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906B1 -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906B1
KR100353906B1 KR1020000071329A KR20000071329A KR100353906B1 KR 100353906 B1 KR100353906 B1 KR 100353906B1 KR 1020000071329 A KR1020000071329 A KR 1020000071329A KR 20000071329 A KR20000071329 A KR 20000071329A KR 100353906 B1 KR100353906 B1 KR 10035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 roller
tray
sheet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510A (ko
Inventor
수기무라나오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3Required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2개의 용지 트레이(11, 12)는 이들이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측 용지 트레이(11)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13)는 용지가 송출되는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14)의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며, 상측 용지 트레이(11)는 제 2 급지 롤러(14)에 근접하여 후방에 배치된다. 상하부측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되는 용지 시트는 제 2 급지 롤러(14)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반송되고 나서 도중에 반송 롤러를 제공하지 않고서 일반적인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 10) 내로 이송된다. 제 2 급지 롤러(14)와 접촉되도록 핸들링 부재(16)를 지지하는 홀더(18)는 용지 트레이(12)에 의해 지지되고 용지 트레이(12)를 인출하는 경우에 하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Description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로 절삭된 용지와 같은 시트 모양의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기록 용지 시트를 적층하여 이를 내부에 저장하고 또한 이 화상 기록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送出)하는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및 열전달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대부분에서 문자와 그림과 같은 화상은 소정의 크기로 절삭된 용지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이나 열전달 방식에서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용지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전자사진 방식이나 정전 기록 방식에서는, 상담지체(image carrier element) 상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토너를 가하여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이 토너 화상은 용지 상으로 전달 및 이에 정착된다.
화상이 형성될 용지 시트는 일반적으로 서로의 상단에 적층되어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설치된 급지 장치에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용지 시트는 급지 장치로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급지 장치에 저장될 용지 시트는 적절하게 보급되어야 한다. 이 용지 보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용지 트레이가 사용된다; 즉, 용지 시트는 용지 트레이에 보급되어 저장된다. 몇몇 경우에서, 한 개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 개만의 용지 트레이가 설치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용지 시트를 선택하여 화상을 이 선택된 용지에 부여할 수 있기 위해서 2개 이상의 카세트(용지 트레이)가 결합 사용된다. 기타 몇몇 경우에서는, 2개 이상의 용지 트레이와 결합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여러 용지 시트가 임의로 사용되는 경우에 편리한 포켓용 트레이가 설치된다.
용지 트레이 도는 포켓용 트레이로부터 하나씩 용지 시트를 꺼내고 이를 화상이 부여될 수 있는 위치로 하나씩 송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구가 도 8a 및 8b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기능과 2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중첩되어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서로 분리된 타입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타입의 구조는,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104)의 상면과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용지 트레이로부터 상층의 용지 시트를 송출할 수 있는 급지 롤러(101)와, 2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중첩되어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송출된 용지를 반송하는 핸들링 롤러(102)와, 마찰이 큰 재료로 구성되고 핸들링 롤러(102)와 접촉되어 중첩 반송된 용지 시트를 서로 분리하는 핸들링 부재(패드)(103)를 포함한다.
이 기구에서, 급지 롤러(101)에 의해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104)는 핸들링 롤러(102)와 핸들링 부재(103) 사이의 접촉 위치를 통과하여 화상 부여 위치로 반송된다. 그리고, 2개의 용지 시트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용지 트레이로부터 꺼내지는 경우, 용지의 저면이 핸들링 부재(103)와 접촉될 때, 용지(104)와 핸들링 부재(103) 사이의 마찰은 중첩된 용지 시트 사이의 마찰보다 더 커지므로, 하측의 용지 시트는 상측의 용지 시트로부터 분리되어 상측의 용지 시트만이 화상 부여 위치로 반송된다.
도 8b에서는,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기능과 2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중첩되어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급지 롤러의 또 다른 타입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타입의 구조에서, 급지 롤러(111)는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113)의 상면과 접촉되며, 동시에 핸들링 부재(112)는 급지 롤러(111)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과 접촉된다.
상기 타입의 기구와 마찬가지로 이 타입의 기구에서, 용지가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되고, 핸들링 부재(112)에 의해 2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중첩되어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한 개의 용지 시트만이 화상 부여 위치로 반송될 수 있다. 이 타입에서, 용지(113)의 접촉부와 핸들링 부재(112)의 접촉부가 급지 롤러(111)의 주변 표면에 설정되기 때문에, 급지 롤러(111)의 직경은 어느 정도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것에도 불구하고, 급지 기구가 구조적으로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용지 트레이는 탈착 방향에 따라 2개의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이 두 타입의 용지 트레이는 급지 기구의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용지 트레이가 설정되면, 급지 기구는 용지 트레이의 단부 부근에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용지 트레이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용지 시트를 송출한다. 이 경우, 2 타입의 용지 트레이가 있다. 즉, 한 타입에서는, 용지가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를 뽑아내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용지 트레이가 이탈될 수 있으며, 다른 타입에서는, 상기의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뽑아내어 용지 트레이가 이탈될 수 있다.
용지 트레이가 용지 송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면 JP-A-4-247469 및 JP-B-7-40169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용지 트레이가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 장치에서, 용지 트레이(121, 122)는 전면을 통해 장치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장치의 후방부로부터 송출된 용지는 반송로(123)를 통해서 화상이 전달되는 부분(124)으로 반송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지 트레이를 이탈시킬 경우에 핸들링 부재를 동작시키는 기구로서, 2개의 다른 타입이 있다. 즉, 한 타입의 기구에서, 핸들링 부재는 장치 본체측에 지지되어 용지 트레이로부터 분리되고; 용지 트레이를 장치 본체로부터 뽑아내는 경우에도, 핸들링 부재는 여전히 장치 내에 남아있다. 한편, 다른 타입의 기구에서는, 핸들링 부재는 용지 트레이에 장착되어 용지 트레이를 빼낼 때 동시에 장치 본체로부터 뽑혀진다.
