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157B1 - 차량용개폐장치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용개폐장치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157B1
KR100355157B1 KR1019980011478A KR19980011478A KR100355157B1 KR 100355157 B1 KR100355157 B1 KR 100355157B1 KR 1019980011478 A KR1019980011478 A KR 1019980011478A KR 19980011478 A KR19980011478 A KR 19980011478A KR 100355157 B1 KR100355157 B1 KR 10035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tor
switchgear
terminal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994A (ko
Inventor
유키오 미야타
유타카 세키노
시게루 하타케야마
아츠시 사카가미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412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0233B2/ja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선 루프 등과 같은 개폐장치를 개폐제어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업 스위치(3)에 의한 온-조작에 따라 I UP방향 전류가 모터에 공급되고, 다운 스위치에 의한 온-조작에 따라 I DOWN 전류가 모터(9)에 공급된다. 어떠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운 스위치(5)의 온-조작에 따라 업 스위치(3)가 온-조작되지 않은 때에 I UP방향 전류가 모터에 공급되더라도 전류가 I DOWN방향으로 절환되어 모터에 공급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개폐장치 제어회로{Control circuit for opening/closing devis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개폐장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파워 윈도우, 선 루프(sun roof) 등과 같은 개폐장치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차량에서 파워 윈도우의 제어회로(101)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제어회로(101)는 차량의 유리창을 상승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업(UP) 스위치(103)와, 유리창을 내리기 위해 조작되는 다운(DOWN) 스위치(113),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그 회전방향을 절환하는 모터(109), 차량에 설치된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 및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107) 및,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의 직류가 내부 코일에 공급될 때 접점을 절환하는 업 릴레이(105) 및 다운 릴레이(1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업 스위치(103)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업 릴레이(105)의 접점은 X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W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전원(107)으로부터의 전류는 업 릴레이(105)의 단자(W)를 매개하여 모터(109)에서 다운 릴레이(111)의 단자(Z)를 통해 접지로 이어지는 I UP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후, 모터(109)는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유리창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업 스위치(103)가 온상태인 동안 모터(109)는 유리창이 상승하도록 계속해서 회전한다.
한편, 상기 다운 스위치(113)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다운 릴레이(111)의 접점은 Z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Y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전원(107)으로부터의 전류는 다운 릴레이(111)의 단자(Y)를 매개하여 모터(109)에서 업 릴레이(105)의 단자(X)를 통해 접지로 이어지는 I DOWN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후, 모터(109)는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유리창을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다운 스위치(113)가 온상태인 동안 모터(109)는 유리창이 하강하도록 계속해서 회전한다.
도 1b는 업 릴레이(105)가 단자(W)측에 고정되는 경우 또는 고장으로 인하여 업 릴레이(105)와 업 스위치(103)사이의 연결선이 단락되는 경우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러한 경우, 업 릴레이(105)와 업 스위치(103)사이의 연결선이 단락되어 있으므로, 업 스위치(103)가 턴온되는 바와 동일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업 릴레이(105)의 접점은 W측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I UP방향의 전류가 모터(109)를 통해서 흐르게 되어, 모터(109)는 유리창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다운 스위치(113)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다운 릴레이(111)의 단자는 Z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Y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그러나, 모터(109)의 양 단자는 동일한 전위로 되며, 이로 인하여 모터(109)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운 스위치(113)가 턴온되더라도 모터(109)는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유리창이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업 릴레이(105)가 단자(W)측에 고정되는 경우 또는 업 릴레이(105)와 업 스위치(103)사이의 연결선이 단락되는 경우에는 유리창이 하강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워 윈도우 시스템은 다른 종래 관련기술로, 도 2는 조수석(front passenger seat)측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개폐구동용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파워 윈도우 시스템은 통신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는 마스터 제어유닛(110)과,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110)에서 출력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운전석측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 개폐구동용 모터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우유닛(120,130,140,1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시스템은 마스터 제어유닛(110)과 각 시트(seat) 유닛(120,130,140,150)이 다중 통신선(111)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이들 유닛이 스위치 상태 또는 스위치 신호 등을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운전석측에 설치된 운전석 유닛(120)의 조수석 다운스위치(DOWN SW)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운전석 유닛(120)은 상기 조수석 다운스위치(DOWN SW)에 의한 온-스위치신호를 다중 통신선(111)을 통해서 마스터 제어유닛(110)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운전석 유닛(120)은 P/WDW(Power Window) 록(LOCK) 스위치에 의한 오프-스위치신호를 다중 통신선(111)을 통해서 마스터 제어유닛(110)으로 전송한다.
