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155B1 -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그룹으로 배정할수 있는 멀티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그룹으로 배정할수 있는 멀티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155B1
KR100393155B1 KR1019950000334A KR19950000334A KR100393155B1 KR 100393155 B1 KR100393155 B1 KR 100393155B1 KR 1019950000334 A KR1019950000334 A KR 1019950000334A KR 19950000334 A KR19950000334 A KR 19950000334A KR 100393155 B1 KR100393155 B1 KR 100393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loors
car
floor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52A (ko
Inventor
조오지프비타아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95003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저층용 그룹의 층들과 고층용 그룹의 층들 및 저층용 또는 고층용으로 동작하도록 자신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카 호출버튼 및 도어를 가진 스윙카를 구비한다. 상기 스윙카는 그 부담에 따라 한층 그룹 또는 다른 층그룹에 제어될 수 있으며, 엘리에이터 시스템내의 각종 운행 특성에 응답하여 다른층 그룹에서의 호출을 또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윙하는 항상 저층구간의 로비에 배정되지만 고층구간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하여 고층그룹으로 진행한다. 스윙카는 저층구간에서 고부담이 있거나 하측호출이 장시간 대기하고 있으면, 또는 카가 매우 경량 부하를 가질때 저층구간에서의 하측호출을 수용할 수 있다. 야간 및 주말에는 전용카를 폐쇄하고 스윙카만을 사용한다. 야간 및 주말에는 저층용 및 고층용 스윙카에 의해 서빙되는 단일시스템으로 효과적으로 합병될 수 있어서 경량운행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그룹으로 배정할 수 있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엘리베이터 급송 그룹내에 있는 엘리베이터 스윙카들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난 반세기동안 엘리베이터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 방법들 중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 4,363,381호, 4,815,568호 및 5,024,295호에 개시된 관련 시스템 응답 급송기와 같이 홀 호출에 어떤 엘리베이터가 카를 응답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방법들 중에는 구획나누기(zoning) 및 경로형성(channeling)을 포함한 피크기 급송(peak period dispatching)과 관련된 것이 있는데, 그중 일부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92,019 및 4,838,3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들을 보다 더 개선하기 위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 5,022,497호에서와 같은 각종 형태의 운행 예상견적이 사용되어 왔다. 시스템들은 인공지능, 퍼지로직등 여러가지로 명명되는 기술의 개발과 함께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상기의 모든것은 한 그룹내의 엘리베이터들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고층 빌딩(예컨대 20층 이상)에서의 운행을 보다 효율성 있게 하기 위하여 빌딩에는 몇가지 엘리베이터 그룹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그중 한 그룹은 저층에서만 운행가능하고 다른 그룹은 고층에서만 운행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그룹들은 "저층용"과 "고층용"이라고 한다.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07/887,946호(이하, 모 출원이라 함)에 있어서는 저층용 및 고층용(또는 저층과 중간층, 중간층과 고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윙카들은 운행 종료시마다 각각의 스윙카를 다른 그룹에 배정할 가능성을 갖고서 매주기 단위로 최고의 운전부하를 갖는 그룹(저층 또는 고층)과 관련된 그룹제어기에 선택적으로 배정된다. 이 시스템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층에 관계없이 이용자들은 그들이 이송되어질 로비서비스 복도에 관여하지 않고 따라서 로비보다 윗층에서 승객들이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했던 제어하의 그룹이외의 그룹의 로비서비스 복도에 이송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시스템에서, 한 그룹(예컨대 저층용)에 전용으로 된 로비서비스 복도에 위치된엘리베이터카는 제 2의 그룹(예컨대 고층)에 전용으로 된 로비서비스복도에도 또한 위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스윙카는 엘리베이터카와 2개의 별도의 로비서비스복도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서 승객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양측의 도어를 구비하고, 현재의 구동중에 배정되어진 층의 세트에 관여함이 없이 현재의 구동의 마지막 즈음에 로비층에 접근할때 다음 구동목적지로 배정된 층의 세트와 관련된 로비서비스복도 쪽으로 열려진다. 정상동작시에 각각의 스윙카는 당해 스윙카가 구동을 종료하고 로비충에 접근할때마다 한세트의 층과 관련된 그룹제어기에 배정된다. 엘리베이터가 배정되는 때의 어떤 기간에서도 엘리베이터는 그룹들중 어느하나에 배정될 수 있고 그 그룹을 보조할 수 있다. 수 분이내에 그 자신 또는 상대 스웡카는 다른 그룹을 보조하도록 다른 그룹에 배정될 수 있다. 수 분이내에 엘리베이터는 제 2그룹에 재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제 1그룹에 재배정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결정이 주기적인 구동회수 기초로 반전될 수 있기때문에 허위결정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일단 엘리베이터가 어떤 그룹에 배정되면 그 엘리베이터는 당해 그룹의 로직에 단순히 부가되어지며 그 그룹내의 다른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형태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모출원의 시스테에서 한가지 층 그룹 또는 다른 그룹(여기에서는 저층용과 고층용)에 대한 배정은 엘리베이터가 각 구동의 종료즈음에 로비층에 접근할때에만 행하여진다. 만일 엘리베이터카가 그 수요를 모두 충족시켰으면(즉, 홀 호출이나 카 호출이 없으면) 엘리베이터는 그 운행레벨이 얼마나 과중했던지에 관계없이, 그리고 최대수요가 로비에서 있는지 또는 그 상층에서 있는지에 관계없이 로비로 복귀하여 저층용 또는 고층용으로의 배정결정을 받아야 한다. 이것은 상측 피크기간의 경우에 낭비적인 요인이 된다. 또, 상기 시스템은 상향으로의 운행을 계속하고 고층에서의 홀 호출에 응답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저층용으로 배정할 수 없다. 고층에 있는 엘리베이터가 극히 가벼운 하중으로 로비로 복귀할때마다 (예컨대 사무소빌딩에서 심야에) 엘리베이터는 하강중에 1 또는 2인의 승객을 픽업할 기회를 상실한다. 물론, 모든 엘리베이터가 고층용 및 저층용으로 함께 사용된다면 저층용과 고층용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단순히 옛날의 단일 운행시스템으로의 복귀인데 매우 높은 빌딩에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불편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엘리베이터 그룹에 의해 서빙되는 고층용층 및 저층용층을 가지며 저층용 그룹 또는 고층용그룹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사용을 개선하고, 그러한 시스템내의 스윙카를 로비층에의 접근을 요구함이 없이 한 그룹 또는 다른 그룹에 재배정할 수 있게 하며, 저층용 및 고층용에서 스윙카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하여 엘리베이터 응답 및 엘리베이터 서비스기간을 절감하고, 스윙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는, 고층빌딩의 상부층에 있는 승객들에게 적절한 서비를 제공하기 위하여 로비에서 고층용 층의 최하층까지 및 고층용층의 최하층으로 부터 로비까지 급속한 구동이 요구된다 하더라도 저층용의 범위내에서 상측방향으로의 호출에 서비스하는 스윙카가 그후에 고층용의 범위내에서 상측방향으로의 호출에 서비스하고 정상적인 형태로 고층용에서의 어떠한 호출에 대한 서비를 종료하도록 하지못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에서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고층용의 최저층과 로비사이에서의 급속한 구동이 야간이나 주말과 같이 극히 가벼운 운행기간중에 저층용에서의 하나 또는 두개의 홀 호출정지를 수용할 수 있다는 유사한 관념에서 비롯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스윙카의 수요가 전혀 없을때 스윙카는 로비로 먼저 복귀함이 없이 저층구간 또는 고층구간에서의 수용에 응답하게 함으로써 가장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쉽게 재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카는 두세트의 도어를 구비하는데, 그중 한 세트는 저층용 복도로의 통행을 제공하고 다른 한 세트는 고층용 복도로의 통행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그룹이 도움을 필요로 할때 마다 저층용그룹과 고층용 그룹모두에 동시에 배정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그룹에 배정된 스윙카는 스윙카가 매우 경량부하일때 다른 그룹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카가 어느 한 그룹에서 동작할때 시스템의 운행흐름을 비정상적으로 방해함이 없이 다른 그룹의 홀호출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저층용 및 고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윙카를 가진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에너지가 절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쟁적인 운전부하를 낮춤으로써 양 그룹에 대한 동시배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층용 및 고층용 모두에서 로비부하와 비로비부하가 개별적으로 감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카는 수요가 없을때(서비스할 홀호출 또는 카호출이 없을때)마다 임의 그룹에서의 홀 호출에 직접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그룹에 배정된 스윙카는 호출에 대한 배정이 제 1그룹에서 과도한 홀 호출지연을 야기하지 않는다면 다른 그룹의 홀 호출에 또한 배정될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윙카가 로비층에 접근할 때마다 저층용 로비서비스복도용의 홀랜턴이 작동하고 스윙카는 저층용 및 고층용으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되며 저층용 및 고층용의 모두에서 그 스윙카에 배정된 홀 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윙카가 고층구간에서 하향으로 이동할때 만일 장시간 대기하고 있는 저층구간에서의 하향 홀호출이 있거나 저층구간에서의 고부하가 있거나 또는 스윙카에서의 부하가 극히 적다면 저층용 구간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윙카가 로비층에 접근할때마다 저층용 로비서비스 복도용의 홀랜턴이 작동하고 스윙카는 저층용 및 고층용으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되며 저층용 및 고층용의 모두에서 그 스윙카에 배정된 홀 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윙카가 고층구간에서 하향으로 이동할때 만일 장시간 대기하고 있는 저층구간에서의 하향 홀호출이 있거나 저층구간에서의 고부하가 있거나 또는 스윙카에서의 부하가 극히 적다면 저층용 구간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층용 구간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스윙하는 저층용구간이 극히 긴시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향 홀호출을 갖고 있지 않는 한 그 위로의 상승을 제어하는 그룹에 의한 홀호출에 배정된다. 이 경우에 상향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는 현재 운행중인 그룹내에서의 홀호출을 수신하도록 제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층용구간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는 스윙카는 그 아래층용 구간에서 극히 장시간 대기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측 홀호출을 갖고 있지 않는 한 그 아래층용 구간에서의 홀호출에 배정되지 않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향 이동중인 스윙카가 급행구역(express zone)으로서 그 아래층용 구간을 통과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은 어떤 운행레벨 특성에 의해 정해진대로, 상향이동중인 스윙카는 저층용이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 다음의 상승지점으로 계속 상향이동하고 하향이동중인 스윙카는 저층용이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한 저층용에서의 호출을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카는 고층용 그룹 및/또는 저층용 그룹외에 제3의 그룹에 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저층용 및 고층용의 용어로 설명되는데 이 용어들은 2가지 운행그룹을 갖는 빌딩에서 단지 2개의 운행그룹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용어들은 어떤 운행그룹 보다 더 낮은 어떤 운행그룹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 경우에 고층용은 3가지 운행그룹의 빌딩에서 중간층용으로서의 저층용에 관련될 수 있고, 저층용은 3가지 운행그룹의 빌딩에서 중간충으로서의 고층용에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연속적인 운행그룹에 관련되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다른 운행그룹이 삽입된다 하더라도 하나위에 다른 하나가 있는 어떤 운행그룹쌍 사이에서처럼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다. 