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789B1 - 음식물쓰레기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처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4789B1 KR100324789B1 KR1019970059231A KR19970059231A KR100324789B1 KR 100324789 B1 KR100324789 B1 KR 100324789B1 KR 1019970059231 A KR1019970059231 A KR 1019970059231A KR 19970059231 A KR19970059231 A KR 19970059231A KR 100324789 B1 KR100324789 B1 KR 100324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air
- food waste
- hood
- drum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4—Biological compo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컴팩트하고 옥내 및 옥외 모두에 설치가능하며, 악취가 없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이 양호하며, TOC값이 극히 작고, 대량의 톱밥의 투여가 불필요하며, 처리 경비가 저렴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이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을 도입하여,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를 이용하여 퇴비화시켜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드럼본체 (7) 와, 피처리물의 도입구 및 에어배출구를 갖는 앞뚜껑과, 처리에 의해 생성된 퇴비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에어도입구를 갖는 뒤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럼본체 (7) 만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6) 과; 상기 드럼 (6) 의 드럼본체 (7) 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 (21) 과; 상기 드럼 (6) 내의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구로부터 강제배출시키는 에어배출수단 (16) 과; 상기 드럼 (6) 의 전단에 설치된 호퍼 (27) 와; 상기 호퍼 (27) 로부터의 도입된 피처리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 (28) 과; 상기 절단수단 (28) 에 의해 절단된 피처리물을 상기 드럼내 (6) 에 송입하는 송입수단 (29) 과; 상기 드럼 (6) 내에 상기 드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샤프트 (S) 와, 상기 회전샤프트 (S) 에 장착된 블레이드 (B) 로 이루어진 파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해결수단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를 이용하여 퇴비화하기 위한 음식물 쓰래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을 처리하여 퇴비화시키는 장치로서는, 혐기성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타입의 것과, 호기성균을 이용하여 산화분해시키는 타입의 것이 있는데, 종래 제안되어 온 장치의 대부분은 전자의 혐기성균을 이용하는 타입의 것이었다.
그런데, 혐기성균을 이용하는 타입의 장치에서는, 가동시에 처리드럼내의 온도가 약 80 ℃ 전후의 고온이 되므로, 부패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현저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호기성균을 이용하는 타입의 장치에서는, 가동시의 처리드럼내의 온도는 약 50 ∼ 60 ℃ 로 비교적 낮은 온도이기 때문에, 악취의 발생이라는 문제는 회피된다.
그러나, 호기성균을 이용하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장치가 대규모라서 옥내에의 설치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악취가 강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퇴비로의 변환효율) 이 나쁘며, 처리잔여물중의 용존 유기성 탄소량 (TOC값) 이 크고, 처리를 위해 투입되는 톱밥의 양이 대량으로 필요하며, 처리경비가 비싸다는 등의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하여, 매우 컴팩트하고 옥내 및 옥외 모두에 설치가능하며, 악취가 없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이 양호하며, TOC값이 극히 작고, 대량의 톱밥의 투여가 불필요하며, 처리 경비가 저렴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후드를 장착한 도 1 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드럼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호퍼, 절단기구 및 송입기구의 설명도.
도 4 는 후드를 떼어낸 상태의 도 1 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후방부분의 사시도.
도 5 는 후드를 떼어낸 상태의 도 1 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우측면도.
도 6 은 후드를 떼어낸 상태의 도 1 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평면도.
도 7 은 호퍼 및 절단기구의 상세도.
도 8 은 호퍼 및 절단기구의 상세도.
도 9 는 송입기구의 설명도.
도 10 은 에어유로의 설명도.
도 11 은 검사창의 설명도.
