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609B1 -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609B1
KR100241609B1 KR1019920011539A KR920011539A KR100241609B1 KR 100241609 B1 KR100241609 B1 KR 100241609B1 KR 1019920011539 A KR1019920011539 A KR 1019920011539A KR 920011539 A KR920011539 A KR 920011539A KR 100241609 B1 KR100241609 B1 KR 10024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rea
output
signa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924A (ko
Inventor
오향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1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609B1/ko
Priority to US08/083,338 priority patent/US5375001A/en
Priority to JP5160642A priority patent/JP2794260B2/ja
Publication of KR94000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04N1/3873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에서 국부화상의 편집 또는 색변환등에 요구되는 영역지정을 위한 영역신호를 생성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지정된 영역의 시작 및 끝을 각각 나타내는 영역어드레스들과 편집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소정비트수(n)의 기능번호를 기억시키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1라인에 해당하는 화상클럭의 수를 헤아리는 계수수단과,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영역어드레스와 계수수단의 출력중 영역어드레스와 동일한 데이타 크기는 상위 출력비트들을 비교하고 동일한 경우 동일함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HSYNC신호 및 비교수단의 출력에 의해 메모리수단을 액세스 하기 위한 메모리 참조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레서 발생수단과, 메모리기입동작 및 메모리독출동작을 나타내는 메모리참조신호(R/W)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어드에스발생수단에 의한 메모리액세스동작과 CPU에 의한 메모리액세스동작에 상응하게 상기 메모리수단과 버스들 간의 데이타 전달경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버퍼수단과,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소정비트수(n)의 기능번호를 받아들여 소정비트수(2n)의 데이타신호들을 생성시키는 기능번호해독수단과, 비교수단의 출력과 상기 기능번호해독수단의 각 출력을 받아들여 지정된 영역을 구분하는 영역구분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역구분수단과, 이 영역구분수단의 출력에 의해 토글되어 영역신호를 소정의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플립플롭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제1도는 화상처리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상신호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a)도는 종래의 영역생성부의 상세회로도.
제3(b)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메모리맵(momory map)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맵을 나타낸 도면.
제5(b)도는 영역처리기능번호의 지정을 예로서 나타낸 표.
제6(a)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영역이 지정된 경우를 예로서 나타낸 도면.
제6(b)도는 제6(a)도와 같이 영역이 지정되는 경우의 메모리맵을 나타낸 도면.
제6(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탈칼라복사기 또는 디지탈칼라프린터 등과 같은 디지탈화상처리시스템(digital color image processing system)에서 국부화상의 편집(local image editing)이나 색변환(color conversion)등의 동작수행에 요구되는 화상의 국부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영역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화상처리시스템의 전형적인 예인 디지탈칼라복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칼라복사기는 크게 6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스스템의 동작타이밍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부(100)와, 컨트롤부(100)에 의해 원고(原稿)의 칼라화상을 독취(讀取)하는 스캐너(scanner)(200)와, 스캐너(200)로 부터 제공되는 화상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는 화상신호처리부(300)와, 복사된 칼라화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빔프린더(LASER beam printer)등과 같은 화상출력부(400)와, 화상의 편집기능 및 색변환기능등을 위해 화상의 영역을 지정하는 디지타이저(digitizer)(500)및, 사람과 기계간의 대화를 위한 조작패널(control panel)(600)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상처리부(3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스캐너(200)의 내부에 있는 CCD센서(201) 각각으로 부터 동시에 제공되는 아날로그화상데이타신호들은 A/D변화부(202)에 의해 각각 디지탈데이타신호들로 변환된 후 화상신호처리부(300)로 제공된다.
색분해 및 합성부(301)에서는 스캐너(200)내의 A/D변화부(202)로 부터 제공되는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주주사 방향의 1라인분으로 합침과 동시에 각각 B(blue)데이타, G(green)데이타, R(red)데이타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쉐이딩(shading)보정부(302)는 CCD센서(Charge coupled device sensor)(201)의 불균일성 및, 원고조명을 위한 광원 즉, 형광램프(원고를 주사하기 위한 램프로서 스캐너(200)내에 설치되어 있음)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오차를 보정하고, 대수보정 및 보색변환부(303)는 화상데이타처리 선형성을 유지하도록 대수보정을 행함과 동시에 B. G. R신호를 Y(yellow), M(magenta), C(cyan)신호로 변환된다.
