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990B1 -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990B1
KR100361990B1 KR1020010013171A KR20010013171A KR100361990B1 KR 100361990 B1 KR100361990 B1 KR 100361990B1 KR 1020010013171 A KR1020010013171 A KR 1020010013171A KR 20010013171 A KR20010013171 A KR 20010013171A KR 100361990 B1 KR100361990 B1 KR 10036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network
flow rate
network analysis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659A (ko
Inventor
김계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to KR102001001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990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콘이나 메뉴 등의 그래픽 화면을 통해 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하수관망 해석을 위해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로 구분하여 도형정보와 상기 도형정보와 연계되는 속성정보로 구성하는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와;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유량을 산출하고 통수능 해석 기능을 수행하여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하수관망 해석모듈과; 하수관망 해석 결과를 통해 관거현황, 시공조건, 환경조건을 고려한 적정 보수공법을 제시하여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의사결정 지원모듈과;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수관거의 실시간 현황 파악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관망의 관리는 물론 하수 관거의 노후도를 판단하고, 하수 유량을 예측하여 침수 피해 지역의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WERAGE MANAGEMENT USING A GIS}
본 발명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하, GIS라 함)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수 관거(貫渠)의 유량을 효율적으로 분석하여 하수관거의 유지 보수시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GIS를 이용한 공간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하수관망시설에 대한 실시간 관망 해석을 실시하여 각 하수관에 부하되는 하수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하수량을 이용하여 발생 하수량을 처리할 수 없는 관거(이하, 통수능 부족 관거라 함)를 검색하고 적정 하수관경을 제시함으로써 하수 관망시설 확충 및 하수관거 보수시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며, 하수 유량의 예측을 통한 침수 피해 지역의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모든 생활에 필수적인 상하수도, 전기, 전화, 가스 및 난방 등을 공급하는 도시 기반 시설의 모든 관로는 대도시는 물론 지방의 소도시까지 거의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의 확충과 공급 체계를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자체에서는 관망 관리 및 해석을 위한 관련 자료의 관리 체계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고, 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료들은 공통된 형식으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관로의 유지 보수를 위한 현황 파악이 용이하지 않으며, 사전 예방 차원의 계획적 유지보수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료 관리 측면에서도 관련 도면이나 대장, 조서 등이 서류철 형태로 보관되고 있어서 파손 및 분실의 위험성이 높고 자료의 변경 역시 복잡하다. 페이퍼(paper) 형태로 보관되고 있는 이들 자료들은 여러 종류의 도면과 지도를 중첩시켜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면과 지도에 있는 위치 정보와 각종 대장, 통계 자료 등의 속성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부서가 도면과 지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기 어려워 같은 자료를 중복적으로 생산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발생하였으며, 공간 관련 계획수립과 정책 결정시 각종 지리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의사 결정자에게 전달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컴퓨터 처리 속도의 향상과 기억 용량의 증대, 입출력 장치 및 인터페이스의 발전과 문자, 숫자 정보 및 영상, 음성 등 다양한 매체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Multimedia Database) 기술 발전에 힘입어 지도에 관한 모든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더욱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에 부응하여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하수 관망 시설에 대한 관망 해석을 실시하여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상용 관망해석 프로그램으로 KYPIPE와 AQUANET 등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관망 해석시 계속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정확한 데이터값을 얻기가 어려웠고, 규모가 큰 실제 관망에 적용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국내의 몇몇 지방 자치 단체 및 관련기관이 자체적으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단순한 관망 관리 기능만을 지원할뿐 관망 해석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수 관망 시설의 신규 수요의 확산에 따른 계획과 기존 관로의 확장에 따른 유량의 변화량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지하 시설물의 관리와 함께 하수관망의 해석이 가능한 관망 해석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수관거의 실시간 현황 파악을 통하여 하수 관거의 노후도를 판단하고, 하수 유량을 예측하여 침수 피해 지역의 예측을 가능하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 관거의 관망 해석을 통하여 통수능 부족 관거를 검색하여 하수 관거의 정비 계획시 관거 교체 우선 지역을 판단하고, 통수능 부족관거에 대한 적정 관경을 제시함으로써 하수 관망 시설 확충 및 하수 관거 보수시 의사 결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수도 관거 및 부속 시설을 대상으로 도형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도형과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각종 업무에 필요한 시설물 정보를 조회, 검색하여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관망의 관리는 물론 각 관거에 부하되는 유량을 신속하게 산출하여 하수 유량의 분배 및 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하수도 시설물의 관리와 함께 하수관망의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의 개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의 정보(Entity)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도.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시스템 100 : 서버
