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482B1 - 부품탑재장치 - Google Patents

부품탑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482B1
KR0161482B1 KR1019950059497A KR19950059497A KR0161482B1 KR 0161482 B1 KR0161482 B1 KR 0161482B1 KR 1019950059497 A KR1019950059497 A KR 1019950059497A KR 19950059497 A KR19950059497 A KR 19950059497A KR 0161482 B1 KR0161482 B1 KR 016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ressing member
component
hollow ro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히코 후지오카
도모스케 오카와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482B1/ko

Links

Landscapes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탑재장치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중공로드를 향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압압부재와, 중공로드를 중심으로 각각의 제1압압부재로부터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중공로드를 향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압압부재를 구비하며, 제1압압부재들을 제1모터에 의해 그리고 제2압압부재들을 제2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정사각형만이 아닌 직사가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부품을 단시간에 클램핑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탑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부품탑재장치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탑재헤드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탑재헤드의 평면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탑재헤드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압압부재 구동박스의 바닥판을 도시한 저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기판에 설치되는 압압부재 구동 플레이트들이 가장 접근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바닥판에 설치되는 압압부재 구동 플레이트들이 서로 이간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제12도는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들에 설치되는 압압부재들을 도시한 저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수평지지부재 3,4 : 가이드레일
5 : 크로스바 6 : 헤드유니트
7 : 모터 8 : 볼스크류
10 : 연동샤프트 11,12 : 피니언 기어
13,14 : 랙기어 15 : 볼스크류
16 : 모터 20 : 프린트기판
21,22 : 가이드부재 23 : 부품스테이지
24 : 탑재헤드 25 : 흡착비트
27 : 진공펌프 28 : 압력센서
31 : 지지판 32 : 통체
34 : 압압부재 구동박스 35 : 모터
40 : 중공로드 51,52 ; 볼스크류
53,54 : 모터 55,56 : 너트
57 : 가이드레일 60 : 슬라이딩판
62 : 연결부재 63 : 캠부재
66 : 연결부재 67 : 캠부재
68,89 : 핀 71 : 바닥판
72 : 절결부 73a∼73d : 가이드로드
74a∼74d :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 76,77 : 핀
78 : 결합핀 79 : 스프링부재
81a,81b : 제1압압부재 81c,81d : 제2압압부재
82a : 외측압압부 82d :내측압압부
82c : 외측압압부 82d : 내측압압부
W : 전자부품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프린트기판 등의 기판에 자동적으로 탑재하는 부품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기판에 대해 IC나 LSI 등의 반도체장치,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의 전자부품을 자동적으로 탑재하기 위하여 전자부품탑재장치가 사용된다. 이 전자부품탑재장치는, 프린트기판을 안내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결정하여 기판지지스테이지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과, 프린트기판에 탑재되는 여러종류의 부품을 각각 지지하는 부품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부품스테이지의 전자부품을 프린트기판까지 반송하여 탑재하기 위하여, 탑재헤드가 X-Y 2축방향으로 수평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탑재헤드에는 전자부품을 진공압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흡착비트 즉 흡착노즐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흡착비트는 기판지지스테이지와 부품스테이지에 있어서 각각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탑재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최근, 프린트기판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으므로, 부품탑재장치는 여러종류의 크기를 가지는 전자부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탑재장치에 있어서는, 탑재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크기에 한계가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최근의 요망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부품을 흡착비트에 의해 흡착하는 경우에는, 크기가 다른 여러종류의 전자부품을 소정위치에 확실히 위치결정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크기의 부품을 흡착비트에 흡착된 상태로 클램핑하면서 위치결정할 수 있는 부품탑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탑재장치는,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스테이지와 상기 부품이 탑재되는 기판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탑재헤드와,
상기 탑재헤드의 선단에 설치된 압압부재 구동박스와,
상기 탑재헤드에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기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비트가 설치된 중공로드와,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중공로드를 향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압압부재와,
상기 중공로드를 중심으로 상기 각각의 제1압압부재로부터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중공로드를 향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압압부재와,
상기 제1압압부재들을 구동하는 제1모터와,
상기 제2압압부재들을 구동하는 제2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흡착비트에 의해 흡착된 부품을 상기 압압부재들에 의해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압압부재 및 제2압압부재는 각각 중심측의 내측압압부와 주변측의 외측압압부를 가지며 각각의 압압부와 부품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압압부재 및 제2압압부재는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품이 상기 압압부재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압압부재를 상기 중공로드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부품탑재장치에 있어서는, 흡착비트에 의해 흡착된 부품은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설치된 압압부재들에 의해 소정의 위치 및 자세로 위치결정되어 클램핑된다. 제1압압부재들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제2압압부재들은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 정사각형의 부품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의 부품도 클램핑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압압부재는 내측압압부와 외측압압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압압부들을 사용함으로써, 압압부재들의 이동스크로크를 줄이더라도, 크기가 다른 여러종류의 부품을 단시간에 클램핑할 수 있다.
