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039B1 -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 Google Patents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039B1
KR100246039B1 KR1019910022782A KR910022782A KR100246039B1 KR 100246039 B1 KR100246039 B1 KR 100246039B1 KR 1019910022782 A KR1019910022782 A KR 1019910022782A KR 910022782 A KR910022782 A KR 910022782A KR 100246039 B1 KR100246039 B1 KR 10024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coring
grazing
lifte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536A (ko
Inventor
정유철
성백석
반흥식
이영섭
임재원
Original Assignee
박영구
삼성코닝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구, 삼성코닝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구
Priority to KR101991002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039B1/ko
Publication of KR92001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음극선관용 훤넬의 성형공정에서, 몰딩된 훤넬에 달려 나오는 모일을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훤넬을 수코어링공정과 그레이징공정으로 자동 반송시켜 상기 모일이 절단되게 하는 시스팀.
이 시스템은 훤넬 성형공정에서 연장된 컨베이어의 상방에 픽업장치를 교차상으로 배열하고, 또한 상기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1쌍의 소재반송장치를 나란히 대향 배치하여,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반송되는 훤넬을 일정위치에서 상기 픽업장치의 캐리어에 탑재된 진공패드가 흡착시켜서 상기 양 소재반송장치로 번갈아 3차원 이동시키고, 상기 소재반송장치는 3차원 이동된 훤넬을 그 자체에 배치된 스코어링부 및 2단계로 구분된 그레이징부로 순차 간헐 반송시켜서 상기 훤넬의 모일이 자동으로 절단되게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된 모일 자동절단 시스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스코어링부의 하반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르코어링부의 상반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한 그레이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픽업장치에 관련된 공압회로도.
제8도는 제3도의 스코어링부에 관련된 공압회로도.
제9도는 제3도의 그레이징부에 관련된 공압회로도.
제10도는 종래의 모일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훤넬 4 : 모일
10 : 컨베이어 12 : 픽업장치
14 : 소재반송장치 24 : 스코어링부
34 : 그레이징부 102 : 리프터
104 : 센서 120 : 비임
122 : 레일 124 : 캐리어
126 : 제1왕복수단 130 : 승강로드
134 : 승강수단 138 : 진공패드
144 : 제2왕복수단 146 : 베드
148 : 트레일러
150a, 150b, 150c, 150d : 지그
240 : 스코어링리프터 244 : 스코어링 프레임
248 : 버어너 252 : 너트
254 : 조절봉 257 : 슈우트
258 : 홉퍼 340 : 그레이징 리프터
342 : 그레이징프레임 346 : 버어너
348 : 너트 352 : 조절봉
354 : 모우터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훤넬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훤넬에서 네크부가 접합되는 부분으로 연장되는 모일부분을 훤넬의 성형 직후에 일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훤넬 모일 절단시스팀에 관한 것이다.
훤넬은 용융로에서 공급되는 곱(gob)을 몰드로 받아 들인 다음 프레스하여 소정형태로 성형되는 유리제 부품이다.
훤넬은 몰드에서 추출되었을 때, 튜브상으로 길게 연장된 모일을 포함한 형상으로 된다.
이 모일은 일정길이로 절단되고, 절단부위의 모서리는 불꽃으로 그레이징된 다음, 별도 성형된 네크부와 일체로 접합된다.
상기 훤넬의 모일은 버어너 불꽃을 가하여 절단시킬 수 있다.
제10도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모일절단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훤넬(2)의 모일(4)은 X-X로 지시된 선을 따라 일정길이로 절단된다.
모일절단기(6)은 상기 훤넬(2)을 탑재시킬 수 있는 요크링(8)을 보유하고 있다.
훤넬(2)의 모일(4)의 요크링(8)으로 삽입되면 그 하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절단휘일(crack off wheel)이 모일의 소정부위를 스코어링(scoring)하게 된다.