110 : GUI 120 : 시스템 제어모듈
130 : 하수관망 해석모듈 140 : 의사결정 지원모듈
150 :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 150-1 : 도형 DB
150-2 : 속성 DB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콘이나 메뉴 등의 그래픽 화면을 통해 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하수관망 해석을 위해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로 구분하여 도형정보와 상기 도형정보와 연계되는 속성정보로 구성하는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와;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유량을 산출하고 통수능 해석 기능을 수행하여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하수관망 해석모듈과; 하수관망 해석 결과를 통해 관거현황, 시공조건, 환경조건 등을 고려한 적정 보수공법을 제시하여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의사결정 지원모듈; 및 상기 서버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모듈(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 해석 방법은,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시스템 초기화면을 전송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 메인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기능별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관망 해석을 위한 기초 환경변수, 강우강도, 용도지역별 계수를 설정하도록 하여 범용적인 관망해석이 지원되도록 하는 환경변수 설정 단계와; 환경변수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 변수데이터를 근거로 도형 정보와 속성 정보로 구성되는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여 하수관거의 유량 산출, 통수능 해석 등의 하수 관망 해석을 수행하는 하수관망 해석 수행 단계; 및 하수 관망 해석의 결과를 통해 적절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 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는 의사 결정 지원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괄적인 도식도이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하, GIS라 함)는 지표면과 지하 및지상 공간에 존재하는 각종 자연물(산, 강, 토지 등)과 인공물(건물, 도로, 철도 등)에 대한 위치정보와 속정정보를 컴퓨터에 입력 후 이를 연계시켜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 결정 및 산업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만든 첨단 정보시스템을 말한다. 즉, 각종 통계자료의 출력과 아울러 거리, 면적, 위치 등의 상황을 평가하고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도록 하는 공간 분석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GIS를 이용하여 서버에 하수관망 해석을 위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로 구분하여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속성정보의 입력은 도형정보와 연관된 정보의 입력인 만큼 컴퓨터 키보드를 이용한 직접 입력이나 파일로 생성한 후 도형정보와 연결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는 획득한 이미지의 양에 따라 저장 용량을 계획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데이터 양이 저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라 한다)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는 하수도 관거 및 부속 시설을 대상으로 도형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구축된 도형과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각종 업무에 필요한 하수도 시설물 정보를 조회 및 검색하여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보편성, 경제성, 실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MapObject와 Delphi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하수도 시설물 정보를 검색 및 조회하면 검색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하수도 관망의 관리는 물론 각 관거에 부하되는 유량을 신속하게 산출하여 하수 유량의 분배 및 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검색 및 조회된 속성정보의 결과를 도면 및 보고서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출력 결과가 도면 출력인 경우 화면에 나타난 조회 결과를 프린터 또는 플로터를 통하여 출력하고, 보고서 출력인 경우에는 크리스탈 레포트(Crystal Report)를 이용하여 보고서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조회 결과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엑셀로도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 컴퓨터에서 컴퓨터 환경을 제공하여 주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이 필요하듯이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여 주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팅 시스템(Network Operating System;NOS)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는 Windows NT, Unix 등이 사용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을 볼 때 많은 데이터 량을 빠르게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네트워크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고속의 네트워크로 ATM을 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구축시에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고,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한 C/S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에, 모든 처리를 호스트에서 담당하여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호스트-터미널(Host-terminal)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주지의 사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환경변수를 설정하고 환경변수에 근거한 관망해석을 통하여 각 하수관에 할당되는 하수량을 검색 및 조회하며, 통수능 부족관거와 최소유속 부족관거의 검색 및 조회를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검색 결과를 모니터 화면, 프린터(Printer) 또는 플로터(Plotter)를 통해 제공받는다.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조회 결과를 크리스탈 리포트를 이용하여 프린터로 출력하거나 조회 결과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엑셀로 출력할 수 있다.
