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110B1 - 브라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110B1
KR100250110B1 KR1019980007090A KR19980007090A KR100250110B1 KR 100250110 B1 KR100250110 B1 KR 100250110B1 KR 1019980007090 A KR1019980007090 A KR 1019980007090A KR 19980007090 A KR19980007090 A KR 19980007090A KR 100250110 B1 KR100250110 B1 KR 100250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ot
heater block
bra
bra c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251A (ko
Inventor
이은택
Original Assignee
이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택 filed Critical 이은택
Priority to KR101998000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1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1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41C5/005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by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금형이 장착된 다수의 히터블럭부를 실린더와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부의 이송면을 따라 각 공정단위별로 정확하게 이송하도록 하면서, 제공되는 브라컵 제조용 재료를 인라인 설치된 열간 및 냉간금형부에서 브라컵을 성형하도록 압착하고, 열간성형된 브라컵은 단위 히터블록부별로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 브라컵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열간성형에 의한 성형선과 냉간성형에 의한 성형선이 정확하게 일치함으로써 수율이 높고, 작업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브라컵 제조장치
본 발명은 브라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을 장착한 히터블록부가 자동이송되면서 브라컵의 재료를 열·냉간 성형하여 봉제선 없는 볼륨업 브라컵을 대량제조할 수 있도록 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는 유방을 감싸주고 모아줘서 유방의 처짐을 억제하는 여성용 내의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브라는 유방이 작거나 유선이 아름답지 못한 여성이 착용시 브라 자체에 탄력성이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볼륨감을 형성할 수 없어 옷맵시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의 브라는 단순히 유방의 처짐을 억제하는 기능 외에 유방의 크기에 무관하게, 내의로서 착용시 겉옷과의 조화를 이루어 옷맵시를 양호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일방안으로, 다수의 천조각을 재봉하여 일정한 유선의 형태를 유지케 함으로써 유방의 발육이 좋지 못한 여성의 옷맵시를 보완하고자 하는 브라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브라는 얇은 겉옷만을 입는 하절기나 사무실 등에서 근무시 재봉선이 겉옷에 표출됨으로써 여성들로부터 많은 불만의 대상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탄력성이 양호한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열간 및 냉간성형을 수행하여 볼륨업된 브라컵을 제조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작업자가 브라컵 재료의 일종인 합성섬유를 열간금형을 이용하여 압착성형하고, 그 압착성형된 재료를 냉간금형에 공급하여 냉간성형을 수행한 후 재단기로 재단하여 완성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작업자에 의해 단위공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볼륨업 브라컵의 성형시 열간성형에 의한 성형선과 냉간성형에 의한 성형선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없어 수율이 낮고 작업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금형에 의한 브라컵 성형기술을 채택하되, 볼륨업 브라컵의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수율 및 작업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볼륨업 브라컵의 각 단위공정을 자동화하여 수율 및 작업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브라컵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컵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히터블록부와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열간 및 냉간금형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부 2 : 이송수단
3 : 히터블록부 4 : 열간금형부
5 : 냉간금형부 6 : 클램프부
7 : 브라컵 재료 장착부 8 : 제어부
9 : 전원공급부 10 : 브라컵 제조장치
C : 절단수단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이 장착된 다수의 히터블럭부를 실린더와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부의 이송면을 따라 각 공정단위별로 정확하게 이송하도록 하면서, 제공되는 브라컵 제조용 재료를 인라인 설치된 열간 및 냉간금형부에서 브라컵을 성형하도록 압착하고, 열간성형된 브라컵은 단위 히터블록부별로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 브라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히터블록부는 (+)(-)단자가 프레임부에 설치된 전원공급부, 예컨대 애자에 각기 이격설치된 (+)(-)단자와 대응접점되어 예열되는데, 히터블록부의 단자는 롤러 형상이고 전원공급부의 단자는 스트립 형상이므로 히터블록부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에 롤러 단자가 스트립 단자면을 따라 롤링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히터블록부의 정지 또는 이송에 무관하게 계속해서 예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열간금형부는 브라컵의 작업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레스에 의해 다수의 히터블록부를 동시에 압착하여 합성섬유를 열간성형함에 있어, 각기 인접성형되는 브라컵에 발생되는 재료의 인장력을 방지하여 브라컵의 성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높낮이 차를 갖도록 탄성설치된 다수의 금형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컵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히터블록부부와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열간 및 냉간금형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2는 히터블록부(3)이 생략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브라컵 제조장치(10)는 프레임부(1)의 이송면(1a)을 따라 다수의 금형(3b)을 장착한 히터블록부(3)가 이송수단(2)에 의해 각 공정위치로 이송되면서, 공급되는 브라컵 제조용 재료를 인라인 설치된 열간 및 냉각금형부(4;5)에서 압착성형하여 브라컵을 제조하되, 절단수단(C)에 의해 개별 히터블록부(3) 단위로 열간성형된 브라컵이 절단되도록 된 것이다.
