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348B1 -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348B1
KR100256348B1 KR1019950066196A KR19950066196A KR100256348B1 KR 100256348 B1 KR100256348 B1 KR 100256348B1 KR 1019950066196 A KR1019950066196 A KR 1019950066196A KR 19950066196 A KR19950066196 A KR 19950066196A KR 100256348 B1 KR100256348 B1 KR 10025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chromium
alloy
steel sheet
corro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국
장래웅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50066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348B1/ko

Links

Landscapes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처리되거나 또는 도장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자동차및 가전용으로 사용되는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전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연속전기도금시 도금용액중의 금속이온농도및 전후반 도금조의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도금층의 하층부는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층으로 하고, 상층부는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조성으로 구성하므로서,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여계 합금 이층전기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은 강판에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이층도금 연속적으로 전기도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는 크롬 석출량 : 5중량% 이상인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 또는 크롬석출량 : 4-5중량% 범위인 아연-크롬 합금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발명의 방법이 적용된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금강판의 도금층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나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
(b)는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도금강판의 경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지금속 20 :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
30 : 아연-(5중량% 이상)크롬 합금도금층
40 : 아연-(4-5중량%)크롬 합금도금층
50 : 전착도장층
본발명은 도장처리되거나 또는 도장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자동차 및 가전용으로 사용되는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전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 하게는, 전기도금 방식을 이용하여 도금층 하층부는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아연-철, 아연-니켈 합금을 의미한다.) 전기도금을 하고, 그 위에 아연-크롬 합금도금층을 나내식성 또는 도장후 내식성에 유리한 합금조성으로 피복시키므로서,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강판은 소지금속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 강판의 대표적인 것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강판의 내식성을 보다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도금 부착량을 증가시켜야만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그에 따른 도금설비 및 도금조건의 변화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감강판상에 보다 우수한 내식 특성을 갖는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 되었다.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강판은 나내식성, 도장후 내식성 및 단면부 내식성이 매우 우수한 표면처리 강판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서, 도금부착량이 80g/m2인 아연도금강판과 부착량이 20g/m2인 아연-니켈 도금강판의 염수 분무시험에 의한 적청발생시간은 125시간 및 240시간 정도인데 반해, 아연-크롬 합금 도금강판의 내식성은 245시간 이상이다.
종래에는 아연-크롬계 합금 도금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염화물욕 또는 황산욕 베이스에 Zn+2과 Cr+3를 공존시킨 도금용액으로 부터 두 금속을 공석시키는 방식인 합금전기도금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전기분해에 의한 아연-크롬의 동시석출방법의 대표적 예로서, 일본특허 공개 (평) 5-51,788호, (평) 3-120,393호, (평) 4-36,495호 및 (소) 64-39,398호등에 개재된 제안이 있다. 이 방법들은 아연-크롬 합금층이 고내식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불안정한 크롬함유 도금용액을 안정화 시키는 방안을 강구 하면서 합금층중의 크롬석출량을 증대시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강판상에 아연-크롬의 동시 석출을 위해서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구조의 합금상이 형성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안정화 구조의 합금상은 크롬이 5중량% 이상 함유 되어야 비로소 그 형성이 시작된다. 그리고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중 크롬 석출량이 증대할수록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강판의 나내식성이 향상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에서는 크롬이온이 전해질 용액중에서 다양한 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도금용액이 불안정하여 균일한 조성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용액의 수명이 짧고 도금 효율이 낮아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강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고농도의 크롬을 아연과 동시에 공석출 시키지 위해서는 도금용액중에 대단히 많은 량의 크롬이온을 존재시켜야 하고 또한 크롬이온을 안정화 시키려면 많은 량의 유기 첨가제가 투입되어야만 한다. 용해성 양극을 사용하는 대용량 연속전기도금 공장에서는 한번 제조한 도금용액은 약간의 부족한 성분만 보충함으로서 거의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투입된 유기첨가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산화 혹은 환원하여 초기 성능을 다하지 못하고 전체 도금용액을 열화 시키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고 전기 도금시 도금 효율을 저하 시킨다. 따라서 가능한한 유기첨가제의 투입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유기첨가제를 적제 사용하면 도금용액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낮은 전류밀도 영역에서 전기도금을 행할 수 있어 안정된 생산을 할 수 있고 도금 효율도 크게 상승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나, 도금용액중의 크롬이온 농도를 감소시켜야 하고 도금층중의 크롬석출량이 감소하여 내식성을 열화 시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아연-크롬 합금 도금용액의 관리는 매우 까다로우며 비용이 더 많이 든다. 특히 기존의 연속 전기도금 공장에서 적용 하려면 대용량의 설비가 필요하게 되다.
