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698B1 - 중통형낚싯대 - Google Patents

중통형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698B1
KR100230698B1 KR1019950016846A KR19950016846A KR100230698B1 KR 100230698 B1 KR100230698 B1 KR 100230698B1 KR 1019950016846 A KR1019950016846 A KR 1019950016846A KR 19950016846 A KR19950016846 A KR 19950016846A KR 100230698 B1 KR100230698 B1 KR 100230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line
fishing
support portion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23A (ko
Inventor
오카다무네키
도쿠다이사무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시조, 가부시기가이샤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시조
Publication of KR97000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A01K87/005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comprising internal line gu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시줄에 대한 접촉저항을 충분히 작게 함과 동시에, 초릿대 수납시의 소리를 없애고, 또한 초릿대 끝단면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 중통형 낚시대는, 여러개의 이음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초릿대(14)와 중간대(13) 및 밑대(12)를 가지고 있다. 초릿대(14)는 내벽면에 낚시줄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지지부(40)를 적어도 끝단측의 일부에 가지는 낚시줄 통로(15a)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중간대(13) 및 밑대(12)는 강화섬유(44)가 둘레방향으로 배향된 섬유강화수지로 형성되고, 내벽면이 평활한 낚시줄 통로(15b)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중통형 낚시대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중통형 낚싯대의 정면도.
제 2 도는 초릿대의 단면 확대도.
제 3 도는 초릿대의 단면 확대부분도.
제 4 도는 중통형 낚시대의 단면 확대부분도.
제 5 도는 지지부의 단면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통형 낚싯대 12 : 밑대
13 : 중간대 14 : 초릿대
15a,15b : 낚시줄 통로 16 : 낚싯줄 도입구
18 : 낚시줄 안내부 30 : 낚싯줄
40 : 지지부 44 : 강화섬유
45,46 : 원호형상부
본 발명은, 낚싯대의 내부로 낚시줄을 통과시키는 중통형 낚싯대에 관한것이다.
중통형 낚시대는, 낚시줄을 풀거나 감을 때에, 낚싯대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낚싯줄 통로로 낚싯줄이 통과한다. 이 때 낚싯줄이 낚싯줄 통로의 내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일 때 저항을 받음으로써, 이 미끄러져 움직일 때의 저항이 큰 경우에는 낚싯줄 풀기와 감기를 원활하게 할 수 없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미끄러져 움직일 때의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하여, 일본국 실개평 5-88259호 공보에 나타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섬유강화수지로서 낚싯대 몸체를 제조할 때에 이용하는 맨드릴(mandrel)에, 수지테이프를 나선형상으로 감아 두고, 그 위에 프리프레그를 감아서 소성(燒成)하며, 제조된 낚싯대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수지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낚싯대 몸체의 내면에 나선 띠 형상의 요철을 형성한다. 이 나선 띠형상의 요철중에서 볼록부를 낚싯줄의 지지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상술한 낚싯대 몸체의 내면에 요철을 형성한 중통형 낚싯대는, 낚싯줄이 미끄러져 움직일 때 저항이 줄어 풀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낚싯대 몸체의 전체가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빼내기식 낚싯대나 이음식 낚싯대에서는, 각 이음부의 단차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낚싯대 선단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낚싯대의 구부러짐이 연속적으로 되지 않게 된다.
또한, 특히 빼내기식 낚시대에서는, 손잡이쪽의 낚싯대 몸체로 초릿대를 수납할 때에, 초릿대의 손잡이쪽의 끝단면이 낚싯대 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에 닿아 버려서, 수납시에 달그락거리는 소리가 난다. 더우기 초릿대의 끝단면이 반복해서 볼록부에 충돌함으로써, 끝단면으로부터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에 대한 접촉저항을 확실하게 작게 함과 동시에, 초릿대 수납시의 소리를 없애고, 또한 초릿대 끝단면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제 1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여러개의 이음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초릿대와 손잡이쪽의 낚시대 몸체를 가지고 있다. 초릿대는 내벽면에 낚싯줄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지지부를 적어도 초릿대쪽의 일부에 가지는 낚싯줄 통로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손잡이쪽의 낚싯대 몸체는 강화섬유가 둘레방향으로 배향(配向)된 섬유강화수지로 형성되고, 내벽면이 평활한 낚싯줄 통로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제 2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제 1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의 지지부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제 4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제 5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폭이 0.6~1.2㎜이다.
