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342B1 - magnetic head device - Google Patents
magnetic head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6342B1 KR100376342B1 KR10-2000-0060571A KR20000060571A KR100376342B1 KR 100376342 B1 KR100376342 B1 KR 100376342B1 KR 20000060571 A KR20000060571 A KR 20000060571A KR 100376342 B1 KR100376342 B1 KR 100376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 holder
- base
- cor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0—Structure or manufacture of housings or shields for heads
- G11B5/105—Mounting of head within housing or assembling of head and hous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265—Structure or manufacture of a head with more than one gap for erasing, recording or reproducing on the same track
- G11B5/2652—Structure or manufacture of a head with more than one gap for erasing, recording or reproducing on the same track with more than one gap simultaneously operative
- G11B5/2654—Structure or manufacture of a head with more than one gap for erasing, recording or reproducing on the same track with more than one gap simultaneously operative for recording or eras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종래의 자기헤드에서는 코어가 수납된 케이스의 저면을 베이스 기판(基板)에 고정하여, 베이스 기판에 대하여 위치결정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각 코어 및 자기갭을 베이스 기판에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없다.In the conventional magnetic head,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in which the core is accommodated is fixed to the base substrate, and the base substrate is positioned, the core and the magnetic gap cannot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base substrate.
홀더 (10) 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결정부 (23, 51) 에 각 자기기능부재 (12, 13, 14) 의 코어 (41, 56) 가 위치결정되어 있고, 홀더 (10) 의 기록ㆍ재생용의 자기기능부재 (12, 13) 가 유지되는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하면이 베이스 기판 (17) 상에 직접 맞닿아 홀더 (10) 가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 (17) 에 형성된 유지편 (71, 71) 에 의해 홀더 (10) 및 케이스 (15) 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코어 (41, 56) 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갭 (G1, G2, G3) 이 베이스 기판 (17) 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된다.The cores 41 and 56 of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13 and 14 are positioned in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portions 23 and 51 formed in the holder 10, and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the holder 10 is performe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in which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and 13 are held directly contacts the base substrate 17 so that the holder 10 is positioned. In addition, the holder 10 and the case 15 are held by the holding pieces 71 and 71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17. Therefore, the magnetic gaps G1, G2, G3 formed by the respective cores 41, 56 ar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17.
Description
본발명은, 코어와 코일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능부재가 복수개 설치된 자기헤드장치에 관련되고, 특히 복수의 자기기능부재를 베이스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는 자기헤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head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ic functional members consisting of a core and a c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gnetic head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a plurality of magnetic functional members with respect to a base with high accuracy.
VTR 용의 콤비네이션헤드 등에는, 복수개의 코어와 코일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능부재가 실드케이스내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헤드장치는 베이스 기판상에 고정되고, 이 베이스 기판을 통하여 기기본체에 부착된다.In a combination head or the like for a VTR, a magnetic functional memb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res and coils is held in a shield case. The head device is fixed on the base substrate and attached to the device body through the base substrate.
종래의 이 종류의 자기헤드는, 복수의 코어의 각각을 유지한 홀더가 실드케이스내에 삽입되어 수지 등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드케이스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에 용접, 코킹 또는 볼트고정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agnetic head of this kind, a holder holding each of a plurality of cores is inserted into a shield case and fixed with resi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eld case is connected to the base by means of welding, caulking or bolting. It was fixed.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기헤드장치에서는 베이스에 대하여 실드케이스가 고정되고, 이 실드케이스내에 홀더를 통하여 코어가 위치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코어로의 위치결정에 실드케이스나 홀더의 치수공차나 위치결정공차가 누적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기판에 대한 코어의 자기갭의 위치의 격차가 크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gnetic head device, the shield case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since the core is positioned through the holder in the shield case, the dimensional tolerances and positions of the shield case and the holder are used for positioning from the base substrate to the core. The crystallization tolerances accumulate. Therefore, the gap of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gap of the core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becomes large.
또한, 복수의 코어가 실드케이스에 수납된 VTR 용의 자기헤드장치 등은, 실드케이스가 가늘고 길며 높기 때문에 실드케이스의 저면만을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 기판에 부착되면, 베이스 기판에 대한 실드케이스의 경사공차가 크게 된다. 또 베이스 기판에 대한 실드케이스의 슬라이딩면의 위치도 산포 (散布) 하기 쉽게 된다.In addition, the magnetic head device for a VTR in which a plurality of cores are housed in the shield case has a thin, long and high shield case, so that when it is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based only on the bottom of the shield case, the inclination tolerance of the shield case relative to the base substrate Becomes large. Moreover, the position of the sliding surface of the shield case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is also easy to spread.
그 때문에, 베이스 기판을 기기본체의 섀시 등에 부착할 때에 베이스 기판과 상기 섀시와의 사이의 경사 조정이나 높이 조정을 3 차원적이면서 큰 조정폭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조립조정 작업이 번잡하다.Therefore, when attaching the base substrate to the chassis of the device body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perform inclination adjustment and height adjustment between the base substrate and the chassis in a three-dimensional and large adjustment width. Therefore, assembly and adjustment work is complicated.
또, 실드케이스내에 기록ㆍ재생용의 코어와 소거용의 코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기기본체에 대하여 기록ㆍ재생용의 코어 및 자기갭을 베이스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위치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기록ㆍ재생용의 코어와 소거용의 코어가 수납된 실드케이스를 베이스에 위치결정하는 구조이면, 베이스에 대하여 기록ㆍ재생용의 코어를 우선하여 위치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In the case where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 and the erasing core are formed in the shield case, it is necessary to preferentially position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 and the magnetic gap with respect to the base of the apparatus body.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ioritize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s with respect to the base if the shielding case in which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s and the erasing cores are housed is positioned on the base.
본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코어 및 자기갭을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를 기기본체에 부착할 때의 조정폭을 작게 할 수 있으며, 혹은 조정이 불필요한 자기헤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can accurately position the core and the magnetic gap with respect to the base, reduce the adjustment width when attaching the base to the device body, or eliminate the need for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 본발명은, 케이스내에 복수의 코어가 형성되어 케이스의 높이 치수가 크게 된 것이어도 베이스에 대한 케이스의 불필요한 공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또 기록ㆍ재생용 코어와 소거용 코어의 쌍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기록ㆍ재생용 코어를 우선하여 베이스상에서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한 자기헤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lurality of cores are formed in the case to increase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ase, unnecessary tolerance of the case to the base can be minimized, and both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 and the erasing core are form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gnetic head device in which a recording / reproducing core is preferentially positioned on a base in a case where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 is set.
본발명은, 자기갭을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자계를 유도하고 및/또는 코어내의 자계를 검출하는 코일을 갖는 자기기능부재와 상기 자기기능부재가 복수개 장착되는 홀더와 상기 자기기능부재를 덮는 상태로 상기 홀더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자기갭을 노출시키는 케이스와 기기본체로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를 갖는 자기헤드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 magnetic functional member having a core forming a magnetic gap and a coil for inducing a magnetic field in the core and / 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in the core, a holder to which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 is mounted, and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 A magnetic head device fixed to the holder in a state and having a case for exposing the magnetic gap and a base for attaching to the device body,
상기 복수개의 자기기능부재의 코어가 상기 홀더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홀더에 설치된 베이스 위치결정부가 상기 베이스에 직접 맞닿음으로써, 상기 베이스상에 상기 홀더가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re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functional members are positioned by a positioning portion formed in the holder, and the holder is positioned on the base by directly contacting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provided on the holder. It is characterized by.