압압부재들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모된 경우 등에는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압압부재들은 스프링부재에 의해 중공로드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압압부재들의 이동오차를 흡수하여 확실하게 부품을 클램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자부품탑재장치의 평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 전자부품탑재장치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수평지지부재(1,2)를 가지며, 각각의 수평지지부재(1,2)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가이드레일(3,4)이 결합되어 있다. 수평지지부재(1,2)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바(5)는 그 양단부가 가이드레일(3,4)에 장착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3,4)에 안내되어 수평지지부재(1,2)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크로스바(5)에는 헤드유니트(6)가 그 크로스바(5)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헤드유니트(6)는 크로스바(5)의 연장방향 즉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크로스바(5)를 Y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일측 수평지지부재(2)에는 모터(7)에 의해 구동되는 볼스크류(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볼스크류(8)는 크로스바(5)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크로스바(5)에는 연동샤프트(10)가 그 크로스바(5)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연동샤프트(10)의 양단에 고정된 피니언기어(11,12)는 수평지지부재(1,2)에 고정된 랙기어(13,14)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7)에 의해 볼스크류(8)를 구동시키면, 크로스바(5)는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랙기어(13,14)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1,12)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크로스바(5)는 수평지지부재(1,2)에 대해 소정의 직각도를 유지하면서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랙기어(13)는 제2도에 도시된 가이드레일(4)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크로스바(5)에는 헤드유니트(6)를 X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볼스크류(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볼스크류(15)는 헤드유니트(6)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볼스크류(15)는 모터(16)의 주축에 설치된 풀리와 그 볼스크류(15)에 설치된 풀리에 걸려 주행하는 타이밍벨트를 개재시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수평지지부재(1,2)의 하방에는, 그 수평지지부재(1,2)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부재(21,22)가 설치되어 있는데, 가이드부재들(21,22)은 프린트기판(20)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형성하며, 프린트기판(20)은 가이드부재들(21,22)에 의해 안내되면서 X축방향으로 반송되어 기판지지스테이지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일측 가이드부재(21)는, 프린트기판(20)의 크기에 맞추어, 타측 가이드부재(22)에 대해 접근 및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1,22)에 의해 형성되는 컨베이어의 양측에는, 전자 부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부품스테이지(23)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부품스테이지(23)의 전자부품을 프린트기판(20)에 탑재하기 위하여, 헤드유니트(6)에는 복수의 탑재헤드(24)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헤드(24)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흡착비트(25) 즉 흡착노즐을 가지고 있다. 이 흡착비트(25)는, 크로스바(5)를 수평지지부재(1,2)를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탑재헤드(24)를 크로스바(5)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임의의 부품스테이지(23)의 전자부품(W)을 흡착하여 프린트기판(20)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하게 된다. 전자부품(W)을 흡착할 때에는 흡착비트(25)를 소정의 부품스테이지(23)를 향해 하강이동시키고, 흡착된 후에 흡착비트(25)를 상승이동시키면서 흡착비트(25)를 프린트기판(20)의 소정위치로 이동시킨다. 그후, 소정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흡착비트(25)를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W)은 프린트기판(20)의 소정위치에 탑재된다.
흡착비트(25)는 진공펌프(27)와 통하는 노즐공(26)을 가지고 있으며, 진공펌프(27)로부터 노즐공(26)으로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전자부품(W)이 흡착비트(25)의 선단에 흡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착비트(25)의 노즐공(26) 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압력센서(28)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공(26) 내의 압력은 흡착비트(25)의 선단에 전자부품(W)이 흡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기압에 가까운 압력이 되며, 전자부품(W)이 흡착되면 진공펌프(27)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진공상태 즉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된다. 한편, 제2도에 있어서는 하나의 탑재헤드(24)에만 압력센서(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탑재헤드(24)에 압력센서(28)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3개의 탑재헤드(24) 중 하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크로스바(5)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지지판(31)에는 통체(32)가 베어링(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통체(32)의 선단에는 압압부재 구동박스(34)가 고정되어 있다. 통체(32)를 회전구동하기 위하여, 모터(35)의 주축에 고정된 풀리(36)와 통체(32)에 고정된 풀리(37)에는 타이밍벨트(38)가 걸려 있다.