사실, 본 발명은 배정하는 그룹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에 배정된 모든 홀 호출의 트랙을 유지함으로써 저층용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스윙카에 대해 중간층 및 고층용의 호출을 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윙카가 동시에 3가지 급송그룹(또는 그 이상)에 있도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 또는 주말과 같이 운행이 매우 적을때에 빌딩내의 스윙카들을 모든 운행에 적용시키고 한가지 운행그룹에 속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전용카들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윙카들이 경량 운행중에도 모든 운행부담을 지는 것으로 예상되는 빌딩의 2개의 운행그룹을 운행중인 스윙카들의 각각을 양 그룹에서 완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하는 기구에 의해 단일 그룹으로 합병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카가 저층용에서의 홀호출 및 카호출에 서비스하기 위해 상향으로 이동할때처럼 스윙카가 고층용에서의 홀호출에 배정될 수 있게함으로써 스윙카는 저층용으로 부터 고층용 서비스로 전환될 수 있고, 그에따라 다른 스윙카가 저층용에 대해 서비스한 다음 고층용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그 스윙카가 고층용에 배정되기 전에 로비로 복귀할 것을 요구함이 없이 고층용 구간으로 부터 로비로의 운행 및 고층용 구간내에서의 층간운행을 만족시킨다. 경량 운행기간중에 고층용 카가 로비로 가는 도중에 저층용구간에서 승객들을 픽업하도록 하면 하향으로 급행구동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여기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저층용 및 고층용구간내에서의 스윙카의 동작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법칙을 사용할 수 있는 제어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의거하여 공지의 장치 및 소프트웨어 기술만을 사용하는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음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갖는 빌딩의 로비층은 저층용(LO) 및 고층용(HI)으로 표시된 2개의 복도(13,14)를 가진 일반적인 로비영역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저층용 로비복도(13)는 표시된 저층용 카(15) 및 스윙카(16)의 저층용부분(제 1 도의 점선화살표)를 위해 사용된다. 로비복도(14)는 표시된 고층용카(17) 및 스윙카(16)의 고층용부분(제 1 도의 대쉬선 화살표)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빌딩에는 2-6개의 저층용 카와 비슷한 숫자의 스윙카 및 고층용카가 설비된다. 전술한 모출원의 시스템은 스윙카(16)를 저층용 또는 고층용으로 사용하도록 배정하고 그후 배정된 운행구간에서의 서비스를 종료하였을때 스윙카(16)는 로비로 복귀하여 동일한 또는 다른 운행구간으로 다시 배정되어야 하며, 스윙카(16)가 고층용으로 서빙할때 저층용 구간의 층들은 급행구역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층용으로 배정된 카는 상향으로 진행하여 저층용 구간에서 카호출 승객들을 운송하고 호출승객들을 픽업하지만 저층용구간의 최상층(TOP LO)에 도달하기 전에도 배정 루틴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그 카에 배정된 고층용 구간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한다. 그 다음에 스윙카(16)가 TOP LO층에 도달하면 더이상 저층용 그룹에 이용되지 않고 고층용 그룹에 이용될 수 있게 되며 그에따라 고층구간의 호출에 응답하고 고층용구간의 최하층(BOT HI)에서 시작하여 고층용 구간의 추가적인 홀호출이 배정된다. 이것은 엘리베이터가 저층용으로 서비스될때마다 고층용으로의 서비스를 종료하여 저층용구간에서의 부담을 증가시키기 쉽다는 관점에서 셀프레벨링되며, 그리하여 다른 저층용카가 비응답상태로 남아있는 저층용 구간에서의 하측 호출을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만 없다면 배정될 것이다. 따라서,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저층용구간에서의 하측 서비스를 대기하는 승객들의 부담이 임계치를 초과할때마다 저층용 구간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스윙카에 대한 상측 홀호출배정을 배제한다. 유사하게 저층용으로 부터 분리된 고층용의 개념은 승객들을 고층용 구간의 층들에 신속히 이송하려는 목적을 갖기때문에 저층용 구간을 통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는 고층용카에 대한 어떤 호출의 배정을 배제한다. 반면에 운행이 극히 적으면 엘리베이터가 고층용구간으로 부터 로비로 가는 도중에 승객을 픽업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이러한 모든 것은 이후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또다른 다그룹 기능은 기본적으로 저층용 그룹 또는 고층용 그룹에 배정된 엘리베이터에 또다른 그룹으로 부터의 홀호출을 배정하는 것이다. 본원과 동일자 출원되어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Docket No. OT-1580)에서는 저층용 구간내에 있는 승객들이 고층용구간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그리고 유사하게 고층구간으로 부터 저층구간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키, 키카드 또는 키패드엔트리를 필요로 하는 특수운행구간내에서 홀호출버튼을 누르도록 허용하는 중간 운행구간 그룹을 포함하는 형식으로 제 1 도에 도시된 형태의 스윙카 시스템이 변형되어 있다. 이것은 중간운행구간을 그룹으로 정의하고 중간운행구간 그룹이 저층용 그룹 및 고층용그룹 사이에서 본 발명의 홀호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단히 본 발명에 적용되어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대부분의 설명은 전술한 모출원에서의 설명에서 약간 변형되었을뿐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명세서의 제 1 도와 제 8 도는 상기 동일자 출원의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내포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하여 상기 모출원 및 상기 동일자 출원의 제 1 도와 제 2 도에서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고 변형이 있는 유사한 아이템에 대해서는 상기 모출원과의 유사성을 표시하기 위하여 동일한 번호에 첨자를 붙혀서 표시하였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저층용 그룹의 부담(burden)의 소프트웨어 모듈이 엔트리포인트 (90)을 통해 들어온다. 제 1단계(91)는 엘리베이터가 상측 피크기(up peak period)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긍정의 결과가 한쌍의 단계 (92)에 도달하여 로비 대기행렬(loby queue)과 승객의 호출 대기시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는 상수들이 설정된다. 상측 피크중에 로비서비스 복도로 이동하려는 승객의 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른 그룹 보다 더 우선권이 주어져야 한다. 따라서, 로비 대기행렬 부담에 대한 상수는 1.0으로 승객의 대기시간에 대한 상수는 0.0으로 함으로써 로비 대기행렬에 기초한 배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카가 얼마나 많은 승객을 탑승시킬 수 있는가에 기초한 바이어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기시간에 대한 상수는 또한 인수 "W/Q"를 가지며, 이것은 평균 홀호출 대기시간의 초 또는 분을 로비의 대기행렬에 서있는 사람의 수로 표시된 등가 부하인수로 변환한다. 이것은 가상의 수이지만 모든 부담이 여기에서 사람 수 표시로 선정된 공통의 미터법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상수들은 스윙카들이 피크 운행중에 홀호출을 취하도록 허용된다면 전술한 모출원에서와 같이 0.8과 0.2로 될 수 있다.
만일 저층용 그룹이 상측피크기에서 동작하지 않는다면 단계(91에서의 부정의 결과가 단계(93에 도달하여 그룹이 하측피크 조건하에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긍정의 결과가 단계(94에 도달하여 대기행렬상수와 대기시간 상수가 다른 값으로 설정된다. 이 값들은 어떤 발딩이 운행 패턴의 필요성에 적합하도록 규칙적으로 선택되고 변경되지만 여기에서 단지 예로서 선택된 값들은 대기행렬상수가 0으로 설정되고 대기시간상수가 변환인수 "W/Q"의 1배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것은 하측 피크중에 로비층의 승객들이 스윙카의 배정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2개의 다른 그룹에서의 평균대기 시간만이 고려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는 달리 어떤 특수한 급송방법 또는 운행패턴에 적합한 다른 값들이 선정될 수도 있다.
상측피크도 하측피크도 처리중에 있지않으면 단계(91과 93에서의 부정의 결과가 단계(95에 도달하여 또다른 값들이 상수로서 설정된다. 이 예에서는 오프피크중에 중간층 운행이 과중할 수 있기때문에 각 층에서의 엘리베이터 대기시간이 가장 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기행렬 상수가 0.4로 설정되고 대기시간 상수가 0.6으로 설정되지만 물론 다른 상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카들이 그룹들 사이에서 매우 쉽게 전후로 스윙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특정의 상수를 가질 필요는 전혀없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단계(92,94 및 95에서의 모든 상수들은 그룹내에서의 부담설정의 효과를 갖지 않도록 1로 설정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W/Q 변환상수가 어떤 경우에는 역시 1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92,94 및 95에서의 상수들이 전체 1의 값을 갖는 예로서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에 국한되지 않고 각 단계(92,94,95)가 관련된 (예컨대 고층)그룹의 부담서브루틴내의 대응하는 단계들과 동일한 상수를 갖기만 한다면 어떤 적절한 상수도 사용할 수 있다.
그룹에서의 부담은 여러 스테이지에서 상이한 성분을 만든다. 저부담은 저층그룹에 부속된 부담을 나타내는 인수로서 엘리베이터카가 구동종료시에 로비에 접근함에 따라 빌딩의 저층/고층 소프트웨어 모듈(모출원의 제 11 도)이 현재 배정된 스윙카를 다음으로 배정받아야 할 어떤 그룹을 선정할 수 있도록 고층그룹에 부속된 부담과 비교될 수 있다. 단계(97a)에서는 저층 로비 부담인수가 대기행렬 상수를 저층용 로비복도(14)에서의 대기행렬의 값(이것은 공지의 방법으로 사람들을 세어서 결정할 수 있다)에 곱하고 그 전체 값을 저층용 그룹의 엘리베이터카의 수로 나눔으로서 초기 설정된다. 상기 나누는 이유는 부담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에 그 부담을 관련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방법에서 저층용 그룹이 단지 2개의 전용카만으로 운용되고 고층용 그룹이 4의 전용카를 갖고 있다면 동일한 양의 대기행렬은 마치 고층용 그룹에서 보다 저층용 그룹에서의 부담이 훨씬 큰것처럼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저층용 그룹이 2개의 스윙카를 배정받는다면 동일한 부담을 처리할 능력은 대략 동일해진다. 그룹내의 엘리베이터 카의 수로 나누는 것을 이퀄라이저이다.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엘리베이터가 로비에 접근하고 어떤 그룹에 막 배정되었을때 그 도중에서 필요로 하는 도움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 단계(97)에서 계산된 값을 즉시 취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것은 엘리베이터카가 어떤 그룹에 배정된 순간의 부담을 평형화한다. 단계(97b)에서 저층대기 부담은 과거 5분 동안 저층 구간의 층들에서 승객들의 평균호출 대기시간등중 가장 높은 것과 대기상수의 곱으로 부터 얻어진다. 물론 필요하다면 어던 다른시간이 설정될 수 있고승객 대기시간의 어떤 다른 표시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대기상수를 0으로 선택하므로써 승객대기 시간은 본 발명의 어떤 사용에서 필요하다면 전체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단계(98a)에서 전체 저층부담은 로비부담과 대기부담의 합으로서 구해진다. 단계(99)에서 저층 부담음 저층전체부담에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EMS)에 의해 설정된 선호도(있는 경우)를 더해서 얻어지는데 대개의 경우 선호도는 0이다. 그러나. 이 선호도는 다른 층구간에서의 성능 보다 어느 한층 구간에서의 성능이 더 좋아야 할 경우에 어떤 값을 갖는데 이 경우는 고귀한 방문자가 고층 구간내의 층을 이용하고 훌륭한 서비스를 위하여 빌딩관리가 필요한 경우이다. 또한, 이후 2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같이 의사증대(quasi-enhancement)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선호도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실제로는 필요한 경우 벌칙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고층구간에 대한 더긴 구동시간을 보상하는 것과 같이 저층구간 보다 고층구간을 더 좋아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 2 도의 나머지 루틴은 필요한 경우 단지 수회의 계산을 거쳐 계산된 저층부담의 평균을 제공하는 서브루틴(101a)이다. 이것은 필요하지 않다. 평균화가 필요하다면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평균화가 달성되도록 플래그비트를 설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그렇다먼 평균화는 모출원의 제 10도의 단계(101-120에서 설명된 것처럼 수행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은 복귀지점(114)을 통해 복귀된다.
전술한 바와같은 로비대기행렬과 호출대기시간을 사용하는 대신에 스윙카가그 다음 구동에서 서비스해야할 운행(고층구간 또는 저층구간)의 선택은 전술한 '497특허에서와 같이 실질적인 현재의 데이타를 관련시키거나 관련시키지 않고 운행역사 및/또는 다른 예측으로 부터 유도된 견적에 기초하여 행하여진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구동배정의 스윙카를 선정하기 위한 운행비교 성질을 결정하는 어떤 형태가 본 발명의 이용에 적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계산된 저층부담값들 및 동일방법으로 계산된 고층부담값들은 어떤 층구간이 다음 배정된 스윙카를 가질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 3 도의 빌딩 저층/고층 소프트웨어 모듈에 사용된다. 이 과정은 저층부담이 고층부담에 비해 동일하거나 더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그렇다면 다음 이용가능한 스윙카는 저층용에 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제 4 도에서 사용)를 설정하고 만일 그렇지않다면 플래그는 설정되지 않는다. 모출원의 제 11 도에 도시된 예에서, 결정을 행하기 전에 부담을 지우는 능력은 제 3 도의 서브루틴(124a)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필요하지 않은 옵션으로서 제공된다. 실제 결정은 단순히 저층부담이 고층부담에 비하여 동일하거나 더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테스트단계(132)에서 행하여진다. 테스트단계(132)의 결과가 긍정이면 단계(133)에서 "다음은 저층" 플래그가 설정되고, 부정이면 단계(134)에서 "다음은 저층" 플래그가 리세트되어 다음 카가 고층용으로 배정되게 한다. 따라서, 스윙카의 다음 배정을 위한 빌딩의 저층 또는 고층의 결정은 단순히 부담들을 비교하여 "다음은 저층" 플래그를 설정하거나 리세트 한다.
