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965B1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Google Patents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5965B1 KR100225965B1 KR1019970045773A KR19970045773A KR100225965B1 KR 100225965 B1 KR100225965 B1 KR 100225965B1 KR 1019970045773 A KR1019970045773 A KR 1019970045773A KR 19970045773 A KR19970045773 A KR 19970045773A KR 100225965 B1 KR100225965 B1 KR 100225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auxiliary
- water
- tank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생활폐수(이하, 재활용수라 칭함)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하는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본체의 세척수와 대소변 등의 용변물이 정화조로 배출된 뒤에 변기본체에 받혀지는 물이 깨끗한 수돗물이 받혀질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toilet using domestic waste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ycled water) discharged from a wash basin as a wash water for a flush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ilet water such as wash water and faeces of a toilet is discharged to a septic tank. It is about a flush toilet using the domestic waste water to ensure that the water received by the toilet body after receiving the main body is supported by the clean tap water.
본 발명에 의한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는, 수세식변기의 일측에 변기본체(25)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5)과, 상기 배수관(5)에 설치된 배수밸브(5a)를 개폐시키는 배수레버(10)가 각각 설치된 메인탱크(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의 일측에는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탱크(2)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사이에는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 메인탱크(1)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측의 재활용수급수관(3)에는 메인탱크(1)의 수위에 따라 재활용수급수관(3)을 개폐시키는 보조플로트(8)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1)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4)과 상기 배수관(5) 사이에는 보조플로트(8)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밸브(22)가 설치된 상수도보조 급수수단이 설치되어 수돗물이 배수관(5)을 통해 변기본체(25)로 배수공급되고, 재활용수는 재활용수급수관(3)을 통해 메인탱크(1)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sh toilet using the domestic wast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in pipe 5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to the toilet main body 25 on one side of the flush toilet, and a drain le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valve 5a provided at the drain pipe 5. The main tank 1 is installed, respectively 10 is installed, one side of the main tank (1)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tank (2) containing the recycled water, the main tank (1) and the auxiliary tank (2) Between the supply and supply of recycled water supply pipe (3) to supply to the recycled water main tank (1) of the auxiliary tank (2), the main supply tank (1) to the recycled water supply pipe (3) on the main tank (1) side In the auxiliary float (8)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recycling water supply pipe (3)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y pipe (4) for supplying tap water to the main tank (1) and the auxiliary float (5) between the drain pipe (5) 8) Tap water supply means for water supply is installed, the auxiliary valve 22 is opened and closed by And through a drain pipe (5) supplied to the toilet drainage unit 25, the recycling ca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the main tank 1 through the recycling water line number (3).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기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생활폐수(이하, 재활용수라 칭함)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하는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본체의 세척수와 대소변 등의 용변물이 정화조로 배출된 뒤에 변기본체에 받혀지는 물이 깨끗한 수돗물이 받혀질 수 있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toilet using domestic waste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cycled water) discharged from a wash basin as a wash water for a flush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ilet water such as wash water and faeces of a toilet is discharged to a septic tank. It is about a flush toilet using the domestic waste water to ensure that the water received by the toilet body after receiving the main body is supported by the clean tap water.
본 발명의 출원인은 세면기나 씽크대, 또는 욕조등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생활폐수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이용 수세식변기의 용수저장장치에 관하여 기 실용신안(출원번호: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584호)으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의 요지를 간단히 설명한후 이의 개선점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하는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xisting utility model (application number: 1996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garding th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waste water use flush toilet to use the domestic wast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 basin, sink or bath tub as a wash water of the flush toilet Application No. 2584), and briefly described the gist of the prior art, the improvement and the solution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 제96-2584호는 통상의 수세식변기의 일측에 씽크대 또는 세면기, 욕조등에서 사용하고 난 생활폐수를 저장하는 보조탱크를 별도로 설치하되, 이 보조탱크는 상하로 분리되어 상측의 보조탱크로 생활폐수가 받혀지게 하고, 이 상측 보조탱크에 받혀진 생활폐수는 메인탱크에 세척수가 없을 때 메인탱크로 공급되도록 보조플로트를 설치하였으며, 하측 보조탱크와 메인탱크는 서로 통하도록 통수관을 설치하였다.Utility Model No. 96-2584,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parately installs an auxiliary tank for storing living wastewater used in a sink, wash basin, bathtub, etc. on one side of a conventional flush toilet, and the auxiliary tank is divided up and down. Auxiliary float was installed to support the domestic wastewater through the auxiliary tank of the upper tank, and the secondary float was supplied to the main tank when the main tank had no water to be washed, and the lower auxiliary tank and the main tank passed through each other. The tube was installed.