도 12a 및 12b 는 드럼본체의 회전방향과 피처리물의 움직임의 관계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후드 3 : 베이스
5 : 자동조작박스 6 : 드럼
7 : 드럼본체 8 : 앞뚜껑
9 : 뒤뚜껑 10 : 기어
11 : 검사창 12, 13 : 가이드 원주홈
14 : 피처리물 도입구 15 : 에어배출구
16 : 에어배출기구 18 : 배출구
19 : 배출관 20 : 구멍
21 : 구동모터 22 : 기어
23, 24 : 롤러 25, 26 : 지지플레이트
27 : 호퍼 28 : 절단기구
29 : 송입기구 31, 32 : 절단날
33 : 구동모터 36, 37 : 기어
38 : 챔버 39 : 나선형 스크루부재
40 : 에어흡입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을 도입하고,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를 이용하여 퇴비화시켜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드럼본체와, 피처리물의 도입구 및 에어배출구를 갖는 앞뚜껑과, 처리에 의해 생성된 퇴비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에어도입구를 갖는 뒤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럼본체만이 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드럼본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드럼내의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구로부터 강제배출시키는 에어배출수단과,
상기 드럼의 전단에 설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의 도입된 피처리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피처리물을 상기 드럼내에 송입하는 송입수단과,
상기 드럼내에 상기 드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장착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파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을 도입하고,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를 이용하여 퇴비화시켜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드럼본체와, 피처리물의 도입구 및 에어배출구를 갖는 앞뚜껑과, 처리에 의해 생성된 퇴비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에어도입구를 갖는 뒤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럼본체만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드럼본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드럼내의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구로부터 강제배출시키는 에어배출수단과,
소요부위에 에어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피처리물 도입구, 상기 퇴비배출구 및 상기 에어배출구는 노출시킨채 장치본체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드럼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어 장착되는 후드와,
상기 드럼의 전단에 설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의 도입된 피처리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피처리물을 상기 드럼내에 송입하는 송입수단과,
상기 드럼내에 상기 드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장착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파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 은 안전후드를 떼어낸 상태, 도 2 는 안전후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드럼의 전단에 설치된 호퍼, 절단기구 및 송입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4, 도 5, 도 6 은 각각 안전후드를 떼어낸 상태의 후방부분의 사시도, 우측면도,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 은 호퍼 및 절단기구의 설명도, 도 8 은 절단날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송입기구의 설명도이다. 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호기성균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을 산화분해시켜, 퇴비화처리하는 것이며, 옥내에서도 옥외에서도 이용가능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 은 장치본체, 2 는 안전후드, 3 은 베이스, 4 는 발판, 5 는 자동조작박스, 6 은 드럼이다.
드럼 (6) 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드럼본체 (7), 앞두껑 (8) 및 뒤뚜껑 (9) 으로 이루어진다. 드럼본체 (7) 는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의 앞뚜껑 (8) 측의 주위에 대경의 기어 (10) 가 설치되고, 드럼본체 (7) 의 중앙부분의 적소에는 검사창 (11) 이 장착되고, 그 양측의 주위에는 가이드 원주홈 (12, 13)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드럼본체 (7) 로서는, 내산화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제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들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면 기타 적당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드럼본체 (7) 의 전방 개구부에는 앞뚜껑 (8) 이 설치되고, 이 앞뚜껑 (8) 은 베이스 (3) 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앞뚜껑 (8) 에는 피처리물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 (1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앞뚜껑 (8) 의 적소에는 에어배출구 (15) 가 형성되고, 이 에어배출구에는 에어배출기구 (16) 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에어배출기구 (16)에는 배기팬 (F) 이 형성되어, 드럼 (6) 내의 공기나 이산화탄소, 열 등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드럼본체 (7) 의 후방개구부에는 뒤뚜껑 (9) 이 설치되고, 이 뒤뚜껑 (9) 도 베이스 (3) 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또 뒤뚜껑 (9) 에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로 생성된 퇴비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18) 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 (18) 에는 배출관 (19) 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 (18) 는 에어도입구도 겸하고 있는데, 에어배출구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배출관 (19) 의 관벽의 일부에는 에어도입을 위한 직사각형 구멍 (20) 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구멍 (20) 의 형상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베이스 (3) 의 적소에는 구동모터 (21) 가 설치되고, 그 출력축에는 소경의 기어 (22) 가 장착되고, 이 소경의 기어 (22) 와, 드럼본체 (7) 에 설치된 대경의 기어 (10) 는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 베이스 (3) 에는, 한 쌍의 롤러 (23, 23) 와, 또다른 한 쌍의 롤러 (24, 24) 가 각각 지지플레이트 (25, 25) 와, 지지플레이트 (26, 26) 를 통하여 드럼본체 (7) 의 횡단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만큼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드럼본체 (7) 에 형성된 가이드 원주홈 (12, 13) 과 각각 결합하여, 드럼본체 (7) 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들 롤러 (23, 23) 및 롤러 (24, 24) 는 드럼본체 (7) 의 중심축의 위치결정을 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한편, 드럼의 전방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처리물을 도입하기 위한 호퍼 (27), 호퍼 (27) 에 도입된 피처리물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절단기구 (28) 및 절단기구 (28) 로 절단된 피처리물을 드럼 (6) 내로 송입하기 위한 송입기구 (29) 가 설치되어 있다. 30 은 커버이다. 이들의 형태를 도 8 에 나타낸다.
