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365B1 -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365B1
KR100408365B1 KR10-2002-0051122A KR20020051122A KR100408365B1 KR 100408365 B1 KR100408365 B1 KR 100408365B1 KR 20020051122 A KR20020051122 A KR 20020051122A KR 100408365 B1 KR100408365 B1 KR 100408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subject
photographe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115A (ko
Inventor
미스미요시노리
스가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070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60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47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1560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7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5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facial parts and geometric relationships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3)에 의한 촬영시, 피촬영자에 대해 카메라(3)를 보는 위치를 표시하는 카메라 위치 표시부(14),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대기를 촉구하는 표시를 실행하는 확인 중 표시부(11),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종료를 표시하는 종료 표시부(12) 및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종료 후의 진행방향을 촉구하는 표시를 실행하는 출구 표시부(13)를 각각 설정하여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상황(카메라(3)를 보는 위치, 촬영대기, 촬영종료, 촬영종료 후의 진행방향)을 안내 표시하도록 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상황을 안내할 수 있고, 촬영 신청자(10)의 촬영 대기 행렬이 정체되는 것을 없앨 수 있으며, 또, 이와 같은 안내 표시에 의해 일반인은 물론, 귀가 나빠 잘 들을 수 없는 난청자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안내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Face Imag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신분증명서나 각종 면허증 등에 첨부하는 증명용 사진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촬영상황의 안내는 촬영자(촬영조작자)가 실행하고, 촬영자가 안내할 수 없는 경우는 피촬영자의 판단이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촬영 상황의 안내 방법의 경우, 촬영자(촬영조작자)의 부하가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촬영신청자의 촬영대기 행렬이 있는 경우, 촬영신청자의 촬영 흐름을 효율적으로 실행하여, 촬영 사이클을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이때, 피촬영자가 촬영의 상황을 몰라서 촬영이 끝난 것을 모르고, 그대로 카메라의 앞에 앉아서 촬영신청자의 촬영 흐름을 방해한다. 또, 촬영 중에 피촬영자가 촬영이 끝났다고 잘못 판단하여 이동하거나, 이 때문에 불량 촬영이 되어 재촬영이 발생하여 촬영신청자의 촬영 흐름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상황을 안내할 수 있고, 촬영신청자의 촬영대기 행렬이 정체되는 것을 극력(極力)으로 없앨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했을 때, 입력한 안면화상의 안면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출력화상의 안면의 크기가 항상 균일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주밍(zooming)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및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인간계의 판정 등을 수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피촬영자의 촬영 가능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및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눈을 감는 등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배제하여,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및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불량 화상 촬영을 실행했어도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 다시 촬영하지 않고, 양질의 화상을 재출력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및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했을 때, 촬영화상을 트리밍(trimming)하는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표시화면 상의 안면의 위치를 나타냄으로써 눈을 감는 등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배제하여,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화상의 모니터 표시를 확인할 때에, 확인의 지시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모니터 화면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화상 촬영시스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안내표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안면화상 촬영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안면화상 촬영시스템과, 피촬영자와, 촬영을 대기하는 촬영신청자 사이에서의 촬영의 물리적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7, 도 8 및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안내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로부터의 입력화상으로부터 안면의 윤곽영역을 검출하고, 이 안면의 윤곽영역으로부터 안면의 크기를 측정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11, 도 12 및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안면의 윤곽영역의 규정범위에 대해 설명하기위한 플로우 챠트,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머리 상단 높이 위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좌우방향의 안면의 중심위치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의 화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탐색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탐색영역 내에서 피촬영자(1)가 존재하지 않는 라인과 존재하는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머리 상단 높이와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와 안면의 중심위치(center)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안면의 윤곽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안면의 윤곽영역의 규정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머리 상단 높이 위치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안면 좌단 세로 라인(head left)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안면 우단 세로 라인(head right)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안면의 중심위치(center)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입력화상에 대한 안면의 윤곽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할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 도 29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로부터의 입력화상과, 촬영처리중의 각 처리시에 사용하는 영역이나 좌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1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촬영가능상태의 판정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2는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로부터의 입력화상, 이 입력화상 중 안면의 윤곽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을 특정하고, 이 개략 위치영역으로부터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을 추출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4는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로부터의 입력화상과, 이 입력화상 중 안면의 윤곽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을 특정하고, 이 개략 위치영역으로부터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을 추출하고, 이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의 중심위치(좌표)로부터의 상대 위치에 의해 화상 오려내기 영역을 결정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5, 도 36은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7은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재출력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8은 제 6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로부터의 입력화상과, 이 입력화상 중 안면 중심으로서의 미간의 좌표를 기준으로 눈동자가 존재할 영역을 추출하고, 또 출력사진 크기의 화상영역을 추출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9는 제 6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0은 제 6 실시형태에서의 판정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1은 제 6 실시형태에서의 화상출력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2는 제 7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로부터의 입력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3은 제 7 실시형태에서의 처리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피촬영자 2: 조명기
3: 카메라 4: 촬영자
5: 표시기 6: 제어대
7: 안내표시부 8: 의자
9: 배경판 10: 스피커
11: 확인중 표시부 12: 종료 표시부
13: 출구 표시부 14: 카메라 위치 표시부
21: 비디오 캡처부 22: 비디오 액셀러레이터부
23: CPU부 24: 외부 버스 제어부
25: 대용량 기억장치 30: I/O 제어부
33: 네트워크 어댑터 34: 사운드 컨트롤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장치는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이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을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시 상기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 상황을 안내 표시하는 안내 표시수단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방법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이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이 측정된 안면의 크기 측정치에 따라 상기 촬영된 안면화상에 대해 주밍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안면화상을 얻는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방법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이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단계와, 이 촬영 가능 상태의 인식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라고 인식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안면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방법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이 촬영한 안면화상으로부터 눈동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이 검출한 눈동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눈동자의 상태를 인식하고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이 판정에 의해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져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안면화상의 촬영, 상기 눈동자의 위치 검출 및 상기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져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다시 실행하는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방법은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여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으로서 불러오는 단계와, 이 불러온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을 백업 화상으로서 기억하는 단계와, 이 기억된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 내의 소정 프레임의 화상을 인쇄 출력하는 단계와, 이 인쇄 출력한 화상이 적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억된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 내에서 안면화상의 출력에 적합한 소정 프레임의 화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이 선택한 화상을 인쇄 출력하는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장치는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이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눈동자의 위치에 대한 기준위치를 지시하는 지시수단과, 이 지시수단에 의해 지시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에서의 오려내기 범위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이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오려내기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을 오려낸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면화상 촬영장치는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여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으로서 불러오는 화상 불러오기 수단과, 이 화상 불러오기 수단에 의해 불러온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을 차례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복수 프레임의 연속 화상 내에서 안면화상의 출력에 적합한 화상을 선택하는 화상 선택수단과, 이 화상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기 직전에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어 있던 프레임의 화상을 안면화상의 출력에 적합한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화상 촬영시스템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안면화상 촬영시스템은 피촬영자(1)를 조명하는 조명기(2), 피촬영자(1)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의 CCD형 비디오 카메라(3), 촬영 상태나 촬영자(조작자)(4)의 조작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모니터 디스플레이)(5), 촬영자(4)에 의한 조작지시에 의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을 가공하거나, 표시기(5)나 내장된 기억부 등에 대해 출력을 실행하는 제어대(제어부)(6),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상황을 안내 표시하는 안내수단으로서의 안내표시부(7) 등을 갖는 안면화상 촬영장치와, 피촬영자(1)가 촬영시에 앉는 의자(8), 촬영시에 피촬영자(1)의 배경이 되는 배경판(9) 및 이 배경판(9)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 상태나 안내 등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으로서의 스피커(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카메라(3)는 640화소 ×480라인을 1화면의 촬영화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각 화소는 R(레드), G(그린), B(블루)의 각 색 센서로 이루어지고, 각 화소마다, 각 색마다의 데이터(농도치)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배경판(9)이 청색으로 구성됨으로써 비디오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었을 때의 배경이 청색이 되므로, 청색이 배경색 성분이 된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3)의 촬상부로부터 피촬영자(1)의 거리는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비디오 카메라(3)에 의해 촬영 거리 고정으로 촬영되어 있다.
안내표시부(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대기를 촉구하는 표시를 실행하는 확인중 표시부(제 2 표시부)(11),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종료를 표시하는 종료 표시부(제 3 표시부)(12),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종료 후의 진행방향을 촉구하는 표시를 실행하는 출구 표시부(제 4 표시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확인중 표시부(11)는 본 장치 전면(前面)의 카메라(3) 하방 부위에서 본 장치의 가로폭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종료 표시부(12)는 확인중 표시부(11)의 도면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고, 출구 표시부(13)는 종료 표시부(12)의 도면에 대해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상황을 안내 표시하는 안내 표시수단의 하나로서 피촬영자(1)가 카메라(3)를 보는 위치(카메라(3)에 시점을 맞춘 위치)를 표시하는 카메라 위치표시부(제 1 표시부)(14)가 카메라(3)의 촬영렌즈(3a)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위치표시부(14)는 예를 들면 복수의 LED 표시소자(14a)를 촬영렌즈(3a)의 주위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점등, 점멸, 소등 제어된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낸 안면화상 촬영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즉, 안면화상 촬영시스템의 제어부(6)는 비디오 캡처부(21), 비디오 액셀러레이터부(22), CPU부(23), 외부 버스 제어부(24), 대용량 기억장치(25), 판독/기록(reader/writer)부(27), I/O 제어부(30), 네트워크 어댑터(LAN 카드 등)(33) 및 사운드 컨트롤러부(3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캡처부(21)는 카메라(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입력화상)를 리얼타임(실시간)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비디오 메모리로서의 MO(26)나 메인 메모리(23b) 등에 전송하는 것이다.
비디오 액셀러레이터(video accelerator)부(22)는 비디오 캡처부(2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메모리로서의 MO(26)나 메인 메모리(23b) 등에 기억하거나, 비디오 캡처부(2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묘화(描畵) 처리를 실행하여, 표시기(5)로의 표시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사운드 컨트롤러부(34)는 스피커(10)로의 안내용 음성을 제어하는 것이다.
CPU부(23)는 화상 데이터 등으로의 각종 연산처리나 각종 제어 등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3a), 비디오 캡처부(2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수 프레임분을 기억하고, 또한 연산결과 등을 일시 보존하는 메인 메모리(23b), 각종 주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것이다.
예를 들면, CPU부(23)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자(촬영자)(4)가 조작하는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28)나 마우스(29)가 접속되어 있다. 키보드(28)에는 피촬영자(1)의 촬영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 누르는 촬영버튼(28a), 촬영화상이 OK가 된 경우에 누르는 촬영확정버튼(28b), 재촬영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누르는 촬영취소버튼(28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촬영버튼(28a), 촬영확정버튼(28b), 촬영취소버튼(28c)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기(5)에 표시함으로써, 마우스(29)에 의해 이동되는 커서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에 상기 키보드(28)의 촬영버튼(28a), 촬영확정버튼(28b), 촬영취소버튼(28c)을 누른 경우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CPU부(23)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한 안면화상 등을 예를 들어 인쇄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서의 화상인쇄장치(31)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버스 제어부(24)는 각종 주변기기를 접속하는 외부 버스(예를 들면, SCSI 등)를 제어하는 것이다.