따라서, 상기 케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일없이 상기 홀더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case is preferably positioned and fixed relative to the holder without contacting the base.
또한, 본발명에서의 케이스는 실드기능을 갖는 케이스의 경우도 있으며 실드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기록ㆍ재생용의 자기기능부재를 덮는 케이스의 경우에는 실드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he case of this invention may be a case which has a shield function, and may not have a shield function. For example, in a case of covering a magnetic function member for recording and reproduction, a shield function may not be required.
본발명에서는, 베이스에 대하여 홀더의 베이스 위치결정부가 직접 맞닿음으로써, 베이스상에서 홀더가 직접 위치결정되어 있고, 이 홀더에 대하여 코어 및 케이스가 위치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에 대한 코어의 위치결정을 홀더의 성형정도로 정할 수 있고, 케이스의 치수공차가 개재하는 일없이 케이스에 대하여 코어 및 자기갭을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를 기기본체에 부착할 때의 조정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조정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is directly positioned on the base by directly contacting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of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e core and the case ar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Therefore, the positioning of the core relative to the base can be determined by the degree of molding of the holder, and the core and the magnetic gap can b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with respect to the case without intervening dimensional tolerances of the case. Therefore, the adjustment width at the time of attaching the base to the apparatus main body can be reduced, and the adjustment can be made unnecessary.
본발명은, 홀더내에 1 개의 자기기능부재가 수납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도 적용되지만, 홀더에 복수개의 자기기능부재가 유지되어 있는 자기헤드장치에 있어서도 유효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to a case in which one magnetic functional member is housed in a holder, but is also effective in a magnetic head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ic functional members are held in a holder.
즉, 상기 홀더에는 기록ㆍ재생용의 자기기능부재가 유지되는 제 1 의 장착영역과 상기 자기기능부재와 자기테이프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병렬하는 소거용의 자기기능부재가 유지된 제 2 의 장착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베이스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에 형성되고, 홀더의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이 상기 베이스상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위치결정부는 제 1 의 장착영역으로부터 제 2 의 장착영역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at is, the holder has a first mounting area for holding the magnetic function member for recording and reproduction, and a second mounting area for the magnetic function member for erasing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function member and the magnetic tape.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first mounting region of the holder may be positioned on the base.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may be formed from a first mounting region to a part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예를 들면,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에는 기록ㆍ재생용의 제 1 의 자기기능부재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유지되고, 상기 소거용의 자기기능부재는 상기 제 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자기테이프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병렬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first mounting area, a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for recording and reproduction and a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are held in parallel with the bas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and the magnetic function member for erasing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s is hel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with the magnetic tape.
따라서,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에 설치된 베이스 위치결정부가 상기 베이스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홀더의 상기 제 2 의 장착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mounting area of the holder and the case while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mounting area is in contact with the base.
이와 같이, 복수의 자기기능부재가 설치되는 경우에, 기록ㆍ재생용의 자기기능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제 1 의 장착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상에서 홀더를 위치결정함으로써, 또는 제 1 의 장착영역과 제 2 의 장착영역의 일부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상에서 홀더를 위치결정함으로써, 베이스상에서 기록ㆍ재생용의 자기갭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Thus,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magnetic functional members are provided, the holder is positioned on the base relative to the first mounting region on which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for recording and reproduction are mounted, or the first mounting region and the first mounting region. By positioning the holder on the base on the basis of a part of the second mounting area,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gap for recording and reproduction on the base can be determined with high accuracy.
또한, 본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에는 대향을 이루는 유지편이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이 상기 유지편에 직접 또는 케이스를 통하여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iece which opposes is provided in the said base, and the said 1st mounting area of the said holder is hold | maintained directly by the holding piece or via a case.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편과 홀더의 일부가 베이스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상에서 맞닿음으로써, 홀더와 베이스와의 수직도가 확보되고, 나아가서는 자기테이프와의 슬라이딩면이 형성되어 있는 측을 전방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유지편에 의해 상기 홀더의 전방으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Further, preferably, the holding piece and a part of the holder abut on a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thereby ensuring a perpendicularity between the holder and the base, and furthermore, a sliding surface of the magnetic tape is formed. When the side is turned forward, positioning of the holder in front of the holder is performed by the holding piece.
이와 같이, 베이스에 형성된 유지편에서 제 1 의 장착영역이 유지되면, 비교적 높이 치수가 큰 홀더의 베이스에 대하여 경사공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또 자기테이프와의 슬라이딩면의 위치결정 정밀도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mounting area is held by the holding piece formed on the base, the inclination tolerance can be reduced with respect to the base of the holder having a relatively high dimension, and the positioning accuracy of the sliding surface with the magnetic tape can also be increased. have.
도 1 은 본발명의 자기헤드장치의 일예로서 VTR 용의 콤비네이션헤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head for a VTR as an example of the magnetic hea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케이스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case in which the case is not attached.
도 3 은 도 2 의 3-3 선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도 4 는 도 2 의 4-4 선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4 of FIG.
도 5 는 케이스 및 실드판을 부착하고, 또한 베이스 기판상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ase and a shield plate are attached and mounted on a base substrate.
도 6 은 케이스 및 실드판을 부착하여, 베이스 기판상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case and a shield plate are attached and installed on a base substrate.
도 7 은 케이스 및 실드판을 부착하여, 베이스 기판상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Fig. 7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ase and a shield plate are attached and installed on a base substrate.
도 8 은 홀더 및 탄성가압부재를 성형하는 금형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ld for molding the holder and the elastic pressing member.