또한, 용지 트레이 내에 적층된 용지 시트를 급지 롤러와 접촉시키는 기구로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타입이 있다.
용지 트레이에 저장되는 용지 시트는 보급 또는 소비에 의해 그 양이 변동하지만 상층 용지 시트의 상면은 항상 급지 롤러와 접촉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급지 롤러 또는 적층된 용지 시트가 스프링 또는 기타 유사한 수단에 의해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많은 기구들이 사용된다. 이 기구들 중에, 용지 트레이의 탈착 동작에 따라서 용지 시트가 급지 롤러와 접촉될 수 있는 기구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되어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기구의 특정 구조에 있어서, 용지 트레이 내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용지 적재판이 배치되고, 용지 트레이 장착 동작에 따라서 용지 적재판은 위로 이동 및 안내되어 용지의 상면을 급지 롤러와 접촉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 화상 형성 장치 또는 급지 장치에서는, 개선 또는 해결되어야 할 다음의 몇 가지 결점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즉, 장치 본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카세트로서 각각 형성된 2개 이상의 용지 트레이를 구비하는 구조에서, 또는 1개 이상의 탈착 가능한 용지 트레이(들) 및 장치 본체의 용지 배치부에 용지 시트를 손으로 배치하는 포켓용 용지 트레이를 구비하는 구조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용지 트레이들 및 포켓용 용지 트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상·하측 상에 각각 배치된다. 용지 트레이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방향이 장치 본체로부터 카세트를 뽑아내는 방향과 동일한 방치에서, 포켓용 용지 트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의 위아래에 배치되지 않은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용지 송출 방향이 용지 트레이 인출 방향과 반대인 장치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트레이의 안정한 설치뿐만 아니라 용지 반송로의 배치에 대한 관점에서 보면, 용지 트레이 및 포켓용 용지 트레이가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구조화된 장치에서, 용지 시트의 수직 적층 배열에 의해 장치의 높이가 증가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단일의 급지 롤러가 용지 트레이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용지가 중첩하여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 급지 롤러의 직경은 더 커지는데, 이는 상기의 문제점을 상당히 악화시킨다.
다른 한편, JP-A-59-190129에 개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상단 용지 트레이가 하단 용지 트레이로부터 후퇴된 위치에 설정된 구조가 또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 장치에서는, 각 용지 트레이 내의 급지 개시 위치가 서로 떨어져 있어, 이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 시트의 반송로는 구조적으로 복잡하다. 이는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절감에 방해된다.
또한, 제 2의 문제점으로서,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구조에서, 핸들링 부재가 용지 트레이에 장착되는 경우, 장치 본체 상에 지지되는 급지 롤러는 핸들링 부재를 방해하는데, 이는 용지 트레이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즉, 도 8b에서, 화살표(C)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와 함께 용지 트레이에 장착된 핸들링 부재(112)를 이동시키려고 하면, 급지 롤러(111)는 이러한 이동에 지장을 주어, 용지 트레이를 인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다른 한편, 핸들링 부재가 장치 본체측 상에 지지되는 경우, 용지 트레이의인출 작동에 대한 방해는 회피될 수 있지만, 용지 트레이가 인출되는 경우에, 핸들링 부재에 도달되어 중첩 송출이 방지된 한 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핸들링 부재에 존재하면, 이러한 용지 시트(들)는 장치 본체 내에 남게 된다. 또한, 일본특허 제 2584849호에서, 용지 트레이의 인출과 동시에 급지 롤러로부터 핸들링 부재를 후퇴시킬 수 있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구는 복잡하여, 장치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제 3의 문제점으로서, 2개 이상의 용지 트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 용지 트레이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장치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경우,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가 급지 롤러와 접촉될 수 있도록 용지 적재판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제공하기 어렵다. 달리 말하면, 제한된 수직 치수에 의해 장치의 저부 상에 용지 트레이 저장부를 제공할 수 없다; 즉, 용지 트레이 저장부는 장치의 측부 상에 제공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적층된 많은 용지 시트를 들어 올려 급지 롤러를 작용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하므로, 용지 적재판은 충분한 힘을 갖는 부재에 의해 안내되어야 한다. 또한, 장치 본체측에 장착된 부재가 용지 트레이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용지 적재판을 상승시키는 기구에 새로운 개량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 및 급지 장치에서 발견된 상기의 결점들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지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탈착 트레이 및 그 부대 구성요소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다.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용지 트레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장치의 높이는 최소화되고 이 장치의 용지 반송 기능은 단순화되어 장치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또는 급지 장치에서,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를 송출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서 급지 롤러와 접촉될 핸들링 부재는 용지 트레이가 인출되는 경우에 급지 롤러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또는 급지 장치에서,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를 작동시켜 이를 급지 롤러와 밀접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단순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급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지 장치에 각각 사용되는 급지 롤러, 핸들링 부재 및 홀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급지 장치의 단면도로서, 용지 트레이를 인출하는 경우에 홀더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급지 장치에 사용되는 용지 트레이의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급지 장치에 사용되는 인양 부재(pull-up member) 및 안내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a 내지 7c는 도 2에 도시된 급지 장치에 사용되는 용지 트레이의 개략도로서, 용지 트레이를 장착하는 경우에 인양 부재와 안내 부재의 기능 및 용지 적재판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8b는 종래의 급지 롤러 및 핸들링 부재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
도 9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하측 상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용지 트레이와, 수직 배치된 용지 트레이의 상측 용지 트레이에 적층 및 저장된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하여 이로부터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수집 배치된 용지 트레이의 하측 용지 트레이에 적층 및 저장된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하여 이로부터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로서, 제 1 급지 롤러는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방향에 대해서 제 2 용지 롤러의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는 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용어 "용지를 송출하는 방향(용지 송출 방향)"은 단순히 수평선 상의방향을 의미하므로, 용지 시트가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후 즉시 경사진 위쪽으로 반송되는 경우에도, 제 2 급지 롤러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2개의 급지 롤러는 각각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상면의 단부와 접촉되어 용지 트레이로부터 용지 시트를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급지 롤러는 종래의 급지 장치보다 서로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용지 트레이는 제 2 급지 롤러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종래의 급지 장치에 비해서 하측 용지 트레이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트레이와 급지 롤러가 차지하는 공간의 높이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배치된 2개의 급지 롤러에 의해 송출되는 용지 시트는 동일한 용지 반송 롤러 내로 이송될 수 있다. 