서버는 설정된 환경변수를 기초로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관망해석을 실시하여 각 하수관에 부하되는 하수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하수량을 이용하여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고 적정 하수관경을 제시하며, 관망 해석 결과를 통해 관거현황, 시공조건, 환경조건을 고려한 적정 보수공법을 제시하여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서버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함.) 운영 체제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콘이나 메뉴 등의 그래픽 화면을 통해 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하수관망 해석모듈은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유량을산출하고 통수능 해석 기능을 수행하여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의사결정 지원모듈은 하수관망 해석 결과를 통해 관거현황, 시공조건, 환경조건을 고려한 적정 보수공법을 제시하여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시스템 제어모듈에 의해 시스템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이때, 하수관망 해석모듈은 전체 하수관에 대한 관망해석을 실행하여 각 하수관에 할당되는 하수량을 산출하며, 유량 조회 기능을 이용하여 총 발생유량, 최대유량, 최대유속, 각 지역별 누적면적, 유입시간 및 유하시간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관거 유량 검색/조회 모듈과,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 변수를 이용한 하수관망 해석을 통하여 산출된 하수량과 사용자가 지정한 여유율을 고려한 최대처리 하수량을 비교하여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통수능부족관거 검색/조회 모듈을 포함하며, 환경 변수값으로 설정된 최소유속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최소 유속 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최소유속 부족관거 검색/조회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수능부족관거 검색/조회 모듈은 우수 통수능부족관거, 오수 통수능부족관거 및 합류 통수능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며, 통수능부족관거 검색/조회 모듈에서 우수 통수능부족관거는 모든 관거에 여유율을 20%로 설정한 후 하수량에 입력된 여유율을 고려하여 우수관에 대한 총하수 발생량을 산출하여 우수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고, 오수 통수능부족관거는 여유율을 각각 소구경 관거 100%, 중구경 관거 50%, 대구경 관거 25%로 설정한 후 오수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며, 합류 통수능부족관거는 여유율을 각각 소구경 관거 100%, 중구경 관거 50%, 대구경 관거 25%, 우수 통수능 부족 관거 여유율 20%로 설정한 후 합류 통수능 부족 관거를 검색 및 조회한다. 최소유속 부족관거 검색/조회모듈은 환경변수값으로 설정된 우수, 오수 및 합류 최소유속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우수, 오수 및 통수 최소 유속 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관망해석 및 관망의 의사결정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작업을 위해 데이터 검색 언어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직접 조회하거나 또는 보고서를 추출하도록 한 하수관망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는 하수관망 해석을 위해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로 구분하여 도형정보 및 이와 연계되는 속성정보로 구성한다.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도형정보 DB에는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하수관망 시설, 하수부속 시설, 관련 시설)와 관련된 도형정보를 저장하고, 속성정보 DB에는 도형정보 DB를 기준으로 해당 지역의 하수관거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도형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도록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하수관망 시설, 하수부속 시설, 하수배출 용량)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저장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하수관망 시스템은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 하수관망 해석, 의사결정지원 등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는데,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는 하수 관망 해석을 위한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로 구성하고, 이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하수관거의 유량 산출 및 통수능 해석을 수행하며, 하수관망 해석 결과를 통한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한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고 관거 교체 우선 지역을 판단한다.
먼저,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도형 정보는 표 (1)과 같이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관망시설, 하수대장도(관망시설, 부속시설) 등으로 나눌 수가 있다. 하수대장도는 하수관망 해석을 위한 기본적인 관망의 현황(구경, 구배, 연장)을 산출하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하수대장도는 UIS 및 전산화 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서로간의 연계관계 즉, 위상관계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하수도 용량산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각 관거별 평균유출계수 및 관거에 할당된 인구를 산출하기 위하여 도시계획도를 입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도시계획도는 주제도 전산화 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지적도 전산화 사업 등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의 오수배수구역도 및 우수배수구역도는 각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하수계획 시설 평면도(축척 1:3,000)에 나타난 경계를 전산화하여 구축한다. 이는 하수관의 설계시 작성된 도면을 이용하며 우수 및 오수 배수구역도는 하수대장도와 관로의 고유번호를 매개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해 구축된 속성정보는 표 (2)와 같이 구성되며, 크게 도시계획도, 오수배수구역도, 우수배수구역도 및 하수대장도(관거 시설, 부속 시설, 하수 배출용량)로 구분된다. 특히 오수배수구역도 및 우수배수구역도의 속성자료를 산출하기 위하여 GIS의 중첩 기능을 사용한다.
먼저, 도시계획도와 우수배수구역도를 중첩하여 각 우수배수구역별 용도지역 면적을 산출하며, 도시계획도와 오수배수구역도를 중첩하여 각 오수배수구역별 용도지역의 면적을 산출한다.
