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930B1 -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 Google Patents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930B1
KR100240930B1 KR1019970025614A KR19970025614A KR100240930B1 KR 100240930 B1 KR100240930 B1 KR 100240930B1 KR 1019970025614 A KR1019970025614 A KR 1019970025614A KR 19970025614 A KR19970025614 A KR 19970025614A KR 100240930 B1 KR100240930 B1 KR 10024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drainage
type
netron
drain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095A (ko
Inventor
최광철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이진하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김희근
벽산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하,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김희근, 벽산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진하
Priority to KR101997002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02D2200/1635Shapes rectangular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고 배수구를 형성한 축대의 배수시설 및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뒷면에 네트론으로 제작한 배수시설을 설치한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론의 내부로 자갈 또는 쇄석을 채워 빗물 등의 통과가 쉽게 이루어져 배수가 원활해지도록 하여 토사층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로 형성된 네트론(9)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망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론(9)의 내부에 자갈 또는 쇄석(11)을 채워서 콘크리트 옹벽(1)의 배수시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고 배수구를 형성한 축대의 배수시설 및 배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뒷면에 네트론으로 제작한 배수시설을 설치한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콘크리트 옹벽을 설치하여 축대로 사용하였고 상기 축대의 뒷면은 토사를 적층하였으며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배수를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배수구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콘크리트 옹벽(1)으로는 일정간격으로 배수구(3)를 설치하였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1)의 뒷측에는 토사(5)를 채워서 설치한다. 상기 콘크리트 옹벽(1)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상측과 하측에는 배수시설(7)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시설(7)에 빗물이 채워져 배수구로 사용된다.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옹벽에 배수구만을 설치하고 축대로 사용하는 경우, 폭우로 인하여 상기 콘크리트 옹벽에 설치한 배수구로 빗물 등이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배수구가 작은 쇄석이나 토사에 의하여 막히는 경우가 발생되어 토사의 압력에 의하여 축대가 붕괴하는 위험이 있었고 그로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론의 내부로 자갈 또는 쇄석을 채워 빗물 등의 통과가 쉽게 이루어져 배수가 원활해지도록 하여 토사층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로 형성된 네트론(9)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망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론(9)의 내부에 자갈 또는 쇄석(11)을 채워서 콘크리트 옹벽(1)의 배수시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론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A-Type(타입)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B-Type(타입)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A-Type의 배수시설과 B-Type의 배수시설을 이용하여 배수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론을 이용한 배수시설을 축대의 뒷면에 열십자(+)자형으로 형성시킨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옹벽 3 : 배수구
5 : 토사 7 : 배수시설
9 : 네트론(LETRON) 11 : 자갈 또는 쇄석
13: A-Type 15 : B-Type
16: 배수시설 17 : 불투수층
19 : 배수층 21 : 제 1 공정
23 : 제 2 공정 25 : 제 3 공정
27 : 제 4 공정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론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일반적으로 네트론(9)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로 제작되어 토사나 빗물에 부식되지 않아 반영구적이라 말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론(9)은 물건의 완성시 도 2에서와 같이 공장에서 출하시의 형태가 원형으로 말려져 형성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A-Type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B-Type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목재를 사용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틀을 형성한 뒤 상기 직사각형의 내부로 네트론(9)을 삽입하여 네트론(9)의 형태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네트론(9)의 내부에는 자갈 또는 쇄석(11)을 채워서 배수시설(16)의 형태를 A-Type(13)과 B-Type(15)을 형성하는데, A-Type(13)이란 높이(a)를 1500mm, 가로(b)를 400mm, 세로(c)를 300 mm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A-Type(13)은 높이(a)의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 것을 말한다.
상기 B-Type(15)이란 높이(a)를 300mm, 가로(b)를 400mm, 세로(c) 를 1500mm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B-Type(15)은 세로(c)의 방향으로 길게 뉘워서 설치한 것이다.
상기 A-Type(13)과 B-Type(15)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A-Type(13)과 B-Type(15)은 네트론(9)의 재질인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로 그물망과 같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네트론(9)의 내부로 자갈 또는 쇄석(11)이 채워져 있어 빗물 등은 잘통과하나 큰 입자구조를 갖는 돌 등은 통과를 할 수 없어, 필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구조의 배수시설(16)을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A-Type의 배수시설과 B-Type의 배수시설을 이용하여 배수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상기 콘크리트 옹벽(1)의 뒷면 최하부(기초)에는 불투수층(17)을 설치하는 제 1 공정(21)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공정(21)이 끝난뒤에 불투수층(17)의 상면일측의 콘크리트 옹벽(1)에 인접한 곳으로 B-타입(15)을 뉘어서 설치하고 타측으로는 배수층(19)을 설치하는 제 2 공정(23)을 구성한다. 상기 제 2 공정(23)의 배수층(19)은 자갈 또는 쇄석(11)으로 빗물 등이 잘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공정(23)이 마무리된 후 B-타입(15)의 상면으로 A-타입(13)을 세워서 설치하고 배수층(19)의 상부에 토사(5)를 적층하며, 상기 뉘어서 설치한 B-타입(15)의 상면에 A-타입(13)을 설치하고 상기 B 타입 및 A 타입(15)(13)을 번갈아가며 적층할 시 토사(5)도 함께 반복적으로 적층하는 제 3 공정(25)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제 3 공정(25)은 B-타입(15)의 상면에 A-타입(13)의 배수시설(16)을 설치한 뒤에 그 측면으로 토사(5)를 적층하고 다시 A-타입(13)의 상면으로 B-타입(15)을 설치한 뒤에 토사(5)를 적층하는 반복적인 공정이 바로 제 3 공정(25)인 것이다.
