(231B)로부터 흡인된 냉각 공기는 액정 패널(441R, 441G, 441B)을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냉각한 후, 드라이버 보드(90)(도 3)의 하면을 냉각하면서 전방 구석부의 축류 배기 팬(53)측으로 밀려와, 전면측의 배기구(212B)로부터 배기된다.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램프 냉각 시스템(B)에는 광학 유닛(4)의 하면에 설치된 시로코 팬(54)이 사용된다. 시로코 팬(54)에 의해 모아진 프로젝터(1)내의 냉각 공기는 상부 라이트 가이드(472)에 설치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라이트 가이드(47)내로 들어가고, 유닛화된 제 2 렌즈 어레이(414) 및 편광 변환 소자(415)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들을 냉각한 후,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의 배기측 개구(471A)에서 나와 상기 시로코 팬(54)에 흡인되어 토출된다. 토출된 냉각 공기는 하측 라이트 가이드(471)의 흡기측 개구(471B)로부터 다시 라이트 가이드(47)내로 들어가고, 광원 장치(413)내로 들어가 광원 램프(411)를 냉각하며, 그 후 라이트 가이드(47)로부터 나와 상기 축류 배기 팬(53)에 의해 배기구(212B)로부터 배기된다.
도 4에 있어서, 전원 냉각 시스템(C)에서는 전원(31)의 후방에 설치된 축류 흡기 팬(55)이 사용된다. 축류 흡기 팬(55)에 의해 배면측의 흡기구(2D)로부터 흡인된 냉각 공기는 전원(31) 및 램프 구동 회로(32)를 냉각한 후, 다른 냉각 계통(A, B)과 같이 축류 배기 팬(53)에 의해 배기구(212B)로부터 배기된다.
(4. 램프 커버의 설치 구조)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램프 커버(61)는 외장 케이스(2)에 대하여 슬라이드식의 탈착 구조를 갖는다.
도 8에는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프로젝터(1)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램프 커버(61)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램프 커버(61)는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62)를 밀폐하는 덮개로서, 대략적인 평면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62)는 광원 장치(413)의 바로 위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62)에서 광원 장치(413)를 프로젝터(1)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21)의 개구(62)의 주연부중, 프로젝터(1)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쌍의 주연부에는 각각 한쌍의 가이드부(621, 6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621)는 프로젝터(1)를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되고, 가이드부(622)는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램프 커버(61)는 상측 케이스(21)의 한쌍의 가이드부(621, 62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면부(21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는 결합 구조체(63)에 의해 상측 케이스(21)에 고정되고, 이 결합 구조체(63)는 상측 케이스(21)의 개구의 내측의 주연부(62A)에 배치된 클램프(6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램프 커버(61)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램프 커버(61)는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로부터 상면부(211)와 전면부(213) 사이의 부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램프 커버(61)의 외면(61A)은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었을 때(도 1 참조),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 등과 대략 하나의 면으로 되도록, 상측 케이스(21)의 외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 커버(61)의 내면(61B)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21)에 삽입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1 삽입부(611) 및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 2 삽입부(612)와, 상측 케이스(21)의 가이드부(621, 622)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라이딩부(613, 614, 615)와, 전술한 상측 케이스(21)의 클램프(631)에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617)가 램프 커버(6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 1 삽입부(611)는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장착된 때, 내측[프로젝터(1)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램프 커버(61)의 내측 주연부(61C)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삽입부(611)는 내측 주연부(61C)의 양단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램프 커버(61)로부터 프로젝터(1)의 후방(내측)측을 향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3개의 제 2 삽입부(612)는 제 1 삽입부(611)가 배치된 램프 커버(61)의 내측 주연부(61C)와 대향하는 바로 전방 주연부(61D)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2 삽입부(612)는 바로 전방측 주연부(61D)의 대략 중앙 및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로젝터(1)의 후방(내측)측을 향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3개의 슬라이딩부(613, 614, 615) 중, 2개의 슬라이딩부(613, 614)는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었을 때, 우측[프로젝터(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우측]에 배치되는 램프 커버(61)의 우측 주연부(61E)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 슬라이딩부(615)는 램프 커버(61)의 우측 주연부(61E)와 대향하는 좌측 주연부(61F)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는 램프 커버(61)의 내면(61B)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 상측 케이스(21)에 결합하는 클릭부(613A, 614A, 615A)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61)의 우측 주연부(61E)에 배치된 슬라이딩부(613, 614)의 클릭부(613A, 614A)는 상측 케이스(21)의 가이드부(621)에 결합 가능하도록, 각각 대략 수평 방향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의 좌측 주연부(61F)에 배치된 슬라이딩부(615)의 클릭부(615A)는 가이드부(622)에 결합 가능하도록, 대략 수평 방향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된 클램프(631)에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617)는 램프 커버(61)의 내측 주연부(61C)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에는 그 내면(61B)을 피복하는 금속제의 실드판(6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에 형성된 가이드부(621, 622)의 상면은 상측 케이스(21)의 외면보다도 한층 낮게 형성되어 있고,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에 설치된 때에는, 이 가이드부(621, 622)의 상면에 의해, 램프 커버(61)의 주연부가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621, 622)중, 가이드부(621)의 중간에는 그 길이 방향[프로젝터(1)의 전후 방향]을 따라 2개의 노치(621A, 621B)가 형성되고, 가이드부(622)의 중간에는 1개의 노치(6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부(621, 622)의 각 노치(621A, 621B, 622A)는 램프 커버(61)의 각 슬라이딩부(613, 614, 615)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가이드부(621)의 노치(621A)와 노치(621B) 사이의 거리는, 램프 커버(61)의 슬라이딩부(613)와 슬라이딩부(614)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이들 각 노치(621A, 621B, 622A)에는 램프 커버(61)의 각 슬라이딩부(613, 614, 615)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삽입된 후에 램프 커버(61)기 프로젝터(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딩부(613, 614)의 클릭부(613A, 614A)가 가이드부(621)의 하면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딩부(615)의 클릭부(615A)가 가이드부(622)의 하면에 슬라이딩되게 된다.