제 6 도 및 제 7도에서와 같이 중복그룹배정이 허용되어야하는지 아닌지를결정하기 위하여 "장시간 대기" 임계치로 생각되는 값은 고층 그룹에서의 과거 5분의 평균호출 대기시간을 저층그룹에서의 과거 5분의 평균호출대기시간에 합한것으로서 단계(136)에서 계산되며, 이 합은 전체의 평균의 2배와 같다. 또 로비부담인수는 고층로비부담과 저층로비부담으로서 단계(136)에서 발생된다. 그 다음에 단계(137)에서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EMS)이 야간 및 주말 스윙카 동작을 인에이블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아니라면 후술되는 단계(139a)로 진행된다. 그러나, 야간 및 주말 스윙카 동작이 인에이블되었으면 단계(138)에서는 현재시간이 야간 또는 주말중인지 여부(예컨대 주말은 토요일 오전 9시 30분에 시작할 수 있다)를 결정한다. 만일 아니라면 복귀지점(135)에 도달된다. 만일 그 결과가 긍정이면 단계(139)에서는 저층그룹 또는 고층그룹에 대한 모든 스윙카(모출원의 제 7도 실시예에 엘리베이터카는 4,5 및 6이다)의 로비급송기 영구배정 및 모든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이 리세트된다. 이것들은 후술되는 제 4 도의 단계(144-147에서 테스트되는 배정이다. 전술한 모출원의 제 7도 실시예에서 카 1-3 및 7-9로 구성되는 단일 운행구간의 모든 엘리베이터카들은 폐쇄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을 이루는데 고층 구간 및 저층구간이 모두 후술되는 멀티그룹 표준을 사용하여 스윙카에 의해서만 서비스되게 함으로써 운행횟수가 극히적은 기간동안에 전력소모를 크게 절감한다.
일실시예에서 스윙카는 주말 및 야간인 도안에 각 운행구간들을 별개의 것으로서 처리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스윙카들은 야간 및 주말중에서와 같이 운행이 적은 동안에 단일 그룹으로 합병된 것처럼 양운행구간을 처리한다. 만일 그렇다면테스트단계(139a)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이 두 운행구간의 합병을 허용하도록 설정하였음을 표시하고 단계(139b)에서는 운행이 적은가를 조사하여 만일 적을경우 단계(139c)에서 그 취지를 표시하는 합병플래그를 설정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은 복귀지점(135)을 통하여 복귀된다. 반대로 주말에 두 운행구간의 합병을 원치않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들은 단일시스템으로 합병함이 없이 지금까지 설명된 방식으로 양 그룹에서 이용할 수 있게끔 동작한다. 이 경우 단계(139a)에서 부정의 결과가 단계(139c)에 도달하여 합병플래그를 리세트한다. 합병플래그는 또한 EMS가 야간 또는 주말 스윙카를 배타적으로 인에이블하지 않았을때 및 야간 및 주말이외의 시간에 단계(139d)에서 리세트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시스템이 주말에 동작할 수 있는 또다른 모드가 특정의 단일 운행구간의 카들로 하여금 동작할 수 있게하고 스윙카들에 두가지 운행구간에서 또는 2가지 이상의 운행구간을 갖는 빌딩의 모든 운행구간에서 필요하다면 단일 급송그룹으로서 동작할 수 있게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단일 운행구간의 엘리베이터들이 대기상태(대부분의 호출이 전체 빌딩 또는 그 빌딩의 복수운행구간에서 엘리베이터 순환에 의해 최상으로 서빙될 수 있다면 대부분의 시간에 정차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윙카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급송기가 판단한 서비스를 스윙카들이 제공하게 한다는 점에서 극히 효과적인 동작을 제공한다. 반대로 EMS는 시간테스트단계(139b)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운행특성이 그룹들을 합병할 만큼 충분히 적은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일종의 예상 또는 퍼지 로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저층"플래그(설정 또는 리세트된 것)는 모든 스윙카(모출원 제 1 도의 변형예인 제 7도에서 4,5 및 6의 카와 같은 것으로 이들 중 저층그룹 또는 고층그룹으로 배정될 수 있다)에 대한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소프트웨어 모듈은 제 4 도 및 5 도와 관련하여 5번 카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주요기능은 단지 어떤 홀랜턴이 동작 및 인에이블되고, 어떤 카패널이 인에이블되며(카호출을 허용하도록), 어떤 도어가 인에이블되고 카가 어떤 그룹에 배정되어야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두그룹의 제어하에 하나의 운행구간 또는 다른 운행구간에 서비스하도록하는 엘리베이터카의 지정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설명된 5번 카의 스윙루틴에 의해 처리된다. 루틴은 제 5 도에서 엔트리지점(249)을 통하여 인입된다. 제 1단계(250)는 5번 카가 서비스중지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만일 중지상태이면 어떠한 스윙카 지정동작도 수행하지 않고 복귀지점(142a)을 통하여 복귀된다. 보통의 경우에 5번 카는 서비스중에 있으므로 부정의 결과가 테스트단계(251)로 진행하여 상측 피크 또는 하측피크의 동작모드가 실효중에 있는지가 판정된다. 어떤 피크의 동작모드가 실효중에 있다면 스윙카는 제 3 도를 참조하여 일부 설명되고 일부는 제 4 도를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로비에서 가장 큰 부담을 갖는 고층용 또는 저층용으로 배정될 것이다. 그 경우에 긍정의 결과가 전송지점(140)에 도달하여 프로그램을 제 4 도의 루틴에 전송한다. 엘리베이터 카가 피크기간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으면 부정의 결과가 테스트단계(252)에 도달하여 야간 또는 주말의 합병동작모드가 실효중에 있는지 판정된다. 만일 아니라면 단계(253)에서 EMS가 증대모드를 실효상태로 하였는지 판정된다. 시스템이 합병모드나 증대모드에 있지않다면 역시 전송모드(140)로 진행한다.
제 4 도에서 5번카 스윙 소프트웨어 모듈은 엔트리지점(140)을 통하여 도달되고 제 1테스트단계(143)에서 5번카가 새로이 배정되었는지 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새로운 배정은 "다음은 저층"플래그에 응답하여(또는 응답하지 않고)구동의 종료지점에서 배정되었음을 의미한다. 로비로 출발하기 위해 카의 도어를 닫을때 새로운 배정의 상태는 종료한다. 이것은 랜턴이 동작되어 배정된 층 구간내의 승객들을 엘리베이터쪽으로 안내한 다음에는 어떠한 배정의 변경도 금지한다. 그 후에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카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층로비의 정지제어지점에 다시 도달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어떤 다른 시간대에 있을때까지 엘리베이터의 재배정의 가능성은 없다. 보통의 경우(많은 컴퓨터 주기에서)에는 새로운 배정이 없으므로 부정의 결과가 복수의 테스트단계(144-147)에 도달하여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또는 로비 급송기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가이 5번 카를 저층 그룹 또는 고층그룹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배정하였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보통의 스윙카 동작의 경우에는 모든 테스트단계들(144-147)이 부정의 결과를 발생하여 다른 일련의 테스트단계로 진행한다(이 단계들은 모출원에 없는 것으로 전에 사용되지 않은 참조번호 148에 첨자를 붙여 표시한다). 단계(148a)는 5번카가 상향전진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상향전진"은 단순히 "상측(up)"이라고 표현되는 실제운동방향 또는 명령이 아닌 일반적인 전진방향을 의미한다. 이것은 엘리베이터가 승객들의 하차를 위하여 도어를 열고 정지되어 있다하더라도 엘리베이터의 일반적인 방향을 고려하여 급송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엘리베이터가 상향전진하면 단계(148a)의 긍정의 결과가 단계(148b)에 도달하여 상향 이동중인 스윙카가 위임가능층으로서 고층용 구간의 바닥층 또는 그 위층을 갖는지 아닌지가 조사된다. 만일 갖는다면 이것은 스윙카가 홀호출에 배정되었고 고층구간에서의 카호출이 유효하게 등록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카가 고층구간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하고 재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그 작업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148b)의 긍정의 결과가 후술되는 단계(166a-d) 및 (167)에 도달하여 카가 고층용카로서 동작하고 저층용카로서 동작하지 못하게 한다. 테스트단계(l48a) 및 (148b)를 통과하는 이 경로는 카가 저층구간을 통하여 상향으로 진행할때 및 고층구간을 통하여 상향으로 진헹할때 다수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는 전형적으로 이미 고층용 카로 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 단계(166a-d) 및 (167)을 수행하는 것은 중복된 것이지만 나쁘지는 않다.
단계(148a)의 결과가 부정이면 이것은 5번 카가 하향 전진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저층그룹제어기 또는 고층그룹제어기가 하향이동중인 엘리베이터에게 상측 카호출을 배정함으로써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윙카는 보통의 경우에 정상적인 배정을 위하여 로비로 복귀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저층그룹 및 고층그룹에서 5번 카의 모든 상측 호출은 디세이블된다. 호출의 디세이블은 단계(151)의 플래그가 설정된 후에 5번 카에 대한 어떤 상측 홀 호출지정에 단순히 디세이블링 하이페널티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bittar 특허에서 설명된 홀 호출지정의 관련시스템 응답방법에서와 같이 본원의 제 5 도와 제 6 도에서 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8도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같이 중간층 호출이 중간충 그룹에 의해 배정된다면 상기한 디세이블링은 사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카가 중간층 그룹에 의해 상측 홀 호출에 배정된다면 그 호출은 플래그(151)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만일 야간 또는 주말의 적은 운행을 관리하기 위해 저층용 및 고층용이 합병되면 제 5 도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단일 운행구간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정상적인 경우처럼 상측 호출이 하향이동중인 엘리베이터에 배정될 수 있다. 카가 상향 전진인 동안에는 단계(148a)의 판정이 항상 긍정이고 따라서 단계(151)은 바이패스된다.
단계(152)는 엘리베이터가 다음 위임층이 로비층으로 되는 이동중의 지점에 도달하였는지를 판정한다. 5번 카의 경우에 저층용으로 동작하고 있을때는 층번호 2 근처의 어딘가가 되겠지만 5번 카가 고층용으로 동작할 때는 엘리베이터가 급행구역(고층구간의 최저층 근처의 어떤 층)에 도달할때 로비가 위임층으로 된다. 제 4 도의 5번 카 스윙루틴의 대부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다른 지점에 있을 것이고 단계(152)의 부정의 결과가 단계(148c)에 도달하여 카가 로비층이 아닌 저층용구간에서의 위임층을 갖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급행구역내에서 이동하는 (즉, 급행 엘리베이터카로서 저층구간을 통해 직접전진하는) 카는 로비의 위임층을 갖는 것으로 예상되고, 로비의 위임층을 가지면 단계(152)에서는 긍정의 결과가 발생하고 단계(148d)에서는 긍정의 결과가 발생할 수 없다. 카가 로비가 아닌 저층구간에서 위임층을 가지면, 단계(148d)의 긍정의 결과는 프로그램이 단계(161)과 (162)로 진행하게하여 카가 이후 설명되는 방식으로 저층용 카로서 동작하고 고층용카로서 동작하지 못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카가저층구간내에서 상향전진하거나, 저층구간내에서 하향전진하지만 로비층 이외의 층에 위임되어 있지않다면 단계(148b) 또는 (148d)의 부정의 결과는 프로그램의 나머지가 바이패스하게 하고 다른 프로그램이 복귀지점(142)를 통하여 복귀되게 한다. 실질적으로 하향 이동중인 카는 로비가 다음 위임층으로 되는 지점에 도달하고 따라서 단계(152)의 긍정의 결과는 단계(153)으로 진행하여 정지제어지점에 도달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것은 그 무엇보다도 카가 접근하고 있음을 승객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렌딩에서의 랜턴이 점등되어야하는 지점이다. 모출원의 발명에 따르면, 카가 저층구간에 있어야하는지 고층구간에 있어야하는지에 대하여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종순간은 랜턴들(모출원에서 56,57)중의 선택된 것이 점등되어야 할때의 순간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법칙때문인데, 다시말해서 승객들은 랜턴이(공소리와 함께)점등되었을때 그들이 도달하고자하는 층을 위해 로비 서비스복도에 있는 엘리베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가 다음 구동에서 저층용 그룹에 배정되면 저층용 로비복도(13)의 랜턴이 동작하여야 하고 그 다음에 도어는 저층용 로비복도(13)에 있는 승객들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열려져야 한다. 반대로, 5번 카가 다음 구동에서 고층그룹에 배정되어야한다면 고층용 로비복도(14)의 랜턴이 동작해야하고 그 다음에 도어는 고층용 로비복도(14)에 있는 승객들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열려져야 한다. 따라서, 로비층에 대한 정지제어 지점에 도달하면(단계(152)와 (153)의 결과는 긍정)여기에서 정상적인 스윙카 배정이 이루어지고 전술한 모출원의 시스템에서 적절한 랜턴이 작동된다.