스코어링이 끝나면, 도시하지 않은 공기공급관과 버어너를 통해 스코어링 부위의 내주와 외주에 찬공기(chil-led air)와 불꽃이 동시에 각각 접촉됨에 따라 스코어링 부위에서 열적충격이 발생하여 모일(4)이 절단된다.
이렇게 해서 모일(4)이 절단된 훤넬(2)은 작업자에 의해 그레이징 공정으로 옮겨진다.
종래 방식은 모일의 절단에서부터 그레이징까지 작업자가 훤넬을 직접 공정에 투입하고 수거하게 되어 있어서 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없고, 또 이 공정에서 취급되는 훤넬은 450℃ 정도의 고온물체이므로 작업 위험도가 높은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능률적인 작업을 위하여 상기 모일절단기를 간헐회전하는 터리트테이블(도시 생략)상에 다수 배치해서 일괄작업을 할 수 있게 한 것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작업자는 아직 냉각되지 않은 고온의 훤넬을 취급해야 하는 위험성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 방식도 여전히 훤넬을 작업자가 수거하여 다음공정으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훤넬의 모일절단과 절단된 부분의 그레이징을 일괄적인 자동화로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훤넬과 접촉하는 일이 없게 하여 작업의 위험성을 해결한 훤넬 모일 절단시스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이 발명은 훤넬 성형공정에서 연장된 컨베이어의 상방에 픽업장치를 교차상으로 배열하고, 또한 상기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1쌍의 소재반송장치를 나란히 배열하여,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반송되는 훤넬을 일정위치에서 상기 픽업장치의 캐리어에 탑재된 진공패드로 흡착시켜서 상기 양 소재반송장치로 번갈아 3차원 이동시키고, 상기 소재반송장치는 3차원 이동된 훤넬을 그 자체에 배치된 스코어링부 및 2단계로 구분된 그레이징부로 순차 간헐 반송시켜서 상기 훤넬의 모일이 절단되게 구성한 시스팀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관련된 모일 자동절단 시스팀의 구성도로서, 부호(10)은 훤넬 성형공정에서 연장된 컨베이어이고, 부호(12)는 상기 컨베이어(10)에 교차배치된 픽업장치이며, 부호(14)는 상기 픽업장치(12)의 하측방에 나란히 배치된 1쌍의 소재반송장치이다.
컨베이어(10)는 픽업장치(12)의 중앙부 하측에 위치하여 훤넬 성형공정과 이 발명의 시스팀을 연결시켜 주고 있다.
상기 1쌍의 소재반송장치(14)는 각각 스코어링부(24)와 2단계로 나누어 배치된 그레이징부(34)를 포함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픽업장치(12)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열된 1쌍의 비임(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비임(120)에는 각각 레일(122)이 부설되어 있고, 이들 레일(122)을 타고 1쌍의 캐리어(124)가 주행 가능하게 놓여져 있다.
이들 캐리어(124)는 제1 왕복수단(126)에 일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각각 컨베이어(10)와 그 양측의 소재반송장치(14)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제1 왕복수단(126)으로는 로드리스 실린더 혹은 예시한 바와 같은 통상의 복동실린더가 적합하다.
상기한 비임(120)의 양단부에는 쇽크업쇼버(128)가 배치되어서 왕복운동의 정지점에서 양 캐리어(124)로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제2도는 캐리어(124)의 구성을 상세히 묘사하기 위하여 제1도의 화살표 Ⅱ-Ⅱ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각 캐리어(124)는 수직으로 연장된 승강로드(130)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승강로드(130)의 상단은 각각 플레이트(132)를 개재하여 전용의 승강수단(134)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승강수단(134)은 통상의 복동실린더를 적용시키고 있다.
또 승강로드(130)의 하단은 캐리어(124)보다 낮은 위치로 연장되어서 시일드(136)와 진공패드(138)를 현수시키고 있다.
