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507B1 -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박판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507B1
KR0162507B1 KR1019930022762A KR930022762A KR0162507B1 KR 0162507 B1 KR0162507 B1 KR 0162507B1 KR 1019930022762 A KR1019930022762 A KR 1019930022762A KR 930022762 A KR930022762 A KR 930022762A KR 0162507 B1 KR0162507 B1 KR 016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key top
thin plate
plate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611A (ko
Inventor
지로 이나가끼
아쓰시 하리
노부유끼 기구찌
다까시 시노끼
Original Assignee
무라까미 아끼라
데이꼬꾸쓰신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80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57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081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5712B2/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까미 아끼라, 데이꼬꾸쓰신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까미 아끼라
Publication of KR94002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611A/ko
Priority to KR101998001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4Separate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 H01H2221/004U-shaped openings surrounding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34Bez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7Preformed layer in mou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01H2229/048Insertion 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전건 상면 박판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수지 필름판상에 성형된 주표면을 포함한다. 주표면이 성형된 부분을 둘러싼 필름 박판에는 하방 그리고/또는 상방으로 필름 박판으로부터 돌출된 만곡 돌기부가 제공된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만곡 돌기부는 주표면이 성형된 부분을 에워싸고 있는 필름 박판에 힌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을 제외하고 도려낸 부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주표면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형태가 제공된 명판이 필름 박판의 도려낸 부분과 힌지부를 덮기 위해 필름 박판에 부착된다.
또다른 태양에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전건 상면 박판은 그 내부에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주표면이 성형되는 수지 필름 박판, 필름 박판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필름 박판상에 장착된 명판, 그리고 필름 박판의 외측 원주부상의 필름 박판의 하부에 고정된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명판의 외측 원주부는 구부러져 있으며 프레임의 외측 원주 측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
제1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요소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a도와 제2b도는 제1도의 키탑 박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a도는 평면도, 제2b도는 측면도.
제3a도와 제3b도는 제2a도와 제2b도의 필름 박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3a도는 평면도, 제3b도는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키탑 박판을 수지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6a도와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6a도는 측단면도 (제6b도의 선 6(A) - 6(A) 를 따라 절단한 단면), 제6b도는 주요부의 평면도.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키탑의 부분) 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7a도는 평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선 7(B) - 7(B) 를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 제7c도는 저면도, 그리고 제7d도는 상기 실시예의 키탑 박판에 사용된 필름 박판의 평면도.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키탑의 부분) 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8a도는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선 8(B) - 8(B) 를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 그리고 제8c도는 저면도.
제9a도와 제9b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굴곡 돌출부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1a도와 제11b도는 제10도의 키탑 박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1a도는 평면도, 제11b도는 측면도.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는 필름 박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제13a, 제13b도, 및 제13c도는 명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제14도는 제10도의 키탑 박판을 수지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10도의 원내의 부분 B 의 확대도.
제16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키탑 박판을 수지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18a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가 케이스내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의 개략도.
제18b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가 케이스내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의 개략도.
제19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20도는 필름 박판의 경사각(A), L 및 △L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L 은 키탑과 필름 박판이 고착된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며, △L 은 키탑이 0.3 ㎜ 눌렸을 때 필름 박판이 신장되어야 할 양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누름 버튼 스위치 10 : 키탑 박판
20 : 필름 박판 21 : 부풀어 오른 부분
23 : 수지 25 : 굴곡 돌출부
40 : 프레임 50 : 키탑
51 : 누름부 60 : 스위치 기판
61 : 상부 박판 63 : 간격부재
65 : 하부 박판 66 : 공기 배기구
67 : 개구부 68 : 스위치 접점
69 : 클릭 스프링 71 : 박판
73 : 박판 75 : 공기 배기구
77 : 분리재 D : 상부주형
D1 : 공동 D2 : 돌기부
E : 하부주형 E1,E2 : 공동
E3 : 고리형 공동 E10,E20 : 협소 통로
본 발명은 크기 및 두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집적화에 적합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keytop shee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키탑 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장치의 두께와 크기의 감소는 상기 장치의 제어판에 사용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의 두께 및 크기의 감소의 요구를 또한 수반한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려는 노력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다수의 키탑이 수지로 만들어진 단일 필름으로 이루어 지는 필름 박판의 내부에 고정 성형되며,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프레임이 다수의 키탑을 둘러싸도록 필름 박판의 원주에 고정 성형되는 키탑 박판이 제안되고 있다.
스위치 접점이 각각의 키탑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키탑이 눌리면 그 하부에 놓인 스위치가 닫힌다. 이때, 상기 키탑을 에워싼 필름 박판이 하방으로 약간 신장된다.
이러한 종류의 키탑 박판을 사용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는 스위치의 내부로 수분이나 습기가 침투할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들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키탑 박판이 박판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습기나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는 소위 방수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름 박판에는 구멍이 없어야만 한다.
종래의 키탑 박판에 있어서, 키탑과 프레임 사이의 간격 또는 키탑들 사이의 간격이 소형화를 위해 감소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특히, 제20도는 필름 박판 (210)의 경사각(A), L 및 △L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며, 여기서 L 은 키탑 (220) 과 필름 박판 (210) 이 고착된 프레임 (230)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며, △L 은 키탑 (220) 이 0.3 ㎜ 눌렸을때 필름 박판 (210) 이 신장되어야 할 신장량을 나타낸다.
제20도의 그래프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L) 이 작으면 작을수록 신장량 (△L) 과 경사각(A) 은 커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간격 (L) 이 작게 만들어 질수록 상기 키탑 (220) 을 누르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이때 상기 키탑 (220) 이 너무 세게 눌려지면 상기 필름 박판 (210) 이 변형될 위험이 있다.