흑생성부(304)는 Y. M. C 3색의 신호들로 부터 흑(BK)신호를 생성한다.
색보정부(305)에서는 각 필터(filter) 및 토너의 특성에 맞추어 각 색의 농도레벨을 보정함과 동시에 화상출력부(400)에서 현상중인 색(Y. M. C, BK중 어느 하나)의 농도신호만을 출력한다.
색변환부(306)에서는 조작패널(600)을 통해서 결정되는 데이타 처리기능 예를들면, 지정색변환, 페인팅(painting), 트리밍(triming), 마스킹(masking)의 각 처리를 수행한다.
농도처리부(307)에서는 색변화부(306)로 부터 제공되는 화상데이타를 조작패널(600)로 부터 제공되는 정보(복사농도, 색상균형(color balance)에 따라 변환시켜 출력한다.
변배 및 이동처리부(308)에서는 화상데이타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타이밍을 바꿈에 따라 화상의 주주사방향의 배율변환처리와 이동처리를 수행한다.
선명도(sharpness)처리부(309)는 조작패널(600)을 통하여 지정된 선명도모드(sharpness mode)의 값에 해당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원고위치인식부(310)에서는 원고가 원고대(原稿臺)에 놓인 위치를 검출하고, 영역신호생성부(311)에서는 디지타이저(500)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신호를 생성하여 흑생성부(304), 색보정부(305), 색변환부(306) 및 농도처리부(307)로 보낸다.
본 발명은 상술한 화상신호처리부(300)내의 영역신호생성부(311)과 관련된 것이다.
제3(a)도는 종래의 영역신호생성회로(일본특개소 63-125055)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메모리맵도 및 영역신호 발생타이밍도를 나타낸 제3(b)도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역신호 AREA0 내지 AREAn을 얻는다고 하면, 영역신호 AREA0의 경우에는 램(RAM)의 어드레스 x1과 x3의 비트 0에만 ‘1’을 써넣고 나머지 어드레스들의 비트 0은 모두 ‘0’이 되도록 한다.
AREAn의 경우에는 어드레스 1, x1, x2, x4의 비트n에만 ‘1’을 써넣고 나머지 어드레스들의 비트 0은 모두 ‘0’이 되도록 한다.
HSYNC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의 클럭(clock)에 동기되어 메모리로 부터 데이타를 순차로 읽어내면 어드레스 x1과 x3에서 데이타 ‘1’이 독출된다.
이 데이타는 제3(a)도의 플립플롭(148-0~148-n)의 양단자 J, K에 입력되어 플립플롭의 출력이 토글(toggle)되도록 한다.
제3a도에서 136과 137은 영역신호를 고속으로 절체하기 위한 메모리(RAM)로서 메모리A(136)에서 현재 처리중인 라인에 대한 영역신호데이타의 독출동작이 수행되고 있을때 메모리B(137)에서는 다음 라인의 영역데이타의 써넣기동작이 수행된다.