한편, 플레이트(132)는 각 캐리어(124)상에 설치된 조절봉(140)과 접촉되는 쇼크업쇼버(142)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한 조절봉(140)에 의해 각 승강로드(130)의 하사점이 조절된다.
픽업장치(12)의 하측방 중앙에 위치하는 컨베이어(10)의 종단부에는 서로 동기작동하는 1쌍의 리프터(10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리프버(102)의 상단부에는 포토 커플러와 같은 센서(104)가 부착되어서 상기 컨베이어(10)를 타고 공급되는 훤넬(2)을 감지하게 되어 있다.
제3도는 소재반송장치(14)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2도의 화살표 Ⅲ-Ⅲ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소재반송장치(14)는 제2 왕복수단(144)이 탑재된 베드(146)를 보유하고 있다.
제2 왕복수단(144)은 상기 베드(146) 상에서 활주되는 트레일러(148)와 연결되어 이를 간헐적으로 왕복운동시키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왕복수단(144)은 통상의 복동실린더로 되어 있다.
트레일러(148)는 제1도에 도시한 바 있드시 중간에 공간이 형성된 포크모양으로 된 것이다.
또 트레일러(148)의 상면 4개소에는 훤넬(2)을 안착시키기 위한 지그(150a)(150b)(150c)(150d)가 등분 배치되어 있다.
첫번째 지그(150a)의 위치는 픽업장치(12)로부터 훤넬(2)을 인수받을 수 있는 장소이다.
두번째 지그(150b)의 위치는 스코어링부(24)에 일치하는 장소이다.
세번째 지그(150c)의 위치는 1단계 그레이징부(34)에 일치하는 장소이다.
네번째 지그(150d)의 위치는 2단계 그레이징부(34)에 일치하는 장소이다.
제2 왕복수단(144)에 의해 움직이는 트레일러(148)의 스트로크는 각 지그(150a)(150b)(150c)(150d) 사이에 동일하게 설정된 간격이 되는 것이며, 이것은 베드(146)의 일측단에 설치된 쇽크업쇼버(152)에 의해 제한된다.
스코어링부(24)는 베드(146)의 하측방에 배치된 스코어링리프터(240)와 그상측으로 대향설치된 스코어링 장치(242)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2단계로 나누어 배치된 그레이징부(34)는 각각 그레이징 리프터(3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스코어링 리프터(240)와 1쌍의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차동실린더를 적용하고 있다.
제4도는 스코어링부(24)에서 스코어링 리프터(240)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면은 상측부의 절반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스코어링 리프터(240)는 상단의 스코어링 프레임(244)을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스코어링 프레임(244)의 상부에는 훤넬(2)이 안착되는 요크링(24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크링(246)의 하측방으로 버어너(248)가 고정대(25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대(250)는 너트(252)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또 너트(252)는 스코어링 프레임(244)에 지지된 조절봉(254)를 타고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요크링(246)을 통해 삽입되는 훤넬(2)의 모일(4)외주에서 버어너(24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고정대(250)의 하측으로 슈우트(257)와 연통된 홉퍼(258)가 위치하고 있다.
홉퍼(258)는 절단된 모일(4)을 받아내고 슈우트(257)로 보내어 일정장소에 수거되게 하는 것이다.
제5도는 스코어링부(24)의 상측에 배치된 스코어링장치(242)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스코어링장치(242)는 고정축(256)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260)과, 이 아암(260)의 양단에 지지되는 동일한 구조의 스코어링헤드(262)로 구성되어 있다.
양 스코어링헤드(262)중의 어느 하나는 제1도에 도시한바 있드시 항상 트레일러(148)의 스코어링부(24) 상방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훤넬(2)을 스코어링하게 되어 있고, 또 대칭방향의 다른 하나는 교체용으로 대기시켜 두고 있다.
스코어링헤드(262)는 수직으로 배치된 회전축(264)과, 이 회전축(264)을 구동시키는 로터리액츄에이터(266)를 보유하고 있다.