또한, 어떤 단일 키탑이 눌려질 때 그것에 연해있는 어떤 키탑이 눌려진 키탑쪽으로 약간 당겨진다. 그러나, 상호 인접한 키탑들 간의 간격이 작게 만들어지면 당겨진 양은 제20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개념에 의해 더욱 커진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키탑이 눌려지면, 나란한 키탑이 눈에 띨 정도로 눌려진 키탑을 향하여 이동할 것이라는 위험이 있다.
키탑 박판 자체에 방수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면, 각각의 키탑을 둘러싼 필름박판의 부분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 형태의 절취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전술한 개조가 채택될 경우, 키탑이 눌려질 때 키탑을 에워싼 필름 박판은 당겨지지 않을 것이며, 그에 따라 상기 키탑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필름 박판에 절취부가 제공되면, 상기 절취부가 키탑 박판의 상부에서 보여지게 되며 상기 장치의 외관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키탑 박판이 소형화될지라도, 각각의 키탑이 부드럽게 눌려질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키탑 박판 자체에 방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누름 스위치의 키탑 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 박판에 절취부가 제공될지라도 뛰어난 외관이 유지되는 키탑 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접점 상부에 배치되고 누름으로써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가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키탑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 지는 필름 박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성형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에 있어서, 키탑이 성형되는 부분을 에워싼 필름 박판에 굴곡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굴곡 돌출부가 상기 키탑을 에워싸도록 필름 박판의 표면으로부터 하방, 상방, 또는 하방 및 상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이 제공된다.
키탑이 우묵해지도록 눌려지면, 키탑 주위의 필름 박판에 제공된 굴곡 돌출부가 변형되며 그에 따라서 키탑을 누르기 쉽게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위치 접점 상부에 배치되고 누름으로써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가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키탑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 지는 필름 박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성형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에 있어서, 키탑이 성형되는 부분을 에워싸는 필름 박판에 힌지부를 남겨놓고 절취부가 제공되며,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며 키탑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제공된 명판이 상기 필름 박판에 부착되어 상기 필름 박판의 절취부 및 힌지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 있어서, 키탑은 힌지부에 의해서만 주위의 필름 박판에 연결되며, 그 결과로 키탑이 부드럽게 눌려질 수 있다. 또한, 필름 박판내의 절취부가 명판에 의해 덮혀있기 때문에, 절취부는 표면으로부터 보이지 않으며 뛰어난 외관이 유지된다. 또한, 키탑이 눌려질 때 힌지부가 주름지게 되지만, 힌지부는 또한 상기 명판에 의해 덮히므로 이 경우에도 키탑 박판의 뛰어난 외관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스위치 접점 상부에 배치되고 누름으로써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가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키탑이 소정의 위치에 성형되는 수지 필름, 필름 박판상에 장착되고 필름 박판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 지는 명판, 및 필름 박판에 고착되도록 필름 박판의 원주부상의 하부측에 성형된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프레임을 구비하고, 필름 박판을 너머서 돌출된 명판의 외측 원주부가 굽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 원주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이 제공된다.
명판의 외측 원주부가 굽은 프레임의 외측 원주측면에 고착되므로 키탑 박판의 외측 원주상의 상부 모서리부는 명판에 의해 덮여진다. 그러므로, 키탑 박판의 외측 원주부상의 상부 모서리부가 키탑 박판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해도 설계상의 외관은 유지된다. 또한, 상기 명판이 상기 필름 박판을 완전히 덮고 프레임의 측면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명판이 필름 박판에서 탈피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박판과 용융 수지로 키탑 박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가 적어지고, 그 제조단계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름 박판이 용융 수지의 상면을 덮고 있으므로, 상기 키탑 박판의 표면은 외관이 뛰어나고 촉감이 부드럽다. 또한, 키탑 박판의 필름 박판에는 어떠한 구멍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키탑 박판 자체에 방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인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 버튼 스위치 (1) 는 상부 박판 (61), 간격 부재 (63) 및 하부 박판 (65) 을 중첩함으로써 형성된 스위치 기판 (60) 과, 프레임 (40) 을 키탑 (50) 이 제공된 필름 박판 (20) 의 하부측의 외측 원주부에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키탑 박판 (10) 을 포함한다. 클릭 스프링 (69) 이 스위치 접점 (68) 상부에서 스위치 기판 (60) 에 부착되며, 상기 키탑 박판 (10)의 프레임(40) 은 양면상에 접착제를 갖는 박판 (71) 을 통하여 스위치 기판 (60) 의 외측 원주부에 고착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키탑 박판 (10) 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a도는 평면도, 제2b도는 측면도이다. 제1도의 키탑 박판 (10) 은 제2a도의 선 1-1 을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임을 주의해야 한다.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탑 박판 (10) 은 상기 필름 박판 (20) 의 중앙부상에 제공된 세개의 키탑 (50) 을 가지며, 프레임 (40) 은 필름 박판 (20) 의 하부측에 외측 원주부를 따라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키탑 (50) 이 성형된 부분을 에워싸는 필름 박판 (20) 에는 굴곡 돌출부 (25) 가 제공되며, 굴곡 돌출부 각각은 각각의 키탑 (50) 을 에워싸도록 필름 박판 (20) 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키탑 박판 (10) 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필름 박판 (20) 을 준비한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박판 (20) 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 등) 을 사각형태로 절단하고 소망하는 모양 (도시되지 않음) 을 상기 박판의 상면 또는 하부측에 인쇄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다음,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박판 (20) 은 상부 주형 (D) 과 하부 주형 (E)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상부 주형 (D) 에는 상기 키탑 (50) 을 성형하기 위한 공동(D1)이 제공되며, 상기 하부 주형 (E) 에는 프레임 (40) 을 성형하기 위한 공동 (E1) 과 키탑의 누름 부분 (51) 을 성형하기 위한 공동 (E2) 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부 주형 (E) 의 공동 (E1, E2) 에는 각각 좁은 통로 (E10, E20) 가 제공된다.