한편, 마스터 제어유닛(110)은 다중 통신선(111)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근거로 운전석 유닛(120)에 설치된 P/WDW 록 스위치가 오프상태에 있고 IGN(Ignition) 스위치가 온상태에 있으므로 조수석의 윈도우 조작허용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한다. 그후,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110)은 다중 통신선(111)을 통해서 조수석 유니트(150)에 설치된 P/WDW모터(156)를 오픈(open) 구동하기 위한 오픈 스위치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조수석 유닛(150)에서 통신IC(151)는 마스터 제어유닛(110)으로부터 다중 통신선(111)을 통해서 오픈 스위치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통신IC(151)는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를 근거로 트랜지스터(TR152)의 베이스단에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그 트랜지스터(TR152)를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 릴레이(153)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여자되어, 구동 릴레이(153)의 접점 "a"가 그 접점 "b"에 접속된다. 또한, 전원이 P/WDW모터(156)의 단자(D)에 공급되는 한편, 구동 릴레이(155)의 접점 "a"가 그 접점 "c"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P/WDW모터(156)의 다른 단자(U)는 접지된다. 따라서, 오픈-구동전류가 단자(D)에서 단자(U)의 방향으로 P/WDW모터(156)를 통해서 흐르게 되어, 조수석측 도어 윈도우가 오픈-구동된다.
또한, 조수석 유닛(150)의 통신IC(151)에 연결된 다운스위치가 턴온되면, 조수석측 유닛(150)의 통신IC(151)는 다중 통신선(111)을 통해서 마스터 제어유닛(110)으로 조수석측 파워 윈도우를 오픈-구동하기 위한 오픈 스위치신호를 1회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파원 윈도우 시스템에 따르면, 어떠한 원인으로 다중 통신선에 결함이 발생하여 유닛들간에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오픈 스위치신호가 마스터 제어유닛(110)에서 조수석 유닛(150)의 통신IC(151)로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윈도우가 조수석 유닛(150)에 의해 오픈-구동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통신선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장치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할 수 있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는, 개폐조작에 따라 오픈-구동전류 또는 클로스(close)-구동전류의 절환을 실행하여 차량에 설치된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해 모터에 절환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릴레이회로와, 오픈-조작이 실행되면 상기 모터에 오픈-구동전류를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우선공급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양태에 따르면, 오픈-조작이 실행되면 오픈-구동전류가 우선적으로 모터에 공급되므로 차량의 개폐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선공급회로는 상기 오픈-조작이 실행되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클로스-구동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오픈-조작이 실행됨과 동시에 모터에 공급되는 클로스-구동전류가 차단되어 클로스-구동전류가 모터에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차량의 개폐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장치를 오픈-조작하기 위한 오픈 스위치의 온-조작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제1단자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하는 제1접점과, 상기 개폐장치를 클로스-조작하기 위한 클로스 스위치의 온-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제2단자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하는 제2접점 및, 상기 오픈 스위치의 상기 온-조작이 실행되면 상기 모터의 상기 제2접점을강제적으로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하는 인터록킹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오픈 스위치의 온-조작이 실행됨과 동시에 모터의 다른쪽 단자가 접지로 강제적으로 절환되어 오픈-구동전류가 모터에 공급됨에 따라 차량의 개폐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록킹 스위치는 상기 전원과 상기 제2접점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2접점과 상기 모터의 제2접점사이에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인터록킹 스위치는 상기 전원과 상기 제2접점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2접점과 상기 모터의 제2접점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픈 스위치의 온-조작과 동시에 모터의 다른쪽 단자가 접지로 강제적으로 절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는,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개폐장치가 조작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전원에 접속하는 강제접속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장치가 조작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슬레이브 유닛이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전원에 접속한다. 따라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는,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슬레이브 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부터 스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반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은 다중 통신선을 통한 통신이 정상상태이면 통신 정상신호를 전송하는 전송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통신 정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개폐장치가 조작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을 접속하는 강제접속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통신선을 통한 통신이 정상상태이면 마스터 제어유닛은 통신 정상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슬레이브 유닛은 통신 정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개폐장치가 조작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을 접속한다. 따라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장치는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는,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 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비 조작동안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 또는 접지를 접속하고, 상기 개폐장치가 조작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을 접속하는 강제접속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슬레이브 유닛은 비 조작상태동안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 또는 접지를 접속하고, 상기 개폐장치가 조작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을 접속한다. 따라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개폐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는,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조작에 따라 오픈-구동을 강제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을 실행하기 위한 접점 사이에서 전원을 접속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슬레이브 유닛은 조작에 따라 오픈-구동을 강제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으로 절환을 실행하기 위한 접점 사이에서 전원을 접속한다. 