회전축(264)의 종단부에는 훤넬(2)의 내주면에 크랙을 그을 수 있는 스코어링팁(268)이 부착되어 있다.
또, 회전축(264)의 주위 사방으로 가이드(27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코어링헤드(266)의 구성은 이 분야에서 이전부터 실용화되고 있는 구조와 같은 것이다.
제6도는 제3도에 도시한 그레이징부(34)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면은 상측부의 절반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그레이징 프레임(342)을 승강시키게 되어 있다.
그레이징 프레임(342)도 마찬가지로 상부에 요크링(344)를 보유하고 있다.
요크링(344)의 하측에는 버어너(346)가 배치되어 있고, 이것도 너트(348)의 아암(350)에 현수되어 있으며, 또 너트(348)는 그레이징 프레임(342)에 지지된 조절봉(352)을 타고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요크링(344)을 통해 삽입되는 훤넬(2)의 모일(4) 외주에서 버어너(34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버어너(346)는 너트(348)의 아암(3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레이징 프레임(342)의 일측에 고정된 모우터(354)는 구동 스프로켓(356)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과 버어너(346)의 축(358)에 고정된 종동 스프로켓(360)사이는 체인(362)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버어너(346)는 아암(350)에 지지된 채로 모우터(35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 시스팀을 제어하기 위한 공압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에서 컨베이어(10)의 리프터(102)와 픽업장치(12)의 제1 왕복수단(126) 및 승강수단(134)은 각각 5포트 2웨이밸브(106)(154)(156)를 개재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게 되어 있다.
리프터(102)는 5포트 2웨이밸브(106)의 정방향위치에서 상승하고, 또 역방향위치에서 하강한다.
제1 왕복수단(126)은 5포트 2웨이밸브(154)의 정방향위치에서 전진하고, 역방향위치에서 후진한다.
승강수단(134)은 5포트 2웨이밸브(156)의 정방향위치에서 하강하고, 역방향위치에서 상승한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10)에 배치된 센서(104)의 감지신호에 의해 스타트된다.
센서(104)가 훤넬(2)의 존재를 감지하여 발생되는 신호로 인해 5포트 2웨이밸브(106)(156)가 정방향으로 동작한다.
그 결과로 리프터(102)는 상승하여 상기 훤넬(2)을 소정높이로 들어 올려주고, 또 모든 캐리어(124)의 승강수단(134)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양진공패드(138) 중의 하나가 상기 훤넬(2)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하사점에 있어서 컨베이어(10)의 상방에 위치하는 진공패드(138)에만 부압이 가해진다.
상기 부압은 통상의 진공펌프에 의해 간단히 발생될 수 있는 것이며, 이 부압은 훤넬(2)을 픽업하는 에너지로 작용한다.
또한, 부압의 선택적인 공급도 공지된 로터리밸브 혹은 스풀밸브타입의 방향제어밸브를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왼쪽에 위치하는 승강로드(130)의 진공패드(138)가 리프터(102)에 의해 들어 올려진 훤넬(2)을 진공 흡착하게 된다.
부압이 가해지는 동안에, 5포트 2웨이밸브(156)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승강수단(134)이 상승하고, 이어서 5포트 2웨이밸브(154)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제1 왕복수단(126)이 전진한다.
제1 왕복수단(126)이 전진위치에 있는 동안, 다시 5포트 2웨이밸브(156)가 정방향으로 동작하여 모든 승강수단(134)은 하강한다.
그 결과, 좌측 진공패드(138)에 흡착된 훤넬(2)은 컨베이어(10)의 좌측에 위치한 소재반송장치(14)로 3차원 이동되고, 동시에 오른쪽 진공패드(138)는 컨베이어(10)를 타고 공급된 새로운 훤넬(2)의 내측에 접촉된다.
이 시점에서 부압의 공급은 왼쪽 진공패드(138)에서 오른쪽 진공패드(138)로 전환된다.