단계(154)에서 5번 카에 대한 새로운 배링플래그는 위에서 간단히 언급되고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이 플래그가 리세트될때까지 재배정이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그 다음에 단계(155)는 빌딩의 저층/고층 소프트웨어 모듈(제 3 도)이 구동된 최종시간에 "다음은 저층"플래그가 설정 또는 리세트되어 있는지를 시험한다. 플래그가 설정되어 스윙카의 다음 배정이 저층그룹으로 되어야함을 표시하면, 단계(155)의 결과는 긍정으로 되고, 단계(156)에서 저층용 로비복도(13)에 있는 5번 카의 저층용 로비 랜턴을 작동시키므로서 빌딩의 저층구간에서의 수요에 서빙하는 카임을 승객들에게 알린다. 그 다음에 단계(157)에서는 고층용 도어가 인에이블 되었는지를 판정하는데, 이것은 5번 카가 현재의 구동중에 고층용 구간에서 동작하고 있었는지를 알기 위한 편리한 테스트이며 다른 인수들이 또한 검사될 수 있다. 5번 카가 현재의 구동에서 고층용이었다면 다음 구동을 위한 저층용에 대한 현 배정이 절환되고 따라서 테스트단계(157)의 긍정의 결과가 단계(160)으로 진행하여 "5번 카의 저층질환" 플래그가 설정된다(이것은 바이어싱이 한 그룹으로 부터 다른 그룹으로 절환하도록 조정되어야 할 경우에 모출원의 제 11 도의 단계(125)에서 테스트된다).
그 다음 일련의 단계(161)에서 고층용과 관련한 카의 모든 속성들이 리세트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고층구간층에서 5번 카에 대한 모든 랜턴의 인에이블이 리세트되고, 스윙카(16)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고층용측에 있는 도어의 인에이블이 리세트되며, 고층용층들을 위한 호출버튼을 가진 카호출패널부분이 더이상 인에이블되지 않고 5번 카는 고층용 그룹에서 탈퇴한다. 이러한 것들은 제 5 도와 제 6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고층용 그룹에서 이용가능한 카에 대한맵에서 5번 카 비트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다음에, 일련의 단계(162a)는 저층용 그룹에 5번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전환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저층용 충들에서 5번 카에 대한 모든 랜턴들을 인에이블시키고, 스윙카(16)승강통로의 저층용측의 연속되는 층에서 동작하도록 도어를 인에이블시키며, 저층용층들에 대한 호출을 위헤 카호출패널을 인에이블시킨다. 테스트단계(162b)는 엘리베이터가 상측 피크모드에서 구동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실시예는 가장 긴 로비 대기행렬로 부터 승객들을 운송하도록 스윙카를 로비층으로 신속히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측 피크중에 스윙카가 홀호출에 배정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단계(162b)의 긍정의 결과는 단계(162v)에 도달하여 저층 그룹에서 5번카를 디세이블한다. 상측 피크에 있지않으면 단계(162b)의 부정의 결과가 단계(162d)에 도달하여 저층그룹에서 5번 카를 인에이블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스 단계(162b)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5번 카는 상측피크중에도 배정된 그룹에서 인에이블되며 따라서 한 그룹으로 부터만 호출을 받을 수 있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은 복귀지점(142)를 통하여 복귀된다.
그 대신에 제 3 도에서 "다음은 저층" 플래그가 리세트되면 일련의 단계들(163-166d)은 고층용 및 저층용에 대하여 단계(156-160, 162a-d)에서 저층용 및 고층용에 대하여 제공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고 단계(161)에서 고층용에 대하여 제공된 것처럼 단계(167)에서 저층용에 관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테스트단계(144)와 (146)중 어느 하나가 5번 카가 저층용 그룹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배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에(집회중의 배정과 같이), 긍정의 결과가이후 설명되는 단계(186)을 통과하여 단계(170,171)에 도달하고 단계(172)에서 저층용 로비랜턴을 동작시킨다. 그후 단계(161)과 (162a-d)는 5번 카가 스윙카로서 동작할때와 동일한 형식으로 제공되고 이것이 반복적으로, 제공될때는 중복 리세팅 및 중복 세팅이되어 부적절하다.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또는 로비급송기가 고층용 그룹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배정된 5번 카를 갖는 경우에는 단계(145) 또는 (147)의 긍정결과는 이후 설명되는 단계(187)을 통하여 단계(173-175)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저층용 랜턴에 대한 단계(170-172)와 동일한 형식으로 고층용 랜턴(57)의 동작을 수행하며 그후 단계(166a-d)와 (167)을 수행한다.
구동 종료시에 엘리베이터 카가 전과 동일한 층구간에 또는 다른 층구간에 배정되면 최종 순간에 단계(154)는 5번 카에 대한 새로운 배정 플래그를 설정할 것이다. 제 4 도의 상부의 단계(143)은 그 사실을 감지하고 스윙카가 배정된 총 구간에서 구동하기 위해 로비를 떠날 때까지 그 카에 대한 어떤 추가적인 기본 배정을 금지한다. 랜턴이 한 층그룹 또는 다른 층그룹의 로비복도에서 점등될 때와 상부방향으로 로비레벨을 출발하기 위헤 도어를 닫을 때 사이의 시간기간중에는 테스트단계(143)의 긍정결과가 제 4 도의 나머지에서의 배정처리에 도달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에 기본 스윙카 배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그 대신 테스트단계(180)은 카가 상부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초기에는 설정되어 있지않으므로 제 4 도의 나머지 루틴은 복귀지점(142)으로 바이패스된다. 본질적으로 방향은 상측 방향으로 절환될 것이고 따라서 제 4 도의 루틴의 후속단계에서단계(180)의 긍정결과가 단계(181)에 도달하여 도어가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개의 통과동안 테스트(181)의 결과는 부정으로 될 것이고 제 4 도의 나머지는 복귀지점(142)로 바이패스된다. 궁극적으로 도어는 폐쇄되고 최근 배정된 상향구동이 시작된다. 이것은 한 세트의 단계(182)에 도달하여 단계(154)의 "5번 카 새로배정"플래그가 리세트되고 엘리베이터가 최근 한 층 그룹용으로 부터 다른 층 그룹용으로 절환되었다는 사실이 리세트된다. 이 지점은 카가 새로운 배정에 대하여 서비스중에 있기때문에 추가의 바이어싱(만일 발생한다면)을 제거하도록 선정된다. 반대로 이러한 바이어스 플래그의 리세팅은 전술한 모출원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필요할 경우 어떤 다른 지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스윙 카가 (EMS나 급송기에 의해서 보다) 운행부담에 기초하여 한 층 그룹 또는 다른 층 그룹에 배정되어 있기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양 그룹에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제 1테스트에서는 카가 피크주기에서 동작하는지가 판정된다. 만일 아니라면 홀호출용으로 양 그룹에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테스트단계(183)의 부정결과가 단계(184)에 도달하여 "양 플래그에 이용가능한 5번 카"를 설정한다. 상측 피크에서 카들은 어떤 그룹에서의 작업도 금지되지만 하측피크에서 그룹들은 호출에 응답하도록 카를 보낸다. 그러나, 피크운행에서 카들은 테스트(183)에 의해 "양측"카로서 어떤 그룹에 합류하는 것이 금지되며 이로써 단계(184)는 제 6 도 및 제 7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같이 "양측에 이용가능한 5번 카" 플래그를 리세트하고 어떤 반대그룹에서의 홀호출배정을 금지시킨다. 이로써 스윙카는 로비로 복귀하여 상측피크에서 가장 큰 로비부담에 대해 서빙하고 하측피크중에 한 그룹에서만 픽업할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 하측 피크픽업은 배정된 그룹에서의 하향 호출에만 제한될 수 있다. 단계(186)과 (187)은 전용 스윙카가 다른 그룹의 호출에 배정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설명으로 부터 엘리베이터가 동작되어야할 그룹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느 것은 명백하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도어, 패널, 랜턴 및 그룹제어가 선택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출원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동작은 전술한 특허들에서와 같이 호출, 상측피크/하측피크, 구역나누기, 채널링등에 응답하도록 어떤 종류의 급송에 대한 모든 가상의 격식을 갖거나 갖지않고 정상적으로 하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특수한 성질이 필요하다.
제 3 도의 루틴에서 합병동작이 엘리베이터 합병시스템에 의해 인에이블 되었고 현재의 시간이 야간 또는 주말이라고 판정되면(이들은 본 발명의 사용에서 정의될 수 있다), 합병플래그가 제 3 도에서 설정되고, 그에따라 제 5 도에서 테스트단계(251)의 부정의 결과가 테스트단계(252)에 도달하고 테스트단계(252)의 긍정의 결과는 일련의 단계(257)에 도달하여 고층 및 저층랜턴, 도어 및 카호출패널의 모두를 인에이블하고 5번 카를 고층그룹 및 저층그룹 모두에서 인에이블한다. 이로써 스윙카는 두개의 층그룹이 단일의 층그룹으로 된것처럼 합병된 층구간에서 동작된다. 그 다음에 단계(258)에서는 5번 카가 그 위임층으로서 로비를 갖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아니면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은 복귀지점(142a)를 통하여 복귀된다. 카에대한 위임층이 로비이면 테스트(259)는 카가 로비에 대한 정지 제어지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아니면, 루틴은 복귀지점(142a)에 도달한다.일단정지 제어지점에 도달하였으면, 테스트(259)의 긍정결과가 단계(260)에 도달하여 저층용 로비랜턴 및 고층용 로비랜턴 모두를 동작시킨다. 이것은 저층용 로비복도에 있는 승객뿐만 아니라 고층용 로비복도에 있는 승객들에게 5번 카가 접근하여 그들이 의도하는 층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며, 그들은 5번 카의 도어에 접근해야 한다고 통보한다. 단계(257)은 도어를 저층용 및 고층용으로 인에이블시켰기때문에 5번 카에 대한 보통의 동작 메카니즘은 고층용도어 및 저층용도어가 모두 개방되게하여 카가 로비층에 도달하였을때 5번 카로부터 저층용로비복도 및 고층용 로비복도로 나갈 수 있게 한다. 이 방법으로 승객들은 양측 복도로 부터 카에 들어올 것이고, 따라서, 5번 카로 부터 저층용 또는 고층용에 대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일단 단계(260)이 실행되면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은 복귀지점(135a)를 통하여 복귀된다.
5번 카가 피크기간 모드중에도 합병모드에서도 동작하지 않으면, 테스트(251)과 (252)의 부정결과는 테스트(253)에 도달하여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이 카를 증대모드에 설정하였는지를 결정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또하나의 중요한 특징이다. 증대모드에서 각각의 스윙카는 로비에 접근함에 따라 랜턴, 도어 및 카호출패널이 저층용으로 인에이블되도록 저층용에 배정되지만, 초기에는 고층그룹 및 저층그룹에 모두 배정되어 저층구간을 통해 상측으로 승객들과 함깨 자동으로 진행하여 저층구간에서의 상향 호출에 대해 서비스한다. 그러나, 제 6 도 및 제 7도를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는 카호출 배정장치에 의해 적당한 것으로 간주될때는 고층구간내의 홀호출에도 또한 배정된다. 따라서, 저층구간을 통하여 상향으로 이동한 카는 에너지가 허비되지 않고, 이 카가 고층구간의 중간층 부담을 감소시키는 고층구간에서의 상측 홀호출에 서비스하도록 허용하며 그에 따라 로비에 더욱 자주 복귀하도록 고층구간에 대한 카서비스를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에너지가 절약된다. 실제 효과는 카들이 고층구간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급행구역을 통하여 상측으로 상승시킬 필요성이 적어진다는 점, 에너지 및 시간이 크게 절약된다는 점 및 시스템의 효율이 증가한다는 점이다.