이에 따라,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는,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슬레이브 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부터 스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반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은 다중 통신선을 통한 통신이 정상상태이면 통신 정상신호를 전송하는 전송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통신 정상신호가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오픈-구동을 강제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으로 절환을 실행하기 위한 접점 사이에서 전원을 접속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마스터 제어유닛은 다중 통신선을 통한 통신이 정상상태이면 통신 정상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통신 정상신호가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오픈-구동을 강제적으로 실행되도록,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으로 절환을 실행하기 위한 접점 사이에서 전원을 접속하는 스위치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개폐장치는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장치는,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을 실행하는 제1절환회로와, 비 조작상태동안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절환회로를 접속하고,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에 전원을 접속하는 제1스위치, 상기 수신된 클로스-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을 실행하는 제2절환회로 및, 비 조작상태에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와 인터록킹하여 상기 제1절환회로를 접속하고,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한 단자에 대해 전원을 접속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슬레이브 유닛은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에 전원을 접속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인터록킹하여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한 단자에 대해 전원을 접속하는 제2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폐장치는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윈도우 제어회로(101)의 정상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1b는 종래 윈도우 제어회로의 업(UP) 릴레이와 업(UP) 스위치 사이의 연결선에서 단락(short)회로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종래 파워 윈도우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정상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업 스위치를 턴 온(turn-on) 한 때의 회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다운(DOWN) 스위치를 턴 온 한 때의 회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업 릴레이(11)와 업 스위치(3)사이의 연결선에서 단락회로가 발생한 경우의 등가회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다운 스위치(5)를 턴 온 한 때의 등가회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21)의 정상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21)의 업 스위치(29)를 턴 온 한 때의 회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21)의 다운 스위치(31)를 턴 온 한 때의 회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21)의 업 릴레이(25)와 업 스위치(29) 사이의 연결선에서 단락회로가 발생한 경우의 등가회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21)의 다운 스위치(31)를 턴 온 한 때의 등가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유닛(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업 스위치 5: 다운 스위치
7: 인터록킹 스위치 9: 모터
10: 마스터 제어유닛 11: 업 릴레이
12,22: 통신 IC 13: 다운 릴레이
14: CPU 15: 배터리 전원
16: 다중 통신선 20: 운전석 유닛
30: 좌후석 유닛 40: 우후석 유닛
50: 조수석 유닛 51: 통신유닛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와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업 스위치(3)는 도시하지 않은 유리창을 올릴(닫을) 때 조작되는 스위치이고, 다운 스위치(5)는 유리창을 내릴(개방할) 때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이들 업 스위치(3)와 다운 스위치(5)는 도어의 측부에 설치되고, 필요시 차량의 승객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다운 스위치(5)는 링크(1)를 통해서 인터록킹 스위치(7)에 접속되고, 다운 스위치(5)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인터록킹 스위치(7)의 접점을 개폐한다.
모터(9)는 I UP방향으로 흐르는 전류(클로스-구동전류) 및 I DOWN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오픈-구동전류)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모터(9)는 도시하지 않은 암에 의해 유리창에 접속되어 있고, 유리창은 모터(9)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유리창의 완전 클로스 및 완전 오픈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검출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검출기는 엔코더 등을 사용하여 유리창의 위치를 검출하거나 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유리창의 완전 클로스 및 완전 오픈 상태를 검출하여도 된다. 또한, 모터(9)는 유리창의 완전 클로스 및 완전 오픈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배터리 전원(15)은 차량에 설치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공급한다. 업 릴레이(11)와 다운 릴레이(13)는 배터리전원(15)으로부터 직류전원이 그 내부 코일에 공급되면 그 접점을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제어회로(1)가 정상상태일 때의 동작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업 스위치(3) 및 다운 스위치(5)가 오프상태일 때의 회로도이다.
상기 업 스위치(3) 및 상기 다운 스위치(5)가 오프상태일 때, 업 릴레이(11)의 접점은 B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다운 릴레이(13)의 접점은 D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모터(9)는 배터리 전원(15)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그 자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3b는 업 스위치(3)가 온상태일 때의 회로도이다.
상기 업 스위치(3)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동작전류는 업 릴레이(11)의 코일을 통해 흐르고, 업 릴레이(11)의 접점은 B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A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업 릴레이(11)의 단자(A)를 통해서 모터(9) 및 다운 릴레이(13)의 단자(D)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UP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닫히는 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된다. 그후, 업 스위치(3)의 온상태동안 업 릴레이(11)의 접점은 A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계속해서 정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계속해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업 스위치(3)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오프되면, 상기 업 릴레이(11)의 접점은 A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B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후, 상기 모터(9)는 배터리 전원(15)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그 자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그 시점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3c는 다운 스위치(5)가 온상태일 때의 회로도이다.