따라서 왼쪽 진공패드(138)에 흡착하게 되어 있던 훤넬(2)은 떨어져 나가서제3도에 도시한 트레일러(148)의 첫 번째 지그(150a)로 안착되고, 또 오른쪽 진공패드(138)는 컨베이어(10)상의 훤넬(2)을 흡착하게 된다.
다시 5포트 2웨이밸브(156)가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승강수단(134)이 상승하고, 이어서 5포트 2웨이밸브(154)가 역방향으로 동작해서 제1 왕복수단(126)은 후진하게 된다.
이 때, 왼쪽 진공패드(138)는 비워 있고, 오른쪽 진공패드(138)는 새로운 훤넬(2)을 픽업하고 있는다.
제1 왕복수단(126)의 후진이 종료되면, 5포트 2웨이밸브(106)(156)가 정방향으로 동작되는 초기상태로 되어 상술한 동작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컨베이어(10)에 의해 공급되는 훤넬(2)은 픽업장치(12)에 의해 양측의 소재반송장치(14)로 번갈아 이송 적재된다.
제8도와 제9도를 참조하면 소재반송장치(14)에 있어서, 제2 왕복수단(144)과 스코어링 리프터(240), 그리고 1쌍의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각각 5포트 3웨이밸브(158)(272)(364)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왕복수단(144)은 5포트 3웨이밸브(158)의 정방향위치에서 전진하고, 역방향위치에서 후진하며, 중립위치에서 그대로 정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스코어링 리프터(240)와 양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각각 5포트 3웨이밸브(272)(364)의 정방향위치에서 상승하고 역방향위치에서 하강하며, 중립위치에서 그대로 정지하게 된다.
스코어링부(24)에 있어서, 스코어링 리프터(240)의 양측으로 열려진 유로에는 각각 유량조절밸브(274)(276)가 설치되어서 상기 스코어링 리프터(240)의 동작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또, 한쪽 유로에만 설치된 2포트 2웨이밸브(278)는 스코어링 리프터(240)가 일정위치에서 정상속도보다 천천히 동작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릴리이프밸브(280)는 상기 2포트 2웨이밸브(278)를 통과하는 유체압력을 조정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코어링부(24)의 버너(248)에는 각각 2포트 2웨이밸브(282)(284)(290)를 개재하여 연료개스와 산소가 공급되고, 이들 연료개스와 산소는 믹서(286)와 역화방지기(288)를 거쳐 버어너(248)로 공급된다.
또한 모일부 내면에 별도의 라인을 통해 찬공기(chilled air)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2포트 2웨이밸브(282)(284)가 열려 높은 온도의 불꽃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그레이징부(34)에 있어서도, 그레이징 리프터(340)의 양측으로 열려진 유로에는 각각 유량조정밸브(366)(368)가 설치되어서 상기 그레이징 리프터(340)의 동작속도를 제어해주고 있다.
또, 한쪽 유로에만 설치된 2포트 2웨이밸브(370)는 그레이징 리프터(340)가 일정위치에서 정상속도보다 천천히 동작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릴리이프밸브(372)는 과도압력을 상기 2포트 2웨이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압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레이징부(34)의 버어너(346)에도 각각 2포토 2웨이밸브(374)(376)(382)를 개재하여 연료개스와 산소가 공급되고, 이들은 믹서(378)와 역화방지기(380)를 거쳐 버어너(346)에서 연소된다.
트레일러(148)의 첫번째 지그(150a)로 훤넬(2)이 안착되고, 또 승강수단(134)이 일제히 상사점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제2왕복수단(144)에 종속된 5포트 3웨이밸브(158)가 점방향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제2 왕복수단(144)은 전진된다.
제2 왕복수단(144)이 전진되면, 첫번째 지그(150a)는 스코어링부(24)로, 두번째 지그(150b)는 1단계 그레이징부(34)의 상방으로, 세번째 지그(150c)는 2단게 그레이징부(34)의 상방으로, 또한 네번째 지그(150d)는 훤넬(2)의 수거위치로 동시에 옮겨진다.
