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052B1 -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052B1
KR100432052B1 KR10-2001-0013972A KR20010013972A KR100432052B1 KR 100432052 B1 KR100432052 B1 KR 100432052B1 KR 20010013972 A KR20010013972 A KR 20010013972A KR 100432052 B1 KR100432052 B1 KR 10043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ilter
volatile organic
organic compounds
tank
od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974A (ko
Inventor
차진명
Original Assignee
비앤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이테크(주) filed Critical 비앤이테크(주)
Priority to KR10-2001-001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0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0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46Mean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장에서 악취 및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등의 BTX류와 유기산, 알데히드류, 케톤류, 방향족화합물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동시에 대량으로 발생하는데 이를 제거하는 바이오 필터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성장, 활동할 수 있도록 미생물에 필용한 영양배지탱크 및 적정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바이오 필터의 기능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충진된 다수의 카트리지 형태의 미생물담체와, 상기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담체와 접속되는 바이오필터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산·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산·알카리약품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단으로 접속되어 영양배지를 공급하는 영양배지탱크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펌프와,상기 물순환펌프를 통해 상기 각 미생물담체의 상단부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살수스프레이와,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단부에 파이프를 통해 접속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영양배지탱크와 산·알카리약품탱크의 영양배지와 산·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온도를 가열해주는 가열기로 이루어진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담체는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세라믹담체이고,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Stench and VOCs remove system using Biofilter}
본 발명은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장에서 악취 및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등의 BTX류와 유기산, 알데히드류, 케톤류, 방향족화합물 등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동시에 대량으로 발생하는데 이를 제거하는 바이오 필터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성장, 활동할 수 있도록 미생물에 필요한 영양배지탱크 및 적정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바이오 필터의 기능을 향상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공장, 도시하수/분뇨처리장, 고무제조공장, 도색공장, 식품가공공장, 축산분뇨처리장, 분뇨처리장 등 각종 산업장에서 악취 및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등의 BTX류와 유기산, 알데히드류, 케톤류, 방향족화합물 등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동시에 대량으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한 주변 민원으로 산업발전에 필요한 공장의 건설이 지연되고, 도시의 기반시설이 되는 하수종말처리장 및 쓰레기매립장의 건설이 늦어지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화학적 방법으로 연소법은 2차 대기오염을 발생시키고, 흡착법은 고가인 활성탄을 사용함에 따라 비경제적이다. 이들 방법은 건설비가 적게 드는 대신 과다한 약품 소모로 인한 2차 오염을 유발하여 운전비가 많이 소요된다.
이에 비하여 생물학적 방법은 건설비와 운전조건이 까다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며 운전비용이 적게 소모된다.
따라서 이러한 생물학적 방법은 역사적으로 1960년대부터 토양층에 오염된 공기를 주입하여 토양흡착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soil bed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soil bed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고 높은 압력손실 그리고 토양층 내부에서의 균등한 공기공급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1980년대 이후 퇴비, peat, wood bark등의 유기성재료들을 충진재로 사용하여 바이오필터를 개발하였는데 이들 유기성 충전재는 높은 물리적 흡착, 양호한 수분보수력으로 인해 높은 제거효율을 가지고 있으나 미생물에 의해 충전층 자체가 분해되고 무기화로 인한 압밀이 되어 충전재층으로 공기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착 미생물 담체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위 무게당 활성이 좋은 새로운 담체 선정이 중요하며 담체에 미생물을 부착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2는 종래의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바이오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구성도이며, 도3은 종래의 바이오필터 내에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분해 메카니즘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바이오필터(13)는 악취와 휘발성유기화합물 유입부(1)에서 오염공기가 파이프를 통해 바이오필터(13)의 하단부로 유입되고, 미생물이 충진된 미생물담체(6)층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로 배출된다. 또한 미생물이 성장하기 위한 수분을 바이오필터(11)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11)에서 순환펌프에 의해서 살수스프레이를 통해 공급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바이오필터(13)는 황화수소와 같은 악취를 제거할 경우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미생물담체(6)의 pH가 떨어지게 되는데 대한 문제점과,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배지탱크(8)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생물이 성장하고 활동할 수 있는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미생물이 충진된 미생물담체(6)층으로 가스를 유입시켜 충전층을 통과하면서 미생물의 생분해 작용에 의해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시키는 것이다.