상기 다운 스위치(5)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동작전류가 다운 릴레이(13)의 코일을 통해서 흐르게 되고, 그후 다운 릴레이(13)의 접점은 D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C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는 다운 릴레이(13)의 단자(C)를 통해서 모터(9)와 업 릴레이(11)의 단자(B)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DOWN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그후, 다운 스위치(5)의 온상태동안 다운 릴레이(13)의 접점은 C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계속해서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다운 스위치(5)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오프되면, 상기 다운 릴레이(13)의 접점은 C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D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인터록킹 스위치(7)도 F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E측에 접촉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후, 상기 모터(9)는 배터리 전원(15)에 접속되지 않게 되므로 그 자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그 시점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어떤 이유로 인하여 업 릴레이(11)와 업 스위치(3)사이의 접속선에서 단락회로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업 릴레이(11)의 접점이 A측에 고정되는 경우에 제어회로(1)의 동작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업 릴레이(11)와 업 스위치(3)사이의 연결선에서 단락회로가 발생하는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업 스위치(3)가 턴온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되어, 업 릴레이(11)의 접점이 A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업 스위치(3)가 온상태로 되면 배터리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가 모터(9)와 다운 릴레이(13)의 단자(D)에서 업 릴레이(11)의 단자(A)를 통해서 접지로 이어지는 I UP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회로(1)의 다운 스위치(5)를 턴온한 때의 등가회로도이다.
상기 다운 스위치(5)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동작전류가 다운 릴레이(13)의 코일을 통해서 흐르게 되고, 그후 다운 릴레이(13)의 접점은 D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C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와 동시에 인터록킹 스위치(7)도 상기 다운 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E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F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는 다운 릴레이(13)의 단자(C)를 통해서 모터(9)와 업 릴레이(11)의 단자(B) 및 인터록킹 스위치(7)의 단자(F)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DOWN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그후, 상기 다운 스위치(5)의 온상태동안 다운 릴레이(13)의 접점은 C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상기 모터(9)는 계속해서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업 스위치(3)가 턴온되지 않은 때 다운 스위치(5)의 온-조작에 따라 I UP방향전류가 모터(9)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모터에 공급되는 I UP방향전류가 차단된다. 그후, 다운방향전류가 모터(9)에 공급되어 유리창이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와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제어회로(21)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차량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제어회로가 정상상태인 때의 동작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의 특징은 인터록킹 스위치(23)가 업 릴레이(25)와 모터(9)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 5a는 업 스위치(29) 및 다운 스위치(31)가 오프상태일 때의 회로도이다.
상기 업 스위치(29) 및 상기 다운 스위치(31)가 오프상태인 때, 업 릴레이(25)의 접점은 L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다운 릴레이(27)의 접점은 N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모터(9)는 배터리 전원(15)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그 자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5b는 업 스위치(29)가 온상태일 때의 회로도이다.
상기 업 스위치(29)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동작전류는 업 릴레이(25)의 코일을 통해 흐르고, 업 릴레이(25)의 접점은 L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K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는 업 릴레이(25)의 단자(K)를 통해서 인터록킹 스위치(23)의 단자(O)와 모터(9) 및 다운 릴레이(27)의 단자(N)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UP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된다. 그후, 업 스위치(29)의 온상태동안 업 릴레이(25)의 접점은 K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계속해서 정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계속해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업 스위치(29)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오프되면, 상기 업 릴레이(25)의 접점은 K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L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후, 상기 모터(9)는 배터리 전원(15)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그 자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그 시점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5c는 다운 스위치(31)가 온상태일 때의 회로도이다.
상기 다운 스위치(31)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동작전류가 다운 릴레이(27)의 코일을 통해서 흐르게 되고, 그후 다운 릴레이(27)의 접점은 N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M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상기 다운 스위치(31)의 스위칭동작과 동시에 인터록킹 스위치(23)의 접점은 O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P측에 접촉된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는 다운 릴레이(27)의 단자(M)를 통해서 모터(9)와 인터록킹 스위치(23)의 단자(P)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DOWN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그후, 다운 스위치(31)의 온상태동안 다운 릴레이(27)의 접점은 M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계속해서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다운 스위치(31)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오프되면, 상기 다운 릴레이(27)의 접점은 M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N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인터록킹 스위치(23)도 P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O측에 접촉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후, 상기 모터(9)는 배터리 전원(15)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그 자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그 시점에서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어떤 이유로 인하여 업 릴레이(25)와 업 스위치(29)사이의 접속선에서 단락회로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업 릴레이(25)의 접점이 K측에 고정되는 경우에 제어회로의 동작에 대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어떤 이유로 인해 업 릴레이(25)와 업 스위치(29)사이의 접속선에서 단락회로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업 릴레이(25)의 접점이 K측에 고정되는 경우의 등가회로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업 스위치(29)가 턴온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되어, 업 릴레이(29)의 접점이 K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업 스위치(29)가 온상태로 되면 배터리 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가 업 릴레이(25)의 단자(K)를 통해서 인터록킹 스위치(23)와 모터(9) 및 다운 릴레이(27)의 단자(N)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UP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된다.