또한, 상측 케이스(21)에 있어서, 개구(62) 내측의 주연부(62A)에는 램프 커버(61)의 제 1 삽입부(611)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삽입부용 구멍(6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구(62)의 바로 전방 주연부(62B)에는 제 2 삽입부(612)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2 삽입부용 구멍(6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삽입부용 구멍(623) 및 제 2 삽입부용 구멍(624)은 각각 제 1 삽입부(611) 및 제 2 삽입부(61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설치되며, 이들 삽입부(611, 612)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21)의 내측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62)의 주변을 피복하는 금속제의 개구용 실드판(81)이 설치되고, 이 개구용 실드판(81)은 가이드부(621, 622)의 하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개구용 실드판(81)에 있어서, 가이드부(621, 622)의 하면에 배치된 일부는 대략 역 U자형으로 만곡되고, 이 만곡한 부분(811)이 상측 케이스(21)의 가이드부(621, 622)에 형성된 실드판 노출 구멍(6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은 램프 커버(61)를 슬라이딩부(613, 614, 615)의 삽입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상측 케이스(21)로부터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가압 수단이 된다.
또한,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소) 설치되고, 이들 복수의 만곡한 부분(81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실드판 노출 구멍(625)이 가이드부(621, 622)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이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16)에 접하여, 개구용 실드판(81)과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와 같은 개구용 실드판(81)은 전술한 상측 케이스(21)의 내측에 배치된 실드판(80)과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다른 부재를 거쳐 실드판(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으며, 요컨대 실드판(8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만 하면 무방하다.
이로써,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했을 때에,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16)과 외장 케이스(2)내의 실드판(8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개구용 실드판(81)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의 2개의 제 1 삽입부용 구멍(623)중의 한쪽[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우측에 배치된 제 1 삽입부용 구멍(623)] 부근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도 11 및 도 12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되어 면 방향이 대략 수직 방향을 따르는 수직면부(812)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는 램프 커버(61)를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측 케이스(21)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가압 수단이 된다.
이 수직면부(812)는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이 램프 커버(61)의 슬라이딩 방향[프로젝터(1)의 전후 방향]과 대략 직교한다. 여기서, 수직면부(812)의 기단부(812A)측은 개구용 실드판(81)과 연속하고, 선단부(812B)측은 자유 단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면부(812)에 있어서,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었을 때, 상측 케이스(21)의 제 1 삽입부용 구멍(623)을 관통한 제 1 삽입부(611)의 선단부가 수직면부(812)의 선단부(812B)에 접촉 및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에 고정하는 결합 구조체(63)는 전술한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와, 이 결합 돌출부(617)에 결합하는 클램프(631)와, 이 클램프(631)를 내부에 수용하는 클램프 하우징(63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용 하우징(632)은 상측 케이스(21)의 하면에 나사가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용 하우징(632)의 내부에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 방향을 따른 클램프(631)의 회전축(631A)이 축 지지되고, 클램프(631)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클램프(631)에는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에 결합하는 클릭부(631B)가 형성되고, 이 클릭부(631B)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클릭부(631B)에는 상방을 향하는 경사면(631D)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631D)은 프로젝터(1)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또한, 클램프(631) 및 클램프용 하우징(632)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33)이 장착되어 있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33)에 의해 회전축(631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 있어서, 클램프(631)의 회전축(631A)과 클릭부(631B) 사이의 부분(631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노치 구멍(6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 구멍(64)으로부터 클램프(631)의 부분(631C)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631)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의 노치 구멍(64)내에, 예컨대 의학용 연필의 선단부와 같은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도 1, 도 13a중의 2점 쇄선을 참조)나,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부와 같은 박판 형상 부재를 삽입하여, 클램프(631)의 부분(631C)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633)에 허용되어, 회전축(631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가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631)의 부분(631C)의 표면은 본 발명의 조작부가 된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검출 수단으로서의 커버 센서(65)가 설치되고, 이 커버 센서(65)는 상측 케이스(21)의 2개의 제 1 삽입부용 구멍(623)중의 다른 쪽[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삽입부용 구멍(623)]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 센서(65)는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유닛(3)의 램프 구동 회로(32)와 광원 장치(41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접촉·차단을 실행하는 접점의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커버 센서(65)는 검출 스위치로서의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레버(651)와 이 금속 레버에 접하는 누름 버튼(652)을 갖고 있다. 이중, 금속 레버(651)는 일단부가 고정 단부, 타단부가 자유 단부로 되고, 가압되어 탄성 변형함으로써 고정 단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 센서(65)에서는 금속 레버(651)가 소정량 이상 가압되어 회전하면, 누름 버튼(652)이 소정량 이상 가압되고,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를 접속하고, 금속 레버(651)가 소정량 이상 가압되지 않을 때에, 누름 버튼(652)이 소정량 이상 가압되지 않고,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커버 센서(65)에서는,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었을 때, 상측 케이스(21)의 제 1 삽입부용 구멍(623)을 제 1 삽입부(611)의 선단부가 금속 레버(651)의 자유 단부측에 접촉 및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한 경우, 금속 레버(651)가 램프 커버(61)의 제 1 삽입부(611)의 선단부에 소정량 이상 가압되기 때문에, 전술한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가 접속된다. 이로써, 광원 장치(413)의 광원 램프(411)를 점등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서 분리하거나,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에 확실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커버 센서(65)의 금속 레버(651)가 제 1 삽입부(611)의 선단부에서 충분히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가 차단된다. 이로써, 광원 장치(413)의 광원 램프(411)는 점등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커버 센서(65)에 의해,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하는 것을 깜박 잊거나, 설치 상태가 불완전하면, 광원 램프(411)를 점등할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의 설치를 깜박 잊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설치 방법 및 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4.1. 램프 커버의 설치 방법)
우선, 램프 커버(61)의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를 상방으로부터 상측 케이스(21)의 가이드부(621, 622)의 노치(621A, 621B, 622A)내에 삽입한다.