도 9 는 제 2 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자기헤드장치의 정면도.Fig. 9 is a front view of the magnetic head device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도 10 은 제 3 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자기헤드장치의 부분정면도.Fig. 10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magnetic head device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홀더 10a : 형(型)관통구멍 10e : 돌기10: holder 10a: mold through hole 10e: protrusion
10f : 베이스 위치결정부 10g : 단차10f: base positioning unit 10g: step
12 :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3 : 제 2 의 자기기능부재12: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3: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
14 :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5 : 케이스14 third magnetic functional member 15 case
15a, 15b : 창 15a1 : 밑가장자리15a, 15b: Window 15a1: Bottom edge
15b1 : 위가장자리15b1: Upper edge
16 : 케이스 16b : 창 17 : 베이스 기판(基板)16 case 16b window 17 base substrate
21 : 제 1 의 장착영역 22 : 제 2 의 장착영역21: first mounting area 22: second mounting area
23, 51 : 위치결정부 24, 52 : 탄성가압부23, 51: positioning section 24, 52: elastic pressing section
24a, 52a : 대향부 24b, 52b : 제 2 의 대향부24a, 52a: facing part 24b, 52b: 2nd facing part
31, 32 : 지지벽 33, 53 : 횡방향 위치결정부31, 32: support wall 33, 53: transverse positioning part
34, 54 : 횡방향 탄성가압부 35, 55 : 종방향 위치결정부34, 54: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art 35, 55: longitudinal positioning part
41, 56 : 코어 42, 58 : 보빈 43, 59 : 코일41, 56: core 42, 58: bobbin 43, 59: coil
44, 61 : 단자 C1, G2, G3 : 자기갭 62 : 실드판44, 61: terminals C1, G2, G3: magnetic gap 62: shield plate
71 : 유지편 72 : 위치결정스터드71: Retention piece 72: Positioning stud
도 1 에 본발명의 자기헤드장치의 일예로서 VTR 용의 콤비네이션헤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 은 도 2 의 3-3 선의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4-4 선의 단면도, 도 5 는 베이스 기판에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베이스 기판에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 은 그 측면도, 도 8 은 홀더를 형성하는 형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9 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head for a VTR as an example of the magnetic hea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is remove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3-3 of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positioned on a base substrate,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positioned on a base substrate, FIG. 7 is a side view thereof, and FIG. 8 is a mold forming a holder.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자기헤드장치는, 합성수지제의 홀더 (10) 에 대하여, 음성의 기록ㆍ재생용의 자기기능부재 (12), 컨트롤신호의 기록ㆍ재생용의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및 소거용의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가 모두 동일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자기기능부재 (12, 13, 14) 가 홀더 (10) 에 장착된 후에 전방으로부터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및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를 덮는 케이스 (5) 와 상기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를 덮는 케이스 (16) 가 장착된다.The magnetic head device includes a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ound, a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 13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control signals, and an eraser for the holder 10 made of synthetic resin. 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s 14 are all mounted in the same direction. Further, the case 5 which covers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from the front after the magnetic function members 12, 13, 14 are mounted on the holder 10. And a case 16 covering 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를 덮는 케이스 (15) 는 실드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소거용의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를 덮는 상기 케이스 (16) 는 실드기능을 갖지 않아도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15 covering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has a shield function. However, the case 16 covering the erasing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does not have to have a shield function.
그리고, 상기 자기헤드장치는 베이스 기판 (17) 상에 있어서 상기 홀더 (10) 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된다.The magnetic head device is fixed on the base substrate 17 with respect to the holder 10.
상기 홀더 (10) 는 전체가 합성수지제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 (10) 는 정면에서 봐서 오른쪽 절반이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가 장착되는 제 1 의 장착영역 (21) 이고, 왼쪽 절반이 상기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가 장착되는 제 2 의 장착영역 (22) 이다.The holder 10 is made of synthetic resin as a who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lder 10 has a first mounting area 21 in which the right half of the holder 10 is mounted on which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mounted. ), And the left half is the second mounting area 22 on which 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is mounted.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상부에는 횡방향 (Y1-Y2 방향 :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 : 자기갭의 갭 길이방향) 으로 극간을 두고 한쌍의 지지벽 (31, 32)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벽 (31, 32) 의 도시상부에 위치결정부 (23, 2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위치결정부 (23, 23) 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한쌍의 탄성가압부 (24, 24) 가 홀더 (10)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 (24, 24) 는 상기 위치결정부 (23, 23) 에 대향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대향부 (24a, 24a)와 이 대향부 (24a, 24a) 로부터 지별(枝別) 한 제 2 의 대향부 (24b, 24b) 를 갖고 있다.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unting area 21, a pair of support walls 31, 32 are integrally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1-Y2 direction: driv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tape: gap length direction of the magnetic gap) with a gap between them. Formed.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ing walls 31 and 32. Moreover, a pair of elastic pressing parts 24 and 24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lder 10 in the part which opposes the positioning parts 23 and 23. As shown in FIG.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24 and 24 are elastically deformable opposing portions 24a and 24a opposed to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and a second point identified from the opposing portions 24a and 24a. Has opposing portions 24b and 24b.
도 3 에 나타내듯이 상기 탄성가압부 (24, 24) 의 대향부 (24a, 24a) 와 홀더 (10) 의 X2 측의 후부로부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가 장착되는 전방 (X1 방향) 에 향하여 신장하고, 또 상기 전방 (X1 방향) 으로 감에 따라서 위치결정부 (23, 23) 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듯이 상기 홀더에는 상기의 경사하고 있는 대향부 (24a, 24a) 로부터 후방으로 관통하는 형(型) 관통구멍 (10a) 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ront (X1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is mounted from the opposing portions 24a, 24a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24, 24 and the rear portion of the holder 10 on the X2 side. It extends toward, and inclines so as to become closer to the positioning parts 23 and 23 as it goes toward the front (X1 direction). 3, the said holder is formed with the through-hole 10a which penetrates backward from the said inclined opposing parts 24a and 24a.
대향부 (24a, 24a) 가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위치결정부 (23, 23) 의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음으로써 홀더 (10) 에 장착된 코어 (41) 전단측, 즉 자기갭을 형성하는 G1 부분에 가까운 부분을 상기 대향부 (24a, 24a) 에 의해 탄압(彈壓)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자기갭 형성부분을 위치결정부 (23, 23) 에서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As the opposing portions 24a and 24a move forward, they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ore 41 mounted on the holder 10, that is, the G1 portion forming a magnetic gap. The part close to can be suppressed by the opposing parts 24a and 24a. Therefore, the magnetic gap forming portion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can b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by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도 8 은 상기 홀더 (10) 를 인젝션성형할 때에 이용되는 금형의 일부분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의 금형 (25) 에는 상기 형관통구멍 (10a) 및 상기 경사진 대향면 (24a, 24a) 을 형성하기 위한 입자 (入子 : 25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의 금형 (25) 과 제 2 의 금형 (26) 의 이음부에는 홀더 (10) 를 성형하기 위한 캐버티 (10A) 가 형성되지만, 상기 제 2 의 금형 (26) 에는 상기의 지별한 탄성가압부 (24) 를 형성하기 위한 캐버티 (24A) 가 형성되어 있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mold used for injection molding the holder 10. As shown in FIG. In the first mold 25, particles 25a for forming the mold through hole 10a and the inclined opposing surfaces 24a and 24a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although the cavity 10A for forming the holder 10 is formed in the joint part of the 1st metal mold | die 25 and the 2nd metal mold | die 26, the said 2nd metal mold | die 26 is the said classification | fraction. A cavity 24A for forming one elastic pressing part 24 is formed.
상기 캐버티 (10A, 24A) 에 수지가 사출된 후에 제 2 의 금형 (26) 이 가이드금형 (27) 에 따라 X1 방향으로 분리됨으로써, 제 1 의 금형 (25) 과 제 2 의 금형 (26) 이 X1-X2 방향으로 형분리할 수 있다. 상기 입자 (25a) 가 형성되어 도 3 에 나타내듯이 후단방향으로 관통하는 형관통구멍 (10a) 이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위치결정부 (23) 에 향하여 경사하는 대향부 (24a, 24a) 를 수지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fter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ies 10A and 24A, the second mold 26 is separated in the X1 direction according to the guide mold 27, whereby the first mold 25 and the second mold 26 are formed. This can be carried out in the X1-X2 direction. As the particle 25a is formed and the through-hole 10a penetrating in the rear-end direction is formed as shown in FIG. 3, the opposing part 24a which inclines toward the positioning part 23 as it goes forward as mentioned above. , 24a) can be formed by resin molding.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듯이, 한쪽의 상기 지지벽 (31) 에는 상기 위치결정부 (23) 보다도 도에 나타내는 상방으로 신장하는 횡방향 위치결정부 (33) 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의 상기 지지벽 (32) 에는 상기 횡방향 위치결정부 (33) 에 횡방향 (Y 방향) 으로부터 대향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가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실시의 형태에서는,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가 홀더 (10) 와 일체로 수지성형되어 있지만, 상기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가 금속의 판스프링재료로 형성되고, 이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가 홀더 (10) 에 인서트성형되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one supporting wall 31 is provided with a transverse positioning portion 33 extending upwardly than the positioning portion 23 as shown in FIG. The supporting wall 32 is formed by separating the elastically deformabl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opposed to the transverse positioning portion 33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Y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is resin-molded integrally with the holder 10, but th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is formed of a metal leaf spring material, and th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is formed. The press part 34 may be insert molded to the holder 10 and may be integrated.