제 6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중통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높이가 0.2~0.6㎜이다.
제 1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초릿대의 내벽면에만 낚싯줄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쪽의 낚싯대 몸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손잡이쪽 낚싯대 몸체의 내벽면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중통형 낚싯대와 마찬가지로 낚싯대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다. 특히 각 이음부 단차의 두께를 두껍게할 필요가 없으며, 낚싯대의 굴곡의 불연속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쪽 낚싯대 몸체의 내벽면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과 더불어, 강화섬유가 둘레방향으로 배향되고 내벽면이 단단해서 좀처럼 손상되지 않게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초릿대를 손잡이쪽의 낚싯대 몸체에 수납할 때에, 초릿대의 손잡이쪽 끝단면이 원활하게 손잡이쪽의 낚싯대 몸체내로 들어가서, 수납시의 소리가 끝단면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상기 초릿대의 지지부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낚싯줄이 미끄러져 움직일 때 저항이 작아진다.
제 4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는, 지지부에 낚싯줄로부터의 접촉저항력이 가해지면, 지지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커다란 응력이 발생하지만, 이 커다란 응력이 발생하는 하부면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력집중이 완화되고, 지지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며 내구성이 향상한다.
제 5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지지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폭이 0.6~1.2㎜이므로, 지지부와 낚싯대 몸체와의 연결부분의 면적이 적절하게 확보되고, 지지부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하부변의 폭이 너무좁으면 지지부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한다. 반대로 하부변의 폭이 너무 넓으면 그에 따라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상부변의 폭도 증대하므로, 낚싯줄과의 접촉저항이 증가하고 낚싯줄을 풀거나 감아올리기가 어렵게 된다.
제 6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지지부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높이가 0.2~0.6㎜이므로, 낚싯대 몸체의 낚싯줄 통로의 내면에서 적절한 거리를 두고 낚싯줄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가 지나치게 높으면 낚싯줄 통로의 내부공간이 좁아져서 낚싯줄이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빼내기식 낚싯대인 경우에는, 각 단의 낚싯대 몸체에 그보다 앞쪽의 낚싯대 몸체를 수용하므로, 낚싯대의 내부공간이 좁으면 각 단의 낚싯대 몸체의 수용에 지장이 생긴다. 지지부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젖은 낚싯줄이 통과하면, 지지부 사이의 낚싯줄 통로의 내면과 낚싯줄의 사이에 수분이 누적되어 낚싯줄의 이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발생하게 되어, 낚싯줄을 풀거나 감아올리기 어렵게 된다. 낚싯줄이 젖어 있지 않아도, 이동하는 낚싯줄이 통로의 내면에 접촉하여 낚싯줄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나타낸 중통형 낚싯대(10)는, 빼내기식 낚싯대로서, 그립부(G)를 가지는 밑대(12)와, 밑대(12)의 앞끝단쪽에 연결된 중간대(13)와, 중간대(13)의 앞끝단쪽에 연결된 초릿대(14)를 가지고 있다.