한편,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강판을 전착도장 혹은 일반도장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전처리로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위에 인산염 피막을 입히게 되는데, 이때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층의 조성에 따라 인산염 피막의 특성이 변화한다.
즉, 아연-크롬 합금 도금강판의 도금층중 크롬석출량이 증대하면 합금도금층의 내식성은 증대하나, 이러한 도금층중의 크롬석출량이 일정량 이상으로 많아지면 인산염 처리시 피막의 결정이 조대하여 지고 결정중에 함유된 결정수의 량이 함께 증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결정수는 도장후 연결되는 페인트 건조과정에서 인산염 결정으로 부터 탈락하여 수증기로 변하는데, 이때 부피 팽창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도막 밀착성, 도막부풀음 현상 및 도장후 내식성에 치명적 악영향을 부여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 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한 결과, 표면처리 강판의 도장후 내식성은 극표면층의 합금조성에 크게 좌우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연속전기도금시 도금용액중의 금속이온농도 및 전후반 도금조의 전류밀도를 조절하여 도금층의 하층부는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층으로 하고, 상층부는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조성으로 구성하므로서,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전기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발명은 강판에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이층도금을 연속적으로 전기도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는 크롬 석출량 : 5중량% 이상인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나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강판에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이층도금을 연속적으로 전기도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는 크롬 석출량 : 4-5중량% 범위인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아연-크롬 합금의 연속전기도금식 도금층의 합금조성은 소지금속(10)과 도금층의 경계에서부터 도금층 표면에 이르기 까지 각 도금조의 조건을 변화시킴에 의해 도금층의 합금조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본발명에서는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도금층 하층부(20)는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조성으로 유도하고, 도금층 극표면층(30, 40)은 나내식성이 우수한 크롬석출량 5중량% 이상의 아연-크롬 합금층(30)이나 또는 도장처리시 도막(50)과의 밀착성이 가장 우수한 크롬 석출량 4-5중량% 범위의 합금층(40)으로 구성하므로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 도금강판의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속전기도금 공장에서는 생산성 향상 또는 급속 대량생산을 위하여 단위 도금조 여러개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개의 도금조를 한 공장내에서 연속적으로 가동시키고 있는 경우 각각의 도금조에 투입되는 전류량은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하며, 또 각 도금조에서 조금씩 석출되는 도금량이 합해져서 전체 도금 부착량으로 나탄난다. 이러한 연속도금 공장 에서는 각 도금조의 도금조건을 변화시키므로서 본발명에서와 같은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 도금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발명에서는 강판상에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전기 도금시 먼저 소지금속(10)과 접하는 도금층의 하층부(20)를 도금조의 금속이온 농도 및 전류밀도를 적절히 제어하여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도금층(20)으로 조성시킨다.
이어 본 발명에 따라 강판상에 아연 및 크롬 합금을 도금층으로 형성하는데, 이때 도금용액중의 아연농도는 30∼60g/ℓ, 크롬농도는 20∼40g/ℓ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농도가 30g/ℓ 미만의 경우 아연의 도금석출이 잘 안되며, 60g/ℓ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액의 전기전도도 향상을 위해 다량의 보조제(KCL) 투입이 요구되어 용해도에 걸려 아연이 ZnCl2로 석출될 가능성이 있다. 