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266B1 -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266B1
KR100470266B1 KR10-2002-0078974A KR20020078974A KR100470266B1 KR 100470266 B1 KR100470266 B1 KR 100470266B1 KR 20020078974 A KR20020078974 A KR 20020078974A KR 100470266 B1 KR100470266 B1 KR 10047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cooling water
heating means
he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121A (ko
Inventor
장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to KR10-2002-007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2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테이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전기식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판의 신속한 가열과 냉각수의 증발 억제에 의한 절수, 기름기 그을음으로 오염된 연도의 청소 편의 및 타지 않은 구운 고기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는, 상부 받침턱(11)과 하부 받침턱(13)과 상부 받침턱(11)의 위쪽 운두 상에 배기구(12)를 가진 외통(1)과; 가열수단용 히터좌(45)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한복판을 틔운 바닥(22)과 전(21)을 가진 중간통(2)과; 구이판(6)을 지지함과 동시에 걸침턱(34)과 냉각수실(31), 히터좌(45)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한복판을 틔운 바닥(35)과 열반사기능이 부여된 내주면, 걸침턱(34)의 위쪽에 배기공(32)이 천공된 내통(3)과; 좌판(41)과 내부 반사경(42), 세라믹 콘 히터(43), 방열 유도구(44)로 이뤄진 가열수단(4)과; 내통(3)의 냉각수실(31)에 들어 앉히는 냉각수실용 윗가리개를 겸한 기름받이(5)와; 구이판(6) 복판의 세라믹판좌(62)에 안장시키는 세라믹판(63)과; 외통(1)의 상단에 걸터앉아 내통(3)을 지지하는 통상의 걸침테(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Electric type meat roaster for table}
본 발명은 전용 테이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전기식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판의 신속한 가열과 냉각수의 증발 억제에 의한 절수, 기름기 그을음으로 오염된 연도의 청소 편의 및 타지 않은 구운 고기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블용 고기구이기는 숯불 또는 가스 버너로 구이판을 가열하여 고기를 굽는 직접 가열방식의 것이다.
직접 가열식 구이판에서 고기를 굽다보면 속이 채 익기도 전에 겉이 탄화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데, 이러한 현상은 구이판의 조기 과열현상 때문이다.
또, 구이기의 내부 바닥에 있는 물그릇은 위가 완전히 열린 완전 개방형이어서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가 빨라 수시로 물을 보충해야 되는 불편과 구이판에서 떨어지는 기름방울로 인하여 물그릇의 물이 튕겨 구이기 내부를 오손시키는 경향도 있었다.
그리고 구이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는 동안에 발생하는 연기를 빨아내는 전동식 흡출기가 구이기의 운두 하부에 부착되어 있어서 흡출되는 연기가 배기통로의 위쪽에서부터 휘돌아 아래쪽에 위치하는 배기구를 거쳐 흡출된다.
이 과정에서 고기에서 증발된 유분이 섞인 끈끈한 성질의 연기에서 유분과 그을음이 배기통로의 벽에 달라붙어 오손시키는 경향이 짙기 때문에 수시로 배기통로를 청소해야 되므로 그 불편도 크다.
게다가 직열로만 고기가 구워지는 구조는 속까지 구워지기까지가 더디고, 구이판에는 구운 고기를 식지 않게 간수할 수 있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한 까닭에 구이판의 언저리로 구운 고기를 옮겨 놓아야 하는 수고를 들여야 하는 데, 이것 역시 번거롭다.