즉, 2개의 급지 롤러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 용지 시트가 송출되는 위치가 서로 더 근접해지기 때문에, 2개의 급지 롤러로부터의 2개의 용지 반송로는 2개의 급지 롤러에 근접한 위치에서 서로 만나게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트레이로부터 만남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는 용지 반송로에 개별적으로 반송 롤러를 제공하지 않고서 용지 시트는 동일한 용지 반송 롤러 내로 직접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여, 용지 반송로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급지 장치의 제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측 용지 트레이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에 배치되고, 제 1 급지 롤러는 제 2 급지 롤러의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어, 제 1 급지 롤러에 의해 송출되는 용지 시트는 제 1 및 제 2 급지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용지 트레이와 급지 롤러가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급지 롤러와 상측 용지 트레이는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므로, 용지 트레이와 급지 롤러가 차지하는 범위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하측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되는 용지 시트는 제 2 급지 롤러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반송될 수 있고 2개의 반송로는 제 2 급지 롤러의 정면에서 서로 만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시트의 반송로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제 1 급지 롤러가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의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는 경우, 바람직하기로는, 이 2개의 급지 롤러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고, 이들 반경이 각각 R1 및 R2인 경우에, 2개의 급지 롤러의 중심은 수평 방향으로 R1 또는 R2와 동일 또는 그 이상 그리고 (R1+R2)와 동일 또는 그 미만의 간격만큼, 또는 수직 방향으로 R1 또는 R2와 동일 또는 그 이상 그리고 (R1+R2)와 동일 또는 그 미만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용지 트레이와 급지 롤러가 차지하는 면적은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3면이 하측 용지 트레이, 제 2 급지 롤러 및 제 2 급지 롤러의 경사진 위쪽에 배치된 제 1 급지 롤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상측 용지 트레이의 단부가 저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용지 트레이의 크기 및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이 합리적으로 사용되어 급지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1 급지 롤러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고 상측 용지 트레이의 높이는 제 2 급지 롤러의 직경보다 더 작게 설정되어, 상측 용지 트레이는 제 2 급지 롤러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급지 롤러와 용지 트레이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급지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 1 또는 제 2 급지 롤러는 주변 표면이 부분적으로 절삭된 상태로 반원형 모양의 롤러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또는 제 2 급지 롤러가 1회전되어 부분적으로 절삭된 부분이외의 다른 나머지의 아크 모양의 부분이 용지 시트를 이송하도록 허용하는 동안,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용지 시트 모두를 반송할 수 있는 일반적인 용지 반송 롤러 내로 용지 시트를 이송하도록 제 1 또는 제 2 급지 롤러가 구조화될 수 있다.
상기의 반원형 모양의 롤러는 단순한 구조로 간헐적으로 용지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데, 반송 가능한 용지의 길이는 절삭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 길이로 제한된다. 그렇지만, 상기의 방식으로 급지 롤러와 용지 트레이를 배치함으로써, 급지 롤러의 직경이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도, 롤러가 차지하는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급지 롤러의 직경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급지 롤러가 용지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 범위 내에, 2개의 용지 트레이로부터 각각 송출되는 용지 시트를 반송할 수 있는 일반적인 용지 반송 롤러가 배치되어 용지 반송 기구를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의 급지 장치에서 또는 이러한 급지 장치를 사용하는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용지 트레이는 장치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카세트에 형성될 수있거나, 또는 임의의 크기를 갖는 용지가 장치의 외부로부터 쉽게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포켓용 용지 트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착 가능한 카세트로서 형성된 용지 트레이에 대해서, 다음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용지 시트가 적층 및 저장될 수 있는 용지 트레이; 이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여 용지 트레이로부터 용지를 하나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 및 급지 롤러가 용지 트레이 내의 용지 시트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의 용지 송출 방향의 하류측 상의 핸들링 부재로서, 급지 롤러의 주변 표면과 접촉 가능하여 2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중첩되어 함께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들링 부재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로서,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를 인출하여 급지 롤러를 지지하는 급지 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지 트레이를 이탈시킬 수 있는 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용지 트레이가 급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 본 핸들링 부재는 용지 트레이에 장착되고 급지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핸들링 부재를 후퇴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핸들링 부재는 용지 트레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쪽 단부를 갖는 홀더의 다른 쪽 단부 상에 배치되고, 홀더의 위치는 핸들링 부재가 급지 롤러와 접촉될 수 있거나 핸들링 부재가 용지 트레이가 탈착됨에 따라 급지 롤러로부터 후퇴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용지 트레이가 급지 장치로부터 인출될 때, 핸들링 부재는 급지 롤러로부터 후퇴되어 급지 롤러를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핸들링 부재를 후퇴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용지 트레이가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 경우,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를 급지 롤러와 접촉시키는 기구에 대해, 다음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급지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용지 시트가 적재되고 저장되는 용지 트레이; 및,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여 용지 시트를 용지 트레이로부터 하나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 여기서 용지 트레이는 용지 트레이를 용지 송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급지 롤러를 지지하는 급지 장치의 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용지 트레이는 용지 트레이의 바닥 부분에 배치된 용지 적재판 및, 용지 적재판을 용지 적재판이 급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인출하기 위해 용지 적재판에 접속된 인출 부재를 포함하고; 현재의 용지 트레이가 이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급지 장치의 본체 상에는, 인양 부재와 맞물릴 수 있어서 인양 부재를 용지 트레이의 삽입 또는 장착과 연결하여 위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추가로 장착된 안내 부재가 있다.
