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543B1 - 화상판독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543B1
KR100266543B1 KR1019930002406A KR930002406A KR100266543B1 KR 100266543 B1 KR100266543 B1 KR 100266543B1 KR 1019930002406 A KR1019930002406 A KR 1019930002406A KR 930002406 A KR930002406 A KR 930002406A KR 100266543 B1 KR100266543 B1 KR 100266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conversion
image
original
conversion elem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926A (ko
Inventor
요시히로 나까지마
아끼히로 다까다
히로미 야마시다
노리유끼 도미다
Original Assignee
세키 코지
교세라미타 가부시키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 코지, 교세라미타 가부시키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 코지
Publication of KR930018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화상판독장치는 원고(G)상을 판독하기 위해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원고에 대해 소정의 상대속도로 이동가능 하고, 원고(G)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북수의 화상센서(1)-(4)를 포함하고, 일반선 상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제1에서 n번째의 광전변환소자(PO)열을 포함하고, 소정의 시간에 제1에서 n번째 까지의 각각의 화상센서(1)-(4)의 광전변환소자(P0)을 순차로 주사하기 위한 주사수단과를 갖고 있고, 각 화상센서(1)-(4)의 광전변환소자(PO)열은 화상센서(1)-(4)의 상대적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치수를 제1의 광전변환소자(PO)가 n 번째 광전 변환소자(PO)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치수는 소정의 상대이동속도와 소정의 시간에 기초해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이다.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가 적응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화상판독장치인 제어개통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화상센서 및 화상데이터 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화상센서인 회로도.
제5도는 화상센서로부터의 판독타이밍 및 수광신호를 나타내는 시간도표.
제6도는 제1화상판독장치에 사용되는 화상센서인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각 화상센서가 수광신호를 출력하는 원고상의 궤적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화상판독장치인 원고화상과 재생화상 및 화상센서 배열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제9도는 본 발명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화상 판독장치에 사용되는 화상센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응되는 제3화상판독장치에 사용되는 화상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4화상판독장치에 사용되는 화상센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2a 및 b도는 부주사방향과 원고 및 화상센서인 이동방향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3도는 종래의 화상판독장치의 윈고화상과 재생화상 및 화상센서 배열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화상센서 6 : 클록발생부
7 : A/D변환부 8 : 데이터 제어부
9 : 메모리 10 : 커넥터
11 : 기판 51∼54 : 화상데이터 출력부
71 : 화상형성장치 73 : 원고판독부
74 : 화상형성부 75 : 노광램프
76 : 등배결상소자 77 : 화상센서열
78 : 용지공급로울러 79 : 반송로울러
81 : 감광체 82 : 대전부
83 : LED열 84 : 현상부
85 : 전사부 86 : 소제부
87 : 용지공급카세트 88 : 배출접시
R1 : 긴변 R2 : 짧은 변
G : 원고 P : 광센서열
PO : 광전변환소자 SI : 주주사 개시신호
CK : 클록신호 SF1∼SFn : 게이트
SW1∼SWn : 아날로그 스위치.
본 발명은 일렬로 배치된 광 트랜지스터 등의 광전변환소자로 이루어진 화상센서를 원고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고, 각 화상센서에 의해 동일단말측으로부터 순차로 폭방향으로 주사해서 원고를 판독하고, 화상형성장치 등의 외부장치로 판독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화상판독장치는, 광 다이오드 등인 광전변환소자가 소정의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 광전변환소자 배열로 이루어진 화상센서를 원고의 폭방향으로 배치하고, 원고를 폭방향으로주사(이하, 주주사라 칭함)함과 동시에, 화상센서 또는 원고를 이동시켜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주사(이하, 부주사라 칭함)해서 원고화상을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2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고를 이동시키는 때에는 부주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12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센서를 이동시키는 때에는 부주사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이등시키면 된다.
또, 단일의 화상센서에 탑재 가능한 광전 변환소자수에는 판독속도를 주요 원인으로 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원고폭이 큰 경우에는, 화소의 수, 길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원고의 크기에 대응시겨 복수의 화상센서를 병렬로 설치하여, 이들 화상센서에 의해 원고를 동일방향으로 주사해서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각 화상센서가 부주사방향으로 상호 어긋나지 않게 하기 위해 배치작업에는 현미경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전변환소자열을 순차로 주사해서 원고의 판독을 행하기 위해, 각 화상센서인 판독개시 단말측의 타이밍과 다른 단말측인 타이밍에 시간차가 생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사이에 화상센서와 원고는 원고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판독궤적은 주주사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센서(1)∼(4)에 의해 원고(G)상인 직선(S)를 판독한 경우, 화상센서(1)∼(4)의 경계에서 생기는 판독타이밍의 차이에 인해 직선(S)가 인자된 화상에 불연속이 발생한다.