이어서, 램프 커버(61)를 프로젝터(1)의 바로 전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시켜,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를 클램프(631)의 경사면(631D)에 접촉시킨다.
여기서, 또한 램프 커버(61)를 바로 전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시키면,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가 클램프(631)의 경사면(631D)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631D)의 경사에 의해,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측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33)에 허용되어 하방으로 회전한다(도 13b의 상태). 이로써, 램프 커버(61)를 바로 전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보다 더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한 램프 커버(61)를 바로 전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시켜,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가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의 위치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가면, 클램프(631)의 경사면(631D)을 가압하는 것이 없어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633)에 의해 클램프(631)가 상측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와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가 결합하여,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고정된다(도 1, 도 13a의 상태).
이와 같이,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에 의해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16)과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은 램프 커버(61)의 내면(61B)에 가압되어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의 제 1 삽입부(611)에 의해,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의 선단부(812B)측은 프로젝터(1)의 바로 전방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 있고, 커버 센서(65)는 금속 레버(651)가 소정량 이상 가압되어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4.2. 램프 커버의 분리 방법)
우선, 상측 케이스(21)에 형성된 노치 구멍(64)내에,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와 같은 박판 형상 부재 등)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클램프(631)의 부분(631C)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633)에 허용되어,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가 하방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와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의 선단부(812B)측 및 커버 센서(65)의 금속 레버(651)의 탄성 변형된 부분만큼 원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램프 커버(61)가 프로젝터(1)의 바로 전방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램프 커버(61)가 내측으로부터 바로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다.
이와 같이,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가 상측 케이스(21)의 가이드부(621, 622)에 슬라이딩하는 상태에 있다. 이로써, 예컨대 프로젝터(1)가 천정에 설치되고, 상면부(211)가 하측을 향한 경우에도,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램프 커버(61)의 결합 돌출부(617)와 클램프(631)의 클릭부(631B)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순간에 램프 커버(61)가 낙하는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램프 커버(61)를 내측으로부터 바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가 가이드부(621, 622)의 노치(621A, 621B, 622A)의 위치에 도달하면,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에 의해,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로부터 서로 분리되는 방향, 즉 상방으로 가압되고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가 가이드부(621, 622)에서 분리되어, 외장 케이스(2)로부터 램프 커버(61)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로 클램프(631)의 부분(631C)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램프 커버(61)와 외장 케이스(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이로써 램프 커버(61)가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의 선단부(812B)측, 및 커버 센서(65)의 금속 레버(651)에 의해,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외장 케이스 2외측에 슬라이딩되어,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나사 고정과는 달리,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로 클램프(631)의 부분(631C)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단일 동작으로,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고,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413)를 교환할 때에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는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의 선단부(812B)측 및 커버 센서(65)의 금속 레버(651)에 의해, 외장 케이스(2)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램프 커버(61)를 손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방지 장치나, 노치 등(예컨대, 탁상 시계나 리모트 컨트롤 장치 등의 전지 커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방지 장치나 노치)을 램프 커버(61) 표면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l)의 상면부(211)에 설치했기 때문에, 광원 장치(413)를 교환하는 경우, 프로젝터(1)의 천정면을 상측을 향한 상태[즉, 테이블상에 프로젝터(1)를 탑재하는 등, 프로젝터(1)가 통상 사용되는 자세의 상태]로 교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프로젝터(1)를 거꾸로 뒤집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원 장치(413)를 교환한 후에, 프로젝터(1)의 자세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원 장치(413)를 교환할 때의 작업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천정에 프로젝터(1)가 설치된 경우에도, 하방을 향하는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로부터 램프 커버(61)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천정으로부터 프로젝터(1)를 분리할 필요가 없고, 광원 장치(413)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개구용 실드판(81)의 수직면부(812)의 선단부(812B)측 및 커버 센서(65)의 금속 레버(651)에 의해 램프 커버(61)를 프로젝터(1)의 내측으로부터 바로 전방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를 내측으로부터 바로 전방을 향해 가압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했을 때,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16)과 외장 케이스(2)내의 실드판(80) 및 개구용 실드판(8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이들 실드판(80, 81, 616)을 동일 전위로 유지할 수 있어, 전원 유닛(3)등으로부터 외부로의 전자 노이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의 내면에 실드판(616)을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의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열에 의한 램프 커버(6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 및 외장 케이스(2) 사이의 결합 구조체(63)를 외장 케이스(2) 내부측에 배치했기 때문에, 결합 구조체(63)를 외부로 노출하지 않아도 되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클램프(631)를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하고, 가는 막대 형상 부재(P)에 의해 가압되는 클램프(631)의 부분(631C)을 상측 케이스(21)에 형성된 노치 구멍(64)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프로젝터(1)를 운반하거나 조작할 때에, 클램프(631)의 부분(631C)에 접촉하여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에 의한 예기치 않은 램프 커버(61)의 낙하 등을 방지 할 수 있다.