상기 공동 (D1) 을 에워싸는 상부 주형 (D) 의 부분에는 고리형 돌기부(D2)가 제공된다. 상기 고리형 돌기부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하부 주형 (E) 에는 고리형 공동 (E3) 이 상기 돌기 (D2) 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공동 (E3) 은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필름 박판 (20) 의 두께와 동일한 간극이 상부 주형 (D) 과 하부주형 (E) 이 닫힐 때 공동 (E3) 과 돌기 (D2) 사이에서 제한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온 고압의 용융 수지가 좁은 통로 (E10, E20) 로부터 강제주입되는 때에, 상기 프레임 (40) 이 필름 박판(20)의 하부측의 외측 원주부에 형성되며, 공동 (D1) 에 위치된 필름 박판 (20) 의 부분은 제4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밀리며 상기 공동 (D1) 의 내면에 접착되도록 변형된다. 동시에, 공동 (D1) 과 공동 (E2) 은 용융수지로 충전된다. 다시말하면, 상기 필름 박판 (20) 은 공동 (D1) 의 내면 형상을 갖는 부풀어 오른 부분 (21) (제1도 참조) 을 포함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부풀어 오른 부분 (21) 에는 충전 수지 (23) (제1도 참조) 가 채워져서 상기 필름 박판 (20) 과 수지 (23) 가 일체화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키탑 (50) 을 형성한다.
이때에 주입된 용융 수지는 고온 고압 상태이며 상기 필름 박판 (20) 이 열 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강제 주입된 수지 및 필름 박판 (20) 은 직접 그리고 강하게 융착되며 상기 필름 박판 (20) 은 탈피되지 않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돌기부 (D2) 와 공동 (E3) 사이에 고정된 필름 박판 (20) 의 부분은 주입된 용융 수지의 열과 상부 및 하부 주형 (D, E) 자체로부터의 열에 의해 고정된 형태로 열가소 변형된다. 그 결과로, 상기 굴곡 돌출부 (25) 가 필름박판 (20) 에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주형 (D, E) 에 의해 필름 박판 (20) 내에 굴곡 돌출부 (25) 를 형성하는 대체 방식으로서, 상기 필름 박판이 성형 공정에 의해 추후에 굴곡 돌출부 (25) 의 형태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후 필름 박판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주형 (D, E)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주형 (D, E) 을 분리함으로써 제1도 및 제2a도, 제2b도에 도시된 키탑 박판을 완성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기판 (60) 은 일반 피막 스위치이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박판 (61, 65) 을 그 사이에 삽입된 간격부재 (63) 와 중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상기 간격부재 (63) 에는 그 안에서 상부 및 하부 박판 (61, 65) 각각에 형성된 전극 패턴이 스위치 접점 (68) 을 구성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여 위치된 개구부 (67) 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 박판 (65) 에는 공기 배기구 (66) 가 제공된다.
금속이나 수지로 만들어진 상기 클릭 스프링 (69) 은 상기 스위치 접점 (68) 상부에 부착된다.
양면에 모두 접착제가 제공된 박판 (71, 73) 은 스위치 기판 (60) 의 상부 및 하부면 각각에 고착된다. 상부의 상기 양면 접착 박판 (71) 은 스위치 기판 (60) 의 상부의 외측 원주부 전체를 에워싸도록 고착되며, 하부의 양면 접착 박판 (73) 은 스위치 기판 (60) 의 전체 하부측을 덮으며 공기 배기구 (75) 가 스위치 기판 (60) 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고착된다. 분리재 (77) 가 하부 양면 접착 기판 (73) 의 하부측에 고착되어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상기 상부 양면 접착 박판 (71) 을 키탑 박판 (10) 의 프레임 (40) 하부측에 접착함으로써 누름 버튼 스위치 (1) 가 완성된다.
누름 버튼 스위치 (1) 를 다른 부재에 고정할 때, 상기 분리재 (77) 를 벗겨내고 상기 양면 접착 기판의 하부측을 다른 부재에 고착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키탑 박판 (10) 의 키탑 (50) 이 눌려질 때, 누름부가 딸깍하는 느낌을 주도록 되튀는 클릭 스프링 (69) 을 누르고, 또한 스위치 접점 (68) 을 눌러 닫는다.
필름 박판 (20) 에 굴곡 돌출부 (25) 가 제공되므로, 상기 굴곡 돌출부 (25) 는 키탑 (50) 이 눌릴 때 변형되며, 그 결과로 누름 작동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것에 대한 이유는 키탑 (50) 이 눌릴 때, 상기 키탑 (50) 의 스트로크(stroke)와 같은 양으로 필름이 신장되는 것이 상기 굴곡 돌출부 (25) 의 형태 변형에 의해 보상 (흡수) 되기 때문이다.