대용량 기억장치(25)는 각종 OS나 애플리케이션, 제어용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을 보존하는 것으로, 하드디스크 장치(HDD) 등에 의해 구성된다.
판독/기록부(MO 드라이버)(27)는 제어대(6)의 출력 데이터 등을 보존하는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로서, 예를 들어 광자기 디스크(MO) 등에 대해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실행하는 것이다.
I/O 제어부(30)는 상기 확인중 표시부(11), 종료 표시부(12), 출구 표시부(13), 카메라 위치표시부(14)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어댑터(LAN 카드 등)(33)는 동일 네트워크(32)상의 다른 각종 기기(화상 인쇄장치나 화상 파일링 장치 등)와의 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안면화상 촬영시스템과, 피촬영자(1)와, 촬영을 대기하는 촬영신청자(10) 사이에서의 촬영의 물리적인 흐름을 위쪽에서 보아 도시한 것이다. 피촬영자(1)는 통상 촬영이 종료되면, 도 4에 나타낸 실선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진행)하는데, 만약 파선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면, 다음 촬영신청자(10)와의 교대에 지장이 있다.
(제 1 실시형태)
여기에서, 이와 같은 지장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한 제 1 실시형태로서 피촬영자(1)에 대해 시점 맞춤, 대기, 종료, 진행방향의 순으로 안내를 실행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S1)에서는 확인중 표시부(11), 종료 표시부(12), 출구 표시부(13)를 각각 소등하고, 또한 그 이외의 본 장치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단계(S2)로 나아간다. 단계(S2)에서는 카메라 위치표시부(14)를 예를 들면 적색으로 점등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1)에게 카메라(3)의 촬영렌즈(3a)를 보도록, 즉 피촬영자(1)가 카메라(3)의 촬영렌즈(3a)에 시점을 맞추도록 촉구한다.
다음에, 단계(S3)에서는 촬영자(4)가 단계(S1)에 의한 피촬영자(1)의 촬영준비가 된 것을 확인하고, 촬영버튼(28a)을 누른다. 다음에, 단계(S4)에서는 카메라위치표시부(14)를 예를 들면 점멸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1)에게 그대로 카메라(3)를 계속 보는 것을 촉구하고, 단계(S5)로 나아간다.
단계(S5)에서는 카메라(3)로부터의 피촬영자(1)가 촬영된 화상을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불러와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하고, 단계(S6)로 나아간다. 단계(S6)에서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저장한 입력화상을 표시기(5)에 표시하고, 단계(S7)로 나아간다.
단계(S7)에서는 화상 불러오기를 종료했기 때문에, 점멸시켰던 카메라 위치표시부(14)를 소등하고, 단계(S8)로 나아간다. 단계(S8)에서는 확인중 표시부(11)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색으로 점멸상태로 하고, 단계(S9)로 나아간다. 단계(S9)에서는 촬영자(4)는 단계(S6)에서 표시한 화상에 대해 눈을 감지는 않았는지, 안면 위치가 어긋나지 않았는지 등의 양부(良否) 판단을 실행하여, 재촬영의 여부 판정을 실행한다. 그 사이, 피촬영자(1)는 재촬영 준비를 하므로, 대기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단계(S8)에서 확인중 표시부(11)를 황색으로 점멸상태로 하는 것이다.
단계(S9)의 판정에 있어서, 재촬영이 필요한 경우, 단계(S10)로 나아가고, 촬영자(4)는 촬영취소버튼(28c)을 누르는 것에 의해 단계(S2)로 되돌아가서,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S9)의 판정에 있어서, 촬영화상이 만족스러운 경우, 단계(S11)로 나아가고, 촬영자(4)는 촬영확정버튼(28b)을 누른다. 촬영확정버튼(28b)이 눌러지면, 단계(S12)로 나아가고, 확인중 표시부(11)를 소등한다. 다음에, 단계(S13)에서 종료 표시부(12)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색으로 점멸하고, 또한 단계(S14)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 표시부(13)에 설치된 화살표를 점멸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출구방향으로 진행할 것을 촉구한다.
다음에, 단계(S15)에서는 단계(S6)에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저장된 입력화상을 출력용으로 변환하고, 피촬영자(1)의 그 외의 개인 정보와 함께, 목적에 따라 CPU부(23)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31)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33)로부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 인쇄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기록매체(용지, 카드 등)에 인쇄 출력하거나, 상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 보존수단으로서의 화상 파일링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보존 출력하거나, 또는 CPU부(23) 내의 메인 메모리(23b) 또는 대용량 기억장치(25)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를 화상 보존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이것에 대해 기억(보존 출력)한다. 이것으로서 피촬영자 한 사람에 대한 모든 촬영처리가 종료된다.
또, 촬영한 안면화상을 인쇄 출력할지 보존 출력할지는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좋고, 안면화상의 출력방법은 임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메라(3)에 의한 촬영시, 피촬영자에 대해 카메라(3)를 보는 위치를 표시하는 카메라 위치 표시부(14),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대기를 촉구하는 표시를 실행하는 확인중 표시부(11),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종료를 표시하는 종료 표시부(12) 및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종료 후의 진행방향을 촉구하는 표시를 실행하는 출구 표시부(13)를 각각 설치하고,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상황(카메라(3)를 보는 위치, 촬영대기, 촬영종료, 촬영종료 후의 진행방향)을 안내 표시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상황을 안내할 수 있어서, 촬영신청자(10)의 촬영대기행렬이 정체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안내표시에 의해 일반인은 물론, 귀가 나빠 잘 들을 수 없는 난청자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안내표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장치로의 촬영신청자(10)의 행렬방향 및 피촬영자(1)의 출구방향에 맞추어 종료 표시부(12) 및 출구 표시부(13)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9의 예에서는 촬영을 종료한 피촬영자(1)의 진행방향을 본 장치의 도면에 대해 좌측으로 한 경우로, 종료 표시부(12)는 그대로 도면에 대해 좌측으로 평행이동하여 확인중 표시부(11)의 도면에 대해 좌측에 부착하고, 출구 표시부(13)는 180도 회전시켜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종료 표시부(12)의 도면에 대해 좌측에 부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카메라 위치 표시부(14)에 의해 피촬영자(1)에 대해 카메라(3)의 촬영렌즈(3a)를 보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확인중 표시부(11)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촬영렌즈를 보십시오」로 문자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제 2 실시형태로서 피촬영자(1)의 안면크기를 측정하고, 이 측정한 크기에 기초하여 주밍처리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안면화상을 취득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41)과 이 입력화상(41)으로부터 안면의 윤곽영역(42)을 검출하고, 이 안면의 윤곽영역(42)으로부터 안면의 크기를 측정하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1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S21)에서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에 의해 계수되는 재시도 횟수나 그 이외의 데이터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단계(S22)로 나아간다. 단계(S22)에서는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피촬영자(1)의 안면화상)(41)을 불러와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하고, 단계(S23)로 나아간다. 단계(S23)에서는 메인 메모리(23b)내의 입력화상(41)으로부터 피촬영자(1)의 두발형태까지 포함한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색성분을 가진 안면의 윤곽영역(42)을 검출하고, 단계(S24)로 나아간다.
단계(S24)에서는 단계(S23)에서 구한 안면의 윤곽영역(42)에 의해 나중에 상술하는 안면의 크기 측정 처리에 의해 안면크기의 값(면적, 화소 수)을 측정하고, 단계(S25)로 나아간다. 여기서, 이 단계(S24)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측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S25)에서는 단계(S24)에서 측정된 안면크기 측정치가 규정범위 내에 들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규정범위라는 것은 나중에 실행하는 주밍처리의 입력 대응범위로부터 역산한 값이다. 예를 들면, 주밍처리의 입력 대응범위가 줌 비율 0.5∼1.5이었던 경우, 목표의 안면 크기값/안면크기 측정치가 0.5 이상 1.5 이하라는 것이 규정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서, 이 단계(S25)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제 1 판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S25)의 판정에서 안면크기 측정치가 규정범위 내에 들어가 있는 경우, 단계(S26)로 나아간다. 단계(S26)에서는 목표의 안면 크기값과 안면크기 측정치의 비를 구하고, 이 구한 비를 줌 비율로 설정한다. 또, 목표의 안면 크기값이라는 것은 출력사진으로 했을 때에 가장 적정한 안면크기의 값으로,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평균한 것에 기초하여 결정한 것이다. 여기서, 이 단계(S26)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줌 비율 설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단계(S27)에서는 단계(S26)에서 설정된 줌 비율에 기초하여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에 대해 CPU부(23)에 의해 전자적으로 주밍처리를 실행하고, 단계(S28)로 나아간다. 여기서, 이 단계(S27)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주밍처리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전자적으로 주밍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카메라(3)의 렌즈이동에 의해 주밍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단계(S28)에서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저장된 입력화상을 출력용으로 변환하고, 피촬영자(1)의 그 이외의 개인정보(성명, 생년월일, ID 번호 등)와 함께 목적에 따라 CPU부(23)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31),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33)로부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기록매체(용지, 카드 등)에 인쇄 출력하거나, 상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보존수단으로서의 화상 파일링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보존 출력하거나, 또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 또는 대용량 기억장치(25)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를 화상보존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것에 대해 기억(보존 출력)한다. 여기에서, 피촬영자 한 사람에 대한 모든 촬영처리가 종료된다.
또, 촬영한 안면화상을 신분증명서 등의 소정 크기로 정해진 영역에 인쇄 출력할지 보존 출력할지는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좋고, 안면화상의 출력방법은 임의이다.
단계(S25)의 판정에 있어서, 측정된 안면크기 측정치가 규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재시도 처리를 실행한다. 즉, 우선, 단계(S29)에서는 상기 재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단계(S30)로 나아간다. 단계(S30)에서는 재시도 회수가 미리 설정된 규정치 이내인지 여부를 조사하여, 규정치 이내이면 단계(S31)로 나아간다. 여기서, 이 단계(S29, S30)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제 2 판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S31)에서는 측정된 안면크기 측정치가 규정범위를 넘는(안면이 너무 큰) 경우는 피촬영자(1)에 대해 안면을 멀어지게 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기(5)에 표시하고, 또 그 반대의 경우는 안면을 가깝게 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기(5)에 표시하고, 단계(S22)로 되돌아가 재시도 처리로 하여 다시 단계(S22)로부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30)의 판정에 있어서 재시도 회수가 규정치를 넘는 경우, 출력사진으로 했을 때에 부적합한 화상이라고 판단하여 단계(S32)로 나아가서, 에러처리를 실행하여 촬영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여기서, 이 단계(S32)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에러처리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및 도 10을 참조하여 도 11의 단계(S24)에서의 안면크기 측정처리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S33)에서, 단계(S23)에서 구한 안면의 윤곽영역(42)으로부터의 상대 위치 영역으로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할 영역(43)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영역(43) 중에서 눈동자와 같은 형상의 부위, 예를 들면 검고 둥근 형상의 부위를 추출한다. 상기 영역(43)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안면의 윤곽영역에 대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하는 영역을 구하여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다음에, 단계(S34)에서, 단계(S33)에서 추출된 검고 둥근 형상의 부위 각각에 대해 미리 등록된 눈동자 표본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 정도가 가장 높은 부위를 추출한다. 눈동자는 두 군데이기 때문에, 눈동자 표본은 좌우의 눈동자분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판정을 좌우의 눈동자의 양 표본과의 비교에 의해 실행하여,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 눈동자 부위(45)의 좌표를 추출한다. 또, 눈동자 표본이 좌우 어느 한쪽의 눈동자분만 준비되어 있고, 다른 쪽에 대해서는 상기 눈동자 표본을 반전 등으로 가공하여 이용함으로써 준비하는 표본을 삭감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상기 눈동자 표본은 예를 들면 유사 정도를 구하는 패턴 비교를 위해 수백명의 눈동자 부분을 촬영한 화상을 정규화한 것이다.