본 발명은 구이판의 가열이 신속하고 냉각수의 증발을 억제하여 절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름기 그을음으로 오염된 연도를 청소하기도 편리하며, 타지 않은 구운 고기맛을 즐길 수 있는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이 기술적 과제는, 중간통용 상부 받침턱과 가열수단의 좌판용 하부 받침턱, 상부 받침턱의 위쪽 운두 상에 배기구를 가진 외통과, 가열수단용 좌판의 히터좌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한복판을 틔운 바닥과 외통의 상부 받침턱에 걸터앉힐 전을 가진 중간통과, 구이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중간통의 상단에 걸터앉힐 걸침턱과 바닥의 냉각수실, 가열수단용 좌판의 히터좌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한복판을 틔운 바닥과 열반사기능이 부여된 내주면, 걸침턱의 위쪽 주면에 배기공이 천공된 내통과, 좌판과 내부 반사경, 세라믹 콘 히터, 방열 유도구로 이루어진 가열수단과, 냉각수실용 윗가리개를 겸한 기름받이와, 복판에 세라믹판을 갖고서 내통의 걸침턱에 걸터앉힐 구이판과, 외통의 상단에 걸터앉아 내통을 지지하는 걸침테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전기식 고기구이기를 전용 테이블에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중간통
3 : 내통 4 : 가열수단
5 : 기름받이 6 : 구이판
7 : 걸침테 11 : 상부 받침턱
12 : 배기구 13 : 하부 받침턱
31 : 냉각수실 32 : 배기공
34 : 걸침턱 42 : 내부 반사경
43 : 세라믹 콘 히터 44 : 방열 유도구
63 : 세라믹판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는 외통(1), 중간통(2), 내통(3), 가열수단(4), 기름받이(5), 구이판(6) 및 받침테(7)로 구성된다.
외통(1)은 이것을 제외한 고기구이기의 모든 구성요소를 내장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운두의 상부에는 중간통(2)의 전 가장자리를 걸터앉히는 상부 받침턱(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받침턱(11)의 위쪽 운두상에는 배기구(12)가 천공되어 있다.
배기구(12) 밖에는 전동식 흡출기(8)가 장착된다.
그리고 외통(1)의 주면 하부에는 가열수단(4)의 좌판을 걸터앉히는 하부 받침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받침턱(13)의 아래쪽으로 세라믹 콘 히터(43)에서 인출되는 전원 코드(9)가 관통한다.
중간통(2)은 외통(1)과 내통(3) 사이에 도너츠형 에어 포켓(20)을 형성하여 구이기 내부의 열로 인하여 테이블 주위에 둘러앉은 사람들과 전동식 흡출기(8)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내통(3)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서, 상단에 주어진 전(21)을 받침턱(11)에 걸터앉힘으로서 외통(1)상에서 자세가 안정된다.
그리고 바닥(22)의 한복판은 넓게 틔워서 가열수단(4)의 좌판(41)에서 상향 돌출된 히터좌(45)가 아래쪽에서 위쪽을 바라보고 넉넉하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내통(3)은 중간통(2) 내에서 위로는 구이판(6)을 지지하고 아래로는 냉각수를 담아두는 냉각수실(31)로 활용하는 동시에 냉각수(35a)의 수면과 구이판(6) 사이의 내주면을 경사면으로 처리하여 가열수단(4)에서 받는 열을 구이판(6) 쪽으로 복사하는 복사면으로 활용한다.
상기 내통(3)의 상단에는 받침테(7)의 받침턱(71)에 걸터앉히는 전(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는 중간통(2)의 전(21)에 걸터앉힐 걸침턱(34)도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33)과 걸침턱(34) 사이의 내주면에는 배기공(32)이 가지런히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35)의 한복판은 넓게 틔워서 가열수단(4)의 좌판(41)에서 상향 돌출된 히터좌(45)를 아래쪽에서 위쪽을 바라보고 넉넉하게 끼울 수 있게 한다.
또한, 내통(3)에서 걸침턱(34)의 아래쪽 내주면은 경사면으로 처리하여 가열수단(4)에서 방출되는 열을 구이판(6) 쪽으로 복사케 함으로써 구이판(6) 전반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달구게 한다.
가열수단(4)은 좌판(41)과 내부 반사경(42), 세라믹 콘 히터(43), 방열 유도구(44)와의 조합체다.