또한, 키탑 박판 (10) 의 필름 박판 (20) 에는 어떠한 구멍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가 상부로부터 물에 노출되는 경우일지라도 물이 필름 박판 (20) 까지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통과할 수 없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키탑을 충전시키고 있는 수지(23)가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며, 광방사 요소가 키탑 하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다면, 키탑 (50) 은 그 하부로부터 밝게 조명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성 기판으로 이루어 지는 피박 스위치, 스위치 기판 (60) 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강성 기판 등의 다른 형태의 스위치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레임 (40) 이 키탑 (50) 을 에워싸기 위해 필름 박판 (20) 의 하부측의 원주부상에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키탑 박판이 반드시 프레임 (40) 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프레임이 없는 키탑 박판이 스위치 기판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프레임이 없는 키탑 박판이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부재가 스위치 기판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박판 (20) 과 키탑 (50) 사이의 접착은, 필름 박판 (20) 의 품질 및 두께 또는 상기 키탑 (50) 과 프레임 (40) 을 성형하는데 사용된 주물 수지의 품질과 용융 온에 의존하여, 그 접착이 약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필름 박판과 키탑 사이의 결합은 상기 두 부재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면 강화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요소가 키탑 박판 (10-2) 인 누름 버튼 스위치 (1-2) 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스위치 기판 (60-2) 은 제1의 실시예의 스위치 기판 (60) 과 동일하므로, 스위치 기판 (60-2) 의 외곽선은 제5도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명판 (30-2) 이 필름 박판 (20-2) 의 상부측에 고착되었다는 점이 제1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상기 명판 (30-2) 에는 키탑 (50-2) 이 통과하는 원형 개구부 (31-2) 가 제공된다. 특히, 명판 (30-2) 은 키탑 (50-2) 이 상기 개구부 (31-2) 를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필름 박판 (20-2) 에 고착된다.
전술한 배치가 채택된다면, 필름 박판에 제공된 굴곡 돌출부 (25-2) 는 더이상 보이지 않게된다. 또한, 상기 명판 (30-2) 의 상면 또는 하부측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3) 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제6a도는 측단면도 (제6b도의 선 6(A) - 6(A)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며, 제6b도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키탑 박판 (10-3) 은 개구부 (90-3) 가 제공된 필름 박판 (20-3) 과 상기 개구부 (90-3) 를 통하여 상기 필름 박판 (20-3) 의 상부 및 하부에 용융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성형된 키탑 (50-3) 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키탑 (50-3) 의 누름부 (51-3) 는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키탑 (50-3) 의 하부측상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또한, 굴곡 돌출부 (25-3) 가 키탑 (50-3) 둘레에 제공된다.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4) (키탑 (10-4) 의 부분) 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7a도는 평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선 7(B) - 7(B) 를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 그리고 제7c도는 저면도이다. 제7d도는 상기 실시예의 키탑 박판 (10-4) 에 사용된 필름 박판 (20-4) 의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4) 의 경우, 필름 박판 (20-4) 에 제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태로 8 개의 개구부 (90-4) 가 제공되며, 키탑 (50-4) 이 상기 개구부 (90-4) 를 통하여 필름 박판 (20-4) 의 상부 및 하부에 용융수지를 충전 시킴으로써 성형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필름 박판 (20-4) 은 키탑 (50-4) 의 상부측의 외측 원주부에 성형된 필름 고착부 (55-4) 및 필름 박판 (20-4) 의 하부측에 성형된 고리형 필름 유지부 (52-4) 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키탑 (50-4) 의 원주부에는 굴곡 돌출부 (25-4) 가 제공된다.
제8a도, 제8b도 그리고 제8c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5) (키탑 (50-5) 의 부분) 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8a도는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선 8(B) - 8(B) 를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이며 제8c도는 저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5) 의 경우, 필름 박판 (20-5) 에 제7d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리형태의 개구부 (90-5) 가 제공되며, 큰 개구부 (91-5) 는 상기 고리의 중심부에 제공되며 키탑 (50-5) 은 개구부 (90-5, 91-5) 를 통하여 필름 박판의 상부 및 하부에 용융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성형된다. 키탑 (50-5) 의 원주부에는 굴곡 돌출부 (25-5) 가 제공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5의 실시예에 있어서, 굴곡 돌출부가 필름 박판의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돌출부 (25-a) 가 필름 박판 (20-A) 의 표면으로 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제9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굴곡 돌출부 (25-B) 가 필름 박판 (20-B) 의 표면에 대하여 파형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다른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굴곡 돌출부 (25-B) 의 길이가 크면 클수록 키탑을 누르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요소가 키탑 박판 (10-6) 인 누름 버튼 스위치 (1-6) 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 스위치 (1-6) 는 키탑 박판 (10-6) 을 포함하며, 명판 (30-6) 및 프레임 (40-6) 이 키탑 (50-6) 과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기판 (60) 과 동일한 스위치 기판 (60-6) (외곽선만이 도시됨) 이 제공된 필름 박판 (20-6) 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된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제10도의 키탑 박판 (10-6) 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11a도는 평면도이며 제11b도는 측면도이다.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는 필름 박판 (20-6) 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는 명판 (30-6) 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필름 박판 (20-6) 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열가소성 합성 수지 (21-6)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타레이트 등) 가 준비되며, 에폭시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접착제 (26-6) 가 25 내지 30 ㎛ 의 두께로 필름 (21-6) 의 상부측에 인쇄된다.
상기 접착제 (26-6) 는 원 (a1-6) 의 내부를 제외하고는 필름 (21-6) 전체, 그리고 상기 원 (a1-6) 내에 위치된 고리형태부 (26A-6) 에 가해진다. 상기 고리형태부 (26A-6) 는 두개의 원 (a2-6, a3-6) 사이의 부분이다.
다음, 제1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망하는 모양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 지는 장식 인쇄 (25-6) 가 상기 필름 (21-6) 의 소정의 위치에 적용된다. 장식 인쇄 (25-6) 가 적용되는 위치는 제12a도에 도시된 원 (a1-6) 과 원 (a2-6) 사이의 원 (a4-6) 의 내측 부분이다. 상기 장식 인쇄 (25-6) 의 두께는 약 5 내지 7 ㎛ 이다.
