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500B1 -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500B1
KR100192500B1 KR1019960061848A KR19960061848A KR100192500B1 KR 100192500 B1 KR100192500 B1 KR 100192500B1 KR 1019960061848 A KR1019960061848 A KR 1019960061848A KR 19960061848 A KR19960061848 A KR 19960061848A KR 100192500 B1 KR100192500 B1 KR 10019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link
rotatably connected
lower link
ped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869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50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궤적에 조작력을 받는 페달의 궤적이 맞추어지는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판(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 2연결공(22, 23)에 상부링크(31, 41)와 하부링크(32, 42)로 구성되는 제1, 2페달아암(30, 40)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 2페달아암(30, 40)의 타단은 페달부(5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제2페달아암(40)의 하부링크(42) 외측에 연장형성된 연결수단(46)에 연결바아(60)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연결바아(60)의 타단은 고정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를 제공한다.
이에따라, 조작력을 받는 페달장치의 궤적이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동시에 발목의 회전각도에 따라 페달의 각도도 임의로 변하여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피로를 격감시키는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본 발명은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페달에 답력을 가할 경우 페달의 작동퀘적이 발의 작용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페달조작이 용이한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페달장치로서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 및 엑셀 페달이 차량의 운전석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데,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면 페달 아암에 요크로 연결된 푸시로드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실린더내의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므로써 전, 후륜측의 브레이크 라인을 통해 브레이크 오일을 압축하게 되며, 브레이크 라인의 종단과 연통된 캘리퍼(전륜측)나 브레이크 슈(후륜측)의 실린더로 고압의 브레이크 오일을 공급하여 라이닝이나 패드를 브레이크 드럼(내부확장식, 후륜)이나 디스크(캘리퍼식, 전륜측)에 압착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해방시키면 압축되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로 복귀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수동 변속기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페달아암에 연결된 푸시로드에 의해 클러치용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실리더내의 오일을 압축하므로써 클러치의 릴리즈포크를 분리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페달은 차량실내에 고정된 페달지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과 결합되어 있으며, 페달을 복귀시키기 위해 페달아암과 페달지지부에 고정된 리턴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제1도에는 종래 발명에 따른 페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페달장치(10)는 회전축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공(1), 곡선형으로 형성된 페달아암(2) 및, 조작력을 가하기 쉽게 형성된 페달부(3)로 구성된다.
연결공(1)은 차량실내에 고정되어 있는 페달지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페달아암(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페달아암(1)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에는 회전축과 결합하는 연결공(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페달부(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페달부(3)는 운전자가 조작력을 가하는 곳으로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페달장치(10)는 운전자가 페달부(3)에 조작력을 가하게 되면 페달장치(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가 일률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페달장치(10)가 일률적으로 작동함에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력을 가하는 발과 조작력을 받는 페달장치의 회전하는 궤적이 조작력을 가함에 따라 점점 이간되어서 정상적인 조작력을 가하려면 발 전체를 운전석 하부의 바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도심지와 같이 차가 많이 밀리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반복적인 행위로 말미암아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피로가 극심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부에 조작력을 가할 경우, 조작력을 받는 페달장치의 작동궤적이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발뒷꿈치를 바닥에서 떼지 않고도 용이하게 페달을 조작할 수 있는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제1연결공과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바아가 일체로 형성된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가이드바아를 수용하는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홈과 종단에 제3연결공이 형성된 제1하부링크로 구성되는 제1페달아암, 상기 제2연결공과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바아가 일체로 형성된 제2상부링크와 상기 제2상부링크의 가이드바아를 수용하는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홈과 종단에 제4연결공을 형성하면서 외측에 돌출형성된 연결수단을 구비한 제2하부링크로 구성되는 제2페달아암, 상기 제3연결공과 제4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부, 상기 제2하부링크의 연결수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바아로 구성되는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의 페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대한 작동전의 상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대한 작동후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판 31 : 제1상부링크
32 : 제1하부링크 33 : 제1가이드바아
34 : 제1가이드홈 41 : 제2상부링크
42 : 제2하부링크 43 : 제2가이드바아
44 : 제2가이드홈 46 : 연결수단
50 : 페달부 60 : 연결바아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는 페달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판(20), 상, 하부링크로 구성되는 제1페달아암(30)과 제2페달아암(40), 페달부(50) 및, 연결로드(6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30)의 중앙부에는 통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제1연결공(22)과 제2연결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21)이 형성된 중앙부는 제1연결공(22)과 제2연결공(23)이 형성된 양단부와 단이져 구분되어 있으며 앞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20)의 제1연결공(22)과 제2연결공(23)에는 제1페달아암(30)과 제2페달아암(4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페달아암(31)은 제1상부링크(31)와 제1하부링크(32)로 구성되고, 제2페달아암(40)은 제2상부링크(41)와 제2하부링크(42)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링크(31)과 제2상부링크(41)는 전술한 고정판(20)의 제1연결공(22)과 제2연결공(23)에 핀(22a, 23a) 결합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연결공(32, 42)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가이드바아(33, 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2상부링크(31, 41)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공(32, 42)도 전술한 고정판의 제1, 2연결공(22, 23)이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단이져 형성되어 있으며, 제1, 2상부링크(31, 41)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바아(33, 43)는 제1, 2하부링크(32, 42)의 가이드홈(34, 44)에 삽입된다.