제2 왕복수단(144)이 전진종료하면 5포트 3웨이밸브(158)는 중립위치로 동작하여 상기 제2 왕복수단(144)이 전진된 채로 정지하고 있게한다.
제2 왕복수단(144)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각 리프터(240)(340)에 종속된 5포트 3웨이밸브(272)(364)가 정방향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스코어링 리프터(240)와 양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상승하게 된다. 스코어링 리프터(240)의 상승에 의해 훤넬(2)의 첫번째 지그(150a)에서 스코어링 프레임(244)의 요크링(246)으로 환승된 다음 스코어링장치(242)를 향해 상승한다.
만일 트레일러(148)의 상면에 배치된 4개의 지그(150a)(150b)(150c)(150d)에 모두 훤넬(2)이 안착되어 있다면, 양 그레이징 리프터(340)의 상승에 의해 1단계 그레이징부(34)에서는 두번째 지그(150b)에 안착된 훤넬(2)이, 또 2단계 그레이징부(34)에서는 세번째 지그(150c)에 안착된 훤넬(2)이 각각 그레이징 프레임(342)의 요크링 (344)으로 환승될 것이다.
이와 같이 소재반송장치(14)의 모든 리프터(240)(340)가 상승하였을 때, 다시 5포트 3웨이밸브(158)는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제2왕복수단(144)이 원래위치로 후진되게 한다.
제2 왕복수단(144)은 상승된 리프터 (240)(340)가 하강 복귀할 때까지 후진위치에서 대기하며, 그 동안에 첫번째 지그(150a)에는 픽어장치(12)를 통해 새로운 훤넬(2)이 공급된다.
한편, 스코어링부(24)에서 상승된 훤넬(2)은 제5도의 도시와 같이 그 에지부분이 스코어링장치(242)의 가이더(270)에 접촉하여 홀딩되고, 회전축(264)은 훤넬(2)의 모일(4)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스코어링방식과 동일하게 로터리액츄에이터(266)가 회전축(264)을 구동함에 따라 회전되는 스코어링팁(268)이 훤넬(2)의 모일(4)내주면을 스코어링하게 된다.
다음에는 훤넬(2)의 스코어링부위로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라인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대략 1초간 공급된 다음, 즉시로 각각 2포트 2웨이밸브(282)(284)가 열려져서 버어너(248)는 훤넬(2)의 모일(4) 주위를 불꽃 가열하게 된다.
스코어링부(24)에서의 불꽃 가열은 버어너(248)와 스코어링부위를 같은 높이로 위치시킨 상태로 대략 2초간 실시하며, 이 때 발생되는 열충격에 의해 모일(4)이 절단된다.
절단된 모일(4)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코어링 프레임(244)에 지지된 홉퍼(258)를 타고 슈우트(257)로 인도되어 일정장소로 수거된다.
2포트 2웨이밸브(282)(284)가 닫혀서 불꽃가열이 종료되는 즉시로 2포트 2웨이밸브(286)가 열린다.
이에 따라 2포트 2웨이밸브(286)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훤넬(2)의 가열된 부위를 약간 냉각시키게 된다.
이후 2포트 2웨이밸브(282)(284)(290)가 열리고, 버어너(248)에서 불꽃이 형성되어 모일 주변을 가열함과 동시에 훤넬(2)의 스코어링 부위로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라인을 통해 차가운 공기(Chilled all)가 상기 모일(4)의 내주로 대략 1초간 공급되어 발생하는 열충격에 의해 모일(4)가 절단된다. 절단된 모일(4)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코어링 프레임(244)에 지지된 홉퍼(258)를 타고 슈우트(257)로 인도되어 일정한 장소로 수거된다.