그리고, 안내 부재는 두 개의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반면, 인양 부재의 두 개의 맞물림부는 현재의 두 개의 안내 표면과 순차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인양 부재는 이에 의해 두 단계로 인양될 수 있다.
이 구조에 따라서, 용지 트레이가 장치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용지 트레이의저면부에 배치된 용지 적재판이 인양되어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상부 표면이 급지 롤러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지 적재판 상에 적재된 용지 시트는 용지의 보급 또는 소모에 따라 그 양이 다양하다. 하지만, 인양 부재는 안내 부재의 두 개의 안내 표면에 의해 안내되고 이에 의해 넓은 범위로 동작하여 용지 시트가 저장된 용지 시트의 양에 관계없이 급지 롤러와 적절히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인양 부재로서 좁은 공간 내에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부재가 배치될 수 있어서, 다량의 용지 시트가 용지 트레이에 저장되고, 용지 시트의 무게가 큰 경우에도 인양 부재가 용지 적재판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핸들링 부재를 급지 롤러로부터 후퇴시키는 기구 및 용지 적재판 상의 용지 시트를 급지 롤러와 접촉시키는 기구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급지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는 않고, 이들 기구는 하나의 용지 트레이 및 하나의 급지 롤러를 갖는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타입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본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몇 가지를 아래에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상 기록(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상 기록 장치는 그 표면에, 균일하게 대전된 후 정전 잠상이 상 광(image light)을 조사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상 담지체(1), 상 담지체(1)를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장치(2), 상 광을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서 조사시킴으로써정전 전위 사이의 차이로 인해 상 담지체(1)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 기록 장치(3), 토너를 상기에서 언급된 잠상에 선택적으로 이송함으로써 잠상을 가시화시키는 전개 장치(4), 상 담지체 표면상의 토너 상을 용지 반송로(8)를 따라 공급된 기록 용지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5), 기록 용지 상의 토너 이미지를 가열 및 압착하여 토너 이미지를 용융 및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6), 및 토너가 상 담지체(1)로부터 이송된 후 상 담지체(1) 상에 잔류한 토너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 장치(7)를 포함한다.
또한 상 기록 장치는 기록 용지 시트를 저장하고 차례대로 송출하기 위한 급지 장치(9), 및 급지 장치로부터 송출된 용지 시트를 주어진 시간동안 토너 이미지의 이송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레지스터 롤러(10)를 추가로 포함하다.
상 담지체(1)는 그 표면상에 감광성 물질 층을 포함하고, 균일하게 대전된 후 노출로 인해, 상 담지체(1)의 노출부의 전위는 감쇄된다.
대전 장치(2)는 상 담지체(1)와 접촉되는 롤러-형상 부재이고, 그들 사이의 전압의 부가에 의해, 대전 장치(2)와 상 담지체(1) 사이의 접촉 부위에 인접한 미세 갭 내에 방전이 생성되고, 이에 의해 상 담지체(1)의 표면을 거의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대전 장치로서, 상기에서 언급된 대전 장치(2) 외에, 고 전압을 전극 와이어에 부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상 담지체를 대전시키는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 기록 장치(3)는 블링킹(blinking) 레이저가 상 담지체(1)의 주변 표면을스캔하여, 상 담지체(1)의 주변 표면 상에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 기록 장치로서, LED와 같은 광 방출 소자가 배열될 수 있고 이들은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블링킹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개 장치(4)는 상 담지체(1)와 인접하여 상 담지체의 반대편에 오도록 배치된 원통형 전개 롤러(4a)를 포함하고; 전개 바이어스 전압은 전개 롤러(4a) 및 상 담지체(1) 사이에 부가된다. 이로 인해, 전개 롤러(4a) 및 상 담지체(1) 사이에서, 전개 바이어스 전계가 형성되고, 전하를 갖는 토너는 상 담지체(1) 상에 형성된 노출 부분에 이송되어 가시적 상을 형성한다.
이송 장치(5)는 상 담지체(1)의 반대편에 오도록 배치된 롤러-형 부재이다; 그리고, 이송 장치(5)는 상 담지체(1) 사이에서 이송 전계를 형성하여 그 자신이 토너 이미지를 이송 장치(5)를 통과하는 기록 용지로 이송한다.
급지 장치(9)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용지 트레이(11, 12)와, 용지 시트를 상부 또는 하부 트레이로부터 송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13, 14)와, 이들 급지 롤러에 대해서 각각 압착될 수 있는 두 개의 핸들링 부재(15, 16)와, 용지 트레이(11, 12) 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핸들링 부재(15, 16)를 지지하는 두 개의 홀더(17, 18)를 포함한다.
두 개의 용지 트레이 중, 하부에 배열된 용지 트레이(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카세트로서 형성된 반면, 용지 트레이(12)는 용지가송출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즉, 도 2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용지 트레이(11)는 포켓용 트레이로서 형성됨에 반해, 용지 트레이(11)는 사용시 임의의 크기를 갖는 용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에 배치된 용지 트레이(11)의 바닥 표면(41)은 용지 시트를 하부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14)의 상단(42)보다 더 낮게 설정된다.