통체(32)의 중심부에는 중공로드(40)가 트러스트베어링(41)을 개재시켜 중공로드(4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중공로드(40)를 축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기 위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1)에는 중공로드(4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42)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4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43)에는 베어링(44)을 개재시켜 중공로드(40)의 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31)의 상단부에 고정된 모터(45)의 주축에는 풀리(46)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풀리(46)와 지지판(3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47) 사이에는 타이밍벨트(48)가 걸려 있다. 타이밍벨트(48)의 일부는 슬라이더(43)에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중공로드(40)는 슬라이더(43)를 개재시켜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제6도는 제3도의 정면도이다. 탑재헤드(24)에는 2개의 볼스크류(51,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볼스크류(51,52)는 각각 모터(53,54)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볼스크류(51,52)에는 너트(55,56)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너트(55)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판(58)에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판(58)은 가이드레일(5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57)은 지지판(31)에 가이드레일(42)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너트(56)는 슬라이딩판(60)에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판(60)은 가이드레일(5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59)은 지지판(31)에 가이드레일(42)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딩판(58)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로드(40)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리이브(61)에 베어링(61a)을 개재시켜 연결되며, 슬리이브(61)는 연결부재(62)를 개재시켜 캠부재(63)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판(60)은, 슬리이브(61)의 외측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고리상의 리테이너(64)에 베어링(65)을 개재시켜 연결되며, 이 고리상 리테이너(64)는 연결부재(66)를 개재시켜 캠부재(6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모터(53,54)를 구동하면, 볼스크류(51,52)를 통해 캠부재(63,67)가 중공로드(40)의 슬라이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각각의 캠부재(63,67)의 축방향의 이동이 핀(68,69)의 회동운동으로 변환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63)에 의해 회동운동하는 2개의 핀(68)은, 180도 간격으로 회동부재(70a)에 설치되며, 캠부재(67)에 의해 회동운동하는 2개의 핀(69)은 180도 간격으로 회동부재(70b)에 설치되어 있다.
제9도는 압압부재 구동박스(34)의 바닥판(71)을 도시한 것으로, 이 바닥판(71)에는 +자형상의 절결부(72)가 형성되며, 4개의 가이드로드(73a∼73d)가 사변형으로 이루며 바닥판(71)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로드(73a∼73d)에는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제9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서로 평행한 2개의 가이드로드(73a, 74b)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3a, 74b)만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가이드로드(73c, 73d)에도 마찬가지의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4a, 74b)들은 인장코일스프링(75a, 75b)에 의해 그들이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핀(68)을 가지는 회동부재(70a)에 고정된 2개의 핀(76)은 각각 제9도에 도시된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4a, 74b)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70a)를 회동시키면, 각각의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a, 74b)는, 인장코일스프링(7a, 75b)의 탄력에 저항하여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핀(69)을 가지는 회동부재(70b)에 고정된 2개의 핀(77)은 가이드로드(73c, 73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미도시)에 결합되어 있어, 회동부재(70b)를 회동시키면, 그 압압부재 구동부재가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3a, 73d)에는 결합핀(78)과 판스프링(79)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0도는 각각의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4a∼74d)가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를 보이며, 제11도는 가장 이격된 상태를 보인다.
각각의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4a∼74d)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부재들(81a∼81d)이 결합핀(78)과 판스프링(79)과의 사이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취외 가능하게 정착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들 중 제1압압부재들(81a, 81b)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압압부재들(81c, 81d)도 중공로드를 중심으로 하여 제1압압부재들에 대해 각각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4a, 74b)에 결합된 제1압압부재(81a, 81b)는는 외측압압부(82a)와 이 외측압압부(82a)보다 낮은 내측압압부(82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압압부재 구동플레이트(74c, 74d)에 결합된 제2압압부재(81c, 81d)는 외측압압부(82c)와 이 외측압압부(82c)보다 낮은 내측압압부(82d)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압압부재들(81a, 81b)의 내측압압부(82a)는 제2압압부재(81c, 81d)들의 내측압압부(82d)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압압부재들(81a∼81d)이 다층으로 되어 있으며, 제13도 및 제14도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의 이동스트로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이동스트로크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서로 크기가 다른 여러종류의 전자부품을 클램핑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부품탑재장치에 의해 전자부품(W)을 프린트기판(20)에 탑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크로스바(5)의 Y축방향의 이동과 크로스바(5)를 따르는 탑재헤드(24)의 X축방향의 이동에 의해, 탑재헤드(24)의 흡착비트(25)는 소정 부품스테이지(23)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45)를 구동함으로써, 중공로드(40)가 하방을 향해 전진이동하게 되며, 흡착비트(25)가 전자부품(W)에 접촉한다. 흡착비트(25)에는 진공펌프(27)에 의해 진공압이 공급되고 있으며, 이 진공압에 의해 전자부품(W)은 흡착비트(25)에 흡착된다.