5포트 3웨이밸브(272)는 2포트 2웨이밸브(282)(284)의 오픈동작과 거의 동시에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스코어링 리프터(240)가 하강되게 한다.
따라서 스코어링 리프터(240)는 불꽃 가열이 끝났을 때, 하강위치하여 그 요크링(246)에 환승되었던 훤넬(2)을 다시 두번째 지그(150b)로 안착시키게 된다.
한편, 스코어링부(24)와 함께 그레이징부(34)에서도 불꽃가열이 행해진다.
즉, 그레이징 리프터(340)가 상승위치하고 있을 때, 2포트 2웨이밸브(374)(376)(382)가 동작하여 버어너(346)로 연료개스와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훤넬(2)을 불꽃 가열시키게 된다.
그레이징부(34)에서의 불꽃가열은 훤넬(2)의 절단부위에 존재하는 모서리를 다음의 네크 부착공정에서 네크와 접합되기 적당한 형태로 변형시키려는 목적으로 행해진다.
이 과정에서 그레이징부(34)의 버어너(346)는 모우터(354)에 의해 회전되면서 모일(4)이 절단된 부분을 2-3초간 가열한다.
그레이징부(34)에서는 스코어링부(24)는 달리 불꽃 가열이 끝났을 때, 5포트 3웨이밸브(364)가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그레이징 리프터(340)가 하강되기 때문에 스코어링 리프트(340)보다 늦게 하강한다.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하강중에 1단게 그레이징부(34)에서는 세번째 지그(150c)와 만나게 되고, 또 2단계 그레이징부(34)에서는 네번째 지그(150d)와 만나게 된다. 따라서 그레이징된 훤넬(2)은 각 그레이징 프레임(342)의 요크링(344)에서 세 번째 지그(150c)와 네 번째 지그(150d)로 자동 인게된 후에 각 그레이징 리프터(340)는 하강을 종료하게 된다.
그 다음에 다시 5포트 3웨이밸브(158)가 정방향으로 동작하여 트레일러(148)가 전진하게 딘다. 그 결과로 첫번째 지그(150a)에 안착된 새로운 훤넬(2)은 스코어링부(24), 또 두번째 지그(150b)의 1단계 그레이징부(34)로, 세번째 지그(150c)의 것은 2단계 그레이징부(34)로, 네번째 지그(150d)의 것은 수거위치로 동시에 이송된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수거위치로 옮겨진 훤넬(2)은 작업자에 의해 회수되어 다음공정으로 운반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은 훤넬의 모임을 절단함에 있어서, 훤넬을 자동으로 반송하여 스코어링 및 그레이징되게 한 것이므로 작업의 생산성을 보장하면서도 뜨거운 훤넬을 취급함에 따르는 위험성도 해결하여 준다.

Claims (5)

  1. 몰드 성형된 훤넬을 일정위치에서 감지하여 스타트신호를 발하는 센서를 보유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훤넬을 일정위치에서 일정높이로 들어 올려주는 리프터가 종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된 비임의 레일을 타고 제1왕복수단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활주하는 1쌍의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단에 진공패드를 현수하고 있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에 연결되어 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보유하며, 상기 센서의 스타트신호에 의해 승강수단이 상기 승강로드를 하강시키면 진공패드가 상기 리프터로 들어 올려진 훤넬을 진공흡착하고, 이어서 승강수단이 승강로드를 상승시키면제1 왕복수단이 상기 1쌍의 캐리어를 이동시켜서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훤넬을 3차원 반송시키는 픽업장치; 상면에 4개의 지그가 등분 배치되고, 제2 왕복수단에 의해 간헐 왕복이동되는 트레일러와, 상기 트레일러를 상면에 지지하는 베드와, 상하로 높이조절되는 버어너와 이 버어너의 밑으로 배치되어 슈우트에 연통되는 홉퍼를 보유하는 스코어링 프레임이 스코어링 리프터의 상단에 현수된 스코어링부와, 회전 및 높이조절 가능한 버어너를 보유하는 그레이징 프레임이 그레이징 리프터의 상단에 현수된 그레이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레일러의 왕복이동에 맞추어 상기 스코어링 프레임과 그레이징 프레임이 승하강되게 함으로써, 훤넬이 첫번째 지그에서 스코어링부, 두번째 지그, 1단게 그레이징부, 세번째 지그, 2단계 그레이징부, 네번째 지그, 훤넬의 수거위치순으로 점차 환승이동되게 하는 소재반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훤넬의 모일절단 시스팀.