도 6b는 다운 스위치(31)가 온상태일 때의 등가회로도이다.
상기 다운 스위치(31)가 차량의 승객에 의해 턴온되면 동작전류가 다운 릴레이(27)의 코일을 통해서 흐르게 되고, 그후 다운 릴레이(27)의 접점은 N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M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상기 다운 스위치(31)의 스위칭동작과 동시에 인터록킹 스위치(23)도 O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P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전원(15)으로부터의 전류는 다운 릴레이(27)의 단자(M)를 통해서 모터(9)와 인터록킹 스위치(23)의 단자(P)에서 접지로 이어지는 I DOWN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모터(9)는 전류방향에 따라 유리창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그후, 상기 다운 스위치(31)의 온상태동안 다운 릴레이(27)의 접점은 M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모터(9)는 계속해서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르면, 업 스위치(29)가 턴온되지 않은 때 다운 스위치(31)의 온-조작에 따라 UP방향전류가 모터(9)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모터에 공급되는 UP방향전류가 차단된다. 그후, 다운방향전류가 모터(9)에 공급되어 유리창이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2 실시예는 차량의 파워 윈도우 제어회로를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제어회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 등의 선 루프 제어회로에도 적용하여 선 루프를 개폐구동 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제어유닛(10)은 CPU(14)와 통신IC(12)를 갖추고서, 각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기초로 제어모드 또는 개폐스위치신호를 결정하고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운전석 유닛(20)과 좌후석(left rear seat) 유닛(30), 우후석(right rear seat) 유닛(40) 및 조수석 유닛(50)은 그 내부에 각각 통신IC(22,31,41,51)를 가지고 있다. 이들 유닛은 다중 통신선(16)을 통해서 스위치신호를 통신하는 슬레이브 유닛이다. 또한, 운전석 유닛(20)과 좌후석 유닛(30), 우후석 유닛(40) 및 조수석 유닛(30)은 다중 통신선(16)을 통해서 마스터 제어 유닛(10)과 통신함으로써 다중 통신시스템을 구성된다.
상기 운전석 유닛(20)에 설치된 P/WDW 록 스위치는 통신IC(22)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P/WDW 록 스위치가 오프상태이면 릴레이(57; 도 8 참조)의 단자(b)는 오픈상태로 된다. 이때, P/WDW 록 신호는 통신IC(22)로부터 출력되고, 그후 마스터 제어 유닛(10)에 의해 1회 처리된다. 그후, P/WDW 록 신호는 다중 통신선(16)을 통해서 통신IC(51)에서 수신된다. 따라서, 업 스위치(UP SW)가 조작되더라도 모터(56; 도 8 참조)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윈도우는 클로스-구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P/WDW 록 스위치가 온상태이면 통신IC(22)는 접지되고, 업 스위치(UP SW)가 조작된 때 모터(56)가 회전되어 윈도우는 클로스-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은 다음과 같은 특징점을 가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오픈 조작스위치(DOWN SW)의 단자("a")는 모터(56)의 단자(D)와 릴레이(57)의 솔레노이드 코일사이의 접속선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오픈 조작스위치(DOWN SW)의 단자("c")는 릴레이(53)의 단자("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오픈 스위치신호가 통신IC(51)로부터 출력될 때 릴레이(53)의 단자("a")는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윈도우를 닫기 위해 운전석 유닛(20)의 조수석 업 스위치(UP SW)를 조작하거나 조수석 유닛(50)의 업 스위치(UP SW)를 조작하면 클로스 스위치 신호가 그 통신IC(21,51)에서 다중 통신선(16)을 통해서 마스터 제어유닛(10)으로 1회 전송된다. 다음으로, 클로스 스위치 신호는 마스터 제어유닛(10)에서 조수석 유닛(50)의 통신IC(51)로 반송된다. 결국, 상기 통신IC(51)에서 출력된 업 출력(하이레벨)에 따라 트랜지스터(TR54)가 온상태로 되고, 그후 릴레이(55)의 접점이 단자("c")에서 단자("b")로 절환된다. 따라서, 전원은 릴레이(57)와 릴레이(55)를 통해서모터(56)의 단자(U)에 공급되고, 그후 모터(56)의 단자(D)는 다운 스위치(DOWN SW)와 릴레이(53)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따라서, 모터(56)는 윈도우를 클로스-구동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이때, 여자전류(exciting current)는 릴레이(57)의 여자 코일의 내부 저항으로 인하여 릴레이(57)에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승객이 조수석 유닛(50)의 다운 스위치(DOWN SW)를 조작하면 다운 스위치(DOWN SW)의 단자("a")는 그 단자("b")를 통해서 전원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원이 모터(56)의 단자(D)에 공급되는 한편, 모터(56)의 단자(U)는 릴레이(55)의 단자("a")로부터 그 단자("c")를 통해서 접지(GND)에 접속되어 모터(56)가 운전석 도어의 윈도우를 오픈-구동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또한, 통신IC(51)가 업출력을 출력하고 다운 스위치(DOWN SW)가 조작되면, 여자 전류가 다운 스위치(DOWN SW)의 단자("b","a")를 통해서 릴레이(57)의 내부 코일에 공급되며, 이에 따라 릴레이(57)의 접점이 그 단자("c")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윈도우를 클로스-구동하기 위한 모터(56)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윈도우는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한편, 조수석측 윈도우를 열기 위해 운전석 유닛(20)의 조수석 다운 스위치(DOWN SW)를 조작하면 오픈 스위치신호가 그 통신IC(22)에서 전송된다. 