테스트(253)에서 5번 카가 증대모드에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긍정결과를 발생하면 테스트(263)에서는 카가 전반적인 상측방향을 갖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초기에는 상측방향을 갖기때문에 테스트(263)의 긍정결과가 테스트(264)에 도달하여 카가 고층구간의 최저층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초기에는 저층구간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할때처럼 아니기때문에 테스트(264)의 부정결과가 복귀지점(135a)에 도달한다. 스윙카가 저층용으로부터 고층용으로 교차될때 테스트(264)의 긍정결과는 일련의 단계(265)에 도달하여 저층용의기능들(랜턴, 도어, 패널)이 리세트되고 카는 저층그룹에서의 홀배정을 취하는 것으로 부터 디세이블된다. 그 다음에 고층용에 대한 기능들(랜턴, 도어 및 패널)이 인에이블되고 카는 고층 그룹에서의 호출을 수신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5번 카는 이미 고층 그룹에서 인에이블되어 있지만 카가 로비를 떠난 후 증대모드가 턴온된 경우에 이것은 5번 카가 고층용으로 될 때 고층그룹의 홀호출에 응답할 수 있게 한다. 후속통과에서 카의 위임층이 고층구간의 최저층 위에 있을때 단계(265)는 중복되게 반복되지만 해를 주는 것 아니다. 단계(265) 다음에는 복귀지점(142a)에 도달된다. 일단 카가 고층구간에서 상향이동을 종료하면 증대모드에 있을때 고층그룹에 의해 카에 배정된 카호출 또는 또는 홀호출에 응답하여 방향이 반전되고 하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발생할대 일반적인 이동방향이 하향임을 나타내는 테스트(263)의 부정결과는 단계(266)에 도달하여 "양측에 이용가능한 5번 카" 플레그가 설정된다. 이것은 하향으로 이동하는 카가 아직 고층구간내에 있더라도 저층구간내에서 그리고 이후 제 7 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특정환경하에서 하향 호출을 수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행하여진다. 이러한 환경은 카가 급행구역을 통과하여 로비로 자유로이 역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저층용이 진정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 또는 카내의 탑승객수가 극히 적어도 어떤 이익을 위해 하향이동하려는 것에 해당하며 극히 적어도 어떤 이익을 위해서 하향이동하려는 것에 해당하며 그에따라 에너지를 절약하고 시스템이 개선된 형태로 흐르도록 시스템내의 일부 부담을 제거한다. 이 모든 것은 이후 제 7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 다음에 테스트(269)는 5번 카가 위임층으로서 로비를 갖는지를 판정한다. 초기에는 갖지 않으므로 테스트(269)의 부정결과가 테스트(270)에 도달하여 카가 저층구간의 최상층에 또는 그 아래에 위임층을 갖는지 즉, 카가 저층용구간에 들어왔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초기에는 아니므로(일반적인 경우에는 제 5 도와 루틴을 수개 통과하는 동안 여전히 고층구간내에 있다), 테스트(270)의 부정결과는 프로그램이 복귀지점(142a)을 통하여 다른 루틴으로 복귀하게 한다. 일단 카가 저층용 구간에 들어오면 테스트(270)의 긍정결과가 단계(271)에 도달하여 5번 카가 더이상 고층그룹의 홀호출지정에 이용할 수 없게 한다. 그 다음에 일련의 단계(272)는 고층구간내에서카에 대한 기능들(랜턴, 도어 및 카호출패널)의 인에이블을 리세트한다. 따라서, 카가 저층용을 통하여 하향이동할때는 제 7도를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양측에 이동가능한 메카니즘을 통한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그룹에도 응답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움이 필요없거나 부하가 매우 적으면 카는 고층전용 카의 통상의 형태로 정지됨이 없이 급행구역으로서 저층용 구간을 통하여 이동할 것이다. 위임층이 로비로 되는 지점에 카가 최종적으로 도달하면 테스트(269)의 긍정결과가 테스트(275)에 도달하여 카가 그 정지 제어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만일 아니라면 복귀지점(142a)으로 진행하지만 일단 정지제어 위치에 도달하면 일련의 단계(276)은 카가 저층용 로비복도에 도달할 것임을 승객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저층용 로비랜턴을 동작시키고 본 발명의 상기 특징에 따라 저층그룹과 고층그룹 모두에 있어서의 홀 호출에 응답하도록 5번 카를 인에이블시킨다. 이것은 카가 로비층을 떠날때 빌딩을 통한 상향구동중에 저층구간의 홀호출에 응답하고 고층구간의 홀 호출에도 또한 배정되어짐을 의미한다. 그 다음에 고층용 5번 카의 기능(랜턴, 도어 및 패널)은 디세이블되고 저층용 기능이 단계(272)에서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카가 로비층에 실제로 도달할때 저층용 복도의 도어들이 개방되어 승객들을 탑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카가 증대모드에서 로비에 접근할 때마다 발생한다. 따라서, 카는 항상 저층용 로비를 떠나서 저층구간에 대해 서비스하고 그 다음에 고층용 구간으로 통과한다(고층용 구간에서 그 카에 대해 배정된 수요가 없는 경우는 제외됨). 이후, 제 9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같이 카가 증대모드에서 동작할때 저층용 구간 또는 고층용구간에서 운휴상태로 되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먼저 로비로 복귀되지 않고 필요한 곳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도록 고층 그룹 및 저층그룹에 모두 응답한다.
카가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또는 로비급송기에 의해 하나의 층그룹 또는 다른 층 그룹에 배속될 때 마다, 또는 합병모드 또는 증대모드가 아닌 피크모드 또는 오프피크모드에 있을 때마다 카는 동작모드에 관련있는 가장 큰 부담을 가진 층 그룹에 대해 서빙하도록 로비에 접근할 때 배정되고, 따라서 카는 제 4 도의 로직에 의해 제어된다. 합병모드 또는 증대모드에서는 카가 제 5 도의 로직에 의해 제어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의사 증대모드는 제 2 도의 단계(99)에서 매우 높은 EMS의 낮은 선호도 인수를 단순히 사용함으로써 접근될 수 있다. 이것은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같이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이 증대모드를 제공할 능력을 가질 필요없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더 간단한 실시예이며 제 7도 내지 제 7b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여러가지 형태 또는 이후 제 10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형태와 고층구간 상측 호출배정로직을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같이 고층구간에서의 어떤 수요가 있다면 로비를 떠나서 저층 구간을 통해 상향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고층구간으로 진행하는 모든 스윙카를 가지고 있다.
제 6 도를 참조하면, 대응하는 그룹 제어기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미해결 홀호출의 배정은 상기한 4,363,381호 특허에서 설명된 관련시스템 응답원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중간 그룹 특성을 처리하기 위하여 약간의 변형이 필요하다. 제 6 도의 예시루틴은 전술한 4,363,381호특허의 제 7도에 도시된 로틴의 변형예이다. 제 6 도에서 원내에 숫자가 표기된 단계들은 전술한 특허에서 참조번호로서 그러한 숫자들을 갖는 단계들이다. 원내에 숫자를 표기한 것이 없는 단계들은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것들이다.
제 6도의 고층그룹 배정루틴은 엔트리지점(22)을 통해 도달되고, 한쌍의 스텝(23,24)은 그룹내에서 가장 높은 번호를 갖는 카(이 경우에는 빌딩에서 가장 높은 카)를 표시하도록 카번호 및 카포인터를 설정하며, 단계(25)는 주어진 호출에 배정되어 있는 최종 카의 표시(PLAST)를 0으로 리세트한다. 그 다음에 테스트 단계(26)은 제 4 도 및 제 5 도의 루틴이 고층그룹에서 이미 인에이블된 카(P)를 갖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갖는다면 카 P는 단계(27)에서 고층그룹내의 카의 비트맵을 카 P를 표시하는 비트맵과 앤딩함으로써 고층그룹 카의 맵에 부가되어진다. 그 다음 테스트(28)은 고려중인 카(카 P)가 고층 그룹에서의 수요를 충족하도록 이용가능한 카들의 맵에 있는 카들 중 하나인지를 판정한다. 그 카가 고층그룹에서 이용될 수 없다면 이 카와 관련한 대부분의 고려사항들은 테스트(28)의 부정의 결과가 낵스/세이브 전송지점(29)에 도달아기 때문에 바이패스되고, 특허 4,363,381호의 제 11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래핑업(wrapping-up)동작을 수행하도록 호출된다. 그러나, 카 P가 고층그룹에서의 수요를 충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면 테스트(28)의 긍정결과 전술한 4,363,381호특허의 단계(7-22)인 루틴(30) 및 단계(23)의 적임성(elgibility) 전환지점(31)에 도달하고 그 다음에 4,363,381호특허의 제 8-12 도에 도시된 배정 프로그램의 나머지에 도달한다. 따라서, 카 P가 제 4 도 또는 제 5 도의 고층그룹에서 인에이블 되기 때문에 단계(26)이 긍정으로 되는 경우에는 그 동작이 4,363,381호 특허(또는 본 발명을 실행하도록 선택된 어떤 다른 배정루틴)에서의 동작과 같다.
카 P가 고층그룹에서 인에이블되지 않으면 그것은 어떤형태 또는 다른형태에서 이용할 수 없는 카일 것이고, 따라서 테스트(26)의 부정결과가 테스트(33)에 도달하여 "양측 이용가능 P카" 플래그가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설정되었는지 판정한다. 이것은 카가 하나의 층그룹 또는 다른 층그룹에 배정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하에서 어떤 그룹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스윙카임을 표시한다. 테스트(26)과 (33)이 부정이면 단계(34)는 P를 고층그룹으로 부터 제거한다. 이것은 4,363,381호특허에서 상측호출 및 하측호출이 교대의 형태로 배정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며, 카는 이후 제 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하측 호출에 대해서는 이용할 수 있지만 상측 호출에 대해서는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고층그룹의 카의 맵은 단계(34)에서 카 P를 그로부터 제거한다. 그후, 테스트(28)은 고층그룹에서의 상측호출에 응답하는 것으로 부터 카 P를 배제한다.
제 6 도에서 카가 양 그룹에서 이용가능하면 테스트(35)는 카 P가 일반적인 상향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만일 아니면 카는 단계(34)에서 제거된다. 고층그룹에 배정된 어떤 카가 테스트(26)에 의해 처리되면 저층그룹의 어떤 카는 고층용구간을 향하여 상향이동할 경우에만 고층그룹의 홀호출을 취할 수 있다. 만일 카가 상향이동중이면 테스트(35)의 긍정결과가 테스트(36)에 도달하여 이번 통과에서 상측호출이 배정되었는지를 판정하고, 만일 아니면 카 P는 단계(34)에서 고층그룹의호출에 응답하도록 이용가능한 카들로 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배정된 호출이 배정루틴을 현재 통과하는동안(하측 호출이 아닌) 상측호출이면, 테스트(36)의 긍정결과가 테스트(37)에 도달하여 저층용 구간의 어떤 하측 홀호출이 제 3 도의 단계(136)에서 정해진 장시간 대기 임계치 보다 더 오래동안 대기하고 있는지가 조사된다. 만일 그렇다면 카는 고층그룹에서 사용되도로 허용되지 않고 테스트(37)의 긍정의 결과는 카가 단계(34)에서 고층그룹으로 부터 제거되게 한다. 그러나, 저층구간에서 더 길게 대기하는 하측호출이 없으면 테스트(37)의 부정의 결과는 이 카가 고층그룹내의 카에 부가되게 하고 따라서 단계(27) 및 (28)에서 고층그룹에 이용가능하게하며, 그에 따라 홀호출이 고층그룹에 배정된 것으로 고려되어진다. 테스트(37)의 긍정의 결과는 카가 지정에 의한 고층 그룹카가 아니다하더라도 그 카는 양 그룹에 이용가능하고, 상측으로 이동하며, 저층구간의 하츨 홀 운행이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고층구간내에서의 상측호출에 대해 서비스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그 경우에, 카 P는 단계(27)의 고층그룹 카의 맵에 부가되어진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어떤 하나의 호출이 극히 장시간 대기하고 있었는지를 조사하는 대신에 저층구간에서의 일반적인 하측 홀 호출부담이 높으면 상향이동하는 저층용 카를 고층그룹에서 사용하는 것이 배제된다. 제 6a도는 이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 6 도의 테스트(37)을 테스트(37a)로 교체한 것을 제외하면 제 6도와 동일하다. 제 6a도의 테스트(37a)는 저층구간에서의 하측 홀호출 대기부담이 특정 임계치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저층용 구간에서 상향이동하는 카를 고층용을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카의 운동과 시간을 절약하도록 본 발명의 법칙을 사용할 수 있음을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저층용 구간에서 하향 서비스를 대기하는 승객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아직 장시간 대기한 사람은 없다 하더라도 저층용카는 고층용 구간에서 상향으로 계속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고 그 대신 저층구간의 호출에 응답하도록 제한되며 이로써 하향이동하는 저층구간 승객들이 서비스를 받을 것이다. 저층구간의 하측 대기부담은 저층구간의 하측호출에 응답하는 저층 전용의 카(15)가 있기 때문에 스윙카(16)만으로 만족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임계치는 단일 호출에 일치될 필요는 없고 매우 높을 수도 있다. 저층구간의 하측 대기부담은 전술한 497특허에서와 같이 예상할 수 있고 또는 하측 호출부담에 대한 어떤 다른 측정치일 수도 있다.