밑대(12)의 그립부(G) 근방에는, 낚싯줄(30)을 감는 릴(20)이 장착되어 있다. 밑대(12), 중간대(13) 및 초릿대(14)는 각각 완만한 원추형상이며, 밑대(12)의 앞끝단 부분에는 낚싯줄(30)의 도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초릿대(14)의 앞끝단에는 관형상의 낚싯줄 안내부(18)가 장착되어 있다. 릴(20)로부터 인출된 낚싯줄(30)은, 도입구(16)에서 낚싯대 몸체의 내부로 들어가서, 낚싯줄 안내부(18)로부터 외부로 꺼내어진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초릿대(14)의 내부에는 낚싯줄 통로(15a)를 가지고 있다. 낚싯줄 통로(15a)의 내면에는 나선형상의 지지부(40)가 초릿대(1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초릿대(14)는 제 3 도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0)가 형성된 제 1 층(14a)과, 제 1 층(14a)의 바깥둘레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2 층(14b), 제 3 층(14c) 및 제 4 층(14d)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40) 및 각 층(14a~14d)은, 내부에 다수의 강화섬유(44)가 매립된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40), 제 1 층(14a) 및 제 4 층(14d)에 있어서의 강화섬유는 둘레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2 층(14b) 및 제 3 층(14c)에 있어서의 강화섬유는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40)에 있어서의 강화섬유(44)는 연사로 이루어지며, 티라노 섬유(SIC 섬유)라고 불리우는 섬유가 사용된다. 이 티라노 섬유는 Si, C, O원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Ti, B, N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섬유를 섬유지름 8.5㎛로서 0.8K×4가닥 꼬임(160 회전꼬임)으로 하여 사용한다. 또한 다른 층(14a~14d)에 있어서의 강화섬유로서는 탄소섬유 등이 이용된다.
제 5 도에 더욱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40)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폭이 넓은 하부변이 낚싯줄 통로(15a)의 내면쪽에 접속되고, 폭이 넓은 상부변이 낚싯줄 통로(15a)의 중심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40)의 상부변의 각이진 부분에는 원호형상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0)의 하부변의 각이진 부분에도 원호형상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0)는 하부변의 폭(W2)이 0.6~1.2mm로 설정되어 있다.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므로, 상부변의 폭(W1)은 하부변의 폭(W2)보다도 약간 작아지게 되어 있다. 높이(H)는 0.2~0.6mm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40)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리드각 θ(제1도 참조)는 5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상부변의 각이진 부분의 원호형상부(45)는 반경 R1=0.05~2mm의 원호이며, 하부변의 각이진 부분의 원호형상부(46)는 반경 R2=0.05~2mm의 원호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지지부(40)를 초릿대(14)에 형성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일본국 실개평 5-88259호 공보에 개시된 제조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제조공정에서 초릿대(14)를 제조하기 위하여 맨드릴에 감아두는 수지테이프의 폭, 두께, 감는 리드각 등의 조건이나, 혹은 프리프레그의 특성, 프리프레그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와 강화섬유의 특성 등을 조정함으로써, 지지부(40)의 형성구조가 형성된다.
중간대(13)는 제 4 도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5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밑대(12)도 기본적인 구조는 제 4 도에 나타낸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이 중간대(13)는 초릿대(14)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낚싯줄 통로(15b)를 가지고 있다. 가장 내측인 제 1 층(13a)의 벽면, 즉 낚싯줄 통로(15b)의 벽면은 평활면이고, 볼록형상의 지지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제 1 층(13a)의 바깥 둘레에는, 제 2 층(13b), 제 3 층(13c), 제 4 층(13d) 및 제 5 층(13e)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각 층(13a~13e)은 내부에 다수의 강화섬유가 매립된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층(13a) 및 제 5 층(13e)에 있어서의 강화섬유는 둘레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2 층(13b), 제 3 층(13c)및 제 4 층(13d)에 있어서의 강화섬유(44)는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다음에, 초릿대(14)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맨드릴의 바깥둘레에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이형제(離型劑)를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이형용 테이프를 조밀하게 감는다. 다음에 이형용 테이프의 바깥둘레에, 형성하고자 하는 지지부(40) 및 제 1~4 층을 형성하기 위한 프리프레그를 감는다. 또한 지지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티라노 섬유를 수지에 함침(含浸)시킨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를 소정의 피치로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한다. 또한 4층의 프리프레그층(14a~14d)은 탄소섬유를 수지에 함침시켜 이루어진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조밀하게 감아서 형성한다.