절단기구 (28) 에서 사용되는 날로서는, 임의의 형상의 한 쌍의 절단날 (31, 32) 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절단날 (31, 32) 은 모터 (33) 의 구동력을 벨트 (34) 를 통하여 풀리 (35) 에 전달하고, 또 그 회전력을 기어 (36, 37) 에 전달함으로써 작동한다. 여기서 기어 (35) 와 기어 (36) 는 견고하게 맞물려 있으므로 다소 딱딱한 피처리물이 투입된 경우에도 슬립하는 일 없이, 절단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절단날 (31, 32) 로 절단된 피처리물은 그 하방에 마련된 챔버에 (38) 에 도달하고, 여기서 피처리물은 송입기구 (29) 에 의해, 앞뚜껑 (8) 에 형성된 피처리물 도입구 (14) 를 통하여 드럼 (6) 내로 송입된다. 도 9 에 있어서 도면번호 39 로 나타내는 것이 나선형 스크루부재이다. 이 나선형 스크루부재 (39) 는 한 개의 봉형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지만, 그 재료로서는, 특히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의 촉진의 관점에서 철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본체 (7) 내에는, 그 중심축과 평행하게, 또 그 중심축보다 상방으로 회전샤프트 (S) 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회전샤프트 (S) 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샤프트 (S) 에는 복수의 블레이드 (B) 가 장착되고, 이들은 피처리물의 파쇄를 행함과 동시에, 피처리물을 배출구측으로 반송하는 역할도 한다. 블레이드 (B) 의 형상은 관용의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6) 에는 후드 (2) 가 장착되고, 후드 (2) 에 의해, 에어흡입구 (40) 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밀폐계가 형성된다. 이 때 드럼 (6) 과 후드 (2) 의 사이에는 적당한 간격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그 간격이 에어유로의 일부가 된다. 따라서, 에어배출기구 (16) 의 작동에 의해, 에어흡입구 (40) 로부터, 드럼 (6) 과 후드 (2) 와의 간격, 드럼 뒤뚜껑 (9) 에 형성된 에어도입구 (20, 18), 드럼 (6) 내, 드럼 앞뚜껑 (8) 에 형성된 에어배출구 (15), 에어배출기구 (16) 까지의 사이에 에어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 에어유로를 도 10 에 나타낸다. 따라서, 장치가동시에는, 후드 (2) 의 에어흡입구 (40) 로부터 흡입된 에어는, 드럼 (6) 내에서 호기성균의 활동에 의한 산화분해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드럼 (6) 과 후드 (2) 와의 간격에서 적정온도로 예열된 후, 드럼 (6) 내에 도입되게 된다. 에어배출기구 (16) 의 작동의 강도는, 드럼본체 (7) 의 회전시에는 강하게, 비회전시에는 약하게 설정된다.
또한, 후드 (2) 에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사용의 개구부 (41) 가 형성되고, 거기에 커버 (42) 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드럼내의 상태를 검사할 때에는, 자동조작박스 (5) 에 조립된 제어계 (도시생략) 의 회전제어에 의해, 반드시 회전드럼 (7) 의 검사창 (11) 이 개구부 (41) 의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피처리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서, 드럼본체 (7) 의 회전속도, 회전시간의 길이, 회전시간간격, 통풍 (배기) 의 강도 등을 적절히 선택하는데, 이들은 자동조작박스 (5) 의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이나 그 퇴비화를 촉진하기 위한 재료 (톱밥, 호기성균에 의한 처리제 등) 의 투입은 호퍼 (27) 로부터 행한다. 커버 (30) 를 열고, 호퍼 (27) 에 이들을 투입한다. 여기서 드럼본체 (7) 와 나선형 스크루부재 (39) 는 일정시간 간격마다 소정시간 (예를 들면 1 시간마다 1 분간) 회전하도록 설정해둔다. 한편, 배기팬 (F) 을 작동시켜, 드럼 (6) 내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둔다.