다음에, 단계(S35)에서, 단계(S34)에서 추출된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 눈동자 부위(45)간의 중심거리(46)를 구하고, 이 구한 거리(46)로부터 안면크기의 값을 산출한다.
이 안면크기는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좌우 양쪽의 눈동자 부위 간의 중심거리에 대한 안면크기의 값을 평규한 것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10을 참조하여 도 11의 단계(S24)에서의 안면크기 측정처리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S36)에서, 단계(S23)에서 구한 안면의 윤곽영역(42)으로부터의 상대 위치영역으로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할 영역(43)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영역(43) 중에서 눈동자와 같은 형상의 부위, 예를 들면 검고 둥근 형상의 부위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S37)에서, 단계(S36)에서 추출된 검고 둥근 형상의 부위 각각에 대해 미리 등록된 눈동자 표본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 정도가 가장 높은 부위를 추출한다. 눈동자는 2군데이기 때문에, 눈동자 표본은 좌우의 눈동자분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판정을 좌우의 눈동자의 양 표본과의 비교에 의해 실행하여,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 눈동자 부위(45)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S38)에서, 단계(S37)에서 추출된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눈동자 부위(45)의 각 중심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영역으로서, 입이 반드시 존재할 영역(47)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영역(47) 중에서 입술과 동일한 적색계의 화소를 갖는 부위를 추출한다.
이 영역(47)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좌우 양쪽의 눈동자 부위 간의 중심 위치에 대한 입술을 포함하는 영역을 구하여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다음에, 단계(S39)에서, 단계(S38)에서 추출된 각각의 부위와 미리 등록된 입 표본을 비교하여, 유사 정도가 가장 높은 부위를 입 부위(48)로서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S40)에서, 단계(S37)에서 추출된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 눈동자 부위(45)와, 단계(S38)에서 추출된 입 부위(48) 사이의 면적(49)을 구하고, 이 구한 면적(49)으로부터 안면크기의 값을 산출한다.
이 안면의 크기는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서의 좌우 양쪽의 눈동자 부위와 입부위 사이의 면적에 대한 안면크기의 값을 평균한 것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 단계(S23)의 안면 윤곽영역의 검출처리에 대해 도 14부터 도 16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와, 도 17부터 도 25에 나타낸 화상데이터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S41)에서, 메인 메모리(23b)내의 입력화상(41)의 측정범위(탐색 범위, 탐색 영역)에서 배경판(9)의 색성분을 측정하고, 단계(S42)로 나아간다. 단계(S42)에서는 단계(S41)에서 측정한 결과가 배경판(9)과 같은 색성분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S43)로 나아간다. 이때, 비청색 배경(청색 배경이 아닌 것)을 피촬영자(1)의 안면화상의 부분으로 판정한다.
단계(S43)에서는 후술하는 머리 상단 높이 위치 검출처리를 실행하여, 세로방향의 머리 상단 세로 방향 라인번호(head top)를 구하고, 단계(S44)로 나아간다. 단계(S44)에서는 머리 상단 위치가 규정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단계(S45)로 나아간다.
단계(S45)에서는 후술하는 좌우방향의 안면 중심위치의 검출처리를 실행하여,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와 우측 머리 위치(head right)로부터 안면 중심위치 가로방향 라인번호(center)를 구하고, 단계(S46)로 나아간다. 단계(S46)에서는 안면 중심위치가 규정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단계(S47)로 나아간다. 이 때, 상기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와, 우측 머리 위치(head right)와, 상기 머리상단의 높이(head top)와, 복수의 피촬영자(1)의 안면의 세로 길이의 평균 라인수(FACE SIZE)에 의해 상기한 안면의 윤곽영역(42)이 검출된다.
단계(S47)에서는 가로방향 라인번호(center)와, 세로방향 라인번호(head top)가 교차된 위치를 안면의 윤곽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단계(S48)로 나아간다. 단계(S48)에서는 처리결과를 「안면의 윤곽범위가 규정범위 내」로 설정하고, 단계(S24)로 나아간다.
또, 만약 단계(S42), 단계(S44), 단계(S46)에서 NG이었던 경우는 처리결과로서 안면의 윤곽범위가 규정범위 밖으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상기 단계(S41)에서의 측정범위(탐색 범위, 탐색 영역)와, 상기 단계(S43)에서의 머리 상단 위치(head top)와 안면의 윤곽영역(42)의 검출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도 17에 나타낸 입력화상(41) 중의 피촬영자(1)의 몸에서 차지하는 영역 중 트리밍의 대상이 되는 안면의 위치는 피촬영자(1)가 물구나무 서기하지 않는 한, 반드시 위쪽에 있고, 또 그 위에는 청색 배경의 영역이 있다.
이것에 의해 입력화상(41) 중의 상하부분(y방향)은 탐색 범위(탐색 영역)(A)에서 제외한다. 이때의 매개변수를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윗부분을 제외하기 위한 매개변수를 OVER HEAD로 한다.
아래부분을 제외하기 위한 매개변수를 Y RANGE로 한다.
또, 피촬영자(1)는 카메라(3)의 정면에 앉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은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해결됨으로써, 가로로 긴 화상의 양 사이드(x 방향)는 탐색범위(A)에서 제외된다. 이때의 매개변수를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좌측부분을 제외하기 위한 매개변수를 X START로 한다.
우측부분을 제외하기 위한 매개변수를 X STOP으로 한다.
또, 화상 중의 피촬영자(1)의 영역은 거의 연속적이다.
이것에 의해 이하의 매개변수를 설정한다.
가로(X) 방향의 화소의 탐색간격: x 간격
세로(Y) 방향의 화소의 탐색간격: y 간격
또, 탐색영역(A) 내에서 피촬영자(1)가 존재하지 않는 라인을 0, 피촬영자(1)가 존재하는 라인을 1로 하면, 도 1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방향(Y 방향) 0, 0, 0, 0, …0, 0, 1, 1, 1, …이 되고, 0과 1의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데이터이다.
또, 가로방향(X 방향)도 전반 부분은 오름차순 나열의 데이터, 후반 부분은 내림차순 나열의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탐색영역(A) 내에서 피촬영자(1)가 존재하지 않는 라인을 0, 피촬영자(1)가 존재하는 라인을 1로 하면, 도 1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0, 0, 0, 0, …0, 0, 1, 1, 1, …1, 1, 1, 0, 0, …0, 0, 0이 된다.
이 결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Y 방향의 0으로부터 1(0→1)의 전환 라인이 머리 상단 높이(머리 상단 위치: 세로방향 머리 상단 세로방향 라인번호)(head top)로서 검출되고, 상기 X 방향의 0으로부터 1(0→1)의 전환라인이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로서 검출되며, 상기 X 방향의 1로부터 0(1→0)의 전환라인이 우측 머리 위치(head right)로서 검출된다.
또, 상기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와 우측 머리 위치(head right)의 중간 라인이 안면 중심위치(center)로서 검출된다.
상술한 전환 라인은 끝에서부터의 순차 탐색으로도 구할 수 있지만, 탐색대상이 오름차순(또는 내림차순)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탐색영역(A)을 양분해서 탐색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와, 우측 머리 위치(head right)와, 상기 머리 상단 높이(center)와, 복수의 피촬영자(1)의 안면의 세로길이의 평균라인 수(FACE SIZE)에 의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안면의 윤곽영역(42)이 검출된다.
상기 안면의 윤곽영역(42)의 규정범위는 안면의 윤곽 기준위치로서의 가로방향 라인번호(center)와, 세로방향 라인번호(head top) 각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으로, 안면을 중심으로 한 사진 크기로서의 트리밍 크기를 취득할 수 있는 범위이고, 이하의 수학식 1이 된다.
X FMG SIZE/2〈center〈(X STILL SIZE-X FMG SIZE/2)
OVER HEAD〈head top〈(Y STILL SIZE-Y FMG SIZE+OVER HEAD)=Y RANGE
즉,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화상(41)에 대해 안면 중심위치(center)는 프레이밍(framing) 영역(트리밍 영역)(X FMG SIZE)의 가로방향의 라인수의 1/2의 값에서, 입력화상(41)의 가로방향의 라인수(X STILL SIZE)에서 프레이밍 영역(트리밍 영역)(X FMG SIZE)의 가로방향의 라인수 1/2을 감산한 값의 범위를 규정범위로 하고 있다.
또,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화상(41)에 대해 머리 상단 위치(head top)는 입력화상(41)의 세로방향 라인번호(OVER HEAD)에서, 입력화상(41)의 세로방향의 라인수(Y STILL SIZE)에서 프레이밍 영역(트리밍 영역)(Y FMG SIZE)의 가로방향의 라인수를 감산하고 입력화상(41)의 세로방향 라인번호(OVER HEAD)를 가산한 값의 범위를 규정 범위로 하고 있다.
또, fmg_x는 트리밍 좌상각 X 좌표, fmg_y는 트리밍 좌상각 Y 좌표가 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단계(S43)에서의 머리 상단 높이 위치 검출처리를 도 16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와 도 23에 나타낸 화상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S51)에서는 적어도 피촬영자(1)의 머리 상단부가 존재하는 규정범위(OVER HEAD + 1라인∼Y RANGE 라인)에 피촬영자(1)의 머리 상단부가 있는 것을 확인한다.
입력화상 중의 세로방향 라인번호(OVER HEAD)의 가로라인을 구성하는 화소 가운데,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화소(즉, 피촬영자(1)의 안면 부분)의 수를 세어, 그 수가 규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 마찬가지로, Y RANGE의 가로라인을 구성하는 화소 가운데,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화소가 규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OVER HEAD 라인 상에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화소가 규정치 미만이고, Y RANGE 라인 상에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화소가 규정치 이상인 것을 확인한다.
이 규정치라는 것은 피촬영자(1)의 머리가 가로로 보풀이 일어나 있거나, 배경판(9)에 그 색과는 다른 이물이 붙어 있는 경우에 그 부분을 무시하기 위한 수치이다.
입력화상의 세로방향 라인번호(OVER HEAD)를 i로, 마찬가지로 Y RANGE를 j로 설정하고, 단계(S52)로 나아간다. 단계(S52)에서는 OVER HEAD를 i로, Y RANGE를 j로 설정하고, 단계(S53)로 나아간다.
단계(S53)에서는 i라인부터 j라인 간에 0라인보다 많은 라인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을 때, 단계(S54)로 나아간다. 단계(S54)에서는 i라인과 j라인의 중앙 라인((i+j)/2)을 k로 설정하고, 단계(S55)로 나아간다.
단계(S55)에서는 k의 가로라인을 구성하고 있는 화소 가운데,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화소의 수를 세고, 그 수가 규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이 규정치라는 것은 피촬영자(1)의 머리가 가로로 보풀이 일어나 있거나, 배경판(9)에 그 색과는 다른 미소한 이물이 붙어 있는 경우에 그 부분을 무시하기 위한 수치이다.