지지부(40) 및 가장 내층의 프리프레그층(14a)은, 프리프레그 테이프로서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된 것을 이용하여 감은 것이므로, 지지부(40) 및 프리프레그층(14a)의 강화섬유의 배향은, 맨드릴의 둘레방향을 따르게 된다. 또한 제 2 및 제 3 프리프레그층(14b, 14c)에 대하여는, 강화섬유가 테이프 폭 방향으로 배향된 프리프레그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또한 강화섬유가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프리프레그 시이트를 길이방향이 맨드릴의 축방향으로 따르도록 감는다든지 하여 제작한다. 그 결과 제 2 및 제 3 프리프레그층(14b, 14c)은, 강화섬유가 축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된다.
제 4 프리프레그층(14d)은, 제 1 프리프레그층(14a)과 마찬가지로 제작한다. 강화섬유는 둘레방향으로 배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부(40)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 및 4층의 프리프레그층(14a~14d)이 배치된 후, 그 바깥둘레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을 감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소성을 행한다. 소성 후에 바깥둘레의 보호용 테이프를 박리하고, 안둘레의 이형용 테이프를 벗겨내면,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릿대(14)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초릿대(14)의 안둘레에 단면이 원형상인 낚싯줄 통로(15a)가 형성되고, 낚싯줄 통로(15a)의 안둘레면에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나선형상의 지지부(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중간통 낚싯대에서는, 물 등이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질일 때 저항이 커지기 쉬운 안지름이 작은 초릿대(14)의 내부에 지지부(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여도, 미끄러져 움직일 때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대(13) 및 밑대(12)의 내벽면은 평활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초릿대(14)를 중간대(13)에 수납할 때 및 각각의 낚싯대쪽의 끝단부가 충돌하는 부분이 없어지고, 수납시에 소리의 발생이나 끝단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간대(13) 및 밑대(12)의 내벽면을 구성하는 층은 둘레방향으로 강화섬유가 배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벽면이 비교적 단단해지고, 내벽면 자체의 손상도 적어진다. 따라서 내벽면으로의 낚싯대 끝단부의 걸리는 곳이 보다 적어지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은, 도시된 빼내기식 낚싯대 이외에, 이음식 낚싯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b) 초릿대(14)의 낚싯줄 통로(15a)에 형성하는 지지부(40)는, 초릿대(14)의 전체가 아니라 앞끝단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0)가 티라노수지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이 지지부(40)를 프리프레그층(14a)과 같은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제 1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초릿대의 내멱면에만 낚싯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손잡이쪽 낚싯대의 내벽면은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낚싯대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초릿대를 손잡이쪽의 낚싯대로 수납할 때에 초릿대의 앞쪽 끝단면의 원활하게 손잡이쪽의 낚싯대 내부로 들어가서, 끝단면의 손상 등을 피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초릿대의 지지부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지지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낚싯줄이 미끄러져 움직일 때 저항이 작아진다.
제 4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지지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하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력집중이 완화되고, 지지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며 내구성이 향상한다.
제 5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지지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폭이 0.6~1.2mm이므로, 지지부의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한다.
제 6 발명에 관한 중통형 낚싯대에서는, 지지부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높이가 0.2~0.6mm이므로, 낚싯대의 낚싯줄 통로의 내면으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두고 낚싯줄을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여러개의 이음부를 가지는 중통형 낚싯대로서,
    내벽면의 낚싯줄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형상의 지지부를 적어도 끝단 쪽의 일부에 가지는 낚싯줄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초릿대와,
    강화섬유가 둘레방향으로 배향된 섬유강화수지로 형성되고, 내벽면이 평활한 낚싯줄 통로를 내부에 가지는 손잡이쪽의 낚싯대 몸체를 구비한 중통형 낚싯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의 지지부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통형 낚싯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를 가지고 있는 중통형 낚싯대.