상측 케이스(21)의 가이드부(621, 622)의 중간에 노치(621A, 621B, 622A)를 형성하고, 이들 노치(621A, 621B, 622A)로부터 램프 커버(61)의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를 외장 케이스(2)에 대하여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를 탈착할 때,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도중에,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를 외장 케이스(2)에 대해 삽입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프로젝터(1)를 협소한 스페이스에 설치한 경우에도 램프 커버(61)의 탈착을 수행할 수 있다.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을 가이드부(621, 622)의 실드판 노출 구멍(6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를 분리할 때,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에 의해, 램프 커버(61)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 커버(61)의 각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가 가이드부(621, 622)의 노치(621A, 621B, 622A)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개구용 실드판(81)의 만곡한 부분(811)에 가압되어, 가이드부(621, 622)로부터 램프 커버(61)의 슬라이딩부(613 내지 615)가 분리되기 때문에, 램프 커버(61)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을 개구용 실드판(81)의 일부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가압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변형)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 2 가압 수단으로는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드판의 일부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커버의 내면을 피복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실드판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탄성 부재 등을 별도로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조작부로는 외장 케이스 내부측이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장 케이스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 고정하는 결합 구조체로는 외장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 1 가압 수단으로는 외장 케이스내의 실드판의 일부나 검출 수단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탄성 부재 등을 별도로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램프 커버 내면 및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되는 실드는 판상에 한정되지 않고, 증착에 의해 램프 커버 내면 및 외장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로는 광 변조 장치로서 액정 패널을 사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플라즈마 소자나 마이크로 미러를 사용한 광 변조 장치를 구비한 것이나, 입사광을 반사하면서 변조하여 방사하는 반사형의 광 변조 장치를 구비한 것이나, 단판식, 2매식, 리어 타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요컨대, 광원 램프로부터 방사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상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터라면, 이 구성 등은 실시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가 램프 커버(61)의 탈착 구조를 슬라이드식으로 하던 것에 비해, 이것을 끼워맞춤식으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램프 커버(61) 주변 이외의 프로젝터(1)의 각부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공통되고, 전술한 (1. 프로젝터의 주요 구성), (2. 광학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 (3. 냉각 구조)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여, 이하에는 (4. 램프 커버의 설치 구조)를 대신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5. 램프 커버가 다른 설치 구조)
도 14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는 프로젝터(1)의 천정면, 전면, 및 측면을 각각 구성하는 상면부(211), 전면부(213) 및 측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면부(211)의 전방측에 있어서, 램프 커버(61)가 끼워맞춤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램프 커버(61)에서 분리된 위치에는 램프 커버(61)의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부로서의 조작 스위치부(65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작 스위치부(658)는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측 케이스(21)에 형성된 스위치용 구멍(626)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다.
도 15에는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서 분리한 상태의 프로젝터(1)가 도시되어 있다.
램프 커버(61)는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의 전방측에 형성된 개구(62)를 밀폐하는 덮개로서,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62)는 광원 장치(413)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62)에서 광원 장치(413)를 프로젝터(1)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램프 커버(61)의 외면(61A)은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었을 때(도 14 참조),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와 대략 하나의 면이 되도록, 상면부(211)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매끄러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 커버(61)의 내면(61B)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21)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1 결합부(601) 및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 2 결합부(602)와,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 상태로 상측 케이스(21)에 고정되는 고정부(603)와, 이 고정부(602)의 근방에 배치된 돌출부(605)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 1 결합부(601)는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된 때에, 내측[프로젝터(1)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램프 커버(61)의 내측 주연부(61C)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결합부(601)는 내측 주연부(61C)의 양단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램프 커버(61)로부터 프로젝터(1)의 후방측을 향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제 2 결합부(602)는 제 1 결합부(601)가 배치된 램프 커버(61)의 내측 주연부(61C)와 대향하는 바로 전방측 주연부(61D)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2 결합부(602)는 바로 전방측 주연부(61D)의 양단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램프 커버(61)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602)는 대략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케이스(21)측에 결합하는 클릭부(602A)를 갖고 있다.
고정부(603)는 제 2 결합부(602)의 근방에 배치되며, 램프 커버(61)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603)는 대략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케이스(21)측에 고정하는 클릭부(603A)를 갖고 있다.
돌출부(605)는 램프 커버(61)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결합부(601), 제 2 결합부(602), 고정부(603) 및 돌출부(605)는 램프 커버(6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에는 그 내면(61B)을 피복하는 실드판(60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의 개구(62) 주위의 단차부(640)는 상면부(211)의 외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램프 커버(61)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노치 형성되어 상기 외면보다도 한층 낮게 되어 있고,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에 설치된 때에는, 이 단차부(640)의 상면에 의해, 램프 커버(61)의 주연부가 지지된다.
여기서, 단차부(640)는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만 형성되어 있고, 전면부(213)나 측면부(212)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단차부(640)에는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가 삽입되는 제 1 결합부용 구멍(641)과, 2개의 제 2 결합부(602)중 한쪽[도 16에서 우측의 제 2 결합부(602)]이 삽입되는 제 2 결합부용 구멍(642)과, 2개의 제 2 결합부(602)중 다른 쪽[도 16에서 좌측의 제 2 결합부(602)]이 삽입되는 제 2 결합부용 노치부(644)와, 고정부(603)가 삽입되는 고정부용 구멍(6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 제 1 결합부용 구멍(641)은 그 상측의 내측이 상측 케이스(21)로 피복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결합부용 구멍(641), 제 2 결합부용 구멍(642), 제 2 결합부용 노치부(644) 및 고정부용 구멍(643)은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 제 2 결합부(602) 및 고정부(603)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21)의 내측에 있어서, 단차부(640)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로크 레버(650) 및 금속제의 한쌍의 판 스프링(66)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18에 도 17의 상태로부터 로크 레버(650) 및 판 스프링(66)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에 있어서, 단차부(640)의 제 2 결합부용 구멍(642)의 일부, 및 제 2 결합부용 노치부(644)의 일부에는, 각각 홈부(642A, 6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부(642A, 644A)의 길이 방향은 전술한 램프 커버(61)의 바로 전방측 주연부(61D) 방향을 따르고 있다. 상술한 로크 레버(650)는 이들 홈부(642A, 644A)에서 지지되고,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640)에는 한쌍의 판 스프링(66)이 설치된 스프링 설치부(646)가 형성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66)의 일단을 상측 케이스(21)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스프링 노출용 구멍(6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21)의 내측에는 전술한 스위치용 구멍(626)의 주위를 둘러싸는 돌출부(627)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레버(650)는 도 19에도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상측 케이스(21)의 홈부(642A, 644A)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로크 레버(6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클릭부(657)와, 전술한 상측 케이스(21)의 스위치용 구멍(626)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조작 스위치부(658)를 함께 갖고 있다.
