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737B1 - Indoor device dust collect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device dust collect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7737B1 KR100197737B1 KR1019970022537A KR19970022537A KR100197737B1 KR 100197737 B1 KR100197737 B1 KR 100197737B1 KR 1019970022537 A KR1019970022537 A KR 1019970022537A KR 19970022537 A KR19970022537 A KR 19970022537A KR 100197737 B1 KR100197737 B1 KR 100197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or
- indoor
- air
- dust
- blower f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 및 토출성하도록 실내기본체의 상측에 배설된 집진기키트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전기적으로 포집하도록 상기 흡입구측에 배설된 전기집진기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도록 상기 집진기키트의 내측에 배설된 집진기용블로워팬과, 상기 집진기용블로워팬에 의해 강제 흡입 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진수단을 실내기본체의 하측에서 결합시키는 외장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자체유로구조를 형성하고록 함에 따라 집진기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실내기의 슬림, 콤팩트화하는 경향에 부응할 수 있으며, 단독 공기청정기능 수행시에는 실내기본체에 내장된 블로워팬보다 작은 집진기용블로워팬만 동작시킴에 따라 소비전력을 낮춤과 동시에 소음을 낮출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or of an indoor unit f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dust collector k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an indoor main body so as to have an intak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Expos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dust collector blower fan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or kit to force suction of external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duct member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orcedly sucked by the dust collector blower f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outer form that combines the dust collecting means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the self-flow structure to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or, as well as meet the tendency to slim, compact of the indoor unit When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performed alone, the blower fan inside the main body is installed. By operating only the small dust collector blower fan, it can lower the power consump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noi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기를 실내기의 본체 외측에서 결합시키는 외장형으로 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f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n indoor unit f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having an external type in which a dust collector is coupl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indoor unit.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본체(10)가 있고, 상기 실내기본체(10)의 전면 개구측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21)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20)가 개폐가능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풍으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30)가 절곡되게 배설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3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30)에서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면서 상기 실내공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발생된 제상수를 집수하는 배수접시(4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배수접시(4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3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하여 토출시키는 상하풍향조절날개(50) 및 좌우풍향 조절날개(60)가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블로워팬(70)이 회전가능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블로워팬(70)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8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30)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된 공기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집진수단(9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상단측에는 외부공기를 흡입시키는 관통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개구측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100)가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a conventional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has an indoor
상기 집진수단(90)은 집진기키트(KIT)(90)와, 상기 집진기키트(90)에 내장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의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전기집진기(91)로 이루어져 있다.The dust collecting means 90 is composed of a dust collector kit (KIT) 90, and an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먼저, 도시 하지 않은 조작부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공조조건을 선택하면, 블로워팬(70)의 구동에 따라 실내공기가 흡입그릴부재(20)내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21) 및 본체(10)의 상단측에 형성된 관통구(11)를 통하여 흡입되고, 필터부재(1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전기집진기(91)에 의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미세먼지가 이온화되어 포집됨에 따라 청정해진 공기는 열교환기(30)를 통하여 열교환되고,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상하풍향조절날개(50) 및 좌우풍향조절날개(60)에 의해 풍향이 조절되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토출된다.In the conventional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conditioning condi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selected by an operation unit (not shown), the indoor air is formed in the
이때, 상기 열교환기(30)의 표면에서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면서, 상기 실내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제상수가 생성되고, 상기 제상수는 상기 열교환기(30)의 하측에 배설된 배수접시(40)에 집수되어 도시 하지 않은 배수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30) heats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는 집진수단(90)이 실내기본체(10)의 내측에 배설됨에 따라 실내기의 여유공간에 의해 집진용량을 결정함에 따라 집진용량을 조절하기가 난이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유로구조에 있어 열교환기(30)의 상측에 집진기키트(90)를 배설함에 따라 열교환기(30)의 흡입저항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공기 흡입구조가 열교환기(30)를 위주로 설계되기 때문에 집진기(91)만을 위한 공기 흡입 또는 토출구조의 설계가 난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door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ust collection capacity as the dust collecting means 90 is determined inside the indo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장치를 실내기의 외측에서 결합시키는 외장형으로 형성하여 집진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단독으로 집진장치를 사용가능케 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ust collector in the outer form to combine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make it possible to use the dust collector al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or of an indoor unit f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제1도는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ndoor unit f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제2도는 종래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2 is an overal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indoor unit fo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에 집진장치가 배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disposed in the indoor unit for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에 집진장치가 배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disposed in the indoor unit for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실내기본체 300 : 집진수단10: indoor main body 300: dust collecting means
310 : 집진기키트 311 : 흡입구310: dust collector kit 311: suction port
312 : 토출구 313 : 덕트부재312