프레임부(1)는 금속재질의 베이스 상에 다수의 히터블록부(3)가 배치되어 이송되도록 이송면(1a)이 형성되고 제어부(8), 브라컵 재료 장착부(7), 열간 및 냉간금형부(4;5)가 설치되도록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면의 중심부분에 플레이트(1b)가 수직설치되어 있다.
이송수단(2)은 다수의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2a∼2e)로 구성되어 히터블록부(3)를 각 작업공정 위치로 이송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실린더(2a)는 프레임부(1)의 상부면 좌단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히터블록부(3)를 각기 작업공정 위치에 대응되도록 우측으로 이송시키고,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실린더(2a)에 연결된 로드(2a-1)는 후술되는 클램프부의 조작에 의해 클램프부(6)와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는데, 클램프부(6)와 연결된 경우에 제1실린더(2a)와 함께 전진하여 클램프부(6)가 브라컵 재료 장착부(7)로부터 제공된 합성섬유를 클램핑하여 열간금형부(4)의 우단까지 위치되도록 클램프부(6)를 이동시키고, 클램프부(6)와 연결해제된 경우에 제1실린더(2a)와 함께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제2실린더(2b)는 클램프부(6)가 제1실린더(2a)의 로드(2a-1)에 의해 전술된 바와 같이 열간금형부(4)의 우단에 위치된 경우 클램프부(6)의 우측 플레이트(6d)를 밀어서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실린더(2c)는 프레임부(1)의 상부면 우단부에 설치되어 성형공정이 완료된 히터블록부(3)를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의 전방 우단부에 위치되도록 이송한다.
제4실린더(2d)는 프레임부(1)의 상부 우단부,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의 플레이트(1b) 전방에 설치되어 제3실린더(2c)에 의해 이송된 히터블록부(3)를 프레임부(1)의 상부 좌단부에 위치되도록 이송한다.
제5실린더(2e)는 프레임부(1)의 상부 좌단부,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1)의 플레이트(1b) 전방에 설치되어 제4실린더(2d)에 의해 이송된 히터블록부(3)를 최초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히터블록부(3)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재질로서 내부에 전열코일이 내장된 히터블록(3a)과 그 상부면에 다수의 금형, 예컨대 2벌(2 set)의 볼륨업 브라컵용 금형(3b)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히터블록(3a)은 롤러 형상의 (+)(-)단자(3a-1;3a-2)가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단자(3a-1;3a-2)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9), 더욱 상세하게는 애자(9a)에 각기 이격설치된 (+)(-)단자(9b)에 각기 대응접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히터블록부(3)는 정지상태이거나 이송수단(2)에 의한 이송되는 상태이더라도 항시 전원공급부(9)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금형(3b)을 예열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전원공급부(9)는 도면에 의해 정확하게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도 2에 나타나 있는 프레임부(1)의 플레이트(1b)에 가설된 것으로, 열간금형부(4)와 냉간금형부(5)의 사이에는 단락되어 있다. 그 이유는 열간금형부(4)에서 열간성형된 브라컵을 인라인 설치된 냉간금형부(5)에서 즉시 냉간성형하여 성형성 및 탄력성이 양호한 볼륨업 브라컵을 제조하기 위하여 냉간금형부(5)에 이송배치된 히터블록부(3)를 예열하지 않도록 전원공급부(9)를 타부분에 대하여 단락하여 최초 작업개시 때만 냉간금형부(5)에 위치되는 금형(3b)을 예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원공급부(9)가 제5실린더(2e)의 히터블록부(3)를 밀어주는 부분에 가설되어 히터블록부(3)를 예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번호 2al,2cl,2dl,2el은 리미트 스위치이다.