하수배출 용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 변수를 설정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값은 5년 주기로 발행하는 하수도 정비기본계획 변경에 대한 보고서 및 유량 산출서에서 얻을 수 있다. 산출된 면적과 용도지역별 유출계수, 시간최대 오수발생량을 이용하여 관거별 평균유출계수 및 시간최대오수 발생량을 산출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형 정보와 속성 정보들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베이스부는 MySQL, Oracle, Informix와 같은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이용하고, 미리 정의된 내용에 따라 테이블들을 구성하며 각 테이블은 데이터 종류나 성격에 따라 여러 개의 컬럼(column)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하수도 관망 해석 시스템의 정보(Entity)간의 연관 관계는 도 4와 같이 구성하며, 도형 DB는 크게 하수관망 시설, 하수부속 시설 및 관련 시설 등으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도형 DB의 LAYER 설계는 국가기본도 표준방안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한다. 하수 도형 DB의 내역은 표 (3)과 같이 설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형 DB를 기준으로 이와 연계하여 속성 DB를 설계하되, 속성 DB의 각 항목은 국가기본도 표준 방안과 표준대장 작성요령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하며, 각각의 속성 항목의 국가 표준 방안에 의하여 코드화한다.
먼저, 속성 DB의 각 항목 중 하수관거대장(SEW_LINE)은 표 (4)와 같이 구성한다.
또한, 속성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 중 하수연결관대장(SEW_JOIN)은 표 (5)와 같이 구성한다.
하수측구대장(SEW_SIDE)은 표 (6)과 같이 구성한다.
하수맨홀대장(SEW_HOLE)은 표 (7)과 같이 구성한다.
우수배수면적(RAIN_AREA),오수배수면적(SEW_AREA),합류배수면적(JOIN_AREA)은 각각 표 (8)과 같이 구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변수(기초 환경변수, 강우강도, 용도지역별계수)를 기초로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여 전체 하수관에 대한 우수 관망해석, 오수 관망해석, 합류 관망해석을 수행하고, 각 하수관에 할당되는 하수량을 산출하며, 관거유량 조회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하기의 표 (9)는 우수 배출용량을 산출한 후 생성된 우수배출용량산정 결과(RAIN_ANALY)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나타내고, 표 (10)은 오수 배출용량을 산출한 후 생성된 오수배출용량산정 결과(SEW_ANALY)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나타내며, 표 (11)은 합류 배출용량을 산출한 후 생성된 합류배출용량산정 결과(JOIN_ANALY)값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는 사용자에게 시스템 초기화면을 전송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 메인 화면을 전송한다.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는 도 10a 내지 10b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수관망 해석과 사고 관리로 분류되며, 세부적인 기능은 부메뉴 형태의 계층적 메뉴를 가진다.
하수관망 해석은 환경변수 설정, 우수관망 해석, 오수관망 해석, 합류관망 해석, 유량조회 등으로 구분하고, 사고관리는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 오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 합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적정 보수관경 제시), 오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적정 보수관경 제시), 합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적정 보수관경 제시), 우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 오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 합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 등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관망 해석의 실행에 앞서 관망해석을 위한 기초 환경변수, 강우강도, 용도지역별 계수 등의 환경변수를 설정하여야 하며, 관망 해석은 설정된 환경변수를 기초로 분석하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관망해석을 위한기초 환경변수, 강우강도, 용도지역별 계수 등을 설정하는 기능을 보여주는 화면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기초적인 환경변수는 물론 지역에 따라 차이를 가지는 강우강도의 특성계수 및 용도지역 계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적인 관망해석이 지원되도록 한다. 이때, 환경변수를 시스템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설정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에 의하여,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 변수데이터를 근거로 도형 정보와 속성 정보로 구성되어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함으로써 우수관망, 오수관망 및 합류관망에 대해 하수관거의 유량 산출, 통수능 해석 등의 하수 관망 해석을 수행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하수관망 해석 메뉴의 우수관망 해석 메뉴를 선택하고, 유입시간, 평균유속, 유출계수 등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서버는 관거추적을 통한 누계연장을 산출한 다음 유하시간, 도달시간 및 강우강도를 산출한다. 유하시간의 산출은 누계연장/평균유속(m/sec)에 의하여 산출하고, 도달시간은 유하시간과 유입시간의 합으로 산출하며, 강우 강도는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다.
식 중, I는 강우강도, t는 도달시간을 의미한다.