특히, 광전변환소자인 수광신호인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때에 복수비트, 예를 들면 8비트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된 화상에 화상센서(1)∼(4)의 각 경계에서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에 추가해서, 2치인 1비트의 디지틸 값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그 임계레벨에 따라서는, 판독종료 단말측의 광전변환소자에서 직선(S)가 판독되지 않고, 공백이 되어 도중에 화상이 끊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원고화상이 정확히 재현되지 않고, 또한 볼품의 저하를 초래하여, 화상품질이 약화되고 있었다.
이 대책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2-202265호 공보에는 인접하는 화상센서를 그 주주사방향이 교대로 역방향이 되도록 배치하여. 각 화상센서의 경계에 있어서의 판독타이밍을 일치시켜, 화상판독장치로부터의 출력데이터인 상기한 바와 같은 불연속이 없게 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국 특개평 2-202265호 공보에 기개된 화상판독장기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화상센서인 주주사방향이 교대로 역방향이 되기 때문에 각 화상센서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배선이 교대로 역위치로 되어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각 화상센서인 주사방향을 식별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어, 작업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 각 화상센서의 판독궤적을 연결하면, 화상에 굴곡이 생겨 화상의 재현성 및 볼품이 악화된다.
또한, 이 굴곡을 해소하기 위해 각 화상센서의 판독궤적인 경사분 만큼 각 화상센서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각 화상센서인 경사를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수고가 많이 들게 된다.
또, 경사조정이 극히 미소 각도이기 때문에 그 조정작업에는 숙련을 요한다.
더욱이,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화상센서를 굴곡시키는 것과 같이 경사지게 배치하면 각 화상센서인 경계에서의 각도에 의해 광전변환소자가 떨어지기 때문에 화상의 판독에 공백영역이 발생하여, 주주사방향의 광전변환소자인 연속성이 도모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고화상의 재현성 및 볼품이 양호한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원고와 소정의 상대속도로 상대이동하여 원고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강도에 따른 화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직선상으로 일열로 배치된 첫 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광전변환소자로 이루어진 광전변환소자열을 갖는 원고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화상센서와,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를 첫번째로부터 n번째까지 소정 시간에 순차로 주사시키는 주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전변환소자열은, n번째의 광전변환소자가 첫 번째의 광전변환소자에 대하여 상기 상대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대속도 및 상기 소정시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륵,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청구항 1).
또, 상기 각 화상센서는,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전변환소자열은 상기 기판인 긴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은 그 긴변이 상기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록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청구항 2).
또한, 상기 각 화상센서는, 상기 기판의 짧은 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을 갖는다(청구항 3).
또, 상기 각 화상센서는,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원고의 폭방향에 직선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열은, 상기 소정인 기수 어긋나도록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어 있다(청구항 4).
또한, 상기 각 화상센서는,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가 배치되는 긴변과 짧은 변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사변형인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전변환소자열은, 상기 긴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짧은 변이 상기 원고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상기 긴변이 상기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록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청구항 5).
또, 상기 상대속도를 V, 소정의 시간을 T0라 하면, 상기 소정의 치수 dL은, dL = To × V가 된다(청구항 6).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각 광전변환소자가 첫번째로부터 n번째까지 소정 시간에 순차로 주사하는 사이에 화상센서는 원고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고 있다. 여기서, 첫 번째인 광전변환소자에 대하여 n번째의 광전변환소자가 원고에 대한 화상센서의 상대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기수 어긋나도록 광전변환소자열이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원고가 폭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으로 되어 각 화상센서간에서의 불연속이 해소된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기판인 길이가 상기 소정치수 어긋나도록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각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원고가 폭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눈금에 의해 각 화상센서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화상센서를 단지 폭방향으로 배치하면. 각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원고가 폭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각 화상센서 사이에서의 광전변환소자인 피치가 각 화상센서내에서의 각 광전변환소자간의 피치에 동등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각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원고가 폭방향으로 주사되는 것으로 되어 각 화상센서의 불연속이 해소된다.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인 개략구성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71)은 원고판독부(73)과 화상형성부(7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도에서는 그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원고판독부(73)과 화상형성부(74)를 분리하고 있다.