좌판(41)은 가장자리 부분을 외통(1)의 하부 받침턱(13)에 걸터앉힌 상태에서 내부 반사경(42)과 세라믹 콘 히터(43) 및 방열 유도구(44)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복판에는 상향 돌출된 히터좌(45)가 있다.
히터좌(45)에는 세라믹 콘 히터(43)의 보울트를 내리 끼울 보울트공이 천공되어 있다.
내부 반사경(42)은 깔때기형이며, 히터좌(45)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세라믹 콘 히터(43)에서 나오는 열을 위쪽으로 반사하여 가열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그 열로 인하여 냉각수(35a)의 수온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게 억제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세라믹 콘 히터(43)는 역원추형 세라믹 콘(43a)의 주면에 코일형 니크롬선(43b)을 둘러 감고 세라믹 콘(43a)의 저면에는 내부 반사경(42)과 히터좌(45)를 한꺼번에 관통한 후 히터좌(45)의 아래쪽에서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 보울트(43c)가 부착된 탈착형이다.
방열 유도구(44)는 세라믹 콘 히터(43)와 내부 반사경(42)을 수용하도록 씌워서 보호하는 동시에 세라믹 콘 히터(43)에서 방출되는 열과 내부 반사경(42)에 반사되어 나오는 열을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방열공(44a)이 형성된 금속제 망체로써 마치 컵을 엎어놓은 듯한 형상의 것이다.
기름받이(5)는 내통(3)의 냉각수실(31)의 위를 가려서 구이판(6)의 기름구멍(61)을 통하여 굽는 고기에서 베어 나온 기름을 받아 내통(3)의 가장자리 쪽에 고인 냉각수로 흘러들게 유도함으로써 기름방울이 사방으로 튀겨 내통(3)과 가열수단(4)을 오손시키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냉각수의 증발을 억제하여 냉각수의 수시 공급의 불편을 들고, 또한 수분의 과잉공급도 억제하기 위한 냉각수실용 윗가리개 겸용으로서, 복판을 비워서 내통(3)에서 바닥(35)의 한 가운데를 높인 부분(36)에 넉넉하게 씌워지도록 한다.
구이판(6)은 내통(3)의 걸침턱(34)에 걸터앉혀서 구울 고기를 얹어서 가열수단(4)의 열을 이용해 굽는 것으로서, 금속판의 복판에 세라믹판좌(62)를 천공하여 세라믹판(63)을 안장시킨 것이다.
세라믹판(63)은 가열수단(4)의 열을 받았을 때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그래서 세라믹판(63)에 구운 고기를 얹어두면 거기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보온도 되고 고기를 탄화시키지 않고 속속들이 익혀주기도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덮개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의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열수단(4)부터 조립한다.
즉, 세라믹 콘 히터(43)의 보울트(43c)에 절연판을 끼우고 그 절연판 밑으로 노출된 보울트(43c)에는 내부 반사경(42)을 끼운 다음에 세라믹 콘 히터(43)와 내부 반사경(42)에 방열 유도구(44)를 씌워서 조립하는 것이다.
조립된 가열수단(4)의 보울트(43c)를 좌판(41)의 보울트공에 내리 끼운다.
그리고 좌판(41) 밑으로 관통한 보울트(43c)에도 절연판을 끼우고 너트를 체결하며, 거기다 전원 코드(9)도 연결한다.
가열수단(4)이 장착된 좌판(41)을 외통(1)에 삽입하여 하부 받침턱(13)에 걸터앉힌다.
이때, 전원 코드(9)는 외통(1)의 하부에 미리 뚫어 둔 코드공으로 인출한다.
이어서, 외통(1)과 가열수단(4)의 방열 유도구(44) 사이로 중간통(2)을 넣어 그 전(21)을 외통(1)의 상부 받침턱(11)에 걸터앉힌다.
중간통(2)과 방열 유도구(44) 사이로 내통(3)을 삽입하여 중간통(2)의 전(21)에 걸침턱(34)의 바깥쪽을 걸터앉힌다.