호퍼 (27) 로부터 투입된 피처리물은 드럼 (6) 내에 도입되기전에, 미리 절단기구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다. 즉, 구동모터 (33) 의 작동에 의해, 그 구동력은 벨트 (34) 를 통하여 풀리 (35) 에 전달되고, 이것과 연결된 기어 (36) 및 그 기어 (37) 와 맞물린 기어 (37) 에 의해, 절단날 (31, 32) 이 적절한 절단동작을 행하여, 피처리물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다음에, 절단된 피처리물은 그 아래의 챔버에 (38) 에 도달하고, 여기서 나선형 스크루부재 (39) 에 의해 도입구 (14) 를 통하여 드럼 (6) 내로 반송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송입을 행하는 부재로서는, 종래, 샤프트에 나선형의 날을 설치한 것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의 것을 사용하면, 피처리물이 날에 달라붙어서 송입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사태가 많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과 같은 부재를 채용하였으므로, 이와 같은 곤란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입구 (14) 로부터 드럼 (6) 내에 도입된 피처리물은, 드럼본체 (7) 와 함께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자동조작박스 (5) 에서의 버튼조작으로 구동모터 (21) 가 구동되고, 그 회전구동력은 소경의 기어 (22) 를 통하여, 드럼 (6) 에 설치된 대경의 기어 (10) 에 전달된다. 드럼본체 (7) 는 가이드 원주홈 (12) 이 한 쌍의 롤러 (23, 23) 와, 가이드 원주홈 (13) 이 하나의 롤러 (24, 24) 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드럼본체 (7) 전체는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한다. 이 때, 회전샤프트 (S) 에 장착된 블레이드 (B) 에 의해 피처리물은 파쇄되고, 서서히 배출구측으로 반송된다.
드럼 (6) 내에 도입된 피처리물에는 에어가 공급되고, 에어에 포함된 산소에 의해서 호기성균에 의한 피처리물의 산화분해가 행해져, 피처리물은 퇴비화된다. 피처리물은 도입구 (14) 로부터 약 60 ∼ 100 ㎝ 의 장소에서 가열권에 도달하고, 약 50 ∼ 60 ℃ 의 온도가 되며, 천천히 생물학적 연소방식에 의해 퇴비화가 행해진다. 그리고 드럼본체 (7) 의 회전 및 블레이드 (B) 의 움직임에 의해서, 피처리물은 퇴비화되면서 서서히 배출구 (18) 측으로 보내지고, 최종적으로는, 배출구 (18) 로부터 배출관 (19) 을 통하여 퇴비로서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관 (19) 의 출구에 놓여진 플라스틱용기 등에 수용된다. 수득된 퇴비는 바로 토양개량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장치에서는, 드럼본체 (7) 가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도 12a 와 같이 장치의 앞뚜껑 (8) 측에서 보아 드럼본체 (7)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처리물도 그에 추종하여 회전하고, 처리에 의해 수득된 퇴비는 배출관 (19) 으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도 12b 와 같이 장치의 앞뚜껑 (8) 측에서 보아 드럼본체 (7) 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처리물도 그에 추종하여 회전하는데, 이 경우에는 처리에 의해 수득된 퇴비는 배출관 (19) 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본체 (7) 의 정역방향의 회전을 잘 조합시킴으로써, 드럼본체 (7) 내의 피처리물을 충전량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최적의 상태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퇴비화에 필요한 산소는, 후드 (2) 의 에어흡입구 (40) 를 통하여 도입되는 에어에 의해서 공급된다. 즉, 에어배출기구 (16) 의 배기팬 (F) 의 회전 작동에 의해, 후드 (2) 의 에어흡입구 (40) 로부터 에어가 도입되고, 도입된 에어는 후드 (2) 와 드럼 (6) 의 사이를 통하여, 뒤뚜껑 (9) 에 형성된 구멍 (20, 18) 을 통하여 드럼본체 (7) 내에 공급된다. 여기서, 에어가 후드 (2) 와 드럼 (6) 과의 사이를 통과할 때, 드럼 (6) 내에서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로 발생하는 열 (약 50 ∼ 60 ℃) 에 의해서, 적정온도로 예열된다. 따라서 예열된 에어가 드럼본체 (7) 내에 공급되게 된다. 