원고판독부(73)은, 원고를 노광하는 노광램프(75) 및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후술하는 화상센서열 상에 결상하는 예를 들면, 로드렌즈열의 등배결상소자(76) 등으로 이루어진 광학계, 상기 반사광에 의한 상으로부터 화상데이터로서 원고상을 판독하기 위한 화상센서열(77)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형성부(74)는, 감광체(81), 대전부(82), 발광다이오드(LED)열(83), 현상부(84), 전사부(85) 및 소제부(8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화상형성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용지공급로울러(78)에 의해 원고(G)가 공급되며. 반송로울러(79) 및 반송로울러(80)에 의해 반송되면서, 노광램프(75)로부터의 광이 원고(G)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광이 등배결상소자(76)에 의해 집속되어 화상센서열(77)상에 결상된다.
한편, 감광체(81)인 표면은 대전부(8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후, 화상센서열(77)에서 판독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LED열(83)으로부터의 화상광에 인해 노광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현상부(84)로부터 대전된 토너가 감광체(81)로 공급되고, 상기 정전잠상에 부착되므로서 토너상이 형성된다.
한편, 용지가 용지공급카세트(87)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용지공급수단에 의해 화상형성부(74)에 공급되고, 상기 토너상이 전사부(85)에 의해 용지에 전사된다.
그리고, 용지는 감광체(81)로부터 분리되고, 토너상이 정착된 후 화상 형성부(74)로부터 배출접시(88)로 배출된다.
또한, 소제부(86)은 전사후인 감광체(81)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청소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의 화상판독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제2도∼제8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화상판독장치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형인 화상센서(1)∼(4)로 이루어진 화상센서열(77), 화상데이터출력부(51)∼(54) 및 클록발생부(6)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고를 길이방향(반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부주사해서, 그 화상을 판독하고, 그 화상데이터를 커넥터(10)을 거쳐서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주사는 원고를 상대적으로 주사시키면 되기 때문에 원고를 고정시키고. 상기 광학계통 및 화상센서열(77)을 부주사방향으로 이등시키도록 해도 된다.
클록발생부(6)은, 화상센서(1)-(4)에 의한 주주사를 행하게 하기 위해 주주사 개시신호(SI) 및 클록신호(CK)를 각 화상데이터 출력부(51)∼(54)에 출력하는 것이다.
화상데이터 출력부(51) ∼(54)는,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부(7), 데이터제어부(8), 메모리(9) 등을 갖고,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화상센서(1)∼(4)와 함께 유니트 형성되어 있다.
AD변환부(7)은, 화상센서(1)∼(4)로부터의 수광신호를 예를 들면 1비트의 디지털 데이터(화상데이터)로 변환해서 데이터제어부(8)로 출력하는 것이다.
데이터제어부(8)은, AD변환부(7)로부터의 화상데이터에 대해 레벨 보정등을 행하고, 출력데이터로서 커넥터(10)을 거쳐서 화상판독장치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데이터는 인쇄장치나 팩시밀리 등인 외부장치에 송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한 출력데이터에 다른 화상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데이터제어부(8)은, 클록발생부(6)으로부터의 주주사 개시신호(SI) 및 클록신호(CK)를 화상센서(1)∼(4)로 출력하는 것이다.
메모리(9)는, RAM, ROM 등으로 구성되고, 초기데이터나 제어프로그램 기타를 기억하는 것이다.
화상센서(1)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d)로 병렬 설치된 n개(n화소)인 광전변환소자(P○)로 이루어진 광센서열(P)와, 각 광전변환소가 (PO)에 대응해서 접속되는 시프트 레지스터(SF1)∼(SFn)과, 게이트(G1)∼(Gn) 및 아날로그 스위치(SW1)∼(SWn)로 구성되어 있다.
또, 그 형상은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갈이, 긴 변(R1)과 짧은 변(R2)로 이루어진 장방형 기판으로, 광센서열(P)는, 긴 변(Rl)과 평행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센서(2)∼(4)도 같은 모양이다.