열간금형부(4)는 실린더(4a)의 하부에 다수개, 예컨대 2벌의 브라컵을 동시에 열간성형할 수 있는 구조로서, 각 금형(4b-1;4b-2)은 각 가열노브(4c)의 조작에 의해 열간성형 온도에 적합하도록 가열된다. 여기서, 2벌의 브라컵을 동시에 성형함에 있어 압착성형시 브라컵 재료에 인장력이 발생되어 성형불량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업진행 방향에 설치된 우측 금형(4b-1)은 좌측 금형(4b-2)에 대하여 히터블록부(3)에 장착된 금형(3b)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의 하부에 스프링(4d)을 이용하여 탄성설치되어 있어 열간성형시에는 모든 금형(4b-1;4b-2)이 동일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좌우측 금형(4b-1;4b-2)은 실린더(4a)와 함께 동시에 하강하고, 우측 금형(4b-2)이 먼저 재료를 압착하면서 재료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곧이어 좌측 금형(4b-1)이 잡아당겨진 재료를 압착하게 되어 재료의 인장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라컵의 성형불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부(6)는 외피장착부(7a)와 내피장착부(7b)로 구성된 브라컵 재료 장착부(7)로부터 제공된 재료를 클램핑하여 열간금형부(4)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가이드 로드(6b-1)에 연결된 몸체부(6b)를 관통하며 재료를 클램핑하는 클램프(6a)가 제1실린더(2a)의 로드(2a-1) 연결부(6c)에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연결 또는 연결해제되도록 구성된다. 클램프부(6)의 이동관계를 전술된 바와 같으며, 클램프부(6)는 열간성형이 완료될 때까지 재료를 클램핑하고 제2실린더(2b)에 의해 복귀된다.
절단수단(C)은 열간금형부(4)와 냉간금형부(5) 사이에 설치되어 브라컵 재료를 절단하는 수단으로, 플레이트(1b)에 설치된 레크기어(Cr)와, 열간금형부(4)의 우측 금형(4b-2) 단부에 회전자재하도록 설치되며 레크기어(Cr)와 치합된 피니언기어(Cp) 그리고, 그 피니언기어(Cp)의 회전축에 연결된 절단날(C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절단수단(C)은 아무런 동력없이 열간금형부(4)의 하강에 의해 피니언기어(Cp)가 레크기어(Cr)를 따라 하강회전되면서 절단날(Cb)이 재료를 절단하도록 한 것이다.
냉간금형부(5)는 실린더(5a)의 하부에 다수개, 예컨대 2벌의 브라컵을 동시에 냉간성형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절단수단(C)에 의해 개별 히터블록부(3) 단위로 절단된 브라컵을 냉간압착하여 성형성 및 탄력성이 양호한 볼륨업 브라컵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각 금형(5b-1;5b-2)은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된 냉수가 공급되도록 배관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번호 4l-1,4l-2,5l-1,5l-2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제어부(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계측된 정보를 연산하여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송수단(2)이나 열간 및 냉간금형부(4;5)의 실린더(4a;5a)를 작동케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볼륨업 브라컵 제조공정이 자동화함으로써 열간성형에 의한 성형선과 냉간성형에 의한 성형선이 정확하게 일치하여 수율이 높고, 작업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레임부(1)와;
    상기 프레임부(1)에 가설된 전원공급부(9)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예열되는 히터블록(3a)과, 상기 히터블록(3a)의 상부면에 설치된 금형(3b)이 상기 프레임부(1)의 이송면(1a)에 다수 배치된 히터블록부(3)와;
    상기 히터블록부(3)를 각 공정별로 이송하도록 설치된 이송수단(2)과;
    상기 이송된 히터블록부(3)의 금형(3b)에 대응하는 다수의 금형(4b-1;4b-2)을 구비하여 클램프부(6)에 의해 제공된 브라컵 재료를 동시에 열간성형하여 다수의 브라컵을 열간성형하되, 다수의 금형(3b;4b-1,4b-2)에 의해 다수의 브라컵이 동시에 성형될 때 브라컵 재료의 인장력에 의한 성형불량을 방지하도록 금형간(4b-1;4b-2)에 높낮이를 상이하게 탄성설치한 열간금형부(4)와;
    상기 열간금형부(4)와 연동되어 상기 히터블록부(3) 단위로 브라컵 재료를 절단하도록 설치된 절단수단(C)과;