드럼본체 (7) 내에 공급되는 예열된 에어는, 에어배출기구 (16) 의 팬의 작동과 함께, 드럼본체 (7) 의 회전에 의해, 에어배출구 (15), 에어배출기구 (16) 를 통하여 외부로 강제적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퇴비화를 극히 양호한 효율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를 사용하여, 호기성균을 포함하는 처리제로서 하이·클린∑ (산까이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제품) 를 첨가하면, 100 ㎏ 음식물 쓰레기의 도입에 대하여 약 10 ㎏ 의 퇴비가 수득되었다. 즉, 본 장치에 의해 피처리물의 약 90 % 의 감량화가 달성되었다. 또, 본 장치로부터의 잔여물을 분석한 결과, TOC값은 약 22.2 ppm 으로 현저하게 작아져 있었다.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잔여물은 통상 1000 ∼ 10000 ppm 의 TOC값이며, 새로운 톱밥도 100 ∼ 300 ppm 의 TOC값이다. 그런데, 본 장치를 사용한 경우, 상기와 같이 약 22.2 ppm 의 값이며,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의 분해가 매우 양호하게 진행되고, 중간생성물인 유기물이 생성되지 않고 퇴비화되게 된다. 또, 잔여물의 pH 는 거의 중성을 보여, 이상적인 것이고, 냄새는 가스검지관의 검지레벨 이하로 무취였다. 또, 본 장치의 평균 전기사용량은 750 ∼ 780 W/일 로 매우 작은 전력소비량이었다. 또한, 본 장치에 의하면, 드럼용량 2 ㎥ 에 평균 132.5 ㎏/일 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어, 우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1) 상기에서는 대경의 기어 (10) 를 드럼본체 (7) 의 앞뚜껑 (8) 측에 설치하였지만, 드럼본체 (7) 의 뒤뚜껑 (9) 측에 설치해도 되며, 앞뚜껑 (8) 과 뒤뚜껑 (9) 의 중간에 설치해도 된다.
(2) 톱밥이나 비트모스의 자동공급기구를 설치하여, 함수율이 높은 피처리물의 처리시에 적절히 그 공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3) 호퍼 (27) 의 전단에, 피처리물을 수용수단에 수용한 채, 상기 수용수단을 상승시킨 후, 반전시켜 피처리물을 호퍼 (27) 에 투입하는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4) 기온이 매우 낮은 지역에서 운전하는 경우, 에어가열수단을 후드 (2) 와 장치본체 (1) 와의 사이에서 에어흡입구 (40) 의 부근에 설치하여, 운전초기에 가열된 에어를 드럼 (6) 내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10 도, 20 도, 30 도의 3 단계의 가열에어를 공급하도록 한 경우, 빙점하 약 30 ℃ 에서의 환경하에서도 장치의 유효가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배출물이 다량인 경우, 배출용의 콘베이어를 설치하여 배출물의 수용처리를 해도 된다.
(6) 드럼본체 (7) 를 유니트화해 두고, 유니트를 증설함으로써, 처리용량이 큰 장치로 하도록해도 된다. 이 경우, 드럼본체 (7) 를 지지하는 롤러의 수는, 그 크기에 따라서 6 개, 8 개 … 로 할 수 있다.
(7) 호기성균을 함유하는 처리제를 자동적으로 투입하는 기구를 설치하여, 자동조작박스 (5) 에서의 조작에 의해 그 투입량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이하와 같은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매우 컴팩트한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의 현저한 향상이 가능해진다.
(2) 잔여물의 TOC 를 매우 작게 할 수 있고, pH 도 거의 중성으로 이상적인 것이 되며, 냄새도 가스검지관에서의 검지레벨 이하가 되어 무취인 것이 된다.
(3) 처리에 다량의 톱밥 등의 투여가 필요없게 되어, 대폭의 감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물처리의 비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4) 처리에 필요한 전력량이 작게 들기 때문에, 처리경비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5) 호퍼와 드럼의 사이에서 예열된 에어를 드럼내에 도입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도 에어를 가열하는 히터없이 가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에어를 공급하면, 빙점하 약 30 ℃ 의 환경하에서의 유효가동이 가능해진다.
(6) 특유 구조의 절단수단에 의해, 피처리물을 적당한 크기로 파쇄할 수 있으므로,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피처리물이 파쇄날의 사이에 끼여 절단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없어진다.