또한, 도 4 에도 나타내듯이, 상기 횡방향 위치결정부 (33) 와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와 대향하는 부분의 내측에는 한쌍의 종방향 위치결정부 (35, 35) 가 형성되어 있다.4, a pair of longitudinal positioning parts 35 and 35 are formed inside the part which opposes the said horizontal positioning part 33 and the lateral elastic pressing part 34. As shown in FIG.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는 코어반체 (半體 : 41a) 와 (41a) 가 접합되어 제 1 의 자기갭 G1 이 형성된 코어 (41) 와 이 코어 (41) 에 장착된 보빈 (42) 과 상기 보빈 (42) 에 감긴 코일 (43) 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보빈 (42) 에는 후방 (X2 방향) 으로 신장하는 한쌍의 단자 (端子 : 44, 44) 가 설치되고, 이 양단자 (44, 44) 에 상기 코일 (43) 의 권선의 양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코어반체 (41a) 와 (41a) 는 금속의 판스프링재료로 형성된 탄성클립 (45) 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있다.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includes a core 41 having a core half body 41a and 41a joined to form a first magnetic gap G1 and a bobbin 42 mounted to the core 41. ) And a coil 43 wound around the bobbin 42. Moreover, the said bobbin 42 is provided with a pair of terminals 44, 44 which extend in the rear (X2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winding of the coil 43 are connected to these terminals 44, 44, respectively. It is. The core half bodies 41a and 41a are elastically held by an elastic clip 45 formed of a metal leaf spring material.
도 2, 도 3 및 도 4 는, 홀더 (10) 에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는 홀더 (10) 의 전방으로부터 후방 (X2 방향) 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3 차원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우선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를 홀더 (10) 의 위치결정부( 23, 23) 와 탄성가압부 (24, 24) 와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때 코어 (41) 가 종방향 위치결정부 (35, 35) 에 닿을 때까지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를 밀어 넣음으로써, 코어 (41) 의 갭깊이방향 (종방향: X2 방향) 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2, 3, and 4 show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is attached to the holder 10.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can be positioned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only by inserting it from the front of the holder 10 to the rear (X2 direction). First, the core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is inserted between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of the holder 10 and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24 and 24. At this time, by pushing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until the core 41 comes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portions 35 and 35, the gap depth direction of the core 41 (longitudinal direction: X2 direction) You can set the position of.
또한, 코어 (41) 는 탄성가압부 (24, 24) 의 대향부 (24a, 24a) 의 탄성력에 의해 Z1 방향으로 눌려, 위치결정부 (23, 23) 에 탄압하도록 억눌린다. 그 결과 코 어 (41) 가 트랙폭방향 (Z 방향) 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코어 (41) 는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에 의해 Y2 방향으로 눌리고, 코어 (41) 의 측면이 횡방향 위치결정부 (33) 에 탄압되고, 코어 (41) 가 횡방향 (갭길이방향) 으로 위치결정된다.In addition, the core 41 is pressed in the Z1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opposing portions 24a and 24a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24 and 24, and is pressed so as to be pressed against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As a result, the core 41 is positioned in the track width direction (Z direction). In addition, the core 41 is pressed in the Y2 direction by th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the side surface of the core 41 is pressed against the transverse positioning portion 33, and the core 41 i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ga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렇게 하여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 41) 는 위치결정부 (23, 23) 및 (35) 에 의해 3 차원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 ( 41) 의 코어 반체 (41a) 와 코어 반체 (41a) 를 유지하고 있는 탄성클립 (45) 에 의한 탄성유지력은 상기 탄성가압부 (24, 24) 의 대향부 (24a, 24a) 에 의한 가압력 및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에 의한 가압력보다도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 (41) 가 상기 대향부 (24a, 24a) 및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의 탄성가압력을 받아도 코어반체 (41a) 와 코어반체 (41a) 는 클립 (45) 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반체 (41a) 와 코어반체 (41a) 가 Z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거나 혹은 코어반체 (41a) 와 코어반체 (41a) 가 자기갭 (G1) 을 경계로 하여 서로 Z 방향으로 꺾이도록 전도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In this way,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is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by the positioning portions 23, 23 and 35. Here, the elastic holding force by the elastic clip 45 holding the core half 41a of the core 41 and the core half 41a is applied to the opposing portions 24a, 24a of the elastic pressing parts 24, 24.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pressing force by th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art 34 are set sufficiently larger. Therefore, even when the core 41 is subjected to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opposing portions 24a and 24a and the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the core half body 41a and the core half body 41a are firmly held by the clip 45. It is. Therefore, the core half body 41a and the core half body 41a are displaced in the Z direction, or the core half body 41a and the core half body 41a are inverted so as to be bent in the Z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gap G1. There is no problem such as.
또, 도 2 에 나타내듯이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보빈 (42) 은 상기 한쌍의 탄성가압부 (24, 24) 에 의해 횡방향 (Y 방향) 의 양측으로 끼여 횡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탄성가압부 (24, 24) 와 보빈 (42) 의 양측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빈 (42) 은 상기 탄성가압부 (24) 와 탄성가압부 (24) 에서 Y 방향의 양측방향으로부터 약한 탄성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에서는 보빈 (42) 및 코일 (43) 이 횡방향으로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일은 없고, 또한 기울어지는 일도 없다. 보빈 (42) 이 Z 선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코어 (41) 에 부여하는 기록용 자계의 지향성이 치우치거나 또는 코일 (43) 에 의해 코어 (41) 내의 자계를 검출할 때의 검출강도의 지향성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bobbin 42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is sandwiched by both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24 and 24 on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Y direction) to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is regulated. Although some gaps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ressing parts 24 and 24 and both sides of the bobbin 42, the bobbin 42 is preferably elastic with the elastic pressing part 24. The pressing section 24 is held with a weak elastic force from both sides in the Y direction. Therefore, in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the bobbin 42 and the coil 43 do not move unnecessaril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re not inclined. Since the bobbin 42 can be prevented from inclining with respect to the Z line, the directivity of the recording magnetic field applied to the core 41 is biased or the magnetic field in the core 41 can be detected by the coil 4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rectivity of the detection intensity at the time of bias.