클릭부(657)는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에 설치되었을 때,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의 클릭부(602A)와 결합하는 것으로,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릭부(657)에는 상측을 향한 경사면(65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릭부(657)의 하부에는 상측 케이스(21)의 홈부(642A, 644A) 내에 배치되며, 상기 홈부(642A, 64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65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부(658)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개구한 오목부(65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스위치부(658)는 상측 케이스(21)의 돌출부(627)내에 배치되는 되며, 상기 돌출부(627)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21)의 스위치용 구멍(626)에 의해, 조작 스위치부(658)의 오목부(658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즉, 조작 스위치부(658)는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의 외면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로크 레버(650)를 상측 케이스(21)에 설치할 때는, 우선 상측 케이스(21)의 내측에서부터 로크 레버(650)의 2개의 클릭부(657)를 각각 상측 케이스(21)의 제 2 결합부용 구멍(642) 및 제 2 결합부용 노치부(644)내에 삽입한다. 그 후, 로크 레버(650)를 홈부(642A, 644A)측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딩부(655)를 상측 케이스(21)의 홈부(642A, 644A)내에 배치한다. 이로써,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가 홈부(642A, 644A)상에 배치되고 상측 케이스(21)에 지지되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650)가 상측 케이스(21)에 장착되게 된다.
또한, 로크 레버(650)의 슬라이딩부(655)의 양측면에는 각각 베어링부(656)가 설치되고, 로크 레버(650)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베어링부(656)와 클릭부(657)로 상측 케이스(21)가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프로젝터(1)를 거꾸로 뒤집어도 로크 레버(650)가 상측 케이스(21)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650)는 일단부가 상측 케이스(2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로크 레버(650)의 일단부[조작 스위치부(658)가 설치된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베어링부(653)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67)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도 17중 우측으로부터 좌측(도 1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가압된다.
여기서, 전술한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의 경사면(657A)은 로크 레버(650)의 가압 방향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67)의 가압력에 의해, 로크 레버(650)의 슬라이딩부(655)가 홈부(642A, 644A)로부터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로크 레버(650)에는 상기 로크 레버(65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654)(도 19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로크 레버(650)가 소정량 슬라이딩하면, 스토퍼부(654)가 상측 케이스(21)의 돌출부(627)에 접촉하여, 로크 레버(650)의 슬라이드 범위가 제한되게 되어 있다.
도 17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판 스프링(66)은 그 대략적인 중앙이 스프링 설치부(646)에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만곡한 부분이 용수철 노출용 구멍(647)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램프 커버(61)의 돌출부(605)는 상방으로부터 용수철 노출용 구멍(647)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에 있어서의 만곡한 부분의 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판 스프링(66)의 다른 측(66B)은 대략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한 부분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2)의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판(80)에 접하고 있다.  
여기서, 도 20에는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램프 커버(61)와,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과, 이들 램프 커버(61) 및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 사이에 배치된 판 스프링(66)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0은 외장 케이스(2)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의 선단부가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04)에 접하고, 다른 측(66B)의 선단부가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에 접한 상태에 있고,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04)과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이 판 스프링(6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프로젝터(1)에는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으로서의 커버 센서(68)(도 3, 도 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센서(68)는, 예컨대 전원 유닛(3)의 램프 구동 회로(32)와 광원 장치(41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회로의 접속 및 차단을 수행하는 스위치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했을 때, 고정부(603)의 바로 아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 센서(68)에 있어서, 램프 커버(61)을 외장 케이스(2)에 설치한 경우에는, 커버 센서(68)의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레버(681)(도 3)가 고정부(603)의 선단부로 밀어 내려지고, 전술한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가 접속된다. 이로써, 광원 장치(413)의 광원 램프(411)는 점등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로부터 분리하거나,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에 확실히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커버 센서(68)의 금속 레버(681)가 램프 커버(61)의 고정부(603)에 의해 밀어 내려지지 않으며, 또한 충분히 밀어 내려질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램프 구동 회로(32) 및 광원 장치(413) 사이의 전기 회로가 차단된다. 이로써, 광원 장치(413)의 광원 램프(411)는 점등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커버 센서(68)에 의해,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설치하는 것을 깜박 잊거나 설치 상태가 불완전하면, 광원 램프(411)를 점등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의 설치를 깜박 잊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설치 방법 및 분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5.1. 램프 커버의 설치 방법)
우선,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를 상방에서 바로 전방측으로부터 내측의 경사 방향으로 상측 케이스(21)의 제 1 결합부용 구멍(641)내에 삽입한다.