크롬농도가 20g/ℓ 미만의 경우 도금이 잘 안되고, 40g/ℓ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Cr이 착체를 많이 형성하여 유기첨가제 양이 많아져 전체도금조건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20) 위에 우수한 나내식성 특성을 나타내도록 크롬의 석출량이 5중량% 이상인 아연-크롬 합금층(30)을 또는 우수한 도장후 내식성을 나타내도록 크롬의 석출량이 4-5중량% 범위인 아연-크롬 합금층(40)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크롬의 석출량이 5중량% 이상인 아연-크롬 합금층(30)을 형성시킬 경우 크롬의 석출량이 5중량% 이하이면 아연-크롬합금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나내식성이 열등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크롬의 석출량이 4-5중량% 범위인 아연-크롬 합금층(40)을 형성시킬 경우 크롬의 석출량이 4중량% 이하이면 철석출량이 증대하여 인산염처리성은 향상되지만, 도막이 파괴될 때에는 아연-크롬 합금화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부식이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고, 5중량% 이상이면 상대적으로 철석출량이 감소하여 인산염처리성 및 도막밀착성이 열등하여 도장후 내식성이 열등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층(20) 위에 크롬을 석출 시켜 아연-크롬 합금층(30,40)을 형성 시킬때 아연-크롬 합금층(30,40)의 도금 부착량은 5g/m2이하로 제한함이 보다 바람직한데, 도금 부착량이 5g/m2이상일 경우에는 도금층 상층부의 도금공정이 복잡해지거나 용량이 커지면 연속도금공정에서 작업성, 생산성이 떨어져 생산원가의 상승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층(20)위의 아연-크롬 합금층(30,40)의 조성을 제어하게되면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아연-크롬 합금전기도금에 있어서 도금용액중의 아연 및 크롬의 농도비를 하기 표1과 같이 1:3, 1:2 및 1:1로 일정하게 두고 전류밀도를 20, 40, 60, 80A/dm2로 변화시켰을 때,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층위의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층의 크롬석출량에 미치는 전류밀도 및 도금용액중의 크롬과 아연 농도비의 영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금방식은 가용성 아연양극에 전형적인 염화물욕을 채택하고 소지금속은 P사 제품으로 연속소둔공정을 거친 냉연강판을 사용 하였다. 사용된 주요 시약은 염화아연, 염화칼륨, 염화크롬, 염산이며, 3가 크롬이온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기 첨가제 일정량을 첨가 하였다.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도금용액중의 크롬 농도비가 증가 할수록 크롬석출량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전류밀도가 약 30A/dm2이하의 영역에서는 약간의 미도금 부분이 나타났으며, 80A/dm2이상에서는 약간의 파우다링(Powdering)현상과 버닝(Burning)현상이 발생 하여 도금강판으로 사용이 불가능 하였다.
[실시예 2]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의 크롬석출량 증대에 따른 나내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이 도금된 강판상에 아연-크롬합금을 도금 부착량이 20g/m2이 되도록 전기도금한후 염수분무 시험을 실시하고 적청발생 시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 내었다. 이때 도금층중의 크롬석출량은 하기 표2와 같이 변화시켰다.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금층중 크롬석출량이 많을수록 적청발생시간이 매우 큰 폭으로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금층 표면의 아연과 크롬이 매우 치밀한 산화 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도금층을 부식분위기로 부터 보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3]
아연-크롬합금 전기도금층중의 크롬석출량이 증가함에 따른 도장후 내식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을 제조한후, 국대 자동차 생산업체인 H사의 음극전착 도장방식을 채택하여 다음과 같은 전처리를 포함한 전착도장 공정으로 전착도장을 한 다음, 내식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 내었다.
(탈지)(수세)(표면조정)(인산염처리)(수세)(크롬실링)(수세)(전착도장)(소성)
도장후 내식성 평가방법은 전착도장 강판위에 'X'자형태로 도막두께 이상의 깊이로 칼로 자국을 낸 다음 염수분무시험을 400시간 및 800시간 동안 실시하고 칼자국 주변에 발생한 브리스트의 폭 크기로 평가 하였다.
상기 표2의 결과에서는 크롬석출량이 증가할수록 나내식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도장후 내식성은 상기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금층중의 크롬석출량애 4.5중량% 부근에서 브리스트 발생폭이 1.0mm정도로서 가장 우수하였고 크롬석출량이 4.5중량% 보다 작거나 많은 영역에서는 보다 열등한 특성을 나타 냄을 알 수 있다. 이는 인산염 처리시 도금층 극표면에 존재하는 크롬농도가 약 4.5중량%에서 인산염 결정의 핵생성속도가 가장 빠르며 크롬농도가 그것보다 작거나 많으면 결정성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져, 전술한 바와 같이 인산염 피막의 결정이 조대해져 결정수가 많아지고 소성단계에서 증발하여 도막부풀음이 발생하고 도막밀착성이 감소하여 도장후 내식성이 열화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상기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연-크롬 합금층의 크롬농도가 4.5중량%부근에서 인산염 처리성이 가장 우수하여 크롬석출량 4-5중량% 범위에서 가장 뛰어난 도장후 내식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표2 및 표3에서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아연-크롬 합금층중 크롬농도가 5중량% 이상으로 높을수록 나내식성이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도장후 내식성은 아연-크롬 합금 층중 크롬석출량이 4-5중량%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발명에서는 이와같은 본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전기도금강판을 하기 표4와 같이 제조하였다. 여기서 발명예(1,2)는 나내식성용이고, 발명예(3,4)는 도장후 내식성용 이다.