제 6b도는 제어기가 스윙카로 하여금 제 2그룹제어의 제어하에 동작하게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행레벨 특성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 6b도는 테스트(37)의 결과가 부정일 때 테스트(37b)에서 로비에서의 부담이 임계치(이 임계치는 제 6a도의 임계치와 다를 수 있다)와 같거나 더 적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제외하면 제 6도와 동일하다. 이 방법에서 스윙카가 저층구간의 하측호출에 서비스하거나 로비로 신속히 신속히 복귀할 필요가 있다면 상향이동시의 고층 그룹을 저층용에 결합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제 7도에서 저층 그룹 배정루틴은 이들이 모두 하측호출, 하측방향 및 저층용에 관련이 있고 제 3 도에서 설정된 장시간 대기 임계치 이상으로 더 오래동안 대기하는 저층구간의 하측호출이 있다고 테스트(37)이 판정할때 고층용 카가 그 호출을 취한다는 점들을 제외하면, 고층그룹의 카에 대한 제 6 도의 루틴과 동일하다. 이것은 저층구간에서의 하측 호출에 관한 시스템 불균형이 있음을 의미하며, 이 실시예에서 고층구간의 승객이 약간 오래동안 탑승한다 하더라도 고층용카가 그 불균형을 경감하도록 정지되게 하는 것이 최상이라고 간주된다. 따라서, 테스트(37)의 긍정의 결과는 제 7도의 단계(27a)에 도달하여 상기 카가 저층용 그룹의 카에 부가되도록 한다. 물론 하향 이동중인 카가 충만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테스트를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실은 (충만된 카를 정상 배정과정에서 처리하는 상기 Bitter 특허의 제 7도의 테스트 단계(7)과 같이)통상의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카가 저층그룹에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하더라도 사실상 하측 호출에는 어떤 다른 카를 배정하고 상기 카는 저층그룹의 어떤 다른 호출에 배정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저층그룹에서 장시간 대기의 하측호출이 없다면 테스트(37)의 부정의 결과가 테스트(37c)에 도달하여 저층그룹에서의 전체 운행부담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초과하면 테스트(37c)의 긍정의 결과는 단계(27a)에 도달하여 카를 저층 그룹에 부가한다. 저층그룹이 하측방향으로 도움을 필요로 한다면 하측방향으로 저층그룹에 접근하는 스윙카가 그 도움에 응할 수 있다. 저층 그룹이 장시간 대기의 호출도 과도한 부담도 갖고 있지 않다면 테스트(37c)의 부정의 결과가 테스트(37d)에 도달하여 문제의 카가 본질적으로 비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향이동하는 고층용 카에 단지 1인 또는 2인의 승객(또는 테스트(37b)의 임계치에 의해 결정된 모든 것)만 있다면, 그 카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하향 이동중에 승객들을 픽업할 수 있다. 그 경우에 테스트(37d)의 긍정의 결과가 단계(27a)에 도달하여 그 카를 저층 그룹에 부가한다.
제 7a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테스트(37-37d) 대신에 테스트(37c)를 사용하여 로비부담이 여기에서의 다른 임계치들과 다를 수 있는 임계치 보다 더 적은지 여부를 판정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 7도의 실시예와 같다. 이 임계치는 운행이 극히 적은 경우를 감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극히 낮게 설정되고 고층구간으로 부터의 하향구동은 허비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로비부담이 높으면 테스트(37c)의 부정의 결과는 제 7도의 단계(34)에서 그 카가 배제되게 하고 부담이 극히 낮으면 테스트(37c)의 긍정의 결과는 제 7도의 단계(27a)에서 그 카가 저층그룹에 부가되게 한다. 또 다른 변화는 제 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또 다른 테스트, 즉 고층의 전체부담이 소정의 임계치 크기(LITE TRAF)이하로 될때에만 하향이동중인 고층의 카가 저층 그룹에 배정되게 하는 테스트단계(37f)를 갖는 다는 것이다. 이것은 급행구역을 포함한 고층에 대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상부층에서의 운행량이나 로비에서 대기하는 승객들 때문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하다면 이와같은 가벼운 운행테스트는 많은 승객을 갖지 않는 카에 의존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 저층구간 호출배정 고정의 나머지는 4,363,381호특허에서 제 8-12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다.
모든 테스트(37-37f)는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종류의 테스트이다. 예를들어, 하향 이동중인 카에 대하여 테스트(37f)(제 7b도)의 긍정의 결과는 테스트(37e)(제 7a도)에 도달할 수 있고, 따라서 하향 이동중인 카는 로비부담 및 고층부담(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이 극히 적은 경우에만 저층구간의 호출에 배정될 것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층 그룹내의 어떤 방향으로 높은 호출대기 부담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그 카를 고층그룹으로 부터 배제시키기 보다는 긍정의 결과가 다른 테스트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제 6 도의 테스트(37)이 오버라이드되게할 수 있다. 또는 상향이동하는 저층용카가 고층그룹에 부가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고층부담과 저층부담을 비교할 수 있다. 이들 모든 테스트는 절대적인 것이 아닐 수 있는데, 즉 개별적인 테스트를 위하여, 또는 특히 전체의 최고 결과가 무엇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의 조합을 위하여 퍼지로직이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형태의 퍼지로직은 미합중국 특허 제 5,260,5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조합은 다른 그룹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또는 제 1 그룹이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 또는 이들 두가지 모두인 경우에 가능한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상기 제 1그룹의 카를 상기 다른 그룹에 배정할 수 있게하는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
이러한 모든 여분의 그룹배정에서 모든 호출에 대한 주기적인 배정(전술한 4,363,381호특허에서와 같이)은 물론 변화될 수 있다. 즉 저층용구간에서 상향이동하는 카는 제 6 도의 루틴을 한번 통과하는 동안 고층용 구간의 홀호출에 배정될 수 있고, 그후 저층용 구간에서의 하측호출은 상향이동하는 카가 고층용으로 절환되는 것이 배제되는 장시간 대기호출로 될 수 있다. 제 6 도를 통한 다음 통과에서 카는 고층용구간에서의 상측호출을 배정하기 위한 다음 시도로 부터 배제될 것이고 따라서 제 6 도를 통한 이전의 통과에서 이루어진 배정이 손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회, 즉 2회 이상 반복되는 홀 배정루틴을 사용하여 실시될때 더 좋은 서빙을 제공한다.
제 6 도 및 제 7도는 본 발명의 한 특징을 나타낸다. 즉 저층그룹에 배정된 상향이동중인 카는 저층구간의 하측 홀호출수요가 매우 적은 경우에 고층구간의 홀호출에 응답할 수 있고, 고층구간을 떠나는 카들은 고층의 전체 운행량이 매우 적은 경우 저층구간의 승객들을 픽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카들이 동시에 배정될 수 있는 그룹들 중 하나가 중간층 그룹일 수 있고, 이 중간층 그룹은 저층구간내의 승객들이 고층구간내의 층들로 이동하기 위하여(또는 그 반대로) 홀호출을 등록시킬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전술한 동시출원된 특허출원의 요지이다. 그러나, 운행수용에 관계없이 스윙카의 멀티 그룹제어의 내용에 있어서 어떤 적당한 카는 특정라이저(특정 홀호출버튼)상에 있는 것과 같이 표시된 중간층 구간 홀호출을 수신할 수 있으며, 대개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키형태에 응답하여서만 액세스되거나 액세스되지 않을 수 있다. 제 8도에서 중간층 그룹의 홀호출 배정루틴은 전환지점(37)을 통하여 도달되고 첫번째 테스트단계(38)은 아직 배정되지 않은 중간층 홀호출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없다면 프로그램의 다른 부분들은 복귀지점(39)을 통하여 복귀된다. 카에 의해 아직 응답되지 않은 중간층 홀호출이 있으며, 루틴은 단계(40)에 도달하여 그룹(이 경우에는 중간층 그룹)에 이용가능한 카의 맵이 양 그룹에 이용가능한 카(즉, 제 4 도 또는 5 도에서 "양측 이용가능" 플래그를 설정한 모든 스위카)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그 그룹에 대한 홀호출은 중간층 서비스를 요구하는 모든 홀호출에 대해 동일하게 되도록 취해진다. 그 다음에 전술한 4,363,381호특허와 제6-12 도에 설명된 홀호출배정루틴(41), 또는 어떤 다른 적당한 홀호출 배정루틴이 제공될 수 있다. 카가 홀호출에 배정된 경우에는 4,363,381호특허에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루틴이 응답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때문에 그 호출에 응답하거나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배정된 호출이 있을때 그 호출은 현재 제어중인 카의 그룹과 동일한 층구간내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다. 예를들어, 저층그룹에서 상향으로 이동하여 호출에 응답하는 카가 사실상 고층구간에서 중간층 호출에 도달하는 가장 빠른 또는 최선의 카이면, 그 카는 저층그룹에 의해 여전히 제어되면서 고층구간내의 호출에 배정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멀티 그룹특징이다. 유사하게 고층그룹에 의해 제어되는 카는 저층구간내의 중간층 구간호출에 배정될 수 있는데, 이때 이 카는 그 호출에 응답하는 최선의 후보자인 것으로 나타난다. 최선의 후보자에 대한 결정은 4,363,381호 특허에 개시된 관련시스템 응답방법론에 따라서 또는 어떤 다른 적당한 방법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중간층 구간운행의 경우에 어느 한 운행그룹에서의 관련 운행레벨은 비교적 양호한 배정이 양 그룹에 이용가능한 스윙카들중 하나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착안하기 위하여 무시된다. 필요하다면, 단계(40)에서 중간층 그룹에 이용가능한 카들의 배정은 서비스중에 있는 모든 스윙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카들이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또는 로비급송기에 의해 전용된다 하더라도(제 4 도에 도시된 것처럼)무방하다. 이러한 변화는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
제 9도를 참조하면 스윙카가 운휴상태에 있을때를(어느 방향으로도 수요가 없고 서비스되어야할 홀호출이나 카호출이 없을때)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인식할 수 있다. 발명의 이러한 특징의 목적은 수요가 비로비층에서 있고 카가 최고의 필요성을 갖는 층에 직접 접근할 때 스윙카를 로비에 복귀시킬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 9도에서 5번 카 운휴루틴은 전환지점(44)를 통하여 도달하고 제 1테스트(45)에서는 도어가 완전히 열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완전히 열렸으면 승객들이 아직까지 카에 탑승할 수 있는지 및 카호출버튼을 눌러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아서 테스트(45)의 결과가 부정으로 표시되면 테스트(46)에서는 카가 방향을 갖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것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았고 방향도 갖지 않으면 수요가 없는 운휴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테스트(46)의 부정의 결과가 단계(47)에 도달하여 5번 카가 저층그룹 및 고층그룹 모두에서 인에이블된다. 그 다음에 프로그램의 다른부분들은 복귀지점(48)을 통하여 복귀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또하나의 특징인데, 이것에 의해 운휴하는 양측 그룹에 인에이블된 상태로 현재의 위치에서 단순히 머물러 있게 되며, 호출지점이 이루어지자 마자 가장 필요로하는 층으로 직접 진행할 수 있다. 만일 로비호출이 있고, 운휴카가 그 호출에 응답할 최선의 것이면 호출지정은 로비층에 대하여 행하여짐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저층그룹의 층 또는 고층그룹의 층에서의 홀호출에 대해 호출지정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완전히 다른 실시예가 제 10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는 단계(22-32) 및 (33-36)이 제 6 도와 같고, 제 6 도의 테스트 단계(37)이 제거되는 점, 양측 그룹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측 이동중인 카가 테스트(36)의 긍정결과에의해 상측호출에 배정할 목적으로 어떤 그룹에 임시로 부가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테스트(36)의 긍정결과는 단계(27에서 고층그룹에 카를 부가시킨다. 그 다음에 단계(28-32)에서는 상측호출이 고층그룹에서 인에이블된 카를 포함하여 고층그룹에 이용가능한 카들과 상향으로 이동중인 양측 그룹에 이용가능한 카들 하나에 배정된다. 호출이 배정되었을때 배정을 받은 카는 전술한 4,363,381호 특허에서 "KAR"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테스트(37e)는 카 P가 상기 상측호출에 배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만일 아니면 루틴은 루틴의 최종지점(E.O.R; 4,363,381호 특허의 제 12 도의 참조번호(8))을 통하여 탈퇴된다. 반대로 상측호출이 카 P에 배정되어 있으면, 저층그룹에서의 실행이 결정될 것이다. 서브루틴(37f)에서 모든 저층구간 홀호출에 대한 개략적인 대기 시간이 계산되고 그 평균의 2배의 값이 서브루틴(378)에서 "XS WAIT"라고 하는 임계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 다음에 테스트(37h)에서는 어떤 저층호출에 대한 개략적 대기시간이 임계치 "XS WAIT"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만일 이상이 아니면 이것은 카 P에 대한 호출의 지정이 승인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루틴은 루틴의 최종지점을 통하여 탈퇴된다. 반대로 어떤 저층호출이 과도한 대기시간을 가지면 저층구간에서 더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하고 양측 구간에서 이용가능한 저층용 카를 고층용 구간에서의 호출에 사용하지 않는다. 테스트(37h)의 긍정의 결과는 단계(23a,24a) 및 (25a)로서 반복되는 단계(23),(24) 및 (25)에서 배정 루틴을 위한 초기지점을 설정하게 하고 프로그램은 단계(34)로 복귀하여 카 P가 고층그룹의 카의 맵으로 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에 상측호출이 다시 한번 배정되는데 이번에는 배정과정에서 카 P가 배제된다. 배정이 종료될때테스트(37e)는 부정의 결과를 가질 것이고, 따라서, 루틴은 루틴의 최종지점을 통하여 탈퇴한다. 테스트 기준으로서 어떤 유용한 운행레벨특성(로비호출대기, 고층구간 홀호출 대기등)을 사용하여 저층그룹에서의 하측호출에 대한 배정에 대하여 고층그룹의 하향이동호출을 하기 위해 제 9도의 루틴과 거의 동일한 루틴을 사용할 수 있다. 카에 대한 호출배정후에 발새하는 과도한 대기는 그와같은 특수한 배정때문에 일어날 수도 있고 또는 그와같은 특수한 배정때문에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XW WAIT 임계치는 여전히 초과될 수 있으나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어떠한 경우에도 카는 테스트(37h)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현재 구동중인 층구간에서 당분간 그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저층그룹에서 하향이동중인 카에 대해서는 제 10도 및 제 7도와 유사한 루틴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서브루틴(37f, 37g) 및 단계(37h) 대신에 하향으로 이동할때 고층용 로비호출에 대해서만 유사한 서브루틴 및 테스트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루틴은 예시적인 것이며, 건물의 여러부분에서 여러방향으로 운행레벨 특성에 관련된 무한의 기준배열이 있고 어떤 주어진 설비에서의 양호한 사용을 위해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도록 무수한 테스트의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어떤 한쌍의 층구간(예컨대 극히 높은 빌딩의 세번째 및 네번째 층 구간)사이 뿐만아니라 인접하지 않은 층구간사이(예컨대 높은 빌딩의 두번째와 네번째 층구간사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실상 용어 "저(low)" 및 "고(high)"가 "더낮은(lower)"과 "더높은(higher)"과 동일하게 취하여지고 있지만, 그리고 각 루틴이 인접층 구간들 사이에서 처럼 이용가능하게 되지만, 스윙카는 여기에서 설명된 원리에 따라 한 층구간으로 부터 인접층구간으로 그 다음에 그층 구간으로 부터 또다른 층구간으로 이전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저층구간"은 고층구간으로서 확인된 어떤 층구간에 대하여 더 낮은 이떤 층구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고층구간은 그 보다 더 낮은 층구간 보다 더 높은 어떤 층구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빌딩의 제어기는 단일 제어기(고층, 저층 및 중간층 그룹제어를 포함함)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일 제어기는 단일의 신호 처리장치 또는 분배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제어기들이 있을 수 있는데, 즉 제 2 도와 전체빌딩기능을 위한 하나, 고층그룹부담과 제 2 도와 제 6 도의 호출배정을 위한 하나, 저층그룹부담과 제 7도의 호출배정을 위한 하나, 제 4 도의 스윙제어 및 제 9도의 운휴제어를 위한 각 카에 대한 하나등이 있을 수 있다. 이 루틴들은 젼술한 특허출원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어떤 동기된 방식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지만 다른 루틴의 이전구동에서 다른 것에 의해 제공된 인수들을 단순히 사용할 것이다. 이 루틴들은 수회 일정하게 반복된다. 루틴들은 카들이 실제로 이동중에 있는 동안, 그리고 카들이 전체적으로 정지되어 승객들의 출입을 허용하는 동안, 그리고 카들이 운휴 또는 정지되어 있는 동안 수행된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동중인"은 반드시 이동을 내포할 필요는 없고 카가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전진하는 순서에 따라 이동할때 이동중에 간간이 삽입된 호출에 대한 정지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제 2 도와 제 3 도의 부담결정및/또는 제 4 도의 "NEXT=LO"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결정과정들은 도시된 바와같이 예(Y) 또는 아니오(N)를 가질 필요는 없고 임계치 및 기타 변수들은 단일 값으로 정해질 필요는 없다. 그 대신 본 발명의 법칙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5,260,526에서 설명된 퍼지로직기술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로서, 저층구간운행부담 또는 로비운행부담(또는 이들 모두)의 처리를 보조하도록 저층구간에서 잔류하게끔 카가 저층구간에서 상향이동할 필요성은 퍼지번호로 표시될 수 있고 카가 고층구간에 대한 보조를 제공할 필요성을 나타내는 퍼지번호로 부터 감산될 수 있으며, 그에따라 양측구간을 반영하는 유연결과를 카가 진행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고층구간에서 하향이동하는 카는 내부의 승객의 수를 나타내는 퍼지번호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저층구간이 하측 홀호출에 응답함에 있어서 지원을 받을 필요성을 나타내는 퍼지번호로부터 감산되어 그 부담을 경감하고 카가 로비에 접근함에 따라 카가 정지없이 급행구역을 통과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이 번호들은 앞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사실적인 값 및 예상값을 반영할 수 있다. 이들 모두는 본 발명과 무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변형, 삭제 및 부가를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간단한 측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고층그룹의 운전부하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3 도는 저층 그룹과 중간층 그룹사이의 운전부하를 결정하고 장시간 대기로 결정된 호출길이를 정의하며 야간/주말 스윙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저층그룹이나 중간층그룹 또는 이들 모두에서 5번 카를 동작시키는데 필요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6 도는 제 1 실시예로서 고층그룹에 이용할 수 있는 스윙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카들에 대해 고층그룹의 홀 호출을 배정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6a 도는 제 5 도의 제 1 변형예로서 다른 운행레벨 특성설명도.