상기 제 3 공정(25)의 작업후에 A-타입(13)을 세워서 설치하고 최상부로 형성되는 토사의 직하방으로는 불투수층(17)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옹벽(1)의 뒷면에 B-타입(15)과 A-타입(13)을 길이 폭방향으로 적층하여 열십자(+)형의 형상으로 마무리하는 제 4 공정(27)으로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론을 이용한 배수시설을 축대의 뒷면에 열십자(+)형으로 형성시킨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축대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옹벽(1)으로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1)의 뒷면에는 열십자(+)형상을 나타낼수 있도록, 먼저 B-타입(15)을 설치한 뒤에 상기 B-타입(15)의 상면으로 A-타입(13)을 적층하는 방법(B-타입(15) → A-타입(13) → B-타입(15) → A-타입(13) → ....B-타입(15) → A-타입(13))으로 번갈아가며 적층한다. 상기 B-타입(15)과 A-타입(13)을 번갈아가며 적층한 곳으로 일정한 간격(가로 * 세로 3m)마다 배수구(3)를 설치하여 토사의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등을 배수시키게 한다.
전술한 구성에 대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공정(21)으로 형성된 불투수층(17)의 상면으로 배수층(19)이 형성되어 있어 토사(5)부분을 통해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쉽게 B-타입(15)의 배수시설(16)과 접하는 콘크리트 옹벽(1)의 배수구(3)를 통과시켜 토사의 내부로 흡수되어 있는 빗물을 방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옹벽(1)의 바로 뒷면에 A-타입(13)과 B-타입(15)의 배수시설(16)을 번갈아가며 차례로 적층하고, 상기 네트론(9)의 재질로 형성한 A-타입(13)과 B-타입(15)의 배수시설(16)의 내부에 자갈 또는 쇄석(11)이 가득차 있어 필터의 역할을 담당하여 배수구(3)의 막힘이 없이 빗물의 배수에 원활한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A-타입(13)과 B-타입(15)의 배수시설(16)은 임의대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물의 외부로 설치되는 축대의 높이나 넓이에 알맞게끔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알아 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네트론(9)을 이용한 배수시설(16)을 사용하여 옹벽 뒷측 배수시설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네트론(9)을 이용한 배수시설(16)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로 제작되어 토사나 빗물에 부식되지 않아 반영구적이고, 네트론이 망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A-타입(13)과 B-타입(15)의 내부에 자갈 또는 쇄석을 채워서 필터 역할을 할 수 있어 토사층에 침투된 빗물의 흡수가 잘되어 축대 등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콘크리트 옹벽의 붕괴를 미연해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로 형성된 네트론(9)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망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론(9)의 내부에 자갈 또는 쇄석(11)을 채워서 콘크리트 옹벽(1)의 배수시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론(9)을 이용한 배수시설은 가로 및 세로방향의 3m마다 콘크리트 옹벽(1)에 배수구(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
  3. 콘크리트 옹벽(1)의 뒷면 최하부에 불투수층(17)을 설치하는 제 1 공정(21); 상기 불투수층(17)의 상면일측으로 콘크리트 옹벽(1)에 인접하여 B-타입의 배수시설(15)을 뉘어서 설치하고 타측에 배수층(19)을 설치하는 제 2 공정(23); 상기 B-타입(15)의 상면으로 A-타입(13) 및 토사(5)를 반복적으로 적층하는 제 3 공정(25); 상기 제 3 공정(25)의 작업후에 A-타입의 배수시설(13)을 세워서 설치하고 최상부로 불투수층(17)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옹벽(1)의 뒷면에 B-타입(15)과 A-타입(13)의 배수시설(16)을 적층하여 열십자(+)형의 형상으로 마무리하는 제 4 공정(2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론(9)을 이용한 배수시설은 가로 및 세로방향의 3m마다 콘크리트 옹벽(1)에 배수구(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방법.
KR1019970025614A 1997-06-19 1997-06-19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KR10024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614A KR100240930B1 (ko) 1997-06-19 1997-06-19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614A KR100240930B1 (ko) 1997-06-19 1997-06-19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095A KR19990002095A (ko) 1999-01-15
KR100240930B1 true KR100240930B1 (ko) 2000-01-15

Family

ID=1951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614A KR100240930B1 (ko) 1997-06-19 1997-06-19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94B1 (ko) 2010-06-09 2012-08-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절곡형 철근 결속장치를 이용한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의 결속구조 및 결속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94B1 (ko) 2010-06-09 2012-08-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절곡형 철근 결속장치를 이용한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의 결속구조 및 결속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095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856A (en) Subsurface fluid drainage and storage systems
US20100221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KR101851007B1 (ko) 경량기포 혼합토와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JP4459865B2 (ja) 雨水貯留槽
JP4509848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及びこれらの施設に使用する点検用充填体
KR100240930B1 (ko) 네트론을 이용한 옹벽 뒷면 배수시설과 배수방법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3538345B2 (ja) 雨水貯留浸透槽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773329B1 (ko) 운동장용 타격식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06152741A (ja)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CN206279520U (zh) 一种预制板桩与挡土用建筑结构
JP5167498B1 (ja) 地盤改良構造
KR101244810B1 (ko) 식생기반재를 사용한 친환경 옹벽
JP4445892B2 (ja) 軽量盛土貯水構造体
JPH07180132A (ja) 基礎地盤の液状化防止工法
KR102055217B1 (ko) 지하수 배수재의 시공방법 및 이 배수재 위에 설치되는 기초 슬래브를 이용하여 배수재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방법
JP5067759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
JP5067762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
KR1023414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한 절개면 슬라이딩 방지공법
JP6263400B2 (ja) 廃棄物処分施設
JP2001226992A (ja) 土留ブロック
KR200299545Y1 (ko)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