그리고, 메인탱크의 내측에는 메인탱크의 내측에 세척수가 없는 상태에서 수세식변기를 사용할 경우에만 수돗물이 메인탱크의 내측으로 급수되게하는 보조레버를 설치하여 절수효과이 극대화라는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장치상의 미비점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완해야하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in tank solved the problem of maximizing the water saving effect by installing an auxiliary lever to allow tap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tank only when the flush toilet was used in the absence of washing water inside the main tank. And the need to complement the ease of use was required.
또한, 재활용수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서 용변후 대소변 등의 용변물이 정화조로 배출된 뒤에 변기본체에 받혀지는 물이 깨끗하지 못한 재활용수가 받혀짐에 따라 더러운 물이 사용자의 눈에 보여 수세식변기을 사용할 때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와, 대변이 낙하시 변기본체에 받혀져 있던 세척수가 엉덩이에 튀길 경우에는 비위생적인 것은 물론이고 불쾌감을 더욱 더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by using the recycled water as the washing water of the flush toilet, dirty water is visible to the user's eyes as the water received by the toilet is not recycled after the toilet is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discomfort when using the toilet, and when the feces fall on the hips when the wash water received on the toilet basic body is unsanitary, there is a problem that further increases the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를 재활용수로 사용하여 수돗물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하되, 세척수와 대소변 등의 용변물이 정화조로 배출된 뒤에 변기 본체에 받혀지는 물이 깨끗한 수돗물이 받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러운 물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수세식변기를 사용할 때 불쾌감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wash water of the flushing toilet as recycled water to reduce the use of tap water, but the toilet water such as washing water and urine By providing clean tap water to the water received by the toilet body after being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to provide a flush toilet using household wastewater that does not cause unpleasant feelings when using the toilet because dirty water is invisible to the user. It is f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는, 메인탱크의 일측에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탱크가 설치되고, 메인탱크와 보조탱크 사이에는 보조탱크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재활용수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과 상기 배수관 사이에는 보조플로트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밸브가 설치된 상수도보조 급수수단이 설치되어 수돗물이 배수관을 통해 변기본체로 배수공급되고, 재활용수는 재활용수급수관을 통해 메인탱크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sh toilet using the domestic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uxiliary tank containing the recycled wat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tank, between the main tank and the auxiliary tank to the main recycled water of the auxiliary tank In a flush toilet where a recycl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a tank is connected to be used to use recycled water as washing water for a flush toilet, an auxiliary float opened and closed by an auxiliary float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ap water to the main tank and the drain pipe. A water supply auxiliary water supply means with a valve is installed, the tap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drain pipe, the recycled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upplied into the main tank through the recycle water supply pipe.
제1도는 본 발명이 설치된 수세식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ush toile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 portion of FIG.