이어서,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를 지지점으로 하여, 램프 커버(61)의 바로 전방 주연부(61D)측을 하강시키고, 제 2 결합부(602)의 클릭부(602A)를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의 경사면(657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나서, 또한 램프 커버(61)의 바로 전방 주연부(61D)측을 하강시키면, 제 2 결합부(602)가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의 경사면(657A)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657A)의 경사에 의해, 로크 레버(650)가 압축 스프링(67)에 허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도 15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램프 커버(61)의 바로 전방 주연부(61D)측을 더욱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한 램프 커버(61)의 바로 전방 주연부(61D)측을 하강시키고,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의 클릭부(602A)가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의 위치보다도 하방에 오면,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의 경사면(657A)을 가압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로크 레버(650)가 압축 스프링(67)으로 가압되어 원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로써,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의 클릭부(602A)와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가 결합하고, 램프 커버(61)가 상측 케이스(21)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21)의 제 1 결합부용 구멍(641)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그 상면이 상기 제 1 결합부용 구멍(641)의 상측을 피복하는 상측 케이스(21)의 부분에 의해 피복되고, 제 1 결합부(601)도 상측 케이스(21)에 결합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램프 커버(61)는 2개의 제 1 결합부(601) 및 2개의 제 1 결합부(601) 및 2개의 제 2 결합부(602)의 합계 4개의 결합부(601, 602)가 상측 케이스(21)에 결합함으로써, 외장 케이스(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66)에 의해,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04)과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은 램프 커버(61)의 내면(61B)에 가압되어 하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의 돌출부(605)는 상측 케이스(21)의 스프링 노출용 구멍(647)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다.
(5.2. 램프 커버의 분리 방법)
우선, 상측 케이스(21)에 형성된 스위칭용 구멍(626)내에,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도 15중 이점 쇄선을 참조)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로크 레버(650)의 조작 스위치부(658)의 오목부(658A)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를 도 15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압축 스프링(67)에 허용되고, 로크 레버(650)가 도 15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로크 레버(650)의 클릭부(657)와,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의 클릭부(602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면,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이 탄성 변형된 만큼 원래대로 복귀하려고 하기 때문에, 판 스프링(66)에 의해 램프 커버(61)가 상측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커버(61)의 바로 전방 주연부(61D)측이 제 1 결합부(601)를 지지점으로 하여 약간 상승되고,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다. 요컨데,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은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의 상측 케이스(21)에 대한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램프 커버(61)를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1 가압 수단이 된다.
이와 같이,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 상태에서는, 고정부(603)가 상측 케이스(21)의 고정부용 구멍(643)의 주연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결합부(601)가 상측 케이스(21)의 제 1 결합부용 구멍(641)에 결합된 상태에 있다.
또한, 판 스프링(66)에 의해 램프 커버(61)가 그 제 1 결합부(601)의 상측 케이스(21)로의 삽입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램프 커버(61)의 돌출부(605)가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에서의 만곡된 부분의 측면에 의해, 도 22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즉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가 상측 케이스(21)의 제 1 결합부용 구멍(641)내로의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로써,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와, 상측 케이스(21)의 제 1 결합부용 구멍(641)과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요컨데,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은 램프 커버(61)의 제 1 결합부(601)의 상측 케이스(21)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 램프 커버(61)를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판 스프링(66)의 일측(66A)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2 가압 수단이 된다.
따라서, 예컨대 프로젝터(1)가 천정에 설치되어, 상면부(211)가 하방을 향하는 경우에도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램프 커버(61)를 내측으로부터 바로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램프 커버(61)의 고정부(603)를 상측 케이스(21)의 고정부용 구멍(64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외장 케이스(2)로부터 램프 커버(61)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413)를 교환하는 경우, 프로젝터(l)의 상면부(211)를 상측을 향한 상태로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프로젝터(1)를 거꾸로 뒤집을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광원 장치(413)를 교환한 후, 프로젝터(1)의 자세나 위치의 재조정이 불필요하여, 광원 장치(413)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천정에 프로젝터(1)가 설치된 경우에도, 하방을 향하는 상면부(211)로부터 램프 커버(61)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천정으로부터 프로젝터(1)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광원 장치(413)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만 배치했기 때문에, 상측 케이스(21)의 전면부(213)에 형성된 배기구(212B) 등과 간섭하지 않고,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에만 배치하여 전면부(213)에는 걸리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외관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1)에 결합하여 설치하고, 가는 막대 형상 부재(P)로 조작 스위치부(658)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램프 커버(61)의 상측 케이스(21)로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 스위치부(658)를 설치했기 때문에, 원터치로 램프 커버(61)를 외장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광원 장치(413)의 교환 작업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와 외장 케이스(2)와의 결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를 구성하는 제 1 결합부(601), 제 2 결합부(602), 로크 레버(650) 등을 외장 케이스(2) 및 램프 커버(61)의 내부측에 배치하고, 또한 조작 스위치부(658)[스위치용 구멍(626)]를 램프 커버(61)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배치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61)의 외면에, 상술한 결합 구조체나 조작 스위치부(658)를 형성하기 위한 노치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61)의 외면(61A)과 상측 케이스(21)의 상면부(211)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상기 간극으로부터의 광원 장치(413)의 광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로크 레버(650)의 조작 스위치부(658)를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하고, 스위치용 구멍(626)으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프로젝터(1)를 운반하거나 조작할 때, 조작 스위치부(658)에 잘못해서 접촉하여 로크 레버(650)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에 의한 예기치 않은 램프 커버(61)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21)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결합부(601) 및 제 2 결합부(602)를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로부터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설치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 1 결합부(601) 및 2개의 제 2 결합부(602)의 합계 4개의 결합부로 램프 커버(61)의 네 구석을 외장 케이스(2)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2)로의 장착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의 제 2 결합부(602)가 상측 케이스(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 즉 상측 방향으로 램프 커버(61)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66)을 설치했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부(658)를 슬라이딩시켜 제 2 결합부(60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 이 해제에 수반하여 제 2 결합부(602)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램프 커버(61)를 상측 케이스(2l)로부터 분리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어, 램프 커버(6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외장 케이스(2)의 실드판(80)과 램프 커버(61)의 실드판(604)을 설치하고, 판 스프링(66)에 의해 이들 실드판(80, 60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2)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전자 노이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램프 커버(61)에 고정부(603)를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작 스위치부(658)를 조작하는 동시에 램프 커버(61)가 외장 케이스(2)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젝터(1)를 천정에 설치한 경우, 조작 스위치부(658)의 조작과 동시에 램프 커버(61)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램프 커버(61)를 손으로 누르고 있지 않아도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에서는, 램프 커버(61)의 상측 케이스(21)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커버 센서(68)를 설치하고, 커버 센서(68)의 조작을 램프 커버(61)의 고정부(603)에 의해 수행하기 때문에, 커버 센서(68)를 조작하기 위해 램프 커버(61)에 별도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 센서(68)를 설치했기 때문에, 램프 커버(61)의 외장 케이스(2)로의 설치를 깜박 잊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판 스프링(66)에 의해, 램프 커버(61)가 그 제 1 결합부(601)의 상측 케이스(21)로의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조작 스위치부(658)에 의해 제 2 결합부(602)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도, 제 1 결합부(601)가 외장 케이스(2)에서 누락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스위치부(658)로 램프 커버(61)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램프 커버(61)가 분리되지 않고, 프로젝터(1)가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낙하에 의한 램프 커버(61)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 스프링(66)은 램프 커버(61)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역할(본 발명의 제 1 가압 수단으로서의 역할)과, 실드판(80, 604)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역할과, 본 발명의 제 2 가압 수단으로서의 역할의 3개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변형)
전술한 제 2 실시에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검지 수단으로는, 예컨대 램프 커버를 외장 케이스에 설치했을 때 고정부에서 레이저광이 중간에 차단되는 것과 같은 검지 수단일 수도 있고, 검지 수단을 조작하는 것으로는 고정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검지 수단을 조작하는 전용 부재를 램프 커버에 설치할 수도 있다.