제 6b 도는 제 5 도의 변형예로서 운행레벨 특성들의 조합의 사용 설명도.
제 7 도는 저층그룹에 이용할 수 있는 스윙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카들에 대해 저층그룹의 홀 호출을 배정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7a 도는 제 6 도의 변형예로서 또다른 운행레벨 특성의 설명도.
제 7b 도는 제 6 도의 변형예로서 또다른 운행레벨 특성의 설명도.
제 8 도는 이용가능한 스윙카에 대해 중간층 구간의 홀 호출을 배정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9 도는 스윙카 운휴상태에 있을 때마다 그 스윙카를 필요로 하는 곳에 직접 배정하기 위한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제 10 도는 제 2 실시예로서 고층그룹에 이용할 수 있는 스윙카를 포함한 엘리베이터카들에 대해 고층그룹의 홀 호출을 배정하기 예시루틴의 논리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저층용 로비복도 14: 고층용 로비복도
15: 저층용카 16: 스윙카
17: 고층용카 BOT HI: 고층용구간의 최저층
TOP LO: 저층용구간의 최고층

Claims (66)

  1.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며,
    다음 스윙카 배정이 행하여져야할 선택된 그룹의 층들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 신호에 응답하여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는 스윙카 배정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과 배정신호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한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그룹의 층들외의 홀호출에 대한 상기 카의 응답을 디세이블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운행 특성을 나타내는 운행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운행특성을 나타내는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윙카가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상기 카에 배정된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될때 상기 그룹제어들중 다른 것에 의해 배정된 상기 그룹의 층들의 다른 층내에 있는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다음 카 배정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의 층들외의 층에 대하여 상기 스윙카의 홀호출랜턴, 도어 및 카 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윙카의 위임층이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연속한 다른 그룹의 층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다른 그룹의 상기 연속층인 상기 위임층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그룹의 층들에 대해 상기 스윙카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잉카가 배정된 구동을 완료할때 상기 그룹의 층들외의 층들에 대하여 상기 스윙카의 홀호출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윙카의 위임층이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연속하는 상기 다른 그룹의 층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다른 그룹내의 연속하는 층인 상기 위임층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그룹의 층들에 대해 상기 스윙카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상기 스윙카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저층 그룹층들내의 운행레벨을 상기 고층그룹층들내의 운행레벨과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그룹의 층들중 어느것이 더 높은 레벨의 운행부담을 갖는지에 따라 상기 스윙과 배정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그룹의 층들의 상기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하고, 상기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해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다른 그룹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해 상기 카의 응답을 디세이블하고, 상기 스윙카가 배정된 구동을 완료할때 상기 스윙카 배정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장시간 대기 임계치 이상의 시간동안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서 대기하는 홀호출이 없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상기 스윙 카가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이동방향으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에서 장시간 임계치 시간 이상동안 대기하는 홀호출이 없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장시간 임계치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대기하는 저층그룹 층들내의 하측 홀호출을 나타내는 장시간 대기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내에서 상향이동하고 상기 저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될때, 상기 장시간 대기신호가 없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고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고층그룹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장시간 대기신호가 없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고층 그룹층들의 상측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운행특성은 장시간 대기 임계치시간 이상동안 상기 다른 그룹의 층들에서 대기하는 홀호출이 있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상기 스윙카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서비스하도록 상기 다른 그룹의 층들에서 장시간 대기 임계치 시간이상동안 대기하는 홀호출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장시간 임계치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대기하는 저층그룹 층들내의 하측 홀호출을 나타내는 장시간 대기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내에서 하향이동하고 상기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고층그룹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될때, 상기 장시간 대기신호가 존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저층그룹층들의 하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소정의 임계치 부담이하인 선택된 그룹층들내의 홀호출부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상기 스윙카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이동방향으로 서비스하도록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홀호출에서 상기 소정의 임계치 부담이하인 홀호출부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임계치 부담을 초과하는 상기 저층그룹 층들내의 하측 홀호출 부담을 나타내는 부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내에서 상향이동하고 상기 저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될때, 상기 부담신호가 없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고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고층그룹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고층그룹층들의 상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소정의 임계치 부담이하인 선택된 그룹층들내의 운행부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임계치 운행부담 이하인 상기 고층그룹 층들내의 운행부담을 나타내는 운행부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내에서 하향이동하고 상기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고층그룹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될때, 상기 운행부담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저층그룹층들의 하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임계치 로비부담이하인 로비부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윙카가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내에서 상향이동하고 상기 저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인에이블될때 상기 운행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고층그룹층들내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층 그룹층들내의 상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윙카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내에서 하향이동하고 상기 고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인에이블될때 상기 운행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층들내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저층 그룹층들내의 하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특성은 상기 시스템에서의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층 그룹제어 및 저층 그룹 제어에 의해 각가 배정되는 상기 고층 그룹 층들 및 상기 저층 그룹층들에서 양 방향으로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은 주말중의 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은 야간의 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은 야간의 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들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층 그룹들중 단지 하나에 대한 통로를 가진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단지하나의 층그룹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가진 전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중에 상기 전용카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들중 적어도 하나는 단지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에대한 통로를 가진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단지 저층그룹의 층들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가진 전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들중 적어도 하나는 단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에 대한 통로를 가진 승강로내애 배치되고 상기 단지 고층그룹의 층들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가진 전용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중에 상기 전용카들을 모두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시스템에서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을 나타내는 상기 운행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윙카 배정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경부하 운행시놓가 존재할때를 제외하고 상기 층그룹외의 다른 그룹층들에 대하여 상기 스윙카의 홀호출 랜턴, 도어 및 카 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4.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며,
    다음 스윙카 배정이 행하여져야할 선택된 그룹의 층들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 신호에 응답하여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는 스윙카 배정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과 배정신호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한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 하며,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들중 적어로 하나는 상기 층 그룹들중 단지 하나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단지 하나의 층그룹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전용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행레벨 특성을 나타내는 운행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의 특정의 운행 레벨특성을 표시하는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용 엘리베이터 카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레벨 특성은 상기 시스템에서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은 주말중의 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은 야간의 시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은 주말중의 시간을 또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을 나타내는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층 그룹 및 저층그룹의 양방향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들중 적어도 하나는 단지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에대한 통로를 가진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단지 저층그룹의 층들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가진 전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들중 적어도 하나는 단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에 대한 통로를 가진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단지 고층그룹의 층들에 대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가진 전용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극히 경부하의 운행기간중에 상기 전용카들을 모두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1.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며,
    다음 스윙카 배정이 행하여져야 할 선택된 그룹의 층들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 신호에 응답하여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는 스윙카 배정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피크운행기간을 나타내는 피크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크신호가 없을때 상기 스윙카 배정신호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층그룹의 홀호출에 대하여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측 피크운행기간에 응답하여 상기 피크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3.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하측 피크운행기간을 응답하여 상기 피크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4.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크신호의 존재시에 상기 층그룹들중 하나에서의 홀호출에 대해 상기 스윙과의 응답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크신호가 없을때 상기 층그룹들중 어느 것에서의 홀호출에 대하여도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6.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며,
    다음 스윙카 배정이 행하여져야할 선택된 그룹의 층들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 신호에 응답하여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는 스윙카 배정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과 배정신호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한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윙카가 수요를 갖지 않을때를 결정하고 그 결정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층 그룹들중 어느 하나에서의 홀호출에 대해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7.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며,