제6도는 본 발명 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메인탱크 2 : 보조탱크1: main tank 2: sub tank
3 : 재활용수급수관 3a : 개폐밸브3: recycling
4 : 상수도급수관 5 : 배수관4: water supply pipe 5: drain pipe
6 : 세면기 7 : 물넘침배수관6: wash basin 7: water overflow pipe
8 : 보조플로트 8a : 플로트레버8:
8b : 캠부 9 : 휠터8b: cam portion 9: filter
10 : 배수레버 21 : 상수도보조급수관10: drainage lever 21: water supply auxiliary water supply pipe
22 : 보조밸브 23 : 연결호스22: auxiliary valve 23: connection hose
24 : 마개 25 : 변기본체24: stopper 25: primitive body
26 : 연결끈26: connecting str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좌변식 수세식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oilet seat toile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즉, 수세식변기의 일측에 변기본체(25)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관(5)과, 상기 배수관(5)에 설치된 배수밸브(5a)를 개폐시키는 배수레버(10)가 각각 설치된 메인탱크(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의 일측에는 재활용수를 담아두는 보조 탱크 (2)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탱크(1)와 보조탱크(2)의 사이에는 보조탱크(2)의 재활용수를 메인탱크(1)로 공급하는 재활용수급수관(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탱크(1)측의 재활용수급수관(3)에는 메인탱크(1)의 수위에 따라 재활용수급수관(3)을 개폐시키는 보조플로트(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조탱크(2)의 내측에는 메인탱크 (1)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4)이 삽입 설치되며, 이 상수도급수관(4)의 상측 선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토출구는 메인텡크(1)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1)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급수관(4)과 상기 배수관(5) 사이에는 보조플로트(8)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밸브(22)가 설치된 상수도보조 급수수단이 설치되어 수돗물이 배수관(5)을 통해 변기본체로 배수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상기 상수도보조 급수수단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수급수 관(3)의 내측에 상수도보조급수관(21)이 설치되며, 이 상수도보조급수관(21)의 일측단은 상수도급수관(4)에 연결되고 타측단에는 재활용수급수관(3)의 선단부에 설치된 개폐밸브(3a)와 동일 선상에 보조밸브(22)가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플로트(8)의 말단에 힌지 설치된 플로트레버(8a)에 의해 각각의 밸브(22)(3a)가 개폐되고, 상기 보조밸브(22)의 일측과 배수관(5)의 소정위치 사이에는 연결호스(23)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water supply auxiliary supply means, as shown in FIG. 3, the water supply auxiliary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2)는 하측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하측부분에는 찌꺼기배출용 마개(24)가 개폐자재토록 설치되며, 재활용수급수관(3)의 선단 유입측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높게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재활용수 중의 찌꺼기가 메인탱크(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ank (2) has a lower sid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the inclined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24) for discharging waste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inlet side of the recycling water supply pipe (3) is predetermined from the bottom surface. It is installed at intervals as high as the height (H) of the waste in the recycled water is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main tank (1).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재활용수급수 관(3)과 별도로 상수도급수관(4)에 상수도보조급수관(21)이 연결되며, 이 상수도보조급수관(21)의 일측단은 상기 보조플로트(8)의 말단부에 힌지 설치된 플로트레버(8a)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트레버(8a)의 말단부에는 상수도보조급수관 (21)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보조밸브(22)를 개폐시키는 캠부(8b)가 형성되었으며, 상기 보조밸브(22)의 일측과 배수관(5)의 소정위치 사이에는 연결호스(23)가 설치되어 있다.4 and 5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auxiliary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로서, 메인탱크(1)의 내측에 수직 설치된 상수도급수관(4)과 배수관(5)사이에는 보조밸브(22)가 설치된 상수도보조급수관(21)을 연결 설치하되, 보조밸브(22)와 보조플로트(8)사이에 연결끈(26)이 연결되어 보조플로트(8)의 부상 및 하강에 따라 각각의 밸브(22)(3a)가 개폐되도록 되어있다.