상기 단계(S55)의 판정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S56)에서 k를 j로 설정하고, 단계(S53)에 되돌아가고, 상기 단계(S55)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57)에서 k를 i로 설정하고, 단계(S53)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화상의 OVER HEAD로부터 Y RANGE까지의 탐색영역에서, 1처리 루프마다 이 탐색영역을 반분하고, j-i가 1미만(라인수의 차가 없어졌을 때, 0라인)이 됐을 때에, 즉 단계(S53)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58)로 나아간다.
단계(S58)에서는 머리 상단부(Y 라인)의 i를 머리 상단 위치(head top)로 설정하고, 단계(S59)로 나아간다. 단계(S59)에서는 처리결과로서 머리상단 위치가 규정범위 내로 설정되고, 단계(S44)로 나아간다.
또, 단계(S51)의 판정결과가 "예"인 경우, 즉 Y RANGE에 안면화상의 데이터가 없고, OVER HEAD에 안면화상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 안면화상이 규정범위 내에 없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S60)로 나아간다. 단계(S60)에서는 처리결과로서 머리상단 위치가 규정범위 밖으로 설정되고, 단계(S44)로 나아간다.
다음에, 상기 단계(S45)에서의 좌우방향의 안면의 중심위치의 검출처리를 도 16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와, 도 24∼도 26에 나타낸 화상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S61)에서는 도 24에 나타낸 입력화상(41)의 좌단 세로라인 번호 0을 i로 설정하고, 입력화상의 중심 세로라인 번호(X STILL SIZE/2)를 j로 설정하고, 단계(S62)로 나아간다. 단계(S62)에서는 i라인에서 j라인의 사이에 0라인보다 많은 라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예"인 경우 단계(S63)로 나아간다.
단계(S63)에서는 i라인과 j라인 중앙의 세로라인((i+j)/2)을 k로 설정하고, 단계(S64)로 나아간다. 단계(S64)에서는 k의 세로라인을 구성하고 있는 화소 가운데, 단계(S41)에서 측정한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색의 화소의 수를 세고, 그 수가 규정치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이 규정치라는 것은 피촬영자(1)의 머리가 가로로 보풀이 일어나 있거나, 배경판(9)에 그 색과는 다른 미소한 이물이 붙어 있는 경우에 그 부분을 무시하기 위한 수치이다.
상기 단계(S64)의 판정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S65)에서 k를 j로 설정하고, 단계(S62)로 되돌아가며, 상기 단계(S64)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66)에서 k를 i로 설정하고, 단계(S62)에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화상의 좌측 절반분의 탐색영역에서 1처리 루프마다 탐색영역을 반분하고, j-i가 1미만이 되었을 때에, 즉 단계(S62)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67)로 나아간다.
단계(S67)에서는 단계(S62)에서 j-i가 1미만이 된 경우에, i를 안면 좌단 세로라인(head left)으로 설정하고, 단계(S68)로 나아간다.
단계(S68)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입력화상(41)의 중심 세로라인 번호((X START + X STOP)/2)를 i로 설정하고, 입력화상의 우단 세로라인 번호(X STOP)를 j로 설정하고, 단계(S69)로 나아간다. 단계(S69)에서는 i라인부터 j라인 사이에 0라인보다 많은 라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아니오"인 경우 단계(S70)로 나아간다.
단계(S70)에서는 i라인과 j라인 중앙의 세로라인((i+j)/2)을 k로 설정하고, 단계(S71)로 나아간다. 단계(S71)에서는 k의 세로라인을 구성하고 있는 화소 중에서, 단계(S41)에서 측정한 배경판(9)의 색성분과 다른 색의 화소를 세고, 그 수가 규정치 이상인지 판정한다. 이 규정치라는 것은 피촬영자(1)의 머리가 가로로 보풀이 일어나 있거나, 배경판(9)에 그 색과는 다른 미소한 이물이 붙어 있는 경우에 그 부분을 무시하기 위한 수치이다.
상기 단계(S71)의 판정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S72)에서 k를 i로 설정하고, 단계(S69)로 되돌아가며, 상기 단계(S71)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단계(S73)에서 k를 j로 설정하고, 단계(S69)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입력화상의 우측 절반분의 탐색영역에서 1처리 루프마다 탐색영역을 반분하고, j-i가 1미만이 되었을 때에, 즉 단계(S69)의 판정결과가 "예"인 경우, 단계(S74)로 나아간다.
단계(S74)에서는 단계(S69)에서 j-i가 1미만이 되었을 경우에, i를 안면 우단 세로라인(head right)으로 설정하고, 단계(S75)로 나아간다. 단계(S75)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S67)에 의해 설정된 안면 좌단 세로라인(head left)과, 단계(S74)에 의해 설정된 안면 우단 세로라인(head right)에 기초하여 중앙위치를 계산하고, 이 계산한 값을 center의 값으로 하여 단계(S46)로 나아간다.
상기 단계(S23)에서의 피촬영자(1)의 머리 모양까지 포함한 안면의 윤곽영역(42)은 상기 안면의 윤곽 기준위치(center, head top), 좌측 머리 위치(head left), 우측 머리 위치(head right), 복수의 피촬영자(1)의 안면 세로길이의 평균 라인수(FACE SIZE)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단계(S21)에서의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할 영역(43)으로서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면의 윤곽 기준위치(center, head top)에 기초하여 가로 좌표(x eye area posi), 세로 좌표(y eye area posi)를 좌측 정점으로 하는 가로 방향의 사이즈(X EYE AREA SIZE), 세로 방향의 사이즈(Y EYE AREA SIZE)의 영역이 산출된다. 가로 좌표(x eye area posi), 세로 좌표(y eye area posi)는 이하의 수학식 2가 된다.
x eye area posi=center-(X EYE AREA SIZE/2)
y eye area posi=head top+Y EYE AREA SIZE-(Y EYE AREA SIZE/2)
즉, 상기 center(안면의 윤곽 기준위치의 가로 좌표)에 대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영역(43)의 가로폭(반드시 양 눈동자가 존재할 최소한의 영역을 나타내는 가로 라인수(X EYE AREA SIZE)의 절반분을 뺀 좌표가 영역(43)의 좌측단부의 가로 좌표(x eye area posi)가 된다.
상기 head top(안면의 윤곽 기준위치의 세로 좌표)에 대해 머리 상단 위치로부터의 눈동자 위치까지의 평균 세로 라인수(Y EYE POSI SIZE)를 가산하고, 미리 결정되어 있는 영역(43)의 세로폭(반드시 양 눈동자가 존재할 최소한의 영역을 나타낸 세로 라인수(Y EYE AREA SIZE))의 절반분을 뺀 좌표가 영역(43)의 상측단부의 세로 좌표(y eye area posi)가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피촬영자의 안면 중의 양 눈동자의 위치 및 입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고, 이들 검출한 양 눈동자의 위치 및 입의 위치 관계로부터 안면의 크기를 측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피촬영자의 안면 중의 양 눈동자의 위치, 입의 위치 및 코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고, 이들 검출한 양 눈동자의 위치, 입의 위치 및 코의 위치 관계로부터 안면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종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서는 피촬영자를 촬영할 때, 안면의 크기를 인간계로 판정하여, 얼굴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은 화상인 경우는 조작자(촬영자)가 크기의 조정(주밍)을 실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사이클이 수초 정도로 빠른 경우, 상기 인간계의 판정으로는 촬영시의 촬영장치의 조작자(촬영자)의 부하가 크고, 또 판정을 잘못할 확률도 높아진다.
특히, 판정을 잘못하여 촬영하여 인쇄 출력한 후, 잘못된 판정을 실행한 경우, 이미 그 자리에는 없는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 다시 촬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또, 인쇄 출력하는데 따르는 출력 매체(용지 등)의 비용이 상당히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회피하고,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했을 때, 입력한 안면화상의 안면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출력화상의 안면의 크기가 항상 균일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주밍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제 3 실시형태로서 피촬영자(1)의 눈과 입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촬영 가능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 촬영을 실행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안면의 윤곽영역의 산출 등이 동일하게 실행된다.
도 28, 도 29는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과, 촬영처리 중의 각 처리시에 사용하는 영역이나 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0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28, 도 29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S81)에서,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에 의해 계수되는 재시도 횟수나 그 이외의 데이터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단계(S82)로 나아간다. 단계(S82)에서는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41)을 불러와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하고, 단계(S83)로 나아간다.
단계(S83, S84)에서는 메인 메모리(23b)내의 입력화상(41)에 의해, 카메라(3) 앞에 피촬영자(1)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출처리를 실행한다. 즉, 예를 들면 입력화상(41)내에 배경색과 다른 화소를 가진 영역(즉, 피촬영자의 영역)을 탐색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1)가 존재하고, 또 피촬영자(1)의 머리 모양까지 포함한 안면의 윤곽영역(42)의 위치가 출력되기 위해 적정한 범위에 들어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 단계(S83, S84)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피촬영자 검출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카메라(3) 앞에 피촬영자(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안면 윤곽영역(42)의 위치가 부적정한 경우, 단계(S82)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카메라(3) 앞에 피촬영자(1)가 존재하고, 또 안면의 윤곽영역(42)의 위치가 적정한 경우, 단계(S85)로 나아간다. 단계(S85)에서는 카메라(3) 앞의 피촬영자(1)에 대해 촬영 준비를 촉구하기 위해 표시기(5) 및 스피커(10)에 의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S86)로 나아간다. 여기서, 이 단계(S85)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촬영 안내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S86)에서는 화상(41)을 입력한 후, 후술하는 촬영 가능 상태의 판정처리에서 피촬영자(1)가 정지했다고(촬영준비가 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규정시간 동안 대기하고, 단계(S87)로 나아간다. 단계(S87)에서는 다시 앞의 입력화상(41)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입력화상(41')을 카메라(3)로부터 불러와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하고, 단계(S88)로 나아간다.
단계(S88, S89)에서는 메인 메모리(23b)내의 입력화상(41) 및 입력화상(41')에 의해 촬영 가능 상태 판정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1)의 촬영준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촬영 가능 상태 판정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를 설명한다. 여기서, 이 단계(S88, S89)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인식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판정 결과, 피촬영자(1)의 촬영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 단계(S90)로 나아가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저장된 입력화상(41) 또는 입력화상(41') 중에서 안면화상의 출력에 적합한 화상을 선정하여 출력용으로 변환하고, 피촬영자(1)의 기타 개인정보와 함께, 목적에 따라 CPU부(23)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31),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33)로부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기록매체(용지, 카드 등)에 인쇄 출력하거나, 상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 보존 수단으로서의 화상 파일링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보존 출력하거나, 또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 또는 대용량 기억장치(26)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7)를 화상 보존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그것에 대해 기억(보존 출력)한다. 이것으로 피촬영자 한 사람에 대한 모든 촬영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서, 이 단계(S90)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선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또, 촬영한 안면화상을 인쇄 출력할지 보존 출력할지는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좋고, 안면화상의 출력방법은 임의이다.