  4. (정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각이진 부분에 원호형상부를 가지고 있는 중통형 낚싯대.
  5. (정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하부변의 폭이 0.6~1.2mm인 중통형 낚싯대.
  6. (정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높이가 0.2~0.6mm인 중통형 낚싯대.
KR1019950016846A 1995-01-31 1995-06-22 중통형낚싯대 KR100230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4261 1995-01-31
JP01426195A JP3154291B2 (ja) 1995-01-31 1995-01-31 中通し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23A KR970000023A (ko) 1997-01-21
KR100230698B1 true KR100230698B1 (ko) 1999-11-15

Family

ID=1185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846A KR100230698B1 (ko) 1995-01-31 1995-06-22 중통형낚싯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06231A (ko)
JP (1) JP3154291B2 (ko)
KR (1) KR100230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57B1 (ko) * 2001-09-13 2009-06-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초릿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7239A (en) * 1954-07-01 1957-01-15 Maurice E Cushman Fishing rods
FR1192924A (fr) * 1957-01-28 1959-10-29 Cannes à pêche à longueur réglable, à emmanchement cylindrique et à rattrapagede jeu automatique
US3862509A (en) * 1973-05-30 1975-01-28 Jr John W Petersen Eyeless fishing pole
US5188152A (en) * 1987-02-05 1993-02-23 Ryobi Ltd. Tubular structures for fishing rods or the like
JPH078194B2 (ja) * 1988-06-02 1995-02-0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竿用釣糸案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62284B2 (ja) * 1991-05-16 2000-07-10 株式会社シマノ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3054623B2 (ja) * 1991-06-05 2000-06-19 株式会社シマノ 竿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9169B2 (ja) * 1991-09-30 2000-11-1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光源装置
JPH05219864A (ja) * 1992-02-13 1993-08-31 Ryobi Ltd 釣竿および釣竿の製造方法
JPH05276853A (ja) * 1992-04-02 1993-10-26 Ryobi Ltd 中通し釣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22412Y2 (ja) * 1992-07-14 1997-01-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57B1 (ko) * 2001-09-13 2009-06-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초릿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4291B2 (ja) 2001-04-09
KR970000023A (ko) 1997-01-21
US5806231A (en) 1998-09-15
JPH08205714A (ja) 1996-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359B1 (ko) 낚싯대재및그제조방법
US4769967A (en) Pole of p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for supporting electric power transmission lines
US6904939B2 (en) Flexible tubular pipe for hydrocarbon transport with carcass consisting of an elongated element stapled with a band iron
US3379220A (en) High bending strength tubular members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JP2807970B2 (ja)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EP1502503B1 (en) Fishing rod
EP0058783B1 (en) Tubing of hybrid, fibre-reinforced synthetic resin
AU764330B2 (en) Heat-insulated duct for transporting fluids
KR100230698B1 (ko) 중통형낚싯대
JP2740638B2 (ja) 中通し竿
JPH0672369B2 (ja) スチールコード
CN211110785U (zh) 一种卷筒及起重设备
JPH0229348Y2 (ko)
JP2533224Y2 (ja) 管状体
JP3515891B2 (ja) 釣 竿
JP3445927B2 (ja)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US6170346B1 (en) Rotary-to-linear actuator
JPH0672370B2 (ja) スチールコード
JPH0434495B2 (ko)
JP4040771B2 (ja) 釣竿
KR200274794Y1 (ko) 내굴절 내압 가든 호스
JP3638364B2 (ja) 中通し竿用穂先竿
JP3934617B2 (ja) 中通し釣竿とその製法
JP2001238576A (ja) 竿体の製造方法
JP2004113054A (ja) 外ガイド付き継式磯竿と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