상기 표4와 같은 조건으로 제조된 4종류의 아연-크롬/아연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 중 상기 실시예2의 방법으로 도장처리된 발명예(3,4)와 하기 표5에 나타낸 비교재(1-2)의 조건으로 제조된 전기도금 강판에 대하여 염수 분부시험에 의한 도장후내식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5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시험편은 각 조건당 3개씩으로 하고 적청발생의 최고와 최저시간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재로는 고내식성 표면처리 강판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연도금강판(부착량80g) 및 아연-(11중량%)니켈(부착량20g) 합금도금강판을 채택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상기 표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발명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제조한 발명예(3,4)의 경우 비교재(1,2)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도장후 내식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4의 발명예(1,2)와 하기 표6의 비교재(3-5)에 대하여 염수분무시험을 행하여 나내식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6에 나타 내었다.
여기에서 시험편은 각 조건당 3개씩으로 하고 적청발생의 최고와 최저시간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재로는 고내식성 표면처리 강판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연도금강판(부착량80g), 아연-(14중량%)철(부착량 40g) 및 아연-(11중량%)니켈(부착량20g) 합금도금강판을 채택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상기 표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재시한 방법으로 제조한 발명예(1,2)의 경우 그렇지 못한 비교재(3-5)에 비하여 브리스트 발생폭이 현저하게 작아 우수한 나내식성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발명은 기존의 표면처리 강판인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전기도금 강판위에 도금부착량 5g/m2이하의 박도금으로 아연-(5중량% 이상)크롬 합금층 또는 아연-(4-5중량%)크롬 합금층을 전기도금 하므로서 나내식성 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강판에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이층도금을 연속적으로 전기도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는 아연농도가 30∼60g/ℓ, 크롬농도가 20∼40g/ℓ의 도금용액에서 크롬과 아연의 농도비(크롬/아연)≥1로 하고 전류밀도 60∼100A/dm2로 하여 크롬 석출량 : 5∼12.7중량인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나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석출량 5∼12.7중량%인 아염-크롬 합금도금층의 도금 부착량은 1∼5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3. 강판에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의 이층도금을 연속적으로 전기도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상에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 위에는 아연농도가 30∼60g/ℓ, 크롬농도가 20∼40g/ℓ의 도금용액에서 다음중 하나의 조건으로 하여 크롬 석출량이 4-5중량%인 아연-크롬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a) 크롬과 아연의 농도비는 1:1이고 전류밀도는 40-50A/m2
    (b) 크롬과 아연의 농도비는 1:2이고 전류밀도는 45-55A/m2
    (c) 크롬과 아연의 농도비는 1:3이고 전류밀도는 70-80A/m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석출량 4-5중량% 범위인 아연-크롬 합금도금층의 도금부착량은 1∼5g/m2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50066196A 1995-12-29 1995-12-29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25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196A KR100256348B1 (ko) 1995-12-29 1995-12-29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196A KR100256348B1 (ko) 1995-12-29 1995-12-29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348B1 true KR100256348B1 (ko) 2000-05-15

Family

ID=1944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196A KR100256348B1 (ko) 1995-12-29 1995-12-29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3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7900A (en) Electroplated corrosion resistant ste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551316B2 (en) Method of electrodepositing a metallic coating layer containing nickel and molybdenum
US4765871A (en) Zinc-nickel electroplat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0175967B1 (ko) 전기아연도금 강판과 그 방법
US2693444A (en) Electrodeposition of chromium and alloys thereof
US4249999A (en) Electrolytic zinc-nickel alloy plating
US4569731A (en) Production of Zn-Ni alloy plated steel strips
US3558442A (en) Electroplating a ductile zinc-nickel alloy onto strip steel
US4690735A (en) Electrolytic bath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lectrodeposition of amorphous chromium
KR100256348B1 (ko) 나 내식성및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 이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S6021235B2 (ja) コバルト−亜鉛合金電気メツキ浴組成物とメツキ方法
KR100256328B1 (ko)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철 합금 전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0566121B1 (en) Method of producing zinc-chromium alloy pl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plating adhesiveness
US4268364A (en) Nickel-zinc alloy deposition from a sulfamate bath
KR100256374B1 (ko) 도장후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5273643A (en) Method of producing zinc-chromium alloy pl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plating adhesiveness
KR100256373B1 (ko) 나 내식성이 우수한 아연-크롬 합금 전기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971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전기도금강판 코팅용 도금용액 조성물 및 이를 피복한 전기도금강판
Jayakrishnan et al. Metal distribution in electroplating of nickel and chromium
KR100578214B1 (ko) 아연-마그네슘 전기합금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S58104194A (ja) 高耐食性電気亜鉛めつ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7632A (ko) 인산염처리 전기아연도금강판과 그의 제조방법
KR100244631B1 (ko) 도장후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아연-철합금 전기도금 강판 제조방법
JPS6345383A (ja) 化成処理性の良好な亜鉛系電気めつき鋼板の製造方法
JP2528944B2 (ja) 化成処理性ならびに耐食性に優れたZn系合金電気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