제1하부링크(32)와 제2하부링크(42)에는 단면의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홈(34, 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제1, 2상부링크(31, 41)의 가이드바아(33, 43)가 삽입된다. 그런데 가이드홈(34, 44)과 가이드바아(33, 43)의 삽입 및 작동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곡률이 일치하여아 할 것이다. 제1하부링크(32)의 종단에는 제3연결공(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하부링크(42)의 종단에도 제4연결공(4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하부링크(42)의 외측에는 연결수단(46)이 돌출형성되어 연결로드(60)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로드(60)의 타단은 고정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연결공(35)과 제4연결공(45)은 페달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5연결공(51)에 제6연결공(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대한 작동전의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에 대한 작동후의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를 작동하기 위해서 우선 페달부(50)에 발을 얻으면 페달부(50)는 페달아암(30, 40)과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페달아암(30, 4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페달부(50)는 발이 조작력을 가하기 편안한 자세에 맞게 조절된다. 이때, 제1, 2상부링크(31, 41)에 형성된 가이드바아(33, 43)와 서로 삽입되어 연결된 제1, 2하부링크(32, 42)는 상, 하방으로 슬라이드된다. 페달부(50)에 조작력을 가하기 시작하면 제1연결공(22)과 제1페달아암(30)이 연결되는 힌지점과 제2연결공(23)과 제2페달아암(40)이 연결되는 힌지점 및 고정단과 연결로드(60)가 연결되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조작력을 가하는 발도 뒷꿈치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회전중심인 뒷꿈치를 떼지않고 계속 조작력을 가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상부링크(31, 41)에 형성된 가이드바아(33, 43)와 서로 연결된 제1, 2하부링크(32, 42)는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면서 회전하며 연결로드(60)도 함께 회전한다. 그런데 제1, 2상부링크(31, 41)에 일체로 연장된 가이드바아(33, 43)의 길이는 제1, 2페달아암(30, 40)이 최대로 회전했을 때, 즉 페달부(50)에 조작력을 최대로 가했을 때 제1, 2하부링크(32, 42)의 가이드홈(34, 44)에서 탈거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판(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 2연결공(22, 23)에 상부링크(31, 41)와 하부링크(32, 42)로 구성되는 제1, 2페달아암(30, 40)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 2페달아암(30, 40)의 타단은 페달부(5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며, 제2페달아암(40)의 하부링크(42) 외측에 연장형성된 연결수단(46)에 연결바아(60)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타단은 고정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므로써, 페달장치의 회전궤적이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회전궤적에 맞추어 회전하여 조작력을 가하는 발의 피로를 격감시키는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제1연결공과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바아가 일체로 형성된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상부링크의 가이드바아를 수용하는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홈과 종단에 제3연결공이 형성된 제1하부링크로 구성되는 제1페달아암, 상기 제2연결공과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바아가 일체로 형성된 제2상부링크와 상기 제2상부링크의 가이드바아를 수용하는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홈과 종단에 제4연결공을 형성하면서 외측에 돌출형성된 연결수단을 구비한 제2하부링크로 구성되는 제2페달아암, 상기 제3연결공과 제4연결공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페달부, 상기 제2하부링크의 연결수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바아로 구성되는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KR1019960061848A 1996-12-05 1996-12-05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KR10019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48A KR100192500B1 (ko) 1996-12-05 1996-12-05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848A KR100192500B1 (ko) 1996-12-05 1996-12-05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69A KR19980043869A (ko) 1998-09-05
KR100192500B1 true KR100192500B1 (ko) 1999-06-15

Family

ID=1948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848A KR100192500B1 (ko) 1996-12-05 1996-12-05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5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869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5653A3 (en) Brake device for vehicle having barhandle
FR2843349A1 (fr) Dispositif de freinage pour vehicule tous terrains
KR100192500B1 (ko) 다절링크 구조의 페달장치
EP0816706A3 (en) Dual-mode drum brake having parking lever pivotab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backing plate
EP0800015A3 (en) Drum brake device with single shoe extension device
US6942074B2 (en) Drum brake system for vehicle
KR101063148B1 (ko) 차량용 주차브레이크장치
KR0138416B1 (ko) 링크(link) 구조를 갖는 자동차 제동장치
TWM548123U (zh) 用於連動煞車系統之煞車總泵之改良
KR101028844B1 (ko) 가변 레버비를 갖는 차량용 페달 시스템
KR100333283B1 (ko) 차량용 제동장치의 페달과 브레이크부스터의 연결구조
KR101396866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용 캘리퍼
KR0119230Y1 (ko)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연결 구조
KR20170110843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930008425Y1 (ko)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의 링크장치
KR200363914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푸시로드
KR100401845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1416U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우 작동장치
KR200147145Y1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연결장치
KR100398263B1 (ko) 차량의 배력식 주차브레이크시스템
JPH0452495Y2 (ko)
KR100186698B1 (ko) 파킹 브레이크
KR0124478Y1 (ko) 자동차의 핸드브레이크
KR0140560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JPH04512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