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and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6은 세면기이고, 7은 물넘침배수관이며, 9는 역류방지수단(체크밸브)가 설치된 휠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용변을 본 뒤에 배수레버(10)를 조작시켜 배수밸브(5a)를 개방시키면 메인탱크(1)에 받혀져 있던 세척수(재활용수)가 변기본체(25)로 배수되면서 변기본체(25) 내측의 대변이나 소변 등의 용변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되며, 메인탱크(1)에 받혀져 있던 세척수가 변기본체(25)로 배수됨에 따라 보조플로트(8)가 하강하게 된다.Opening the
상기와 같이 보조플로트(8)가 하강함에 따라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활용수급수관(3)과 상수도보조급수관(21)이 동시에 개방되어 재활용수급수관(3)으로는 재활용수가 메인탱크(1)의 내측으로 공급되게 되고, 상수도보조급수관(21)을 통해서는 상수도급수관(4)을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수돗물이 배수관(5)으로 공급된다.As the
이렇게 배수관(5)으로 깨끗한 수돗물이 공급됨에 따라 이 수돗물은 변기본체(25)에 제일 먼저 받혀져서 변기본체(25)에 받혀진 물은 깨끗한 수돗물이여서 수세식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As the clean tap water is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재활용수급수관(3)과 상수도보조급수관(21)을 통해 각각 재활용수와 수돗물이 나와 메인탱크(1)의 내측에 재활용수가 채워짐에 따라 보조플로트(8)가 부상하면서 플로트레버(8a)가 각각의 밸브(22)(3a)를 막아 수돗물 및 재활용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수도보조급수관(21)의 굵기를 가늘게하고 재활용수급수관(3)의 굵기는 굵게 하여 메인탱크(1)에 재활용수가 가득 채워질 때 변기본체(25)에 수돗물이 적당량 받혀지게 해야 한다.As shown in the above, the recycled water and the tap water come out through the recycle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2)는 바닥면이 일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보조탱크(2)의 낮은 쪽의 바닥면에 찌꺼기배출용 마개(24)가 설치되어 있어서, 보조탱크(2)에 받혀진 재활용수 중의 찌꺼기가 보조탱크(2)의 바닥에 가라 앉으면서 경사진 쪽의 바닥에 고이게 되며, 이렇게 고인 찌꺼기는 마개(24)를 열어서 재활용수와 함께 배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보조탱크(2)의 내측에 재활용수급수관(3)이 선단유입측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높게 설치되어서 보조탱크(2)의 바닥에 고인 찌꺼기가 메인탱크(1)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The recycling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는 보조플로트(8)가 하강함에 따라 플로트레버(8a)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플로트레버(8a)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캠부(8b)가 보조밸브(22)의 누름동작을 해제시켜 수돗물이 연결호스(23)를 통해 배수관(5)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and 5, as the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의 경우에는 보조플로트(8)와 메인탱크(1)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5) 측의 보조밸브(22)가 연결끈(26)으로 연결되어서 보조플로트(8)가 부상하면 보조밸브(22)가 폐쇄되고, 보조플로트(8)가 하강하면 보조밸브(22)가 개방되어 깨끗한 수돗물이 배수관(5)을 통해 변기본체(25)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플로트(8)가 승하강시 상기 보조밸브(22)는 물론이고 재활용급수관(3)의 선단부에 설치된 개폐밸브(3a)도 함께 개폐됨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는, 세척수와 함께 대소변 등의 용변물이 정화조로 배출된 뒤에 변기본체에 받혀지는 물이 깨끗한 수돗물이 받혀지도록 되어서, 재활용수를 수세식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하면서도 더러운 물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수세식변기를 사용할 때 불쾌감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flush toilet using the domestic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toilet water such as faeces and the like with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the water received by the toilet main body is supported by the clean tap water, flush water toilet The dirty water is invisible to the user's eyes while being used as a washing water,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cause discomfort when using the flush toilet.