그 후, 속성 DB에 저장되어 있는 도시계획도 데이터와 우수배수 구역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도시계획별 배수면적을 산출한 다음 관거별 배수면적 및 누계면적(A)을 산출하여 관거별 유량을 산출한다. 이때, 관거별 유량은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한다.
식 중, Q는 유량, C는 유출계수, I는 강우강도, A는 누계면적을 의미한다.
그 후, 사용자가 하수관망 해석 메뉴 중 오수관망 해석 메뉴를 선택하고, 시간 최대오수발생량, 인구밀도 등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서버는 속성 DB에 저장되어 있는 도시계획도 데이터와 오수배수 구역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도시계획별 배수면적을 산출한 다음 관거별 배수면적 및 누계면적(A)을 산출하여 관거별 유량을 산출한다. 이때, 관거별 유량은 시간최대 오수 발생량과 인구밀도 및 누계면적의 곱으로 산출한다.
또한, 사용자가 하수관망 해석 메뉴 중 합류관망 해석 메뉴를 선택하고, 유입시간, 유출계수, 인구밀도, 시간 최대오수 발생량 등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서버는 오수 누적면적을 산출하고, 인구밀도 및 시간 최대오수량을 산정하여 관거별 오수 배출용량을 산출한다. 이어서, 우수 누적면적을 산출하고, 관거 누적연장을 산출하여 관거별 우수 배출용량을 산출한 후 산출한 오수 배출용량과 우수 배출용량을 기준으로 우천시에 합류 배출용량을 산정한다.
이와같이 전체 하수관(우수관망, 오수관망, 합류관망)에 대한 관망해석을 실행하여 각 하수관에 할당되는 하수량을 산출한 다음 이러한 결과값을 조회하고자 사용자가 하수관망 해석 메뉴 중 관거 유량조회 메뉴를 선택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조회된 하수관의 고유번호, 총 발생유량, 최대 처리유량, 최대유속, 유입시간, 유하시간 등을 조회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관망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사고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서버는 하수 관망 해석의 결과를 통해 산출된 관거별 하수량(총발생 하수량)을 통하여 적절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 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한다. 이때, 의사 결정의 지원은 총발생 하수량과 최대처리 하수량 및 관거 유속을 산출하여 총발생 하수량이 최대처리 하수량보다 크고 관거유속이 최저유속보다 작으면 초기 관경을 설정하고, 상기 관거 유속 및 처리 유량을 산출하여 유속이 최저 유속보다 크고 상기 발생 유량이 상기 처리 유량보다 작으면 적정 관경을 제시한다.
여기서,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해 산출되는 총발생 하수량은 발생하수량과 여유율과의 곱에 의해 산출되고, 최대처리 하수량은 관거면적과 유속의 곱에 의해 산출되며, 관거유속은 하기의 Manning 공식(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식 중,,,,,,를 나타낸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사고관리의 주요메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사고관리 메뉴 중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을 선택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여유율을 설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서버는 환경변수를 근거한 관망해석을 통하여 산출된 하수량과 사용자가 지정한 여유율을 고려한 최대처리하수량을 비교하여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게 되는데, 도 13에서는 모든 관거에 여유율을 20%로 설정한 후 하수량에 입력된 여유율을 고려하여 우수관에 대한 총하수발생량 등을 산출함으로써 우수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한다.
오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을 선택하면,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소구경 관거, 중구경 관거, 대구경 관거의 여유율을 설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환경변수를 근거한 관망해석을 통하여 산출된 하수량과 사용자가 지정한 여유율을 고려한 최대처리 하수량을 비교하여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게 되는데, 도 14에서는 여유율을 각각 소구경관거(100%), 중구경관거(50%), 소구경관거(25%)로 설정한 후 오수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한다.
합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을 선택하면, 도 1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소구경 관거, 중구경 관거, 대구경 관거의 여유율 및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여유율을 설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환경변수를 근거한 관망해석을 통하여 산출된 하수량과 사용자가 지정한 여유율을 고려한 최대처리 하수량을 비교하여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게 되는데 도 15에서는 여유율을 각각 소구경관거(100%), 중구경관거(50%), 소구경관거(25%), 우수통수능 부족관거여유율(20%)로 설정한 후 합류수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한다.