급지 롤러(14)는, 도 3 또는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되는 부분을 갖는 주변 표면을 갖는 반달-형상 롤러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급지 롤러(14)가 구동 또는 회전될 때, 그 주변 표면은 용지 트레이(12) 내의 용지 시트(27)의 상부 표면과 접촉되어 용지 시트(27)를 용지 트레이로부터 순차적으로 차례로 송출한다. 또한, 급지 롤러(14)의 동일한 축(21) 상에서, 코어 롤러(2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코어 롤러(20)는 핸들링 부재(16)와 항상 접촉되어, 용지 시트(27)가 급지 롤러(14)에 의해 송출될 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용지 시트(27)는 서로 중첩되고, 코어 롤러(20)는 하측 용지를 상측 용지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하측 용지가 상측 용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급지 롤러(13) 및 제2 급지 롤러(14)는 상부 용지 트레이(11) 및 하부 용지 트레이(12)의 상단의 위쪽으로 각각 배치되고, 도 4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가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13, 14)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도한, 상부 용지 트레이(11)는 제 2 급지 롤러(14)에 인접하여 횡적으로 배치되는 반면, 제 2 용지 트레이(11)에 인접하여 위치한 용지트레이(11)의 부분의 높이는 제 2 급지 롤러(14)의 직경보다 더 작게 설정된다. 또한, 제 1 급지 롤러(13)는, 상부 용지 트레이(11)로부터 용지 시트를 송출하고,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 제 2 급지 롤러(14)의 뒤쪽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배치된다(도 2에서, 화살표 B의 방향).
제 1 급지 롤러(13) 및 제 2 급지 롤러(14)는 가능한 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급지 장치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두 개의 급지 롤러(13, 14)는 R1 및 R2가 각각 급지 롤러(13) 및 급지 롤러(14)의 직경을 나타낼 때 R1 또는 R2와 동등하거나 더 크고 (R1+R2)와 동등하거나 더 작은 간격만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두 개의 급지 롤러(13, 14)를 이런 식으로 배치시킴으로써, 급지 장치에 의해 점유되는 수평 및 수직 길이 모두 감소될 수 있고, 이는 급지 장치(9)의 합리적인 배치를 실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용지 시트는, 상기에서 언급된 위치에 배치된 제 1 급지 롤러(13)에 의해 상부 용지 트레이(11)로부터 송출되고,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13, 14) 사이를 통과하여, 이후 제 1 급지 롤러(13)의 반송 가능한 범위 , 즉 주변 표면의 절단 부분보다는 기타 잔류하는 주변 표면 길이 범위 내에 배치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 내로 이송된다. 또한, 용지 시트는 제 2 급지 롤러(14)에 의해 하부 용지 트레이(12)로부터 이송되어, 또한 제 2 급지 롤러(14)가 구동됨에 따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 내로 이송된다. 즉,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13, 14)를 서로 인접하게,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서로에 대해 비스듬히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용지 트레이(11) 및 용지 트레이(12) 모두로부터 송출되는 용지 시트가 급지 롤러(13, 14)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에 걸친 면적 내에 또 다른 반송 롤러를 제공할 필요 없이 공통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 내로 안내될 수 있고, 이는 용지 반송로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한편, 각각 급지 롤러와 접촉하는 핸들링 부재(15, 16)는 용지에 대해 큰 마찰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용지 시트가 중첩될 때, 핸들링 부재(15, 16)는 상부 및 하부 용지 사이의 마찰력보다 더 큰 용지에 대한 마찰력으로 인해 하부 용지가 상부 용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단지 상부 용지가 반송되는 것만을 허용한다. 이들 핸들링 부재(15, 16)에는 용지 트레이(11, 1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홀더(17, 18)가 제공되고, 반면, 핸들링 부재(15, 16) 각각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급지 롤러(13, 14)와 접촉된다. 또한, 홀더(18)의 회전 축(23)은 핸들링 부재(16)의 부분의 탄젠트의 연장 상에 배치되고 여기서 핸들링 부재는 급지 롤러(14)와 접촉된다. 이로 인해, 급지 롤러(14)와 핸들링 부재(16) 사이의 마찰력은 홀더(18)에 대해 커플(couple)을 제공하지 못하여, 홀더(18)가 진동하여 이상한 소리를 생성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용지 트레이(12)가 용지 보급의 목적으로 인출될 때 하부 용지 트레이(12)에 장착된 홀더(18) 및 홀더 상에 제공된 핸들링 부재(16)는 함께 이동하고 후퇴하여 제 2 급지 롤러(14)가 서로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트레이(1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홀더(18)는 홀더 및 장치 본체 측과 접촉할 수 있는 작동 부재 사이에 놓인 스프링(22)에 의해 구동되고, 그러한 구동력으로 인하여, 핸들링 부재(16)는 급지 롤러(14)와 접촉된다. 또한, 접촉 부재(24)는, 용지 트레이(12)가 장치 본체 내로 장착될 때,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된 가이드(25)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홀더(18)를 상부로 밀어올릴 수 있는 위치로 안내된다. 또한, 장치 본체로부터 용지 트레이(12)를 제거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24)는 가이드(25)의 기울어진 표면을 따라 급속히 내려갈 수 있도록 안내되고, 핸들링 부재(16)를 지지하는 홀더(18)의 부분은 또한 아래로 움직여진다.