상기 판정결과, 피촬영자(1)의 촬영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S91)로 나아가서, 재시도 처리를 실행한다. 즉, 우선, 단계(S91)에서는 상기 재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단계(S92)로 나아간다. 단계(S92)에서는 재시도 횟수가 미리설정되는 규정치 이내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규정치 이내라면 단계(S82)로 되돌아가서, 재시도 처리로서 다시 단계(S82)에서부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단계(S91, S92)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판정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S92)의 판정에 있어서, 재시도 횟수가 규정치를 넘은 경우, 출력사진으로 했을 때에 부적합한 화상이라고 판단하고 단계(S93)로 나아가서, 에러처리를 실행하여 촬영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이 단계(S93)의 처리가 본 발명에서의 에러처리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도 31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28, 도 29를 참조하여 도 30의 단계(S88, S89)에서의 촬영 가능 상태의 판정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S101)에서 안면의 윤곽영역(42)으로부터의 상대 위치영역으로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할 영역(43)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영역(43) 중에서 눈동자와 같은 형상의 부위, 예를 들면 검고 둥근 형상의 부위를 추출한다.
영역(43)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안면의 윤곽영역에 대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하는 영역을 구하여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다음에, 단계(S102)에서, 단계(S101)에서 추출된 검고 둥근 형상의 부위 각각에 대해 미리 등록된 눈동자 표본과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 정도가 규정치를 넘는 부위 중에서 가장 높은 부위를 추출한다. 눈동자는 2군데이기 때문에, 눈동자 표본은 좌우의 눈동자분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판정을 좌우의 눈동자의 양 표본과의 비교에 의해 실행하여,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 눈동작 부위(45)의 좌표를추출한다.
다음에, 단계(S103)에서, 단계(S102)에서 추출된 좌측 눈동자 부위(44), 우측 눈동자 부위(45)의 각 중심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영역으로서 입이 반드시 존재할 영역(47)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영역(47) 중에서 입술과 같은 적색계의 화소를 가진 부위를 추출한다.
영역(47)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서의 좌우 양쪽의 눈동자 부위 간의 중심위치에 대한 입술을 포함하는 영역을 구하여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다음에, 단계(S104)에서, 단계(S103)에서 추출된 부위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입 표본을 비교하여, 유사 정도가 규정치를 넘는 부위 중에서 가장 높은 부위를 입 부위의 좌표(48)로서 추출한다. 다음에, 단계(S105)에서 도 28의 입력화상(41)에 서의 좌측의 눈동자 좌표(44)의 규정 주변 영역(50)과, 도 29의 입력화상(41')에 서의 동일한 좌표의 동일한 크기의 영역(52)에서의 각 화소간의 휘도차 절대치를 구하여, 그 영역 전체에서의 합계치(SumDef1)를 구한다.
다음에, 단계(S106)에서, 도 28의 입력화상(41)에서의 우측의 눈동자 좌표(45)의 규정 주변 영역(51)과, 도 29의 입력화상(41')에서의 동일한 좌표의 동일한 크기의 영역(53)에서의 각 화소간의 휘도차 절대치를 구하여, 그 영역 전체에서의 합계치(SumDef2)를 구한다.
다음에, 단계(S107)에서, 도 28의 입력화상(41)에서의 입 부위의 좌표(48)의 규정 주변 영역(53)과, 도 29의 입력화상(41')에서의 동일한 좌표의 동일한 크기의영역(54)에서의 각 화소간의 휘도차 절대치를 구하여, 그 영역 전체에서의 합계치(SumDef3)를 구한다.
다음에, 단계(S108)에서, 단계(S105∼107)에서 구한 휘도차 절대치의 합계치(SumDef1, SumDef2, SumDef3)를 이들에 대해 각각 설정된 규정치와 각각 비교하여, 모두 규정치 이하인지 여부의 판정을 실행한다. 이 판정의 결과, 3개의 수치가 모두 규정치 이하라면, 촬영 가능 상태라고 판정하고, 3개의 수치 가운데 하나라도 규정치를 넘는 경우는 촬영 가능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피촬영자(1)의 촬영준비가 완료되면, 안면 및 안면 중의 움직이는 부위인 눈과 입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3개의 수치는 각각 규정치에 대해 낮은 값이 된다. 반대로, 안면이 움직이면, 상기 3개의 수치는 각각 규정치에 대해 높은 값이 된다. 또, 눈 깜박임이 있는 경우는 SumDef1 및 SumDef2가 각각 규정치에 대해 높은 값이 된다. 말을 하고 있을 때나 입이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는 SumDef3가 규정치에 대해 높은 값이 된다.
전술한 단계(S86)에서의 규정 시간이라는 것은 피촬영자(1)가 촬영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동이 있는 경우 상기 3개의 수치를 충분히 수치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움직임 감시 시간이다.
따라서 종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서는 피촬영자를 촬영할 때, 피촬영자의 촬영 준비 상태(촬영 가능 상태)를 조작자(촬영자)가 판정하여, 촬영을 실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예를 들면 촬영 사이클이 수초 정도로 빠른 경우, 조작자(촬영자)는촬영장치의 조작을 실행하면서 피촬영자의 모습을 관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촬영자)의 부하가 크고, 또 조작을 잘못할 확률도 높아진다.
특히, 판정을 잘못하여 촬영하여 인쇄 출력한 후, 잘못된 판정을 실행한 경우, 이미 그 자리에 없는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서 다시 촬영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인쇄 출력하는데 따른 출력 매체(용지 등)의 비용이 상당히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회피하고, 피촬영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화상으로 눈 및 입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의 촬영 가능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인간계의 판정 등을 수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피촬영자의 촬영 가능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불러온 복수의 화상에서 피촬영자의 안면 중의 눈 및 입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의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안면 중의 눈, 입 및 코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도록 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제 4 실시형태로서, 촬영한 화상에 기초하여 피촬영자(1)의 눈동자의 상태를 인식하여,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져 있는지를 판정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촬영 후의 처리에 대한 것이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안면 윤곽영역의 산출 등이 동일하게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도 32는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61)과, 이 입력화상(61) 중 안면의 윤곽위치(62)로부터의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63)을 특정하고, 이 개략 위치영역(63)으로부터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64, 65)을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3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32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단계(S111)에서, 재시도 횟수나 그 이외의 데이터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단계(S112)로 나아간다. 단계(S112)에서는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61)을 불러와서,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하고, 단계(S113)로 나아간다. 단계(S113)에서는 메인 메모리(23b)내의 입력화상(61)으로부터 머리 모양까지 포함한 안면의 윤곽위치(62)를 검출하고, 단계(S114)로 나아간다.
단계(S114)에서는 검출한 안면의 윤곽위치(62)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 단계(S115)로 나아가 에러처리를 실행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단계(S114)에서 규정 범위 내인 경우, 단계(S116)로 나아간다. 단계(S116)에서는 안면의 윤곽위치(62)로부터 그의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63)을 산출하고, 이 개략 위치영역(63)로부터 눈동자와 동일한 형상의 둥근 형상을 한 위치영역(64, 65)을 추출하고, 단계(S117)로 나아간다.
개략 위치영역(63)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안면의 윤곽영역에 대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하는 영역을 구해서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단계(S117)에서는 추출한 둥근 형상을 한 위치영역의 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수(2개) 이상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규정수에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져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단계(S118)로 나아간다. 단계(S118)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 시간(약 0.1초 정도)동안 대기한 후, 단계(S119)로 나아간다.
단계(S119)에서는 재시도 횟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규정치 이내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규정치 이내라면 단계(S120)로 나아간다. 단계(S120)에서는 재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단계(S112)로 되돌아간다. 즉, 재시도 횟수가 규정 횟수 이내라면, 규정 시간(약 0.1초 정도)동안 대기하고, 재시도로서 다시 안면화상을 입력시키기 위해 단계(S112)로 되돌아간다.
단계(S119)의 조사에서, 규정치 이상이라면 단계(S121)로 나아가 에러처리를 실행하고,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단계(S117)의 조사에서, 규정수를 충족한 경우는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져 있다고 판정하고, 단계(S122)로 나아간다. 단계(S122)에서는 추출한 각각의 위치영역(64, 65) 주변의 형상과,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눈동자의 표본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 정도가 가장 높은 추출 부위를 좌우 눈동자분으로 추출하고, 단계(S123)로 나아간다.
단계(S123)에서는 단계(S122)에서 추출한 가장 유사한 부위의 유사 정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임계치 이하라면, 단계(S119)로 나아가서, 전술한 동일한 재시도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조사 결과, 임계치 이상이라면, 정상으로 떠져 있는 눈동자 위치로 판정하고, 단계(S124)로 나아간다.
이 경우, 눈동자는 2군데이기 때문에, 표본 데이터는 좌우의 눈동자분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판정을 좌우 눈동자의 양 표본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실행하여, 좌우 양 눈동자의 상태를 인식한다.
단계(S124)에서는 단계(S112)에서 불러온 입력화상을 출력용으로 변환하여, 피촬영자(1)의 그 이외의 개인정보와 함께, 목적에 따라 CPU부(23)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31), 또는 네트워크 어댑터(33)로부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인쇄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기록매체(용지, 카드 등)에 인쇄 출력하거나, 상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화상 보존수단으로서의 화상 파일링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보존 출력하거나, 또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 또는 대용량 기억매체(25)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를 화상 보존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그에 대해 기억(보존 출력)한다. 이것으로 모든 처리가 종료된다.
또, 안면화상을 인쇄 출력할지 보존 출력할지는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좋고, 안면화상의 출력방법은 임의이다.
그런데, 피촬영자(1)를 촬영했을 때, 눈 깜박임 또는 눈을 감는 경우가 있는 경우, 단계(S116, S117)의 처리에서 판정하여 재시도 처리를 실행하면서, 눈동자가떠지기를 기다리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피촬영자(1)가 눈동자는 떠져 있지만, 옆을 보거나, 그 밖에 정면을 확실히 향하고 있지 않아 정상으로 뜬 눈동자가 아닌 경우, 단계(S122, S123)의 처리에서 판정하여, 정상으로 뜬 눈동자가 되기를 기다린다. 또, 단계(S122, S123)의 처리는 단계(S116, S117)의 처리에서 잘못 판정한 것에 대해서의 보정 처리로서도 동작한다. 또, 단계(S122, S123)의 처리는 단계(S116, S117)의 처리에서는 판정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너무 크게 뜬 눈동자(깜짝 놀란 눈동자)에 대해서도 작용하여 재시도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서는 피촬영자를 촬영했을 때, 눈동자(눈)가 떠진 상태인지의 여부를 인간계로 판정하여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인 경우에는 재촬영 등의 처리를 실행했다.
그런데 촬영 사이클이 수초 정도로 빠른 경우, 상기 인간계의 판정으로는 촬영시의 촬영장치의 조작자(촬영자)의 부하가 크고, 또 판정을 잘못할 확률도 높아진다.
특히, 판정을 잘못하여 촬영하고 인쇄 출력한 후, 잘못된 판정을 실행한 경우, 이미 그 자리에 없는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서 다시 촬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인쇄 출력하는데 따르는 출력 매체(용지 등)의 비용이 상당히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회피하고,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배제하여 항상 최량의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및 안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배제하여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제 5 실시형태로서, 복수 프레임이 연속된 수 코마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이 기억한 화상으로부터 하나의 화상을 촬영 결과로서 선택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4는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71)과, 이 입력화상(71) 중 안면 윤곽위치(72)로부터의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73)을 특정하고, 이 개략 위치영역(73)으로부터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74, 75)을 추출하여, 이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74, 75)의 중심위치(좌표)(76)로부터의 상대 위치에 의해 화상 오려내기 영역(77)을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5, 도 36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34를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본 장치의 촬영처리는 촬영자(조작자)(4)가 피촬영자(1)의 준비가 되는 것을 대기하고, 키보드(28) 내의 촬영버튼(28a)을 누르는 것에 의해 개시한다.