(7) 처리에 의해 수득된 퇴비의 자동배출이 가능해진다.
Claims (7)
- 음식물 쓰레기 등의 피처리물을 도입하고, 호기성균에 의한 산화분해를 이용하여 퇴비화시켜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서,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드럼본체와, 피처리물의 도입구 및 에어배출구를 갖는 앞뚜껑과, 처리에 의해 생성된 퇴비를 배출하는 배출구 및 에어취입구를 갖는 뒤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럼본체만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상기 드럼의 드럼본체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상기 드럼내의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구로부터 강제배출시키는 에어배출수단과,상기 드럼의 전단에 설치된 호퍼와,상기 호퍼로부터의 도입된 피처리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피처리물을 상기 드럼내에 송입하는 송입수단과,상기 드럼내에 상기 드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장착된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파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소요부위에 에어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피처리물 도입구, 상기 퇴비배출구 및 상기 에어배출구는 노출시킨채 장치본체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드럼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어 장착되는 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입수단은, 한 개의 봉형 부재를 나선형으로 성형한 부재와 이것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부재가 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 의해, 상기 후드의 에어흡입구를 제외하고, 상기 후드와 상기 드럼의 사이에 밀폐계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에어배출수단에 의해, 상기 후드의 에어흡입구로부터, 상기 후드와 상기 드럼과의 간격, 상기 드럼의 뒤뚜껑에 형성된 에어도입구, 상기 드럼내, 및 상기 드럼의 앞뚜껑에 형성된 에어배출구까지의 사이에 에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수단이 배기용 팬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본체에 2 개 이상의 원주홈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본체는 각 원주홈에 있어서 각각 좌우 한 쌍의 롤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또 얹혀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1148597A JP3300833B2 (ja) | 1997-10-27 | 1997-10-27 | 生ゴミ処理機 |
JP97-311485 | 1997-10-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732A KR19990035732A (ko) | 1999-05-25 |
KR100324789B1 true KR100324789B1 (ko) | 2002-05-10 |
Family
ID=1801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9231A KR100324789B1 (ko) | 1997-10-27 | 1997-11-11 | 음식물쓰레기처리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300833B2 (ko) |
KR (1) | KR100324789B1 (ko) |
TW (1) | TW37129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1436A (ko) * | 2001-08-02 | 2003-02-11 | 금강산랜드 주식회사 | 기능성 광물질을 첨가한 음식폐기물 및 유기성 폐기물을이용한 퇴비원료의 혼합,발효숙성기 |
-
1997
- 1997-10-27 JP JP31148597A patent/JP330083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1-11 KR KR1019970059231A patent/KR1003247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
- 1998-01-20 TW TW087100828A patent/TW37129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300833B2 (ja) | 2002-07-08 |
JPH11128895A (ja) | 1999-05-18 |
TW371297B (en) | 1999-10-01 |
KR19990035732A (ko) | 1999-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53835B2 (ja) | ゴミ処理装置 | |
KR20010091740A (ko) |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 |
KR20140006897A (ko) | 퇴비화 기계장치 | |
KR100229597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100324789B1 (ko) | 음식물쓰레기처리기 | |
KR100324788B1 (ko) | 음식물쓰레기처리기 | |
KR101768887B1 (ko) |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 |
KR101724570B1 (ko) |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JP3422947B2 (ja) | 生ゴミ分解処理装置 | |
JP2004181325A (ja) | 生ゴミ処理機 | |
KR19980077019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215627669U (zh) | 一种具有杀菌功能的鸡粪发酵装置 | |
KR100681507B1 (ko) | 개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
KR19980067975U (ko) |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 |
JP2001300485A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装置 | |
JP3172302B2 (ja) | 厨芥処理装置 | |
JP2001054781A (ja) | 生ごみ処理機の撹拌装置 | |
JP3105458U (ja) | 成体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 |
JP2001276789A (ja) | 厨芥処理装置 | |
JPH06296947A (ja) | 厨芥処理装置 | |
KR960007116Y1 (ko) | 음식물찌꺼기 처리기의 분쇄장치 | |
JPH091106A (ja) | 生ごみ処理装置 | |
KR200142636Y1 (ko) | 음식쓰레기 처리기의 분쇄장치 | |
JPH09174028A (ja) | 厨芥処理装置 | |
JPH11314045A (ja) | 生ごみ処理用破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