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922B1 -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922B1
KR100443922B1 KR10-2001-0041971A KR20010041971A KR100443922B1 KR 100443922 B1 KR100443922 B1 KR 100443922B1 KR 20010041971 A KR20010041971 A KR 20010041971A KR 100443922 B1 KR100443922 B1 KR 10044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heat exchanger
discharg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264A (ko
Inventor
김동채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9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9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 부하를 가진 냉기를 여러 방향으로 토출이 가능하도록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설치하고 토출구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직접 전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공기마찰에 의한 냉각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냉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본체에는 목적성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컨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Entirely outlet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실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에어컨의 냉기가 전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실내의 냉방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에어컨에 부가적인 효과를 갖도록 하는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작되는 에어컨은 실내의 벽면이나 바닥 등에 실내기를 설치하고, 이 실내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배관 및 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는 외부의 더운 공기를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열교환기의 작용에 의해 더운 공기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켜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컨은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그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액화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그리고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기화·증발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냉매는 에어컨의 각 요소를 연결하는 도관을 통해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상변화되어 냉매는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게 되는데,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컨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유입구(2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일련의 열전달 과정을 통하여 열교환기로부터 냉방 부하를 얻어 냉기가 되는데,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0)는 통상 에어컨의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에어컨은 고효율의 냉방 부하가 인가된 냉기가 에어컨의 전면(前面)으로만 토출되었고, 이는 에어컨의 토출구(30)가 전방으로만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냉기가 토출구(30)에서 토출되어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유동되기 전에, 유동에 의한 공기간의 마찰로 인하여 냉각부하가 급격히 손실되는 결과를 갖게 되므로 냉각 효율을 매우 저하시켰고, 실내에는 냉기의 온도편차가 존재하였으며, 에어컨의 측면과 후면에서는 전혀 냉방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에어컨의 측면 일부에 상기의 토출구(30)가 형성된 형식의 에어컨 구조가 있으나, 이는 단순한 냉기의 토출방향 만을 전환한 것으로 그 결과는 실질적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 부하를 가진 냉기를 여러 방향으로 토출이 가능하도록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설치하고 토출구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컨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직접 전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공기마찰에 의한 냉각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냉방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본체에는 목적성 부착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컨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컨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의 열교환기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의 공기순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유입구
30: 토출구 40: 열교환기
50: 송풍팬 70: 광고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가 순환되는 열교환기를 통하여 냉각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한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본체의 네 방향에 형성되어 냉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은 에어컨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원형의 팬이며, 상기 에어컨의 본체 외면에는 광고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종전에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의 열교환기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의 공기순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은 종래기술과 연계하여, 유사한 구성의 유입구(20), 토출구(30), 송풍기(50) 및 열교환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구성은, 에어컨 토출구(30)를 전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30)에 근접한 곳에 "ㅁ" 모양의 열교환기(40)를 배치하며, 원형의 송풍팬(50)을 상기 열교환기(40) 사이에 설치하여 냉기가 전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냉방작용을 하도록 하고, 광고판(70)을 본체(10)의 네 면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에어컨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컨의 본체(10) 전면(全面)의 소정 높이에는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에어컨의 본체(10) 네 방향에는 상기 토출구(30)의 하방으로 실내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내공기에 냉방 부하를 인가하기 위한 열교환기(40)가 상기 토출구(30)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열교환기(40)는 에어컨의 각 면에 대하여 각각 대응하도록 절곡되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각 형상의 열교환기(40)는 다수 개의 열교환기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에어컨의 설계시 에어컨의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40)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30)와 대향되게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에어컨의 중심축 선상에 설치되는 원형의 횡류팬으로써, 하부에서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과 직교방향으로 토출시키며,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 회전속도에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된 횡류팬은 정상상태(stady-state)의 층류유동을 형성하여 냉기의 유동을 극대화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은 대용량의 냉방효율을 가지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의 에어컨은 실내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30)가 실내 구조물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실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실내의 공기는 에어컨의 유입구(20)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에어컨의 소정 높이에 설치된 송풍팬(50)은 실내공기를 유입시켜 에어컨 내부를 경유하여 토출이 가능하도록 공기유동을 형성시키고,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2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에어컨 내부를 강제순환하면서 유동한다.
한편, 에어컨의 냉각사이클에서 발생된 냉방 부하를 가진 냉매는 열교환기(40)를 순환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40)와 열교환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40)에 구비된 방열핀 및 기타의 열전달 요소를 통해 상기의 냉방 부하가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송풍팬(50)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동에 의하여 강제순환되는 실내공기는 원형의 층류팬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유동이 방사상으로 네 면에 형성된 열교환기(40)로 각각 일정량을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네 면에 각각 유동되는 일정량의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40)를 경유하면서 냉기가 되고, 이 냉기는 상기 송풍팬(50)의 유동력에 의하여 네 면에 설치된 토출구(30)로 배출되어 실내로 순환된다. 실내의 냉기는 상기 송풍팬(50)에 의하여 여전히 순환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실내는 냉기에 의하여 온도 조절되고, 실내를 냉각한 후의 냉기는 다시 에어컨의 유입구(2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유동 순환구조에서 에어컨의 냉기는 에어컨 본체(10)의 각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실내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냉방손실을 최소화하여, 냉기는 실내를 순환하면서 실내의 전방향에 대하여 골고루 냉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냉방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컨의 본체(10) 전면(全面)은 광고판(70)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실내의 공간에 적합한 광고물이나 게시판 및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열교환기(40)는 일체로 형성되어 각 면에 대응하여 절곡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에어컨의 공기를 전면(全面)으로 토출시키는 것에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에 의하면, 에어컨의 냉방 부하가 인가된 냉매를 에어컨의 각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어 냉매간의 온도 보전력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므로 냉방력이 향상되고, 실내의 여러 곳을 효과적으로 골고루 냉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냉방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에어컨의 본체 전면(全面)을 실내환경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3)