또한, 사용자가 사고관리 메뉴 중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적정 보수관경 제시)를 선택하면, 서버는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에 의해 검색된 하수관거(예를들면, 하수관 고유번호가 L14-0184-001)를 도 16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관거 현황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 버튼을 이용하여 다른 필드의 정보를 볼 수 있고, 선택된 하수 관거에 대한 화면 위치를 보고자 할 때는 도면이동 버튼을선택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우수통수능 부족관거에 대한 조회 결과는 크리스탈 레포트를 이용하여 프린트로 출력이 가능하며, 조회 결과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엑셀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하수 관거의 관망 해석을 통하여 통수능 부족 관거를 검색하고, 검색 및 조회된 속성정보의 결과를 통하여 하수 관거의 정비 계획시 관거 교체 우선 지역을 판단하고, 통수능 부족 관거에 대한 적정 관경을 제시함으로써 하수 관망 시설 확충 및 하수 관거 보수시 의사 결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오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적정 보수관경 제시) 또는 합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를 선택하면,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 메뉴를 선택한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오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에 의해 검색된 하수관거 또는 합류통수능 부족관거 검색에 의해 검색된 하수관거를 우수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시 디스플레이되는 도 16와 동일한 테이블 형태로 관거 현황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사고관리 메뉴 중 우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를 선택하면, 서버는 우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검색에 대한 결과를 조회한다. 환경변수값으로 설정된 우수 최소유속 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조회하게 되는데, 우수 유속 부족관거 조회에 의해 조회된 관거는 도 17과 같은 테이블 형태로 관거현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선택된 하수관거는 최대 처리 유량이 0.111(l/s)이고, 최대 유속은 0.697(l/s)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650(mm)의 변경 관경으로 관거를 교체해야 하며, 교체시 변경 유량이 0.295(l/s)임을 나타내줌으로써 하수 관망 시설 확충 및 하수 관거 보수시 의사 결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통수능 부족관거 조회시와 마찬가지로 우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시에도 사용자는 이동 버튼을 이용하여 다른 필드의 정보를 볼 수 있고, 선택된 하수 관거에 대한 화면 위치를 보고자 할 때는 도면이동 버튼을 선택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또, 우수 최소유속 부족관거에 대한 조회 결과는 크리스탈 레포트를 이용하여 프린트로 출력이 가능하며, 조회 결과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엑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7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오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를 선택하면, 서버는 오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검색에 대한 결과를 조회하게 되는데, 환경변수값으로 설정된 오수 최소유속 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조회하게 된다. 오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에 의해 조회된 관거는 도 17과 같은 테이블 형태로 관거현황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합류 최소유속 부족관거 조회를 선택하면, 서버는 합류 유속 부족관거 검색에 대한 결과를 조회하게 되는데, 환경변수값으로 설정된 합류 최소 유속 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조회하게 된다. 합류 유속 부족관거 조회에 의해 조회된 관거도 도 17과 같은 테이블 형태로 관거현황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망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한 도면과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관거의 실시간 현황 파악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관망의 관리는 물론 하수 관거의 노후도를 판단하고, 하수 유량을 예측하여 침수 피해 지역의 예측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 관거의 관망 해석을 통하여 통수능 부족 관거를 검색하여 하수 관거의 정비 계획시 관거 교체 우선 지역을 판단하고, 통수능 부족 관거에 대한 적정 관경을 제시함으로써 하수 관망 시설 확충 및 하수 관거 보수시 의사 결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하수도 관거 및 부속 시설을 대상으로 도형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도형과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각종 업무에 필요한 시설물 정보를 조회, 검색하여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관망의 관리는 물론 각 관거에 부하되는 유량을 신속하게 산출하여 하수 유량의 분배 및 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 하수도 시설물의 관리와 함께 하수관망의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콘이나 메뉴 등의 그래픽 화면을 통해 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하수관망 해석을 위해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로 구분하여 도형정보와 상기 도형정보와 연계되는 속성정보로 구성하는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유량을 산출하고 통수능 해석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G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하수관망 해석모듈과;
    하수관망 해석 결과를 통해 관거현황, 시공조건, 환경조건 등을 고려한 적정 보수공법을 제시하여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의사결정 지원모듈; 및
    상기 서버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부는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하수관망 시설, 하수부속 시설, 관련 시설)와 관련된 도형정보를 저장하는 도형 DB(160)와;