다음, 제1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21-6) 의 원 (a1-6) 과 원 (a2-6) 사이의 부분이 C 형상의 절취부 (22-6) 를 제공하도록 떼어내진다. 그 결과로, 원형 키탑 부분 (23-6) 이 작은 폭의 힌지부 (24-6) 에 의해서만 필름 (21-6) 에 연결되는 구조가 얻어진다.
명판 (30-6) 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합성 수지 필름 (31-6)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또는 그와 같은 것; 열가소성 수지가 반드시 사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준비되고 소망하는 모양의 인쇄 (33-6) 가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31-6) 의 전체 하부측에 적용된다.
다음,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의 접착제 (35-6) 가 인쇄면 (33-6) 상에 인쇄된다. 상기 접착제 (35-6) 는 원 (b1-6) 의 내측에는 인쇄되지 않음에 주의해야한다. 상기 원 (b1-6) 의 직경은 제12a도에 도시된 원 (a3-6) 의 직경과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접착제 (35-6) 가 인쇄되지 않은 필름 (31-6) 의 부분은 제1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내지며, 그에 의해서 원형 개구부 (32-6) 가 제공된다. 상기 개구부 (32-6) 의 직경은 원 (b1-6) 의 직경과 동일하다.
제13c도에 도시된 명판 (30-6) 은 접착제 (26-6, 35-6) 의 두층이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제12c도의 필름박판 (20-6) 상에 위치된다. 상기 명판 (30-6) 및 필름 박판 (20-6) 은 열압축 접착에 의해 강하게 접착된다.
다음, 키탑 (50-6) 과 프레임 (40-6) 은 필름 박판 (20-6) 과 명판 (30-6) 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체상에 수직 성형에 의해 동시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이 제14도를 참조로하여 이하 설명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식으로 결합된 필름 박판 (20-6) 과 명판 (30-6) 은 상부 주형 (D-6) 과 하부 주형 (E-6) 사이에 끼워진다. 상부 주형 (D-6) 에는 키탑 (50-6) 을 성형하기 위한 공동 (D1-6) 이 제공되며, 하부 주형 (E-6) 에는 프레임 (40-6) 을 성형하기 위한 공동 (E1-6) 과 상기 키탑 (50-6) 의 누름부 (51-6) 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 (E2-6) 이 제공된다. 상기 하부 주형 (E-6) 의 공동 (E1-6, E2-6) 에는 각각 좁은 통로 (E10-6, E20-6) 가 제공된다.
고온 고압의 용융 수지가 상기 좁은 통로 (E10-6, E20-6) 로 부터 강제 주입되며, 프레임 (40-6) 이 필름 박판 (20-6) 의 하부측의 외측 원주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 박판 (20-6) 의 키탑 (23-6) 이 제14도에 파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공동 (D1-6) 의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상방으로 밀리고 변형된다. 동시에, 공동 (D1-6, E2-6) 은 상기 용융 수지로 충전된다.
이때 주입된 열가소성 용융 수지가 고온 고압상태이며 상기 필름 박판 (20-6) 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강제 주입된 수지와 필름 박판 (20-6) 은 필름 박판 (20) 이 탈피되지 않도록 직접 강하게 융착된다. (접착제층이 제1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처럼 상기 수지와 필름 박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다시말하면, 키탑 (23-6) 부분을 갖는 필름 박판 (20-6) 의 부분은 상방으로 돌출 및 변형되게되며, 그에 따라서 공동 (D1-6) 의 내측면의 형태를 갖는 부풀어 오른 부분 (bulge)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합성수지는 상기 부풀어 오른 부분의 내부를 채우게되며 상기 수지와 필름 박판이 일체화되도록 경화되며 키탑 (50-6) 을 형성한다.
상부 및 하부 주형 (D-6, E-6) 을 분리함으로써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키탑 박판 (10-6) 이 완성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름 박판 (20-6) 에 제공된 절취부 (22-6) (제12c도 참조) 는 명판 (30-6) 에 의해 덮히므로써 감추어지며 따라서 상부측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키탑 박판 (10-6) 이 뛰어난 외관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키탑 (50-6) 이 눌려질 때 필름박판 (20-6) 의 힌지부 (24-6) (제12c도 참조) 가 쭈그러져도, 힌지부 (24-6)는 또한 명판 (30-6) 에 의해 덮여 감추어지기 때문에 상기 키탑 박판의 뛰어난 외관이 계속 유지된다.
제15도는 제10도의 부분 B 의 확대도이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박판 (20-6) 의 접착제 (26-6) 의 층과 명판 (30-6) 의 접착제 (35-6) 의 층이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둘은 열에 의해 접착된다. 그러나, 장식 인쇄 (25-6) 가 고리형태부 (26A-6) 에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 둘은 열이 가해질지라도 이 부분에서는 접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두 부재는 이 부분에서는 단지 접촉하고 있을 뿐이다.