또, 화상센서(1)∼(4)인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 광전변환소자(PO)는, 원고로부터의 광을 소정시간 수광하고, 그 축적된 수광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스위치(SW1)∼(SWn)을 통하여 화상데이터 출력부(51)∼(54)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광센서열(P)는 주주사 마다 주주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소정의 판독폭으로 원고화상을 판독하도록 되어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SFl)∼(SFn)은, 클록신호(CK)가 입력될 때 마다 아날로그 스위치(SW1)∼(SWn)을 순차로 클록신호(CK)의 저레벨의 펄스폭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ON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광센서열(P)인 수광동작, 즉 원고화상의 판독동작에 대하여 제4도, 제1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시프트레지스터(SFl)은, 주주사 개시신호(SI)인 고레벨신호가 단자(D)에 입력되고, 또한 클록신호(CK)의 고레벨신호가 단자(CLK)에 입력되면, 단자(Q)로부터 고레벨신호를 출력하고, 게이트(Gl)에 의해 클록신호(CK)의 저레벨인 구간만 아날로그 스위치(SW1)를 ON하여 첫번째의 광전변환소자(PO)에 축적된 수광신호를 출력(제5도 중 TD1)함과 동시에, 시프트레지스터(SF2)인 단자(D)에 고레벨신호를 입력한다.
다음에 클록신호(CK)의 고레벨신호가 시프트레지터(SF2)의 단자(CLK)에 입력되면, 단자(Q)로부터 고레벨신호를 출력하고, 게이트(G2)에 의해 클록신호(CK)의 저레벨인 구간만큼 아날로그 스위치(SW2)를 ON하여 두 번째인 광전변환소자(P0)에 축적된 수광신호를 출력한다(제5도 중의 TD2).
이와 같이 순차로 아날로그 스위치가 ON뒤어 각 광전변환소자(PO)에 축적된 수광신호가 출력된다.
즉, 각 화상센서(1)∼(4)는. 주기(T)로 입력되는 주주사 개시신호(SI)마다 첫번째로부터 순차로 2번째,···n-1번째, n번째까지의 광전변환소자인 각 수광신호를 클록신호(CK)에 동기하여 화상데이터 출력부(51)∼(54)로 출력한다.
또, 첫번째로부터 n번째의 광전변환소자인 수광신호는 주기(To)내에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광전변환소자(PO)는, 아날로그 스위치(SW1)∼(SWn)이 OFF하고 있는 있는 사이, 원고로부터의 광을 축적해서 수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인 2번째의 광전변환소자의 광축적시간은 Tc1과 Tc2이다(단, Tc1=Tc2).
이어서, 각 화상센서(1)∼(4)의 배치에 대하여, 제6도∼제8도를 기초로하여 설명한다.
각 화상센서(1)∼(4)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주사방향으로 병렬 설치하여 기판(11)상에 고정되어 있고, 반(反)부주사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조정된 후, 접착제등에 의해 기판(11)상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센서(1)∼(4), 즉 광센서열(P)를 반부주사방향으로 경사시키는 의의에 대해 제7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원고(G)는, 화상센서(1)∼(4)가 첫 번째의 광전변환소자(PO)로부터 n번째의 광전변환소자(P0)까지 주주사하는 시간(To)(제5도 참조)의 사이에 거리(dL), 또한 화상의 판독주기, 즉, 주주사 개시신호(SI)의 주기(T)(제5도 참조)의 사이에 거리(L)만큼 반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원고(G)상에 있어서의 화상센서(1)∼(4)의 각 광전변환소자(PO)의 수광신호출력의 궤적은, 직선(K1), (K2), (K3)…와 같이 된다.
여기서, 광센서열(P)를 거리(dL) 만큼 상기 궤적과는 반대로 어긋나게 하여 반주사방향으로 경사시키면, 광센서열(P)가 부주사방향에 직각으로 첫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광전변환소가(PO)의 원고화상을 동시에 판독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된다.
이 어긋남의 양(dL)은,
dL = (To/T) × L = (n/f)/T × L
로 구해진다.
단, To = 주주사시간(제5도 참조), T = 판독주기(제5도), L = 부주사방향의 1선의 간격, n = 광전변환소자의 수, f = 광전변환소자의 클록주파수, To = n/f이다.