촬영처리의 개시에 의해, 우선, 단계(S131)에서, 재시도 횟수, 프레임 번호, 그 이외의 데이터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단계(S132)로 나아간다. 단계(S132)에서는 화상 불러오기 처리의 개시 지령을 출력하고, 단계(S133, 135)로 나아간다. 단계(S133)에서는 화상 불러오기 처리의 개시 지령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고, 단계(S134)로 나아간다.
단계(S134)에서는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71)을 프레임 번호 「0」에서 「n」까지 연속하여 불러와서, 복수 프레임의 연속화상(동화상)으로서 CPU부(23)내의 작업 메모리로서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한다. 이 불러오기 처리는 화상 불러오기 처리 개시 지령이 출력되는 사이에 실행된다. 즉, 프레임 번호 「0」에서 「n」까지의 화상을 불러오면, 화상 불러오기 처리 개시 지령의 출력이 정지된다.
한편, 단계(S135)에서는 상기 단계(S133, S134)의 처리와 병행하여 해당 프레임 번호(예를 들면, 프레임 번호 「0」, 단계(S131)에서 초기 설정된다)의 화상의 불러오기가 완료되는 것을 대기하고, 불러오기가 완료되면 단계(S136)로 나아간다. 단계(S136)에서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저장된 프레임 번호 「0」의 입력화상(71)으로부터 머리 모양까지 포함한 안면의 윤곽위치(72)를 검출하고, 단계(S137)로 나아간다.
단계(S137)에서는 검출한 안면의 윤곽위치(72)가 미리 설정되는 규정의 범위내인지 여부를 조사하고, 규정 범위 내가 아닌 경우, 단계(S138)로 나아가서 에러처리를 실행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규정 범위 내인 경우, 단계(S139)로 나아간다. 단계(S139)에서는 안면 윤곽위치(72)로부터 그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73)을 산출하고, 이 개략 위치영역(73)으로부터 양 눈동자와 같은형상의 둥근 형상을 한 위치영역(74, 75)을 추출하고, 단계(S140)로 나아간다.
상기 영역(73)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안면의 윤곽영역에 대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하는 영역을 구해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단계(S140)에서는 추출한 둥근 형상을 한 위치영역(74, 75)의 화상(눈동자)이 인쇄 출력에 적합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만약 이 화상이 눈 깜박임이나 눈을 감는 등의 인쇄 출력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단계(S141)로 나아간다.
단계(S141)에서는 재시도 횟수가 미리 설정되는 규정치 이내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규정치 이내라면 단계(S142)로 나아간다. 단계(S142)에서는 재시도 횟수 및 프레임 번호를 각각 증가시키고, 단계(S135)로 되돌아간다. 즉, 재시도 횟수가 규정 횟수 이내라면, 단계(S135)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프레임 번호 「1」의 화상에서 재시도를 실행하는 것이다.
단계(S11)의 조사에서, 재시도 횟수가 규정치 이상이면 단계(S143)로 나아가서 에러처리를 실행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단계(S140)의 조사에서, 화상에 눈 깜박임이나 눈을 감는 일 등이 없어서, 인쇄 출력에 적합한 상태인 경우, 단계(S144)로 나아간다. 단계(S144)에서는 단계(S139)에서 추출한 양 눈동자의 위치영역(74, 75)으로부터 이 위치영역(74, 75) 간의 중심위치(좌표)(76)를 산출하고, 이 중심위치(76)로부터의 상대 위치에 의해 화상 오려내기 영역(77)을 결정하고, 이 화상 오려내기 영역(77) 내의 화상을입력화상으로부터 오려내고, 단계(S145)로 나아간다.
이 영역(77)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좌우 양쪽의 눈동자 부위 간의 중심위치에 대한 화상 오려내기 영역을 구해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단계(S145)에서는 단계(S144)에서 오려낸 화상을 피촬영자(1)의 그 이외의 개인정보와 함께, 목적에 따라 LAN 카드(33)로부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인쇄부에서 기록 매체(용지, 카드)에 인쇄 출력하거나, 상기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파일링 기기 등의 보존 장치에 출력하거나, CPU(23a)내의 메인 메모리(23b)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억매체(25)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에 보존 출력하고, 단계(S146)로 나아간다. 단계(S146)에서는 프레임 번호 「n」의 화상 불러오기가 종료되는 것을 대기하고, 불러오기가 종료되면 단계(S147)로 나아간다.
단계(S147)에서는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 일시 저장된 n 프레임 분의 연속 화상을 백업 화상으로서 대용량 기억매체(25)에 보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45)에서의 인쇄 출력의 결과에서, 예를 들면 피촬영자(1)가 입을 벌리고 있고, 옆을 향해 있어서, 단계(S139, S140)의 처리에서 잘못 판정한 것 등이 원인이 되어 증명용 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이라고 촬영자(4)가 판단한 경우, 백업한 n 프레임분의 연속 화상으로부터 적합한 화상을 선택하여, 다시 출력한다. 이하, 이것에 대해 도 37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단계(S151)에 있어서, 촬영자(4)는 촬영시에 등록한 재출력 대칭의 조회번호를 키보드(28)에서 입력하는 것에 의해 단계(S152)로 나아가고, 그 조회번호에 대응하는 백업 화상을 대용량 기억매체(25)내에서 검색한다. 이 검색에 의해 해당하는 화상이 존재하지 않으면(S153), 단계(S154)로 나아가고, 해당 번호의 화상이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기(5)에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검색에 의해, 해당하는 화상이 존재한 경우(S153), 단계(S155)로 나아가서, 해당하는 백업 화상의 모든 프레임을 읽어내어 표시기(5)에 표시하고, 단계(S156)로 나아간다. 단계(S156)에서는 표시기(5)에 표시된 모든 프레임의 화상 중에서 촬영자(4)가 증명용 사진에 적합한 화상을 선택하고, 그 프레임 번호를 키보드(28)에서 입력하는 것에 의해 단계(S157)로 나아간다.
단계(S157)에서는 키보드(28)로부터 입력된 프레임 번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대용량 기억매체(25)내에서 검색하여 읽어내고, 이 읽어낸 화상을 단계(S15)와 동일한 처리로 인쇄 출력하여 재출력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종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피촬영자를 촬영했을 때, 정상적인 화상인지 여부를 인간계로 판정하여,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인 경우에는 재촬영 등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촬영 사이클이 수초 정도로 빠른 경우, 상기 인간계의 판정으로는 촬영시의 촬영장치의 조작자(촬영자)의 부하가 크고, 또 판정을 잘못할 확률도 높아진다.
특히, 판정을 잘못하여 촬영하여 인쇄 출력한 후, 잘못된 판정을 실행한 경우, 이미 그 자리에는 없는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서 다시 촬영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인쇄 출력하는데 따른 출력 매체(용지 등)의 비용이 상당히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회피하고, 불량 화상촬영을 실행한다고 해도,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서 다시 촬영하지 않고, 양질의 화상을 재출력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재출력 처리 프로그램은, 본 장치 내에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했는데, 본 장치와 네트워크 어댑터(33)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32)상에 접속된 재출력 처리전용의 단말장치에 설치해도 좋다.
또, 대용량 기억매체(25)에 백업 기억한 n 프레임분의 연속 화상은 예를 들면 별도의 동일 네트워크 상에 설치된 증명용 사진 발행 관리 시스템에서 발행 완료된 정보를 얻는 것에 의해 소거되도록 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에, 제 6 실시형태로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에서의 기준 위치로서의 미간의 위치를 클릭하는데 기초하여 안면화상을 추출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8은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81)과, 이 입력화상(81) 중의 안면 중심으로서의 미간(83)의 좌표를 기준으로 눈동자가 존재할 영역(82)을 추출하고, 또 출력사진 크기의 화상영역(84)을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9, 도 40, 도 41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38을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촬영 버튼(28a) 대신에 표시화상 중 안면의 미간부분을 클릭하면 촬영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S161)에서,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81)을 불러오고, 단계(S162)로 나아간다. 단계(S162)에서는 이 입력화상(81)이 비디오 액셀러레이터부(22)를 경유하여 표시기(5)에 의해 표시되고, 단계(S163)로 나아간다. 단계(S163)에서는 마우스(29)로부터 클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클릭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다시 S1으로 되돌아간다. 즉, 클릭하지 않은 경우는 동화상에 가까운 상태로 표시기(5)의 표시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S163)에서 클릭했다고 판정한 경우, 도 40에서 설명하는 판정처리(S164) 및 도 41에서 설명하는 화상출력처리(S165)를 실행하고, S161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S164)는 마우스(29)에 의한 클릭이 있는 경우에 눈을 감는 일 등이 없는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로서, 도 4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S171)에서, 재시도 횟수나 그 이외의 데이터의 초기화를 실행하고, 단계(S172)로 나아간다. 단계(S172)에서는 상기 카메라(3)로부터 불러온 입력화상(81)은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에서의 재시도 횟수에 상당하는 버퍼 번호에 일시 저장되고, 단계(S173)로 나아간다.
단계(S173)에서는 상기 N번째의 화상 버퍼에서의 화상 상의 마우스(29)로 클릭된 미간의 좌표(83)를 기준으로, 눈동자가 존재할 영역(82)을 산출하고, 단계(S174)로 나아간다. 즉, 미간의 위치의 좌표(83)로부터 그 상대 위치인 눈동자(눈)의 개략 위치영역(82)을 산출한다. 단계(S174)에서는 영역(82) 중에서 눈동자와 동일한 형상의 둥근 형상을 한 위치영역(84, 85)을 추출하고, 단계(S175)로 나아간다.
상기 영역(82)은 예를 들면 수백명의 안면화상 데이터에서의 미간의 위치 좌표에 대한 양 눈동자가 반드시 존재하는 영역을 구해 평균화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한 것이다.
단계(S175)에서는 추출한 둥근 형상을 한 위치영역의 수가 미리 설정된 규정수(2개) 이상인지의 여부를 점검하여, 규정수에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눈동자가 정상으로 떠지지 않았다고(피촬영자(1)를 촬영한 때에 눈을 깜박이거나 또는 눈을 감았다고) 판정하고, 단계(S176)로 나아간다.
단계(S176)에서는 재시도 횟수가 이미 설정된 규정치 이내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규정치 이내이면 단계(S177)로 나아간다. 단계(S177)에서는 미리 설정된 규정 시간(약 0.1초 정도) 동안 대기한 후, 단계(S178)로 나아간다.
단계(S178)에서는 재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단계(S172)로 되돌아간다. 즉, 재시도 횟수가 규정 횟수 이내이면, 규정 시간(약 0.1초 정도)동안 대기하고, 재시도로서 다시 안면화상을 입력시키기 위해 단계(S172)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만약 피촬영자(1)를 촬영했을 때 눈을 깜박이거나 또는 눈을 감은 경우, 단계(S175)의 처리에서 판정하여 재시도를 실행하면서, 눈을 뜨기를 기다리는 것을 실행한다.