상기 부분에는 다음의 이유 때문에 고리형태부 (26A-6) 가 제공된다. 상기 부분에 소정의 두께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고리형태부 (26A-6) 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명판 (30-6) 의 접착제 (35-6) 와 필름 박판 (20-6) 의 장식 인쇄 (25-6) 사이에 상기 부분에서 간극이 발생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것이 그후 상기 주형 (D-6, E-6) 사이에 끼워지게되면, 고리형태부 (26A-6) 의 필름 박판 (20-6) 과 명판(30-6)이 강력하게 함께 끼워질 수 없으며 고정 결합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이 부분이 고정 결합되지 않으면, 용융 수지가 충전될 때 상기 용융 수지가 필름 박판 (20-6) 의 절취부 (22-6) 쪽으로 상기 간극으로부터 흘러나올 것이다. 이러한 성형 공정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특징적인 형태는 고리형태부(26A-6)의 필름 박판 (20-6) 과 명판 (30-6) 이 겹치는 부분의 두께가 필름 (21-6) 의 두께, 고리형태부 (26A-6) 의 두께, 장식 인쇄 (25-6) 의 두께, 접착제 (35-6) 의 두께, 장식 인쇄 (33-6) 와 필름 (31-6) 의 두께의 합과 같다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필름 박판 (20-6) 과 명판 (30-6) 이 겹치는 부분의 두께는 필름 (31-6) 의 두께, 접착제 (26-6) 의 두께, 접착제 (35-6) 의 두께, 장식 인쇄 (33-6) 의 두께와 필름 (31-6) 의 두께의 합과 같다. 다시 말하면, 고리형태부 (26A-6) 의 필름 박판 (20-6) 과 명판 (30-6) 이 겹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장식 인쇄 (25-6) 의 두께 만큼 크다는 것이다. 그 결과로, 상기 부분을 주형 (D-6, E-6) 에 끼우는 것이 강화되며 더욱 확실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박판 (20-6) 과 명판 (30-6) 은 열압축 접착 단계에 의해 함께 접착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는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전술한 부재들이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 박판 (20-6) 과 명판(30-6)이 단지 중첩 (즉, 열 압축에 의해 접착되지 못함) 되는 상태로 상부 및 하부 주형 (D-6, E-6) 사이에 끼워지고, 용융 수지가 강제 주입된다면, 접착제 (25-5, 35-6) 의 두 층들은 용융 수지의 열과 압력 그리고 고온 주형 (D-6, E-6) 의 온에 의해 용융되고 함께 접착된다.
만약, 키탑 박판 (10-6) 이 스위치 기판 (60-6) 에 부착되고 키탑 박판 (10-6) 의 키탑 (50-6) 이 압축되면, 누름부 (51-6) 는 스위치 기판 (60-6) 의 클릭 스프링을 누르고, 스위치가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접점이 닫힌다.
키탑 (50-6) 이 눌리면, 필름 박판 (20-6) 에 절취부 (22-6) 가 제공되고 키탑 (50-6) 이 힌지부 (24-6) 에 의해 필름 박판 (20-6) 에 단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힌지부 (24-6) 는 굽혀진다. 결국, 키탑(50-6)은 용이하게 눌려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된 수지가 투명물질로 형성되고 광 방사 요소가 스위치 기판 (60-6) 상에 배치되면, 키탑 (50-6) 은 하부면에서부터 밝게 조명될 수 있다.
전술한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부 (24-6) 가 한 장소에만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힌지부는 다수의 장소에 제공될 수 있다.
제16도는 누름 버튼 스위치(1-7)의 한 요소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7) 인 누름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비록 상기 실시예가 제6의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것은 명판 (30-7) 이 필름박판 (20-7) 보다 소정의 크기 만큼 큰 외측 치수를 가지며, 필름 박판 (20-7) 을 넘어서 연장된 명판 (30-7) 의 외측 원주부가 구부려지고 프레임 (40-7) 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 제6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제17도는 수지 성형에 의해 제16도의 키탑 박판 (10-7) 을 성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주형 (D-7) 은 공동 (D1-7) 을 에워싼 외측 원주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원주부는 제2의 공동 (D2-7) 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방 연장된다. 용융 수지가 좁은 통로 (E10-7, E20-7) 로 부터 강제 주입되면, 상기 명판 (30-7) 의 외측 원주부는 제2의 공동 (D2-7) 의 외측 원주 측면에 접착된다.
상기 형태를 채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제10도에 도시된 제6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 버튼 스위치 (1-6) 의 경우, 키탑 박판 (10-6) 의 외측 원주 측면 (f) 은 판형태로 연장된다. 그 결과로, 모양을 좋게하기 위하여 그리고 필름 박판 (20-6) 이 명판 (30-6) 에서 탈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 (80-6) 에 의해 키탑 박판 (10-6) 을 감추고자 할 때, 누름 버튼 스위치 (1-6) 가 상기 케이스 (80-6) 내에 끼워질 경우에, 누름 버튼 스위치 (1-6) 의 상부면 (h) 을 케이스 (80-6) 의 측벽 (81-6) 의 상부면 (g) 보다 낮게 만들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두개의 상부면 (g, h) 에 의해 만들어진 계단부 (83-6) 에 먼지가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 (1-6) 의 조립상의 실수로 인해, 누름 버튼 스위치 (1-6) 의 두께에 치수의 실수가 발생한다. 두께에 있어서의 상기 실수에 의해, 상부면 (h) 이 상부면 (g) 을 초과할 위험이 있다. 이것은 두께 방향에서의 조립 실수가 감소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께 방향에서의 조립상의 실수를 취급하는 데에는 정확한 측정이 있어야만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7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7) 을 사용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1-7) 의 경우 키탑 박판 (10-7) 의 외측 원주부상의 상부 모서리부(i) 는 제1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판 (30-7) 에 의해 덮여 있다. 그 결과로, 외측 원주부상의 상부 모서리 (i) 가 케이스 (80-7) 의 측벽 (81-7) 의 상부면 (g) 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만들어진다면 설계상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며 필름 박판 (20-7) 이 명판 (30-7) 에서 탈피된 위험이 없다. 따라서, 누름 버튼 스위치 (1-7) 의 두께에 있어서 치수 실수가 있다 할지라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누름 버튼 스위치 (1-7) 의 두께에 있어서 조립상의 실수를 취급하는데에 정확한 측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작동성과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40-7) 의 하부측에 계단부 (41-7) 가 제공되므로, 스위치 기판 (60-7) 의 외측 원주부는 상기 계단부 (41-7) 와 단지 결합되어야 하며, 그에 의해서 스위치 기판의 위치 설정 및 고착을 용이하게 한다.