    상기 열간금형부(4)와 인라인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히터블록부(3)에 금형(3b)에 대응하여 상기 열간성형된 브라컵을 냉간성형하도록 다수의 금형(5b-1; 5b-2)이 설치된 냉간금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 브라컵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블록부(3)는 롤러 형상의 (+)(-)단자(3a-1;3a-2)가 각기 대응된 전원공급부(9)의 스트립 형상을 갖는 각 (+)(-)단자에 대응접점됨으로써 상기 금형(3b)을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컵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동시에 다수의 브라컵을 성형시 성형불량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간금형부(5)에 인접된 상기 열간금형부(4)의 금형(4b-2)을 다른 금형(4b-1)에 비하여 보다 하부에 탄성설치하여, 열간성형시 모든 금형(4b-1;4b-2)이 동일위치에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컵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C)은 상기 프레임부(1)에 설치된 레크기어(Cr)와, 상기 냉간금형부(5)에 인접된 상기 열간금형부(4)의 금형(4b-2) 단부에 회전자재하게 설치하되 상기 레크기어(Cr)와 치합된 피니언기어(Cp)와, 상기 피니언기어(Cp)의 회전축에 연결된 절단날(C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컵 제조장치.
KR1019980007090A 1998-03-04 1998-03-04 브라컵 제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090A KR100250110B1 (ko) 1998-03-04 1998-03-04 브라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090A KR100250110B1 (ko) 1998-03-04 1998-03-04 브라컵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51A KR19990068251A (ko) 1999-09-06
KR100250110B1 true KR100250110B1 (ko) 2000-04-01

Family

ID=1953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0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0110B1 (ko) 1998-03-04 1998-03-04 브라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307B1 (ko) 2012-05-19 2013-08-14 김승호 누드브래지어 생산장치
CN106858743A (zh) * 2017-03-02 2017-06-20 深圳市深立精机科技有限公司 内衣模杯成型自动化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474B1 (ko) * 2006-03-27 2007-03-12 주식회사 두리비 무봉제 브래지어의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307B1 (ko) 2012-05-19 2013-08-14 김승호 누드브래지어 생산장치
CN106858743A (zh) * 2017-03-02 2017-06-20 深圳市深立精机科技有限公司 内衣模杯成型自动化设备
CN106858743B (zh) * 2017-03-02 2018-08-24 深圳市深立精机科技有限公司 内衣模杯成型自动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51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474B1 (ko) 무봉제 브래지어의 성형장치
KR100250110B1 (ko) 브라컵 제조장치
CN202588291U (zh) 直立化纤棉罩杯生产设备
CN206493682U (zh) 转盘式双头多工位定型机
KR100250109B1 (ko) 브라컵 성형장치
CN105690723A (zh) 一种内衣棉杯成型装置
CN101752116B (zh) 三层复合电触点的制造设备
KR100712469B1 (ko) 무봉제 브래지어의 제조방법
CN210158041U (zh) 一种用于胸位海绵的压烫机
CN102139450A (zh) 消毒柜外壳生产机
CN212097897U (zh) 牛皮烫粘衬自动设备
CN106865960A (zh) 一种3d曲面玻璃热成型用金属布套的制作及使用方法
CN102886487B (zh) 一种直板输送链的冲压加工工艺
CN207310756U (zh) 一种三联动板材生产线
CN215550355U (zh) 一种集模杯定型和冲切为一体的生产装置
CN213239638U (zh) 一种金相试样多头自动镶嵌机
CN108951304B (zh) 一种全自动节能纸模包装左右定型干燥的生产设备及工艺
CN209394779U (zh) 一种线路板外形冲切模具
CN216585881U (zh) 立体面可选工位压烫机
CN105479111A (zh) 1Cr11Ni2W2MoV合金跑道形安装边的制造方法及模具
CN207134150U (zh) Pet母排
CN112454926A (zh) 一种模压杯状口罩一体成型机
CN219961989U (zh) 一种文胸布杯的成型模具
CN214491673U (zh) 一种高效加工的乳胶手套机
CN212920400U (zh) 一种吸塑托盘定型并连续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6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