이와같은 메모리기입동작과 메모리 독출동작은 메모리A(136)와 메모리B(137)에서 교대로 수행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단다 C3, C4, C5에 각각 제공되는 제어신호들의 상태가 0, 1, 0가 되면 비디오(또는 화상출력(VCLK)에 동기되는 카운터(141)의 출력은 선택기(139)를 통하여 어드레스(Aa)로서 메모리A(136)에 주어지고 게이트(142)가 열리고 게이트(144)가 닫히면서 메모리A(136)로 부터 n비트의 데이타가 출력되어 플립플롭(148-0~148-n)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플립플롭(148-0~148-n)에서는 AREA0~AREAn의 영역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메모리B(137)에 대한 데이타기입동작도 동시에 수행되는데, 데이타버스(D-bus)를 통하여 제공되는 데이타는 메모리액세스신호(/W)에 의해 어드레스버스(A-bus)를 통하여 제공되는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메모리B(137)의 영역에 기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메모리B(137)에 저장된 데이타에 의해 구간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제어단자 C3, C4, C5에 각각 제공되는 제어신호의 상태는 1, 0, 1이 된다. 이와같이 제어단자 C3, C4, C5에 제공되는 제어신호의 상태가 각각 1, 0, 1이 되면 메모리B(137)에서는 데이타독출동작이 수행되고 메모리A(136)에서는 데이타기입동작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제3도 참조)의 핵심적인 사항만을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영역을 지정하는 디지타이저의 출력에 따라 CPU(제1도의 컨트롤부(100)내에 구성되어 있음)가 메모리맵을 작성하여 기억하고 있다가 해당 부주사방향의 어드레스가 도달할때 메모리에 해당라인의 데이타를 기입한 후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타를 기준으로 영역신호(AREA0~AREAn)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영역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두개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HSYNC신호의 발생에 따라 메모리를 절체하게 되며, 하나의 메모리는 영역신호발생용으로서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메모리는 CPU에 의해 다음 라인의 데이타를 받아들여 저장하는 데이타저장용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이들 두 메모리는 CPU에 의해 교대로 자신들의 기능을 바꾸어 가면서 동작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CPU가 HSYNC신호가 발생할때 마다 어드레스버스(A-bus)와 데이타버스(D-bus)를 통하여 메모리를 액세스해야 되기때문에 시스템의 처리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항상 두개의 메모리에 써넣어야 할 데이타를 만들어 보관하는 별도의 메모리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여 시스템의 동작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동작수행이 안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탈화상처리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소망에 따라 원고화상을 편집하거나 색변환하는 기능등을 완벽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고의 임의영역을 지정하여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영역을 지정하여 화상의 편집 및 색변환을 실행하는 경우에 지정된 영역을 구분(delimit)할 수 있게 하는 지정영역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지탈화상처리시스템에서 화상신호처리 도중의 적당한 시점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은 출력화상을 얻기 위한 마스킹, 트리밍, 부분처리등과 같은 화상편집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지정된 영역의 시작어드레스와 끝어드레스 및 지정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편집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기능번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한 메모리수단을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발생수단과, 이 어드레스발생수단에 의한 메모리액세스동작과 CPU에 의한 메모리액세스동작에 따라서 메모리와 버스간의 데이타전달경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버퍼수단과, 1 라인에 해당하는 화상클럭(Video clock)의 수를 헤아리는 계수수단과, 이 계수수단의 출력중 상위 8비트(bit)와 메모리 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영역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어드레스 비교수단과,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소정비트수(n)의 기능번호에 상응한 소정비트수(2n)의 데이타신호를 생성시키는 기능번호 해독수단과, 지정된 영역들을 구분하는 영역구분수단 및, 이 영역구분수단의 출력에 의해 토글되어 지정영역의 영역신호를 소정의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플립플롭을 포함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신호생성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401은 지정된 영역의 시작어드레스 및 끝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를 나타낸 것이고, 402는 지정된 영역의 기능번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 403은 HSYNC 신호를 1/16분주하는 분주기, 404는 화상클럭(VCLK)에 동기되어 13비트 크기의 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 405는 상기한 제1 및 제2메모리(401, 402)에 대한 메모리참조에 필요한 13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중 하위 3비트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제2카운터, 406은 상기한 분주기(403)의 출력에 동기되고 상기한 제1메모리(401) 및 제2메모리(402)의 메모리참조에 필요한 13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중 상위 10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제3카운터, 407은 상기한 제1메모리로 부터 제공되는 8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와 상기한 제1카운터(404)의 출력중 상위 8비트의 데이타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408은 상기한 제2메모리(402)로 부터 제공되는 4비트의 지정번호데이타를 16비트의 데이타형식으로 변환하는 디코더(decoder), 409 내지 424는 상기한 디코더(409)의 16비트출력중 각각의 1비트출력과 비교기(407)의 출력을 각각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회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 431 내지 438은 메모리참조신호(R/)에 의해 데이타의 전달경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제1 내지 제8버퍼, 450 내지 464는 상기한 16개의 앤드게이트회로(409~424)의 각 출력에 각각 동기되어 영역신호 #0 내지 #15를 발생시키는 16개의 JK플립플롭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JK플립플롭(450~464)은 HSTNC신호와 VCLK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469)의 출력이나 메모리참조신호(R/)에 의해 리세트(reset)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기술하였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디지타이저(500)로 부터 화상편집 및 색변환기능등을 위한 영역지정 좌표데이타가 제공되는 경우 컨트롤부(100)내의 CPU는 x(주주사방향)좌표 및 y(부주사방향)좌표에 대한 정보데이타를 화상데이타의 어드레스로 환산하여 저장한다.