이로 인해, 용지 트레이(12)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홀더(19)는 곧바로 회전되고 그리하여 핸들링 부재(16)가 급지 롤러(14)로부터 후퇴하도록 아래로 움직여진다. 그러므로, 용지 트레이(12)는 핸들링 부재(16)가 급지 롤러(14)를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용지 트레이(12)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반면, 용지 적재판(26)은 위로 끌어 올려지고 용지(27)의 상부 표면은 용지 트레이(12)에 저장된다; 그리고, 용지 트레이는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용지 적재판(26)은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움직여진다. 그리고, 용지 트레이(12)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용지 적재판(26)은 용지 트레이(12)의 바닥 부분 상에 위치하여, 용지의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용지 적재판(26)을 인양하는 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트레이(12)는 한쪽 단부가 회전할 수 있는 식으로 용지 트레이(12)의 깊은 쪽 선단부와 인접하여 각각 장착된 두 개의 암-형태의 인양 부재(31), 및 인양 부재(31)의 다른 쪽 단부 및 용지 적재판(26)에 접속된 각각 두 개의 단부를 갖는 두 개의 스프링(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용지 트레이(12)를 장치 본체 내로 장착할 때, 인양 부재(31)는 장치 본체 측에 각각 고정된,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안내 부재(33)에 의해 각각 위로 끌어 올려진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양 부재(31)는 한쪽 단부가 회전할 수 있는 식으로 장착된다; 또한 각 인양 부재(31)는 그 중심부와 인접하여 횡적으로 돌출한 제 1 맞물림부(31a)를 포함한다. 또한, 인양 부재(31)의 선단부 내에, 제 2 맞물림부(31b)가 형성되고 반면 스프링(32)은 제 2 맞물림부(31b)보다 더욱 돌출한 인양 부재(31)의 부분(31c)에 접속된다.
한편, 안내 부재(33)는 장치 본체측의 용지 트레이 측 부분의 반대편의 위치에 있는 제 1 안내 표면(33a), 및 용지 트레이(12)가 장착될 때 상부 정면 부분을 제공하는 안내 부재(33)의 부분 내에 형성되는 제 2 안내 표면(33b)을 포함한다. 안내 부재(33)는, 용지 트레이(12)를 장착할 때, 결합되어 있는 인양 부재(31)의 제 1 및 제 2 맞물림부(31a, 31b)와 접촉되어 스프링(32)이 연결된 인양 부재(31)의 각각의 선단부(31c)를 안내 또는 인양한다.
다음,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여 용지 트레이(12)를 장착할 때 인양 부재(31)의 작동 및 안내 부재(33)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트레이(12)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때, 인양 부재(31)의 선단부는 각각 낮이진 위치에 놓이고, 반면 용지 적재판(26)은 용지 트레이(12)의 바닥 부분의 가장 낮아진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용지 트레이(12)가 장착을 위해 삽입됨에 따라, 인양 부재(31)의 제 1 맞물림부(31a)는 안내 부재(33)의 제 1 안내 표면(33a)과 접촉되고, 이에 의해 인양 부재(31)가 용지 트레이(12)의 삽입 동작과 함께 위로 안내되어진다.
이 때, 제 1 맞물림부(31a)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제 1 안내 표면(33a)과 접촉됨으로써, 안내 부재(33)를 위로 끌어당기는 힘이 안내 부재(31)에 전달되어 인양 부재(31)에 비틀림력을 가한다; 그리고, 비록 비틀림력이 큰 힘을 제공하지는 못하더라도, 초기 단계에서 용지 적재판(26)을 인양하기 위해 인양 부재(31)를 안내하기에는 충분하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 부재(31)가 안내 부재(33)의 제 1 안내 표면(33a)을 따라 미끄러지는 경우, 인양 부재는 제 1 안내 표면(33a)의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고, 인양 부재(31)의 선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2 맞물림 부(31b)는 각각 안내 부재(33)의 제 2 안내 표면(33b)과 접촉된다. 또한, 도 7c에서와 같이, 용지 트레이(12)가 더욱 삽입되면 제 2 맞물림부(31b)가 제 2 안내 표면(33b)을 따라서 위쪽으로 안내되어, 용지 적재판(26)이 스프링(32)을 통해 인양된다. 이 결과, 용지 적재판(26) 상의 용지의 상부 표면은 급지 롤러(14)와 접촉되고, 이에 의해 용지 시트(27)는 급지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차례로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2)에 접속된 인양 부재(31)의 부분(31c)은 제 2 안내 표면(33b)의 두 개의 분할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 자신이 결합되어 있는 슬릿(33c) 내를 통과하는 반면, 제 2 맞물림부(31b)는 제 2 안내 표면(33b)과 두 개의 단부 내에서 각각 접촉된다. 그러므로, 인양 부재(31)는 인양 부재(31)에 대한 비틀림력을 부가할 필요 없이 강한 힘으로 위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 덕분에, 많은 수의 용지 시트가 용지 적재판(26)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서도, 용지 적재판(26)은 인양될 수 있고 그러므로 용지 시트(27)는 급지 롤러(14)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인양 부재(31)는 용지 트레이(12)가 장착됨에 따라 안내 부재(33)에 의해 위쪽으로 안내 및 인양되고, 용지 적재판(26) 상의 용지 시트(27)는 급지 롤러(14)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각 인양 부재(31)가 두 개의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맞물림부가 각 안내 부재(33)의 두 개의 안내 표면(33a, 33b)에 의해 차례대로 안내되기 때문에, 안내 부재(33)는 용지 트레이(12)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고 넓은 범위에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인양 부재(31)가 두 단계로 안내되기 때문에, 각 스프링(32)의 자유 길이(h)는 감소될 수 있어서 각 안내 부재(33)의 높이를 감소시키고 그러므로 급지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의 높이를 최소화한다. 즉,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양 부재(31)의 선단부는 낮은 위치 쪽으로 낮아질 수 있고, 그러므로 각 스프링(32)의 자유 길이(h)가 짧게 설정된 경우조차도, 용지 트레이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용지 적재판(26)이 용지 트레이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앤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프링(32)의 길이(H)는용지 트레이(12)가 장착되고 용지의 상부 표면이 급지롤러와 접촉될 때 짧아질 수 있고, 이는 각 안내 부재(33)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스프링(32)의 길이(H)는 용지의 상면이 급지 롤러(14)와 접촉될 때, 많은 수의 용지 시트가 용지 적재판(26) 상에 반송 또는 적재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H = h + α+ β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용지 시트가 용지 적재판(26) 상에 존재하는 경우, 길이(H)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H = h + α
여기서, α는 용지를 급지 롤러와 압력 접촉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힘을 부가시키기 위한 스프링의 연장 양을 표현하고, β는 용지 적재판 상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 시트를 지지함으로써 발생되는 스프링의 연장 양을 표현하는데, 도 7a -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26mm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용지 트레이로부터 용지 시트를 이송하는데 각각 사용된 두 개의 급지 롤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그중 하나는 다른 하나의 비스듬히 위쪽의 뒤쪽으로 배치되고, 급지 롤러 및 용지 트레이 또는 용지 반송로 롤러는 단독으로 구성되어 급지 장치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용지 반송로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이는 급지 장치의 제조 비용의 감소를 가능케 한다.