또한, 보조탱크의 바닥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재활용수급수관의 선단유입측이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높게 설치되고 보조탱크의 낮은쪽에 찌꺼기배출용 마개를 설치하여서, 재활용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가 메인탱크로 유입되지 않는 효과와, 보조탱크의 바닥에 고이는 찌꺼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서 보조탱크를 청결하게 관리 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ip inlet side of the recycling water supply pip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auxiliary tank so as to be installed by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and a waste discharge cap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tank to be included in the recycled water. The wastes do not flow into the main tank, and the residues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auxiliary tank can be easily discharged, so that the auxiliary tank can be kept clea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5773A KR100225965B1 (en) | 1997-08-30 | 1997-08-30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PCT/KR1998/000244 WO1999007952A1 (en) | 1997-08-08 | 1998-08-08 |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5773A KR100225965B1 (en) | 1997-08-30 | 1997-08-30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1784A KR19990021784A (en) | 1999-03-25 |
KR100225965B1 true KR100225965B1 (en) | 1999-10-15 |
Family
ID=1952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57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5965B1 (en) | 1997-08-08 | 1997-08-30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596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0930B1 (en) | 2006-02-17 | 2007-01-17 | (주)물사랑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KR100730911B1 (en) | 2006-09-11 | 2007-06-21 | (주)물사랑 | Water-saving wash basin |
KR101503013B1 (en) * | 2014-02-20 | 2015-03-17 | 이누리 | Hot and cold water supply system that can utilize residual water |
KR101513898B1 (en) * | 2014-02-20 | 2015-04-23 | 이누리 | Hot and cold water supply system that can utilize residual 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5893B1 (en) * | 2001-07-21 | 2005-01-13 | 김정호 | Wastewater recycling structure (replace toilet water with wastewater) |
KR101382520B1 (en) * | 2012-10-23 | 2014-04-10 | 유승곤 | Water saving system for toilet for recycling waste water from the and bathtub |
KR20160061624A (en) | 2014-11-24 | 2016-06-01 | 권민구 | Vacuum cleaner for a vehicle |
-
1997
- 1997-08-30 KR KR1019970045773A patent/KR1002259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0930B1 (en) | 2006-02-17 | 2007-01-17 | (주)물사랑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KR100730911B1 (en) | 2006-09-11 | 2007-06-21 | (주)물사랑 | Water-saving wash basin |
KR101503013B1 (en) * | 2014-02-20 | 2015-03-17 | 이누리 | Hot and cold water supply system that can utilize residual water |
KR101513898B1 (en) * | 2014-02-20 | 2015-04-23 | 이누리 | Hot and cold water supply system that can utilize residual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1784A (en) | 199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5487B1 (en) | Toilet washers for toilet bowls | |
KR200454984Y1 (en) | Toilet water recycling device for toilet | |
KR100225965B1 (en)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
KR100225966B1 (en)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
WO1999007952A1 (en) |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 |
KR100280662B1 (en) | Recycled water storage tank for flush toilet | |
KR100223419B1 (en)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
WO2007129864A1 (en) |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 |
KR20100071911A (en) | Small enclosure and auxiliary device for water saving of toilet | |
KR100352822B1 (en) | A living sewage recycler for a chamber pot | |
KR100274537B1 (en) | A nightstool flush water supplying apparatus with gray water | |
KR20060000059U (en) | Wash-basin-type toilet | |
KR100384388B1 (en) | Toilet stool to economize water | |
KR102375529B1 (en)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
CN2635762Y (en) | Closet cistern with basin | |
JPH11140939A (en) | Toilet cleaning system using recycled water | |
KR200281573Y1 (en) | A water saving structure of flush toilet | |
CN2913472Y (en) | Water-saving device | |
KR0140372Y1 (en) | Water saving closet | |
KR200191217Y1 (en) | A water saving device of water closet | |
KR200327204Y1 (en) | Moderated wash saving chamber pot to combinate with both superiorities as an old fashion and a modern type. | |
KR0130567Y1 (en) | Toilet bowl using sewage as washing water | |
KR200180464Y1 (en) | water closet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ntrivance | |
KR200172008Y1 (en) | Recycling device of life water | |
KR200286094Y1 (en) | Device for reusing wastewater from wash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9805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19981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