또한, 도 3 에 나타내듯이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보빈 (42) 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한쌍의 단자 (44, 44) 는 홀더 (10) 의 후부에 개구하는 작은 구멍 (10b) 내에 삽입되어 홀더 (10) 의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코어 (41)가 위치결정부 (23, 23) 에 탄압되어 코어 (41) 의 Z1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 (44) 는 상기 작은 구멍 (10b) Z1 측 (상기 위치결정부 (23, 23) 에 의한 위치결정방향과 역의 측) 의 가장자리부 (10b1) 에 맞닿아 있다. 또 이 상태에서 보빈 (42) 의 구멍 (42a)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코어 (41) 는 상기 구멍 (42a) 의 Z2 측의 가장자리부 (42a1) 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에서는 코어 (41) 에 대하여 보빈 (42) 이 Z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the pair of terminals 44, 44 extending backward from the bobbin 42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is in the small hole 10b opening at the rear of the holder 10.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and protrudes behind the holder 10. In the state where the core 41 is pressed against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re 41 in the Z1 direction is determined, the terminal 44 has the small hole 10b on the Z1 side (the positioning portion ( 23 and 23 are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10b1 of the side opposite to the positioning direction. In this state, the core 41 inserted into the hole 42a of the bobbin 42 is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42a1 on the Z2 side of the hole 42a. Therefore, in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the bobbin 42 can be prevented from swinging in the Z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41.
상기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는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와 대략 동일 구조이다. 즉,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도 코어반체 (41a) 와 코어반체 (41a) 와의 접합에 의해 제 2 의 자기갭 (G2) 이 형성된다. 또한, 홀더 (10) 의 제 1 의 장착영역 (21) 에서는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가 Z 방향에 대칭인 방향으로 장착된다.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In other words,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lso forms the second magnetic gap G2 by joining the core half body 41a and the core half body 41a.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f the holder 10,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mounted in a direction symmetrical to the Z direction.
홀더 (10) 의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하부에는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를 위치결정하는 기구가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를 위치결정하는 기구와 상하로 대칭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는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와 동일 하도록 하여 위치결정된다. 즉, 홀더 (10) 의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를 위치결정한 것과 같은 위치결정부 (23) 및 이것에 대향하는 탄성가압부 (24), 횡방향 위치결정부 (33) 와 이것에 대향하는 횡방향 탄성가압부 (34) 및 종방향 위치결정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Under the first mounting area 21 of the holder 10, a mechanism for positioning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is up and down with a mechanism for positioning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It is formed symmetrically. Then,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is positio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That i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f the holder 10, the positioning portion 23, which is the same as the positioning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and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24 opposed thereto. And a transverse positioning portion 33, a transverse elastic pressing portion 34 and a longitudinal positioning portion 35 opposed thereto.
상기와 같이,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는 위치결정부 (23) 에 Z1 방향으로 억눌려 위치결정되고,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위치결정부 (23) 에 Z2 방향으로 억눌려 위치결정된다. 즉,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상호 대향하는 측의 측면이 위치결정 기준으로서 둘다 위치결정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is pressed by the positioning portion 23 in the Z1 direction to be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mechanism formed upside down and symmetrically,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 The core 41 of 13 is pressed by the positioning section 23 in the Z2 direction and positioned. That is,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both positioned as the positioning reference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ores 41 opposite to each other.
따라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의 자기갭 (G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의 자기갭 (G2) 은 트랙폭 방향 (Z 방향) 으로의 상대위치를 서로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홀더 (10) 에 있어서 상하에 위치하는 위치결정부 (23) 와 (23) 을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성형하여 둠으로써, 자기갭 (G1) 과 자기갭 (G2) 과의 방위각도의 어긋남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magnetic gap G1 formed by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gap G1 formed by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formed. The magnetic gap G2 can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s in the track width direction (Z direction) with high accuracy. Also, by forming the positioning portions 23 and 23 positioned up and down in the holder 10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 deviation of the azimuth angle between the magnetic gap G1 and the magnetic gap G2 is eliminated. Can be kept to a minimum
또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모두 Y2 방향에 위치하는 횡방향 위치결정부 (33, 33) 에 바짝 대어 횡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의 자기갭 (G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의 자기갭 (G2) 은, Y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는 일없이 양자기갭 (G1) 과 (G2) 를 대략 동일 선상에 일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oth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close to the lateral positioning portions 33 and 33 located in the Y2 direction. It is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ic gap G1 formed by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gap G1 formed by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formed. The magnetic gap G2 can coincide the quantum group gaps G1 and G2 on substantially the same line without shifting their positions in the Y direction.
또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동일 홀더 (10) 에 형성된 종방향 위치결정부 (35, 35) 에 의해 모두 갭깊이방향의 상대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portions 35 and 35 formed in the same holder 10. By this, the relative position in the gap depth direction can all be determined with high precision.
다음으로, 홀더 (10) 의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상부에는 상기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기구는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및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를 위치결정하는 기구와 대략 동일하다.Next, a mechanism for positioning 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of the holder 10. This positioning mechanis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chanism for positioning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상부에는 Y 방향에 극간을 둔 한쌍의 위치결정부 (51, 51) 가 위치결정부 (51, 51) 에 대향하는 탄성가압부 (52, 5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가압부 (52, 52) 는 코어를 가압하는 대향부 (52a, 52a) 와이 대향부 (52a, 52a) 로부터 지별된 제 2 의 대향부 (52b, 52b) 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a pair of positioning portions 51, 51 with a gap in the Y direction are opposed to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52, 52 opposite to the positioning portions 51, 51. Formed.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52 and 52 are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opposing portions 52a and 52a for pressing the core and the second opposing portions 52b and 52b identified from the opposing portions 52a and 52a.
또, 위치결정부 (51) 의 상방에서 Y2 측에는 횡방향 위치결정부 (53) 가 형성되고, Y1 측에는 상기 횡방향 위치결정부 (53) 에 대향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횡방향 탄성가압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듯이 상기 횡방향 위치결정부 (53) 와 횡방향 탄성가압부 (54) 와의 사이에서는 홀더 (10) 의 후부측에 종방향 위치결정부 (55, 55) 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bove the positioning part 51, the horizontal positioning part 53 is formed in the Y2 side, and the elastically deformable horizontal elastic pressing part 54 which opposes the said horizontal positioning part 53 is provided in the Y1 side. Is formed. 4, longitudinal positioning portions 55 and 55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holder 10 between the lateral positioning portion 53 and the lateral elastic pressing portion 54. As shown in FIG. .
상기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는 소거용 자기헤드이고, 코어 (56) 는 센터코어피스 (56a) 와 한쌍의 사이드 코어피스 (56b, 56b) 가 접합된 것이고, 2 곳에 소거용의 제 3 의 자기갭 (G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 (56) 에는 보빈 (58) 이 장착되고, 이 보빈에 소거 자계를 부여하기 위한 코일 (59) 이 감겨져 있다. 또 보빈 (58) 으로부터 후방으로 한쌍의 단자 (61, 61) 가 신장되어 있다.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is a magnetic head for erasing, the core 56 is a center core piece 56a and a pair of side core pieces 56b and 56b joined together, and the two parts for erasing are provided. Three magnetic gaps G3 are formed. Moreover, the bobbin 58 is attached to the core 56, and the coil 59 for giving an erase magnetic field to this bobbin is wound. Moreover, the pair of terminals 61 and 61 extends backward from the bobbin 58.