상기 오픈 스위치신호는 마스터 제어유닛(10)에서 처리된 다음에 조수석 유닛(50)의 통신IC(51)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IC(51)에서 출력된 다운출력(하이레벨)에 따라 트랜지스터(TR52)가 온상태로 되고, 그후 릴레이(53)의 접점이 단자("c")에서 단자("b")로 절환된다. 따라서, 전원은 릴레이(53)와 다운스위치(DOWN SW)를 통해서 모터(56)의 단자(D)에 공급되고, 그후 모터(56)의 단자(U)는 릴레이(55)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따라서, 모터(56)는 윈도우를 오픈-구동시키기 위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57)의 단자("b")는 운전석 유닛(20)에 설치된 P/WDW 록 스위치에 직접 접속된다. 그러나, 릴레이(57)는 스위치상태가 오프상태 또는 온상태인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운 스위치(DOWN SW)가 오픈-조작되면 운전석측 윈도우는 조수석측 유닛(50)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오픈-구동하도록 강제적으로 절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윈도우는 승객의 필요에 따라 오픈-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전석측 유닛(20)의 P/WDW 록 스위치 및 릴레이(57)의 단자("b")가 접속된다. 릴레이(57)의 단자("b")는 접지되어도 된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은 다중 통신시스템이 정상통신상태일 때 통신IC(51)가 하이레벨의 통신 OK신호(통신 정상신호)를 항상 출력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 OK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 트랜지스터(TR58)가 온동작하고 릴레이(59)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항상 여자되어, 모터(56)의 단자(D)가 릴레이(59)의 단자(a)로부터 그 단자("b")를 통해서 릴레이(53)의 단자("a")에 접속된다. 또한, 릴레이(59)의 단자("c")는 다운 스위치(DOWN SW-2)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다운 스위치(DOWN SW-2)의 다른쪽 단자는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어떤 이유로 인하여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다중 통신선(16)의 통신 중단 및 통신IC(51)의 결함과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통신 OK신호가 로우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TR58)가 오프상태로 된다. 따라서, 릴레이(59)가 솔레노이드 코일의 여자상태를 해제하여, 모터(56)의 단자(D)는 릴레이(59)의 단자("a")에서 릴레이(59)의 단자("c")를 통해서 다운 스위치(DOWN SW-2)의 한쪽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트랜지스터(TR54)가 오프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류가 릴레이(55)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터(56)의 단자(U)는 릴레이(55)의 그 단자("a")를 통해서 접지(GND)에 접속된다.
상기 다운 스위치(DOWN SW-2)가 턴온되면 전원이 다운 스위치(DOWN SW-2)에서 릴레이(59)의 단자("c", "a")를 통해서 모터(56)의 단자(D)에 공급되고, 그후 모터(56)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조수석측의 도어 윈도우는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10)의 CPU(14)는 다중 통신시스템이 정상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통신 OK신호와 파워 윈도우 록 스위치의 록 신호상태를 나타내는 록오프신호를 기초로 논리곱(AND)연산을 수행한다. 그후, 상기 논리곱(AND)출력은 정상상태에서 파워 윈도우 록 신호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고장이 일어나는 경우, 다운 스위치(DOWN SW-2)가 온-조작되면 조수석측 도어 윈도우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도어 윈도우는 승객의 필요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은 다음과 같은 특징점을 가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 유닛(20)에 의해 동작된 개폐 스위치신호 및 P/WDW 록 스위치에 의한 P/WDW 록 신호는 마스터 제어 유닛(10)에 의해 1회 처리되고, 그후 다중 통신선(16)을 통해서 통신IC(51)에서 수신된다. 또한, 인터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조수석 스위치(P/WDW SW)는 모터(56)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56)의 구동전류방향을 직접 절환하게 된다.