이때, CPU는 제5(b)도에 예로서 나타낸 바와같은 지정영역의 기능번호 예를들면, 0(마스킹), 1(트리밍), 2(부분처리), 3(선명도처리) . . . . 15(단색처리)의 번호데이타와 함께 기억한다. 화상에 대한 영역의 지정은 화상 1㎜ 간격당 최대 8점(하나의 영역은 시작점(또는, 시작어드레스)과 끝점(또는, 끝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되기 때문에 최대 4영역이 지정될 수 있음)까지 가능하다.
이와같이 4쌍의 시작어드레스 및 끝어드레스가 기억될 수 있도록 메모리가 할당된다(제5(a)도 참조).
따라서, 제1메모리(401)의 크기는 라인당 8개의 어드레스(8bit)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최소한 8 × 8bit × 420line 즉, 8 × 420byte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또한 영역의 어드레스와 대응되는 기능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402)의 크기는 기능번호 1개당 4bit의 크기(기능번호는 모두 16가지 이므로 4bit의 크기를 가져야 함)를 갖기 때문에 최소한 8 × 4bit × 420line 즉, 4 × 420byte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제6(a)도는 디지타이저(500)에 의해 영역과 각 영역의 기능이 지정된 경우를 예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영역 1은 마스킹(masking)처리기능이 지정되고, 영역 2는 부분처리, 영역 3은 트리밍(trimming)처리, 영역 4는 선명도(sharpness)처리, 영역 5는 단색처리기능이 지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영역 및 그 기능들이 지정된 경우 각각의 영역에 대한 메모리맵(memory map)을 구별하는 방법을 제6(b)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겠으나, 제6(b)도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제6(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주사방향의 58㎜ 지점과 196㎜ 지점에 대한 메모리맵의 구성을 예로 나타낸 것임을 유의하기 바란다.
메모리의 어드레스는 부주사방향의 ㎜단위로 8바이트(1㎜당 4영역의 지정이 가능하므로 각 영역의 시작어드레스 및 끝어드레스를 합하면 8개의 어드레스이고, 각 어드레스는 8비트 크기를 갖기 때문에, 8×8 비트 = 8바이트가 된다.)씩 할당한다. 따라서, 부주사방향의 0.1㎜, 2㎜, . . .420㎜에 대해 각각 할당된 메모리영역의 시작어드레스는 각각 0, 8(= 1×8), 16(=2×8), . . . 3360(=8×420)이 되므로, 58㎜ 지점과 관련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영역의 시작어드레스는 464(=58×8)이고, 196㎜ 지점과 관련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영역의 시작어드레스 1568(=196×8)이 된다. 한편, 제6(a)도에서 주주사방향에 대한 각 영역의 경계로서 영역 1은 (x1, x1′), 영역 2는 (x2, x2′), 영역 3은 (x3, x3′), 영역 4는 (x4, x4′), 영역 5는 (x5, x5′)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동작흐름도인 제7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타이저(500)에 의해 영역이 지정되면(S1), 컨트롤러부(100)내의 CPU는 영역에 대한 x, y의 좌표데이타를 읽어 들이고 영역기능번호를 이용한 메모리맵을 작성한다(S2). 이어, CPU는 영역의 지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영역지정이 계속될 경우(S3에서 ‘아니오’이면) 입력되는 좌표데이타와 영역기능번호에 대한 메모리맵을 작성하고, 영역지정이 종료된 경우(S3에서 ‘예’이면) x좌표데이타 및 y좌표데이타를 오름차순(작은 값에서 큰값 순서)으로 정렬(sorting)시킨다(S4).