    상기 도형 DB를 기준으로 해당 지역의 하수관거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도형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도록 도시계획도, 우수배수구역도, 오수배수구역도, 하수대장도(하수관망 시설, 하수부속 시설, 하수배출 용량)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속성정보 DB(1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망 해석모듈은 전체 하수관에 대한 관망해석을 실행하여 각 하수관에 할당되는 하수량을 산출하며, 유량 조회 기능을 이용하여 총 발생유량, 최대유량, 최대유속, 각 지역별 누적면적, 유입시간 및 유하시간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관거 유량 검색/조회 모듈과;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 변수를 이용한 하수관망 해석을 통하여 산출된 하수량과 사용자가 지정한 여유율을 고려한 최대처리 하수량을 비교하여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통수능부족관거 검색/조회 모듈과;
    상기 환경 변수값으로 설정된 최소유속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최소 유속 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최소유속 부족관거 검색/조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능부족관거 검색/조회 모듈은 우수 통수능부족관거, 오수 통수능부족관거 및 합류 통수능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능부족관거 검색/조회 모듈에서 상기 우수 통수능부족관거는 모든 관거에 여유율을 20%로 설정한 후 하수량에 입력된 여유율을 고려하여 우수관에 대한 총하수 발생량을 산출하여 우수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고, 상기 오수 통수능부족관거는 여유율을 각각 소구경 관거 100%, 중구경 관거 50%, 대구경 관거 25%로 설정한 후 오수 통수능 부족관거를 검색하며, 상기 합류 통수능부족관거는 여유율을 각각 소구경 관거 100%, 중구경 관거 50%, 대구경 관거 25%, 우수 통수능 부족 관거 여유율 20%로 설정한 후 합류 통수능 부족 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유속 부족관거 검색/조회모듈은 환경변수값으로 설정된 우수, 오수 및 합류 최소유속보다 유속이 적은 관거에 대해 우수, 오수 및 통수 최소 유속 부족관거를 검색 및 조회가능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7.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시스템 초기화면을 전송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기능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 메인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능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가 관망해석을 위한 기초환경변수, 강우강도, 용도지역별계수를 설정하도록 하여 범용적인 관망해석이지원되도록 하는 환경변수 설정 단계와;
    상기 환경변수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 변수데이터를 근거로 도형 정보와 속성 정보로 구성되는 하수관망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여 하수관거의 유량 산출, 통수능 해석 등의 하수 관망 해석을 수행하는 하수관망 해석 수행 단계; 및
    상기 하수 관망 해석의 결과를 통해 적절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관망 보완이 필요시 되는 관거의 적정 관경을 제시하며, 관거 교체 우선지역을 판단하는 의사 결정 지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관망 해석 수행 단계는 우수관망 해석, 오수관망 해석 및 합류관망 해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망 해석 단계는 유입시간, 평균유속, 유출계수 등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관거추적을 통한 누계연장, 유하시간, 도달시간 및 강우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속성 DB에 저장되어 있는 도시계획도 데이터와 우수배수 구역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거별 배수면적 및 누계면적을 산출하여 관거별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망 해석 단계는 시간 최대오수 발생량, 인구밀도 등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도시계획도 데이터와 오수배수 구역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거별 배수면적 및 누계면적을 산출하여 관거별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관망 해석 단계는 유입시간, 유출계수, 인구밀도, 시간 최대오수 발생량 등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오수 누적면적을 산출하고, 인구밀도 및 시간 최대오수량을 산정하여 관거별 오수 배출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우수 누적면적을 산출하고, 관거 누적연장을 산출하여 관거별 우수 배출용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오수 배출용량과 우수 배출용량을 기준으로 우천시에 합류 배출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결정 지원 단계는 총발생 하수량과 최대처리 하수량 및 관거 유속을 산출하여 총발생 하수량이 최대처리 하수량보다 크고 관거유속이 최저유속보다 작으면 초기 관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거 유속 및 최대처리 하수량을 산출하여 상기 관거 유속이 최저 유속보다 크고 상기 총발생 하수량이 상기 최대처리 하수량보다 작으면 적정 관경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적정 보수 관경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결정 지원 단계에서는 통수능 부족관거, 최소유속 부족관거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테이블 형태로 관거현황을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조회 결과를 확인한 사용자가 특정 하수관거에 대해 도면이동 버튼을 선택하면 선택된 하수관거에 대한 화면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검색 및 조회된 속성정보의 결과를 도면 및 보고서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및 조회된 속성정보의 결과를 도면 및 보고서 형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출력 결과가 도면 출력인 경우 화면에 나타난 조회 결과를 프린터 또는/및 플로터를 통하여 출력하고, 보고서 출력인 경우에는 크리스탈 레포트를 이용하여 보고서 형식으로 출력이 가능하게 하며, 조회 결과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엑셀로도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관경 설정 단계에서 상기 관거유속은 하기의 Manning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식 중,,,,,,
KR1020010013171A 2001-03-14 2001-03-14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36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171A KR100361990B1 (ko) 2001-03-14 2001-03-14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171A KR100361990B1 (ko) 2001-03-14 2001-03-14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659A KR20010044659A (ko) 2001-06-05
KR100361990B1 true KR100361990B1 (ko) 2002-11-23

Family