상기 조수석 유닛(20)에 설치된 P/WDW 록 스위치가 록(온)상태이면 다중 통신선(16)을 통해 마스터 제어유닛(10)으로부터 통신IC(51)에 의해 수신된 P/WDW 록신호는 하이레벨상태로 된다. 따라서, 릴레이(62)의 솔레노이드 코일이 여자되어 릴레이(62)의 단자("a")가 그 단자("b")에 접속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조수석스위치(P/WDW SW)가 조작되더라도 모터(56)는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P/WDW SW가 모터(56)의 한쪽 단자(D)에 대해 중립상태(Nb)에 있으면, 릴레이(53)의 접점("a")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점("c")에서 접점("b")으로, 즉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된다. 한편, P/WDW SW가 모터(56)의 다른쪽 단자(U)에 대해 중립상태(Na)에 있으면, 릴레이(55)의 접점("a")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점("c")에서 접점("b")으로, 즉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운전석 유닛(20)에 의해 동작된 개폐스위치신호는 마스터 제어유닛(10)에서 1회 처리되고, 그후 통신IC(51)가 다중 통신선(16)을 통해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윈도우는 개폐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어떤 이유로 인하여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통신 중단 및 통신IC 중단 등과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마스터 제어유닛(10)으로부터 P/WDW 록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IC(51)는 P/WDW 록신호를 오프상태로서 처리한다. 그후, 트랜지스터(TR61)가 오프상태로 된다. 따라서, 릴레이(62)는 그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되고, 그후 릴레이(62)의 단자("a")에서 그 단자("c")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조수석 유닛(50)의 P/WDW SW가 승객에 의해 오픈-조작되면, 전원이 P/WDW SW의 단자("Db")에서 단자("b")를 통해서 모터(56)의 단자(D)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모터(56)의 단자(U)는 P/WDW SW의 단자("a","Da") 및 릴레이(62)의 단자("a","c")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따라서, 모터(56)는 회전하기 시작하고, 그후 조수석측 도어 윈도우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일어나는 경우, P/WDW SW가 오픈-조작되면 조수석측 도어 윈도우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으로 절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윈도우는 승객의 필요에 따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서 조수석 유닛(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조수석 유닛(50)은 도 9에 도시한 파워 윈도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조수석 유닛(50)은 제4실시예에서 사용된 릴레이(59) 및 트랜지스터(TR58)의 연결구성이 수정된 것이 특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 실시예에서 릴레이(59)의 솔레노이드의 한쪽 단자는 전원에 접속되고, 그 다른쪽 단자는 트랜지스터(TR58)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6 실시예에서 릴레이(59)의 솔레노이드의 한쪽 단자는 접지에 접속되고, 그 다른쪽 단자는 트랜지스터(TR58)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IC(51)에서 출력된 통신 OK신호가 하이레벨일 때 트랜지스터(TR58)는 온-동작하고, 그후 릴레이(59)의 솔레노이드 코일은 항상 여자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56)의 단자(D)는 릴레이(59)의 단자("a", "b")를 통해서 릴레이(53)의 단자("a")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한 제3 내지 제6 실시예에 있어서 조수석 유닛(50)의 동작은 설명의 편위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조수석 유닛(5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좌후석 유닛(30) 및 우후석 유닛(4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승객의 필요에 따라 윈도우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제3 내지 제6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윈도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발명은 파워 윈도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량의 선 루프 등에도 적용하여 선 루프를 마찬가지로 개폐구동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채용하면 개폐장치의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중 통신선에서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개폐장치를 강제적으로 오픈-구동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개폐장치를 오픈-조작하기 위한 오픈 스위치의 온-조작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제1단자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하는 제1접점과,
    상기 개폐장치를 클로스-조작하기 위한 클로스 스위치의 온-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의 제2단자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하는 제2접점 및,
    상기 오픈 스위치의 상기 온-조작이 실행되면 상기 모터의 상기 제2접점을 강제적으로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하는 인터록킹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스위치는 상기 전원과 상기 제2접점사이에 설치되거나 제2접점과 상기 모터의 상기 제2접점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
  3.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조작에 따라 오픈-구동을 강제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을 실행하기 위한 접점 사이에서 전원을 접속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
  4.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슬레이브 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부터 스위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위치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유닛으로 반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유닛은 다중 통신선을 통한 통신이 정상상태이면 통신 정상신호를 전송하는 전송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통신 정상신호가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되지 않으면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오픈-구동을 강제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으로 절환을 실행하기 위한 접점 사이에서 전원을 접속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
  5.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마스터 제어유닛과,
    다중 통신선을 통해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는 슬레이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유닛은 상기 수신된 오픈 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을 실행하는 제1절환회로와, 비 조작상태동안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절환회로를 접속하고,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한 단자에 전원을 접속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수신된 클로스-스위치신호에 따라 접지에서 전원단으로 절환을 실행하는 제2 절환회로 및,
    비 조작상태에서 수신된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와 인터록킹하여 상기 제1 절환회로를 접속하고,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가 강제적으로 오픈-구동되도록 상기 모터의 한 단자에 대해 전원을 접속하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폐장치 제어회로.