이어, CPU는 로우레벨(low level)의 메모리기입신호(wrrte signal)를 출력하여(S5), 제4도의 제1메모리(401) 및 제2메모리(402)에 데이타를 써넣는다(S6).
이때, 메모리참조어드레스(memory reference address)는 A-bus를 통하고, 데이타는 D-bus를 통하여 CPU로 부터 메모리에 각각 제공된다.
메모리기입동작(wrinting operation)이 완료되면(S7), CPU는 제1 내지 제3카운터(404, 405, 407)를 클리어(clear)시킨다(S8). 이어, CPU는 하이레벨(high level)의 메모리독출신호(read signal)를 출력한다(S9).
CPU로 부터 메모리독출신호가 제공되면 제1 내지 제4버퍼(431, 432, 433, 434)는 닫히게 되고 제5 내지 제8버퍼(435, 436, 437, 438)는 열리게 되어 제2카운터(405) 및 제3카운터(406)의 출력이 메모리참조 어드레스로서 제1 및 제2메모리(401, 402)에 각각 제공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동작과정중 S4 내지 S8을 제6(a)도에 의거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주사방향의 58㎜ 지점에서 주주사방향의 데이타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x1, x2, x1′, x2′, x3, c3′이므로 메모리맵은 제6(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메모리(401)의 464번지의 8비트크기의 x1을 기입하고 제2메모리(402)의 동일번지에 영역1의 기능번호 즉, 4비트크기의 0(마스킹)을 기입한다.
동일한 원리로 제1메모리(401)의 465번지에 x2를 기입하고 제2메모리(402)의 465번지에 트리밍을 나타내는 기능번호 1을 기입한다. 나머지 데이타에 대해서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부주사방향의 196㎜ 지점에 대해서도 1568번지에는 x4와 3, 1569번지에는 x4′과 3, 1570번지에는 x5와 15, 1571번지에는 x5′과 15를 각각 기입함으로써 메모리기입동작이 완료한다.
제4도에서, 제1카운터(103)는 화상클럭(VCLK)이 클럭단자로 입력되는 13비트 카운터로서 상위 8비트의 출력이 비교기(407)의 입력(B)로 제공된다.
메모리독출동작시 비교기(407)의 입력단자(A)에는 제1메모리(401)의 0번지에 저장된 데이타가 제공된다.
두 입력(A, B)이 동일하면 비교기(407)는 하이레벨(또는, ‘1 ’)의 신호를 출력하는데(S10), 이와같은 하이레벨신호는 제2카운터(405)의 클럭으로서 작용하여 제2카운터(405)의 출력값(즉, 어드레스)을 1증가시키게 된다(S11).
그결과, 제1메모리(401)의 1번지의 내용이 비교기(407)의 입력단(A)으로 제공된다.
앞서 설명된 화상출력장치(제1도의 400 참조) 예를들면, 레이저빔프린터의 1라인 주사(1 line scan)가 완료되면 다음 라인의 주사를 위한 동기신호 즉, HSYNC신호가 발생되는데, 이 HSYNC신호가 발생되면(S12), 제2카운터(405)가 클리어된다(S12).
HSYNC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비교기(407)의 출력이 하이레벨일때마다 제2카운터(40)의 출력은 1씩 증가된다(S11 참조).
HSYNC신호가 16번 발생되면 분주기(403)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된다.
이때, 제3카운터(406)의 출력이 1 증가하게 된다(S14, S15). 제3카운터(406)의 출력이 1 증가한다는 것은 부주사방향으로 1㎜ 만큼 증가한 영역의 메모리어드레스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는 해상도가 400dpi(dot per inch)인 경우 부주사방향의 1㎜ 구간내 16라인이 존재함을 의미하고 16라인 사이는 모두 동일한 영역으로 취급됨을 의미한다.