제19도는 스위치의 한 요소가 본 발명에 제8의 실시예에 따른 키탑 박판 (10-8) 의 요소인 누름 버튼 스위치(1-8)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키탑 박판 (10-8) 은 그 중심부에 키탑 (50-8) 이 제공된 필름 박판 (20-8) 을 포함한다. 프레임 (40-8) 이 필름 박판 (20-8) 의 하부측의 외측 원주부에 부착되며, 키탑(50-8)을 에워싼 필름 박판 (20-8) 의 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굴곡 돌출부 (25-8) 가 제공된다. 또한, 명판 (30-8) 이 필름 박판 (20-8) 의 상부에 고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구조는 제5도에 도시된 키탑 박판 (10-2) 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필름 박판 (20-8) 너머로 돌출한 명판 (30-8) 의 부분은 굽혀지고 프레임 (40) 의 측면에 고정되며, 계단부 (41-8) 가 프레임 (40-8) 의 하부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구조는 제16도에 도시된 제7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의 효과는 제5도와 제16도에 도시된 배치의 효과를 조합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과 변화가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될 뿐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Claims (3)

  1. 스위치 접점 상부에 배치되고 누름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가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키탑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필름 박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성형되는 누름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에 있어서, 상기 키탑이 성형되는 부분을 에워싸는 필름 박판에 굴곡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굴곡 돌출부가 상기 필름 박판의 표면으로부터 상향, 하향, 또는 상향 및 하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키탑을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누름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
  2. 스위치 접점 상부에 배치되고 누름에 의해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가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키탑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필름 박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성형되는 누름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에 있어서, 상기 키탑이 성형되는 부분을 에워싸는 필름 박판에 힌지부를 제외한 부분에 절취부가 제공되며, 상기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탑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제공된 명판이 상기 필름 박판에 부착되어 상기 필름 박판의 절취부와 힌지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
  3.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에 있어서, 스위치 접점 상부에 배치되고 누름에 의해 스위치 접점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가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키탑이 소정의 위치에 성형되는 필름 박판; 상기 필름 박판상에 장착되고 상기 필름 박판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명판으로서, 상기 명판의 외측 원주부는 상기 필름 박판의 외측 원주부를 넘어 돌출하는 명판 ; 그리고 상기 필름 박판에 고착되도록 상기 필름 박판의 외측 원주부상의 하부측에 성형된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필름 박판의 외측 원주부 넘어 돌출하는 상기 명판의 상기 외측 원주부가 구부러져 상기 프레임의 외측 원주 측면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 박판.
KR1019930022762A 1993-03-15 1993-10-29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박판 KR016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927A KR0178876B1 (ko) 1993-03-15 1998-05-25 누름버튼스위치의 키탑 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80049 1993-03-15
JP5080049A JP2665711B2 (ja) 1993-03-15 1993-03-15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5081366A JP2665712B2 (ja) 1993-03-16 1993-03-16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93-81366 1993-03-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927A Division KR0178876B1 (ko) 1993-03-15 1998-05-25 누름버튼스위치의 키탑 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11A KR940022611A (ko) 1994-10-21
KR0162507B1 true KR0162507B1 (ko) 1999-01-15

Family

ID=2642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762A KR0162507B1 (ko) 1993-03-15 1993-10-29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박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475192A (ko)
EP (2) EP0737992A1 (ko)
KR (1) KR0162507B1 (ko)
DE (1) DE693138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5593A (ja) * 1996-11-28 1998-06-16 Aisin Seiki Co Ltd 感圧スイッチ
JP3151553B2 (ja) * 1996-11-29 2001-04-03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12980B2 (ja) * 1996-12-06 2006-08-2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キートップ構造
JP2893445B2 (ja) * 1997-02-18 1999-05-24 サンアロー株式会社 照光式キ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5909021A (en) * 1997-08-19 1999-06-01 The Sas Group, Llc Keypads: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JP3457162B2 (ja) 1997-09-19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ITTO980533A1 (it) * 1998-06-19 1999-12-19 Bottero Spa Macchina per la formatura di articoli di vetro.