KR1019980011478A 1997-04-02 1998-04-01 차량용개폐장치제어회로 KR10035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84124 1997-04-02
JP08412497A JP3480233B2 (ja) 1997-04-02 1997-04-02 車両用開閉装置の制御回路
JP97-145509 1997-06-03
JP14550997 1997-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94A KR19980080994A (ko) 1998-11-25
KR100355157B1 true KR100355157B1 (ko) 2002-12-26

Family

ID=2642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478A KR100355157B1 (ko) 1997-04-02 1998-04-01 차량용개폐장치제어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11326A (ko)
EP (1) EP0869040B1 (ko)
KR (1) KR100355157B1 (ko)
DE (1) DE698193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182A (ja) * 1998-01-14 1999-07-30 Omron Corp モータ駆動装置及び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3533490B2 (ja) * 1998-06-26 2004-05-31 オムロン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DE19928101C2 (de) * 1999-06-19 2001-10-11 Brose Fahrzeugteile Verfahren zum Steuern fremdkraftbetriebener Fensterheber, Schiebedächer und/oder Schlösser in Kraftfahrzeugen
JP3634990B2 (ja) * 1999-10-19 2005-03-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AU2172801A (en) * 2000-01-08 2001-07-24 Hulsmann, Ulrich Electric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electromotor in a motor vehicle
DE10236106A1 (de) * 2002-08-07 2004-02-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und Sicherungssystem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3815738B2 (ja) * 2003-09-08 2006-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システム
DE102005061610A1 (de) * 2005-12-21 2007-07-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Schließbewegung eines Karosseriebauteils für Fahrzeuge
JP7346981B2 (ja) * 2019-07-30 2023-09-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193U (ja) * 1983-08-06 1985-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直流モ−タの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3783A (en) * 1980-02-29 1981-09-29 Nippon Denso Co Ltd Control unit for load driving
US5138182A (en) * 1988-07-28 1992-08-1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 regulator
JP2674838B2 (ja) * 1989-08-23 1997-11-12 アスモ株式会社 ウインドガラス昇降装置及びウインド駆動用モータ
EP0424907A3 (en) * 1989-10-24 1992-04-08 Nissan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master and slave stations utilizing time division multiplex mode with failsafe provision applicable to automotive vehicles
JP2988198B2 (ja) * 1993-06-10 1999-1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通信装置
DE4338707A1 (de) * 1993-11-12 1995-05-18 Bosch Gmbh Robert Anordnung mit wenigstens zwei über Schnittstellen verbindbaren Teilnehmern
US5578912A (en) * 1994-02-04 1996-11-26 Alps Electric Co., Ltd. On-car motor driving apparatus and self-diagnosing and selective driving mechanisms for the same
JP3552800B2 (ja) * 1995-08-02 2004-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JPH0984124A (ja) 1995-09-19 1997-03-28 Fujitsu Ltd パーソナル通信端末の不正使用防止方法
JPH09145509A (ja) 1995-11-29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圧力センサ
US5731675A (en) * 1996-12-10 1998-03-24 Trw Inc. Adjustable motor control circuit for power window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193U (ja) * 1983-08-06 1985-03-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直流モ−タの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11326A (en) 2000-08-29
EP0869040A3 (en) 1999-03-31
KR19980080994A (ko) 1998-11-25
EP0869040B1 (en) 2003-11-05
EP0869040A2 (en) 1998-10-07
DE69819390T2 (de) 2004-09-09
DE69819390D1 (de)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0794A (en) Power window device and a control device used for the same
KR100355157B1 (ko) 차량용개폐장치제어회로
EP0889192B1 (en) Power window apparatus
US6486630B2 (en) Power window apparatus capable of leaving windows ope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utomobile falls into water
JP3756718B2 (ja) 耐水性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9990083055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장치
US6246564B1 (en) Activating device
US6975084B2 (en) Power window controller
JPH0223384B2 (ko)
US6965207B2 (en) Power window apparatus
US6417636B2 (en) Power window device
KR101746290B1 (ko) 오작동 방지부를 가지는 자동차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회로
JP3798528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JP2000268660A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回路
JP3528573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システム
US5825148A (en) Circuit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a wiper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windshields
JP3798524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回路及び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19980013008U (ko)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
KR19980023655A (ko) 차량 윈도우 원터치 오픈장치
KR200148446Y1 (ko) 도어 로크 액츄에이터의 구동 제어장치
JPH10280802A (ja) 車両用開閉装置の制御回路
JPS6092582A (ja) 自動車のパワ−・ウインドウ制御回路
JPH0947081A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KR19980036297U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장치
JP2001097148A (ja) 自動車ドア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