이런 동작이 반복되어 420㎜를 진행할 경우 A3 사이즈 전체 원고에 대한 영역지점이 끝났음을 판단하고 동작을 완료한다(S1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2카운터(405)와 제3카운터(406)의 출력이 베모리참조어드레스로서 사용되어 제1메모리(401)에 저장된 지정영역의 시작 및 끝어드레스데이타와 제2메모리(402)에 저장된 영역기능번호데이타가 출력된다.
영역기능번호는 4비트의 크기로서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은 모두 16(=24)가지이며 디코더(408)에 제공되어 D0~D15의 출력을 얻게 된다.
디코더(408)의 출력 D0~D15는 각각 앤드게이트 409~424에 제공되고 이 신호들은 비교기(407)의 출력(Cout)과 논리곱하여 영역신호 #0~영역신호 #15를 각각 생성시키는 JK플립플롭을 450~464에 각각 클럭으로서 제공된다.
앤드게이트 409~424에 의해 각각 동기되는 JK플립플롭 450~464의 J, K 단자에는 항상 하이레벨의 신호가 제공된다(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앤드게이트 409~424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는 경우 JK플립플롭 450~464의 출력은 클럭에 동기되어 토글(toggle)된다. JK플립플롭은 CPU에서 메모리에 데이타를 써넣기가 끝날무렵 리세트상태가 되며, HSYNC신호와 VCLK의 논리곱된 신호에 의해서도 리세트상태로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역지정에 있어서 겹쳐서 영역을 지정하거나 임의의 형태로 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영역의 지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화상편집이나 색변환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화상출력중 CPU가 영역지정메모리를 액세스할 필요가 없어 CPU의 부담을 덜어 줄 뿐만 아니라 반전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정된 동작을 한다.
또한, 적은 용량의 메모리로 많은 영역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출력 바로전에 메모리에 데이타를 써넣어 메모리 액세스동작이 완료되므로 영역생성메모리에 써넣을 데이타를 별도로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메모리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5)

  1.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에서 국부화상의 편집 또는 색변환등에 요구되는 영역지정을 위한 영역신호를 생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영역의 시작 및 끝을 각각 나타내는 영역어드레스들과 편집기능의 종류를 나타내는 소정비트수(n)의 기능번호를 기억시키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1라인에 해당하는 화상클럭의 수를 헤아리는 계수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역어드레스와 상기 계수수단의 출력중 상기 영역어드레스와 동일한 데이타 크기의 상위 출력비트들을 비교하고 동일할 경우 동일함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HSYNC신호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 수단을 액세스 하기 위한 메모리참조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메모리기입동작 및 메모리독출동작을 나타내는 메모리참조신호(R/W)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에 의한 메모리액세스동작과 CPU에 대한 메모리액세스동작에 상응하게 상기 메모리수단과 버스들 간의 데이타 전달경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버퍼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상기 소정비트수(n)의 기능번호를 받아들여 소정비트수(2n)의 데이타신호들을 생성시키는 기능번호해독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과 상기 기능번호해독수단의 각 출력을 받아들여 지정된 영역을 구분하는 영역구분신호를 발생시키는 영역구분수단과, 상기 영역구분수단의 출력에 대한 토글되어 상기 영역신호를 소정의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플립플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클럭과 상기 메모리참조신호 및 상기 HSYNC신호에 의해 상기 플립플롭수단을 리세트시키는 리세트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수수단은 두개의 카운터를 이용하여 부주사방향 어드레스데이타와 주주사방향 어드레스데이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장치.