그리고 내통(3)에 기름받이(5)를 들어 앉힌 후 걸침턱(34)의 안쪽에 구이판(6)을 들어 앉힌 다음에 외통(1)의 상단에 통상의 걸침테(7)를 들어 앉히고 여기에 내통(3)을 걸치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가 완성된다.
이 전기식 고기구이기는 외통(1)의 전을 테이블(A)의 구이기공(B)에 장전하여 실사용에 임한다.
실사용상태에서, 통전된 세라믹 콘 히터(43)에서 발산되는 열은 방열 유도구(44)를 통하여 주위로 확산되고 내부 반사경(42)에 의해 복사된 열도 방열 유도구(44)를 통하여 동시에 주위로 확산되어 구이판(6)을 달군다.
또, 내통(3)에 반사되어 상승하는 열기에 의해서도 구이판(6)이 달궈진다.
이와 같이 가열수단(4)의 열기가 옆으로 퍼지면서 상승하여 구이판(6)을 가열하는 방식은 열기가 직상승하던 종래의 구이판 가열방식과는 달리 가열판(6)의 과열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세라믹 콘 히터(43)의 발열온도를 설정해 둠으로써 과열방지를 가능케 한다.
그래서 고기를 탄화시키지 않고 먹기 좋게 구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구이판(6)의 위로 상승하는 연기와 증발되는 기름기 및 증기는 배기구(12)의 외곽에 장착된 전동식 흡출기(8)에 의해 강제로 흡출되는 데, 그 배출통로(C)는 구이판(6)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공(32)과 그 위치에 상응하는 외통(1)의배기구(12)로 한정된다.
이러한 배출통로(C)는 외통(1)의 하부에 전동식 흡출기를 장착하여 구이판(6) 밑을 거쳐 외통(1)의 내주면과 내통(3)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넓은 공간(D)을 거쳐 연기와 기름분자가 섞인 증기가 흡출되던 종래의 배출경로에 비해 배기가 접촉되는 내부 표면적이 대폭 축소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전기식 고기구이기의 내부 청소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방열 유도구(44)를 통하여 방출되는 열과 내통(3)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는 세라믹판(63)은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그 위에 놓인 구운 고기는 탄화되지 않고 보온되면서 속까지 골고루 잘 익게 하는 동시에 구이판(6)의 조기 가열이 가능하므로 고기 굽는 시간도 대폭 단축된다.
그리고 냉각수실(31)에 담긴 냉각수(35a)는 냉각수실(31)의 위를 가린 기름받이(5)에 의해 가열수단(4)의 높은 열에도 불구하고 증발이 억제된다.
그래서 냉각수 보충 빈도가 줄어들어 절수효과도 큰 반면에 수분의 과잉공급도 억제된다.
또, 냉각수를 보충하는 데 드는 수고도 덜어지므로 편하다.
또한, 기름받이(5)는 위에서 떨어지는 기름방울이 냉각수에 충돌하지 못하게 하여 물방울과 기름방울이 사방으로 튀겨나가 냉각수실(31) 주위를 불결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하는 데도 기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는 가열수단에서 발산되는 직열과 내통에 의한 복사작용으로 구이판의 신속 가열이 가능하므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고기를 구울 수 있고, 구이판의 세라믹판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그 위에 놓인 고기의 탄화방지와 속속들이 익힘이 가능하므로 더욱 맛있는 구운 고기맛을 즐길 수 있다.
또, 기름받이에 의해서는 냉각수실에 저장된 냉각수의 과잉 증발이나 수분의 과잉공급이 억제되므로 냉각수가 절약되고 냉각수의 부족분을 보충하는 수고도 덜어진다.