TW419687B (en) * 1998-12-22 2001-01-21 Shinetsu Polymer Co Push button switch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342959B1 (ko) * 1998-12-31 2002-07-05 양윤홍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TW498710B (en) 1999-01-22 2002-08-11 Taisei Plas Co Ltd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446616B (en) * 1999-01-27 2001-07-21 Taisei Plastics Co Ltd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064019A (en) * 1999-04-27 2000-05-16 Buchan; Brian D. Resilient switch cover with integral actuator button
TW434612B (en) * 1999-07-27 2001-05-16 Darfon Electronics Corp Elastic thin layer of key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97105C (zh) * 1999-08-27 2005-04-13 三菱电机株式会社 按钮开关及开关装置
EP1128405A1 (en) * 2000-02-21 2001-08-29 Cherry GmbH Microswitch module
US6576856B2 (en) * 2000-03-24 2003-06-10 Polymatech Co., Ltd. Sheet shaped key top
JP4514884B2 (ja) * 2000-03-28 2010-07-28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一体キートップ
EP1275126B1 (de) * 2000-04-20 2004-02-11 Delphi Technologies Inc. Betätigungselement für einen elektrischen schalter,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lenkradschalter
US6500169B1 (en) * 2000-05-15 2002-12-31 Stryker Corporation Powered surgical handpiece with membrane switch
US6591457B1 (en) 2000-06-08 2003-07-15 The Grigoleit Company Multi-component butt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3419388B2 (ja) * 2000-07-17 2003-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操作キー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58183B2 (en) * 2001-02-20 2005-10-25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 top pl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84993B1 (ko) * 2001-05-22 2003-05-23 주식회사 유일전자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GB0205925D0 (en) * 2002-03-13 2002-04-24 Mcgavigan John Ltd Improved control panel
JP3753676B2 (ja) * 2002-05-31 2006-03-08 不二電子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
US6635838B1 (en) 2002-06-24 2003-10-21 Brent A. Kornelson Switch actua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ame
US6610943B1 (en) 2002-07-02 2003-08-26 Anthony Lewis Durfee Membrane switch venting arrangement for washing appliance
DE10258209A1 (de) * 2002-12-12 2004-06-24 Siemens Ag Einga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Mobiltelefon, Modul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TW572345U (en) * 2003-06-23 2004-01-11 Emi Stop Corp Elastic sheet of ingle-piece circuit switch
DE10341074B3 (de) * 2003-09-05 2005-05-04 Siemens Ag IMD-Tastatur
DE10344654B3 (de) * 2003-09-25 2005-03-24 Siemens Ag Modulteil zur Bildung einer Tastatur
DE102004033972B4 (de) * 2004-07-14 2008-06-12 Audi Ag Bedienfeld mit mehreren Bedienelementen, Tastatur mit einem Bedienfeld und Verwendung der Tastatur
US7091433B2 (en) * 2004-09-17 2006-08-15 Emerson Electric Co. Low profile automotive latch release switch assembly
JP4256866B2 (ja) * 2005-09-01 2009-04-2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243669B1 (ko) * 2006-10-18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1465224B (zh) * 2007-12-21 2012-06-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结构
JP2010135151A (ja) * 2008-12-03 2010-06-17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TW201104718A (en) * 2009-07-23 2011-02-01 Ichia Tech Inc Method of fabricating keycaps
DE102010009702A1 (de) * 2010-03-01 2011-10-06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Hörvorrichtung mit einem Leitelement, insbesondere einem Schallschlauch
US20120084966A1 (en) * 2010-10-07 2012-04-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interactive keyboard
DE102011056934A1 (de) * 2011-12-21 2013-06-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biler Identifikationsgeber mit einer flexiblen Folie, die zumindest teilweise das Gehäuse umfasst
US9058941B2 (en) * 2012-08-20 2015-06-16 Apple Inc. Floating switch assembli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637697B1 (ko) 2014-10-17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누름 스위치
US10026569B2 (en) * 2016-02-03 2018-07-17 Precision Circuits Inc. Modular switch panel assembly
CN107785199B (zh) * 2016-08-26 2021-12-0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复位功能的防水膜以及防水按键
USD839846S1 (en) * 2017-04-27 2019-02-05 Lutron Electronics Co., Inc. Control module
DE102017214533B3 (de) 2017-08-21 2018-10-18 Audi Ag Bedi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sowie Kraftfahrzeug
USD868951S1 (en) * 2017-12-20 2019-12-03 Classic Auto Air Manufaccturing LP Control panel for vehicle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DE102020101462A1 (de) 2020-01-22 2021-07-22 Preh Gmbh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Kunststoffverbundabdeckung mit Kunststofffolie zur Festlegung an einer weiteren Komponente und zugehörige Kunststoffverbundabdeckung
TWI700715B (zh) * 2019-11-29 2020-08-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D954003S1 (en) * 2020-09-23 2022-06-07 ChengDu Tianyu Hi-Tech Co.,Ltd Control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8744A (en) * 1977-02-22 1978-12-05 Chomerics, Inc. Keyboard with concave and convex domes
JPS5987720A (ja) * 1982-11-11 1984-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ツチ
DE3481670D1 (de) * 1983-04-20 1990-04-19 Bebie & Co Tastaturanordnung.
GB8402974D0 (en) * 1984-02-03 1984-03-07 Npm Int Switches and keyboards
US4937932A (en) * 1987-04-10 1990-07-03 Ishii Hyoki Co., Ltd. Membrane panel switch
US5020215A (en) * 1987-10-28 1991-06-04 Tsai Huo Lu Method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keyboard
JPH0738288B2 (ja) * 1988-06-13 1995-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キースイッチ装置
US4980522A (en) * 1988-06-13 1990-12-25 Mitsubishi Denki Kabiushiki Kaisha Operating key switch unit
US5089671A (en) * 1989-12-15 1992-02-18 Val Ranetkins Underwater zoom switch
DE69133106T2 (de) * 1990-10-30 2003-04-30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awasaki Ta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Taste
JP2768030B2 (ja) * 1991-02-21 199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キーボード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611A (ko) 1994-10-21
EP0616345A1 (en) 1994-09-21
DE69313820D1 (de) 1997-10-16
US5613599A (en) 1997-03-25
DE69313820T2 (de) 1998-04-09
US5475192A (en) 1995-12-12
EP0737992A1 (en) 1996-10-16
EP0616345B1 (en) 199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507B1 (ko) 누름 버튼 스위치의 키탑박판
US4847798A (en) Case structur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nd deformable ornamental body therefor
US6573463B2 (en) Structure of electronic instrument having operation key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4258096A (en) Composite top membrane for flat panel switch arrays
JP3151553B2 (ja) キートップ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413892B2 (ja) キーシート
US6571457B2 (en)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024510B1 (en) Control panel having sheet-formed pushbutton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855347B2 (en)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039052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4594880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78876B1 (ko) 누름버튼스위치의 키탑 박판
JP2665712B2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H10302572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2008251323A (ja) パネル一体型押釦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7038842A1 (en) Elastomeric keypad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2665711B2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H0644859A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3166B2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2747976B2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板
JPH0963414A (ja) 押釦式スイッチ板
JPH0628952U (ja) 薄形パネルスイッチユニット
JP4430780B2 (ja) 照光式シート状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29228A (ja) 防滴構造の押釦スイッチ
JPH06103613B2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