미생물
또한 기존의 바이오필터(6)는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이 종속영양 세균일 경우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처리하기 위하여 질소(N), 인산(P)등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종속영양 세균은 미생물의 특성상 바이오메스(Biomass)를 생성하기 때문에 미생물담체의 공극을 막아 압력손실이 과도하게 커지므로 오염공기 처리풍량 및 처리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
따라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를 분해하는 종속영양 세균인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바이오메스(Biomass)를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에 기존의 바이오필터에서는 바이오메스(Biomass)를 제거하기 위하여 역세척을 실시하는데, 역세척시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담체내부의 미생물까지 유출되어 재접종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설계가 간단하고 운전이 편리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 및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등의 BTX류와 유기산, 알데히드류, 케톤류, 방향족화합물 등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또한, 유지비용 및 재생 처리비용등을 절감할 수 있고, 무기성 악취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바이오필터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성장, 활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제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충진된 다수의 카트리지 형태의 미생물담체와, 상기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담체와 접속되는 바이오필터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산·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산·알카리약품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단으로 접속되어 영양배지를 공급하는 영양배지탱크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펌프와,상기 물순환펌프를 통해 상기 각 미생물담체의 상단부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살수스프레이와,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단부에 파이프를 통해 접속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영양배지탱크와 산·알카리약품탱크의 영양배지와 산·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온도를 가열해주는 가열기로 이루어진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담체는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세라믹담체이고,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2는 종래의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제거하는 바이오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구성도이며,
도3은 종래의 바이오필터 내에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분해 메카니즘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유입부 2: 순환펌프
3: 살수스프레이 4: 가열기
5: 압력게이지 6: 미생물담체
7: pH 메타 8: 영양배지탱크
9: 산ㆍ알카리 약품탱크 10: 송풍팬
11: 물탱크 12: 물순환펌프
13: 바이오필터(반응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충진된 다수의 카트리지 형태의 미생물담체(6)와, 상기 미생물담체(6)의 하단부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유입되는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유입부(1)와, 상기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담체(6)와 접속되는 바이오필터(13)와, 상기 바이오필터(13)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11)와, 상기 물탱크(11)에 접속되어 있는 산ㆍ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산ㆍ알카리약품탱크(9)와, 상기 물탱크(11)의 하단으로 접속되어 영양배지를 공급하는 영양배지탱크(8)와, 상기 영양배지탱크(8)와 산ㆍ알카리약품탱크(9)의 영양배지와 산ㆍ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순환펌프(2)와, 상기 바이오필터(13)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11)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펌프(12)와, 상기 물순환펌프(12)를 통해 상기 각 미생물담체(6)의 상단부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살수스프레이(3)와, 상기 바이오필터(13)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기(4)와, 상기 바이오필터(13)의 상단부에 파이프를 통해 접속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양배지탱크(8)에 pH 메타(7)가 접속되어, 미생물이 성장하는데 최적의 pH를 조절해주기 위해 산ㆍ알카리약품탱크(9)에서 파이프를 통해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오필터(13)의 하단에는 미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물탱크(11)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11)에 접속되어 미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영양배지탱크(8)가 접속되고, 상기 영양배지탱크(8)의 영양분은 순환펌프에 의해 물탱크(11)에 공급하고 공급되어진 영양분은 물과 함께 바이오필터(13)의 살수스프레이(3)에 공급하며, 상기 미생물이 충진된 미생물 담체(6) 각각의 층에는 압력게이지(5)가 접속되어, 미생물이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함으로서 생성되는 바이오메스(Biomass)에 의해, 각 층에서 압력손실이 높아지는 것을 측정하여 세척하게 된다.
또한, 미생물이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데, 바이오필터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온도를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의 온도가 낮은 온도일 경우 가열기(4)에 의해 가열하여 주며, 상기 바이오필터(13)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파이프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송풍팬(10)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ㆍ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유입부(1)에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가 유입되면 파이프를 통해 바이오필터(13)의 하부로부터 미생물이 충진된 미생물담체(6)층을 통과하여 상부로 흘러 상단부에 접속된 파이프를 통해 송풍팬(1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바이오필터(13)에 유입된 악취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혼합된 오염공기중에서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는 미생물이 충진된 미생물담체(6) 1단에서 제거 및 분해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은 2단 및 3단에서 제거된다.
이 때, 미생물이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데, 바이오필터(13)의 내부의 온도를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의 온도가 낮은 온도일 경우 가열기(4)에 의해 가열하여 준다. 또한, 상기 바이오필터(13)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파이프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송풍팬(10)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미생물이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함으로서 생성되는 바이오메스(Biomass)에 의해, 각 층에서 압력손실이 높아지는 것을 상기 미생물이 충진된 카트리지 형태의 미생물 담체(6)의 각각 층에는 압력게이지(5)가 접속되어 압력손실이 기준 이상일 경우 세척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 담체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플라이 애쉬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카 계통의 세라믹담체를 이용한다. 이 세라믹 담체는 화력발전소의 부산물로 나오는 재 즉, 플라이애쉬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용하며, 높은 기공율과 수분흡수율,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어 미생물 담체로 사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을 각각 세라믹 담체에 고정화하여 다단식의 카트리지 형태로 설치하여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각각 제거하는 미생물을 별도로 장치를 제작하여 병렬식 또는 직렬식으로 처리하는 방법보다도 운전비를 크게 줄일수 있고, 장치를 간단히 하므로 설치비용이 저렴한 아주 효과적인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 방법이다.