이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도 홀더 (10) 에 전방으로부터 장착함으로써, 위치결정된다. 즉,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의 코어 (56) 는 탄성가압부 (52) 의 대향부 (52a, 52a) 에 의해 위치결정부 (51, 51) 에 억눌려져 Z1 방향으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코어 (56) 가 횡방향 탄성가압부 (54) 에 의해 횡방향 위치결정부 (53) 에 억눌려져 횡방향 (Y 방향) 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종방향 위치결정부 (55, 55) 에 코어 (56) 가 억눌림으로써, 코어 (56) 가 갭깊이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is also positioned by mounting it to the holder 10 from the front. That is, the core 56 of the third magnetic function member 14 is pressed against the positioning portions 51 and 51 by the opposing portions 52a and 52a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52, and positioning in the Z1 direction. This is done. In addition, the core 56 is pressed by the lateral positioning unit 53 by the lateral elastic pressing unit 54 to perform positioning in the lateral direction (Y direction). In addition, the core 56 is pressed in the longitudinal positioning portions 55 and 55 to position the core 56 in the gap depth direction.
또한, 도 2 에 나타내듯이,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의 보빈 (58) 은 상기 한쌍의 탄성가압부 (52, 52) 의 대향부 (52a, 52a) 에 끼여, 보빈 (58) 이 코어 (56) 에 대하여 횡방향 (Y 방향) 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또 보빈 (58) 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bobbin 58 of the third magnetic functional member 14 is sandwiched between the opposing portions 52a, 52a of the pair of elastic pressing portions 52, 52, so that the bobbin 58 is It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re 56, and the bobbin 58 is prevented from inclining.
상기와 같이, 홀더 (10) 에 대하여 각 자기기능부재 (12, 13, 14) 를 전방으로부터 삽입하는 것 만으로 각 자기기능부재 (12, 13, 14) 의 코어를 3 차원 방향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e of each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13, 14 can be positioned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only by inserting the respectiv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13, 14 with respect to the holder 10 from the front. .
도 3 내지 도 7 에 나타내듯이 홀더 (10) 의 제 1 의 장착영역 (21) 에는 케이스 (15) 가 덮여진다. 케이스 (15) 는 실드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스틸/퍼멀로이 등의 자성재료/스테인레스스틸의 3층 구조 또는 표면 (테이프와의 슬라이딩면) 이 스테인레스스틸, 내면이 퍼멀로이 등의 자성재료의 2 층 구조의 것이 사용된다. 도 4 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15) 의 끝부분은 홀더 (10) 의 상기 지지벽 (31) 과 (32) 의 외측의 기부에 형성된 홈부 (10c, 10d) 내에 끼워 장착된다. 이때 도 3 에 나타내듯이 홀더 (10) 의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상하에 형성된 상기 탄성가압부 (24) 의 제 2 의 대향부 (24b) 에 의해 케이스 (15) 의 상하벽이 내측으로부터 탄압되어, 이것에 의해 케이스 (15) 가 상하 방향 (Z 방향) 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 (15) 는 홀더 (10) 에 형성된 홈부 (10c, 10d) 에 의해 제 1 의 장착영역 (21) 을 덮는 상태로 위치결정되고, 상기 제 2 의 대향부 (24b) 에 의해 홀더 (10) 에 강고하게 고정된다.3 to 7, the case 15 is covered with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f the holder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15 has a shielding function. For example, the magnetic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 permalloy or the three-layer structure of stainless steel or the surface (sliding surface with the tape)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magnetic such as permalloy. The two-layer structure of the material is used. As shown in FIG. 4, the end of the case 15 is fitted into grooves 10c and 10d formed in the bases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walls 31 and 32 of the holder 1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case 15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second opposing portions 24b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24 formed above and below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f the holder 10. Is pressed down, and the case 15 is hold | maintained so that it may not move to an up-down direction (Z direction) by this. In this manner, the case 15 is position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by the groove portions 10c and 10d formed in the holder 10, and the holder (by the second opposing portion 24b). 10) It is firmly fixed to.
케이스 (15) 의 전면의 테이프 슬라이딩면 (15a) 에는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및 제 1 의 자기갭 (G1) 이 노출하는 창 (15a) 및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및 자기갭 (G2) 이 노출하는 창 (15b) 이 형성되어 있다.The window 15a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exposed by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first magnetic gap G1 are exposed on the tape sliding surface 15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5. The window 15b which the core 41 of the member 13 and the magnetic gap G2 expose is formed.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15) 가 홀더 (10) 에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 (15) 의 상측의 창 (15a) 의 밑가장자리가 (15a1) 홀더 (10) 의 상측의 위치결정부 (23) 보다도 약간 Z2 측에 위치하고, 하측의 창 (15b) 의 위가장자리 (15b1) 가 홀더 (10) 의 하측의 위치결정부 (23) 보다도 약간 Z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 (15) 가 장착되면,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는 탄성가압부 (24) 의 대향부 (24a) 에 의해 상측의 창 (15a) 의 밑가장자리 (15a1) 에 억눌려 위치결정된다. 또한,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탄성가압부 (24) 의 대향부 (24a) 에 의해 하측의 창 (15b) 의 위가장자리 (15b1) 에 억눌려 위치결정된다.3 and 6, the bottom edge of the window 15a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5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10 in the state where the case 15 is mounted on the holder 10. It is located slightly on the Z2 side than the portion 23, and the upper edge 15b1 of the lower window 15b is located slightly on the Z1 side than the positioning portion 23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10. Accordingly, when the case 15 is mounted,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is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15a1 of the upper window 15a by the opposing portion 24a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24. It is pressed down and positioned. In addition,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edge 15b1 of the lower window 15b by the opposing portion 24a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24 to be positioned.
이와 같이, 케이스 (15) 가 장착되기 이전에서는 제 1 자기기능부재 (12)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홀더 (10) 의 위치결정부 (23) 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있지만, 케이스 (15) 가 장착된 시점에서는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와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는 각 창 (15a) 와 (15b) 의 대향측의 가장자리부 (15a1) 와 (15b1) 에 가압되어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제 1 의 자기기능부재 (12) 의 코어 (41) 에서 형성되는 자기갭 (G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3) 의 코어 (41) 에서 형성되는 자기갭 (G2) 은 케이스 (15) 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되고, 또 양자기갭 (G1) 과 (G2) 의 높이 방향 (Z 방향) 의 상대위치를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다.Thus, before the case 15 is mounted,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is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portion 23 of the holder 10. Although determined,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al member 12 and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 13 are each of the windows 15a and () when the case 15 is mounted. It is pressed against the edge portions 15a1 and 15b1 on the opposite side of 15b and positioned. Accordingly, the magnetic gap G1 formed in the core 41 of the first magnetic function member 12 and the magnetic gap G2 formed in the core 41 of the second magnetic function member 13 are formed of a case ( 15)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quantum group gaps G1 and G2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can be determined with high precision.
또한, 홀더 (10) 의 제 2 의 장착영역 (22) 에는 케이스 (16) 가 장착된다. 이 케이스 (16) 는 실드기능을 갖추고 있어도 되고, 실드기능을 갖지 않는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되어도 된다. 케이스 (16) 의 상하양면에는 돌출편 (16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편 (16a) 이 홀더 (10) 의 상하양면에 탄압됨으로써, 홀더 (10) 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 (16) 가 고정된다. 케이스 (16) 의 상면측에 돌출하는 상기 돌출편 (16a) 은 홀더 (10)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 (10e) 와 (10e) 의 사이에 개입하여, 홀더 (10) 의 Y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ase 16 is mounted in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of the holder 10. The case 16 may have a shield function or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that does not have a shield function. Protruding pieces 16a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e 16. The protruding pieces 16a are pressed agains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lder 10, thereby fixing the case 16 to the holder 10. . The protruding piece 16a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ase 16 intervenes between the projections 10e and 10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 to position the holder 10 in the Y direction. This is done.