고정부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도 각각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램프 커버의 내측 주연부(61C)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램프 커버의 내측 주연부(61C)측을 안정된 상태로 외장 케이스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가압 수단으로는, 외장 케이스내의 실드판의 일부나 검출 수단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탄성 부재 등을 별도로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무방하고, 실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도 무방하다. 제 1 가압 수단으로는, 램프 커버를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과, 실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역할의 두 가지 역할을 겸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커버를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만을 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수지제의 스프링재나 고무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램프 커버의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로는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양쪽 모두에 천정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는 것일 수도 있어, 이러한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램프 커버 내면 및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된 실드는 판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증착에 의해 램프 커버 내면 및 외장 케이스 내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조작 스위치부는 외장 케이스 내부측의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장 케이스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한 것일 수도 있다.
조작부로는 조작 스위치 등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커버와 외장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램프 커버의 외장 케이스로의 설치 구조로는, 외장 케이스 내부측에 배치된 결합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것일 수도 있고, 또한 나사 고정 등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 장치의 교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젝터를 하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태에서 상측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실드판, 드라이버 보드 및 상측 라이트 가이드를 분리하여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광학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 1 실시에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를 설치한 상태의 상측 케이스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a 및 도 13b은 상기 제 1 실시에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 및 상측 케이스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를 상방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15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상기 제 2 실시에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상측 케이스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로크 레버 및 판 스프링 부착),
도 18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상측 케이스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로크 레버 및 판 스프링 없음),
도 19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로크 레버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 외장 케이스의 실드판 및 판 스프링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21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를 설치한 상태의 상측 케이스를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2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 커버가 약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젝터 2 : 외장 케이스
3 : 전원 유닛 4 : 광학 유닛
21 : 상측 케이스 22 : 인터페이스 커버
23 : 하측 케이스 61 : 램프 커버
63 : 결합 구조체 68 : 커버 센서
66 : 판 스프링 80, 81, 604, 616 : 실드판
413 : 광원 장치 621, 622 : 가이드부
644 : 노치부 655 : 슬라이딩부

Claims (20)

  1.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 장치에서 방사된 광속(光束)을 변조한 후에 확대 투사하여 투사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광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와,
    이 개구를 밀폐하며, 상기 외장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식의 램프 커버와,
    이 램프 커버를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과,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외장 케이스에 고정하는 결합 구조체와,
    조작에 의해 상기 결합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는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수단은 상기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실드판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램프 커버측에 가압되고 또한 상기 가압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상기 램프 커버에 가압됨으로써 작동하는 검출 스위치를 구비하며, 이 검출 스위치가 상기 램프 커버에 소정량 가압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제 1 가압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의 검출 스위치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가 설치되며,
    이 실드는 상기 외장 케이스내에 설치된 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측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에는 상기 외장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하 접촉하는 가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장 케이스의 가이드부의 중간에는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노치로부터 상기 램프 커버의 슬라이딩부가 상기 외장 케이스내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슬라이딩부의 삽입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로부터 서로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 수단은 상기 외장 케이스내, 및 상기 램프 커버의 내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실드판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1.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를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 장치에서 방사된 광속을 변조한 후에 확대 투사하여 투사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광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와,
    이 개구를 밀폐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천정면에만 배치되고,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램프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외장 케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하는 결합 구조체와, 조작에 의해 상기 결합 구조체를 해제하는 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램프 커버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측으로 오목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를 상기 외장 케이스에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는 상기 램프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천정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천정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기 외장 케이스에 대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램프 커버를 가압하는 제 1 가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면 및 상기 램프 커버의 내면을 각각 피복하는 실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압 수단이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 커버가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 1 가압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에 접하며, 타단부가 상기 램프 커버 내면을 피복하는 실드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기 외장 케이스에 대한 삽입 방향으로 상기 램프 커버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커버에는 상기 램프 커버가 약간 개방된 상태로 상기 외장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는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외장 케이스로의 탈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램프 커버의 상기 고정부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02-0028220A 2001-05-22 2002-05-21 프로젝터 KR100490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2426 2001-05-22