만약 피촬영자가 눈은 떠있지만 옆을 보거나, 그 밖에 정면을 확실히 향하고 있지 않아 정상적으로 뜬 눈이 아닌 경우는 단계(S177)의 처리에서 판정하여, 정상으로 뜬 눈이 되는 것을 기다린다. 또, 단계(S177)의 처리를 단계(S175)의 처리에서 잘못 판정한 것에 대한 보정 처리로서도 동작한다.
또, 단계(S177)의 처리는 단계(S175)의 처리에서는 판정할 수 없는 비정상적으로 크게 떠진 눈(깜짝 놀란 눈)에 대해서도 작용하여 재시도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76)의 조사에서 규정치 이상이면 단계(S177)로 나아가서 에러처리를 실행하고,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단계(S175)의 조사에서 규정수를 충족한 경우는 눈동자가 정상적으로 떠 있다고 판정하고, 단계(S178)로 나아간다. 단계(S178)에서는 추출한 각각의 위치영역(84, 85) 주변의 형상과, CPU부(23)내의 메인 메모리(23b)의 상기 N 번째의 화상 버퍼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눈동자의 표본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 정도가 가장 높은 추출 부위를 좌우 눈동자분으로 추출하고, 단계(S179)로 나아간다.
단계(S179)에서는 단계(S178)에서 추출한 가장 유사한 부위의 유사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임계치 이하이면, 단계(S176)로 나아가서 상기와 동일한 재시도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조사 결과, 임계치 이상이라면, 정상적으로 뜬 눈동자 위치로 판정하여 단계(S165)의 화상 출력처리로 나아간다.
이 경우, 눈동자는 2군데이기 때문에, 표본 데이터는 좌우의 눈동자분이 준비되어 있어서, 상기 판정을 좌우 눈동자의 양 표본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실행하고, 좌우 양 눈동자의 상태를 인식한다.
다음에, 상기 판정처리 후의 상기 단계(S165)의 화상 출력처리를 도 4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S181)에서는 직전의 판정 처리 결과가 에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결과, 에러인 경우 버퍼 번호를 「0」, 즉 촬영 클릭이 실행된 타이밍에 가장 가까운 화상을 기록하고 있는 화상 버퍼를 선택하고(단계(S182)), 단계(S183)로 나아간다.
또, 상기 단계(S181)에서, 직전의 판정처리가 에러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현재 등록되어 있는 버퍼 번호의 화상버퍼를 선택하고, 단계(S183)로 나아간다.
단계(S183)에서는 단계(S181) 또는 단계(S182)에서 선택한 화상버퍼의 화상에 대해, 클릭된 좌표를 기준으로 출력 사이즈의 화상영역(84)을 오려내고, 단계(S184)로 나아간다.
단계(S184)에서는 오려낸 화상에 대해 필요하다면 압축처리를 하여, 대용량 기억매체(25)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에 확보하거나, 네트워크 어댑터(33)를 경유하여 네트워크(32)상의 도시하지 않은 인쇄기나 파일링 기기에 출력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마우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터치 패널에 의해 화면을 직접 클릭하는 방법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을 촬영하고나서 출력하기까지의 공정은 촬영버튼 누름, 안면이 포함되는 광범위한 화상 불러오기, 그 화상을 보존 매체에 확보, 확보한 화상 중의 안면 주변을 트리밍하고, 오려낸 부분을 출력한다.
이 때문에, 촬영의 조작공정이 길고 복잡하여, 촬영하고나서 출력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에 대해 상술한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회피하고,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했을 때, 촬영화상을 트리밍하는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표시화면 상의 안면의 위치를 나타냄으로써,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배제하여,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에 제 7 실시형태로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하고, 이 모니터 표시에 기초하여 화상의 불러오기가 지시되었을 때에, 이 지시의 직전에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던 화상을 채용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2는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91)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43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 및 도 33을 참조하여 본 장치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CPU부(23)내의 CPU(23a)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촬영 버튼(28a)의 누름에 기초하여, 이 누르기 직전의 모니터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단계(S191)에서, 비디오 캡처부(21)를 통해 카메라(3)로부터의 입력화상(안면화상)(91)을 불러오고, 이 입력화상(91)이 비디오 액셀러레이터부(22)를 경유하여, CPU부(23)의 메인 메모리(23a)의 버퍼부에 기록되고, 단계(S192)로 나아간다. 단계(S192)에서는 이 입력화상(91)이 표시기(5)에 의해 표시되고, 단계(S193)로 나아간다. 단계(S193)에서는 키보드(28)의 촬영버튼(28a)의 누름을 판정하고, 촬영버튼(28a)의 누름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다시 단계(S191)로 되돌아간다. 즉, 촬영버튼(28a)의 누름이 없었던 경우는 동화상에 가까운 상태로 표시기(5)의 표시가 실행된다. 또, 메인 메모리(23a)의 버퍼부에 현재의 촬영화상보다 이전의 화상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단계(S193)에서 촬영버튼(28a)의 누름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버퍼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촬영버튼(28a)의 누름이 실행될 때에 표시기(5)에서 표시된 화상이 촬영화상으로서 판정된다(단계(S194)). 이 촬영화상으로 판정한 화상을 대용량 기억매체(25)나 운반 가능한 기억매체(26)에 확보하거나, 네트워크 어댑터(33)를 경유하고 네트워크(32)상의 도시하지 않은 인쇄기나 파일링 기기에 출력한다(단계(S195)).
따라서, 종래의 안면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촬영화상의 모니터를 보면서, 촬영화상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촬영버튼을 누르고, 촬영버튼을 누른 신호(타이밍)에서 화상을 불러오고, 불러온 화상을 촬영화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적정한 화상으로 판단한 모니터의 화상과, 촬영화상으로서 불러온 화상 사이에는 촬영버튼을 누르는데 걸리는 시간, 화상을 불러오기 위해 필요한 시간 등의 시간적인 어긋남이 생기므로, 적합하다고 판단한 화상과는 시간적으로 늦어진 다른 화상을 불러오는 결과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판단한 적정한 화상이라는 것은 크게 다른 화상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다시 촬영을 고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제 7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회피하고,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화상의 모니터 표시를 확인할 때에, 확인지시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모니터 화면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상황을 안내할 수 있고, 촬영신청자의 촬영대기행렬이 정체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했을 때, 입력한 안면화상의 안면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출력화상의 안면크기가 항상 균일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주밍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계의 판정 등을 수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피촬영자의 촬영 가능 상태를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배제하여,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 화상 촬영을 실행했어도 피촬영자를 다시 불러 다시 촬영하지 않고, 양질의 화상을 재출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했을 때, 촬영화상을 트리밍하는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표시화면 상의 안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눈을 감는 등의 출력사진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배제하여,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고, 이 촬영화상의 모니터 표시를 확인할 때에 확인의 지시가 이루어지기 직전의 모니터 화면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항상 최량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Claims (8)

  1.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화상이 촬영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가능 상태의 인식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화상이 촬영 가능 상태에 있다고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된 안면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2.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복수회 촬영하여 복수의 화상으로서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불러온 복수의 화상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 중 적어도 눈과 입의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가능 상태의 인식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불러온 복수의 화상 가운데 출력에 최적인 소정의 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3.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수단의 출력에 의해 피촬영자가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 범위 내에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피촬영자가 검출되면, 이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준비를 촉구하기 위한 안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후,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가능 상태의 인식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단계가,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 것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안면화상의 촬영 및 상기 촬영 가능 상태의 인식을 다시 실행하는 재시도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방법.
  5.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화상이 촬영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화상이 촬영 가능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한데 기초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장치.
  6.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복수회 촬영하여 복수의 화상으로서 불러오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불러온 복수의 화상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의 안면 중 적어도 눈과 입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데 기초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불러온 복수의 화상 가운데 출력에 최적인 소정의 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장치.
  7. 피촬영자의 적어도 안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출력에 의해 피촬영자가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피촬영자 검출수단과,
    상기 피촬영자 검출수단에 의해 피촬영자가 검출되면, 이 피촬영자에 대해 촬영준비를 촉구하기 위한 안내를 실행하는 촬영 안내수단과,
    상기 촬영 안내수단에 의한 안내 후,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으로부터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과,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데기초하여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안면화상을 촬영화상으로서 선정하는 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피촬영자가 촬영 가능 상태인 것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촬영수단에 의한 안면화상의 촬영 및 상기 인식수단에 의한 촬영 가능 상태의 인식을 다시 실행하는 재시도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화상 촬영장치.