그리고 케이스 (16) 의 상부에는 창 (16b) 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16) 가 홀더 (10) 에 고정된 상태로 제 3 의 자기기능부재 (14) 의 코어 (56) 및 자기갭 (G3, G3) 이 상기 창 (16b) 으로부터 노출한다.A window 16b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6, and the core 56 and the magnetic gap G3 of the third magnetic functional member 14 with the case 16 fixed to the holder 10. , G3) exposes from the window 16b.
도 5,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15) 와 케이스 (15) 의 상면에는 실드판 (62) 이 부착된다. 실드판 (62) 의 상면에는 개구부 (62a)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 (10)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돌기 (10e, 10e) 가 상기 개구부 (62a) 의 내가장자리에 걸린다.5, 6 and 7, a shield plate 62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5 and the case 15. As shown in FIG. An opening 62a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plate 62, and a pair of projections 10e and 10e projec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10 are caught by the inner edge of the opening 62a.
또한, 실드판 (62) 에 측부 절곡편 (63) 에는 한쌍의 돌기 (63a, 63a) 가 오목형성되어 있고, 실드판 (62) 의 후부에는 후부 절곡편 (6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듯이 실드판 (62) 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홀더 (10) 의 측단부가 상기 후부 절곡편 (64) 과 상기 돌기 (63a, 63a) 로 끼워져, 실드판 (62) 이 전후방향 (X 방향) 으로 위치결정된다.Moreover, the pair of projections 63a and 63a are formed in the side bending piece 63 in the shield plate 62, and the rear bending piece 64 is formed in the rear part of the shield plate 6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7, in the state where the shield plate 62 is mounted, the side ends of the holder 10 are fitted into the rear bent pieces 64 and the projections 63a and 63a so that the shield plate 6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 X direction).
상기와 같이, 홀더 (10) 에 각 자기기능부재 (12, 13) 및 (14) 이 장착되고, 또 케이스 (15) 와 (16) 및 실드판 (62) 이 부착된 자기헤드장치의 조립체는 베이스 기판 (17) 상에 부착된다. 도 2 에 나타내듯이 홀더 (10) 의 하면에는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가 상기 베이스 기판 (17) 의 상면에 맞닿아 홀더가 위치결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이외의 부분의 홀더 (홀더 (10) 의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하면) 및 케이스 (15, 16) 는 베이스 기판 (17) 에 닿지 않는다. 즉, 베이스 기판 (17) 상에 있어서 자기헤드장치의 조립체는 홀더 (10) 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of the magnetic head apparatus in which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13 and 14 are attached to the holder 10, and the cases 15 and 16 and the shield plate 62 is attached is It is attached on the base substrate 17. As shown in Fig. 2,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10, and the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abut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7 so that the holder is closed. It is positioned. At this time, holders other than the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of the holder 10) and the cases 15 and 16 do not touch the base substrate 17. . That is, the assembly of the magnetic head device on the base substrate 17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holder 10.
따라서, 각 자기기능부재 (12, 13, 14) 의 자기갭 (G1, G2, G3) 은 베이스 기판 (17) 에 대하여 홀더 (10) 의 치수정밀도에만 존재한 공차만으로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gnetic gaps G1, G2, G3 of each of th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13, 14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17 only by the tolerance existing only i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holder 10.
특히, 홀더 (10) 의 상기 제 1 의 장착영역 (21) 에 형성된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가 베이스 기판 (17) 상에 직접 맞닿아 위치결정되므로, 이 제 1 의 장착영역 (21) 에 유지되어 있는 기록ㆍ재생용의 제 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2, 13) 의 코어 (41) 가 베이스 기판 (17) 상에서 높이 방향 (Z 방향) 으로 우선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이 기록ㆍ재생용의 제 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2, 13) 의 코어 (41) 및 자기갭 (G1, G2) 을 베이스 기판 (17) 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베이스 기판 (17) 을 기기본체에 부착할 때에 기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자기갭 (G1, G2) 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조정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는 무조정화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f the holder 10 are position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se substrate 17,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The cores 41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and 13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 held in the height direction (Z direction) preferentially on the base substrate 17. In this manner, the core 41 and the magnetic gaps G1 and G2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and 13 for recording and reproduction are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17, so that the base substrate ( 17) in the device body, the adjustment width for positioning the magnetic gaps G1 and G2 in the device body can be made small, or unadjustable.
상기 베이스 기판 (17) 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금속판의 베이스 기판 (17) 으로부터 한쌍의 유지편 (71, 71) 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편(71, 71) 에 의해 케이스 (15) 가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있지만, 도 7 에 나타내듯이, 상기 유지편 (71) 이 홀더 (10) 의 단차 (10g) 에 닿아 있다. 또한, 상기 홀더 (10) 의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부분이 케이스 (15) 를 개입시키지 않고, 상기 유지편 (71, 71) 에 의해 직접 유지되어도 된다.The base substrate 17 is formed of a metal plate, and a pair of holding pieces 71 and 71 are bent from the base substrate 17 of the metal plate. Although the case 15 is elastically held by these holding pieces 71 and 71, as shown in FIG. 7, the holding piece 71 touches the step 10g of the holder 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art of the 1st mounting area 21 of the said holder 10 may be hold | maintained directly by the said holding pieces 71 and 71,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ase 15. As shown in FIG.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내듯이 상기 유지편 (71, 71) 에서 케이스 (15) 가 Y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의 장착영역 (21) 을 베이스 기판 (17) 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없이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를 베이스 기판 (17) 의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홀더 (10) 의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지편 (71, 71) 과 홀더 (10) 의 단차 (10g) 가 베이스 기판 (17) 으로부터의 수직선을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케이스 (15) 의 슬라이딩면 (15A) 의 전후방향 (X 방향) 의 위치결정도 가능하다.5 to 7, the case 15 is held in the Y direction in the holding pieces 71 and 71 so that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moves in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17. Positioning can be done accurately without work. In addition, the vertical positioning of the holder 10 can be ensured by bringing the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7. Further, the step 10g of the holding pieces 71 and 71 and the holder 10 abut through a vertical line from the base substrate 17, so that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liding surface 15A of the case 15 (the X-direction) ) Is also possible.
이 자기헤드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 (17) 이 기기본체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기판 (17) 상에 홀더 (10) 가 직접 위치결정되고, 이 홀더 (10) 에 각 자기기능부재 (12, 13, 14) 의 자기갭 (G1, G2, G3) 이 위치결정되어 있으므로 각 자기갭 (G1, G2, G3) 은 기기본체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된다.In this magnetic head device, the base substrate 17 is attached to the device body.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10 is directly positioned on the base substrate 17, and the magnetic gaps G1, G2, and G3 of the respective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13, and 14 are positioned on the holder 10. Since the magnetic gaps G1, G2, and G3 ar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with respect to the device body.