예를 들면, 광센서열(P)가 주주사방향, 부주사방향과 함께 400dpi의 해상도에서, A4크기(210mm)의 경우의 수치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판독폭(W)는,
W = 25.4(mm)/400 = 63.5(μm) … (⒯
한편, T = lmsec, 원고의 반송속도 = 60mm/sec로 설계하면,
L = 60(mm/sec) × 1(msec) = 60(μm)…(2)로서, L < W가 되기 때문에 원고의 판독이 행해지지 않는 공백 영역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광전변환소자(PO)의 수 n은,
n = 210(mm) / 63.5(μm) = 3307개 … (3)
가 되고, 이것을 f = 4.3MHz로 주사하면,
To = n/f = 0.77(msec) … (4)
로 To < T가 되어 정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 때의 어긋남의 양(dL)은,
dL = (To / T) × L = 46.3(μm) … (5)
가 된다.
이와 같이. 각 화상센서(1)∼(4)의 광센서열(P)가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주사 개시단말[광센서열(P)의 첫번째 광전변환소자](A)에 대하여 주주사 종료단말[광센서열(P)의 n번째 광전변환소자](B)가 상기한 어긋남의 양(dL) 만큼 반부주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하면, 직선(S)가 그려진 원고(G)를 판독하는 경우, 이 직선(S)가 부주사에 수반하여, 도면중 위쪽으로 이동해도 이 이동에 따라 광센서열(P)가 상기 직선(S)에 따라 경사지게 주주사한다.
따라서, 직선(S)가 그대로 개현되게 되고, 화상데이터에 어긋남이나 공백에 의한 끊어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화상데이터를 화상으로 한 경우의 재현성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데이터제어부(8)로부터 출력뒤는 주주사 개시신호(SI)의 주기(T)의 사이에 원고(G)가 광센서열(P)의 판독폭 이상으로 반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면 판독이 행해지지 않는 영역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식(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기(T)간의 원고(G)의 반주사방향에의 이동거리(L)은, 광센서열(P)의 판독폭(W)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어긋남의 양(dL)이 광센서열(P)의 판독폭(W)의 1개분을 초과하는 일은 없다.
또, A/D변환부(7)에 의해 화상센서(1)∼(4)로부터의 수광신호를 복수 비트, 예를 들면,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서 데이터제어부(8)로 출력하도록 하면, 원고화상의 개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제9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화상센서(1)∼(4)는, 그 양단부에 눈금이 형성된 기판을 갖고 있다.
이 눈금에 의해 상기한 화상센서(1)∼(4)를 배치하는 때에 상기 경사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 제10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화상센서(1a)∼(4a)는, 미리 광센서열(P)의 주주사 개시단말(A)에 대하여 주주사 종료단말(B)가 상기 어긋남의 양(dL) 만큼 반부주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광센서열(P)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화상센서(1a)∼(4a)의 경사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각각의 기판을 직선적으로 정렬시기면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인 제4실시예에 대해, 제11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화상센서(1b)∼(4b)는, 긴변(R11)다 짧은 변(R12)로 이루어진 평행 4변형 기판으로서, 광센서열(P)는 긴변(R11)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긴변(R11)은 광센서열(P)의 주주사 개시단말(A)에 대하여 주주사 종료단말(B)가 상기 어긋남의 양(dL) 만큼 반부주사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경사지고, 짧은 변(12)는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센서열(P)의 주주사 개시단말(A)의 도면중 좌변의 짧은 변(R12)간의 간격, 및 광센서열(P)의 주주사 종료단말(B)와 도면중 우변의 잚은 변(R12)간의 간격을 광전변환소자(PO)간의 간격(d)의 절반으로 해 둔다.
이에 의해 화상센서(1b)∼(4d)의 각 주주사 종료단말(B)와 화상센서(1b)∼(4d)의 각 주주사 개시단말(A)간의 간격은 광전변환소자(PO)의 간격(d)와 동일하게 된다.