이어서, 모터(45)가 구동되어 중공로드(40)는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후퇴구동된다. 흡착비트(25)에 흡착된 전자부품(W)이 압압부재들(81a∼81d)이 설치된 위치까지 후퇴이동된 후 2개의 모터(53,54)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한 쌍의 압압부재(81a, 81b)와 한 쌍의 압압부재(81c, 81d)가 독립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처럼, 2쌍의 압압부재가 서로 독립하여 구동됨으로써 전자부품(W)은, 그 형상이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이더라도, 확실히 클램핑되어 위치결정된다. 전자부품(W)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개의 모터(53,54)가 각각 다른 회전수로 구동하면 된다.
클램핑시에는, 판스프링(79)에 의해 전자부품(W)은 약간 탄력을 받아 위치결정되면서 고정된다. 이러한 클램핑동작은, 탑재헤드(24)를 프린트기판(20)의 소정의 위치에 전자부품(W)을 반송하는 과정에서 행할 수 있다. 반송과정에서는 전자부품(W)은 압압부재들(81a∼81d)에 의해 클램핑됨으로써, 고속으로 전자부품을 반송하여도, 흡착비트(25)로부터 전자부품(W)이 낙하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압압부재는 복수쌍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쌍은 각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사각형만이 아닌 직사각형등의 다양한 형상의 부품을 클램핑할 수 있다.
(2) 압압부재의 이동스트로크를 크게하는 일 없이, 규격이 다른 여러종류의 부품을 클램핑할 수 있다.
(3) 부품을 클램핑할 때 그 위치나 자세를 소정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Claims (4)

  1.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스테이지와 상기 부품이 탑재되는 기판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탑재헤드와, 상기 탑재헤드의 선단에 설치된 압압부재 구동박스와, 상기 탑재헤드에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를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기 부품을 흡착하는 흡착비트가 설치된 중공로드와,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며 상기 중공로드를 향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압압부재와, 상기 중공로드를 중심으로 상기 각각의 제1압압부재로부터 소정각도 회전된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중공로드를 향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압압부재와, 상기 제1압압부재들을 구동하는 제1모터와, 상기 제2압압부재들을 구동하는 제2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흡착비트에 의해 흡착된 부품을 상기 압압부재들에 의해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탑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압부재 및 제2압압부재는 각각 중심측의 내측압압부와 주변측의 외측압압부를 가지며 각각의 압압부가 부품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탑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압부재 및 제2압압부재는 상기 압압부재 구동박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탑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압압부재를 상기 중공로드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탑재장치.
KR1019950059497A 1995-02-21 1995-12-27 부품탑재장치 KR0161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274195A JP3654943B2 (ja) 1995-02-21 1995-02-21 部品搭載装置
JP7-032741 1995-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1482B1 true KR0161482B1 (ko) 1998-12-15

Family

ID=1236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497A KR0161482B1 (ko) 1995-02-21 1995-12-27 부품탑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54943B2 (ko)
KR (1) KR0161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0134B2 (ja) * 2010-07-07 2014-06-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コンデンサ装着スタック構造およびコンデンサの装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28094A (ja) 1996-09-03
JP3654943B2 (ja)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093B1 (en) Mounter head of surface mounting apparatus
US20090049681A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0238568B1 (ko)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KR100254263B1 (ko) 부품장착장치
KR0163569B1 (ko) 부품 탑재 방법 및 탑재 장치
JP4694983B2 (ja) 表面実装機
KR0161482B1 (ko) 부품탑재장치
KR100195797B1 (ko) 리드프레임의 흡착유지장치
JP3789635B2 (ja) 電子部品用基板の表裏反転装置
KR0165514B1 (ko) 전자부품 탑재장치 등의 기판고정장치
KR20060126204A (ko) 부품실장기용 기판지지장치
KR100288198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JP3853402B2 (ja) チップボンディング装置
KR0148956B1 (ko) 칩부품 장착기의 인쇄회로기판 반전장치
CN110294319A (zh) 一种显示面板与测试治具的分离机构及分离方法
JPH08167788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361832B2 (ja) 表面実装機
JP2005340492A (ja) 表面実装機
KR100405109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JP3619231B2 (ja) 部品供給装置
JP4408060B2 (ja) 表面実装機
JPH0739863Y2 (ja) 電子部品の実装基板の位置決め装置
KR930004577B1 (ko) 인쇄 회로기판(PCB)상에 전자 부품을 자동으로 장착하는 마운트헤드(Mount Head) 어셈블리
KR200262970Y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팅 헤드
JP2007214429A (ja) 表面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