도 9 는 본발명의 제 2 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9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기판 (17) 에 위치결정스터드 (72) 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스터드 (72) 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금속주 (金屬柱) 또는 수지주가 상기 베이스 기판 (17) 에 고정된 것이다. 혹은, 상기 위치결정스터드 (72) 는 베이스 기판 (17) 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것이어도 된다.상기 홀더 (10) 의 제 2 의 장착영역 (22) 에는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위치결정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구멍이 상기 위치결정스터드 (72) 에 삽입통과 또는 끼워맞춤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ing stud 72 is fixed vertically to the base substrate 17. The positioning stud 72 has a metal column or resin column of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fixed to the base substrate 17. Alternatively, the positioning stud 72 may be bent vertically from the base substrate 17. A positioning hole formed vertically from the bottom is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of the holder 10. This positioning hole is inserted into or fitted to the positioning stud 72.
따라서, 상기 홀더 (10) 는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저부에 형성된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가 베이스 기판 (17) 상에 밀착함으로써, 베이스 기판 (17) 상에서의 자기갭 (G1, G2) 의 높이 위치를 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위치결정스터드 (72) 에 의해 베이스 기판 (17) 상에서의 홀더 (10) 의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lder 10 has a magnetic gap on the base substrate 17 by closely contacting the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n the base substrate 17. The height positions of the G1 and G2 can be determined,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older 10 on the base substrate 17 can be ensured by the positioning studs 72.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베이스 기판 (17) 상에서 홀더 (10) 를 기준으로 하여 각 코어의 높이 위치나 기울기 정밀도를 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height position and the inclination accuracy of each core can be determined on the base substrate 17 with respect to the holder 10.
도 10 은 본발명의 제 3 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홀더 (10) 가 베이스 기판 (17) 상에서 위치결정된 상태를, 케이스 (15, 16) 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10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state where the holder 10 is positioned on the base substrate 17, with the illustration of the cases 15 and 16 omitted.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위치결정부 (10f, 10f) 가 홀더 (10) 의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저부에만 형성되고, 도 2 및 도 9 에 나타내듯이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저부가 베이스 기판 (17) 상에 밀착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홀더 (10) 의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저부 전역과 베이스 기판 (17) 의 표면과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base positioning portions 10f and 10f are formed only at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of the holder 10, and as shown in FIGS. 2 and 9, the first mounting region (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ntire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of the holder 10 and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7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ortion of the holder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substrate 17. .
그러나 도 10 에 나타내는 제 3 의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10) 의 저부에 있어서 베이스 위치결정부가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저부 뿐만 아니라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일부에도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위치결정부가 제 1 의 장착영역 (21) 의 저부로부터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저부에 걸쳐 L 로 나타내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범위 L 에서 홀더 (10) 와 베이스 기판 (17) 이 밀착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범위 L 외에서 제 2 의 장착영역 (22) 의 저부와 베이스 기판 (17) 과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0, at the bottom of the holder 10,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is formed not only at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but also at a part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The base positio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ange indicated by L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mounting region 21 to the bottom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In the above range L, the holder 10 and the base substrate 17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ositione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econd mounting region 22 and the base substrate 17 outside the above range L.
이 도 10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기록ㆍ재생용의 제 1 과 제 2 의 자기기능부재 (12, 13) 의 코어 (41) 및 지기갭 (G1, G2) 을 베이스 기판 (17) 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cores 41 and the retainer gaps G1 and G2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unctional members 12 and 13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ase substrate 17. Can be positioned.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서는 홀더를 베이스에 직접 맞닿게 하여 위치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에 대하여 코어 및 자기갭을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를 기기본체에 부착할 때에 베이스를 기기본체의 섀시 등에 대하여 조정하는 조정폭을 작게 할 수 있고, 또는 조정이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lder is position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se, the core and the magnetic gap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base. Therefore, when the base is attached to the device body, the adjustment width for adjusting the base with respect to the chassis of the device body or the like can be made small, or the adjustment can be made unnecessary.
또한, 기록ㆍ재생용의 코어와 소거용의 코어를 갖는 경우에 기록ㆍ재생용 코어를 우선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 and the erasing core are provided, the recording / reproducing core can be preferential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base.
Claims (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9-292412 | 1999-10-14 | ||
JP29241299A JP2001118227A (en) | 1999-10-14 | 1999-10-14 | Magnetic head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1037A KR20010051037A (en) | 2001-06-25 |
KR100376342B1 true KR100376342B1 (en) | 2003-03-15 |
Family
ID=1778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0571A KR100376342B1 (en) | 1999-10-14 | 2000-10-14 | magnetic head devic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1118227A (en) |
KR (1) | KR100376342B1 (en) |
CN (1) | CN1293429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85007A (en) * | 1988-05-11 | 1989-11-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head |
JPH06215308A (en) * | 1993-01-14 | 1994-08-05 | Sony Corp | Magnetic head |
JPH06295408A (en) * | 1993-04-09 | 1994-10-21 | Sony Corp | Production of magnetic head |
JPH08315314A (en) * | 1995-05-15 | 1996-1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head |
-
1999
- 1999-10-14 JP JP29241299A patent/JP2001118227A/en not_active Withdrawn
-
2000
- 2000-10-11 CN CN00129668A patent/CN1293429A/en active Pending
- 2000-10-14 KR KR10-2000-0060571A patent/KR1003763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285007A (en) * | 1988-05-11 | 1989-11-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head |
JPH06215308A (en) * | 1993-01-14 | 1994-08-05 | Sony Corp | Magnetic head |
JPH06295408A (en) * | 1993-04-09 | 1994-10-21 | Sony Corp | Production of magnetic head |
JPH08315314A (en) * | 1995-05-15 | 1996-1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gnetic he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1037A (en) | 2001-06-25 |
CN1293429A (en) | 2001-05-02 |
JP2001118227A (en) | 200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60771A (en) | Objective lens driv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5459629A (en) | Combined magnetic head having slider provided with abutment ridges for maintaining combined magnetic core in required position | |
JP3981509B2 (en) | LENS DRIVE DEVICE, ITS MANUFACTURING DEVICE, AND LENS DRIV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376342B1 (en) | magnetic head device | |
US5739984A (en) | damping loop for a tape drive actuator with a servo control system | |
US7997519B2 (en) | Recording tape cartridge | |
KR100415445B1 (en) | magnetic head device | |
US6906430B2 (en) | Actuator | |
US4901430A (en) | Method of mounting a magnetic head | |
JP2001118207A (en) | Magnetic head device | |
JPS6113287B2 (en) | ||
JP2807119B2 (en) | Cassette detection device for magnetic tape unit | |
JPH0222876Y2 (en) | ||
US6028741A (en) | Magnetic head device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a shift of a head main body | |
US7137133B2 (en) | Pickup device for optical disk drive | |
US4710836A (en) | Magnetic head | |
JPS622376B2 (en) | ||
JP3100122U (en) | Multifunctional integrated television | |
JPS626610Y2 (en) | ||
JP3832942B2 (en) | Positioning mechanism an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9990077684A (en) | Optical pick-up | |
JPH07141608A (en) | Magnetic head | |
JPH05342606A (en) | Driving device for objective lens | |
JPS626611Y2 (en) | ||
JPS61287069A (en) | Hea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