  1. 에어컨 본체의 네 방향에 형성되어 냉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근접하여 내측으로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한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에어컨 본체의 내부 중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냉기를 사방향으로 강제 배출함으로써 송풍효율을 극대화하고;
    상기 에어컨의 본체 외면에는 광고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2. 삭제
  3. 삭제
KR10-2001-0041971A 2001-07-12 2001-07-12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Expired - Fee Related KR10044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971A KR100443922B1 (ko) 2001-07-12 2001-07-12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971A KR100443922B1 (ko) 2001-07-12 2001-07-12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264A KR20030006264A (ko) 2003-01-23
KR100443922B1 true KR100443922B1 (ko) 2004-08-09

Family

ID=2771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9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3922B1 (ko) 2001-07-12 2001-07-12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05B1 (ko) * 2008-12-01 2009-05-11 (주)세원웰빙공조 항온항습 기능을 갖는 증기식 공기조화기
CN114263984A (zh) * 2020-09-16 2022-04-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264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0459B2 (en) Rain shield for a heat exchanger component
CN107166564B (zh) 热管换热器、空调控制散热组件、空调室外机和空调器
JP5538503B2 (ja) 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240349447A1 (en) Cooling system, cabinet, and data center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EP162808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5909240U (zh) 空调器
KR100443922B1 (ko) 전방향 토출형 에어컨
CN212324608U (zh) 空调器
US7757507B2 (en) Air conditioner
CN220356125U (zh) 一种冷却塔系统
CN218379667U (zh) 空调装置
CN116592665A (zh) 一种冷却塔系统
JP2000022363A (ja) 電気回路素子用放熱フィン、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US20250027662A1 (en) Outdoor unit and heat exchanger of air conditioner
CN205014682U (zh) 压缩机及空调器
CN215062441U (zh) 一种空调器及风机盘管
CN216281728U (zh) 一种室内空调器
KR20040051643A (ko) 나선형 마이크로채널 튜브로 이루어진 열교환기
CN222030303U (zh) 散热系统
CN210197550U (zh) 直膨式多功能空调一体机
KR20070052547A (ko) 공기조화기
KR100390220B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횡단류팬
KR200184572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송풍기 장착구조
KR100231155B1 (ko) 에어컨의 실내측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