ID=1970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171A KR100361990B1 (ko) 2001-03-14 2001-03-14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015B1 (ko) 2017-01-23 2017-12-01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수리해석을 이용한 냉난방 수배관 시스템의 해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374B1 (ko) * 2002-01-26 2005-04-25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하수관거의 침입수/누수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538445B1 (ko) * 2002-09-18 2005-12-22 주식회사 수로텍 통합형 하수관거 운영/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004233A2 (en) * 2004-07-03 2006-01-12 Surotech. Co., Ltd Decision-marking support system for sewer mainten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82580B1 (ko) * 2006-09-27 2007-12-06 구일에인텍(주) 하수처리 자동 운전 프로세스 구축 및 변경시스템
US7383157B1 (en) * 2007-01-03 2008-06-03 Surotech Co., Ltd.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sewer mainten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1867B1 (ko) * 2014-04-25 2016-11-04 (주)아이뱅크컨설턴츠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
KR102443689B1 (ko) * 2019-12-09 2022-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청천시 소류력을 고려한 합류식 관거 설계 방법
CN112861209A (zh) * 2021-01-08 2021-05-28 珠海新势力创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地下室管廊及集水井的压力废水管线自动生成装置
CN112948945B (zh) * 2021-03-29 2024-03-29 中建一局华江建设有限公司 一种bim结合ar技术的雨污管网综合处置方法
CN113011903A (zh) * 2021-04-26 2021-06-22 成都环极科技有限公司 基于gis和水力模型的水污染精准溯源方法
KR102313603B1 (ko) * 2021-04-28 2021-10-18 (주)삼안 상수도 및 하수도 관망 및 관로 설계 방법 및 장치
CN113836622B (zh) * 2021-09-10 2023-10-13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gis+bim的排水管网信息管理与综合应用系统
CN116757441A (zh) * 2023-07-25 2023-09-15 江苏汇海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污水流量自动监控预警方法、系统
CN116992536A (zh) * 2023-07-31 2023-11-03 北京梦诚科技有限公司 一种雨污水图形算量计算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015B1 (ko) 2017-01-23 2017-12-01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수리해석을 이용한 냉난방 수배관 시스템의 해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659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utinho-Rodrigues et al. A GIS-based multicriteri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lanning urban infrastructures
KR100361990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Vairavamoorthy et al. IRA-WDS: A GIS-based risk analysis tool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Anisha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EPANET for Chirala municipality in Prakasam district of Andhra Pradesh
Cheng et al. Automating utility route design and planning through GIS
CN112182234B (zh) 流域防洪规划数据知识图谱构建方法
CN109726259A (zh) 一种基于gis技术的排水管网设计优化系统及方法
KR100491407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CN109271465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水文数据分析及展示方法
Deng et al. An integrated urban stormwater model system supporting the whole life cycle of sponge city construction programs in China
Fenner et al. A new approach for directing proactive sewer maintenance
KR100314596B1 (ko) 수관망관리장치
KR102068094B1 (ko) 지하수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CN112905721A (zh) 一种海绵城市建设项目的数据库系统
CN113239502B (zh) 基于人工智能图像处理的城市污水管网模拟构建方法
KR200416556Y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주택관리시스템
KR100355493B1 (ko) 지아이에스 기반의 상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KR100388923B1 (ko) 하수도 관망해석 방법
KR100367050B1 (ko) 지아이에스에 기반한 수변구역 토지정보관리 방법
Yoo GIS-based simulation of urban sewerage flow volume
KR100467197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상수도 관망해석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nana et al. Web GIS-Bas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using Google Maps
McAdams et al. Managing Stormwater Facilities in the Arid West: Implementation of Coachella Valley Water District's Asset Management Program
Bonora et al. Drinking water supply modelling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s
Jusi et al. Road asset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in Pacific region: Papua New Guin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10

Effective date: 200610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242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10

Effective date: 200610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10845;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110

Effective date: 2007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500000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110

Effective date: 20071130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06

Effective date: 200712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1084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06

Effective date: 2007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