JPJP-P-2001-00152426 2001-05-22
JP2001152427 2001-05-22
JPJP-P-2001-00152427 2001-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91A KR20020089191A (ko) 2002-11-29
KR100490494B1 true KR100490494B1 (ko) 2005-05-19

Family

ID=2661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220A KR100490494B1 (ko) 2001-05-22 2002-05-21 프로젝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55541B2 (ko)
KR (1) KR100490494B1 (ko)
CN (1) CN1229687C (ko)
TW (1) TW522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1699B2 (en) * 2002-03-28 2006-06-13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ion lens, producing method of projection lens and projector having projection lens
CN100367106C (zh) * 2003-02-20 2008-02-06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投影机遮光装置及具有此装置的投影机
JP3791613B2 (ja) * 2003-05-21 2006-06-28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プロジェクタ
JP4229087B2 (ja) * 2005-05-26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4466515B2 (ja) * 2005-05-26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
JP4353143B2 (ja) * 2005-06-08 2009-10-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7279169A (ja) * 2006-04-03 2007-10-2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
CN101454717B (zh) * 2006-05-26 2012-10-24 三洋电机株式会社 投影型映像显示装置
TWI360015B (en) * 2007-08-24 2012-03-11 Coretronic Corp Projector and cover plate thereof
JP5255821B2 (ja) * 2007-11-14 2013-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ジェクタ装置
TW200941116A (en) * 2008-03-21 2009-10-01 Coretronic Corp Open-closed structure applied to a lamp door of a projector
JP5247268B2 (ja) * 2008-07-08 2013-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5205235B2 (ja) * 2008-12-04 2013-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GB0903897D0 (en) * 2009-03-06 2009-04-22 Quincom Ltd Light projector
DE102009019091B3 (de) * 2009-04-20 2010-10-07 SMR Patents S.à.r.l. Spiegelfuß
WO2010146682A1 (ja) 2009-06-18 2010-12-2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源冷却装置および投影型表示装置
CN102004294A (zh) * 2009-09-01 2011-04-0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镜头调整模组
TW201317703A (zh) * 2011-10-28 2013-05-01 Asia Optical Co Inc 後蓋組裝結構及使用該結構之投影設備
JP2013148625A (ja) * 2012-01-17 2013-08-01 Panasonic Corp 投射型画像表示装置
CN103376630B (zh) * 2012-04-20 2016-03-30 三洋科技中心(深圳)有限公司 投影装置的壳体
JP5971043B2 (ja) * 2012-09-10 2016-08-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射装置
TWI556017B (zh) 2014-10-16 2016-11-0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微投影機
JP2017106952A (ja) * 2015-12-07 2017-06-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射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CN107967882A (zh) * 2017-09-27 2018-04-27 刘道灵 一种展示三维动漫设计的装置
CN115185147B (zh) * 2022-07-27 2024-03-15 峰米(重庆)创新科技有限公司 投影仪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312Y1 (ko) * 1988-11-14 1991-12-05 양회선 오버 헤드 프로젝터(over head projector)의 램프 순간 교체장치
JPH04262686A (ja) * 1991-02-16 1992-09-18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H10148886A (ja) * 1996-11-21 1998-06-02 Sony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
JPH10268425A (ja) * 1996-10-18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H1138502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General Ltd 液晶プロジェクタ
KR0133893Y1 (ko) * 1994-11-18 1999-03-20 김광호 액정프로젝터의 램프 결합장치
JPH11202407A (ja) * 1998-01-20 1999-07-30 Fujitsu General Ltd 液晶プロジェクタの二重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2761A (en) * 1993-09-30 1998-12-01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projector
JP3659271B2 (ja) * 1995-10-03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背面投射型映像装置
US6082864A (en) * 1997-09-29 2000-07-04 Ed. Liesegang Project or having a self-aligning replaceable projection lamp mechanism
JP3572982B2 (ja) * 1999-02-19 2004-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2002174720A (ja) * 2000-12-06 200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紫外線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312Y1 (ko) * 1988-11-14 1991-12-05 양회선 오버 헤드 프로젝터(over head projector)의 램프 순간 교체장치
JPH04262686A (ja) * 1991-02-16 1992-09-18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プロジェクタ
KR0133893Y1 (ko) * 1994-11-18 1999-03-20 김광호 액정프로젝터의 램프 결합장치
JPH10268425A (ja) * 1996-10-18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液晶ビデオ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H10148886A (ja) * 1996-11-21 1998-06-02 Sony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
JPH1138502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General Ltd 液晶プロジェクタ
JPH11202407A (ja) * 1998-01-20 1999-07-30 Fujitsu General Ltd 液晶プロジェクタの二重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55541B2 (en) 2004-06-29
KR20020089191A (ko) 2002-11-29
TW522282B (en) 2003-03-01
CN1229687C (zh) 2005-11-30
US20030081185A1 (en) 2003-05-01
CN1387083A (zh) 200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494B1 (ko) 프로젝터
US7156526B2 (en) Projector
JP3664065B2 (ja)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7147349B2 (en) Light source and projector
JP2003337379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KR100685585B1 (ko) 광학 장치 및 프로젝터
US6994438B2 (en) Optical component casing,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4168899B2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2023263A (ja) 光学部品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3512033B2 (ja) プロジェクタ
JP4353143B2 (ja) プロジェクタ
JP3663928B2 (ja) 光源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3508764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4205686A (ja) プロジェクタ用筐体及びこの筐体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2004239948A (ja) 偏光変換装置、この偏光変換装置を備えた照明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2350978A (ja)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055420B2 (ja) 光源装置およびこの光源装置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JP2009210855A (ja)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12173597A (ja) プロジェクター
JP3823763B2 (ja) 電子機器用筐体、および、この電子機器用筐体を備えるプロジェクタ
JP2018116213A (ja) プロジェクター
JP4423997B2 (ja) プロジェクタ
JP3991745B2 (ja)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10018896B2 (en) Projector having a notch and fitting mechanism therein
JP3444273B2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