결국,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바이오필터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동시에 처리하고자 하는 기술로 반응기는 처리하고자 하는 가스 종류에 따라 단수를 정하고, 바이오메스(Biomass)가 과도하게 생겨 압력손실이 높아지면 카트리지 형태이므로 바로 꺼내 세척후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악취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바이오필터로서,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운전경비나 유지관리비용을 40%이상 줄일 수 있고, 2차 오염원을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바이오필터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성장/활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악취를 제거하는 미생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충진된 다수의 카트리지 형태의 미생물담체와, 상기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담체와 접속되는 바이오필터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산·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산·알카리약품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단으로 접속되어 영양배지를 공급하는 영양배지탱크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하단에 구비되는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펌프와,상기 물순환펌프를 통해 상기 각 미생물담체의 상단부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살수스프레이와,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단부에 파이프를 통해 접속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영양배지탱크와 산·알카리약품탱크의 영양배지와 산·알카리 약품을 공급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바이오필터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온도를 가열해주는 가열기로 이루어진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바이오필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담체는 플라이애쉬를 포함하는 세라믹담체이고,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 시스템.
KR10-2001-0013972A 2001-03-19 2001-03-19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43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72A KR100432052B1 (ko) 2001-03-19 2001-03-19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972A KR100432052B1 (ko) 2001-03-19 2001-03-19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92U Division KR200234656Y1 (ko) 2001-03-19 2001-03-19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74A KR20020073974A (ko) 2002-09-28
KR100432052B1 true KR100432052B1 (ko) 2004-05-24

Family

ID=2769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972A Expired - Lifetime KR100432052B1 (ko) 2001-03-19 2001-03-19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86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이퓨어 발열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 방법 및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55B1 (ko) * 2008-10-31 2011-01-24 큐바이오텍 (주) 공기정화장치
KR100943882B1 (ko) * 2009-01-30 2010-02-2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가스 처리장치
CN108380038B (zh) * 2018-04-18 2024-05-03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带加热恒温系统的多层生物滤池及其使用方法
KR102310090B1 (ko) * 2020-02-27 2021-10-06 고승규 실내 악취 제거 및 살균 처리 장치
KR102568224B1 (ko) * 2023-02-01 2023-08-18 주식회사 아이온텍 삽입형 악취 저감 필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929U (ko) * 1987-04-15 1988-10-27
JPH05261240A (ja) * 1992-03-17 1993-10-1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生物脱臭塔
JPH0647247A (ja) * 1992-07-31 1994-02-22 Kobe Steel Ltd 脱臭装置
JPH0699021A (ja) * 1992-09-18 1994-04-12 Nippon Steel Corp 生物学的脱臭方法
JPH0919622A (ja) * 1995-07-07 1997-01-21 Hitachi Zosen Corp 生物脱臭装置
JP2000300939A (ja) * 1999-04-16 2000-10-31 Tokuzo Sato 悪臭ガスの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
KR200234656Y1 (ko) * 2001-03-19 2001-10-18 차진명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929U (ko) * 1987-04-15 1988-10-27
JPH05261240A (ja) * 1992-03-17 1993-10-1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生物脱臭塔
JPH0647247A (ja) * 1992-07-31 1994-02-22 Kobe Steel Ltd 脱臭装置
JPH0699021A (ja) * 1992-09-18 1994-04-12 Nippon Steel Corp 生物学的脱臭方法
JPH0919622A (ja) * 1995-07-07 1997-01-21 Hitachi Zosen Corp 生物脱臭装置
JP2000300939A (ja) * 1999-04-16 2000-10-31 Tokuzo Sato 悪臭ガスの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
KR200234656Y1 (ko) * 2001-03-19 2001-10-18 차진명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86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이퓨어 발열체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 방법 및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74A (ko) 200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37170A1 (en) Multi-Tube Biofilter System for Treating Waste Gas
KR100276156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쌍방향 흐름형 생물학적 제거장치
KR100406496B1 (ko)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KR100318528B1 (ko)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 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KR100432052B1 (ko)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KR100528358B1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200234656Y1 (ko)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제거시스템
KR101497273B1 (ko) 밀폐형 순환 타입의 미생물 친환경적 바이오필터
KR101353678B1 (ko) 악취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바이오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악취 처리 장치
KR100906900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방법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KR102094714B1 (ko) 세정과 흡수처리를 포함한 수직거치 담체형 탈취기
Miller et al. Application of biological deodorization methods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KR200234655Y1 (ko)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KR100524647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341511Y1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KR100998193B1 (ko) 모듈형 상향류 바이오 탈취장치
KR100337657B1 (ko) 가스 정화에 사용되는 바이오필터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Gałwa-Widera Reduction of odors from composting processes using an ecological method
KR100481287B1 (ko) 질석을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및 방법
KR20030088226A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처리를 위한 바이오 필터시스템
KR20000072159A (ko) 다량의 유기성 고형물을 함유하는 유기성 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13268B1 (ko) 주정폐액과 지렁이 분변토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및탈취장치
KR100436984B1 (ko) 악취와 voc를 포함하는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한바이오필터 장치
KR200234668Y1 (ko) 악취와 voc를 포함하는 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한바이오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3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91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