또, 제2실시예와 같이, 그 양단부에 눈금을 형성하면, 화상센서(1b)∼ (4b)의 배치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했지만. 각종의 변경과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그러한 변경과 변형은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6)

  1. 원고(G)의 길이방향으로 원고(G)와 소정의 상대속도로 상대이동하여 원고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강도에 따른 화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직선상으로 일열로 배치된 첫 번째로부터 n 번째까지의 광전변화소자(PO)로 이루어진 광전변환소자열(P)을 갖는 원고의 폭방향으로 병렬 설치된 복수의 화상센서(1)∼(4)와,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PO)를 첫 번째로부터 n 번째까지 소정 시간에 순차로 주사시키는 주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전변환소자열(P)은, n 번째의 광전변환소자가 첫 번째의 광전변환소자에 대하여 상기 상대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대속도 및 상기 소정시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록,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센서(1)∼(4)는,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PO)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전변환소자열(P)은, 상기 기판의 긴변(R1)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판은, 그 긴변이 상기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록 원고(G)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센서(1)∼(4)는, 상기 기판의 짧은 변(R2)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눈금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센서(1)∼(4)는,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PO)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원고의 폭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열(P)은, 상기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록 원고(G)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상센서(1)∼(4)는, 상기 각 광전변환소자(PO)가 배치되는 긴변과 짧은 변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사변형의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전변환소자열(P)은, 상기 긴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짧은 변이 상기 원고(G)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상기 긴변이 상기 소정의 치수 어긋나도록 원고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속도를 V, 소정의 시간을 To라 하면, 상기 소정의 치수 dL은, dL = To × V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KR1019930002406A 1992-02-21 1993-02-22 화상판독장치 KR100266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4629 1992-02-21
JP3462992 1992-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926A KR930018926A (ko) 1993-09-22
KR100266543B1 true KR100266543B1 (ko) 2000-09-15

Family

ID=1241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406A KR100266543B1 (ko) 1992-02-21 1993-02-22 화상판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57351A (ko)
KR (1) KR100266543B1 (ko)
TW (1) TW231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461A (ja) * 1994-08-31 1996-03-22 Nikon Corp 画像読取装置
JP4006126B2 (ja) * 1998-04-23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563526B1 (en) * 1999-01-22 2003-05-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3143381A (ja) * 2001-08-22 2003-05-1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03115984A (ja) * 2001-10-05 2003-04-18 Seiko Instruments Inc 画像読み取り装置
US20040120017A1 (en) * 2002-12-20 2004-06-24 Miller Mindy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assembly and alignment errors in sensor assemblies
US8125695B2 (en) * 2003-03-24 2012-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system and method
GB0417394D0 (en) * 2004-08-04 2004-09-08 Council Cent Lab Res Councils Scanning imaging device
JP5197915B2 (ja) * 2005-06-20 2013-05-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
US8537428B2 (en) * 2009-04-14 2013-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97494B1 (ja) * 2010-02-24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用ic及びそれを用いた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CN109862201A (zh) * 2017-11-30 2019-06-07 株式会社理光 读取装置、图像形成装置、基准图案读取方法
CN111386694B (zh) * 2017-12-01 2022-06-1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图像传感器连线取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472A (en) * 1983-08-31 1987-02-10 Brother Industries, Ltd. Optical image reader for reading an image on a given manuscrip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2265A (ja) * 1989-01-31 1990-08-10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472A (en) * 1983-08-31 1987-02-10 Brother Industries, Ltd. Optical image reader for reading an image on a given manuscrip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926A (ko) 1993-09-22
US5357351A (en) 1994-10-18
TW231347B (ko) 199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543B1 (ko) 화상판독장치
US5519514A (en) Color sensor array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integration times for each color
US2007014681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02408A1 (en) Image-reading device
KR100488372B1 (ko) 이미지 센서 및 화상 판독 장치
JP3165731B2 (ja) 画像読取装置
US5920063A (en) Image sensing device, linear sensor for use in the imag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linear sensor
US7453607B2 (en) Image-reading apparatus
US6411321B2 (en) Light beam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292253B1 (en) Contact-type image scanner
CN1328900C (zh) 图像读取装置
JP2000083132A (ja) カラ―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み取り装置
US7847984B2 (en) Line sensor and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US5436737A (en) Image read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arranged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and capable of producing continuous image data
US7164509B2 (en) Image reader having image sensor ICS divided into plural blocks having simultaneously read-out image signals
US20060181595A1 (en) Digital writing apparatus
JP2004188845A (ja) プリントヘッドの特性計測装置、露光量補正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756216B2 (ja) 画像読取装置
EP0070620A2 (en) High density imager
JP200517003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H01171361A (ja) 原稿読取装置
JP2005169799A (ja) 画像書込装置
JP4613980B2 (ja) ラインセンサチップ、ラインセンサ、画像情報読取装置、ファクシミリ、スキャナ及び複写機
EP0013161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graphic information
JP4050641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