또한, 용지 트레이는 용지 트레이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급지 롤러와 접촉되는 핸들링 부재는 용지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후퇴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한 구조로 용지 트레이를 부드럽게 탈착하는 동작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한, 용지 트레이를 장착할 때, 용지 트레이에 포함된 용지 적재판은 용지 트레이 상에 장착된 인양 부재 및 장치 본체 상에 장착된 인양 부재에 의해 위쪽으로 인양될 수 있어서, 용지가 단순한 기구로 이송될 수 있는 상태를 가능케 한다. 또한, 각 안내 부재가 두 개의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각 인양 부재의 두 개의 맞물림부는 두 개의 안내 표면과 차례대로 각각 맞물리기 때문에, 다수개의 용지 시트를 적재할 수 있는 용지 적재판이 단순한 구조로 확실하게 인양될 수 있고 용지는 급지 롤러와 접촉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paper feed roller)로서, 상기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2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용지 트레이 각각으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 1 및 제 2 용지 시트 모두를 수용 및 반송하는 용지 반송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급지 롤러는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1 급지 롤러의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2.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롤러로서, 상기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2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는 제 2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의 후방측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급지 롤러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의 경사진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급지 롤러에 의해 송출되는 제 1 용지 시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3.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2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급지 롤러는 제 2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의 중심은 R1 또는 R2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거리 및 (R1+R2) - 여기서, R1 및 R2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의 반경을 나타냄 - 와 동일 또는 그 미만의 거리를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4.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2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급지 롤러는 제 2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의 중심은 R1 또는 R2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거리 및 (R1+R2) - 여기서, R1 및 R2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의 반경을 나타냄 - 와 동일 또는 그 미만의 거리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5.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상기 제 2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상기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급지 롤러는 제 2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높이가 상기 제 2 급지 롤러의 직경보다 더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 중 하나는 부분적으로 절삭된 주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주변 표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 중 하나가 1회 회전하여 상기 주변 표면이 용지 시트를 공급하도록 허용하는 동안 용지 시트를 용지 반송 롤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급지 롤러는 반원형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8.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용지 트레이로서,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용지 트레이와,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급지 롤러로서,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고,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와,
    상기 급지 롤러가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와 접촉되는 용지 송출 방향의 하류측과 용지 트레이 상에 배치된 핸들링 부재로서, 상기 급지 롤러의 주변 표면과 맞물려 용지 시트 내의 2개 이상의 시트가 중첩되어 함께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지 트레이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경우에 급지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후퇴하는 핸들링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트레이는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를 인출하여 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트레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단부와 핸들링 부재가 배치되는 타 단부를 갖는 홀더와,
    상기 용지 트레이가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핸들링 부재를 상기 급지 롤러와 접촉시키고 상기 용지 트레이가 인출되면서 상기 급지 롤러로부터 핸들링 부재를 후퇴시키도록 상기 홀더의 위치를 제한하는 안내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급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핸들링 부재가 상기 급지 롤러와 접촉되는 위치에서 상기 급지 롤러의 접선 상에 위치한 회전 중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부재가 장착되는 홀더부와 상기 안내 부재와 접촉되는 홀더부는 서로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홀더부 사이에 탄성 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12.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용지 트레이로서, 상기 용지 트레이의 저면부 상에 배치된 용지 적재판 및 이 용지 적재판에 연결된 인출 부재를 포함하는 용지 트레이와,
    상기 용지 트레이에 저장된 용지 시트의 상면과 접촉 가능한 급지 롤러로서,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고,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급지 롤러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안내 부재로서, 상기 용지 트레이의 삽입 동작에 따라인양 부재(pull-up member)를 위쪽으로 안내하도록 인출 부재와 맞물림 가능한 안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 트레이는 용지 송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용지 트레이를 인출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할 수 있고,
    상기 인양 부재는 상기 용지 적재판 상의 용지 시트가 상기 급지 롤러와 접촉 가능한 위치로 용지 적재판을 끌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부재는 제 1 및 제 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인양 부재를 안내하여 용지 적재판의 최저 위치로부터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용지 적재판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용지 트레이가 삽입되는 경우에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 1 안내 표면과, 인양 부재를 안내하여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승된 용지 적재판을 용지의 상면이 급지 롤러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까지 더욱 상승시키도록 제 2 맞물림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 2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14. 디지털 신호에 따라 용지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거나, 화상 담지체(擔持體) 상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 시트로 전송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용지 시트를 저장하는 급지 장치로서, 이로부터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급지 장치와,
    소정의 시간에 상기 급지 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대향하는 위치로 송출되는 용지 시트를 반송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급지 장치는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로서,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제 2 용지 시트와 맞물림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는 제 1 및 제 2 용지 시트를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로 각각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디지털 신호에 따라 용지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거나, 화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 시트로 전송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용지 시트를 저장하는 급지 장치로서, 이로부터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급지 장치와,
    상기 급지 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대향한 위치로 송출되는 용지시트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 유닛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급지 장치는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로서,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제 2 용지 시트와 맞물림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는 제 2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급지 롤러는 용지 이송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의 경사진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급지 롤러에 의해 송출되는 제 1 용지 시트는 제 1 및 제 2 급지 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 용지 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상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트레이로서, 제 2 용지시트를 적층 및 저장하는 하부 용지 트레이와,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 내의 제 1 용지 시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급지 롤러로서, 제 1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하부 용지 트레이 내의 제 2 용지 시트와 맞물림 가능한 제 2 급지 롤러로서, 제 2 용지 시트를 하나씩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급지 롤러는 제 2 용지 시트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측 경사진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용지 트레이는 용지 송출 방향에 대해서 제 2 급지 롤러에 근접하여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 용지 트레이의 저면은 상기 제 2 급지 롤러의 상단보다 더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장치.