  4. 영역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영역기능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와, HSYNC신호를 1/16분주하는 분주기와, 화상클럭에 동기되어 13비트 크기의 데이타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와, 메모리참조에 필요한 13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중 하위 3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제2카운터와, 상기 분주기의 출력에 동기되고 메모리참조에 필요한 상기 13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중 상위 10비트의 어드레스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제3카운터 및, 상기 제1카운터의 출력과 상기 제1메모리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영역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타이저에 의해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S1)와, 영역에 대한 좌표데이타와 영역기능번호를 이용하여 메모리맵을 작성하는 단계(S2)와, 영역지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영역지정완료가 아니면 상기 메모리맵을 계속 작성하고 영역지정완료이면 상기 좌표데이타를 오름차순으로 정렬시키는 단계(S4)와, 메모리기입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5)와, 메모리에 데이타를 써 넣는 단계(S6)와, 메모리기입동작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메모리 기입완료이면 상기 제1 및 제3카운터를 클리어 시키는 단계(S7, S8)와, 메모리독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9)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레벨인 경우 상기 제2카운터의 출력을 1 증가 시키는 단계(S11)와, 상기 HSYNC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HSYNC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2카운터를 클리러 시키고 상기 HSYNC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레벨인지를 판별하는 단계(S12, S13)와, 상기 분주기의 출력이 하이레벨인지를 판별하고 하이레벨인 경우 상기 제3카운터의 출력을 1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레벨인지를 검사하는 단계(S14, S15)와, 부주사방향의 끝인지를 판별하여 끝이면 동작을 완료하고 끝이 아니면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하이레벨인지 판별하는 단계(S16)를 포함하는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버.
  5. 제4항에 있어서, 메모리맵 작성단계는 영역시작어드레스의 영역끝어드레스에 각각 동작기능번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처리 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KR1019920011539A 1992-06-30 1992-06-30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24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539A KR100241609B1 (ko) 1992-06-30 1992-06-30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US08/083,338 US5375001A (en) 1992-06-30 1993-06-29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rea signals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JP5160642A JP2794260B2 (ja) 1992-06-30 1993-06-30 デジタル画像処理システムの領域信号生成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539A KR100241609B1 (ko) 1992-06-30 1992-06-30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924A KR940000924A (ko) 1994-01-10
KR100241609B1 true KR100241609B1 (ko) 2000-02-01

Family

ID=1933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539A KR100241609B1 (ko) 1992-06-30 1992-06-30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75001A (ko)
JP (1) JP2794260B2 (ko)
KR (1) KR100241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168B1 (ko) * 1993-12-18 1998-04-04 김광호 화상형성 시스템의 용지절약 장치 및 방법
JPH0897947A (ja) * 1994-09-28 1996-04-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DE19534334A1 (de) * 1995-09-15 1997-03-20 Hell Ag Linotyp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ptoelektronischen Abtastung
JPH1188584A (ja) * 1997-07-09 1999-03-3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KR100559913B1 (ko) * 2004-01-09 2006-03-13 이기원 전원선을 통한 제어기간의 통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429B2 (ja) * 1988-11-14 1997-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
US5124799A (en) * 1989-08-11 1992-06-2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Digital color copying machine for forming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same image
US5115320A (en) * 1989-09-20 1992-05-19 Olympus Optical Co., Ltd. Apparatus for editing and printing a video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924A (ko) 1994-01-10
JP2794260B2 (ja) 1998-09-03
US5375001A (en) 1994-12-20
JPH07123240A (ja) 199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3696A (en) Image memory apparatus
EP0369702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267289B2 (ja) カラー画像処理方法
US5631983A (en) Image forming system for synthesizing color image data with binary image data which has been colored with a predetermined color during the synthesizing operation
US54445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losed-loop area of an image
KR100241609B1 (ko) 디지탈 화상 처리시스템의 영역신호 생성방법 및 장치
US5602655A (en) Image forming system for single bit image data
JPS6019706B2 (ja) シリアル画信号入力をパラレル出力するバツフア装置
US525712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048155B2 (ja) 画像処理装置
JPH07203180A (ja) 画像処理装置
JPH02295351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3004995B2 (ja) 画像処理装置
JP3109806B2 (ja) 画像処理装置
JP3082918B2 (ja) 画像処理装置
JP3155748B2 (ja) 画像処理装置
EP03136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3382247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2643273B2 (ja) 画像処理装置
JPH05268479A (ja) 画像読取り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読取り装置
JP3278146B2 (ja) カラー画像処理装置及びカラー画像処理方法
JP320999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3015039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3039657B2 (ja) 画像処理装置
JPH05199404A (ja) 画像読取り装置における拡大変倍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