게다가 내통상에서 높게 위치하는 구이판을 기준으로 그 위쪽의 좁은 공간이 고기가 구워질 때 발생하는 연기와 유분이 섞인 증기의 배출통로로 이용됨에 따라 배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내부 오염폭이 대폭 감소되어 내부 청소도 한결 수월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간통용 상부 받침턱(11)과 가열수단(4)의 좌판용 하부 받침턱(13)과 상부 받침턱(11)의 위쪽 운두 상에 배기구(12)를 가진 외통(1)과;
    가열수단(4)용 좌판(41)의 히터좌(45)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한복판을 틔운 바닥(22)과 상기 외통(1)의 상부 받침턱(11)에 걸터앉힐 전(21)을 가진 중간통(2)과;
    구이판(6)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통(2)의 상단에 걸터앉힐 걸침턱(34)과 바닥의 냉각수실(31), 가열수단(4)용 좌판(41)의 히터좌(45)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한복판을 틔운 바닥(35)과 열반사기능이 부여된 내주면, 걸침턱(34)의 위쪽 내주면에 배기공(32)이 천공된 내통(3)과;
    좌판(41)과 내부 반사경(42), 세라믹 콘 히터(43), 방열 유도구(44)로 이루어진 가열수단(4)과;
    상기 외통(1)의 상단에 걸터앉아 내통(3)을 지지하는 통상의 걸침테(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의 냉각수실(31)에 냉각수실용 윗가리개를 겸하여 굽는 고기에서 베어 나온 기름을 받아 냉각수로 흘러들도록 유도하는 기름받이(5)를 들어 앉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6)의 복판에 세라믹판좌(62)를 천공하여 세라믹판(63)을 안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KR10-2002-0078974A 2002-12-12 2002-12-12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7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74A KR100470266B1 (ko) 2002-12-12 2002-12-12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74A KR100470266B1 (ko) 2002-12-12 2002-12-12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121A KR20040051121A (ko) 2004-06-18
KR100470266B1 true KR100470266B1 (ko) 2005-02-07

Family

ID=3734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0266B1 (ko) 2002-12-12 2002-12-12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64B1 (ko) * 2015-07-16 2016-12-12 (주)에코그릴 무연 숯불구이 장치의 결합구조
KR101725509B1 (ko) * 2015-08-21 2017-04-17 (주)에코그릴 황토 및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그릴
KR102056542B1 (ko) * 2018-07-19 2020-01-14 이채환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084B1 (ko) * 2012-02-09 2013-10-02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전열기용 조리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552Y1 (ko) * 1990-12-24 1992-10-16 이재기 대가 편심으로 결합되는 우산
KR19980017124U (ko) * 1996-09-21 1998-07-06 김병두 육류 구이용 가스 로스터
KR19990022243U (ko) * 1999-03-24 1999-06-25 최수산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552Y1 (ko) * 1990-12-24 1992-10-16 이재기 대가 편심으로 결합되는 우산
KR19980017124U (ko) * 1996-09-21 1998-07-06 김병두 육류 구이용 가스 로스터
KR19990022243U (ko) * 1999-03-24 1999-06-25 최수산 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464B1 (ko) * 2015-07-16 2016-12-12 (주)에코그릴 무연 숯불구이 장치의 결합구조
KR101725509B1 (ko) * 2015-08-21 2017-04-17 (주)에코그릴 황토 및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그릴
KR102056542B1 (ko) * 2018-07-19 2020-01-14 이채환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121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EP2392242B1 (en) Two-way heating cooker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KR100470266B1 (ko)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KR100526776B1 (ko) 할로겐히터 조리기
KR102023759B1 (ko) 전기구이기구
KR102543463B1 (ko) 구이기
KR200377300Y1 (ko) 구이용 기구
KR20130007807A (ko) 개량형 불판장치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200328742Y1 (ko) 테이블용 전기식 고기구이기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US20240049901A1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200350884Y1 (ko) 테이블용 전기식 로스터
KR200412774Y1 (ko) 전기 구이기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KR200164418Y1 (ko) 숯불구이기의 숯 착화장치
KR102188704B1 (ko) 스마트 팔각불판 시스템
KR100721651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0159758Y1 (ko) 원적외선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구이기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