    다음 스윙카 배정이 행하여져야할 선택된 그룹의 층들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 신호에 응답하여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는 스윙카 배정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과 배정신호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한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운행특성을나타내는 운행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호출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층그룹들중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게끔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시키며, 상기 다른 층 그룹내의 층인 상기 스윙카의 위임층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층 그룹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른 층 그룹내의 층인 상기 스윙카의 위임층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총 그룹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시스템의 특수한 운행레벨특성을 나타내는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윙카가 상기 선택된 층 그룹내에서 이동할때,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된 층그룹들중 다른 그룹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0.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윙카가 상기 선택된 층그룹내에서 이동할때 상기 다른 층그룹내의 한층에 대해 서비스하게끔 카호출을 등록하도록 상기 스윙카내의 승객들을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른 층그룹으로 부터 상기 선택된 층그룹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선택된 층그룹내의 층인 상기 스윙카의 위임층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층그룹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른 층그룹으로 부터 상기 선택된 층그룹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고, 그 다음에 상기 선택된 층그룹내의 층인 상기 스윙카의 위임층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층그룹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층그룹은 상기 저층용 그룹이고, 상기 다른 층그룹내의 상기 층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중 최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4.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층 그룹은 상기 저층용 그룹이고, 상기 다른 층 그룹내의 상기 층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중 최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5.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층그룹은 상기 고층용 그룹이고 상기 다른층 그룹의 상기 층은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중 최고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6.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윙카가 로비층에 접근할때마다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의 로비홀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하고, 대응하는 그룹제어들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층 그룹들중 어느 하나에서의 홀호출에 대해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며, 상기 층 그룹들의 모두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디스패칭하게끔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7.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층 그룹내의 최저층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위임층을 갖는 상기 스윙카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의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디세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8.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운행특성을 나타내는 운행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특수한 운행특성을 나타내는 상기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윙카가 상기 층그룹중 하나에서 하향이동할때 상기 그룹 제어들중 하나에 의해 배정된 상기 층 그룹들중 다른 그룹에서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59.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장시간 대기 임계치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대기하고 있는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에서의 하측 홀호출을 나타내는 장시간 대기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저층그룹내에서 하향이동할때 상기 장시간 대기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된 상기 저층그룹의 층들에서의 홀호출에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저층 그룹에서의 하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르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1.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임계치 부담을 초과하는 상기 저층그룹 층들내의 하측 홀호출 부담을 나타내는 부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고층그룹의 층들내에서 하향이동할때, 상기 부담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저층그룹 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저층그룹층들의 하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3.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카는 자신이 거의 비어있음을 표시하는 부하신호를 제공하고, 상기제어기는 상기 스윙카가 상기 고층용 그룹내에서 하향이동할때 상기 부하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저층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된 상기 저층 그룹층들의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저층 그룹층들의 하측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5.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층 그룹들중 하나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주기적으로 배정하고, 상기 스윙카가 상기 층그룹중 다른 층을 향하여 상기 층그룹 내에서 이동할때,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흐름을 과도하게 방해하지 않는 한 상기 층그룹중 다른 그룹에서 배정된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
  66. 저층 그룹제어 및 고층 그룹제어에 의해 자신에게 배정된 상측 홀호출 및 하측 홀호출에 각각 응답하여 적어도 저층용 그룹의 층들 및 고층용 그룹의 층들에서 서비스하도록 배열되고 동일한 로비층에서 관련 층들에 대한 통행을 제공하는 서비스 복도를 가진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엘리베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양 그룹들의 층에 대한 통로를 갖는 승강로에 배치되고 상기 저층용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1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과 상기 고층용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기 위한 제 2 도어, 홀랜턴 및 카호출버튼을 구비한 스윙카를 포함하며,
    다음 스윙카 배정이 행하여져야 할 선택된 그룹의 층들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 신호에 응답하여 로비홀 랜턴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의 나머지 홀랜턴, 도어 및 카호출버튼을 인에이블시키게 되는 스윙카 배정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과 배정신호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되는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내의 홀호출에 대한 상기 스윙카의 응답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선택된 그룹의 층들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급송하는 제어기를 포함한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멀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와 적어도 하나의 운행특성을 나타내는 특수한 운행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홀호출을 배정하기 위한제 3그룹 제어를 포함한 시스템에서, 특수한 운행특성을 나타내는 상기 특수한 운행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그룹제어에 의해 배정된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상기 스윙카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950000334A 1994-01-10 1995-01-09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그룹으로 배정할수 있는 멀티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393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79,459 1994-01-10
US08/179,459 US5480005A (en) 1992-05-26 1994-01-10 Elevator swing car assignment to plural groups
US08/179459 1994-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52A KR950031852A (ko) 1995-12-20
KR100393155B1 true KR100393155B1 (ko) 2004-03-18

Family

ID=22656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334A KR100393155B1 (ko) 1994-01-10 1995-01-09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그룹으로 배정할수 있는 멀티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480005A (ko)
EP (1) EP0662443B1 (ko)
JP (1) JPH07206283A (ko)
KR (1) KR100393155B1 (ko)
CN (1) CN1046918C (ko)
AU (1) AU690597B2 (ko)
CA (1) CA2138200A1 (ko)
DE (1) DE69511587T2 (ko)
HK (1) HK1003710A1 (ko)
SG (1) SG91792A1 (ko)
TW (1) TW316893B (ko)
ZA (1) ZA9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5708A (ja) * 1996-05-29 1997-12-09 Otis Elevator Co 群管理エレベーター
US6481535B1 (en) * 2000-05-16 2002-11-19 Otis Elevator Company Dispatching algorithm for piston-type passenger conveying system
US6905003B2 (en) * 2002-04-10 2005-06-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device
JP2007521200A (ja) * 2003-08-06 2007-08-0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交通の制御
EP1553038A1 (de) * 2004-01-06 2005-07-13 Inventio Ag Verfahren zur energiesparenden Steuerung einer Aufzugsgruppe und Aufzugsanlage
JP5138864B2 (ja) 2004-01-06 2013-02-06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ネルギー節約型エレベータコントロール法、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
DE102006046062B4 (de) 2006-09-27 2018-09-06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ufzug- oder ähnlichen Beförderungssystems
DE102006046059B4 (de) * 2006-09-27 2020-11-1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ufzug- oder ähnlichen Beförderungssystems
US8151943B2 (en) *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WO2009154618A1 (en) * 2008-06-18 2009-12-23 Otis Elevator Company Dynamic elevator group sizing for energy saving
EP2336067A4 (en) * 2008-08-20 2017-12-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method
FI121009B (fi) * 2008-10-24 2010-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5347492B2 (ja) * 2008-12-25 2013-11-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TWI401610B (zh) * 2009-07-03 2013-07-11 Shih Pi Ta Technology Ltd 一種派遣車輛之裝置及其操作方法
US9440818B2 (en) * 2014-01-17 2016-09-13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Elevator swing operation system and method
EP2949613A1 (en) * 2014-05-26 2015-12-02 ThyssenKrupp Elevator AG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s
JP6781110B2 (ja) * 2017-06-26 202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ゲート連動システム及び群管理制御方法
CN107601191B (zh) * 2017-08-30 2019-04-09 西安财经学院 一种上班高峰时期的电梯运行模式以及电梯规划方法
US10947086B2 (en) * 2017-11-30 2021-03-16 Otis Elevator Company Sequence triggering for automatic calls and multi segment elevator trips
JP6792586B2 (ja) * 2018-03-23 2020-1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20190300328A1 (en) * 2018-03-29 2019-10-03 Otis Elevator Company Super group dispatching
US11383954B2 (en) * 2018-06-26 2022-07-12 Otis Elevator Company Super group architecture with advanced building wide dispatching logic
CN114314217B (zh) * 2021-11-27 2024-08-16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乘梯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6953A (en) * 1962-12-12 1968-04-09 Hitachi Ltd Elevator plural car system including means to select one group of cars as the active group
BE758982A (fr) * 1969-11-18 1971-05-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Systeme d'ascenseur ameliore avec appel par zone
GB1433941A (en) * 1972-04-19 1976-04-28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systems
JPS541977B2 (ko) * 1973-07-13 1979-01-31
US4007812A (en) * 1975-07-07 1977-02-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CH644820A5 (de) * 1978-12-12 1984-08-31 Inventio Ag Aufzugsanlage.
US4363381A (en) * 1979-12-03 1982-12-14 Otis Elevator Company Relative system response elevator call assignments
US4349087A (en) * 1981-02-13 1982-09-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otor/generator run protocol
JPS58172165A (ja) * 1982-04-02 1983-10-08 株式会社東芝 群管理制御エレベ−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4792019A (en) * 1988-02-12 1988-12-20 Otis Elevator Company Contiguous floor channeling with up hall call elevator dispatching
JP2630413B2 (ja) * 1988-03-08 1997-07-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複合ビルディングの共用エレベータ
US4815568A (en) * 1988-05-11 1989-03-28 Otis Elevator Company Weighted relative system response elevator car assignment system with variable bonuses and penalties
US5024295A (en) * 1988-06-21 1991-06-18 Otis Elevator Company Relative system response elevator dispatcher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vary bonuses and penalties
US4838384A (en) * 1988-06-21 1989-06-13 Otis Elevator Company Queue based elevator dispatching system using peak period traffic prediction
US5022497A (en) * 1988-06-21 1991-06-11 Otis Elevator Company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rowd sensing system for elevator car assignment
JPH0757673B2 (ja) * 1988-06-22 1995-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H0455271A (ja) * 1990-06-22 1992-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共用エレベータの運転方式
JPH0480185A (ja) * 1990-07-20 1992-03-1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US5260526A (en) * 1991-04-29 1993-11-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ignment conditioned on minimum criteria
JP2639265B2 (ja) * 1991-12-17 1997-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多群制御装置
US5272287A (en) * 1992-03-19 1993-12-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nd riser transfer
US5300739A (en) * 1992-05-26 1994-04-05 Otis Elevator Company Cyclically varying an elevator car's assigned group in a system where each group has a separate lobby corridor
JPH08185A (ja) * 1994-06-19 1996-01-09 Masaharu Hirama 改善された食用卵並びに食肉及びそれらの生産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159894A (en) 1995-07-20
CA2138200A1 (en) 1995-07-11
EP0662443A2 (en) 1995-07-12
AU690597B2 (en) 1998-04-30
HK1003710A1 (en) 1998-11-06
EP0662443B1 (en) 1999-08-25
DE69511587T2 (de) 1999-12-16
SG91792A1 (en) 2002-10-15
US5480005A (en) 1996-01-02
EP0662443A3 (en) 1996-01-24
CN1112084A (zh) 1995-11-22
ZA9588B (en) 1995-11-13
JPH07206283A (ja) 1995-08-08
KR950031852A (ko) 1995-12-20
CN1046918C (zh) 1999-12-01
TW316893B (ko) 1997-10-01
DE69511587D1 (de) 199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155B1 (ko) 엘리베이터 스윙카를 복수그룹으로 배정할수 있는 멀티엘리베이터 시스템
EP0030823B1 (en) Relative system response elevator call assignments
KR100311931B1 (ko) 승객운행시간을최적화하고이층식엘리베이터로구성되는엘리베이터그룹제어방법
US4323142A (en) Dynamically reevaluated elevator call assignments
US4895223A (en) Method for sub-zoning an elevator group
US725820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s in an elevator group
JP3040237B2 (ja) 残り応答時間に基づくエレベータ運行方法
JPH077205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CA2472532C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operated with zoning and an elevator installation
JPH06156895A (ja) 複数エレベータかごの派遣方法
KR100393156B1 (ko) 다-엘리베이터시스템
US5969304A (en) Elevator system having high rise elevator without express zone
US5427206A (en) Assigning a hall call to an elevator car based on remaining response time of other registered calls
US4401190A (en) Cars/floors and calls/cars elevator assignments
Amano et al. The latest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JPH03200677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7277609A (ja) 昇降機システムの制御装置
GB2290885A (en) Express elevator system
JPH02144385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GB2315567A (en) Indicating relevant lobby area for elevators
JPH0321647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912053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513224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6263339A (ja) 複数群管理エレベーター
JPH0915104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運行装置及び運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