  2. 제1항에 있어서, 픽업장치의 제1 왕복수단과 승강수단, 그리고 소재반송장치의 제2 왕복수단은 복동실린더로 되고, 소재반송장치가 보유하는 스코어링부의 스코어링 리프터와 양 그레이징부의 그레이징 리프터는 차동실린더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훤넬의 모일절단 시스팀.
  3. 제1항에 있어서, 소재반송장치의 스코어링부에 설치된 버어너는 상기 스코어링 프레임에 지지된 조절봉을 타고 승강 가능한 너트에 의해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훤넬의 모일절단 시스팀.
  4. 제1항에 있어서, 그레이징부의 그레이징 프레임은 그 일측에 버어너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우터를 보유하고, 상기 버어너는 조절봉을 타고 높이 조절가능한 너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훤넬의 모일절단 시스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부는 대향되는 적어도 한쌍의 스코어링 헤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훤넬의 모일 절단 시스팀.
KR1019910022782A 1990-12-24 1991-12-12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KR10024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782A KR100246039B1 (ko) 1990-12-24 1991-12-12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0-21591 1990-12-24
KR900021591 1990-12-24
KR1019910022782A KR100246039B1 (ko) 1990-12-24 1991-12-12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536A KR920013536A (ko) 1992-07-29
KR100246039B1 true KR100246039B1 (ko) 2000-03-15

Family

ID=1930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782A KR100246039B1 (ko) 1990-12-24 1991-12-12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46039B1 (ko)
GB (1) GB9126921D0 (ko)
MY (1) MY118732A (ko)
RU (1) RU2116980C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16980C1 (ru) 1998-08-10
GB9126921D0 (en) 1992-02-19
KR920013536A (ko) 1992-07-29
MY118732A (en)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41416B (zh) 一种自适应式自动装箱设备及其装箱方法
CN106271136B (zh) 激光焊接工作站
CN111653510A (zh) 石墨舟搬运设备及搬运方法
CN106271266A (zh) 激光焊接辅助系统
JP3159759B2 (ja) ファンネルのモイル切断システム
CN210365863U (zh) 阀片组件输送装置
KR100246039B1 (ko) 휀넬의 모일 절단시스팀
CN105819221A (zh) 一种空调底托自动化下线系统
CN112591495A (zh) 一种集成式窑车装车智能垫块码垛系统
CN209668167U (zh) 双工位料盘缓存机
US3930819A (en) Press molded hot glassware handling apparatus
CN106115013A (zh) 链条自动折叠机构
CN109458863B (zh) 超导热管的自动生产线
CN111731785A (zh) 一种块状石蜡自动拆垛熔炼生产系统
CN106081230A (zh) 一种用于镇流器包装盒装箱工序自动线设计
CN205972090U (zh) 链条自动折叠机构
CN210000711U (zh) 一种拆包机的吸纸装置
JPH07206158A (ja) 物品移送装置
CN209577943U (zh) 一种全自动花型叶轮成型机的摆臂机构
CN206122929U (zh) 激光焊接加工工作站
CN220702409U (zh) 一种血浆袋摆放平整辅助装置
CN112758420A (zh) 一种自动套袋装置
CN216470945U (zh) 一种笔记本电脑铝键盘片分离送料机
CN214878681U (zh) 一种集成式窑车装车智能垫块码垛系统
CN214817328U (zh) 一种自动镜片切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