KR10-2002-0051122A 1999-09-14 2002-08-28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KR100408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60705 1999-09-14
JP26070599A JP4316063B2 (ja) 1999-01-14 1999-09-14 顔画像撮影方法および顔画像撮影装置
JP33661099 1999-11-26
JPJP-P-1999-00336609 1999-11-26
JPJP-P-1999-00336610 1999-11-26
JP33661199 1999-11-26
JPJP-P-1999-00336611 1999-11-26
JP33660999 1999-11-26
JP2000194740A JP2001215605A (ja) 1999-11-26 2000-06-28 顔画像撮影装置および顔画像撮影方法
JPJP-P-2000-00194740 2000-06-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12A Division KR100522514B1 (ko) 1999-09-14 2000-07-13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115A KR20020073115A (ko) 2002-09-19
KR100408365B1 true KR100408365B1 (ko) 2003-12-03

Family

ID=275303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12A KR100522514B1 (ko) 1999-09-14 2000-07-13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KR10-2002-0051123A KR100408366B1 (ko) 1999-09-14 2002-08-28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KR10-2002-0051122A KR100408365B1 (ko) 1999-09-14 2002-08-28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12A KR100522514B1 (ko) 1999-09-14 2000-07-13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KR10-2002-0051123A KR100408366B1 (ko) 1999-09-14 2002-08-28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6483993B1 (ko)
EP (3) EP1085366B1 (ko)
KR (3) KR100522514B1 (ko)
CN (1) CN1288174A (ko)
DE (3) DE6004504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2865A (ja) * 1999-07-06 2001-01-2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4299410B2 (ja) * 1999-09-28 2009-07-22 Hoya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の記録動作制御装置
JP2002175538A (ja) * 2000-12-08 200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似顔絵生成装置及び似顔絵生成方法及び似顔絵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通信用端末及び通信用端末による通信方法
CA2359269A1 (en) * 2001-10-17 2003-04-17 Biodentity Systems Corporation Face imaging system for recordal and automated identity confirmation
WO2004036900A1 (ja) * 2002-08-30 2004-04-29 Sony Corporation 画像抽出装置及び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並びに撮像装置
US7804982B2 (en) 2002-11-26 2010-09-28 L-1 Secure Credential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detecting fraud in image databases used with identification documents
JP2004294498A (ja) * 2003-03-25 2004-10-21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撮影システム
ATE491190T1 (de) 2003-04-16 2010-12-15 L 1 Secure Credentialing Inc Dreidimensionale datenspeicherung
US7792335B2 (en) * 2006-02-24 2010-09-07 Fotonation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disqualification of digital images
US20050010595A1 (en) * 2003-07-11 2005-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an identification mechanism and type information configuration process for a real-time data feed to a database
US20050117802A1 (en) * 2003-09-09 2005-06-02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US7646425B2 (en) * 2003-09-15 2010-01-12 L-I Secure Credentialing, Inc. Multifunction all in one capture station for creating identification documents
GB2407635B (en) * 2003-10-31 2006-07-1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mera control
WO2005071614A1 (ja) * 2004-01-27 2005-08-04 Seiko Epson Corporation 人物顔の検出位置ずれ補正方法及び補正システム並びに補正プログラム
US20050168592A1 (en) * 2004-01-30 2005-08-04 Demoor Robert 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nformal image with a digital camera
WO2005106900A2 (en) * 2004-04-22 2005-11-10 Digimarc Corporation Multifunction all in one capture station for creating identification documents
US7430369B2 (en) 2004-08-16 2008-09-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115406A (ja) * 2004-10-18 2006-04-27 Omron Corp 撮像装置
US20060120357A1 (en) * 2004-12-03 2006-06-08 Canon Kabushiki Kaisha Programming circuit,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0608596B1 (ko) * 2004-12-28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 촬영 기기 및영상 촬영 방법
CN100358340C (zh) * 2005-01-05 2007-12-26 张健 可选择最佳拍照时机的数码相机
US7742079B2 (en) * 2005-02-07 2010-06-22 Sony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functions
JP2007020122A (ja) * 2005-07-11 2007-01-2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50520B2 (ja) * 2005-09-21 2011-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人物画像補正装置および方法
US7697827B2 (en) 2005-10-17 2010-04-13 Konicek Jeffrey C User-friendlier interfaces for a camera
US7804983B2 (en) * 2006-02-24 2010-09-28 Fotonation Vision Limited Digital image acquisition control and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4127296B2 (ja) * 2006-06-09 2008-07-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83339B2 (ja) * 2006-07-25 2011-05-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トリミング装置
JP4289415B2 (ja) * 2007-03-27 2009-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変形のための画像処理
JP5045212B2 (ja) * 2007-04-25 2012-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顔画像撮像装置
JP5169139B2 (ja) * 2007-10-25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および画像記録プログラム
CN101216883B (zh) * 2007-12-29 2010-11-10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照相方法及照相装置
JP5251547B2 (ja) * 2008-06-06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102008031697B4 (de) 2008-07-04 2023-08-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bjektidentifikation
KR20100027700A (ko) * 2008-09-03 2010-03-11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촬영 방법 및 장치
KR20100064873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32455B2 (en) * 2008-12-31 2013-04-30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ally taking photos of oneself
JP5456159B2 (ja) 2009-05-29 2014-03-26 デジタルオプティッ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ヨーロッパ・リミテッド 背景から前景の頭頂部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683851B2 (ja) * 2009-08-20 2015-03-11 株式会社ザクティ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8233785B1 (en) * 2009-09-16 2012-07-31 Lifetouch Inc. Photography station
US9256776B2 (en) 2009-11-18 2016-02-09 AI Cur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US8605165B2 (en) 2010-10-06 2013-12-10 Ai Cure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onitoring of medication adherence
US8666781B2 (en) 2009-12-23 2014-03-04 Ai Cur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clinical trials
US20110153360A1 (en) 2009-12-23 2011-06-23 Al Cur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Clinical Trial Adherence
US9183601B2 (en) * 2010-03-22 2015-11-10 Ai Cur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of protocol adherence data
US20110119073A1 (en) 2009-11-18 2011-05-19 Al Cur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US10762172B2 (en) 2010-10-05 2020-09-01 Ai Cure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 confirmation and tracking
US9293060B2 (en) 2010-05-06 2016-03-22 Ai Cure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patient activities when obtaining protocol adherence data
JP5565041B2 (ja) 2010-03-30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875666B2 (en) 2010-05-06 2018-01-23 Aic Innovations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patient activities
US9883786B2 (en) 2010-05-06 2018-02-06 Aic Innovation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tion of inhaler actuation
US10116903B2 (en) 2010-05-06 2018-10-30 Aic Innovations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suspicious activities
US8971628B2 (en) 2010-07-26 2015-03-03 Fotonation Limited Face detection using division-generated haar-like features for illumination invariance
KR101629324B1 (ko) * 2010-11-11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와 복수 개의 이종 이미지 센서 그리고 그 제어방법
US9665767B2 (en) 2011-02-28 2017-05-30 Aic Innovation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ttern tracking
US9116553B2 (en) 2011-02-28 2015-08-25 AI Cur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rmation of object positioning
US10558845B2 (en) 2011-08-21 2020-02-11 Aic Innovations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edication location
JP2013153375A (ja) * 2012-01-26 2013-08-0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9399111B1 (en) 2013-03-15 2016-07-26 Aic Innovation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motional behavior therapy
US9317916B1 (en) 2013-04-12 2016-04-19 Aic Innovations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indicator
US9436851B1 (en) 2013-05-07 2016-09-06 Aic Innovations Group, Inc. Geometric encrypted coded image
US9824297B1 (en) 2013-10-02 2017-11-21 Aic Innovation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tion identification
CN103716539A (zh) * 2013-12-16 2014-04-0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和设备
US9679113B2 (en) 2014-06-11 2017-06-13 Aic Innovations Group, Inc.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5550631B (zh) * 2015-08-25 2019-03-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虹膜图像采集方法及装置
CN105394954A (zh) * 2015-12-28 2016-03-16 天津易美汇信息技术有限公司 具备多视角美容效果观测功能的美容椅
CN106250426A (zh) * 2016-07-25 2016-12-21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照片处理方法和终端
US9843795B1 (en) * 2016-08-23 2017-12-12 Social Flash Media, Inc. Photo booth with integrated self-diagnostic systems
WO2019060367A1 (en) 2017-09-19 2019-03-28 Adam Hanina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USPECT ACTIVITIES
CN114845048B (zh) * 2022-04-06 2024-01-19 福建天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拍照方法及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838A (ko) * 1995-12-29 1997-07-31 배순훈 무인 자동 카메라 감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7724A (en) * 1979-01-24 1981-10-27 Dainippon Screen Seiz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machine for trying on a hair form in image
US4299464A (en) * 1980-08-04 1981-11-1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eye closures during photographing of a human subject
JPS61255331A (ja) * 1985-05-08 1986-11-13 Takara Belmont Co Ltd 顔面写真撮影装置
FR2665812A1 (fr) * 1990-08-09 1992-02-14 Fbi Sarl Cabine automatique de prise et de developpement de photos et procede de mise en óoeuvre par cette cabine.
EP0485293B1 (en) * 1990-11-08 1999-04-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US6049674A (en) * 1992-08-24 2000-04-11 Fuji Photo Film Co., Ltd. Self-photography apparatus for making identification photograph
US5835641A (en) * 1992-10-14 1998-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for detecting and enlarging registered objects
JP3399995B2 (ja) * 1992-11-07 2003-04-2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追尾方法及び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US5615398A (en) * 1993-11-08 1997-03-2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with image area sensors for controlling lens focal length
CA2119112A1 (en) * 1994-03-15 1995-09-16 Ronald Cooper Reid Booth for recording video images
JPH10508705A (ja) * 1994-11-03 1998-08-25 ジプコ ソチエタ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テ 感光媒体に電子像を取得し且つ印刷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6172706B1 (en) * 1995-04-19 2001-01-09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camera with automatic zoom adjustment based on distance between user's eyes
JPH08294036A (ja) * 1995-04-19 1996-11-05 Canon Inc 自動ズーム付きビデオカメラ
JP3452685B2 (ja) * 1995-05-10 2003-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顔画像の処理装置
EP0756251A3 (en) * 1995-07-26 1998-04-22 Sony Corporation Video photography system
JP3350296B2 (ja) * 1995-07-28 2002-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顔画像処理装置
JPH09135447A (ja) * 1995-11-07 1997-05-20 Tsushin Hoso Kiko 知的符号化/復号方法、特徴点表示方法およびインタラクティブ知的符号化支援装置
KR970069679A (ko) * 1996-04-26 1997-11-07 배순훈 졸음운전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028960A (en) * 1996-09-20 2000-02-22 Lucent Technologies Inc. Face feature analysis for automatic lipreading and character animation
JP3477047B2 (ja) * 1997-10-02 2003-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網膜反射像を利用したまばたき検出顔画像処理装置
US5839000A (en) * 1997-11-10 1998-11-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utomatic zoom magnification control using detection of eyelid condition
US6339985B1 (en) * 1998-02-03 2002-01-22 Robert R. Whitney Coffee maker
US6298145B1 (en) * 1999-01-19 2001-10-02 Hewlett-Packard Company Extracting image frames suitable for printing and visual presentation from the compressed image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838A (ko) * 1995-12-29 1997-07-31 배순훈 무인 자동 카메라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13439B2 (en) 2004-11-02
DE60013717T2 (de) 2005-09-29
KR20020073116A (ko) 2002-09-19
EP1085366B1 (en) 2004-09-15
CN1288174A (zh) 2001-03-21
US20040105672A1 (en) 2004-06-03
EP1085366A3 (en) 2002-01-16
DE60013717D1 (de) 2004-10-21
KR100408366B1 (ko) 2003-12-03
EP1380884B1 (en) 2010-09-29
US6829432B2 (en) 2004-12-07
EP1380884A3 (en) 2006-02-01
DE60045263D1 (de) 2010-12-30
US20030026605A1 (en) 2003-02-06
EP1376216A2 (en) 2004-01-02
US6483993B1 (en) 2002-11-19
US6636694B1 (en) 2003-10-21
KR20010029936A (ko) 2001-04-16
EP1376216A3 (en) 2006-02-01
KR20020073115A (ko) 2002-09-19
KR100522514B1 (ko) 2005-10-18
DE60045044D1 (de) 2010-11-11
EP1376216B1 (en) 2010-11-17
EP1380884A2 (en) 2004-01-14
EP1085366A2 (en)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365B1 (ko) 안면화상 촬영장치 및 안면화상 촬영방법
JP5276111B2 (ja) セルフ撮影の際に顔の構図を決定できるようにサポー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0113199A (ja) 眼の位置を判断する方法
JP2006115406A (ja) 撮像装置
KR20100048600A (ko) 인물 구도 제안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GB2343945A (en) Photographing or recognising a face
CN102469262A (zh) 图像处理装置
JP4762324B2 (ja) 顔画像撮影装置および顔画像撮影方法
JP202012330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こ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215605A (ja) 顔画像撮影装置および顔画像撮影方法
TW46645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recognizing a face
CN110826487B (zh) 一种人脸表情数据采集方法
JP2005045601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0454978C (zh) 摄像装置以及控制显示装置和摄像装置的方法
JP2009205203A (ja) 虹彩認証装置
JP4091184B2 (ja) 撮影機と画像生成方法
JP2000292853A (ja) 顔画像撮影方法および顔画像撮影装置
KR102531626B1 (ko) 인공지능에 의한 임상이미지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JP4357951B2 (ja) 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証明用媒体発行システム
US20240000307A1 (en) Photography support device, image-capt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e-capturing device
CN111183389B (zh) 用于通过人工识别来确定光学设备的配适参数的方法和系统
KR20230133701A (ko) 랜드마크를 이용한 내시경 자동촬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454841B2 (ja) 顔画像撮影装置および顔画像撮影方法
JP2007305167A (ja) 画像生成方法と画像処理装置
JP2001177740A (ja) 人物画像撮影方法および人物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