330 : 집진기용블로워팬 320 : 전기집진기330: blower fan for the dust collector 320: electric dust collec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장치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실내기본체의 하측에 배설된 집진기키트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전기적으로 포집하도록 상기 흡입구측에 배설된 전기집진기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도록 상기 집진기키트의 내측에 배설된 집진기용블로워팬과, 상기 집진기용블로워팬에 의해 강제흡입 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Dust collector of the indoor unit for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dust collector k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main body to form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foreign matter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disposed on the inlet side for electrical collection, a dust collector blower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or kit to forcibly suck external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ir forcedly sucked by the dust collector blower fa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uct member for guiding the flow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및 동일 명칭을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parts as those shown in FIGS. 1 and 2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name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본체(10)의 상단 외측에는 실내공기를 강제흡입시켜 전기적으로 이온화시켜 포집함에 따라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집진수단(300)이 고정수단(340)에 의해 착탈가능케 배설되어 있다.3 and 4, 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cleanly by forcibly suctioning the indoor air to collect and ionize the electrical air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indoor
상기 집진수단(300)은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도록 흡입구(311) 및 토출구(312)가 형성된 집진기키트(310)와, 상기 흡입구(31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미세먼지를 전직적으로 이온화시켜 포집하도록 상기 흡입구(311)측에 배설된 전기집진기(320)와,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도록 상기 집진기키트(310)의 내측에 배설된 집진기용블로워팬(330)으로 이루어겨 있고, 상기 고정수단(340)은 상기 실내기본체(10)의 하단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부(15)와, 상기 고정돌기부(15)가 내삽되어 걸리도록 상기 집진기키트(31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314)로 이루어져 있다.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includes a
상기 전기집진기(320)는 실내기본체(10)에 배설된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The
미설명부호(313)는 흡입구(3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부재를 나타낸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or of the indoor unit for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시 되지 않은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실내기가 동작됨과 동시에 집진기용블로워팬(330)이 회전됨에 따라 집진기키트(310)의 상측에 형성된 흡입구(31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는 전기집진기(320)에 의해 미세먼지가 포집됨에 따라 깨끗하게 정화된 후, 덕트부재(313)의 안내를 받아 토출구(3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by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이와 같이 동작하는 집진수단(300)은 집진기키트(310)가 동일한 구조에서 전기집진기(310)의 크기가 다른 몇가지의 용량으로 제작하여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집진용량을 선택하여 실내기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실내기본체(10)와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제작됨과 동시에 단독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공기정화기로 사용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별도의 공기정화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된다.The dust collecting means 300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in several different capacities of the size of the
또한, 단독 공기정화기능 수행시에는 흡입공기의 전부가 전기집진기(310)를 통하여 배출됨에 따라 공기청정효율을 향상시키고, 크기가 작은 집진기용블로워팬(330)만이 회전됨에 따라 소비전력의 감소는 물론 소음발생을 줄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ole air purifying function is performed, as all of the intak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집진장치에 의하면, 집진수단을 실내기본체의 하측에서 결합시키는 외장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자체유로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에 따라 집진기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실내기의 슬림, 콤팩트화하는 경향에 부응할 수 있으며, 단독 공기청정기능 수행시에는 실내기본체에 내장된 블로워팬보다 작은 집진기용븐로워팬만 동작시킴에 따라 소비전력을 낮춤과 동시에 소음을 낮출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ust collector of the indoor unit for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means is formed in an external type that combines the dust collecting means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self-flow path structure is improved. It can meet the tendency of slimming and compactness of the indoor unit as well as the indoor unit.When performing the air cleaning function alone, only the lower drawer fan for dust collector than the blower built in the main body is operated,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Can be lowered.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2537A KR100197737B1 (en) | 1997-05-31 | 1997-05-31 | Indoor device dust collect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2537A KR100197737B1 (en) | 1997-05-31 | 1997-05-31 | Indoor device dust collect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6243A KR19980086243A (en) | 1998-12-05 |
KR100197737B1 true KR100197737B1 (en) | 1999-06-15 |
Family
ID=1950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2537A KR100197737B1 (en) | 1997-05-31 | 1997-05-31 | Indoor device dust collect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7737B1 (en) |
-
1997
- 1997-05-31 KR KR1019970022537A patent/KR10019773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6243A (en) | 1998-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1114093A (en) | Air conditioner | |
JP6367445B2 (en) | Humidified air purifier | |
WO2016143010A1 (en) | Air conditioner | |
CN213713289U (en) | Air treatment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KR200428759Y1 (en) | Air Cleaner With Cooling Function | |
KR20040010899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4909699B2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0511979B1 (en) | A duct type air-conditioner | |
KR100197737B1 (en) | Indoor device dust collect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 |
KR20000056578A (en) | Air-conditioner | |
KR100220742B1 (en) | Dust collecting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0497158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146149Y1 (en) | Electricity source supply device of airconditioner electrical dust collector | |
KR100225635B1 (en) | Wall hanging type air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0234964B1 (en) | Wall hanging type airconditioner's indoor unit | |
KR100392403B1 (en) | An air conditioning system | |
KR0156707B1 (en) | In-let opening apparatus of indoor machine in airconditioner | |
KR100865089B1 (en) | Air-conditioner | |
KR200146099Y1 (en) | Cover apparatus of back plate of indoor machine in airconditioner | |
KR100371851B1 (en) | Ceiling type of air conditioner | |
KR200162658Y1 (en) | Motor wire fixing device of wall type airconditioner indoor device | |
KR100220741B1 (en) | Electric dust collector establishing structure | |
KR19990042027A (en) | Combination Air Conditioner | |
KR200173451Y1 (en) | Drain tray fixing apparatus of indoor unit for a wall tapestry type air conditioner | |
KR19980067131U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