KR1020000071329A 2000-04-06 2000-11-28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353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4559 2000-04-06
JP2000104559A JP3736276B2 (ja) 2000-04-06 2000-04-06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510A KR20010096510A (ko) 2001-11-07
KR100353906B1 true KR100353906B1 (ko) 2002-09-28

Family

ID=1861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329A KR100353906B1 (ko) 2000-04-06 2000-11-28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09177B1 (ko)
JP (1) JP3736276B2 (ko)
KR (1) KR100353906B1 (ko)
CN (1) CN124402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2529B2 (en) * 2002-08-13 2005-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s for accessing a separation pad in a printing device
ITTO20040526A1 (it) 2004-07-28 2004-10-28 Olivetti Tecnost Spa Dispositivo a struttura compatta per il prelievo di fogli da due cassetti, relativa stampante
JP2006199175A (ja) * 2005-01-21 2006-08-03 Yamaha Motor Co Ltd スノーモービル
KR100739696B1 (ko) * 2005-03-04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적재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JP4745719B2 (ja) * 2005-05-13 2011-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49271B2 (ja) * 2005-06-08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
JP4662170B2 (ja) * 2006-10-02 2011-03-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供給装置
US7690641B2 (en) * 2007-06-04 2010-04-06 Xerox Corporation Gateless diverter—'S' shaped paper path
KR101172395B1 (ko) * 2007-07-05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1372288B (zh) * 2007-08-24 2010-05-19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自动馈纸装置
CN101607639B (zh) * 2008-06-16 2013-06-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送纸装置
JP5499571B2 (ja) * 2009-08-31 2014-05-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PL3243615T3 (pl) 2011-11-10 2020-08-24 Packsize Llc Podwyższona maszyna przekształcająca do przekształcania materiału w szablony opakowań
JP2013230926A (ja) * 2012-05-01 2013-11-14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シート収容装置、画像形成装置
JP6197324B2 (ja) * 2013-03-27 2017-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571991B2 (ja) * 2015-06-02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50469B2 (en) * 2016-06-16 2020-12-01 Packsize Llc Box forming machine
US11242214B2 (en) 2017-01-18 2022-02-08 Packsize Llc Converting machine with fold sensing mechanism
SE540672C2 (en) 2017-06-08 2018-10-09 Packsize Llc Tool hea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converting machin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tool heads in a converting machine
US10821748B2 (en) * 2017-07-28 2020-11-03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7056233B2 (ja) * 2017-07-28 2022-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WO2019163004A1 (ja) * 2018-02-20 2019-08-29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US11305903B2 (en) 2018-04-05 2022-04-19 Avercon BVBA Box template folding process and mechanisms
US11247427B2 (en) 2018-04-05 2022-02-15 Avercon BVBA Packaging machine infeed, separation, and creasing mechanisms
US11634244B2 (en) 2018-06-21 2023-04-25 Packsize Llc Packaging machine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129A (ja) 1983-04-12 1984-10-27 Mita Ind Co Ltd 複写機における給紙装置
JPS63271359A (ja) 1987-04-30 1988-1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3232660A (ja) * 1990-02-07 1991-10-16 Tokyo Electric Co Ltd 用紙排出装置
US5116034A (en) * 1990-12-14 1992-05-26 Hewlett-Packard Company Envelope/sheet feed mechanism
JPH04247469A (ja) 1991-02-01 1992-09-0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199503B2 (ja) * 1992-07-31 2001-08-2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H0740169A (ja) 1993-07-28 1995-02-10 Honda Motor Co Ltd ワーククランプ装置
US5391009A (en) * 1993-10-29 1995-02-21 Hewlett-Packard Company Single motor actuation for automatic stack feeder system in a hardcopy device
JPH10129860A (ja) * 1996-10-31 1998-05-19 Canon Inc 記録装置
DE69824780T2 (de) * 1997-04-09 2005-07-14 Seiko Epson Corp. Dokumentenzuführvorrichtung für einen Druc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510A (ko) 2001-11-07
US6709177B1 (en) 2004-03-23
JP3736276B2 (ja) 2006-01-18
CN1316676A (zh) 2001-10-10
CN1244025C (zh) 2006-03-01
JP2001287842A (ja) 200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906B1 (ko)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920001978B1 (ko) 기록기기의 용지 반송 장치
JPH04209138A (ja) 給紙カセット並びにこの給紙カセッ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572608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2148883A (ja) 画像−形成装置用カートリッジ
US6634634B2 (en) Sheet feed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085419A (en) Paper feeder insert tray
EP1666978B1 (en) Image forming device
CN101144998B (zh) 具有紧凑尺寸的成像设备
JP2001019173A (ja) シート収容装置
US5215299A (en) Spring elevator system for paper supply
JP46693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56065A (ja) 画像形成装置
US6547234B1 (en) Quadruple capacity feeder cassette
JPH06321435A (ja) 画像記録装置
JP2000038247A (ja) 画像形成装置の排出トレイ
JP3483319B2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87570B2 (ja) 画像形成装置
JP3785873B2 (ja) 給紙装置
JPS624150A (ja) 印刷装置
JP4060446B2 (ja) 給紙装置
JPH05162860A (ja) 大容量給紙装置とこの大容量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S63196453A (ja) 搬送装置
JP2714511B2 (ja) 給紙カセット
JPH04209139A (ja) 給紙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